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4307B1 - 에어덕트용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에어덕트용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4307B1
KR101964307B1 KR1020170164933A KR20170164933A KR101964307B1 KR 101964307 B1 KR101964307 B1 KR 101964307B1 KR 1020170164933 A KR1020170164933 A KR 1020170164933A KR 20170164933 A KR20170164933 A KR 20170164933A KR 101964307 B1 KR101964307 B1 KR 1019643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ding casing
filter case
filter
holding
refra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병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원필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원필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원필터
Priority to KR1020170164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43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4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4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조기와 같은 에어 관리 설비에 장착되어 에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에어덕트에 결합되는 홀딩케이싱의 내부공간에는 에어필터가 장착된 필터 케이스가 내입되고, 상기 홀딩케이싱과 필터 케이스 사이에는 상부가 홀딩케이싱의 상부에 걸리고 하부가 홀딩케이싱과 필터 케이스의 사이에 끼워지는 화스너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여, 홀딩케이싱에 필터 케이스를 견고하게 장착시킴과 동시에 홀딩케이싱에 대한 필터 케이스의 교체가 용이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에어덕트용 필터장치{Filter device for air duct}
본 발명은 공조기와 같은 에어 관리 설비에 장착되어 에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면 에어덕트에 결합되는 홀딩케이싱의 내부공간에는 에어필터가 장착된 필터 케이스가 내입되고, 상기 홀딩케이싱과 필터 케이스 사이에는 상부가 홀딩케이싱의 상부에 걸리고 하부가 홀딩케이싱과 필터 케이스의 사이에 끼워지는 화스너를 포함하는 구성을 하여, 홀딩케이싱에 필터 케이스를 견고하게 장착시킴과 동시에 홀딩케이싱에 대한 필터 케이스의 교체가 용이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에 관한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에어필터가 장착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는 공조기와 같은 에어 관리 설비에 장착되어 외부 유입공기 및 순환공기 중에서 공기 속의 먼지나 공해, 각종 세균 및 악취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여과장치로서, 청정한 실내 환경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필수장치이다.
상기와 같은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는 빌딩 공기정화나 산업공장, 병원, 연구서 등 산업분야 전반에 걸쳐 두루 적용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 들어서는 대기 오염이 심각하여 일반 주거용 건물에도 많이 보급되어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조용 필터의 설치 보급이 앞으로 갈수록 더욱 보편화되어 향후 모든 건물에는 공조용 필터가 구비되어야 하는 시대가 도래할 수도 있으며 그만큼 현대 사회에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의 경우에는, 프레임 내부에 다수 개의 필터를 하나의 프레임에 구성되는 구조를 하고 있어 각각의 필터 수명과 관계없이 일괄적으로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으로 인해 아직 사용할 수 있는 필터의 불필요한 낭비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다음은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에 관한 대표적인 종래기술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6871호는 공기 필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덕트에 결합되어 회동되는 프레임; 및 다수 개의 필터가 상기 프레임 내에 개별적으로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필터부;로 이루어지는 공기 필터 조립체에 있어 서, 상기 프레임은 전면과 후면이 개방되며, 일측은 개방되고 일측은 차단된 형태의 내부가 빈 육면체이며, 상단과 하단의 대향되는 위치에는 각각 회동축 구비되며, 개방된 일측에는 삽입공과 고정공 전면과 후면 각각에 개구되어 있으며, 상기 삽입공 측을 통해 삽입되는 덮개가 별도로 구비되며, 상기 덮개 일측에는 덮개면에 대해 직교되는 단턱이 마련되어 삽입공에 삽입된 상태에서 프레임 일측에 결착할 있도록 하되, 상기 프레임에는 개부된 측에 대해 대향되는 측면에 내설되는 탄성편이 구비되고, 상기 필터 선단과 후단에는 각각 메쉬 플레이트가 구성되며, 상기 삽입공 측에는 핀축과 상기 핀축을 기준으로 회동하는 걸림편로 구성되는 스토퍼를 삽입공을 따라 다수 개 구비하며, 상기 프레임 내부에는 삽입되는 다수 개의 필터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고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게 하는 가이드편을 구비하되, 상기 프레임은 상기 덮개가 마련되는 측면이 경사면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였다.
