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238B1 -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 Google Patents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238B1
KR101622238B1 KR1020150143486A KR20150143486A KR101622238B1 KR 101622238 B1 KR101622238 B1 KR 101622238B1 KR 1020150143486 A KR1020150143486 A KR 1020150143486A KR 20150143486 A KR20150143486 A KR 20150143486A KR 101622238 B1 KR101622238 B1 KR 1016222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plate
washing water
dust collecting
dust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3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석
김효수
Original Assignee
크린에어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린에어테크(주) filed Critical 크린에어테크(주)
Priority to KR1020150143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2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2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2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16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wet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B03C3/64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synthet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세정수의 분사 주기를 장기화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스파크 오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집진판 표면에 항상 일정수준의 수막층을 유지함으로서 세정수의 분사 주기를 장기화함에도 불구하고 집진판이 건조되는 문제을 해결하였으며 또한 수막층이 집진판 전체에 골고루 일정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집진판 어느 곳이라도 오염물질의 부착 염려 및 흡착으로 인한 문제점이 없이 효율적으로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상부 일측에는 분진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컨트롤 박스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면에는 세정수 주입밸브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드레인 밸브와 오버플로우 밸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호차가 구비된 집진기 본체와,
상기 집진기 본체의 내부는, 상기 유입구와 연결된 유입공간부와, 상기 유입공간부의 일측에 구비된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일측에는 방전극이 결합되어 있는 방전극 하우징과, 상기 방전극 하우징과 결합된 것으로서 집진판이 결합된 집진판 하우징과, 상기 집진판 하우징 상단에는 세정수 저장조가 구비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일측에 진동모터가 구비된 세정수 분사조와, 상기 집진판 하우징 하부에는 세정수 저장탱크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세정수 저장탱크에는 경사진 유도판과 펌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펌프에는 배관이 구비되어 상기 세정수 저장조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와,
상기 집진판 외주면에 액상의 고흡수성 수지를 도포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와,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가교결합시켜 제조한 아크릴계 수지 표면을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로 재가교시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와,
상기 세정수 저장조와 세정수 분사조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스파크 오버 현상 및 세정수 분사 주기 사이에 집진판이 건조되는 문제로 인하여 오염물질이 원활하게 제거되지 아니하고 분사되는 세정수가 미스트 현상을 발생하여 집진판 전체에 골고루 분사되지 아니하여 집진판 전체에 골고루 수막층을 형성치 못하여 실질적으로 오염물질의 제거에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A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a water-absorbent resin is applied to jipjinpan}
본 발명은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세정수의 분사 주기를 장기화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스파크 오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집진판 표면에 항상 일정수준의 수막층을 유지함으로서 세정수의 분사 주기를 장기화함에도 불구하고 집진판이 건조되는 문제을 해결하였으며 또한 수막층이 집진판 전체에 골고루 일정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집진판 어느 곳이라도 오염물질의 부착 염려 및 흡착으로 인한 문제점이 없이 효율적으로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전기집진 장치는 산업현장에서 발생하는 입자상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 널리 사용되어 왔고, 일반적인 입자상의 단일 오염물질에 대한 연구는 많은 연구자들에 의하여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의 미국을 중심으로 초미세먼지 입자와 중금속, 백연 등의 새로운 미량 유해성 공기오염의 입자상 물질에 대한 배출 허용농도가 더욱 강화될 추이에 따라, 초미세먼지와 가스상 및 액체 미스트(mist) 상의 복합적 오염물질에 대한 새로운 집진 및 유해가스 제거기술이 요구되어 진다.
현재 국내 미세먼지 연간기준이 70에서 50μg/m3으로 강화예정에 있으나, 이는 여전히 미국 캘리포니아 기준인 20μg/m3에 비하여 높은 값으로, 향후 더욱더 강화될 추세이다.
