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8040B1 -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8040B1
KR101878040B1 KR1020160082014A KR20160082014A KR101878040B1 KR 101878040 B1 KR101878040 B1 KR 101878040B1 KR 1020160082014 A KR1020160082014 A KR 1020160082014A KR 20160082014 A KR20160082014 A KR 20160082014A KR 101878040 B1 KR101878040 B1 KR 101878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inner pipe
outer pipe
straight sections
rotar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2971A (ko
Inventor
김종민
유상훈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2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80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02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29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8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8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8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built up with interlaced cross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차량의 마운팅멤버에 삽입되는 아우터파이프; 상기 아우터파이프와는 동일축을 갖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삽입되며, 외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이너파이프; 상기 이너파이프의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포함하는 마운팅부시가 소개된다.

Description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 {MOUNTING BUSH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의 크로스 멤버에 장착되는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차량에는 현가장치(Suspension)의 하중이 집중되는 부분에 크로스멤버(Cross Member)를 설치하는데, 전방에는 프런트 크로스멤버를 후방에는 리어 크로스멤버(Rear Cross Member)를 설치한다. 크로스멤버는 현가장치의 많은 부품들을 지지하면서 차체로 전달되는 횡방향 하중을 감당하는데 차량의 폭 방향으로 길게 연장 형성되는 멤버 부재들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용접되고 크로스멤버를 차체쪽으로 체결하는 마운팅부시는 크로스멤버에 관통홀을 형성하여 관통시키거나 크로스멤버의 단부에 용접되는 방식을 이용한다.
특히, 종래의 마운팅부시의 경우, 부싱 타입(Bushing Type)과 솔리드 타입(Solid Type)으로 나뉠 수 있다. 부싱 타입의 경우 진동 절연 및 임팩트 측면 등 NVH(Noise, Vibration, and Harshness)에 우세하나 핸들링 측면에서 횡방향의 컴플라이언스(Compliance)로 인해 추종성 및 응답성이 떨어진다. 반면 솔리드 타입의 경우 핸들링의 추종성 및 응답성은 우수하나 NVH가 열세한 단점이 있다.
그러므로 특히 고성능 차량에 있어서, NVH 문제와 핸들링을 동시에 개선하고,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프런트 크로스멤버와 리어 크로스멤버에서 각각 요구하는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마운팅부시가 필요한 것이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1996-070284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특히 고성능 차량에 있어서, NVH 문제와 핸들링을 동시에 개선하고, 주행성능과 승차감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으면서도 프런트 크로스멤버와 리어 크로스멤버에서 각각 요구하는 특성을 만족할 수 있는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마운팅부시는 차량의 마운팅멤버에 삽입되는 아우터파이프; 상기 아우터파이프와는 동일축을 갖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삽입되며, 외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이너파이프; 상기 이너파이프의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포함한다.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 및 두 직선구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 및 두 직선구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으로 형성되며, 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 및 두 직선구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으로 형성되며, 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너파이프의 결합홈은 상기 직선구간이 형성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은 상기 외측면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만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은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 및 두 직선구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 및 두 직선구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곡선구간의 곡률이 동일하여 두 곡선구간이 평행하도록 서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며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안착시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의 테두리를 외측에서 연결하는 형상의 케이스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 사이의 공간의 차량의 좌우방향 길이만큼 형성되어, 상기 충진재의 충진시 상기 회전부재측으로 상기 충진재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안착시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의 테두리를 외측에서 연결하는 형상의 케이스가 마련되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사이에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의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사이 공간의 차량의 좌우방향의 길이만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되, 일측은 상기 이너파이프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아우터파이프에 점접촉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의 내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 및 두 직선구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으로 형성되되, 상기 직선구간의 내측 중 상기 회전부재가 위치되는 공간에는 충진되지 않아 케이스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충진재는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사이에 충진되되, 상기 이너파이프와 아우터파이프의 상측에는 상기 이너파이프와 아우터파이프를 동시에 커버링하는 형상의 커버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부시의 제조방법은 청구항 1의 마운팅부시의 제조방법으로서, 이너파이프의 외측면에 결합홈을 가공하고, 상기 결합홈이 회전부재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조립된 상기 회전부재에 내측에 윤활제가 도포된 케이스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에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까지 조립된 이너파이프를 상기 아우터파이프에 삽입하고, 충진재를 충진하여 가류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 사이에 외력의 발생시 전후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를 마련함으로써, 회전부재의 구름운동이 필요없는 횡하중의 작용시에는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사이의 공간을 회전부재가 지지하여 컴플라이언스를 최소화함으로써 핸들링 추종성 및 응답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의 구름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전후상하방향의 하중 작용시에는 회전부재의 구름운동에 의해 전후방향 및 축방향 강성이 최소화되어 NVH 성능 및 승차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트레드 오프(Trade Off) 관계인 R&H(Riding & Handling)와 NVH 성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 특히 고성능 차량에 적용되어 서킷 주행시 필요한 우수한 핸들링을 위한 민첩성 및 정교함을 구현하고, 일반 주행시의 승차감 및 NVH 절연을 통한 