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657B1 -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657B1
KR101964657B1 KR1020170104274A KR20170104274A KR101964657B1 KR 101964657 B1 KR101964657 B1 KR 101964657B1 KR 1020170104274 A KR1020170104274 A KR 1020170104274A KR 20170104274 A KR20170104274 A KR 20170104274A KR 101964657 B1 KR101964657 B1 KR 101964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rail
frame
unit
bog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0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9419A (ko
Inventor
박태수
Original Assignee
박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태수 filed Critical 박태수
Priority to KR10201701042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657B1/ko
Publication of KR20190019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9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6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02Loading or unloading lan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1/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 B61C11/06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tractive effort applied or supplied by aerodynamic force or fluid reaction, e.g. air-screws and jet or rocket propul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DBODY DETAILS OR KINDS OF RAILWAY VEHICLES
    • B61D15/00Other railway vehicles, e.g. scaffold cars; Adaptations of vehicles for use on rail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FRAIL VEHICLE SUSPENSIONS, e.g. UNDERFRAMES, BOGIES OR ARRANGEMENTS OF WHEEL AXLES; RAIL VEHICLES FOR USE ON TRACKS OF DIFFERENT WIDTH; PREVENTING DERAILING OF RAIL VEHICLES; WHEEL GUARDS, OBSTRUCTION REMOVERS OR THE LIKE FOR RAIL VEHICLES
    • B61F9/00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preventing derailing, e.g. by use of guid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GCOUPLINGS; DRAUGHT AND BUFFING APPLIANCES
    • B61G1/00Couplings comprising interengaging parts of different shape or form and having links, bars, pins, shackles, or hooks as coupling means
    • B61G1/28Couplings comprising interengaging parts of different shape or form and having links, bars, pins, shackles, or hooks as coupling means with vertical bolt or p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2Coils, bobbins, ro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Fluid Mechanics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을 적재하는 것으로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동 대차와,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대차를 이송하는 유압 이송부와, 상기 다수 개의 이동 대차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 대차 사이의 결속 여부를 결정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여 적재 또는 제거하고자 하는 롤이 적재된 이동 대차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롤을 적재하거나 혹은 꺼낼 수 있는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및 방법이다.

Description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및 방법{DEVICE AND METHOD OF ROLL STACKING BY MOVING CAR TYPE}
본 발명은 롤을 적재하는 것으로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동 대차와,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대차를 이송하는 유압 이송부와, 상기 다수 개의 이동 대차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 대차 사이의 결속 여부를 결정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여 적재 또는 제거하고자 하는 롤이 적재된 이동 대차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롤을 적재하거나 혹은 꺼낼 수 있는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및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필름 등과 같은 제품은 롤 형태로 제작되어 적재된다. 상기 롤은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원통형태로 권취된 권취부와 상기 권취부 중앙에 삽입된 고정봉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태의 롤을 적재하기 위해서는 적재장에 단순히 높이 방향으로 쌓아 두거나 혹은 소정의 적재 장치에 적재하게 된다.
