KR101113780B1 -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 Google Patents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13780B1
KR101113780B1 KR1020110088954A KR20110088954A KR101113780B1 KR 101113780 B1 KR101113780 B1 KR 101113780B1 KR 1020110088954 A KR1020110088954 A KR 1020110088954A KR 20110088954 A KR20110088954 A KR 20110088954A KR 101113780 B1 KR101113780 B1 KR 101113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water
continuous cleaning
continuous
dust collecting
dust col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9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금수
이선제
Original Assignee
(주)중앙플랜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중앙플랜트 filed Critical (주)중앙플랜트
Priority to KR10201100889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13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13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13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내부 세정을 위해 장치 가동을 정지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순환수를 통한 집진극 표면의 연속적인 자동 세정이 가능하여 장치의 장시간 운전이 가능한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는, 하부에 폐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최종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방전극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미세입자가 부착되는 복수개의 집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에 세정수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세정수 유입구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 벽면에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제1 연속 세정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집진극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극의 표면에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제2 연속 세정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Continuous cleaning precipitator for wet electr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기적으로 내부 세정을 위해 장치 가동을 정지하는 번거로움을 없애고 순환수를 통한 집진극 표면의 연속적인 자동 세정이 가능하여 장치의 장시간 운전이 가능한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기집진장치는 직류 고전압을 사용하며, 집진극과 방전극으로 적당한 불평등 전계를 형성하고 이 전계에 있어서의 코로나방전(corona discharge)을 이용하여 폐가스중의 더스트(dust) 및 미스트(mist)에 전하를 주어 이 대전 입자를 집진극에 분리 포집하는 장치이다.
상기 전기집진장치는 반도체 및 LCD공정 등 각종 제조산업, 화공플랜트 등의 dust 및 각종 유해물질 배출 공해방지설비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종래의 전기집진장치는 장치 내로 유입되는 폐가스중의 미세입자에 전기를 띠게 하는 방전극 및 고전압발생장치, 대전된 입자를 포집하는 집진극 등으로 구성되며, 집진극에 퇴적된 분진을 물로 제거하는 습식과 기계적 충격을 주어 제거하는 건식이 있다.
특히 습식전기집진기는, 방전봉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정전기력을 이용하여 가스 중의 입자상 물질이 집진판에 부착되게 하고, 집진판에 스프레이 노즐을 이용하여 주기적 또는 연속적으로 세정수를 분사하여 이물질을 분리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분무식 세척방식은 집진극에 파우더가 고착되는 현상은 물론, 집진극의 세정을 위해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여 가동을 정지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장치의 전원을 차단하는 동안 각종 유해물질이 그대로 대기중으로 배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순환수가 집진극의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흐름으로써, 집진극에 미세입자가 고착되는 현상을 방지하고 집진극의 세정을 위해 장치의 가동을 정지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는, 하부에 폐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최종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방전극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미세입자가 부착되는 복수개의 집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에 세정수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세정수 유입구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 벽면에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제1 연속 세정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집진극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극의 표면에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제2 연속 세정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는, 순환수가 집진극의 표면에 수막을 형성하여 연속적으로 흐름으로써, 집진극에 미세입자가 고착되는 현상과 집진극의 세정을 위해 장치의 가동을 정지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예방보전(Preventive Maintenance)의 주기를 연장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기 집진장치와 습식 스크러버의 복합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세정집진기의 제1 연속 세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1 연속 세정유닛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세정집진기의 제2 연속 세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제2 연속 세정유닛을 도시한 정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속 세정유닛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는, 하부에 폐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부에 최종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구가 