컴포트(Comfort)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성능 및 프리미엄 차량에 적용시 상품성을 증대시키고 브랜드 이미지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부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면서, 횡하중이 가해질 때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전후방향에 임팩트가 가해질 때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상하방향하중이 가해질 때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로드노이즈가 발생될 때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마운팅부시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부시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부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선 단면도이면서, 횡하중이 가해질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전후방향에 임팩트가 가해질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상하방향하중이 가해질 때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로드노이즈가 발생될 때를 도시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8은 마운팅부시가 차량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C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부시는 차량의 마운팅멤버(600)에 삽입되는 아우터파이프(100);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는 동일축을 갖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삽입되며, 외측면에는 결합홈(250)이 형성된 이너파이프(200); 상기 이너파이프(200)의 결합홈(2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회전부재(300); 및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 이너파이프(200)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400);를 포함한다.
먼저, 본 발명의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아우터파이프(100)는 상기 마운팅멤버(600)의 마운팅홀(610)에 직접 맞닿아 결합되는 부분으로서, 마운팅부시의 최외곽에 위치된다.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의 외측면은 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원통형이고, 상단부에는 플랜지부(15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의 내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110) 및 두 직선구간(110)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130)으로 형성된다.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의 내측에는 상기 이너파이프(200)가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는 동일축을 갖되 일정거리를 유지하도록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삽입된다. 특히, 상기 이너파이프(200)의 외측면에는 결합홈(250)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250)에는 회전부재(30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상기 회전부재(300)에 대하여는 후술하도록 한다.
상기 이너파이프(200)의 내측에는 축을 기준으로 관통홀(270)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상기 관통홀(270)에는 상기 이너파이프(200)의 전후방향을 확인할 수 있도록 마킹홈(290)이 형성되어 방향성을 나타내어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이너파이프(200)의 외측면은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의 내측면과 대응되도록 평행한 두 직선구간(210) 및 두 직선구간(210)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230)으로 형성되며, 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이너파이프(200)의 결합홈(250)은 상기 직선구간(210)이 형성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250)은 상기 외측면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만입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250)은 상기 이너파이프(200)의 외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하좌우방향으로 이격된 4개의 결합홈(250)을 도시하고 설명하나, 개수나 형상 및 배치는 차종이나 설계, 환경에 따라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며, 특정한 형상과 개수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의 내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110) 및 두 직선구간(110)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130)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파이프(200)의 외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210) 및 두 직선구간(210)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230)으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 이너파이프(200)의 곡선구간(130,230)의 곡률이 동일하여 두 곡선구간(130,230)이 평행하도록 서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며 이격된다. 더구나, 상기 이너파이프(200)는 상기 아우터파이프(100) 보다 상하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된다.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이너파이프(200)의 결합홈(250)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다. 특히,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결합홈(250)에 삽입되되, 상기 회전부재(300)의 일부만 삽입되어 상기 결합홈(250) 내에서 상기 회전부재(300)가 회전되게 된다. 즉, 상기 회전부재(300)는 상기 결합홈(250)에 삽입되되, 일측은 상기 이너파이프(200)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에 점접촉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회전부재(300)는 볼베어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300)에는 상기 회전부재(300)가 상기 결합홈(250)에 안착시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300)의 테두리를 외측에서 연결하고, 내측에는 가이드홀(510)이 형성된 케이스(500)가 마련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부재(300)가 4개가 마련되고, 상기 회전부재(300)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됨으로써, 사각형을 형성하도록 배치하였으므로, 상기 케이스(500)는 상기 회전부재(300)의 테두리를 연결하여 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케이스(500)의 내주면에는 상기 회전부재(300)의 윤활에 필요한 윤활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케이스(500)는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 이너파이프(200)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상기 케이스(500)는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 이너파이프(200) 사이의 공간의 차량의 좌우방향 길이만큼 형성되어, 상기 충진재(400)의 충진시 상기 회전부재(300)측으로 상기 충진재(400)의 유입을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상기 케이스(500)는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 이너파이프(200)의 사이에 위치되되, 상기 회전부재(300)가 상기 결합홈(250)에 삽입된 후의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 이너파이프(200)의 사이 공간의 차량의 좌우방향의 길이만큼 형성되어 상기 회전부재(300)의 회전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충진재(400)는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 상기 이너파이프(200) 사이에 충진된다. 상기 충진재(400)의 내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410) 및 두 직선구간(410)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430)으로 형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회전부재(300)에는 상기 케이스(500)가 마련되어 상기 케이스(500)에 의해 상기 직선구간(410)의 내측 중 상기 회전부재(300)가 위치되는 공간에는 상기 충진재(400)가 충진되지 않는 케이스홀(450)이 형성된다.