한편, 미국에서는 1997년부터 PM(Particulate Matter) 2.5의 미세입자에 대한 규제를 시작으로 2005년 12월부터 기준을 더욱 강화시키기로 발표하였으며, 2006년도에 발표된 미세먼지 저감대책은 미국 대기환경정책의 가장 중요한 이슈로 중점 추진하고 있다.
국내에서도 2010년부터 발전소, 소각로 등의 사업장 배출허용기준의 대폭적인 강화 및 배출부과금 개편과 반도체제조시설, 액정표시장치(LCD) 등 신규 첨단산업시설에 대한 배출허용기준이 강화되는 추세이다.
반도체 공정과 같은 다양한 유해성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공정에서도 기존의 집진장치에서는 제거가 어려운 미세먼지, 미스트와 각종 인체유해 화학물질들이 배기가스로 배출되고 있다.
이러한 유해 배출가스의 정화를 위하여 습식세정장치(Wet scrubber) 등이 사용되고 있으나, 이들의 처리효율상의 한계와 구조적 문제로 효과적인 습식 전기집진기를 이용한 저감기술이 개발, 적용되고 있다.
습식전기집진기(WESP,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는 건식 전기집진기를 구성하는 방전극, 집진판 및 고전압 인가 장치에 세정수 공급장치와 순환장치가 추가되어 구성된다.
건식 전기집진기에서의 집진판에 부착된 오염물질의 제거를 위하여 추타(Rapping) 과정 대신에 습식 전기집진기에서는 세정수를 집진판에 공급하여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한다.
습식 전기집진기는 서브마이크론(Sub-micron) 미세입자, 중금속 입자, 미스트(mist), 흄(fume), 다이옥신, 푸란(furan) 등의 입자와 가스상 오염물질의 배출 제어에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섬유상 필터(fabric filter)나 건식 전기집진기 등의 오염방지 설비 등의 집진 효율은 제거 대상 입자의 물리화학적 물성에 따라 민감한 반면, 습식 전기집진기는 다양한 영역의 오염방지 설비에 적용이 가능하며, 대상 입자의 물리화학적 물성에 관계없이 서브 마이크론 입자의 제거에 효과적이다.
그러나, 일반적인 금속 판형의 습식 전기집진기는 집진판 설치의 초기 불완전성과 세정수와 집진판의 표면 장력으로 인하여 세정수가 구슬형태로 되는 경향이 있고, 이로 인하여 집진판에 세정수가 존재하지 않는 드라이 스폿(dry spot)이 존재하여 입자들의 빌드업(build up)을 초래하며 전류를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전체 효율을 저해하는 주원인이 된다.
이와 같은 드라이 스폿을 제거하기 위하여 집진판에 세정수를 분사하는 방법은 세정수 분사에 의한 미스트가 발생하여 방전극과 집진극 사이의 전도체 역할을 하여 전기장을 파괴시키는 스파크 오버(spark-over) 현상이 발생한다.
습식 전기집진기 운전시, 스파크 오버 현상은 집진 효율 감소의 원인이 되어 오염방지 설비 후단 배출시에 블루헤이즈(blue haze)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스파크 오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세정수 분사시 인가 전압을 감소시키거나 고전압 인가를 정지해야 하는데 이로 인하여 습식 전기집진기의 효율을 떨어뜨리고 연속적 운전을 보장할 수 없는 문제를 초래한다.