종래의 적재 장치는 높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롤의 고정봉이 걸림되는 걸림 홈이 형성되어 다수 개의 롤을 높이 방향으로 적재하였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 기술의 경우 롤이 어느 정도 적재된 후에는 작업자가 원하는 롤을 선택하여 이송하거나 혹은 적재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롤의 적재 장치 자체는 널리 알려진 것으로서 특히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는 바, 이에 대한 설명과 도시는 생략한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0970079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레일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동 대차와,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대차를 이송하는 유압 이송부와, 상기 다수 개의 이동 대차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 대차 사이의 결속 여부를 결정하는 클램프부를 포함하여 롤이 적재된 이동 대차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롤을 적재하거나 혹은 꺼낼 수 있는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았으나 아래 수단들 또는 실시예상의 구체적인 구성에 따른 다른 목적 들은 그 기재로부터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레일(RL)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동 대차(100)와,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대차(100)를 이송하는 유압 이송부(200)와, 상기 다수 개의 이동 대차(10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 대차(100) 사이의 결속 여부를 결정하는 클램프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대차(10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110)과,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서 레일(RL) 방향으로 돌출하고 지지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는 판체 형상인 롤 고정 플레이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롤 고정 플레이트(120)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에 레일(RL) 방향으로 요홈되는 삽입홈(122)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122)은 지지 프레임(110) 방향으로 갈수록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는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11)과 상기 수직 프레임(11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112)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111)과 수직 프레임(112)이 접하는 부분에는 판체 형상인 보강 플레이트(140)가 설치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140)에는 상기 이동 대차(10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부(400)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400)는 레일(RL)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이송부(410)와, 레일(RL)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 이송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이송부(410)는 레일(RL) 상면에 접하는 이송 롤러(413)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140)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롤러(413)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 샤프트(411)와, 상기 샤프트(411)와 이송 롤러(413)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412)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이송부(420)는 레일(RL) 저면에 접하는 이송 베어링(422)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140)에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422)에 삽입되는 하부 샤프트(421)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유압 이송부(2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에 설치되어 전후진 동력을 발생하는 유압 실린더(220)와, 상기 유압 실린더(220)에 설치되어 전후진 하며 상기 이동 대차(100)의 지지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대차 고정부(240)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클램프부(300)는 인접하는 이동 대차(100) 중 선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고정부(310)와, 후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지지 프레임(110)에 걸림부(330)와, 상기 고정부(3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330)에 걸림되는 클램프(32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320)는 상기 고정부(310)를 관통하는 회동핀(321)과, 상기 회동핀(321)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330)에 걸림되는 클램프 바아(322)를 포함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수직 프레임(111)은 레일(RL)과 레일(RL) 사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 방향 이격된 제1수직 프레임(111-1)과 제2수직 프레임(111-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수평 프레임(112)은 제2수직 프레임(111-2) 양 측단에서 레일(RL)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제1수평 프레임(112-1)과, 상기 제1수평 프레임(112-1) 사이를 연결하는 제2수평 프레임(112-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310)는 선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제2수직 프레임(111-2)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330)는 후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제2수평 프레임(112-2)에 설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 중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11)은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의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레일 방향으로 특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 중 삽입홈(122) 사이 부분으로서 레일(RL) 방향 단부(121-1)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부(121-1)는 삽입홈(122) 사이에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단부(121-1)는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의 하측으로 갈수록 레일(RL)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L)만큼 돌출되며, 상기 단부(121-1)의 상부 모서리(121-2)를 각각 경유하는 직선(LN)은 상기 수직 프레임(11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상기에서, 상기 거리(L)과 상기 삽입홈(122)에 적재되는 롤(RR)의 고정봉(RR1) 직경(D)은 아래의 수학식1을 만족한다.
[수학식1]
2/3D < L < 1.5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롤 적재 장치를 이용한 적재 방법으로서, 유압 이송부(200)는 최 선두 이동 대차(100)와 연결되고, 클램프부(300)는 다수 개의 이동 대차(100)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모든 이동 대차(100)가 상호 접촉되어 있는 원점 대기 상태에서, 특정 이동 대차(100)에 적재된 롤을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특정 이동 대차와 선행하는 이동 대차 사이의 클램프부(300)를 해제하고 상기 유압 이송부(200)에 의해 최 선두 이동 대차(100)를 이동시키고, 상기 최 선두 이동 대차와 특정 이동 대차의 선행 이동 대차 사이의 모든 이동 대차를 이동시켜 상기 특정 이동 대차와 선행 이동 대차 사이 간격을 확보하여, 상기 특정 이동 대차에 적재된 롤을 처리하는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해 적재 또는 꺼내고자 하는 롤이 적재된 이동 대차를 선택적으로 이동할 수 있어 보다 용이하게 롤을 적재하거나 혹은 꺼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적재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적재 장치의 이동 대차를 나타내는 사시도 및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적재 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적재 장치의 이송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적재 장치의 유압 이송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적재 장치의 걸림부를 나타내는 분리 개략도 및 확대도이다.