특히, 상기 충진재(400)는 상기 이너파이프(200)와 아우터파이프(100)의 상측에는 상기 이너파이프(200)와 아우터파이프(100)를 동시에 커버링하는 형상의 커버(470)가 형성된다. 상기 커버(470)는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의 플랜지부(150)까지 모두 커버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마운팅멤버(600)의 마운팅홀(610)에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이너파이프(200)는 상기 아우터파이프(100) 보다 상하방향의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되므로, 상기 아우터파이프(100)를 기준으로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 이너파이프(200)의 정렬시, 상기 이너파이프(200)가 상기 아우터파이프(100) 보다 상하측으로 더 돌출되게 된다. 상기한 부분의 상측에는 상기 충진재(400)가 외주면을 따라 감싸는 형상의 연장부(480)가 형성되되, 상기 연장부(480)는 상기 이너파이프(200)의 상단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어 상기 이너파이프(200)를 감싸 차체나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 등을 보다 잘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한 부분의 하측에는 상기 충진재(400)가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의 하면이 상기 이너파이프(200)와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충진되어 차체나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나 진동 등을 보다 잘 흡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연장부(480)의 양측에는 상기 커버(470)의 상면에서부터 상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490)가 서로 대칭되는 지점에 형성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상기 돌출부(490)와 상기 이너파이프(200)의 곡선구간(230)을 감싸는 충진재(400) 사이에는 상기 충진재(400)가 충진되지 않는 소정의 공간인 보이드(28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이드(280)가 형성됨으로써, 차체나 노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여기서 상기 충진재(400)는 고무로서,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 이너파이프(200)에 가류성형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통해, 각 상황에 따른 본 발명의 마운팅부시의 거동을 살펴보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마운팅부시에 횡하중이 가해질 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횡하중이 가해지더라도 상기 회전부재(300)가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 이너파이프(200) 사이를 지지하여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 이너파이프(200) 사이의 공간을 유지함으로써, 컴플라이언스가 최소화된다. 따라서, 핸들링, 추종성 및 응답성이 향상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마운팅부시에 전후방향에 임팩트가 가해질 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전방 혹은 후방으로 임팩트가 가해지면, 상기 회전부재(300)가 구름운동하여 마운팅부시 전체가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아우터파이프(100)만 이동되어 컴플라이언스가 최대화된다. 따라서, 임팩트감이 향상되고, 전후방향의 강성이 최소화되어 NVH 성능이 개선되게 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마운팅부시에 상하방향하중이 가해질 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의 전후방향 임팩트시와 마찬가지로 상기 회전부재(300)가 구름운동하여 마운팅부시 전체가 이동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아우터파이프(100)만 이동되어 컴플라이언스가 최대화된다. 따라서, 축방향 강성이 최소화되어 승차감이 개선되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마운팅부시에 로드노이즈가 발생될 때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와 상기 회전부재(300)가 점접촉되어 접촉면의 최소화가 구현되어 로드 노이즈(Road Noise) 및 엔진(미도시)과 파워트레인(미도시)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의 유입이 최소화되고, 마운팅부시의 절연성능이 증대되게 된다.