또한, 종래의 습식 전기집진기에서는 세정수를 분사하더라도 분사 주기사이에 집진판이 건조되는 문제로 인하여 오염물질이 원활하게 제거되지 아니하고 분사되는 세정수가 미스트 현상을 발생하여 집진판 전체에 골고루 분사되지 아니하여 집진판 전체에 골고루 수막층을 형성치 못하여 실질적으로 오염물질의 제거에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특허등록 제10-0708544호 한국 특허등록 제10-1196245호 한국 특허등록 제10-1113780호 한국 특허등록 제10-1420508호
본 발명은 스파크 오버 현상이 발생될 염려를 최소화하고 또한 집진판 내외주면에 고흡수성수지를 도포함에 따라 세정수 분사 주기 사이에 집진판이 건조되는 문제로 인하여 오염물질이 원활하게 제거되지 아니하고 분사되는 세정수가 미스트 현상을 발생하여 집진판 전체에 골고루 분사되지 아니하여 집진판 전체에 골고루 수막층을 형성치 못하여 실질적으로 오염물질의 제거에 매우 비효율적인 문제점을 해결토록 하기 위한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를 제공함에 본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해결적 수단은,
"상부 일측에는 분진이 유입되는 유입구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컨트롤 박스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면에는 세정수 주입밸브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드레인 밸브와 오버플로우 밸브가 구비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호차가 구비된 집진기 본체와,
상기 집진기 본체의 내부는, 상기 유입구와 연결된 유입공간부와, 상기 유입공간부의 일측에 구비된 필터와, 상기 필터의 일측에는 방전극이 결합되어 있는 방전극 하우징과, 상기 방전극 하우징과 결합된 것으로서 집진판이 결합된 집진판 하우징과, 상기 집진판 하우징 상단에는 세정수 저장조가 구비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일측에 진동모터가 구비된 세정수 분사조와, 상기 집진판 하우징 하부에는 세정수 저장탱크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세정수 저장탱크에는 경사진 유도판과 펌프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펌프에는 배관이 구비되어 상기 세정수 저장조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와,
상기 집진판 외주면에 액상의 고흡수성 수지를 도포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와,
상기 고흡수성 수지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가교결합시켜 제조한 아크릴계 수지 표면을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로 재가교시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와,
상기 세정수 저장조와 세정수 분사조에는 다수개의 통공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를 그 구성적 특징으로 함으로서 상기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는 세정수의 분사 주기를 장기화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스파크 오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집진판 표면에 항상 일정수준의 수막층을 유지함으로서 세정수의 분사 주기를 장기화함에도 불구하고 집진판이 건조되는 문제을 해결하였으며 또한 수막층이 집진판 전체에 골고루 일정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집진판 어느 곳이라도 오염물질의 부착 염려 및 흡착으로 인한 문제점이 없이 효율적으로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판 하우징과 방전극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판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판 하우징과 방전극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판의 요부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판 하우징과 방전극 하우징 및 세정수 공급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판 하우징과 방전극 하우징이 분리된 상태의 분리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판 하우징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판 하우징과 방전극 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판의 요부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에 있어서 집진판 하우징과 방전극 하우징 및 세정수 공급부가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면,
지시부호 10은 집진기 본체(10)를 지시하는 것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기 본체(10) 즉, 집진기의 외부는,
상부 일측에는 분진이 유입되는 유입구(10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컨트롤 박스(1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면에는 세정수 주입밸브(103)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드레인 밸브(104)와 오버플로우 밸브(105)가 구비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호차(106)가 구비된 구조이다.
다음, 상기 집진기 본체(10)의 내부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입구(100)와 연결된 유입공간부(110)와, 상기 유입공간부(110)의 일측에 구비된 필터(120)가 구비되어 있고,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필터(120)의 일측에는 방전극(131)이 결합되어 있는 방전극 하우징(130)과, 상기 방전극 하우징(130)과 결합된 것으로서 집진판(141)이 결합된 집진판 하우징(140)이 구비되되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판 하우징(140)에는 홈부와 돌출부가 교호로 구성된 판상의 집진판(141)이 결합되어 있는 상태이다.