도 9a 내지 도 9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적재 장치를 이용하여 적재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 적재 장치(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RL)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동 대차(100)와,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대차(100)를 이송하는 유압 이송부(200)와, 상기 다수 개의 이동 대차(10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 대차(100) 사이의 결속 여부를 결정하는 클램프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레일(RL)을 이동 대차(100)의 하측에 한 쌍으로 배치되어 상기 이동 대차(100)가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한다.
상기 이동 대차(10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110)과,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서 레일(RL) 방향으로 돌출하고 지지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는 판체 형상인 롤 고정 플레이트(1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롤 고정 플레이트(120)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에 레일(RL) 방향으로 요홈되는 삽입홈(122)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122)은 지지 프레임(110) 방향으로 갈수록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된다.
즉, 상기 롤 고정 플레이트(120)는 상술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이고 도면상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레일의 진행방향(도면상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경사지게 배치된다. 상기 삽입홈(122)은 레일(RL) 방향으로 요홈되도록 형성되며 지지 프레임(110) 방향으로 갈수록 도면상 하향 경사지게 형성된다. 이러한 삽입홈(122)에 롤(RR)의 고정봉(RR1)이 삽입된다.
이러한 롤 고정 플레이트(120)는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 고정되고, 이러한 롤 고정 플레이트(120)와 지지 프레임(110)을 포함하는 이동 대차(100)가 레일(RL)을 따라 다수 개 배치되고, 상기 이동 대차(100)는 레일(RL)상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즉, 상기 롤 고정 플레이트(120)의 삽입홈(122)이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 형성되므로 롤(RR)을 다수 개 적재할 수 있고, 이동 대차(100)가 다수 개 구비되므로 많은 양의 롤(RR)을 좁은 장소에서 적재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대차(100)는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므로 예를 들어 도 4에서 5번 대차(100-5)에 롤(RR)을 적재하거나 또는 롤(RR)을 꺼내는 경우 1번 대차(100-1) 내지 4번 대차(100-4) 모두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작업 공간을 마련한 후 적재 등을 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본 발명에 의하면 롤을 높이 방향을 다수 개 적재할 수 있음은 물론 이동 대차를 선택적으로 이동한 후 작업 공간을 마련할 수 있어 효율적인 작업이 가능하다.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는 상기 고정 플레이트(120)가 지지된다. 이러한 지지 프레임(11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고 사각형 형상인 수직 프레임(111)과 상기 수직 프레임(11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112)을 포함한다. 상기 수직 프레임(111)과 수직 프레임(112)이 접하는 부분에는 판체 형상인 보강 플레이트(140)가 설치되고,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140)에는 상기 이동 대차(10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부(400)가 설치되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 중 삽입홈(122) 사이 부분으로서 레일(RL) 방향 단부(121-1)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단부(121-1)는 삽입홈(122) 사이에 다수 개 형성된다. 이때, 상기 단부(121-1)는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의 하측으로 갈수록 레일(RL)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L)만큼 돌출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롤(RR)을 적재하기 위해 하강할 때, 단부(121-1)의 상부에 접촉한 후 삽입홈(122)에 삽입되어 보다 편리하게 적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돌출 거리(L)과 상기 삽입홈(122)에 적재되는 롤(RR)의 고정봉(RR1) 직경(D)은 아래의 수학식1을 만족한다.
[수학식1]
2/3D < L < 1.5D
이러한 돌출 거리(L)와 고정봉(RR1)의 직경(D)의 관계가 수학식1을 만족하면 롤(RR)의 적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고정봉을 삽입홈에 안정ㅈ적으로 삽입시킬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레임(111)은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의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레일 방향으로 특정 각도(θ)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이동 대차(100)를 보다 밀집할 수 있어 공간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의 단부(121-1)의 상부 모서리(121-2)를 각각 경유하는 직선(LN)은 상기 지지 프레임(110) 중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11)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즉, 상기 수직 프레임(111)의 각도를 갖는 일 직선(111L)과 상기 상부 모서리(121-2)를 경유하는 직선(LN)이 상호 평행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 롤의 적재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상술된 바와 같이 이동 대차(100)가 보다 밀집 가능하게 되어 대차가 배치되는 공간 효율도 같이 향상시킬 수 있다.
