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7631B1 -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 창호 - Google Patents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 창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7631B1
KR102497631B1 KR1020200053669A KR20200053669A KR102497631B1 KR 102497631 B1 KR102497631 B1 KR 102497631B1 KR 1020200053669 A KR1020200053669 A KR 1020200053669A KR 20200053669 A KR20200053669 A KR 20200053669A KR 102497631 B1 KR102497631 B1 KR 102497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dow
dust
frame
dust collection
conducti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36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35701A (ko
Inventor
차동순
Original Assignee
이앤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앤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앤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536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7631B1/ko
Publication of KR20210135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57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7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7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7/00Special arrangements or measures in connection with doors or windows
    • E06B7/28Other arrangements on doors or windows, e.g. door-plates, windows adapted to carry plants, hooks for window clea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38Particle charging or ionising stations, e.g. using electric discharge, radioactive radiation or flam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2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insects, e.g. fly screens; Mesh windows for other purposes

Abstract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입자를 집진할 수 있는 집진 창호가 제공됩니다. 이 집진 창호는,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 프레임 내에 서로 대향하며 이격되게 설치된 고정창 및 집진창; 및 고정창 및 집진창 사이에 배치되고 메쉬 구조를 가지는 대전부를 포함합니다. 여기서, 집진창은 유리판 및 그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필름으로 구성되며, 집진창과 대전부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대전부의 메쉬 구조를 통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킵니다.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된 먼지입자는 집진창을 향해 이동하게 됩니다.

Description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 창호{Dust precipitation window collecting dust particles with ventilation}
본 발명은 창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하전시켜 집진하는 집진 창호에 관한 것이다.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건물에 달린 창 또는 문을 통칭하는 용어이다. 창호는 채광, 환기, 통풍 등을 목적으로 건물 격벽에 설치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최근 들어 각종 언론을 통해 미세먼지의 피해가 사회적 문제로 제기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먼지는 대기 중에 떠다니거나 흩날려 내려오는 입자상 물질을 말하는데, 석탄, 석유 등의 화석연료를 태울 때나 공장, 자동차 등의 배출가스에서 많이 발생한다. 먼지 중 입자 크기가 10um보다 작은 것을 미세먼지라 하고, 2.5um보다 작은 것을 초미세먼지라 한다. 이러한 미세먼지 또는 초미세먼지는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대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할 경우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에 대한 우려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는 환기를 하지 않고 창문을 걸어 잠그고 실내 생활을 하고 있다. 헌데, 환기를 하지 않고 실내에서 요리, 청소 등을 할 경우,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실외 미세먼지 농도보다 훨씬 높아져 오히려 호흡기 건강에 더 나쁜 결과를 초래한다. 이를 방지하고자 창문을 열어 환기를 하더라도 외부 미세먼지가 실내로 유입되어 다시 실내 공기가 오염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실내 공기를 환기시킬 때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먼지입자를 집진할 수 있는 집진 창호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창호는,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하전시켜 집진하는 집진 창호로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서로 대향하며 이격되게 설치된 고정창 및 집진창; 및 상기 고정창 및 상기 집진창 사이에 배치되고 메쉬 구조를 가지는 대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창은 공기의 유입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창은 공기의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상기 프레임의 수평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집진창은 유리판 및 상기 대전부를 향한 상기 유리판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집진창과 상기 대전부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전원부는 상기 대전부의 메쉬 구조를 통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킬 수 있다.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입자는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되고 상기 집진창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고정창과 상기 집진창 사이에는 상기 대전부에 의해 판상형 방전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쉬 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와이어의 둘레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와이어 사이에는 자기장이 상쇄되어 전기풍이 생성되고, 하전된 상기 먼지입자는 상기 전기풍에 의해 상기 공기 유로와 수직방향으로 상기 집진창을 향해 가속될 수 있다.