또한 상기 종래기술은 다수 개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적층시키는 구조를 하고, 이를 각각의 사용 기간에 따라 개별적으로 교체가능하게 함으로써 불필요한 필터 소모를 방지하여 필터 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실현하였으나, 필터부와 프레임 간의 체결이 용이하지 못하여, 이를 해결하기 위한 지속적인 연구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946871호(2010.03.03.)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26940호(2008.03.26.)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7175호(2005.02.18.)
본 발명은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에 관한 종래기술에 따른 문제점들을 개선하고자 안출된 기술로서, 종래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는 에어덕트에 결합되는 홀딩케이싱에 필터 케이스를 고정체결시키기 위하여, 단순히 와이어 형태 화스너의 일측을 홀딩케이싱에 체결시키고, 와이어가 꼬여진 형태를 하는 화스너 타측을 필터 케이스에 거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홀딩케이싱과 필터 케이스 간의 체결과정이 복잡한 문제가 발생하였고;
또한 홀딩케이싱의 측면판 내부에 판스프링과 같은 탄성의 화스너를 구비시킨 후 필터 케이스를 홀딩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끼우는 방식의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는 홀딩케이싱과 필터 케이스 간의 체결력이 미흡하여 필터 케이스가 홀딩케이싱에서 쉽게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하여, 이에 대한 해결점을 제공하는 것을 주된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소기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에어덕트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측면판의 결합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홀딩케이싱; 상기 홀딩케이싱의 내부공간에 내입되고, 내부에 에어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 및; 상부는 상기 홀딩케이싱의 측면판 상부에 걸리고, 상기 상부에서 하방으로 길이 연장된 하부는 상기 홀딩케이싱과 상기 필터 케이스의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화스너;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를 제시한다.
상기와 같이 제시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는 상부는 홀딩케이싱이 측면판 상부를 아우르는 형태로 홀딩케이싱의 상부에 걸리고, 하부는 홀딩케이싱과 필터 케이스의 사이에 끼워지는 형태의 화스너를 이용하여 홀딩케이싱에 필터 케이스를 고정체결시키기 때문에, 홀딩케이싱의 내부공간에 필터 케이스를 밀어넣는 방식으로 용이하게 고정체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고;
특히, 화스너가 걸림부, 연장부 및 굴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굴절부에 의한 탄성력으로 홀딩케이싱에 필터 케이스를 견고하게 고정체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아울러 화스너가 걸림부, 연장부 및 굴절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상기 걸림부를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 구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와 굴절부를 서로 인접된 복수의 홀딩케이싱과 필터 케이스 사이에 각각 끼워넣을 수 있기 때문에, 복수의 홀딩케이싱과 필터 케이스를 일괄적으로 고정체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가 장착된 에어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를 나타내는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의 화스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a, 5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의 조립과정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가 장착된 에어덕트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들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들 간의 결합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본 발명은 공조기와 같은 에어 관리 설비에 장착되어 에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에어덕트(40)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측면판(11)의 결합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홀딩케이싱(10); 상기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 내입되고, 내부에 에어필터(21)가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20) 및; 상부는 상기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 상부에 걸리고, 상기 상부에서 하방으로 길이 연장된 하부는 상기 홀딩케이싱(10)과 상기 필터 케이스(20)의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화스너(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1 내지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는 공조기와 같은 에어 관리 설비에 포함되는 에어덕트(40)의 일정부분, 송풍팬의 인접부분에 해당하는 에어덕트(40)의 일정부분 또는 에어덕트(40)의 유입구에 해당하는 에어덕트(40)의 일정부분 등과 같은 부분(이하, '에어덕트(40)'라 칭함.)에 장착되고, 에어덕트(40) 내에서 유동되는 에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에어필터(21)를 에어덕트(40)에 장착시키기 위한 용도로 사용된다.
또한 상기 에어덕트(40)의 형태는 일반적으로 이용되는 공지의 것이 해당될 수 있고, 상기 에어덕트(4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가 장착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에는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의 홀딩케이싱(10)이 장착되는 별도의 체결구가 더 체결될 수 있는 프레임 또는 하우징이 더 구비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하기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겠지만, 상기 관통공은 단수 개의 에어덕트용 필터장치가 장착될 수도 있고, 복수 개의 에어덕트용 필터장치가 연속 또는 비연속적으로 장착될 수도 있고, 그에 따라 상기 관통공의 형태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는 거시적으로 홀딩케이싱(10), 필터프레임 및 화스너(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홀딩케이싱(10)은 에어덕트(40)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측면판(11)의 결합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구성으로서,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의 전체 형태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에어덕트(40)에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를 장착시키는 구성이다.
