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93809A -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 Google Patents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93809A
KR20100093809A KR1020090012905A KR20090012905A KR20100093809A KR 20100093809 A KR20100093809 A KR 20100093809A KR 1020090012905 A KR1020090012905 A KR 1020090012905A KR 20090012905 A KR20090012905 A KR 20090012905A KR 20100093809 A KR20100093809 A KR 201000938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bon fiber
fiber fabric
electrostatic precipitator
ion generato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64488B1 (ko
Inventor
김용진
한방우
김학준
홍원석
신완호
정상현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12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6448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8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8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644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644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Abstract

본 발명은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고,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동시에 다량의 산성가스가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처리가능한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코로나 방전보다 낮은 전압에서도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는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직물을 사용함으로써 오존을 발생을 억제하고,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동시에 산성가스에 내구성을 가지도록 이루어진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의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오염된 공기를 하전시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전압인가장치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탄소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이온발생기와; 상기 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하여 하전된 미세입자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띄는 집진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집진판 사이에 이온발생기가 설치되도록 구성되며,
또는, 본 발명의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오염된 공기를 하전시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전압인가장치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탄소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하전부와; 상기 하전부에서 후단부에 설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정전기력으로 집진하는 집진판이 설치된 전기 집진부을 포함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이온발생기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이온발생기는 큰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전처리용 필터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전기집진장치, 오존, 미세입자, 탄소섬유 직물

Description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Electric Dust Collector using carbon fiber woven fabrics}
본 발명은 오존의 발생을 억제하고, 소비전력을 저감하는 동시에 다량의 산성가스가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를 처리가능한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에 관한 것이다.
오염된 공기로부터 미세입자 등과 같은 유해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로 처리하는 다양한 장치가 있으며, 최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장치는 집진효율이 좋은 코로나 방전으로 오염된 공기 중에 있는 미세입자를 하전시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기가 널리 사용된다.
일반적인 전기집진기는 높은 고전압을 인가시켜 방전극과 접지극 사이에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으로 오염된 공기 중에 있는 입자(미세입자)를 하전시키고, 상기 극성을 가진 하전된 미세입자를 전기장 속으로 이동시켜 집진하는 것으로,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도 1과 같이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미세입자를 하 전시키는 방전극(1)과, 상기 방전극(1)과 대응되는 접지극(2)과, 상기 방전극(1)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발생장치(3)로 이루어진 하전부(A)와, 상기 하전부(A)에서 하전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다수개의 집진판(4)과 상기 집진판(4)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고전압발생장치(5)가 설치된 전기 집진부(B)로 구성되고, 상기 하전부의 전단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1차 처리하는 전처리용 필터와, 집진부의 후단에 설치되어 최종처리하는 후처리용 필터가 더 설치되기도 한다.
이러한 상기 전기집진기는 전처리용 필터에서 1차적으로 비교적 큰 미세입자를 처리하고, 전처리용 필터를 통과한 미세입자를 포함한 오염된 공기는 하전부의 고전압발생장치로부터 인가되는 전류에 의하여 방전극과 접지극 사이에 코로나 방전이 발생되고,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유입된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입자가 하전된다. 상기 하전된 미세입자는 집진부로 유입되고, 유입된 미세입자는 전기장에 의하여 집진판에 집진되고, 나머지는 후처리용 필터를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이러한 방전극과 상대 접지극 사이에 양극 또는 음극의 고전압을 인가하여 방전극 부분에서 코로나 방전을 생성하는 종래의 전기집진기는 집진효율이 좋은 장점이 있으나, 아래와 같은 다양한 단점을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전기집진기는 고전압에 의하여 발생하는 코로나 방전으로 공기(미세입자)를 이온화시킴으로써 첫째, 다량의 오존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둘째, 기타 유해가스 처리시 유해가스를 이온화 기키는 과정에서 NOx, SOx, 산성물질 또는 알데히드 등의 2차 오염물질을 발생시키는 단점이 있고, 셋째, 입자 포집 효율을 위해서는 방전극에 더욱더 큰 고전압을 인가시켜야 함으로써, 전압의 상승에 따라 전류 또한 상승하여 전력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고, 넷째, 코로나 발생을 위해서는 금속성의 방전극과 접지극이 필요한 단점이 있다. 즉, 상기 방전극과 접지극이 금속성임으로써 반도체 혹은 LCD 제조 등의 공정에서 나오는 강산성의 유해가스에 의하여 부식이 쉽게 이루어져 내구성에 많은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하여 전기집진장치를 사용하지 못하는 요인이 된다.