즉 수직 프레임(111)의 각도를 갖는 일직선(111L)과 상기 상부 모서리(121-2)를 경유하는 직선(LN)이 상호 평행되도록 하면 대차들이 여러대가 겹친상채로 배치될 때 앞쪽에 배치된 대차의 수직프레임(111)의 각도와 뒤쪽에 배치된 대차의 상부 모서리를 경유하는 직선이 상호 평행하므로, 대차와 대차 사이의 간격을 최소화 한 상태로(대차사이의 간격을 없앤상태로) 배치할 수 있어, 대차를 배치하는 공간을 최소할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이송부(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일(RL)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이송부(410)와, 레일(RL)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 이송부(420)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이송부(410)는 레일(RL) 상면에 접하는 이송 롤러(413)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140)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롤러(413)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 샤프트(411)와, 상기 샤프트(411)와 이송 롤러(413)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412)을 포함한다. 즉, 상기 이송 롤러(413)는 상부 샤프트(411)에 의해 지지되고, 베어링(412)에 의해 회전된다. 따라서, 이동 대차(100)가 레일(RL)을 따라 전후진 할때 상기 이송 롤러(413)가 회전하면서 이동 대차(100)의 원활한 이동을 도모한다.
상기 하부 이송부(420)는 레일(RL) 저면에 접하는 이송 베어링(422)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140)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베어링(422)에 삽입되는 하부 샤프트(421)를 포함한다. 즉, 하부 샤프트(421)가 보강 플레이트(140)에 설치된 상태에서 이송 베어링(422)에 삽입되면 이송 베어링(422)은 상기 하부 샤프트(421)에 지지된 상태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상기 이송 베어링(422)의 외륜이 회전하면서 상기 레일(RL) 저면에 접한다.
본 발명의 이송부(400)는 상술된 바와 같이 레일(RL)의 상면 및 저면에 접한 상태에서 이송 롤러(413)와 이송 베어링(422)이 회전하므로 보다 안정적인 이송을 도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RL)은 고정구(F)에 의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유압 이송부(200)는 이동 대차(100)를 이동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에 설치되어 전후진 동력을 발생하는 유압 실린더(220)와, 상기 유압 실린더(220)에 설치되어 전후진 하며 상기 이동 대차(100)의 지지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작동 로드(230)를 포함한다. 즉, 유압 실린더(220)가 베이스(210)에 고정된 상태에서 작동 로드(230)가 전후진하면서 이동 대차(100)를 전후진한다. 이러한 구성에 작업자는 원하는 이동 대차(100)를 이동시켜 롤을 적재하거나 꺼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따로이 설명한다.
이때, 상기 작동 로드(230) 끝단에 설치되고 이동 대차(100)의 지지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대차 고정부(240)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대차 고정부(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판체 형상도 가능하다.
상기 클램프부(300)는 다수 개의 이동 대차(10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 대차(100) 사이의 결속 여부를 결정한다. 이를 위해 도 1과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하는 이동 대차(100) 중 선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고정부(310)와, 후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지지 프레임(110)에 걸림부(330)와, 상기 고정부(3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330)에 걸림되는 클램프(32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클램프(320)는 상기 고정부(310)를 관통하는 회동핀(321)과, 상기 회동핀(321)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330)에 걸림되는 클램프 바아(322)를 포함한다.