보다 상세하면, 상기 홀딩케이싱(10)은 판상을 하는 복수 개의 판을 상호 결합시켜 형태를 형성하고, 내부에는 하기의 필터 케이스(20)가 내입되는 내부공간이 형성되며, 내부공간을 중심으로 상부와 하부는 상호 연통되며 열린 상태를 가진다.
또한 상기 홀딩케이싱(10)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지만, 이하에서는 도 2와 같이 네 개의 측면판(11)의 결합에 의하여 사각형의 수평단면을 하는 형태로 구성되고, 상부와 하부는 열린 상태를 가지는 형태를 바람직한 실시예로 설명하겠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홀딩케이싱(10) 하부의 내측에는 하기 필터 케이스(20) 하부의 외주 일부분이 안착되어, 필터 케이스(20)가 내부공간의 하부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걸림턱(12)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걸림턱(12)은 홀딩케이싱(10) 하부의 내주연의 전체적인 부분에 일정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걸림턱(12)의 돌출 폭은 하기 필터 케이스(20) 하부의 외주 일부분이 안착될 수 있을 정도이면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고, 걸림턱(12)의 상부에는 걸림턱(12)과 필터 케이스(20)의 안착부분과의 기밀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고무 또는 합성수재 재질의 기밀패드(1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기밀패드(13)는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서 걸림턱(12)과 필터 케이스(20)의 안착부분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될 수 있는 에어 또는 외부에서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는 에어를 차단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아울러 상기 홀딩케이싱(10)은 합성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의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작업자가 홀딩케이싱(10)의 하부 또는 상부에 형성된 날카로운 모서리 부분에 의해 다치지 않도록 모서리 부분을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 방향 또는 외부방향으로 절곡하여 라운딩처리할 수도 있다.
더불어 상기 필터 케이스(20)는 상기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 내입되고, 내부에 에어필터(21)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내부에 장착된 에어필터(21)를 상기 홀딩케이싱(10)에 장착시키기 위한 구조체 기능을 하는 구성이다.
즉, 상기 필터 케이스(20)는 상기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 내주와 대응하는 형태의 외주 형태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홀딩케이싱(10)과 마찬가지로 복수 개의 측면판(11)의 결합에 의하여 측부는 막히고 상부와 하부는 열린 상태를 가지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 케이스(20)의 내부에는 에어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에어필터(21)가 장착되고, 상기 에어필터(21)는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가 장착되는 에어덕트(40)에서 유동되는 에어의 종류 및 에어에 포함된 오염물질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21)는 상기 홀딩케이싱(10)에 형성된 내부공간에 의하여 열린 상태를 가지는 홀딩케이싱(10)의 상부 및 하부의 면적과 유사한 정도의 면적을 가지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3과 같이 필터 케이스(20)의 높이 방향으로 요철이 형성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되어 필터링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필터 케이스(20)의 외주와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 의하여 형성된 내주 사이에는 하기 화스너(30)의 하부에 해당하는 일부분이 끼워질 수 있도록 이격된 공간(이하, '이격공간(14)'이라 칭함.)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불어 상기 화스너(30)는, 상부는 상기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 상부에 걸리고, 상기 상부에서 하방으로 길이 연장된 하부는 상기 홀딩케이싱(10)과 상기 필터 케이스(20)의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구성으로서,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 에어필터(21)가 구비된 필터 케이스(20)를 고정체결시키는 구성이다.
즉, 상기 화스너(30)는 상부에서 하부까지 홀딩케이싱(10)의 높이와 유사한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구성되고, 와이어 형태의 종래 화스너와 다르게 일정의 폭을 가지는 형태로 구성되어 홀딩케이싱(10) 및 필터 케이스(20)와의 마찰에 의한 간섭력이 증대되어 체결력이 향상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스너(30)의 상부는 상기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 상부에 걸리고, 하부는 상부에서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어 홀딩케이싱(10)과 필터 케이스(20) 사이의 이격공간(14)으로 내입되는 구성을 한다.