상기 첫째의 단점과 같이 코로나 방전에 의하여 발생하는 다량의 오존에 의하여 실내공간에 사용되지 못하여 그 활용범위가 넓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실내공간, 지하철 역사 등 실내의 공기를 정화시켜 실내로 유입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종래의 전기집진기를 사람이 많이 모이는 장소 등과 같은 곳에 설치하고자 할 경우에는 별도로 오존을 처리하는 후처리장치를 필수적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으며, 이로 인하여 제작 비용이 상상하는 단점이 있으며, 상기 후처리 장치에 사용되는 필터는 영구적이지 못해 주기적으로 교체하여야 함으로 유지보수에 대한 비용이 상승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기 위한 금속의 방전극과 이와 대응하는 금속의 접지극이 필수적으로 필요로 함으로써 강부식성을 가스를 배출하는 곳에서는 부식에 의하여 설치를 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과 같은 단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종래에 코로나 방전을 통하여 미세입자를 하전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방전극과 이에 대응하는 접지판에 인가되는 고전압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전압에서도 다량의 이온을 발생시켜 오염된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하전시키도록 하여 오존의 발생을 억제시키고, 소비전력을 줄이도록 이루어진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대유량의 오염된 공기를 처리할 수 있는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오염된 공기를 하전시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전압인가장치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탄소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이온발생기와; 상기 이온발생기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하여 하전된 미세입자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띄는 집진판으로 구성되되, 상기 집진판 사이에 이온발생기가 설치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집진판은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집진판 사이에는 이온발생기가 각각 설치하여 집진 효율과 처리 유량을 높일 수도 있다.
또는, 본 발명의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오염된 공기를 하전시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전압인가장치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탄소섬유 직물로 이루어진 이온발생기를 포함하는 하전부와; 상기 하전부에서 후단부에 설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정전기력으로 집진하는 집진판이 설치된 전기 집진부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온발생기는 수직으로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상기 이온발생기는 큰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전처리용 필터 역할을 할 수도 있다.
상기 하전부의 이온발생기는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의 이동방향과 수평으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집진부의 집진판은 오염된 공기의 이동방향과 수평으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이온발생기의 탄소섬유 직물을 통과하도록 공기 공급수단이 설치되며, 상기 공기 공급수단에 사용되는 공기는 외부공기 또는 전기집진기에서 처리되어 배출되는 배출공기를 이용한다.
상기 집진부의 집진판은 강산성의 가스를 포함하는 오염된 가스를 처리할 경우에는 보통 내측에 금속판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 외측에 비금속재질 층이 형성된 것을 사용하며, 또는 탄소강화 플라스틱, 정전필터 등 다양한 재질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오염된 공기 중에 강한 산성의 가스를 함유하지 않은 경우에는 보통의 금속판을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직물 형태의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이온발생기를 사용함으로써 종래의 전기집진기보다 낮은 전압에서도 다량의 이온을 발생시켜 오염공기 중에 있는 미세입자를 하전시켜 오존의 발생을 방지하고, 소비전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이 오존의 발생이 제거됨으로써 지하철역사, 실내공간 등과 같은 사람이 있는 장소에서도 오존을 처리하는 특별한 추가장치 없이도 설치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오염된 공기를 직물 형태의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이온발생기를 통과시킴으로써 오염된 공기 중에 있는 미세입자의 하전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이온발생기는 커다란 미세입자를 처리하는 전처리용 필터역할을 수행 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탄소섬유 직물은 종래에 코로나 방전시 금속성의 방전극과 이에 대응하는 금속성의 접지극이 필요하지 않음으로써 강한 산성의 유해가스를 포함하는 곳에서도 사용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탄소섬유 직물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수단이 설치됨으로써 탄소섬유 직물의 오염으로 이온발생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 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의 개략도로써, 본 발명인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크게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11)와, 상기 이온발생기(11)에 고전압(전류)를 인가하는 전압인가장치(13)와, 상기 이온발생기(11)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하여 하전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집진판(21)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온발생기(11)는 전압인가장치(13)로부터 고전압(전류)를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도 3과 같이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탄소섬유 직물(12)와, 상기 탄소섬유 직물(12)을 고정하는 프레임(12a)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압인가장치(13)는 이온발생기(11)에 고전압(전류)을 인가하여 이온발생기(11)로부터 이온을 발생시키는 것으로, 상기 이온발생기(11)에 인가되는 전류의 종류에 따라 양이온 또는 음이온이 발생된다.
상기 집진판(21)은 이온발생기(11)로부터 발생된 이온에 의하여 하전된 오염된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것으로, 상기 전압인가장치(13)의 접지극과 연결되어 하전된 미세입자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띄도록 한다.