형성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방전극과, 상기 방전극 사이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방전극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미세입자가 부착되는 복수개의 집진극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에 세정수 유입구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세정수 유입구에는 상기 몸체의 내부 벽면에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제1 연속 세정유닛이 설치되고, 상기 집진극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극의 표면에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제2 연속 세정유닛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속 세정유닛은 상기 세정수 유입구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와, 상기 고정플레이트에 연결되며 하부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 모서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세정수 유도판이 형성되는 세정수관과, 상기 세정수 유도판에 접합되어 세정수가 튀지 않도록 수막을 형성하는 흐름유도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연속 세정유닛은 상기 몸체의 플랜지부에 체결되는 수평플레이트와, 상기 수평플레이트의 단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세정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몸체의 내부 벽면에 흘러내리게 하는 경사플레이트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플레이트의 경사각도는 30~90도이고, 두께는 0.1~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 연속 세정유닛은 상기 집진극의 상부에 고정되며 하부 양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 모서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세정수 유도판이 형성되는 세정수관과, 상기 세정수 유도판에 접합되어 세정수가 튀지 않도록 수막을 형성하는 흐름유도막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흐름유도막의 상부면에는 상기 흐름유도막이 집진극의 표면에 붙지 않도록 다수개의 돌출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돌출돌기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 연속 세정유닛은 스테인레스(STS),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정수관은 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기 집진장치와 습식 스크러버의 복합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세정집진기의 제1 연속 세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1 연속 세정유닛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속 세정집진기의 제2 연속 세정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제2 연속 세정유닛을 도시한 정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제1 연속 세정유닛의 다른 일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는 하부에 폐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부에 최종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구(12)가 형성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방전극(2)과, 상기 방전극(2) 사이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방전극(2)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미세입자가 부착되는 복수개의 집진극(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양측에 세정수 유입구(13)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세정수 유입구(13)에는 상기 몸체(1)의 내부 벽면에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제1 연속 세정유닛(4)이 설치되고, 상기 집진극(3)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극(3)의 표면에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제2 연속 세정유닛(5)이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전기 집진장치는 폐가스중의 미세입자 포집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벤츄리(venturi)원리를 이용한 습식 스크러버(Wet Scrubber)와 복합 운영되거나 혹은 단독으로 운영될 수 있다. 상기 습식 스크러버는 통상적으로 이미 널리 알려져 있는 기술로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몸체(1)는 하부에 플랜지 타입으로 세정수 저장조(6)를 연결 구비하며, 내부에는 분진에 전기적인 하전을 인가하는 방전극(2)이 설치되는데, 이 방전극(2)은 몸체(1)의 내측 상부에 설치된 애자(15)에 고정되며, 고전압발생기(16)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게 된다.
상기 세정수 저장조(6)는 상기 몸체(1) 내부로 순환되는 세정수를 저장하고 세정수 저장조(6) 내부 바닥에 침전되는 침전물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하부 일측에 드레인펌프(미도시)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세정수 저장조(6)의 일측에는 상기 세정수 유입구(13)를 통해 세정수를 계속해서 순환시켜 공급하도록 세정수공급배관(61) 및 순환펌프(62)가 설치된다.
상기 세정수 유입구(13)는 수평방향의 플랜지 타입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전극(2)은 상기 고전압발생기(16)에 연결되는 방전봉(21)의 외부에 삽입되어 각각의 집진극(3)과 코로나방전에 의해 집진극(3)의 양측 표면 또는 몸체(1)의 내측벽으로 폐가스의 입자를 부착시키게 한다.
상기 집진극(3)은 상기 폐가스 유입구(11)로 유입된 폐가스가 배기구(12)로 수직 상승하는 방향과 동일선상에 구비되어 폐가스를 통과시키게 된다.
상기 제1 연속 세정유닛(4)은 스테인레스(STS),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연속 세정유닛(4)은 상기 세정수 유입구(13)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1)에 연결되며 하부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421)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 모서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세정수 유도판(422)이 형성되는 세정수관(42)과, 상기 세정수 유도판(422)에 접합되어 세정수가 튀지 않도록 수막을 형성하는 흐름유도막(43)으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플레이트(41)는 상기 세정수 유입구(13)에 볼트로 체결되며, 상기 세정수관(42)이 세정수 유입구(13)에 삽입되어 내측으로 향하도록 배치한다.