상기 유입구에 중첩하여 설치된 방충망; 및 상기 배출구에 중첩하여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환기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의 상단에 설치된 걸이봉; 및 상기 전도성 필름의 하단을 감아서 보관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도성 필름의 상단을 감아서 보관하는 상부 수납부; 상기 전도성 필름을 하단을 감아서 보관하는 하부 수납부; 상기 전도성 필름의 일면에 설치된 와이퍼; 및 상기 전도성 필름의 일면을 향해 세정액을 공급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구체적인 내용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집진 창호는 다음과 같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첫째, 실외 미세먼지가 심한 날에 요리, 청소 등으로 실내 미세먼지 농도가 증가할 경우, 본 발명의 창호를 개방하여 환기를 하면 실내 미세먼지는 외부로 배출되고 외부 공기에서 먼지입자는 집진되어 제거되고 남은 신선한 공기만 실내로 유입시킬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집진 창호는 집진효율을 높을 수 있는 구조를 가진다. 즉, 프레임 내에 고정창 및 집진창이 서로 이격된 상태로 엇갈리게 설치되어 있어서 자연스럽게 프레임의 수평방향으로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또한 고정창과 집진창 사이, 특히 집진창과 중첩하도록 대전부를 배치함으로써 고정창과 집진창 사이에는 공기 유로와 나란한 <판상형 방전 영역>이 형성된다. 대전부의 메쉬 구조를 이루어진 와이어 사이에 집진창을 향한 <전기풍>이 형성된다. 따라서 유입구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공기 유로를 따라 배출구로 배출되는 동안 판상형 방전 영역을 연속적으로 지나가게 되고, 그 동안 대전된 먼지입자는 전기풍에 의해 집진창으로 가속되어 포집될 수 있다. 특히 집진 창호에 유입된 공기가 배출될 때까지 전구간에 걸쳐 연속적으로 대전 및 집진이 일어나기 때문에 대전입자가 다시 중성화되어 재비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셋째, 집진창을 구성하는 전도성 필름의 상단에 걸이봉을 설치하여 외부 고정대에 고정하고 전도성 필름의 하단에 권취 가능한 수납부를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도성 필름에 포집된 분진을 편리하게 세정할 수 있다. 즉, 걸이봉을 외부 고정대에서 분리한 후 수납부에 전도성 필름을 감아서 넣은 후 수납부 자체를 집진 창호에 분리하여 실내로 옮긴 후 수작업으로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넷째, 전도성 필름의 상단에 권취 가능한 상부 수납부를 설치하고, 전도성 필름의 하단에도 권취 가능한 하부 수납부를 설치하고, 전도성 필름의 일면에 와이퍼 및 세정액의 분사노즐을 설치하는 경우, 사용자는 전도성 필름에 포집된 분진을 자동으로 세정할 수 있다. 즉, 구동부에 의해 상부 수납부 또는 하부 수납부를 구동시켜 전도성 필름을 권취하는 동안, 와이퍼와 분사노즐의 세정액을 통해 자동으로 전도성 필름에 포집된 분진을 세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창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집진 창호의 수평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집진 창호의 집진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P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집진창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창호가 설치된 건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집진 창호는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건물에 달친 창 또는 문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창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창호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집진 창호의 수평방향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집진 창호의 집진 과정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P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집진 창호(100)는 환기 시에 오염된 유입 공기 중 먼지입자를 대전시켜 포집하는 장치로서, 프레임(10), 고정창(30), 집진창(50), 대전부(40), 방충망(20), 환기창(60) 및 전원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프레임(10)은 전체적으로 사각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건물의 창틀, 문틀 등에 적용된다.
고정창(30)은 프레임(10) 내 실외 방향에 설치되며, 유리창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창(30)은 공기(70)의 유입구(A)를 형성하도록 프레임(10)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고정창(30)이 프레임(10) 내 일측에 설치되면 고정창(30)과 프레임(10)의 크기 차이에 의해 프레임(10)의 타측에는 유입구(A)가 형성된다.
방충망(20)은 고정창(30)의 외측에서 유입구(A)를 덮도록 유입구(A)에 중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방충망(20)은 작은 곤충 등이 실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망으로서 전도성, 비전도성 등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집진창(50)은 프레임(10) 내에 실내 방향에 설치되며, 고정창(30)과는 서로 대향하며 이격되게 배치된다. 집진창(50)은 공기(70)의 배출구(C)를 형성하도록 프레임(10)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집진창(50)이 프레임(10) 내 타측에 설치되면 집진창(50)과 프레임(10)의 크기 차이에 의해 프레임(10)의 일측에는 배출구(C)가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실외로부터 유입구(A)를 통해 유입된 공기(70)는 고정창(30)과 집진창(50) 간의 이격 공간을 거쳐 배출구(C)를 통해 실내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유입구(A) 및 배출구(C)의 구조에 의해 프레임(10)의 수평방향으로 공기 유로가 형성된다.