본 발명의 마운팅부시의 제조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마운팅부시의 제조방법은 청구항 1의 마운팅부시의 제조방법으로서, 이너파이프(200)의 외측면에 결합홈(250)을 가공하고, 상기 결합홈(250)이 회전부재(300)를 조립하는 단계(S100); 상기 단계(S100)에서 조립된 상기 회전부재(300)에 내측에 윤활제가 도포된 케이스(500)를 상기 회전부재(300)의 외측에 조립하는 단계(S300); 및 상기 단계(S300)까지 조립된 이너파이프(200)를 상기 아우터파이프(100)에 삽입하고, 충진재(400)를 충진하여 가류성형하는 단계(S500);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에 따르면, 아우터파이프(100)와 이너파이프(200) 사이에 외력의 발생시 전후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부재(300)를 마련함으로써, 회전부재(300)의 구름운동이 필요없는 횡하중의 작용시에는 아우터파이프(100)와 이너파이프(200)의 사이의 공간을 회전부재(300)가 지지하여 컴플라이언스를 최소화함으로써 핸들링 추종성 및 응답성을 향상시킨다. 또한, 상기 회전부재(300)의 구름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전후상하방향의 하중 작용시에는 회전부재(300)의 구름운동에 의해 전후방향 및 축방향 강성이 최소화되어 NVH 성능 및 승차감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그러므로 트레드 오프(Trade Off) 관계인 R&H(Riding & Handling)와 NVH 성능을 모두 만족시킬 수 있어 특히 고성능 차량에 적용되어 서킷 주행시 필요한 우수한 핸들링을 위한 민첩성 및 정교함을 구현하고, 일반 주행시의 승차감 및 NVH 절연을 통한 컴포트(Comfort)를 동시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고성능 및 프리미엄 차량에 적용시 상품성을 증대시키고 브랜드 이미지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있게 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아우터파이프 110 : 직선구간
130 : 곡선구간 150 : 플랜지부
200 : 이너파이프 210 : 직선구간
230 : 곡선구간 250 : 결합홈
270 : 관통홀 290 : 마킹홈
300 : 회전부재 400 : 충진재
410 : 직선구간 430 : 곡선구간
450 : 케이스홀 470 : 커버
480 : 연장부 490 : 돌출부
500 : 케이스 510 : 가이드홀
600 : 마운팅멤버 610 : 마운팅홀
S100 : 제1단계
S300 : 제2단계
S500 : 제3단계

Claims (13)

  1. 차량의 마운팅멤버에 삽입되는 아우터파이프;
    상기 아우터파이프와는 동일축을 갖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삽입되며, 외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이너파이프;
    상기 이너파이프의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 및 두 직선구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2. 삭제
  3. 차량의 마운팅멤버에 삽입되는 아우터파이프;
    상기 아우터파이프와는 동일축을 갖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삽입되며, 외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이너파이프;
    상기 이너파이프의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 및 두 직선구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으로 형성되며, 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4. 차량의 마운팅멤버에 삽입되는 아우터파이프;
    상기 아우터파이프와는 동일축을 갖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삽입되며, 외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이너파이프;
    상기 이너파이프의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 및 두 직선구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으로 형성되며, 축을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너파이프의 결합홈은 상기 직선구간이 형성하는 외측면에 형성되되, 상기 결합홈은 상기 외측면의 외측에서 내측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로 만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측면에 소정의 간격으로 복수개가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아우터파이프의 내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 및 두 직선구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으로 형성되고, 상기 이너파이프의 외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 및 두 직선구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으로 형성되며,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곡선구간의 곡률이 동일하여 두 곡선구간이 평행하도록 서로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며 이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안착시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의 테두리를 외측에서 연결하는 형상의 케이스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 사이의 공간에 위치되되,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 사이의 공간의 차량의 좌우방향 길이만큼 형성되어, 상기 충진재의 충진시 상기 회전부재측으로 상기 충진재의 유입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에는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안착시 상기 복수의 회전부재의 테두리를 외측에서 연결하는 형상의 케이스가 마련되되, 상기 케이스는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사이에 상기 회전부재가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의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사이 공간의 차량의 좌우방향의 길이만큼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재는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되, 일측은 상기 이너파이프에 지지되고, 타측은 상기 아우터파이프에 점접촉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진재의 내측면은 평행한 두 직선구간 및 두 직선구간의 단부를 연결하는 곡선구간으로 형성되되, 상기 직선구간의 내측 중 상기 회전부재가 위치되는 공간에는 충진되지 않아 케이스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12. 차량의 마운팅멤버에 삽입되는 아우터파이프;
    상기 아우터파이프와는 동일축을 갖되 소정의 거리를 유지하도록 내측으로 이격되는 위치에 삽입되며, 외측면에는 결합홈이 형성된 이너파이프;
    상기 이너파이프의 결합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되는 회전부재; 및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포함하고,
    상기 충진재는 상기 아우터파이프와 이너파이프의 사이에 충진되되, 상기 이너파이프와 아우터파이프의 상측에는 상기 이너파이프와 아우터파이프를 동시에 커버링하는 형상의 커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운팅부시.