이때, 상기 화스너(30)의 상부는 홀딩케이싱(10)의 상부와 걸린 상태를 가져 홀딩케이싱(10)의 상부에 고정되고, 화스너(30)의 하부는 홀딩케이싱(10)과 필터 케이스(20) 사이의 이격공간(14)에 위치된 홀딩케이싱(10)이 일정부분과 필터 케이스(20)의 일정부분에 모두 간섭되며 고정되는 구성을 하여, 홀딩케이싱(10)과 필터 케이스(20)를 상호 고정체결시킨다.
더불어 상기 구성의 화스너(30)는 홀딩케이싱(10)에 대한 필터 케이스(20)의 체결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복수 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복수 개의 화스너(30)는 홀딩케이싱(10)의 어느 한쪽 이상의 측면판(11)과 필터 케이스(20)의 어느 한쪽 이상의 측면판(11)에 의하여 형성된 이격공간(14)에 등간격 또는 비등간격으로 끼워지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화스너(30)는 당업자의 판단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도 2 또는 4와 같이, 상기 홀딩케이싱(10) 측면판(11)의 상부를 감싸며 측면판(11)의 상부에 걸리는 걸림부(31); 상기 걸림부(31)의 양단 각각에서 상호 대칭되며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32) 및;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 각각에서 걸림부(31)의 수직 중심축을 중심하여 외측방으로 굴절된 후 다시 내측방으로 굴절되며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굴절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와 굴절부(33) 중, 어느 한쪽의 연장부(32a)와 굴절부(33a)는 홀딩케이싱(10)과 필터 케이스(2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화스너(30)는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걸림부(31), 연장부(32) 및 굴절부(3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는 구성을 하고, 걸림부(31)에 의하여 홀딩케이싱(10)에 걸린 상태에서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을 중심으로 양쪽으로 대칭되며 연장부(32) 및 굴절부(33)가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성을 하며, 상기 연장부(32) 및 굴절부(33)에 의한 탄성력으로 필터 케이스(20)를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 견고히 체결시키는 구성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걸림부(31)는 상기 홀딩케이싱(10) 측면판(11)의 상부를 감싸며 측면판(11)의 상부에 걸리는 구성으로서, 도 4와 같이 "
Figure 112017120650152-pat00001
" 형태로 구성되어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 상부가 "
Figure 112017120650152-pat00002
" 형태 안쪽이 내입되도록 하여,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 상부를 감싸며 측면판(11)의 상부에 걸리는 구성을 한다.
즉, 상기 구성의 걸림부(31)는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 상부를 중심하여 양쪽 부분이 상호 대칭되는 형태로 구분되고, 걸림부(31)의 어느 한쪽 부분은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 쪽으로 길이 연장되며, 걸림부(31)의 다른 한쪽 부분은 홀딩케이싱(10)의 외부 쪽으로 길이 연장되는 구성을 한다.
또한 상기 연장부(32)는 상기 걸림부(31)의 양단 각각에서 상호 대칭되며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구성으로서, 걸림부(31)에 의하여 홀딩케이싱(10)에 상부가 걸린 화스너(30)의 하부 일부분을 홀딩케이싱(10)의 하부 쪽으로 길이 연장시키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 중 어느 한쪽의 연장부(32)는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 쪽으로 향한 걸림부(31)의 어느 한쪽 부분에서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고, 다른 한쪽의 연장부(32)는 홀딩케이싱(10)의 외부 쪽으로 향한 걸림부(31)의 다른 한쪽 부분에서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는 구성을 하여 걸림부(31)와 하기 굴절부(33)의 사이에 해당하는 길이를 연장시키는 구성이다.
아울러 상기 연장부(32)는 걸림부(31)와 동일한 크기의 폭을 가지도록 구성되어 홀딩케이싱(10)에 대한 걸림부(31)의 체결력이 연장부(32)까지 연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연장부(32)의 길이는 홀딩케이싱(10)의 높이 및 필터 케이스(20)의 높이 이내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의 일부분은 홀딩케이싱(10)의 상부에서 하부로 길이 연장되면서 홀딩케이싱(10) 측면판(11)과 상접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한 쌍의 연장부(32) 일부분이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과 상접되는 구성을 하면, 연장부(32)와 홀딩케이싱(10) 측면판(11) 간의 마찰이 형성되어 걸림부(31) 및 연장부(32)가 더욱 긴밀하게 홀딩케이싱(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의 다른 부분은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과 이격되는 구성을 하여 "
Figure 112017120650152-pat00003
" 형태의 걸림부(31)를 기준하여 연장부(32)의 하부로 갈수록 일정의 탄성력이 형성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더불어 상기 구성을 하는 한 쌍의 연장부(32) 각각에는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돌기(34)가 형성되는 구성을 할 수 있다.
