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4142B1 - 원통형 공기 청정기 - Google Patents

원통형 공기 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4142B1
KR102304142B1 KR1020210085595A KR20210085595A KR102304142B1 KR 102304142 B1 KR102304142 B1 KR 102304142B1 KR 1020210085595 A KR1020210085595 A KR 1020210085595A KR 20210085595 A KR20210085595 A KR 20210085595A KR 102304142 B1 KR102304142 B1 KR 1023041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edestal
groove
guide
gri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5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경아
Original Assignee
서경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경아 filed Critical 서경아
Priority to KR1020210085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1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41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41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통형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를 모든 방향으로부터 흡입하여 정화할 수 있고, 흡입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는 원통형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원통형 공기 청정기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반원형 그릴 하단부에 다수의 개구홈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홈을 통하여 공기 청정기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반경방향으로 공기 흡입이 가능하므로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360도 방향으로 공기 흡입이 가능하여, 공기의 흡입면적이 증가되고 흡입용량이 개선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 공기 청정기는 반원형 그릴의 개구홈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원통형 필터를 통과한 후 원통형 필터 내부의 유로와 곧바로 직결되는 팬 수용부의 팬, 토출부의 토출부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어, 공기 청정기의 흡배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 필터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공기가 필터부재 외측의 전 방향에서 필터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흡입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의 공기청정 능력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 필터는 상부가 팬 커버 그릴의 원주면에 의해 밀착 지지되며, 하부는 필터 수용부의 탄성받침대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원통형 필터의 상하면이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되므로, 공기 청정기의 작동시 원통형 필터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원통형 공기 청정기{A cylinder type air cleaner}
본 발명은 원통형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를 모든 방향으로부터 흡입하여 정화할 수 있고, 흡입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는 원통형 공기 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여 정화한 후,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장치로서, 공기 청정기에는 외부의 공기를 공기 청정기의 내부로 유입시키기 위한 송풍장치 및 공기 중 먼지나 세균등을 필터링 할 수 있는 필터가 포함된다.
일반적으로, 공기 청정기는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공간을 정화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 의하면, 그 용량이 제한되어 실내공간 전체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 제한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청정기의 주변의 공기는 정화될 수 있는 반면, 상기 공기 청정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공간의 공기는 정화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공기청정기와 관련하여, 선행기술(공개번호 : KR10-2012-0071992)은 직육면체 형상의 케이스 내부에 팬과 필터와 같은 공기청정 부품을 설치한다. 그리고, 공기 흡입구는 공기청정기의 본체의 측방부 및 하부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는 본체의 상부에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공기청정기를 기준으로, 제한된 방향, 즉 측방 및 하방으로부터 오염된 공기가 흡입되므로, 흡입용량이 적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선행기술의 공기 청정기는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케이스로 인하여 케이스의 모서리부에서 공기 유동이나 흐름이 정체되므로 공기의 흡입을 방해하는 구조적인 저항으로 작용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에 구비되는 팬의 성능을 개선시키는 노력이 있어 왔으나, 팬의 송풍량이 커질수록 팬으로부터 발생되는 소음이 커져 제품에 대한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하여, 선행기술의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 용량이 제한되어 사용자가 공기 청정기를 이동시키면서 사용하는 불편함이 있고, 흡입된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는 구조로 인해 소음이 커지는 문제가 있으며, 공기를 흡입하고 토출하는 전체 에너지 소모가 커지는 문제도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기술은 먼지센서가 구비되는 경우에도 먼지센서가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먼지센서의 청소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공개번호 : KR10-2012-0071992 (2012년 7월 3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공기 청정기 주변의 공기를 모든 방향으로부터 흡입하여 정화할 수 있고, 흡입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는 원통형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통형 공기 필터의 탈부착이 용이하고, 원통형 필터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공기 청정기의 작동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원통형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를 용이하게 청소하고 먼지 센서의 측정 오류를 방지하는 것을 원통형 공기 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은 지면에 놓이는 받침대(100), 받침대(100)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정화하는 원통형 필터(500)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부(200), 필터 수용부(200)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하고 다시 외부로 토출하는 팬(330)이 설치되는 팬 수용부(300), 및 팬 수용부(300) 상부에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400)를 포함하는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는 필터 수용부(200)를 원주상으로 감싸는 복수의 반원형 그릴(600)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 수용부(200)는 원판형상의 필터 받침대(210); 필터 받침대(210)와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 받침대(230); 원형 림(220)의 중앙부에서 탄성 받침대(230)와 결합하고 원형 림(220)의 원주가장자리에서 필터 받침대(210)와 결합하며, 팬 하우징(310)과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대(24)가 배치되는 연결대 연결부(220);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 받침대(230)가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원통형 필터(500)와 접하는 측의 중앙에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의 오목부(521)와 밀착하는 돌출부(232), 돌출부(232) 외측에 돌출부(232)보다 높이가 낮고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의 평면부(522)와 밀착하는 원판 지지대(231), 원판 지지대(231) 외측에 원판 지지대(231)보다 높이가 낮고 연결대 연결부(220)의 원형 림(221)과 결합하는 플랜지(233)를 구비하고,