집진창(5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유리판(52) 및 그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필름(54)을 포함한다. 전도성 필름(54)은 대전부(40)를 향한 유리판(52)의 일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필름(54)은 정전기력에 의해 대전입자를 끌어들이도록 도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필름(54)은 투명 전도성 물질인 ITO(Indium Tin Oxide)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도성 필름(54)은 증착, 코팅 등의 방법으로 유리판(52) 위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러한 제조 방법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도성 필름(54)은 별도의 필름으로 제작되어 유리판(52)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대전부(40)는 고정창(30) 및 집진창(50) 사이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집진창(50)과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집진창(50)에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대전부(40)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대전부(40)는 제1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와, 이들과 교차하도록 제2 방향으로 배열된 복수의 와이어로 이루어진 메쉬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대전부(40)의 와이어에 전압이 인가되면 얇은 와이어 구조에 의해 주변에 코로나 방전이 일어난다.
대전부(40)를 이루는 메쉬의 크기, 또는 이웃하는 와이어 사이의 간격은 5 내지 100m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70mm인 것이 좋다. 메쉬 크기 또는 와이어 간격이 5mm 보다 작은 경우 와이어 간격이 너무 좁아서 코로나 방전이 일어나지 않으며, 100mm 보다 큰 경우 코로나 방전은 일어나지만 전기풍을 유도하기 어려워 집진 효율이 떨어진다.
대전부(40) 또는 대전부(40)의 와이어는 부식되지 않는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텅스텐, 알루미늄,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전부(40)는 전체적으로 사각형 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방전효율 및 집진효율을 높이기 위해 집진창(50)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크기 또는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전원부(미도시)는 대전부(40)와 집진창(50) 또는 대전부(40)와 전도성 필름(54)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여, 대전부(40)의 메쉬 구조, 즉 와이어를 통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집진창(50)은 접지되고, 대전부(40)에는 전압(V)이 인가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코로나 방전을 일으킬 수 있는 전위차가 집진창(50)과 대전부(40) 사이에 유지된다면 각 전극은 임의의 극성을 가질 수 있다.
환기창(60)은 집진창(50)의 내측에서 배출구(C)를 덮도록 배출구(C)에 중첩하여 설치될 수 있다. 환기창(60)은 개폐가능한 구조를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환기창(60)이 열리면 외부 공기(70)가 실내로 유입되면서 집진 및 환기 작용이 일어난다. 환기창(60)이 닫히면 외부 공기(70)의 실내 유입을 완전히 차단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집진 창호에 의한 <판상형 방전 영역>에 대해 설명한다.
전원부가 집진창(50)과 대전부(40)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면 대전부(40)의 얇은 와이어 주변에 코로나 방전 영역(B)이 형성된다. 공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70) 내에 포함된 먼지입자(72)는 코로나 방전 영역(B)을 통과하면서 하전된 후 정전기력에 의해 집진창(50)으로 이동하여 포집된다. 코로나 방전 영역(B)은 대전부(40)에 의해 형성되므로, 고정창(30)과 집진창(50) 사이에는 대전부(40)의 형상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판상형 방전 영역이 형성된다. 유입구(A)로 유입된 공기(70)는 배출구(C)로 빠져나갈 때까지 연속적으로 판상형 방전 영역(B)을 거치게 되므로, 대전된 먼지입자(72)가 집진창(50)으로 이동하는 과정에 중성화가 발생하더라도 다시 판상형 방전 영역(B)에 의해 대전되기 때문에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집진 창호에 의한 전기풍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전기가 흐르는 도체 주변에는 자기장이 형성되는데, 마찬가지로 대전부(40)의 복수의 와이어의 둘레에 일정한 방향으로 자기장(42)이 형성된다. 대전부(40)는 복수의 와이어가 나란히 배열된 메쉬 구조를 가지므로, 서로 이웃하는 와이어 사이에는 자기장(42)이 서로 상쇄되어 전기풍이 생성된다. 전기풍은 코로나 방전이 일어날 때 근방의 공기가 배척되고 다른 공기가 밀려 들어오는 현상이 거듭됨으로써 일어나는 바람을 말하는데, 전자기파의 간섭현상에 증폭될 수 있다. 이러한 전기풍은 하전된 먼지입자(72)를 공기 유로와 수직방향으로 집진창(50)을 향해 가속시켜서 집진 효율을 높이는 역할을 한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창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집진창의 측면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전 실시예의 도면(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집진 창호는 집진창(150)을 제외하고는 이전 실시예의 집진 창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집진창(150)은 유리판(52), 전도성 필름(54), 걸이봉(152) 및 수납부(154)를 포함한다.