즉, 상기 돌출돌기(34)는 연장부(32)의 내측면에서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쪽으로 일정 높이 돌출된 형태로 구성되고, 연장부(32)와 홀딩케이싱(10) 간의 간섭력을 증가시켜 화스너(30)가 더욱 견고하게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에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돌출돌기(34)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과 상접되는 부분의 연장부(32) 일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굴절부(33)는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 각각에서 걸림부(31)의 수직 중심축을 중심하여 외측방으로 굴절된 후 다시 내측방으로 굴절되며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구성으로서, 도 4와 같이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에서 연장부(32)보다 더 외측방으로 돌출되어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과 필터 케이스(2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4)의 폭에 긴밀하게 내입되어 고정되는 화스너(30)의 일부분이다.
즉, 상기 한 쌍의 굴절부(33)는 한 쌍의 연장부(32) 각각의 하부에서부터 상부가 연장되어 하부는 하방에 위치하되, 상부에서 하부의 중간부분은 걸림부(31)의 수직 중심축을 중심하여 외측방으로 굴절된 후 다시 내측방으로 굴절되는 구성을 하여, 일정의 굴절된 너비를 형성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굴절부(33)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너비는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과 필터 케이스(2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4)의 폭보다 더 큰 너비를 형성하여 굴절부(33)의 굴절된 형태에 의하여 형성된 탄성력이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과 필터 케이스(20)에 가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구성의 굴절부(33)는 굴절부(33) 자체가 이격공간(14)의 폭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굴절된 형태를 가지기 때문에 굴절된 형태에 의하여 자연형성된 탄성력이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과 필터 케이스(20)에 가해질 수 있지만, 상기 걸림부(31)에서 하방으로 연장된 연장부(32)에 의한 탄성력(걸림부(31)를 기준하여 형성되는 탄성력임.)이 함께 굴절부(33) 자체의 탄성력에 더해져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과 필터 케이스(20)에 가해질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와 굴절부(33) 중, 어느 한쪽의 연장부(32a)와 굴절부(33a)는 홀딩케이싱(10) 측면판(11)과 필터 케이스(2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4)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다른 한쪽의 연장부(32b)와 굴절부(33b)는 홀딩케이싱(10) 측면판(11)의 바깥쪽에 위치된다.
이때, 상기와 같이 홀딩케이싱(10) 측면판(11)의 바깥쪽에 위치되는 다른 한쪽의 연장부(32b)와 굴절부(33b)는 홀딩케이싱(10)과 에어덕트(40)(구체적으로는 에어덕트(40)의 관통공)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으로 내입되어 홀딩케이싱(10)이 에어덕트(40)에 보다 견고하게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하거나, 복수 개의 홀딩케이싱(10)이 상호 연속되도록 구성되는 경우에는 어느 하나의 홀딩케이싱(10)에 내입되는 필터 케이스(20)와 인접된 홀딩케이싱(10)을 상호 고정체결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이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하기에서 다시 하겠다.
상기와 연관하여, 상기 한 쌍의 굴절부(33) 각각의 말단에는 상기 걸림부(31)의 수직 중심축을 중심하여 외측방으로 다시 굴절되며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는 2차 굴절부(35)가 더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2차 굴절부(35)는 도 4와 같이 걸림부(31)의 수직 중심축 방향으로 다시 굴절된 굴절부(33)의 말단에서 다시 외측방으로 굴절되며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굴절부(33)의 하부와 홀딩케이싱(10) 측면판(11) 간의 간섭력을 더욱 증가시키는 효과를 발휘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굴절부(33)가 홀딩케이싱(10) 측면판(11)과 필터 케이스(2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4)에 내입된 상태에서는, 굴절부(33)의 상부(연장부(32)와 연결되는 부분)와 하부는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이고, 굴절부(33)의 중간부분(변곡지점)은 필터 케이스(20)에 밀착되어 고정된 상태를 가진다.