상기 배수공(421)은 원형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일자 형태의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세정수 유도판(422)과 흐름유도막(43)의 접합은 연질의 PVC용접에 의해 접합된다. 상기 세정수관(42)은 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상기 세정수 유도판(422)의 경사각도를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으나, 30도 이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1 연속 세정유닛(4)은 상기 세정수 유입구(13)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몸체(1)의 양측 내부 벽면에 세정수가 흘러내리도록 하여 몸체(1)의 벽면에 미세입자가 고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2 연속 세정유닛(5)은 상기 집진극(3)의 상부에 고정되며 하부 양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511)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 모서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세정수 유도판(512)이 형성되는 세정수관(51)과, 상기 세정수 유도판(512)에 접합되어 세정수가 튀지 않도록 수막을 형성하는 흐름유도막(52)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연속 세정유닛(5)은 집진극(3)의 양측면에 세정수가 흘러내리도록 하기 위해 상기 배수공(511)이 세정수관(51)의 하부 양면에 형성되고 세정수 유도판(512) 및 흐름유도막(52)이 세정수관(51)의 하부 양측에 설치된 점이 상기 제1 연속 세정유닛(4)과 상이하다.
상기 흐름유도막(43,52)의 상부면에는 상기 흐름유도막(43,52)이 집진극(3)의 표면에 붙지 않도록 다수개의 돌출돌기(431,521)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돌출돌기(431,521)에 의해 세정수의 흐름을 원활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돌출돌기(431,521)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흐름유도막(43,52)은 상기 몸체(1)의 내부 벽면과 집진극(3)의 양측면에 대하여 각각 경사지게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세정수관(42)의 배수공(421)을 통해 배수되는 세정수를 각각의 몸체(1)의 내부 벽면과 집진극(3)의 양측면에 안내하고, 단부가 상기 몸체(1)의 내부 벽면과 집진극(3)의 양측면에 접근되게 하여 수막을 형성하여 세정수가 튀지 않고 면을 따라 흘러내리게 한다.
한편, 상기 제2 연속 세정유닛(5)은 스테인레스(STS),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세정수관(51)은 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연속 세정유닛(4)은 상기 몸체(1)의 플랜지부(14)에 체결되는 수평플레이트(44)와, 상기 수평플레이트(44)의 단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세정수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몸체(1)의 내부 벽면에 흘러내리게 하는 경사플레이트(45)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경사플레이트(45)의 경사각도는 30~90도이고, 두께는 0.1~10mm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 연속 세정유닛(4)은 상기 몸체(1)의 플랜지부(14)에 고정시키는 것으로 설치가 매우 용이하며, 세정수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경사플레이트(45)의 경사면을 따라 몸체(1)의 내부 벽면에 흘러내리게 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져야 한다.