필터 받침대(210)와 접하는 측의 중앙에 탄성 받침대(23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내부 안내 가이드(234), 내부 안내 가이드(234) 일측에 조립 방향을 가이드하는 내부 조립돌기(235), 내부 안내 가이드(234) 외측으로 복수의 스프링 압축돌기(236)를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 받침대(210)가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탄성 받침대(230)와 접하는 측의 중앙에 탄성 받침대(230)의 내부 안내 가이드(234)가 삽입되는 외부 안내가이드(212), 외부 안내가이드(212) 일측에 조립 방향을 가이드하고 내부 조립돌기(235)가 삽입되는 외부 조립돌기(213), 외부 안내가이드(212) 외측으로 코일 스프링(215)이 설치되는 복수의 스프링 설치통(214), 복수의 스프링 설치통(214) 외측으로 원형 림(221)의 외부 원주벽(222) 내측에 접하는 원주벽(216)을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탄성 받침대(230)의 스프링 압축돌기(236)가 필터 받침대(210)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탄성 받침대(230)의 내부 안내 가이드(234) 및 내부 조립돌기(235)가 필터 받침대(210)의 외부 안내가이드(212) 및 외부 조립돌기(213)에 의해 가이드되어 탄성 받침대(230)가 필터 받침대(210)와 상하방향으로 탄성 유동하며,
탄성 받침대(230)의 상하 이동은 상측에서 원형 림(221)의 원형 림(220)에 의해 제한되고, 하측에서는 탄성 받침대(230)의 내부 안내 가이드(234)에 제한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가 원판 중앙에 오목부(521), 원판 원주면에 평면부(522), 오목부(521)와 평면부(522) 사이에 링 형상의 홈부(523)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덮개(520)의 오목부(521)는 탄성받침대(230)의 돌출부(232)와 밀착하고, 상기 평면부(522)는 탄성받침대(230)의 원판 지지대(231)와 밀착하며, 링 형상의 홈부(523)는 오목부(521)가 탄성받침대(230)의 돌출부(232)에 의해 가압될 때 홈부(523)의 형상을 조절하여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스프링 압축돌기(236)가 상기 필터 받침대(210)의 스프링 설치통(214) 내부로 삽입되는 크기(폭)를 가지는 2개의 평판이 십자가 형상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며, 스프링 설치통(214)의 코일 스프링(215)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스프링과 접하는 2개의 평판 부위에 압축돌기 단턱(237)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토출부(400)의 토출부 하우징(410)에 먼지 센서(460)가 설치되는 커버 설치홈(461)이 형성되고, 커버 설치홈(461)의 일측에 먼지가 포함된 외부 공기가 유통되도록 먼지 유통공(462)이 형성되며, 커버 설치홈(461)의 중앙에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돌기 홈(463)이 형성되고, 광차단 돌기 홈(463)의 중앙에는 외부 광을 완전히 차폐하는 실링재가 삽입되는 실링재 삽입홈(464)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 공기 청정기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되는 반원형 그릴을 통하여 공기 청정기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반경방향으로 공기 흡입이 가능하므로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360도 방향으로 공기 흡입이 가능하여, 공기의 흡입면적이 증가되고 흡입용량이 개선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는 효과가 나타난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 공기 청정기는 반원형 그릴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원통형 필터를 통과한 후 원통형 필터 내부의 유로와 곧바로 직결되는 팬 수용부의 팬, 토출부의 토출부 통로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어, 공기 청정기의 흡배기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 필터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공기가 필터부재 외측의 전 방향에서 필터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흡입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의 공기청정 능력이 개선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 필터는 상부가 팬 커버 그릴의 원주면에 의해 밀착 지지되며, 하부는 필터 수용부의 탄성받침대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원통형 필터의 상하면이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되므로, 공기 청정기의 작동시 원통형 필터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 발생이 최소화되는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원통형 필터는 외부에서 공기 청정기의 반경방향으로 삽입되어 필터 수용부에 장착될 수 있고, 필터 상부에 손잡이를 이용하여 필터 수용부에서 반경방향으로 분리할 수 있으므로, 필터 착탈을 위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공기 오염도를 측정하는 먼지 센서가 토출부 하우징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용이하게 접근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먼지 센서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먼지 센서를 커버하는 먼지 센서 커버를 구비하고, 먼지 센서 커버는 광차단 돌기 및 광차단 실링재를 구비하며, 먼지 센서가 설치되는 토출부 하우징에는 광차단돌기 홈이 먼지 센서 바로 위에 형성되어, 먼지 센서 커버의 광차단 돌기 및 광차단 실링재가 상기 토출부 하우징의 광차단돌기 홈에 삽입되어 먼지 센서를 차폐하므로, 외부 광이 먼지 센서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먼지 센서의 오작동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공기 청정기의 외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공기 청정기의 내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필터와 필터 받침대의 결합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통형 필터의 하부 덮개에 대한 상세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형 그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그릴 걸림부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원형 그릴의 걸림고리와 그릴 걸림부의 결합 작동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 받침대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 받침대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탄성받침대와 필터 받침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토출부 하우징에 형성되는 먼지 센서 및 먼지 센서 커버(상면측)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먼지 센서 커버(하면측)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는 지면에 놓이는 받침대(100), 받침대(100)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정화하는 원통형 필터(500)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부(200), 필터 수용부(200)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하고 다시 외부로 토출하는 팬(330)이 설치되는 팬 수용부(300), 및 팬 수용부(300) 상부에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40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는 필터 수용부(200)를 원주상으로 감싸는 복수의 반원형 그릴(600)을 구비하고, 복수의 반원형 그릴(600)은 필터 수용부(200)의 연결대(240)에 형성된 그릴 걸림부(250)에 탄성 결합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도구나 체결수단이 없이 상기 반원형 그릴(600)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의 필터 수용부(200)는 원판형상의 필터 받침대(210), 필터 받침대(210)와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 받침대(230), 원형 림(220)의 중앙부(반경방향)에서 탄성 받침대(230)와 결합하고 원형 림(220)의 원주가장자리에서 필터 받침대(210)와 결합하며, 팬 하우징(310)과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대(240)가 배치되는 연결대 연결부(22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의 팬 수용부(300)는 중앙(반경방향)에 공간부를 구비하는 원통형의 팬 하우징(310), 팬 하우징(310)의 상부에 팬 모터 설치그릴(321)에 의해 설치되되 팬(330)이 필터 수용부(200)를 향하도록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 및 토출하는 팬 모터(320), 필터 수용부(200)측으로 팬 하우징(310) 하단부에 설치되는 팬 커버 그릴(331), 팬(330)과 팬 모터 설치그릴(321) 사이의 팬 하우징(310)에 설치되어 토출부(400)측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 가이드(33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의 토출부(400)는 중앙(반경방향)에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 통로(420)가 형성되는 토출부 하우징(410), 토출부 하우징(410)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토출부 커버(430), 토출부 커버(430)에서 토출부 통로(420)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토출 루버(431), 토출부 커버(430)에서 토출 루버(431) 외측에 배치되어 공기 청정기의 풍량, 작동 모드, 전원을 조절하는 조작부(440), 토출부 하우징(410)의 외측 원주면에 설치되는 먼지 센서(460), 먼지 센서(460)를 차폐하는 먼지 센서 커버(4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필터 수용부(200)는 원통형 필터(500)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공기 청정기의 작동시 원통형 필터(500)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 진동을 최소화하도록 한다.