  13. 청구항 1의 마운팅부시의 제조방법으로서,
    이너파이프의 외측면에 결합홈을 가공하고, 상기 결합홈이 회전부재를 조립하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조립된 상기 회전부재에 내측에 윤활제가 도포된 케이스를 상기 회전부재의 외측에 조립하는 단계; 및
    상기 단계까지 조립된 이너파이프를 상기 아우터파이프에 삽입하고, 충진재를 충진하여 가류성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마운팅부시의 제조방법.
KR1020160082014A 2016-06-29 2016-06-29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 KR1018780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014A KR101878040B1 (ko) 2016-06-29 2016-06-29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014A KR101878040B1 (ko) 2016-06-29 2016-06-29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71A KR20180002971A (ko) 2018-01-09
KR101878040B1 true KR101878040B1 (ko) 2018-07-16

Family

ID=610005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014A KR101878040B1 (ko) 2016-06-29 2016-06-29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80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663B1 (ko) * 2019-10-17 2024-05-03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크로스멤버용 부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539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회전력을 감소 시키는 볼이 설치된 부시
JP2004308825A (ja) * 2003-04-09 2004-11-04 Honda Motor Co Ltd 防振装置
JP2006347496A (ja) * 2005-06-20 2006-12-28 Yokohama Rubber Co Ltd:The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KR20090042696A (ko) * 2007-10-26 2009-04-30 텍스트론 인크. 일체화된 허브를 가지는 몰드 성형된 휠
KR20120063966A (ko) * 2010-12-08 2012-06-18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의 스테빌라이저바용 부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24539U (ko) * 1996-10-31 1998-07-25 양재신 회전력을 감소 시키는 볼이 설치된 부시
JP2004308825A (ja) * 2003-04-09 2004-11-04 Honda Motor Co Ltd 防振装置
JP2006347496A (ja) * 2005-06-20 2006-12-28 Yokohama Rubber Co Ltd:The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KR20090042696A (ko) * 2007-10-26 2009-04-30 텍스트론 인크. 일체화된 허브를 가지는 몰드 성형된 휠
KR20120063966A (ko) * 2010-12-08 2012-06-18 현대위아 주식회사 차량의 스테빌라이저바용 부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2971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3702B2 (en) Single-axis damping joint for connecting chassis components for vehicles
EP2540534B1 (en) Suspension structure, bush structure and suspension characteristic adjusting method
JP4404849B2 (ja) ブッシュ
US20180154719A1 (en) Hybrid ar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KR20110035843A (ko) 차량의 트위스트 빔 후방액슬을 위한 댐핑부싱
US8434770B2 (en) Transverse link on a motor vehicle
KR101372085B1 (ko) 자동차의 서스펜션용 고무 부시
KR20130014237A (ko) 자동차용 스태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부시
JP5050623B2 (ja) サスペンションリーフスプリング用シャックル構造
JP2011162188A (ja) トランスバースリンクおよびトランスバースリンクの製造方法
KR20130072179A (ko) 자동차의 휠 서스펜션을 위한 탄성 조인트
KR20120012205A (ko) 자동차용 스테빌라이저 바의 마운트 부시
KR101878040B1 (ko) 마운팅부시 및 그 제조방법
KR101322426B1 (ko) 자동차용 필로우 볼 부시
JP7233045B2 (ja) ブッシュ及び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JP2017067293A (ja) シャーシ軸受
JP2015137076A (ja) 車両用軸支部構造及び車両
KR20150118668A (ko) 트레일링암 부시
JP6276008B2 (ja) 車両用ブッシュおよびシャシフレーム支持構造
JP6035047B2 (ja) 車両用ブッシュ構造及び車両
KR102224010B1 (ko) 차량의 서스펜션용 미끄럼 부시
KR102024681B1 (ko) 프리 멀티 타입 액슬하우징 조립체
JP5455754B2 (ja) アクスルハウジング
JP2007106193A (ja) 操舵輪用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237071B1 (ko) 서브프레임 부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