한편,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판 하우징(140) 상단에는 세정수 저장조(150)가 구비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일측에 진동모터(161)가 구비된 세정수 분사조(160)가 구비되어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판 하우징(140) 하부에는 세정수 저장탱크(170)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세정수 저장탱크(170)에는 경사진 유도판(171)과 펌프(17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펌프(172)에는 배관(173)이 구비되어 상기 세정수 저장조(150)로 연결되어 있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집진판(141) 외주면에 액상의 고흡수성 수지(142)를 도포하여 된 것으로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142)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가교결합시켜 제조한 아크릴계 수지 표면을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로 재가교시켜 제조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집진판(141)의 외주면에 고흡수성 수지(142)가 도포됨에 따라 고 흡수성 수지(142)의 특성상 세정수를 흡수한 후 배출치 아니함으로서 항상 수분을 함유하고 있는 관계로 분진이 유입되더라도 기존과 달리 고 흡수성 수지(142) 표면에 함유하고 있는 수분으로 인하여 분진의 탈락이 매우 용이하고 이로서 세정수를 분사하는 빈도와 집진판(141)의 세척 빈도를 월등히 줄이더라도 그 효과적인 측면에서는 전혀 손색이 없고 오히려 집진의 효과를 더욱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정수 저장조(150)와 세정수 분사조(160)에는 다수개의 통공(165)이 천공되어 있는 것으로서, 도 7에는 세정수 분사조(160)만이 도시하고 있고 세정수 저장조(150)은 생략한 것이다.
더욱 상세히 말하면, 상기 세정수 분사조(160)의 일측에 진동모터(161)에 의해 세정수 저장조(150)에서 낙하되는 세정수에 진동을 발생토록 함으로서 세정수 분사조(160)의 통공(165)을 통해 세정수가 마치 분사되는 것처럼 고 흡수성 수지(142)에 분사되며 상기 고 흡수성 수지(142)는 세정수를 일정부위에 닿으면 세정수가 닿지 아니한 부위까지 수분층을 확장하는 성질에 따라서 기존과 달리 집진판(141)의 전체를 골고루 세정수를 분사하여야 하는 수고스러움을 덜 수 있는 편리하고 간편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에 대하여 도면과 함께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진이 유입구(100)을 통해 유입되면 유입공간부(110)을 거쳐 1차적으로 필터(120)에 의해 굵은 분진은 필터링되며 미세분진만이 필터(120)를 통과하되 이와 같이 통과된 미세분진은 집진판(141)의 외주면에 도포된 고 흡수성 수지(142)에 달라 붙되 상기 고 흡수성 수지(142)가 수분층을 표면에 유지하고 있음으로서 항시 미세분진은 수분층에 의해 필터링되며 일정 간격으로 세정수 분사조(160)에 의해 분사되는 세정수에 의해 수분층에 달라붙어 있는 미세분진은 손쉽게 탈락하는 것으로서 세정수는 일단, 세정수 주입밸브(103)를 통해 세정수 저장탱크(170)에 저장되며 이와 같이 저장된 세정수는 펌프(172)에 의해 배관(173)을 통해 상기 세정수 저장조(150)으로 유입된 다음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한 세정수 저장조(150)의 바닥면에 형성되어 있는 통공을 통해 세정수 분사조(160)으로 낙하되며 이와 같이 낙하된 세정수는 진동모터(161)에 의해 진동됨에 따라 통공(165)으로 분사되어 집진판(141)의 외주면에 도포된 고 흡수성수지(142)에 수분을 함유토록 하여 고 흡수성수지(142)의 표면에 수분층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함에 따라 미세분진이 고 흡수성 수지(142) 표면에 달라 붙어도 낙하 즉, 수분에 의해 탈락되며 이와 같이 수분층에 함유된 세정수와 낙하된 미세분진은 유도판(171)을 따라 세정수 저장탱크(170) 내부로 흘러들어 가는 것이며 상기와 같이 순환방식을 유지토록 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전기집진기의 작동에 대하여는 일반적인 사항이므로 생략하고 가장 핵심적인 고 흡수성 수지(142)의 역할 및 그 