도 2,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은 원통형 필터(500)의 상부 덮개(510)가 팬 커버 그릴(331)의 원주 하부면에 의해 밀착 지지되도록 하고,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가 필터 수용부(200)의 탄성받침대(230)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되어 원통형 필터(500)의 상하면이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되도록 한다.
도 3에 의하면 필터 수용부(200)의 탄성받침대(230)는 연결대 연결부(220)의 원형 림(221) 상부로 돌출되도록 연결대 연결부(220)와 결합되고, 연결대 연결부(220)는 필터 받침대(210)와 체결홀(242)의 체결나사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도 4에 의하면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는 전체적으로 원판형상이고, 상기 탄성받침대(230)와 결합하도록 원판 중앙에 오목부(521), 원판 원주면에 평면부(522), 오목부(521)와 평면부(522) 사이에 링 형상의 홈부(523)를 구비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하부 덮개(520)의 오목부(521)는 도 8에서 후술할 탄성받침대(230)의 돌출부(232)와 밀착하고, 상기 평면부(522)는 탄성받침대(230)의 원판 지지대(231)와 밀착하며, 링 형상의 홈부(523)는 오목부(521)가 탄성받침대(230)의 돌출부(232)에 의해 가압될 때 별도의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원통형 필터(500)는 도 3과 같이 외부에서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의 반경 방향으로 삽입되어 필터 수용부(200)에 설치되고, 또한 동일하게 반경방향으로 필터 손잡이(530)를 외측으로 잡아 당겨 필터 수용부(200)에서 분리가 가능하므로 필터 착탈을 위한 사용자 편의성이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도 3과 같이 원통형 필터(500)가 반경방향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원통형 필터(500)의 상부 덮개(510)는 팬 커버 그릴(331)의 원주 하부면과 밀착하면서 삽입되고,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는 연결대 연결부(220)의 원형 림(221) 위로 돌출된 탄성 받침대(230)을 아랫방향으로 누르면서 원통형 필터(500)가 삽입되므로, 원통형 필터(500)의 상하면이 유격이 없이 안정적으로 밀착 지지되어 공기 청정기의 작동시에도 팬 구동으로 인한 진동 소음 발생이 방지된다.
도 5에 의하여 반원형 그릴(600)을 상세히 설명하면, 필터 수용부(200)를 감싸는 반원형 그릴 몸체(610); 반원형 그릴 몸체(610)에 형성되는 그릴 루버(620); 반원형 그릴 몸체(610)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개구홈(611); 반원형 그릴 몸체(610)의 단부에 지면에 수직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그릴 단부(612); 그릴 단부(612)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고리(613);를 포함한다.
또한 반원형 그릴(600) 상부에는 팬 수용부(300)를 원주방향으로 감싸는 복수의 반원형 커버(630)가 분리 가능하도록 설치되고, 반원형 커버(630)에는 먼지 센서로 외부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기공(614)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는 필터 수용부(200)를 감싸는 부위에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개구홈(611)이 형성되고, 상기 개구홈(611)을 통하여 공기 청정기 외주면 전체에 걸쳐서 반경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므로, 공기 청정기를 기준으로 360도 방향으로 공기 흡입이 가능하여 공기의 흡입면적이 증가되고 흡입용량이 개선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앉아있거나 서 있더라도 그 주변의 공기를 충분히 흡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는 도 2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반원형 그릴(600)의 개구홈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원통형 필터(500)를 통과한 후 원통형 필터(500) 내부 유로(540)와 곧바로 직결되는 팬 수용부(300)의 팬(330), 토출부(400)의 토출부 통로(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므로, 흡입된 공기가 공기 청정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저항이 최소화되어, 공기 청정기의 흡배기 효율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의 원통형 필터(500)는 원통형으로 구비되어, 공기가 필터부재 외측의 전 방향에서 필터부재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으므로, 흡입면적이 증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필터의 공기청정 능력이 개선된다.
