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373B1 -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373B1
KR101964373B1 KR1020120137328A KR20120137328A KR101964373B1 KR 101964373 B1 KR101964373 B1 KR 101964373B1 KR 1020120137328 A KR1020120137328 A KR 1020120137328A KR 20120137328 A KR20120137328 A KR 20120137328A KR 101964373 B1 KR101964373 B1 KR 1019643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ield
frame
wheel
wheel frame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7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9704A (ko
Inventor
김동신
Original Assignee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디펜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73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373B1/ko
Publication of KR201400697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97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3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3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1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4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wheels in the suspensions
    • B60G2200/422Driving wheels or live ax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3/00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 F16D3/02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 F16D3/06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 F16D3/065Yielding couplings, i.e. with means permitting movement between the connected parts during the drive adapted to specific functions specially adapted to allow axial displacement by means of roll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바퀴가 설치되는 바퀴프레임과, 상기 바퀴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차체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바퀴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1 쉴드와, 상기 제 1 쉴드로를 감싸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 1 쉴드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쉴드와, 상기 제 1 쉴드 및 상기 제 2 쉴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쉴드 및 상기 제 2 쉴드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 1 탄성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All-direction suspension assmbly}
본 발명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동하는 차량 또는 이동로봇 등과 같은 장치에는 지면 등과 접촉하는 바퀴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바퀴는 회전을 통하여 차량 또는 이동로봇 등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바퀴는 지면 등과 접촉함으로써 지면 상태에 따라 지면으로부터 받는 힘을 차량 또는 이동로봇 등의 바디부에 전달함으로써 진동을 유발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은 바디부의 진동을 발생시키고, 바디부의 수명, 성능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바퀴로부터 바디부로 전달되는 진동을 저감시키고, 차량 또는 이동로봇 등의 내부에 탑승한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는 등의 목적을 위하여 바퀴와 바디부 사이에는 서스펜션 어셈블리가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서스펜션 어셈블리는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같은 차량에 탑재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특히 이러한 서스펜션 어셈블리는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62207호(발명의 명칭 : 자동차용 현가장치, 출원인 : 현대자동차 주식회사)에 구체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은 서스펜션 어셈블리의 경우 일 방향, 즉 바퀴와 지면이 접촉하는 부분에 수직한 방향의 진동만을 흡수할 수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09-0062207호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전방향으로 완충을 제공 가능한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바퀴가 설치되는 바퀴프레임과, 상기 바퀴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차체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회전프레임과, 상기 바퀴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1 쉴드와, 상기 제 1 쉴드로를 감싸도록 배치되면, 상기 제 1 쉴드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쉴드와, 상기 제 1 쉴드 및 상기 제 2 쉴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쉴드 및 상기 제 2 쉴드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 1 탄성부를 포함하는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쉴드 내부에는 유체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는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퀴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바퀴프레임 및 상기 회전프레임을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과 상기 차체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탄성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프레임의 길이방향 운동을 저감시키는 댐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회전프레임과 바퀴프레임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바퀴에 가해지는 전방향의 충격에 따라서 바퀴프레임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바퀴프레임과 회전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에 제 1 탄성부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100)를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100)는 바퀴(110)가 설치되는 바퀴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바퀴프레임(120)은 바퀴(110)가 회전 가능하도록 일단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바퀴프레임(120)은 핸들(미도시)의 조작에 따라 조향이 가능하도록 조향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바퀴프레임(120)은 차체(B)와 분리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조향장치의 작동에 따라 회전 가능하도록 작동할 수 있다.
한편,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100)는 바퀴프레임(120)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차체(B)의 구동축(S)과 연결되는 회전프레임(17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회전프레임(170)은 엔진(미도시)과 연결되는 구동축(S)과 연결되어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100)는 바퀴프레임(120)과 회전프레임(170) 사이에 배치되어 바퀴프레임(120)과 회전프레임(170)을 서로 연결하는 유니버셜 조인트(Universal joint,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유니버셜 조인트는 바퀴프레임(120)과 회전프레임(170)을 각각 일정 각도가 형성될 수 있도록 연결하여 유격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100)는 바퀴프레임(120)과 회전프레임(170)이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제 1 쉴드(1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쉴드(150)는 유니버셜 조인트(130)가 설치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바퀴프레임(120)과 회전프레임(170)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쉴드(150)는 바퀴프레임(120)과 회전프레임(170)의 상대 운동에 따라 변형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 또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쉴드(150)는 고무, 실리콘 등과 같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쉴드(150)의 내부에는 유체가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체는 제 1 쉴드(150) 내부를 완전히 채우도록 제 1 쉴드(150)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유체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유체는 윤활유, 오일 등과 같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100)는 제 1 쉴드(150)를 감싸도록 바퀴프레임(120)과 회전프레임(170)에 설치되는 제 2 쉴드(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쉴드(160)의 내면은 제 1 쉴드(150)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2 쉴드(160)는 차체(B)에 고정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2 쉴드(160)는 상기에서 설명한 제 1 쉴드(150)와 유사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쉴드(150) 및 제 2 쉴드(160)는 바퀴프레임(120) 및 회전프레임(170)의 운동에 따라 형태가 가변할 수 있다.