도 4와 도 5는 도 2에 나타난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의 측면도로써, 도 4는 전기집진기의 몸체가 사각형일 때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전기집진기의 몸체가 원형일 때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전기집진기의 몸체 단면은 보통 사각형, 원형으로 형성되며, 그 외에 형태도 가능하다.
도 6과 같이 전기집진기의 몸체 내측에 이격되게 다수개의 집진판(21)을 형성하고, 상기 집진판(21)의 사이에 이온발생기(11)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몸체 내측에 다수개의 집진판(21)을 설치하고, 각각의 사이에 이온발생기(11)를 설치함으로써 집진 효율을 높이고, 대유량의 오염된 공기를 처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집진판(21)은 보통 금속판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산성가스로부터 부식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11과 같이 내측에 금속판(21a)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21a) 외측에 비금속재질 층(21b)이 형성된 판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12와 같이 표면에 전하를 띠는 Electret(정전)필터 판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13과 같이 플라스틱판(21c)에 전도성 물질(21d)을 코팅한 판으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내부식성의 탄소강화 플라스틱(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사용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유입구로 오염된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오염된 공기는 전압인가장치(13)에서 인가되는 고전압(전류)에 의하여 탄소섬유 직물(12)로 이루어진 이온발생기(11)에서 발생되는 이온에 의하여 오염된 공기 중의 미세입자가 하전되고, 하전된 미세입자는 하전된 미세입자와 반대 극성을 띄는 집진판(21) 집진되고, 미세입자가 처리된 청정공기가 배출된다.
이와 같이 집진판(21)의 내측에 이온발생기(11)가 설치됨으로써 전기집진기의 부피를 줄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크게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11)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하전시키는 하전부(10)와, 상기 하전부(10)의 후단에 배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집진판(21)이 설치된 집진부(20)로 구성된다.
상기 하전부(10)는 도 7과 같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 중에 있는 미세입자를 하전시키는 것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11)와, 상기 이온발생기(11)에 고전압(전류)을 인가하는 전압인가장치(13)로 구성되고,
상기 이온발생기(11)는 도 3과 같이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탄소섬유 직물(12)와, 상기 탄소섬유 직물(12)을 고정하는 프레임(12a)으로 구성되어, 전압인가장치(13)로부터 고전압(전류)을 인가받아 다량의 이온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온발생기(11)는 도 7과 도 8과 같이 도면상 수직으로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이온발생기(11)의 탄소섬유 직물(12)을 통과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오염된 공기가 탄소섬유 직물(12)을 통과함으로써 탄소섬유 직물(12)로부터 발생되는 이온에 의하여 오염된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미세입자의 하전 효율이 상승되는 효과가 있으며, 이로 인하여 미세입자의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오염된 공기가 탄소섬유 직물(12)을 관통함으로써 비교적 큰 미세입자를 제거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상기 이온발생기(11)는 비교적 큰 미세입자를 처리하는 전처리용 필터를 겸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효과를 증대시키기 위하여 상기 이온발생기(11)는 2개 이상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오염된 공기가 2개 이상의 이온발생기(11)를 통과시킴으로써 미세입자의 하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아울러 2개 이상의 이온발생기(11)가 설치될 경우 탄소섬유 직물(12)의 공극(오염된 공기가 통과하는 구멍)의 간격이 서로 다른 것을 설치할 수 있다. 즉, 전단부에 설치되는 제1 이온발생기에 설치된 탄소섬유 직물(12)의 공극을 가장 크게 하고, 후단부로 갈수록 점점 탄소섬유 직물(12) 공극의 크기가 작은 것을 설치한다.
상기 집진부(20)는 도 7과 같이 다수개의 집진판(21)이 이격되게 설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한다.
상기 다수개의 집진판(21)은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전류)에 의하여 집진 판(21) 사이에 정전기력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전기력이 형성된 집진판(21) 사이에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함하는 오염된 공기가 통과하게 되면, 하전된 미세입자는 정전기력에 의하여 집진판(21)에 집진되게 되고, 미세입자가 제거된 청정공기가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상기 집진판(21)은 도 11과 같이 강한 산성가스에도 부식이 되지 않도록 내측에 금속판(21a)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21a) 외측에 비금속재질 층(21b)으로 이루어진다. 또는 도 12와 같이 내부식성의 CFRP(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재질의 판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크게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11)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하전시키는 하전부(10)와, 상기 하전부(10)의 후단에 배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집진판(21)이 설치된 집진부(20)로 구성된다.