본 발명의 원통형 필터(500)는 프리필터, 알레르겐필터, 헤파필터, 탈취필터 등이 일체형으로 압축되어 내장된다. 상기 프리필터는 맨 앞측에 설치되어, 공기 중의 비교적 큰 먼지를 걸러내는 한편, 항균기능도 담당하게 된다.
상기 알레르겐필터는 알레르기(Allergy)를 일으키는 알레르겐을 흡착하여 분해하는 필터로, 상기 프리필터의 후측에 설치된다. 상기 헤파필터는 에어(air)필터로, 공기 중의 미세먼지는 물론, 분진, 진드기 사체, 꽃가루, 담배연기(입자), 부유곰팡이균, 동물털 등과 같은 미세입자를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탈취필터는 이중으로 구성되어 상기 헤파필터의 후측에 설치되는 종합 탈취필터로, 공기중의 담배연기(냄새), 생활악취, 음식쓰레기 냄새, 화장실 악취 등과 같은 다양한 냄새를 제거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본 발명의 원통형 필터(500)는 공기 중의 미세먼지와 유해가스는 물룬 극 초미세먼지까지 99.8% 이상 제거하고, 2중 탈취필터로 각종 생활냄새를 96% 이상 제거한다.
다음에는 도 2, 5, 6, 7을 통해 반원형 그릴(600)이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에 탈부착되는 구성 및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2와 같이 필터 수용부(200)의 연결대(240)에는 복수의 그릴 걸림부(250)가 형성되고, 복수의 반원형 그릴(600)은 걸림고리(613)가 그릴 걸림부(250)에 탄성 결합되어 사용자가 별도의 도구나 체결수단이 없이 상기 반원형 그릴(600)을 용이하게 탈부착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반원형 그릴(600)의 그릴 몸체(610)의 반경(r)은 필터 수용부(200)의 연결대(240)가 배치되는 원형 림(220), 즉 원형 림(241)의 반경(R)보다 약간 작게, 즉 반경(r)은 반경(R)보다 1% 내지 10% 작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반원형 그릴(600)의 걸림고리가 연결대(240)의 그릴 걸림부(250)에 삽입될 때 반원형 그릴(600)의 그릴 몸체(610)가 벌어지면서 그릴 걸림부(250)에 탄력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6에 의하여 그릴 걸림부(250)를 설명하면, 그릴 걸림부(250)는 직사각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4개의 걸림홈 외벽(251), 좌우측의 걸림홈 외벽(251)과 각각 이격되게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2개의 걸림홈 내벽(252), 2개의 걸림홈 내벽(252)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253), 각 걸림홈 내벽(252)과 각 걸림홈 외벽(251) 사이에 형성되는 미끄럼 유도벽(254)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걸림홈 내벽(252)의 높이는 각 걸림홈 외벽(251)보다 낮게 형성되어, 미끄럼 유도벽(254)의 경사면이 걸림홈 외벽(251)과 접하는 측이 높고, 걸림홈 내벽(252)과 접하는 측이 낮게 형성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걸림고리(613)가 미끄럼 유도벽(254)의 경사면을 따라 걸림홈 외벽(251)으로부터 걸림홈 내벽(252)으로 슬라이딩하여 걸림홈(253)에 삽입된다.
상기 걸림홈(253)은 걸림고리(613)와 대응되는 형상을 구비하고, 예를 들어 걸림고리(613)가 U 자형이면 걸림홈(253)도 동일하게 U 자형 홈을 형성하여, 걸림고리(613)가 걸림홈(253)과 결합이 용이하게 한다.
도 7을 통하여 걸림고리(613)가 걸림홈(253)과 결합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반원형 그릴 몸체(610)의 걸림고리(613)를 그릴 걸림부(250)의 걸림홈 외벽(251)에 맞춘 상태에서 반원형 그릴 몸체(610)을 공기 청정기의 반경방향으로 누르면, 반원형 그릴 몸체(610)가 탄성적으로 벌어지면서 걸림고리(613)가 미끄럼 유도벽(254)의 경사면을 따라 걸림홈 외벽(251)으로부터 걸림홈 내벽(252)으로 슬라이딩하여 걸림홈(253)에 삽입된다. 걸림고리(613)가 걸림홈(253)에 삽입된 이후에는 반원형 그릴 몸체(610)의 탄성력에 의하여 걸림고리(613)가 걸림홈(253)에 고정되어 반원형 그릴(600)이 공기 청정기에 고정된다.
사용자가 반원형 그릴(600)을 공기 청정기로부터 분리하려면, 반원형 그릴 몸체(610)를 붙잡고 반경방향으로 잡아 당기면, 걸림고리(613)가 걸림홈(253)으로부터 이탈되어 반원형 그릴(600)이 공기 청정기로부터 용이하게 분리된다.
다음에는 도 8 내지 10을 통하여 필터 받침대(210)와 탄성 받침대(230)의 구성 및 결합 과정을 설명한다.
도 8에 의하면 본 발명의 탄성 받침대(23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원통형 필터(500)와 접하는 측의 중앙에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의 오목부(521)와 밀착하는 돌출부(232), 돌출부(232) 외측에 돌출부(232)보다 높이가 낮고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의 평면부(522)와 밀착하는 원판 지지대(231), 원판 지지대(231) 외측에 원판 지지대(231)보다 높이가 낮고 연결대 연결부(220)의 원형 림(221)과 결합하는 플랜지(233)를 구비한다.