또한, 제 2 쉴드(16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제 2 쉴드(160)는 일부가 차체(B)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내부의 복수개의 제 1 탄성부(140)을 지지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제 1 탄성부(140) 중 제 1 쉴드(150)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 1 탄성부(140)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100)는 제 1 쉴드(150)와 제 2 쉴드(160) 사이에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 1 탄성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 1 탄성부(14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 1 탄성부(140)는 스프링, 고무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1 탄성부(140)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원력 또는 탄성력을 제공하는 모든 장치 및 모든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 1 탄성부(140)는 제 1 쉴드(150) 및 제 2 쉴드(160)와 연결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제 1 탄성부(140)는 일단이 한 부분으로 모이도록 배치되며, 타단이 방사형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 제 1 탄성부(140)의 일단은 유니버셜 조인트(130) 측으로 모이도록 제 1 쉴드(150)에 설치되며, 제 1 탄성부(140)의 타단은 서로 멀어지도록 제 2 쉴드(160)에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복수개의 제 1 탄성부(140)는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복수개의 제 1 탄성부(140)는 유니버셜 조인트(130)를 중심으로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복수개의 제 1 탄성부(140)가 4개 이상인 경우 각 제 1 탄성부(140)는 서로 대칭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프레임(170)을 중심으로 상하로 대칭되도록 배치되거나, 좌우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복수개의 제 1 탄성부(140)가 전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모든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100)는 차체(B)와 회전프레임(170) 사이에 설치되는 제 2 탄성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 2 탄성부(180)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현가장치(서스팬션)과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100)는 회전프레임(170)의 일단에 설치되는 댐퍼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댐퍼부(190)는 회전프레임(170)과 구동축(S)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댐퍼부(190)는 회전프레임(170)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충격을 저감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댐퍼부(190)는 일반적인 유압 또는 공압 형태의 댐퍼, 스프링이 설치되는 댐퍼 등과 같은 진동을 흡수하는 장치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100)의 작동을 살펴보면, 일반적으로 상기 엔진이 작동하는 경우 상기 엔진의 구동력은 구동축(S)을 통하여 회전프레임(17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때, 회전프레임(170)은 댐퍼부(19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회전프레임(170)이 회전하는 경우 유니버셜 조인트(130)를 통하여 바퀴프레임(120)을 회전시킬 수 있다. 바퀴프레임(120)은 상기와 같이 회전하면서 바퀴(110)를 회전시키고, 바퀴(110)의 회전에 따라서 차량이 운행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운행하는 차량의 경우 상기 조향장치를 통하여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조향장치가 작동하는 경우 바퀴프레임(120)의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차량(미도시)의 운행 방향을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차량이 상기와 같이 운행하는 동안, 차량은 지면이 고르지 못한 구간을 통과할 수 있다. 이때, 차량이 통과하는 지면의 형태에 따라 바퀴(110)에 가해지는 힘이 상이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힘에 따라서 바퀴프레임(120)에 가해지는 충격 및 바퀴프레임(120)의 진동 방향은 상이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면이 하측으로 돌출된 경우에는 바퀴(110)가 상측으로 이동하면서 바퀴프레임(120)은 상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특히 바퀴프레임(120)이 상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차체(B)의 저면과 가까워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복수개의 제 1 탄성부(140) 중 제 1 쉴드(15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 1 탄성부(140)는 압축되고, 하측에 배치된 제 1 탄성부(140)는 인장될 수 있다. 이때, 복수개의 제 1 탄성부(140)는 바퀴프레임(120)에 가해지는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바퀴(110)에 가해지는 힘이 도 1의 상측이나 하측이 아닌 경우에도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바퀴(110)에 가해지는 힘이 도 1의 좌측인 경우 제 1 쉴드(150)의 좌측에 배치된 제 1 탄성부(140)는 압축되고, 우측에 배치된 제 1 탄성부(140)는 인장됨으로써 바퀴(110)에 가해지는 힘을 흡수할 수 있다.