즉, 상기 고정부(310)는 선행하는 이동 대차(100A)에 설치되고 걸림부(330)는 후행하는 이동 대차(100B)에 설치된다. 이때 클램프(320)의 클램프 바아(322)는 상기 회동핀(32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림부(330)가 걸림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클램프 바아(322)는 요홈부(322a)가 형성되어 상기 클램프 바아(322)가 하강한 경우 상기 요홈부(322a)에 상기 걸림부(330)가 걸림되어 상호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걸림부(330)는 후행하는 이동 대차(100B)에 고정되는 바아 형상의 고정 바아(331)와, 상기 고정 바아(331)에 설치되는 걸림 바아(332)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 바아(332)가 상기 클램프 바아(322)의 요홈부(322a)에 삽입되어 클램프(320)가 걸림부(330)에 걸림된다.
한편, 상기 고정부(310)는 선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며 핀 삽입공(310a)을 구비하여 상기 회동핀(321)이 삽입된다.
지지 프레임(110)의 수직 프레임(111)은 레일(RL)과 레일(RL) 사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 방향 이격된 제1수직 프레임(111-1)과 제2수직 프레임(111-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수평 프레임(11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수직 프레임(111-2) 양 측단에서 레일(RL)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제1수평 프레임(112-1)과, 상기 제1수평 프레임(112-1) 사이를 연결하는 제2수평 프레임(112-2)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고정부(310)는 선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제2수직 프레임(111-2)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330)는 후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제2수평 프레임(112-2)에 설치된다.
이하 도 9a 내제 도 9d를 참조하여 롤 적재 장치를 이용한 적재 방법을 설명한다.
우선,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점 대기 상태로서 유압 이송부(200)는 최 선두 이동 대차①과 연결되고, 클램프부(300)는 다수 개의 이동 대차(10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모든 이동 대차(100)가 상호 접촉되어 있는 원점 대기 상태에서 시작한다.
이때, 특정 이동 대차(100)에 적재된 롤을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예를 들어 5번 이동 대차(⑤)에 적재된 롤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1번 이동 대차(①)에서 4번 이동 대차(④)를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하여 5번 이동 대차(⑤)에 작업 공간을 마련해야 한다.
이를 위해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이동 대차 즉, 5번 이동 대차(⑤)와 선행하는 이동 대차 즉, 4번 이동 대차(④)사이의 클램프부(300)를 해제한다. 이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램프부(300)의 클램프 바아(322)를 상기 회동핀(321)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걸림부(330)와의 걸림을 해제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상기 클램프 바아(322)는 전동 액츄에이터를 이용하여 자동으로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고 작업자가 수동으로 작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특정 이동 대차와 선행하는 이동 대차사이의 클램프부(300)를 해제한 후 상기 유압 이송부(200)에 의해 최 선두 이동 대차(①)를 이동시킨다. 상기 최 선두 이동 대차(①)로부터 4번 이동 대차(④)는 클램프부(300)에 의해 상호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기 최 선두 이동 대차(①)가 이동되면 4번 이동 대차(④)까지 일시에 이동한다. 이러한 방법에 의해 5번 이동 대차(⑤)에 작업 공간이 마련되어 롤을 5번 이동 대차(⑤)에 적재하거나 혹은 반대로 하역할 수 있다.
이후,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 이송부(200)에 의해 최 선두 이동 대차(①)를 반대로 이동하여 4번 이동 대차(④)가 5번 이동 대차(⑤)에 접하도록 하고 해제된 클램프부(300)가 상호 결속되도록 하여 원점 상태로 복귀한다.