또한 탄성 받침대(230)는 필터 받침대(210)와 접하는 측의 중앙에 탄성 받침대(23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내부 안내 가이드(234), 내부 안내 가이드(234) 일측에 조립 방향을 가이드하는 내부 조립돌기(235), 내부 안내 가이드(234) 외측으로 복수의 스프링 압축돌기(236)를 구비한다.
상기 스프링 압축돌기(236)는 후술할 필터 받침대(210)의 스프링 설치통(214) 내부로 삽입될 정도의 크기(폭)를 가지는 2개의 평판이 십자가 형상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며, 스프링 설치통(214)의 코일 스프링(215)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스프링과 접하는 2개의 평판 부위에 압축돌기 단턱(237)이 형성된다. 압축돌기 단턱(237)에서 단턱의 수평부는 코일 스프링(215) 상부를 가압하고 단턱의 수직부는 코일 스프링(215) 내부로 삽입되어 코일 스프링(215)의 좌우 흔들림이나 코일 스프링(215)이 스프링 압축돌기(236)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도 9에 의하면 본 발명의 필터 받침대(21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탄성 받침대(230)와 접하는 측의 중앙에 탄성 받침대(230)의 내부 안내 가이드(234)가 삽입되는 외부 안내가이드(212), 외부 안내가이드(212) 일측에 조립 방향을 가이드하고 내부 조립돌기(235)가 삽입되는 외부 조립돌기(213), 외부 안내가이드(212) 외측으로 코일 스프링(215)이 설치되는 복수의 스프링 설치통(214), 복수의 스프링 설치통(214) 외측으로 연결대 연결부(220)의 외부 원주벽(222) 내측에 접하는 원주벽(216)을 구비한다.
도 10을 통하여 필터 받침대(210)와 연결대 연결부(220)와 탄성 받침대(230)의 결합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탄성 받침대(230)의 원판 지지대(231)와 돌출부(232)를 상측으로 하여 연결대 연결부(220)의 원형 림(221) 중앙의 통공 사이로 탄성 받침대(230)를 삽입하여 원판 지지대(231)와 돌출부(232)가 원형 림(220) 위로 돌출되도록 결합한다. 이때 탄성 받침대(230)의 플랜지(233)는 연결대 연결부(220) 하면과 접하여 탄성 받침대(230)가 연결대 연결부(220) 상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 상태에서 연결대 연결부(220)의 외부 원주벽(222) 내부로 필터 받침대(210)의 원주벽(216)이 삽입되도록 하는 동시에, 탄성 받침대(230)의 내부 안내 가이드(234), 내부 조립돌기(235), 스프링 압축돌기(236)가 각각 필터 받침대(210)의 외부 안내가이드(212), 외부 조립돌기(213), 스프링 설치통(214)과 일치하여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탄성 받침대(230)의 내부 안내 가이드(234)가 필터 받침대(210)의 외부 안내가이드(212)보다 높이가 높게 형성되어, 탄성 받침대(230)의 상하 유동 거리를 제한한다.
다음에 원형 림(221)의 체결홀(223) 내부로 필터 받침대(210)의 체결통(218)이 삽입되도록 한 후 체결나사로 연결대 연결부(220)와 필터 받침대(210)를 조립한다.
이러한 결합 구조로 인하여, 탄성 받침대(230)는 연결대 연결부(220)의 원형 림 중앙부에서 필터 받침대(210)와 상하방향으로 탄성 유동이 가능하고, 연결대 연결부(220)와 필터 받침대(210)는 나사체결되어 서로 유동이 불가능하다.
즉, 탄성 받침대(230)의 스프링 압축돌기(236)가 필터 받침대(210)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탄성 받침대(230)의 내부 안내 가이드(234) 및 내부 조립돌기(235)가 필터 받침대(210)의 외부 안내가이드(212), 외부 조립돌기(213)에 의해 가이드되어 탄성 받침대(230)가 필터 받침대(210)와 상하방향으로 탄성 유동이 가능해진다.
또한, 탄성 받침대(230)의 상하 이동은 상측에서 연결대 연결부(220)의 원형 림(221)에 의해 제한되고, 하측에서는 탄성 받침대(230)의 내부 안내 가이드(234)에 제한된다.
도 3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통형 필터(500)가 반경방향으로 삽입되는 과정에서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가 연결대 연결부(220)의 원형 림(241) 위로 돌출된 탄성 받침대(230)를 아랫방향으로 누르면서 원통형 필터(500)가 삽입되므로,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가 탄성 받침대(230)와 밀착하여 탄력 지지될 뿐만이 아니라,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하부 덮개(520)의 오목부(521)가 탄성받침대(230)의 돌출부(232)에 의해 가압되어 별도의 탄성력을 제공하므로, 결과적으로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를 탄성 지지하는 수단이 탄성 받침대(230) 및 홈부(523), 2개의 구성으로 형성된다.