한편, 상기의 경우 이외에도 회전프레임(170)이 외력에 의하여 위치가 가변하는 경우에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회전프레임(170)에 가해지는 힘의 경우 제 2 탄성부(180)에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2 탄성부(180)가 복수개 구비되어 회전프레임(170)의 상하측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바퀴(110)가 지면의 돌출된 부분을 통과할 때 회전프레임(170)에 가해지는 충격을 일부 흡수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바퀴(110)의 좌측으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경우 바퀴프레임(120)과 회전프레임(170)은 좌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댐퍼부(190)는 상기와 같이 회전프레임(170)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댐퍼부(190)는 바퀴(110)에 가해지는 힘의 분력이 회전프레임(170)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경우 회전프레임(170)의 길이방향으로 가해지는 힘을 저감시킬 수 있다.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100)는 회전프레임(170)과 바퀴프레임(120) 사이에 회전 가능하도록 서로 연결되어 바퀴(110)에 가해지는 전방향의 충격에 따라서 바퀴프레임(120)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다. 또한,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100)는 바퀴프레임(120)과 회전프레임(170)이 연결되는 부분에 복수개의 제 1 탄성부(140)를 구비함으로써 다양한 방향에서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이나 변형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에는 본 발명의 요지에 속하는 한 이러한 수정이나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100 :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
110 : 바퀴
120 : 바퀴프레임
130 : 유니버셜 조인트
140 : 제 1 탄성부
150 : 제 1 쉴드
160 : 제 2 쉴드
170 : 회전프레임
180 : 제 2 탄성부
190 : 댐퍼부

Claims (6)

  1. 바퀴가 설치되는 바퀴프레임;
    상기 바퀴프레임과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고, 차체의 구동축과 연결되는 회전프레임;
    상기 바퀴프레임과 상기 회전프레임이 연결되는 부분을 감싸도록 설치되는 제 1 쉴드;
    상기 차체에 고정되며,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상기 제 1 쉴드를 감싸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 1 쉴드의 외면으로부터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 2 쉴드;
    상기 제 1 쉴드 및 상기 제 2 쉴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쉴드 및 상기 제 2 쉴드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복수개의 제 1 탄성부;
    상기 회전프레임과 상기 차체를 연결하는 제 2 탄성부; 및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단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프레임과 함께 회전하며, 상기 회전프레임의 길이방향 운동을 저감시키는 댐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 1 탄성부는 상기 회전프레임을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되는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쉴드 내부에는 유체가 삽입된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탄성부는 서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면서 방사형으로 배치되는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20137328A 2012-11-29 2012-11-29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 KR1019643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328A KR101964373B1 (ko) 2012-11-29 2012-11-29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7328A KR101964373B1 (ko) 2012-11-29 2012-11-29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704A KR20140069704A (ko) 2014-06-10
KR101964373B1 true KR101964373B1 (ko) 2019-04-01

Family

ID=51124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7328A KR101964373B1 (ko) 2012-11-29 2012-11-29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37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860A (ko) 2021-03-29 2022-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휠 모터용 스티어링 충격 흡수 구조 및 그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5677A (en) * 1981-03-09 1983-05-31 Dana Corporation Universal joint housing
KR20090062207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현가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4860A (ko) 2021-03-29 2022-10-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인휠 모터용 스티어링 충격 흡수 구조 및 그 방법
US11654967B2 (en) 2021-03-29 2023-05-23 Hyundai Motor Company Steering shock absorbing structure for in-wheel motor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9704A (ko) 2014-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0376B2 (en) Tire wheel structure
CN109466312B (zh) 一种全方位移动机器人及其车轮装置
CN103016539B (zh) 带有防飞溅保护的轴承组件
JP2010269665A (ja) 車輪支持装置
CN100422594C (zh) 车辆的缓冲组件
KR20230086031A (ko) 독립 코너모듈
CN114228829B (zh) 独立驱动轮的转向装置及包括其的独立驱动模块
KR101964373B1 (ko) 전방향 서스팬션 어셈블리
WO2011152274A1 (ja) 走行玩具
JP3978177B2 (ja) ロアアームアセンブリー
KR20100110946A (ko) 다축 인휠 모터 차량용 자가 정렬 현가 장치
JP4789628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システム
JP2017001407A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駆動装置用サスペンション構造
CN110371180A (zh) 一种车轮结构、底盘和自动导引运输车
JP2006316864A (ja) ダンパ
KR101261337B1 (ko) 자동차 조향장치의 랙 스토퍼 구조
CN204749771U (zh) 一种车辆转向结构
JP2007099114A (ja) ホイールインモータの取り付け構造
KR20230036598A (ko) 차량의 스케이트보드 플랫폼용 서스펜션 구조
WO2018155343A1 (ja) 水陸両用車
JP4383261B2 (ja) インホイールモータシステム
KR101878040B1 (ko)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
CN212654152U (zh) 悬挂系统、底盘装置、移动设备和机器人
CN218703595U (zh) 行走装置及移动机器人
JP4167616B2 (ja) サスペンション内蔵ホイ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