이후,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9번 이동 대차(⑨)에 적재된 롤을 처리하고 자하는 경우 상기 9번 이동 대차(⑨)와 선행하는 8번 이동 대차(⑧)사이의 클램프부(300)를 해제하고 1번 이동 대차(①)를 이동시켜 9번 이동 대차(⑨)에 작업 공간을 마련한다. 이후는 상술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상기 상세한 설명에서 기술된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동 대차 110 : 지지 프레임
111 : 수직 프레임 112 : 수평 프레임
120 : 롤 고정 플레이트 121 : 고정 플레이트 본체
122 : 삽입홈 140 : 보강 플레이트
200 : 유압 이송부 210 : 베이스
220 : 유압 실린더 230 : 작동 로드
240 : 대차 고정부 300 : 클램프부
310 : 고정부 320 : 클램브
321 : 회동핀 322 : 클램프 바아
330 : 걸림부 400 : 이송부
410 : 상부 이송부 420 : 하부 이송부

Claims (6)

  1. 레일(RL)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동 대차(100)와, 지면에 설치되어 상기 이동 대차(100)를 이송하는 유압 이송부(200)와, 상기 다수 개의 이동 대차(10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이동 대차(100) 사이의 결속 여부를 결정하는 클램프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대차(100)는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지지 프레임(110)과, 상기 지지 프레임(110)에서 레일(RL) 방향으로 돌출하고 지지 프레임(110)의 폭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는 판체 형상인 롤 고정 플레이트(120)를 포함하며,
    상기 롤 고정 플레이트(120)는 하향 경사지게 형성되는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와, 상기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에 레일(RL) 방향으로 요홈되는 삽입홈(122)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122)은 지지 프레임(110) 방향으로 갈수록 지면을 향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되고, 높이 방향으로 다수 개 배치되고,
    상기 지지 프레임(110)은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11)과 상기 수직 프레임(111)의 하단에서 수평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평 프레임(112)을 포함하고,
    상기 수직 프레임(111)과 수직 프레임(112)이 접하는 부분에는 판체 형상인 보강 플레이트(140)가 설치되고,
    상기 보강 플레이트(140)에는 상기 이동 대차(100)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이송부(400)가 설치되며,
    상기 이송부(400)는 레일(RL)의 상부에 설치되는 상부 이송부(410)와, 레일(RL)의 저면에 설치되는 하부 이송부(420)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이송부(410)는 레일(RL) 상면에 접하는 이송 롤러(413)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140)에 설치되고 상기 이송 롤러(413) 내부에 삽입되는 상부 샤프트(411)와, 상기 샤프트(411)와 이송 롤러(413) 사이에 설치되는 베어링(412)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이송부(420)는 레일(RL) 저면에 접하는 이송 베어링(422)과 상기 보강 플레이트(140)에 설치되고 상기 베어링(422)에 삽입되는 하부 샤프트(421)를 포함하며,
    상기 클램프부(300)는 인접하는 이동 대차(100) 중 선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지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고정부(310)와, 후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지지 프레임(110)에 걸림부(330)와, 상기 고정부(31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330)에 걸림되는 클램프(320)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프(320)는 상기 고정부(310)를 관통하는 회동핀(321)과, 상기 회동핀(321)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330)에 걸림되는 클램프 바아(322)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110) 중 수직 방향으로 배치되는 수직 프레임(111)은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의 하측 방향으로 갈수록 레일 방향으로 특정 각도로 경사지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 중 삽입홈(122) 사이 부분으로서 레일(RL) 방향 단부(121-1)는 지면에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단부(121-1)는 삽입홈(122) 사이에 다수 개 형성되고, 상기 단부(121-1)는 고정 플레이트 본체(121)의 하측으로 갈수록 레일(RL) 방향으로 동일한 거리(L)만큼 돌출되며,
    상기 단부(121-1)의 상부 모서리(121-2)를 각각 경유하는 직선(LN)은 상기 수직 프레임(111)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압 이송부(2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베이스(210)와, 상기 베이스(210)에 설치되어 전후진 동력을 발생하는 유압 실린더(220)와, 상기 유압 실린더(220)에 설치되어 전후진 하며 상기 이동 대차(100)의 지지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대차 고정부(240)를 포함하는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수직 프레임(111)은 레일(RL)과 레일(RL) 사이의 폭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하 방향 이격된 제1수직 프레임(111-1)과 제2수직 프레임(111-2)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 프레임(110)의 수평 프레임(112)은 제2수직 프레임(111-2) 양 측단에서 레일(RL) 방향으로 각각 돌출하는 한 쌍의 제1수평 프레임(112-1)과, 상기 제1수평 프레임(112-1) 사이를 연결하는 제2수평 프레임(112-2)을 포함하며,
    상기 고정부(310)는 선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제2수직 프레임(111-2)에 설치되고, 상기 걸림부(330)는 후행하는 이동 대차(100)의 제2수평 프레임(112-2)에 설치되는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6. 제1항 및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롤 적재 장치를 이용한 적재 방법으로서,
    유압 이송부(200)는 최 선두 이동 대차(100)와 연결되고, 클램프부(300)는 다수 개의 이동 대차(100) 사이에 각각 설치되며,
    모든 이동 대차(100)가 상호 접촉되어 있는 원점 대기 상태에서,
    특정 이동 대차(100)에 적재된 롤을 처리하고자 하는 경우 상기 특정 이동 대차와 선행하는 이동 대차 사이의 클램프부(300)를 해제하고 상기 유압 이송부(200)에 의해 최 선두 이동 대차(100)를 이동시키고, 상기 최 선두 이동 대차와 특정 이동 대차의 선행 이동 대차 사이의 모든 이동 대차를 이동시켜 상기 특정 이동 대차와 선행 이동 대차 사이 간격을 확보하여, 상기 특정 이동 대차에 적재된 롤을 처리하는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방법.