그런데 상기 하부 덮개(520)의 오목부(521)가 탄성받침대(230)의 돌출부(232)에 의해 가압될 때의 탄성력이 링 형상의 홈부(523)의 형상, 즉 홈부의 깊이나 폭을 변경하여 조절되므로, 원통형 필터(500)의 탄성 지지력을 탄성받침대(230)에 탄성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215)의 탄성계수 및 홈부(523)의 형상(깊이, 폭)을 조절하여 용이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지지력의 조절로 인하여 또한 공기 청정기의 작동으로 인한 원통형 필터(500)의 진동 소음 발생을 용이하게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를 가압하는 탄성력을 받침대(230)의 코일 스프링의 탄성계수를 조절하여 변경하고, 만일 필터 수용부에 설치된 원통형 필터(500)가 공기 청정기의 작동 범위, 즉 팬의 회전속도 범위내 또는 외부 진동으로 인하여 공진되어 진동 소음이 발생한다면, 추가로 하부 덮개(520)의 링 형상의 홈부(523)의 형상을 조절하여 하부 덮개(520)의 오목부(521)로 인한 탄성력(또는 형상변경으로 인한 탄성계수)을 조절하여, 원통형 필터(500)의 진동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에는 도 11, 12를 통하여 먼지 센서(460) 및 먼지 센서 커버(450)을 설명한다.
먼지 센서(460)는 장시간 사용에 의해 먼지 등의 이물에 의해 표면이 오염되므로, 일정 기간 사용 후에는 먼지 센서(460)의 내부 렌즈(Lens)를 청소하여야 먼지 측정 오류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1과 같이 본 발명은 먼지 센서(460)가 토출부 하우징(410)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용이하게 접근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먼지 센서(460)를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먼지 센서(460)는 광센서를 사용하여 공기중의 먼지량을 측정하는 센서(sensor)인데, 외부의 빛이 상기 먼지 센서(460)로 유입되면, 먼지 센서(460)의 오작동이 일어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먼지 센서(460)로 외부 광이 직접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먼지 센서(460)가 설치된 부위를 커버하는 먼지 센서 커버(450)가 토출부 하우징(410)에 설치된다.
도 11(a)는 먼지 센서 커버(450)가 제거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이고, 도 11(b)는 먼지 센서 커버(450)가 커버 설치홈(461)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것으로, 토출부 하우징(410)에는 먼지 센서(460)가 설치된 상부에 먼지 센서 커버(450)가 설치되는 커버 설치홈(461)이 형성되고, 커버 설치홈(461)의 일측에 먼지가 포함된 외부 공기가 유통되도록 먼지 유통공(462)이 형성되며, 커버 설치홈(461)의 중앙에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돌기 홈(463)이 형성되고, 광차단 돌기 홈(463)의 중앙에는 외부 광을 완전히 차폐하는 실링재가 삽입되는 실링재 삽입홈(464)가 형성된다.
도 12에 의하면, 먼지 센서 커버(450)는 먼지 센서(460)와 접하는 면에 광차단 돌기(452)가 형성되고, 광차단 돌기(452) 중앙에는 광차단 실링재(453)이 구비되며, 먼지 센서 커버(450)의 상하 양측에는 먼지가 포함된 외부 공기가 유통되는 커버 먼지 유통공(451)이 형성되고, 먼지 센서 커버(450)의 우측 단부에는 체결고리(454)가 형성되며, 먼지 센서 커버(450)의 좌측 단부에는 힌지(455)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서 먼지 센서 커버(450)가 커버 설치홈(461)에 결합되면, 먼지 센서 커버(450)의 광차단 돌기(452) 및 광차단 실링재(453)가 각각 광차단 돌기 홈(463) 및 실링재 삽입홈(464)에 삽입되어, 외부 광이 직접 먼지 센서(460)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먼지 센서 커버(450)가 커버 설치홈(461)에 결합되면, 먼지 센서 커버(450)의 커버 먼지 유통공(451)이 토출부 하우징의 먼지 유통공(462)과 연통하도록 위치하며, 커버 먼지 유통공(451) 및 먼지 유통공(462)에는 반원형 그릴 몸체(610) 상부에 형성된 복수의 통기공(614)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유동한다.
바람직하게는, 먼지 센서 커버(450)의 커버 먼지 유통공(451)은 폭이 좁고 긴 홈 형상을 구비하고, 토출부 하우징의 먼지 유통공(462)은 커버 먼지 유통공(451)보다 폭은 넓지만 길이가 매우 작은 형상을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도 11(b)와 같이, 먼지 센서 커버(450)가 커버 설치홈(461)에 결합되는 경우에 외부 광이 커버 먼지 유통공(451)이나 먼지 유통공(462)을 통해 유입되는 것은 최대한 억제하면서, 먼지를 함유한 외부 공기가 폭이 좁고 긴 커버 먼지 유통공(451)을 따라 먼지 유통공(462)으로 가이드되어 공기 유입량을 증가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공기 청정기는 먼지 센서(460)와 더불어 냄새를 감지하는 가스센서를 더 추가하여, 미세먼지 및 실내 냄새를 같이 종합적으로 토출부(400)에 실내 오염상태를 종합적으로 표시하는 표시등을 설치한다. 상기 표시등은 실내 오염 상태에 따라 토출부(400)를 적색, 황색, 녹색, 청색 4가지로 표시하여 사용자가 외부에서 토출부(400)의 표시등을 통해 실내 오염 상태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할 수 있음이 명백하다.