이때, 상기 2차 굴절부(35)는 굴절부(33)의 하부에 해당하는 굴절부(33) 말단에서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되, 길이 연장방향이 걸림부(31)의 수직 중심축을 중심하여 외측방으로 굴절되는 형태로 구성되기 때문에, 굴절부(33)가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과 필터 케이스(20) 사이의 이격공간(14)에 굴절된 부분이 일부 펼쳐지며 끼워진 상태에서는 외측방으로 굴절된 2차 굴절부(35)가 굴절부(33)의 말단에서 펼쳐지면서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에 밀착되어, 굴절부(33)와 홀딩케이싱(10) 측면판(11) 간의 간섭력이 더욱 증가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는 도 6 내지 8과 같이 필터 케이스(20)가 내부공간에 각각 내입된 복수 개의 홀딩케이싱(10)이 상호 연속되는 상태로 에어덕트(40)에 장착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걸림부(31), 한 쌍의 연장부(32) 및 한 쌍의 굴절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화스너(30)는 상호 인접되는 상태로 연속되는 홀딩케이싱(10)들을 상호 고정시키고, 서로 인접된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 각각 내입된 필터 케이스(20)를 단일의 화스너(30)로서 동시에 각각의 홀딩케이싱(10)에 장착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홀딩케이싱(10)은 각각의 어느 한쪽의 측면판(11a, 11b)이 상호 인접되는 상태로 복수 개가 상호 연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스너(30)의 걸림부(31)는 상호 인접된 어느 하나의 홀딩케이싱(10a) 측면판(11a)과 다른 하나의 홀딩케이싱(10b) 측면판(11b)의 상부를 동시에 감싸며 측면판(11a, 11b)의 상부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와 굴절부(33) 중, 어느 한쪽의 연장부(32a)와 굴절부(33a)는 어느 하나의 홀딩케이싱(10a)과 필터 케이스(20a)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다른 한쪽의 연장부(32b)와 굴절부(33b)는 다른 하나의 홀딩케이싱(10b)과 필터 케이스(20b)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와 같이 홀딩케이싱(10) 복수 개가 상호 인접되며 연속되는 구성을 하면, 어느 하나의 홀딩케이싱(10)의 어느 한쪽의 측면판(11a)은 인접된 홀딩케이싱(10)의 어느 한쪽 측면판(11b)이 상호 맞닿는 형태로 인접된 상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상기 어느 하나의 홀딩케이싱(10)과 필터 케이스(20)를 상호 고정체결시키는 화스너(30)의 걸림부(31)는 상호 인접된 어느 하나의 홀딩케이싱(10a) 측면판(11a)과 다른 하나의 홀딩케이싱(10b) 측면판(11b)의 상부를 동시에 감싸며 측면판(11a, 11b)의 상부에 걸릴 수 있기 때문에, 인접된 홀딩케이싱들(10a, 10b)을 상호 고정체결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또한 상기 화스너(30)의 걸림부(31)의 양쪽 말단에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한 쌍의 연장부(32)와 한 쌍이 굴절부(33) 중, 걸림부(31)의 어느 한쪽 말단에 형성된 어느 한쪽의 연장부(32a)와 굴절부(33a)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어느 하나의 홀딩케이싱(10a)과 필터 케이스(20a)의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4)에 끼워져 어느 하나의 홀딩케이싱(10a)의 내부공간에 어느 하나의 필터 케이스(20a)를 고정체결시킬 수 있다.
상기와 연관하여, 걸림부(31)의 다른 한쪽 말단에 형성된 다른 한쪽의 연장부(32b)와 굴절부(33b)는 어느 하나의 홀딩케이싱(10a)과 인접된 다른 홀딩케이싱(10b)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다른 한쪽의 연장부(32b)와 굴절부(33b)는 다른 홀딩케이싱(10b)과 다른 필터 케이스(20) 사이에 형성된 이격공간(14)에 끼워져 다른 홀딩케이싱(10b)의 내부공간에 다른 필터 케이스(20)를 고정체결시킬 수 있다.
즉, 상기 구성의 화스너(30)는 걸림부(31)를 중심으로 대칭되며 양분된 한 쌍의 연장부(32)와 한 쌍의 굴절부(33)가 상호 인접된 홀딩케이싱들(10a, 10b)을 동시에 상호 고정체결시키면서 각각의 홀딩케이싱들(10a, 10b)의 내부공간에 내입되는 필터 케이스(20)를 일괄적으로 고정체결시킬 수 있는 효과를 실현할 수 있다.