1 : 몸체
11 : 유입구
12 : 배기구
13 : 세정수 유입구
14 : 플랜지부
15 : 애자
16 : 고전압발생기
2 : 방전극
21 : 방전봉
3 : 집진극
4 : 제1 연속 세정유닛
41 : 고정플레이트
42 : 세정수관
421 : 배수공, 422 : 세정수 유도판
43 : 흐름유도막
431 : 돌출돌기
44 : 수평플레이트
45 : 경사플레이트
5 : 제2 연속 세정유닛
51 : 세정수관
511 : 배수공, 512 : 세정수 유도판
52 : 흐름유도막
521 : 돌출돌기
6 : 세정수 저장조
61 : 세정수공급배관
62 : 순환펌프

Claims (12)

  1. 하부에 폐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부에 최종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구(12)가 형성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방전극(2)과, 상기 방전극(2) 사이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방전극(2)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미세입자가 부착되는 복수개의 집진극(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양측에 세정수 유입구(13)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세정수 유입구(13)에는 상기 몸체(1)의 내부 벽면에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제1 연속 세정유닛(4)이 설치되고, 상기 집진극(3)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극(3)의 표면에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제2 연속 세정유닛(5)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연속 세정유닛(4)은 상기 세정수 유입구(13)에 고정되는 고정플레이트(41)와, 상기 고정플레이트(41)에 연결되며 하부 일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421)이 형성되고 하부 일측 모서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세정수 유도판(422)이 형성되는 세정수관(42)과, 상기 세정수 유도판(422)에 접합되어 세정수가 튀지 않도록 수막을 형성하는 흐름유도막(4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속 세정유닛(5)은 상기 집진극(3)의 상부에 고정되며 하부 양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511)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 모서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세정수 유도판(512)이 형성되는 세정수관(51)과, 상기 세정수 유도판(512)에 접합되어 세정수가 튀지 않도록 수막을 형성하는 흐름유도막(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유도막(43)의 상부면에는 상기 흐름유도막(43)이 집진극(3)의 표면에 붙지 않도록 다수개의 돌출돌기(43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기(431)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관(42)은 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6. 하부에 폐가스가 유입되는 유입구(11)가 형성되고 상부에 최종 정화된 가스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기구(12)가 형성되는 몸체(1)와, 상기 몸체(1)의 내부에 설치되어 고전압을 인가받아 방전을 발생시키는 복수개의 방전극(2)과, 상기 방전극(2) 사이에 이격 설치되어 상기 방전극(2)의 방전에 의해 대전된 미세입자가 부착되는 복수개의 집진극(3)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몸체(1)의 양측에 세정수 유입구(13)가 각각 형성되되, 상기 세정수 유입구(13)에는 상기 몸체(1)의 내부 벽면에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제1 연속 세정유닛(4)이 설치되고, 상기 집진극(3)의 상부에는 상기 집진극(3)의 표면에 세정수가 연속적으로 흘러내리도록 제2 연속 세정유닛(5)이 설치되며,
    상기 제1 연속 세정유닛(4)은 상기 몸체(1)의 플랜지부(14)에 체결되는 수평플레이트(44)와, 상기 수평플레이트(44)의 단부에서 하부로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어 상기 세정수 유입구(13)를 통해 유입되는 세정수를 상기 몸체(1)의 내부 벽면에 흘러내리게 하는 경사플레이트(45)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플레이트(45)의 경사각도는 30~90도이고, 두께는 0.1~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연속 세정유닛(5)은 상기 집진극(3)의 상부에 고정되며 하부 양면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수공(511)이 형성되고 하부 양측 모서리에 내측으로 경사지게 세정수 유도판(512)이 형성되는 세정수관(51)과, 상기 세정수 유도판(512)에 접합되어 세정수가 튀지 않도록 수막을 형성하는 흐름유도막(52)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유도막(52)의 상부면에는 상기 흐름유도막(52)이 집진극(3)의 표면에 붙지 않도록 다수개의 돌출돌기(521)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돌기(521)는 원형, 타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관(51)은 원형, 다각형 중에서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12. 제1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연속 세정유닛(4,5)은 스테인레스(STS), 유리섬유강화플라스틱(FRP), 폴리염화비닐(PVC), 폴리프로필렌(PP) 재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KR1020110088954A 2011-09-02 2011-09-02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KR101113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954A KR101113780B1 (ko) 2011-09-02 2011-09-02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954A KR101113780B1 (ko) 2011-09-02 2011-09-02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13780B1 true KR101113780B1 (ko) 2012-02-20