상기 하전부(10)는 도 9와 같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 중에 있는 미세입자를 하전시키는 것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11)와, 상기 이온발생기(11)에 고전압(전류)을 인가하는 전압인가장치(13)로 구성되고,
상기 이온발생기(11)는 도 3과 같이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탄소섬유 직물(12)와, 상기 탄소섬유 직물(12)을 고정하는 프레임(12a)으로 구성되어, 전압인가장치(13)로부터 고전압(전류)을 인가받아 다량의 이온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온발생기(11)는 도 9와 같이 하전부(10)에 오염된 공기의 이동방향인 도면상 수평으로 설치되되, 하나 또는 2개 이상이 이격되게 설치된다. 이온발생기(11)의 수량은 오염된 공기의 유량, 농도 등에 따라 규정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의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는 크게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11)가 설치되어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 중의 미세입자를 하전시키는 하전부(10)와, 상기 하전부(10)의 후단에 배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집진판(21)이 설치된 집진부(20)로 구성된다.
상기 하전부(10)는 도 10과 같이 유입구를 통하여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 중에 있는 미세입자를 하전시키는 것으로,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11)와, 상기 이온발생기(11)에 고전압(전류)을 인가하는 전압인가장치(13)와, 이온발생기(11)에 공기를 공급하는 공기 공급수단(미도시)로 구성되고,
상기 이온발생기(11)는 도 3과 같이 탄소섬유로 이루어진 탄소섬유 직물(12)와, 상기 탄소섬유 직물(12)을 고정하는 프레임(12a)으로 구성되어, 전압인가장치(13)로부터 고전압(전류)을 인가받아 다량의 이온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러한 이온발생기(11)는 도 10과 같이 하전부(10)의 공기 공급구(15)가 형성된 몸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공급구(15)는 공기 공급수단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받는다.
상기 공기 공급수단은 공기를 이동시키는 것으로 보통 공기를 이동시키는 이 동관과, 이동관으로 공기가 이동하도록 하는 브로워로 구성된다.
상기 공기 공급수단으로 공급되는 공기는 깨끗한 공기를 사용하며, 보통 외부 공기 또는 전기집진기로부터 처리되어 배출되는 배출공기를 사용한다.
상기 배출공기를 이용할 경우에는 전기집진기의 배출구에 공기 이동관의 유입구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공기를 공기 공급구(15)에 공급한다.
이와 같이 공기 공급수단에 의하여 공급되는 공기가 공기 공급구(15)로 이온발생기(11)의 탄소섬유 직물(12)을 관통하여 공급됨으로써 미세입자에 의하여 탄소섬유 직물(12)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미세입자가 탄소섬유 직물(12)에 붙어 있을 경우 이온의 발생이 저하되어 집진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공기 공급구(15)로 공급되는 공기에 의하여 탄소섬유 직물(12)에서 발생된 이온이 골고루 분포됨으로써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공기 공급수단은 공기를 공급하는 형식에 따라 보호용과 재생용으로 구별된다. 즉, 보호용인 경우에는 연속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오염된 공기가 이온발생기(11)와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여 탄소섬유 직물(12)에 미세입자가 붙는 것을 방지하고, 재생용인 경우에는 간헐적으로 공기를 공급하여 탄소섬유 직물(12)에 붙어 있는 미세입자를 제거한다.
도 1은 종래의 전기집진기에 대한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에 대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에 사용되는 이온발생기에 대한 사시도.
도 4와 도 5는 도 2에 나타낸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의 하전부에 대한 측면개략도.
도 6은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의 측면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에 대한 개략도.
도 8은 도 7에 나타난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의 하전부에 대한 측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에 대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에 대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집진판에 대한 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집진판에 대한 개략도.