물론, 복수 개의 에어덕트용 필터장치가 방사형으로 상호 연결되는 경우에는 상기의 원리를 적용하여 어느 하나의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와 인접된 다른 에어덕트용 필터장치 간의 고정체결 및 필터 케이스(20)의 장착을 실현할 수 있음은 자명할 것이다.
상기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며,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상기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으로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10 : 홀딩케이싱 10a : 홀딩케이싱
10b : 홀딩케이싱 11 : 측면판
11a: 측면판 11b : 측면판
12 : 걸림턱 13 : 기밀패드
14 : 이격공간 20 : 필터 케이스
20a : 필터 케이스 20b : 필터 케이스
21 : 에어필터 30 : 화스너
31 : 걸림부 32 : 연장부
32a : 연장부 32b : 연장부
33 : 굴절부 33a : 굴절부
33b : 굴절부 34 : 돌출돌기
35 : 2차 굴절부 40 : 에어덕트

Claims (5)

  1. 에어덕트(40)에 결합되고, 복수 개의 측면판(11)의 결합에 의하여 내부공간이 형성되는 홀딩케이싱(10);
    상기 홀딩케이싱(10)의 내부공간에 내입되고, 내부에 에어필터(21)가 장착되는 필터 케이스(20);
    상부는 상기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 상부에 걸리고, 상기 상부에서 하방으로 길이 연장된 하부는 상기 홀딩케이싱(10)과 상기 필터 케이스(20)의 사이에 끼워지는 복수 개의 화스너(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스너(30)는,
    상기 홀딩케이싱(10)의 측면판(11)의 상부를 감싸며 측면판(11)의 상부에 걸리는 걸림부(31);
    상기 걸림부(31)의 양단 각각에서 상호 대칭되며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연장부(32);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 각각에서 걸림부(31)의 수직 중심축을 중심하여 외측방으로 굴절된 후 다시 내측방으로 굴절되며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는 한 쌍의 굴절부(33);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와 굴절부(33) 중, 어느 한쪽의 연장부(32a)와 굴절부(33a)는 홀딩케이싱(10)과 필터 케이스(20)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 각각에는 내측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돌기(34)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굴절부(33) 각각의 말단에는 상기 걸림부(31)의 수직 중심축을 중심하여 외측방으로 다시 굴절되며 하방으로 길이 연장되는 2차 굴절부(35)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홀딩케이싱(10)의 하부의 내측에는 홀딩케이싱(10) 하부의 내주연의 전체적인 부분에 돌출 형성되는 걸림턱(12)이 더 형성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20) 하부의 외주 일부분이 안착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걸림턱(12)의 상부에는 걸림턱(12)과 필터 케이스(20)의 안착부분과의 기밀성을 확보시키는 고무 또는 합성수재 재질의 기밀패드(13)가 더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용 필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케이싱(10)은,
    각각의 어느 한쪽의 측면판(11a, 11b)이 상호 인접되는 상태로 복수 개가 상호 연속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화스너(30)의 걸림부(31)는,
    상호 인접된 어느 하나의 홀딩케이싱(10a) 측면판(11a)과 다른 하나의 홀딩케이싱(10b) 측면판(11b)의 상부를 동시에 감싸며 측면판(11a, 11b)의 상부에 걸리도록 구성되며,
    상기 한 쌍의 연장부(32)와 굴절부(33) 중, 어느 한쪽의 연장부(32a)와 굴절부(33a)는 어느 하나의 홀딩케이싱(10a)과 필터 케이스(20a)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고, 다른 한쪽의 연장부(32b)와 굴절부(33b)는 다른 하나의 홀딩케이싱(10b)과 필터 케이스(20b)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덕트용 필터장치.