KR1020170104274A 2017-08-17 2017-08-17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및 방법 KR101964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274A KR101964657B1 (ko) 2017-08-17 2017-08-17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04274A KR101964657B1 (ko) 2017-08-17 2017-08-17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419A KR20190019419A (ko) 2019-02-27
KR101964657B1 true KR101964657B1 (ko) 2019-04-02

Family

ID=6556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04274A KR101964657B1 (ko) 2017-08-17 2017-08-17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6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8905A (ja) * 2021-01-14 2022-07-27 日本発條株式会社 連結機構を備えた搬送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96B1 (ko) * 2008-07-18 2010-04-14 (주)삼호정기 자재 이송용 운반대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58617B (it) * 1992-09-18 1996-02-27 Magazzino a telai mobili a traslazione ortogonale per prodotti di forma piana
KR100970079B1 (ko) 2008-09-29 2010-07-14 윤한샘 시트 롤 적재 시스템 및 적재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2396B1 (ko) * 2008-07-18 2010-04-14 (주)삼호정기 자재 이송용 운반대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9419A (ko) 2019-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04625101U (zh) 一种叉车的货叉
KR101964657B1 (ko) 이동 대차 방식의 롤 적재 장치 및 방법
KR20150115345A (ko) 포크리프트 및 이를 구비한 무인이송운반대차
US20200039767A1 (en) Automatic loading apparatus and application of the same
CN214526374U (zh) 双层运输线体以及电池生产系统
CN207174608U (zh) 汽车焊装柔性自动化随行夹具贮存装置
JP6217927B2 (ja) 台車式搬送装置
DE102023110779A1 (de) Fahrzeuginternes Frachtgutabwicklungssystem, Stapler und Verfahren zum Liefern von Frachtgut
CN217050468U (zh) 一种全自动换托盘机及输送机
CN211869473U (zh) 一种牛仔布的输送装置
CN106081474A (zh) 一种送料机构
WO2014205509A1 (en) Improved rail mounted and guided bulk material transportation system
CN212047513U (zh) 一种中转车
JP5311010B2 (ja) 積込装置
CN211810968U (zh) 一种立纸架
CN211365371U (zh) 一种用于航空集装箱运输的托盘
US20220234629A1 (en) A laterally displaceable railway wagon
KR100353140B1 (ko) 화물차량의 대차(파레트) 적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적재및 하차방법
JP4734803B2 (ja) 貨物搬送用車両
CN209940392U (zh) 一种用于叉车上的重物转移装置
CN114590543B (zh) 一种货运整合系统及其控制方法
JP4482218B2 (ja) 荷物運搬装置
JP2019098904A (ja) 台車の車輪構造
CN220684119U (zh) 一种汽车物流输送线装卸平台
CN212861567U (zh) 一种用于印刷机装卸纸卷的滑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