도 13은 본 발명의 집진판에 대한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하전부 11 : 이온 발생기
12 : 탄소섬유 직물 12a : 프레임
13 : 전압인가장치 15 : 공기 공급구
20 : 집진부 21 : 집진판

Claims (13)

  1. 오염된 공기를 하전시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전압인가장치(13)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탄소섬유 직물(12)로 이루어진 이온발생기(11)와;
    상기 이온발생기(11)에서 발생된 이온에 의하여 하전된 미세입자의 극성과 반대 극성을 띄는 집진판(21)으로 구성되되,
    상기 집진판(21) 사이에 이온발생기(11)가 설치됨을 포함하는 것으로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21)은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집진판(21) 사이에는 이온발생기(11)가 각각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3. 오염된 공기를 하전시켜 미세입자를 집진하는 전기집진기에 있어서,
    전압인가장치(13)로부터 고전압을 인가받아 이온을 발생시키는 탄소섬유 직물(12)로 이루어진 이온발생기(11)로 형성된 하전부(10)와;
    상기 하전부(10)에서 후단부에 설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정전기력으로 집진하는 집진판(21)이 설치된 전기 집진부(2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 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1)는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가 통과하도록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1)는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의 이동방향과 수직방향으로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6. 제 4항 또는 5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1)는 2개 이상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7.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부(10)의 이온발생기(11)는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의 이동방향과 수평으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되고,
    상기 집진부(20)의 집진판(21)은 오염된 공기의 이동방향과 수평으로 이격되게 다수개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8.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11)의 탄소섬유 직물(12)을 공기가 통과하도록 공기 공급수단이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는 연속적으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10.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는 간헐적으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11. 제 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21)은 내측에 금속판(21a)이 형성되고, 상기 금속판(21a) 외측에 비금속재질 층(21b)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12. 제 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21)은 내측에 금속판(21a)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판(21)은 표면에 전하를 띠는 정전필터 판 또는 탄소강화 플라스틱 판으로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 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13. 제 1항 내지 제3항 또는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판(21)은 내측에 금속판(21a)이 형성되고, 상기 집진판(21)은 플라스틱판에 전도성 물질이 코팅되어 형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20090012905A 2009-02-17 2009-02-17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0644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905A KR101064488B1 (ko) 2009-02-17 2009-02-17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905A KR101064488B1 (ko) 2009-02-17 2009-02-17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018A Division KR101064487B1 (ko) 2011-04-07 2011-04-07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809A true KR20100093809A (ko) 2010-08-26
KR101064488B1 KR101064488B1 (ko) 2011-09-14

Family

ID=4275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905A KR101064488B1 (ko) 2009-02-17 2009-02-17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6448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6776A (zh) * 2019-10-22 2021-04-23 绍兴正澳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微积电蓄热式换热净化模块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99091B2 (en) 2016-01-08 2019-09-03 Korea Institute Of Machinery & Materials Electrostatic precipitation device for removing particles in explosive gases
KR101973018B1 (ko) * 2016-11-29 2019-04-26 한국기계연구원 폭발성 배기가스 입자의 정전 제거 장치
KR102027975B1 (ko) * 2017-09-04 2019-10-02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정전 탄소필터, 정전 탄소필터를 이용한 먼지 집진 장치 및 먼지 집진 방법
KR102497631B1 (ko) * 2020-05-06 2023-02-08 이앤엠 주식회사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 창호
KR102232586B1 (ko) 2020-09-02 2021-03-26 케이씨코트렐 주식회사 지하철 미세먼지 저감을 위한 에너지절약형 오존프리 전기집진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42549A (ja) * 1992-11-12 1994-05-24 Hideo Yoshikawa 電気集塵装置
JP3393270B2 (ja) * 1994-10-17 2003-04-07 増田 佳子 コロナ放電ユニット
JP4244022B2 (ja) * 2004-04-28 2009-03-25 日新電機株式会社 ガス処理装置
KR100859840B1 (ko) * 2007-05-14 2008-09-23 한국기계연구원 토출구측에 이온발생기가 장착된 전기집진방식의공기정화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696776A (zh) * 2019-10-22 2021-04-23 绍兴正澳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微积电蓄热式换热净化模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64488B1 (ko) 201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9281B1 (ko) 오존발생 저감용 전기집진장치
KR101032617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453499B1 (ko) 에지 코팅형 집진판이 구비된 탄소섬유를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373720B1 (ko) 활성탄 섬유필터를 이용하는 전기집진기
KR101112002B1 (ko) 집진 시스템
KR101064488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032614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2단 전기집진기
KR100937944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925848B1 (ko) 음이온화 및 양이온화를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장치
KR101064487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032618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전기집진기
KR101064486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032613B1 (ko) 탄소섬유를 이용한 1단 전기집진기
CN106051918B (zh) 等离子空气净化装置
KR101221962B1 (ko)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전기집진 시스템
KR101032612B1 (ko)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공기정화장치
KR101925846B1 (ko) 선분 전기장을 이용한 미세먼지 제거 장치
JP2008006371A (ja) 集塵装置
KR20120008138A (ko) 재생시 신뢰성을 향상시킨 전기집진방식의 공기정화장치
TW201636103A (zh) 靜電集塵器結構
CN107413132B (zh) 一种基于金属泡沫的空气过滤装置
KR101569629B1 (ko) 공기정화장치
KR101331611B1 (ko) 집진판 교체가 용이한 전기집진장치
KR101549600B1 (ko) 유해나노입자 제거장치
KR100989875B1 (ko) 외부 이온 분무장치 결합방식의 전기집진식 공기정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