KR1020170164933A 2017-12-04 2017-12-04 에어덕트용 필터장치 KR101964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933A KR101964307B1 (ko) 2017-12-04 2017-12-04 에어덕트용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933A KR101964307B1 (ko) 2017-12-04 2017-12-04 에어덕트용 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4307B1 true KR101964307B1 (ko) 2019-04-01

Family

ID=66104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933A KR101964307B1 (ko) 2017-12-04 2017-12-04 에어덕트용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430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671A (ko) * 2019-05-24 2020-12-03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세먼지필터 이동장치가 구비된 실외공기 미세먼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286723B1 (ko) 2020-10-16 2021-08-06 송재은 공조용 필터
WO2022143455A1 (zh) * 2020-12-30 2022-07-0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外壳及风管机
KR20230073582A (ko) * 2021-11-19 2023-05-26 이용대 필터 결합용 파스너
ES2954837A1 (es) * 2022-04-19 2023-11-27 Ballesteros Alejandro Arranz Máquina filtradora de polvo
KR20240057876A (ko) 2022-10-25 2024-05-03 성기용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319U (ja) * 1992-03-25 1993-10-29 日本無機株式会社 空調用フィルタ
KR200377175Y1 (ko) 2004-12-17 2005-03-14 대기휠타(주) 공조기용 필터프레임
KR20080026940A (ko) 2006-09-22 2008-03-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단필터 수용프레임을 구비한 스텐드형 에어컨 실내기
KR200444337Y1 (ko) * 2009-01-22 2009-05-07 박승태 프리필터와 미디움필터 일체형 공조필터
KR100946871B1 (ko) 2008-01-30 2010-03-09 주식회사 세방씨앤에프 공기 필터 조립체
JP2014018701A (ja) * 2012-07-12 2014-02-03 Shinwa Seisakusho:Kk 落し込みケーシング用フィルタ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79319U (ja) * 1992-03-25 1993-10-29 日本無機株式会社 空調用フィルタ
KR200377175Y1 (ko) 2004-12-17 2005-03-14 대기휠타(주) 공조기용 필터프레임
KR20080026940A (ko) 2006-09-22 2008-03-26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다단필터 수용프레임을 구비한 스텐드형 에어컨 실내기
KR100946871B1 (ko) 2008-01-30 2010-03-09 주식회사 세방씨앤에프 공기 필터 조립체
KR200444337Y1 (ko) * 2009-01-22 2009-05-07 박승태 프리필터와 미디움필터 일체형 공조필터
JP2014018701A (ja) * 2012-07-12 2014-02-03 Shinwa Seisakusho:Kk 落し込みケーシング用フィルタ枠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5671A (ko) * 2019-05-24 2020-12-03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세먼지필터 이동장치가 구비된 실외공기 미세먼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224732B1 (ko) * 2019-05-24 2021-03-09 한국공조엔지니어링 주식회사 미세먼지필터 이동장치가 구비된 실외공기 미세먼지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공기조화장치
KR102286723B1 (ko) 2020-10-16 2021-08-06 송재은 공조용 필터
WO2022143455A1 (zh) * 2020-12-30 2022-07-07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外壳及风管机
KR20230073582A (ko) * 2021-11-19 2023-05-26 이용대 필터 결합용 파스너
KR102636374B1 (ko) * 2021-11-19 2024-02-15 이용대 필터 결합용 파스너
ES2954837A1 (es) * 2022-04-19 2023-11-27 Ballesteros Alejandro Arranz Máquina filtradora de polvo
KR20240057876A (ko) 2022-10-25 2024-05-03 성기용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4307B1 (ko) 에어덕트용 필터장치
EP0705412B1 (en) Air purifying apparatus
US7794518B2 (en) Filter system for an air cleaner
KR101831520B1 (ko) 필터가 구비된 선풍기
KR101911366B1 (ko) 헤파필터 하단 가장자리에서의 공기 와류 발생을 차단한 헤파필터 박스
AU2016259419A1 (en) Engine Panel Filter and Housing System
KR101351455B1 (ko) 에어커튼의 결합구조
KR20200000231U (ko) 공기청정기용 원형필터
US6413301B1 (en) Electronically enhanced media air filtration system and method of assembling
US20230383971A1 (e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purification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an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purification system
KR102524670B1 (ko) 필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한 물 가열기
KR102032401B1 (ko) 공기청정기
US8277175B2 (en) Combustion air supply blower with access cover and motor and fan assembly
KR101041774B1 (ko) 공기조화시스템의 공조용 여과필터
KR102304142B1 (ko) 원통형 공기 청정기
KR102392628B1 (ko) 공기 조화기
CN210079085U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KR20220079186A (ko) 공기청정기
KR101252636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CN210302846U (zh) 空气净化器
KR102584119B1 (ko)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CN214038658U (zh) 一种新风模块及空调器
CN204345820U (zh) 空气净化器
CN211450514U (zh) 一种拆装方便的洁净灯
CN217441726U (zh) 一种滤网组件、进风机构及吸油烟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