전도성 필름(54)의 상단에 설치된 걸이봉(152)이 외부 고정대(미도시)에 결합되면, 전도성 필름(54)을 위로 들어 올려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전도성 필름(54)의 하단에는 전도성 필름(54)을 감아서 보관하는, 즉 권취가능한 수납부(154)가 설치된다.
전도성 필름(54)의 세정이 필요한 경우, 걸이봉(152)을 외부 고정대에서 분리한 후 수납부(154)에 전도성 필름(54)을 감아서 넣은 후 수납부(154) 자체를 집진 창호에서 분리하여 세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창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집진창의 분해 사시도이다. 설명의 편의상, 이전 실시예의 도면(도 1 내지 도 4)에서 나타낸 각 부재와 동일 기능을 갖는 부재는 동일 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은 생략하며, 이하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집진 창호는 집진창(250)을 제외하고는 이전 실시예의 집진 창호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다.
집진창(250)은 유리판(52), 전도성 필름(54), 상부 수납부(252), 하부 수납부(254), 와이퍼(260) 및 분사노즐(270)을 포함한다.
전도성 필름(54)의 상단 및 하단에는 전도성 필름(54)을 감아서 보관하는, 즉 권취가능한 상부 수납부(252) 및 하부 수납부(254)가 설치된다. 와이퍼(260)는 전도성 필름(54)의 일면에 설치되고, 분사노즐(270)은 전도성 필름(54)의 일면을 향해 세정액을 공급한다.
전도성 필름(54)의 세정이 필요한 경우, 구동부(미도시)에 의해 상부 수납부(252) 및 하부 수납부(254)를 구동시켜 전도성 필름(54)을 권취하는 동안, 와이퍼(260)와 분사노즐(270)의 세정액을 통해 자동으로 전도성 필름(54)에 포집된 분진을 세정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집진 창호가 설치된 건물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 창호(100)는 건물의 격벽(1)에 설치된 기존 창호(2, 3)를 대체하거나 이들과 함께 설치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A: 유입구
B: 코로나 방전 영역
C: 배출구
1: 격벽
2, 3: 기존 창호
10: 프레임
20: 방충망
30: 고정창
40: 대전부
42: 자기장
50, 150, 250: 집진창
52: 유리판
54: 전도성 필름
60: 환기창
70: 공기
72: 먼지입자
100: 집진 창호
152: 걸이봉
154: 수납부
252: 상부 수납부
254: 하부 수납부
260: 와이퍼
270: 분사노즐

Claims (6)

  1.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하전시켜 집진하는 집진 창호로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서로 대향하며 이격되게 설치된 고정창 및 집진창; 및 상기 고정창 및 상기 집진창 사이에 배치되고 메쉬 구조를 가지는 대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창은 공기의 유입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는 상기 프레임의 타측에 형성되고, 상기 집진창은 공기의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프레임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유입구와 상기 배출구를 연결하는 공기 유로가 상기 고정창과 상기 집진창 간의 이격 공간 내에 상기 프레임의 수평방향으로 상기 집진창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상기 집진창은 유리판 및 상기 대전부를 향한 상기 유리판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창과 상기 대전부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전원부는 상기 대전부의 메쉬 구조를 통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고,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입자는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되고 상기 집진창을 향해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창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창과 상기 집진창 사이에는 상기 대전부에 의해 판상형 방전 영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창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쉬 구조를 이루는 복수의 와이어의 둘레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서로 이웃하는 상기 와이어 사이에는 자기장이 상쇄되어 전기풍이 생성되고, 하전된 상기 먼지입자는 상기 전기풍에 의해 상기 공기 유로와 수직방향으로 상기 집진창을 향해 가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 창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에 중첩하여 설치된 방충망; 및 상기 배출구에 중첩하여 설치되며 개폐가능한 환기창을 더 포함하는 집진 창호.