Family

ID=45840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954A KR101113780B1 (ko) 2011-09-02 2011-09-02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13780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81B1 (ko) * 2014-03-04 2014-11-04 (주)중앙플랜트 세정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KR101622238B1 (ko) 2015-10-14 2016-05-18 크린에어테크(주)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KR20170000941A (ko) * 2015-06-25 2017-01-04 한국기계연구원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KR20190015954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피엠알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WO2019045187A1 (ko) * 2017-08-31 2019-03-07 주식회사 에코에너젠 Ipa를 포함하는 공정 배기 스트림의 처리 시스템
KR20190055361A (ko) 2017-11-15 2019-05-23 김효수 습식 전기 집진기
KR102057032B1 (ko) 2019-10-21 2019-12-18 주식회사 지이테크 수직형 다단 적층식 전기집진기 및 가스분산세정기를 갖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 회수 및 정화장치
KR20210065416A (ko) 2019-11-27 2021-06-04 (주)대양이엔아이 모듈형 수막 집진 시스템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588A (ja) * 2001-01-31 2002-08-1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電気集塵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4588A (ja) * 2001-01-31 2002-08-13 Hitachi Plant Eng & Constr Co Ltd 電気集塵機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36381B1 (ko) * 2014-03-04 2014-11-04 (주)중앙플랜트 세정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KR20170000941A (ko) * 2015-06-25 2017-01-04 한국기계연구원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KR101867373B1 (ko) * 2015-06-25 2018-06-15 한국기계연구원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KR101622238B1 (ko) 2015-10-14 2016-05-18 크린에어테크(주)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KR20190015954A (ko) * 2017-08-07 2019-02-15 주식회사 피엠알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KR101964795B1 (ko) 2017-08-07 2019-08-07 주식회사 피엠알 습벽탑을 이용한 배출가스의 전기적 처리시스템
WO2019045187A1 (ko) * 2017-08-31 2019-03-07 주식회사 에코에너젠 Ipa를 포함하는 공정 배기 스트림의 처리 시스템
KR20190055361A (ko) 2017-11-15 2019-05-23 김효수 습식 전기 집진기
KR102057032B1 (ko) 2019-10-21 2019-12-18 주식회사 지이테크 수직형 다단 적층식 전기집진기 및 가스분산세정기를 갖는 배기가스에 포함된 유해물질 회수 및 정화장치
KR20210065416A (ko) 2019-11-27 2021-06-04 (주)대양이엔아이 모듈형 수막 집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3780B1 (ko)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KR100708544B1 (ko) 습식 전기집진장치
KR101037350B1 (ko) 습식 전기집진장치의 집진극 연속 세정장치
KR101867373B1 (ko) 집진판 세정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습식 전기집진기
CN110047788B (zh) 晶圆清洗装置及晶圆清洗系统
KR101469509B1 (ko)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US20110203459A1 (en) Device for Separating Paint Overspray
CN105169863A (zh) 一种染整行业定型机废气一体化处理装置及其工艺
CN105521871B (zh) 一种湿式静电除尘器水膜形成装置
KR101436381B1 (ko) 세정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CN113384985A (zh) 高温定型机的油烟净化系统
KR20110027521A (ko) 펄스 제트를 구비한 방전 전극선 세정용 습식 정전 집진기
KR20210022211A (ko) 수충격현상을 이용하여 수막노즐을 세척하는 습식 전기집진기
KR101404056B1 (ko) 자동세척 기능을 갖는 전기필터부를 포함하는 집진형 터널고속팬
KR20180000125A (ko) 습식전기 집진기가 포함된 유해 배기가스 처리 습식 멀티 스크러버 시스템
CN201295643Y (zh) 水平面等离子净化机
KR20100093809A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032613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1단 전기집진기
CN102500188A (zh) 一种湿式电除尘装置
CN108379938A (zh) 一种粉尘颗粒物回收装置
KR20080083785A (ko) 습식 전기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CN216704690U (zh) 湿式高压静电除尘器
KR101863676B1 (ko) 전기 집진장치
KR20170136114A (ko) 가압형 습식 전기집진기
KR100893771B1 (ko) 습식 전기집진기 및 이를 이용한 공기 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1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0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31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