100: 받침대 200: 필터 수용부
210: 필터 받침대 211: 원판
212: 외부 안내가이드 213: 외부 조립돌기
214: 스프링 설치통 215: 스프링
216: 원주벽 217: 플랜지
218: 체결통
220: 연결대 연결부 221: 원형 림
222: 외부 원주벽 223: 체결홀
230: 탄성 받침대 231: 원판 지지대
232: 돌출부 233: 플랜지
234: 내부 안내가이드 235: 내부 조립돌기
236: 스프링 압축돌기 237: 압축돌기 단턱
240: 연결대 250: 그릴 걸림부
251: 걸림홈 외벽 252: 걸림홈 내벽
253: 걸림홈 254: 미끄럼 유도벽
300: 팬 수용부 310: 팬 하우징
320: 팬 모터 321: 팬 모터 설치 그릴
330: 팬 331: 팬 커버 그릴
332: 토출 가이드
400: 토출부 410: 토출부 하우징
420: 토출부 통로 430: 토출부 커버
431: 토출 루버 440: 조작부
450: 먼지센서 커버 451: 먼지 유통홈
452: 광 차단돌기 453: 광차단 실링재
454: 체결고 455: 힌지
460: 먼지센서 461: 커버 설치홈
462: 먼지 유통공
463: 광 차단돌기 홈 464: 실링재 삽입홈
465: 체결홈 466: 힌지 홈
500: 원통형 필터 510: 상부 덮개
520: 하부 덮개 521: 오목부
522: 평면부 523: 홈부
524: 측면부 530: 손잡이
540: 내부 유로 600: 반원형 그릴
610: 그릴 몸체 620: 그릴 루버
611: 개구홈 612: 그릴 단부
613: 걸림고리 614: 통기공
630: 반원형 커버

Claims (10)

  1. 지면에 놓이는 받침대(100), 받침대(100) 상부에 설치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고 정화하는 원통형 필터(500)를 수용하는 필터 수용부(200), 필터 수용부(200)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 공기의 흡입력을 발생하고 다시 외부로 토출하는 팬(330)이 설치되는 팬 수용부(300), 및 팬 수용부(300) 상부에 설치되어 정화된 공기를 토출하는 토출부(400)를 포함하는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는 필터 수용부(200)를 원주상으로 감싸는 복수의 반원형 그릴(600)을 구비하고,
    상기 필터 수용부(200)는 원판형상의 필터 받침대(210); 필터 받침대(210)와 탄성적으로 결합하는 탄성 받침대(230); 연결대 연결부(220)의 중앙부에서 탄성 받침대(230)와 결합하고 연결대 연결부(220)의 원주가장자리에서 필터 받침대(210)와 결합하며, 팬 하우징(310)과 연결되는 복수의 연결대(24)가 배치되는 연결대 연결부(220);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 받침대(23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원통형 필터(500)와 접하는 측의 중앙에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의 오목부(521)와 밀착하는 돌출부(232), 돌출부(232) 외측에 돌출부(232)보다 높이가 낮고 원통형 필터(500)의 하부 덮개(520)의 평면부(522)와 밀착하는 원판 지지대(231), 원판 지지대(231) 외측에 원판 지지대(231)보다 높이가 낮고 연결대 연결부(220)의 원형 림(221)과 결합하는 플랜지(233)를 구비하고,
    필터 받침대(210)와 접하는 측의 중앙에 탄성 받침대(230)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내부 안내 가이드(234), 내부 안내 가이드(234) 일측에 조립 방향을 가이드하는 내부 조립돌기(235), 내부 안내 가이드(234) 외측으로 복수의 스프링 압축돌기(236)를 구비하며,
    필터 받침대(210)는 전체적으로 원판 형상으로, 탄성 받침대(230)와 접하는 측의 중앙에 탄성 받침대(230)의 내부 안내 가이드(234)가 삽입되는 외부 안내가이드(212), 외부 안내가이드(212) 일측에 조립 방향을 가이드하고 내부 조립돌기(235)가 삽입되는 외부 조립돌기(213), 외부 안내가이드(212) 외측으로 코일 스프링(215)이 설치되는 복수의 스프링 설치통(214), 복수의 스프링 설치통(214) 외측으로 원형 림(221)의 외부 원주벽(222) 내측에 접하는 원주벽(216)을 구비하고,
    상기 탄성 받침대(230)의 스프링 압축돌기(236)가 필터 받침대(210)의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성지지되고, 탄성 받침대(230)의 내부 안내 가이드(234) 및 내부 조립돌기(235)가 필터 받침대(210)의 외부 안내가이드(212) 및 외부 조립돌기(213)에 의해 가이드되어 탄성 받침대(230)가 필터 받침대(210)와 상하방향으로 탄성 유동하며,
    탄성 받침대(230)의 상하 이동은 상측에서 연결대 연결부(220)의 원형 림(221)에 의해 제한되고, 하측에서는 탄성 받침대(230)의 내부 안내 가이드(234)에 제한되는 것이 특징인,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원통형 필터(500)는 하부 덮개(520)가 원판 중앙에 오목부(521), 원판 원주면에 평면부(522), 오목부(521)와 평면부(522) 사이에 링 형상의 홈부(523)를 구비하여,
    상기 하부 덮개(520)의 오목부(521)는 탄성받침대(230)의 돌출부(232)와 밀착하고, 상기 평면부(522)는 탄성받침대(230)의 원판 지지대(231)와 밀착하며, 링 형상의 홈부(523)는 오목부(521)가 탄성받침대(230)의 돌출부(232)에 의해 가압될 때 홈부(523)의 형상을 조절하여 탄성력을 조절하는 것이 특징인,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압축돌기(236)는 상기 필터 받침대(210)의 스프링 설치통(214) 내부로 삽입되는 크기(폭)를 가지는 2개의 평판이 십자가 형상으로 조립되어 형성되며, 스프링 설치통(214)의 코일 스프링(215) 내부에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스프링과 접하는 2개의 평판 부위에 압축돌기 단턱(237)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출부(400)의 토출부 하우징(410)에 먼지 센서(460)가 설치되는 커버 설치홈(461)이 형성되고, 커버 설치홈(461)의 일측에 먼지가 포함된 외부 공기가 유통되도록 먼지 유통공(462)이 형성되며, 커버 설치홈(461)의 중앙에 외부 광의 유입을 차단하는 광차단 돌기 홈(463)이 형성되고, 광차단 돌기 홈(463)의 중앙에는 외부 광을 완전히 차폐하는 실링재가 삽입되는 실링재 삽입홈(464)가 형성되는 것이 특징인,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 그릴(600)은 필터 수용부(200)를 감싸는 반원형 그릴 몸체(610); 반원형 그릴 몸체(610)에 형성되는 그릴 루버(620); 반원형 그릴 몸체(610)에 형성되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복수의 개구홈(611); 반원형 그릴 몸체(610)의 단부에 지면에 수직하게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그릴 단부(612); 그릴 단부(612)에 형성되는 복수의 걸림고리(613);를 포함하고,