  5.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하전시켜 집진하는 집진 창호로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서로 대향하며 이격되게 설치된 고정창 및 집진창; 및 상기 고정창 및 상기 집진창 사이에 배치되고 메쉬 구조를 가지는 대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창은 공기의 유입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창은 공기의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상기 프레임의 수평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집진창은 유리판 및 상기 대전부를 향한 상기 유리판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창과 상기 대전부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전원부는 상기 대전부의 메쉬 구조를 통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고,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입자는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되고 상기 집진창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전도성 필름의 상단에 설치된 걸이봉; 및 상기 전도성 필름의 하단을 감아서 보관하는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집진 창호.
  6.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하전시켜 집진하는 집진 창호로서,
    사각틀 형상의 프레임; 상기 프레임 내에 서로 대향하며 이격되게 설치된 고정창 및 집진창; 및 상기 고정창 및 상기 집진창 사이에 배치되고 메쉬 구조를 가지는 대전부를 포함하되,
    상기 고정창은 공기의 유입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집진창은 공기의 배출구를 형성하도록 상기 프레임 내 타측에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 및 상기 배출구는 상기 프레임의 수평방향으로 공기 유로를 형성하고,
    상기 집진창은 유리판 및 상기 대전부를 향한 상기 유리판의 일면에 형성된 전도성 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집진창과 상기 대전부 사이에 전위차를 형성하는 전원부는 상기 대전부의 메쉬 구조를 통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고,
    상기 공기 유로를 따라 흐르는 공기 내에 포함된 먼지입자는 상기 코로나 방전에 의해 하전되고 상기 집진창을 향해 이동하고,
    상기 전도성 필름의 상단을 감아서 보관하는 상부 수납부; 상기 전도성 필름을 하단을 감아서 보관하는 하부 수납부; 상기 전도성 필름의 일면에 설치된 와이퍼; 및 상기 전도성 필름의 일면을 향해 세정액을 공급하는 분사노즐을 더 포함하는 집진 창호.
KR1020200053669A 2020-05-06 2020-05-06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 창호 KR102497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69A KR102497631B1 (ko) 2020-05-06 2020-05-06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 창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3669A KR102497631B1 (ko) 2020-05-06 2020-05-06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 창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01A KR20210135701A (ko) 2021-11-16
KR102497631B1 true KR102497631B1 (ko) 2023-02-08

Family

ID=7871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3669A KR102497631B1 (ko) 2020-05-06 2020-05-06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 창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76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488B1 (ko) * 2009-02-17 2011-09-14 한국기계연구원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36453A (ja) * 1984-12-05 1986-06-24 Nippon Soken Inc イオン風発生器
KR20170019681A (ko) * 2015-08-12 2017-02-22 이규환 창호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64488B1 (ko) * 2009-02-17 2011-09-14 한국기계연구원 탄소섬유 직물을 이용한 전기집진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5701A (ko) 2021-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9738C (en) Air-cleaning apparatus
EP1169131B1 (en) Air cleaning device
US7608135B2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modular electrically stimulated air filter apparatus
CN102164677B (zh) 用于提高空气净化效率的设备、系统和方法
JP2008018340A (ja) 浮遊物捕捉装置および浮遊物反発装置
CN211183019U (zh) 一种具备防尘自清洁功能的配电柜
US20180015482A1 (en) Electrostatic air filter design and assembly
US7959718B2 (en) Flotage trapping device and flotage repelling device
JP2017023894A (ja) 空気清浄器
KR20180043561A (ko) 정전기 에어필터
KR102497631B1 (ko) 환기 시에 먼지입자를 집진하는 집진 창호
JP2014024017A (ja) 空気処理装置
KR101793387B1 (ko) 섬모층을 구비하는 기체정화용 섬모체와 이를 포함하는 기체정화장치
KR101342101B1 (ko) 전기 집진기
EP0784510A1 (en) Two-step air filter having effective ionisation
CN208261000U (zh) 静电除尘器
KR102522051B1 (ko) 창문형 공기 청정 장치
WO2010085253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with modular electrically stimulated air filter apparatus
JP6788881B2 (ja) 空気浄化機
Silva et al. Development of a low-pressure loss PM2. 5 filter for building natural ventilation
CN215647905U (zh) 一种基站新风装置及风阀
US20230405603A1 (en) Spark tolerant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125576B1 (ko) 양방향 유로특성을 갖는 개방형 전기 집진방식의 공기정화장치 및 이의 설치구조
US20220331815A1 (en) Electrostatic filter unit for an air cleaning device and air cleaning device
CN208205313U (zh) 新风净化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