중요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인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는 세정수의 분사 주기를 장기화함에 따라 상대적으로 스파크 오버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집진판 표면에 항상 일정수준의 수막층을 유지함으로서 세정수의 분사 주기를 장기화함에도 불구하고 집진판이 건조되는 문제을 해결하였으며 수막층 형성으로 인하여 오염물질의 부착 및 흡착되지 아니하고 그대로 낙하됨에 따라 세정수의 분사를 자주할 필요가 없으며 심지어 1회의 세정수 분사로도 충분한 수막층 형성으로 인하여 오염물질의 부착 및 흡착의 염려가 없고 또한 수막층이 집진판 전체에 골고루 일정 수준을 유지함에 따라 집진판 어느 곳이라도 오염물질의 부착 염려 및 흡착으로 인한 문제점이 없이 효율적으로 부착된 오염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10 : 집진기 본체 100 : 유입구
101 : 컨트롤 박스 102 : 배출구
103 : 세정수 주입밸브 104 : 드레인 밸브
105 : 오버플로우 밸브 106 : 호차
110 : 유입공간부 120 : 필터
130 : 방전극 하우징 131 : 방전극
140 : 집진판 하우징 141 : 집진판
142 : 고 흡수성 수지 150 : 세정수 저장조
160 : 세정수 분사조 161 : 진동모터
165 : 통공 170 : 세정수 저장탱크
171 : 유도판 172 : 펌프

Claims (4)

  1. 상부 일측에는 분진이 유입되는 유입구(100)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에는 컨트롤 박스(101)가 구비되어 있으며 일측면에는 정화된 공기가 배출되는 배출구(102)가 구비되어 있으며 하부 일측면에는 세정수 주입밸브(103)가 구비되어 있고 타측면에는 드레인 밸브(104)와 오버플로우 밸브(105)가 구비되어 있으며 바닥면에는 호차(106)가 구비된 집진기 본체(10)와,
    상기 집진기 본체(10)의 내부는,
    상기 유입구(100)와 연결된 유입공간부(110)와,
    상기 유입공간부(110)의 일측에 구비된 필터(120)와,
    상기 필터(120)의 일측에는 방전극(131)이 결합되어 있는 방전극 하우징(130)과,
    상기 방전극 하우징(130)과 결합된 것으로서 집진판(141)이 결합된 집진판 하우징(140)과,
    상기 집진판 하우징(140) 상단에는 세정수 저장조(150)가 구비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일측에 진동모터(161)가 구비된 세정수 분사조(160)와,
    상기 집진판 하우징(140) 하부에는 세정수 저장탱크(170)가 구비되어 있되 상기 세정수 저장탱크(170)에는 경사진 유도판(171)과 펌프(172)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펌프(172)에는 배관(173)이 구비되어 상기 세정수 저장조(150)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141) 외주면에 액상의 고흡수성 수지(142)를 도포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흡수성 수지(142)는,
    아크릴계 단량체를 가교결합시켜 제조한 아크릴계 수지 표면을 폴리(스티렌-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공중합체로 재가교시켜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수 저장조(150)와 세정수 분사조(160)에는 다수개의 통공(165)이 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KR1020150143486A 2015-10-14 2015-10-14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KR1016222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486A KR101622238B1 (ko) 2015-10-14 2015-10-14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3486A KR101622238B1 (ko) 2015-10-14 2015-10-14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238B1 true KR101622238B1 (ko) 2016-05-18

Family

ID=56113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3486A KR101622238B1 (ko) 2015-10-14 2015-10-14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238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661B1 (ko) 2016-06-27 2017-08-07 크린에어테크(주) 습식 전기 집진기