    반원형 그릴(600)의 그릴 몸체(610)의 반경(r)은 필터 수용부(200)의 연결대(240)가 배치되는 원형 림(241)의 반경(R)보다 1% 내지 10% 작게 형성되어, 반원형 그릴(600)의 걸림고리(613)가 필터 수용부(200)의 연결대(240)에 형성된 그릴 걸림부(250)에 삽입될 때 반원형 그릴(600)의 그릴 몸체(610)가 벌어지면서 그릴 걸림부(250)에 탄성 결합되는 것이 특징인,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반원형 그릴(600)의 개구홈(611)으로 유입된 외부 공기가 원통형 필터(500)를 통과한 후 원통형 필터(500) 내부 유로(540)와 곧바로 직결되는 팬 수용부(300)의 팬(330), 토출부(400)의 토출부 통로(4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이 특징인,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그릴 걸림부(250)는 직사각형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4개의 걸림홈 외벽(251); 좌우측의 걸림홈 외벽(251)과 각각 이격되게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2개의 걸림홈 내벽(252); 2개의 걸림홈 내벽(252)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253); 각 걸림홈 내벽(252)과 각 걸림홈 외벽(251) 사이에 형성되는 미끄럼 유도벽(254);을 포함하고,
    각 걸림홈 내벽(252)의 높이는 각 걸림홈 외벽(251)보다 낮게 형성되어 미끄럼 유도벽(254)의 경사면이 걸림홈 외벽(251)과 접하는 측이 높고, 걸림홈 내벽(252)과 접하는 측이 낮게 형성되어, 걸림고리(613)가 미끄럼 유도벽(254)의 경사면을 따라 걸림홈 외벽(251)으로부터 걸림홈 내벽(252)으로 슬라이딩하여 걸림홈(253)에 삽입되는 것이 특징인,
    원통형 공기 청정기(1000).
KR1020210085595A 2021-06-30 2021-06-30 원통형 공기 청정기 KR1023041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595A KR102304142B1 (ko) 2021-06-30 2021-06-30 원통형 공기 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85595A KR102304142B1 (ko) 2021-06-30 2021-06-30 원통형 공기 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142B1 true KR102304142B1 (ko) 2021-09-17

Family

ID=77924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5595A KR102304142B1 (ko) 2021-06-30 2021-06-30 원통형 공기 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41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6283A (zh) * 2021-11-04 2022-09-13 韩亚工具株式会社 一种过滤器外露的空气净化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403U (ko) * 2007-08-07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20071992A (ko) 2010-12-23 2012-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70141583A (ko)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194242B1 (ko) * 2020-06-30 2020-12-24 최재원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1403U (ko) * 2007-08-07 2009-02-11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20071992A (ko) 2010-12-23 2012-07-0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KR20170141583A (ko) * 2016-06-15 2017-1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청정기
KR102194242B1 (ko) * 2020-06-30 2020-12-24 최재원 사물함형 공기정화기와 실내공기 정화시스템 그리고 실내공기 정화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6283A (zh) * 2021-11-04 2022-09-13 韩亚工具株式会社 一种过滤器外露的空气净化器
CN115046283B (zh) * 2021-11-04 2024-01-02 韩亚工具株式会社 一种过滤器外露的空气净化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72835B1 (ko) 공기 청정기
US9089248B2 (en) Fan motor apparatus having diffuser unit for vacuum cleaner
KR101606890B1 (ko) 디퓨저유닛을 구비한 진공청소기의 팬모터 장치
JP4390738B2 (ja) 空気清浄機
KR20170140578A (ko) 공기 청정기
KR20160099145A (ko) 공기청정기
KR102304142B1 (ko) 원통형 공기 청정기
KR101938647B1 (ko) 공기 청정기
TW202031337A (zh) 畫框式空氣清淨機
CN112205921B (zh) 吸尘器
CN210107505U (zh) 抽油烟机
CN217559916U (zh) 抽油烟机
CN215216566U (zh) 一种管道式新风系统用进风口防尘装置
KR101809408B1 (ko) 공기 청정기
KR101809407B1 (ko) 공기 청정기
KR20210018161A (ko) 공기청정기
CN100374786C (zh) 空气净化器
CN219454202U (zh) 空气净化器
CN220152807U (zh) 吸油烟机
JP2006289169A (ja) 空気清浄機
CN111811001A (zh) 抽油烟机
WO2023226326A1 (zh) 抽油烟机
CN117167790A (zh) 抽油烟机
CN212252957U (zh) 一种活性炭空气净化器
CN211924348U (zh) 一种具有杀灭h1n1病毒的空气滤清器网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