KR20180006021A (ko) 2016-07-08 2018-01-17 크린에어테크(주) 전기 집진장치
CN109252918A (zh) * 2018-09-30 2019-01-22 金涛 一种柴油机尾气颗粒物处理系统
KR20190055361A (ko) 2017-11-15 2019-05-23 김효수 습식 전기 집진기
KR102214470B1 (ko) * 2020-06-11 2021-02-10 청정테크주식회사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US11654386B2 (en) 2019-05-14 2023-05-23 Doosan Enerbility Co., Lt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44B1 (ko) 2006-05-18 2007-04-18 (주)삼원이앤비 습식 전기집진장치
KR101113780B1 (ko) 2011-09-02 2012-02-20 (주)중앙플랜트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KR101196245B1 (ko) 2010-05-31 2012-10-30 이은숙 습식 전기 집진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8544B1 (ko) 2006-05-18 2007-04-18 (주)삼원이앤비 습식 전기집진장치
KR101196245B1 (ko) 2010-05-31 2012-10-30 이은숙 습식 전기 집진기
KR101113780B1 (ko) 2011-09-02 2012-02-20 (주)중앙플랜트 습식 전기 집진장치용 연속 세정집진기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5661B1 (ko) 2016-06-27 2017-08-07 크린에어테크(주) 습식 전기 집진기
KR20180006021A (ko) 2016-07-08 2018-01-17 크린에어테크(주) 전기 집진장치
KR101863676B1 (ko) 2016-07-08 2018-06-01 크린에어테크(주) 전기 집진장치
KR20190055361A (ko) 2017-11-15 2019-05-23 김효수 습식 전기 집진기
CN109252918A (zh) * 2018-09-30 2019-01-22 金涛 一种柴油机尾气颗粒物处理系统
CN109252918B (zh) * 2018-09-30 2024-04-19 金涛 一种柴油机尾气颗粒物处理系统
US11654386B2 (en) 2019-05-14 2023-05-23 Doosan Enerbility Co., Ltd. Electrostatic precipita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same
KR102214470B1 (ko) * 2020-06-11 2021-02-10 청정테크주식회사 분무노즐을 이용해 집진판의 세척이 가능한 공기정화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2238B1 (ko) 집진판에 고흡수성수지가 도포된 습식 전기 집진기
KR100317798B1 (ko) 공기정화장치
KR101420508B1 (ko) 이온화 습식 전기집진장치
KR101601246B1 (ko) 공기 정화장치
KR101959628B1 (ko) 공기 청정을 위한 샤워필터
KR102095316B1 (ko) 세정장치를 구비한 2단 하전식 플라즈마 집진기
KR102017653B1 (ko) 습식 및 건식 혼합 전기집진기
CN106196280A (zh) 一种自净型空气净化器
KR101469509B1 (ko) 물을 활용한 공기 정화장치 및 정화방법
JP5040612B2 (ja) 空気浄化装置
KR101512648B1 (ko) 도장부스에서 배출된 페인트 입자상 및 가스상 오염물질용 건식 제거 장치
JP2007237101A (ja) 空気浄化装置及び塗装設備
KR101105306B1 (ko) 습식전기집진기의 집진판 균일수막 유지시스템
KR101864480B1 (ko) 폭발성 배기가스 입자의 정전 제거 장치
KR101436381B1 (ko) 세정이 가능한 전기 집진장치
KR102008880B1 (ko) 타이어 제조 공정의 복합 오염물질 처리 장치
KR101765661B1 (ko) 습식 전기 집진기
KR102032028B1 (ko) 습식 전기 집진기
KR101863676B1 (ko) 전기 집진장치
JPH11216387A (ja) 粉塵含有排ガスの処理方法
KR20200043780A (ko) 자가정화 기능을 가지는 기체 정화장치
KR20200006712A (ko) 미세분진과 악취 제거를 위한 선회유동형 복합 약액 세정 탈취기
KR102273453B1 (ko) 습식 집진 장치가 결합된 자동차용 도장 부스
KR102249174B1 (ko) 자갈 순환식 습식 전기 집진장치
KR102609738B1 (ko) 2중 흡착구조의 액상집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1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