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4119B1 -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4119B1
KR102584119B1 KR1020220033748A KR20220033748A KR102584119B1 KR 102584119 B1 KR102584119 B1 KR 102584119B1 KR 1020220033748 A KR1020220033748 A KR 1020220033748A KR 20220033748 A KR20220033748 A KR 20220033748A KR 102584119 B1 KR102584119 B1 KR 102584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filter
clip
air supply
air purifi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36267A (ko
Inventor
윤용철
Original Assignee
윤용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용철 filed Critical 윤용철
Priority to KR1020220033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4119B1/ko
Publication of KR20230136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36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4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4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magne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 F24F7/10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with air supply, or exhaust, through perforated wall, floor or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36Modules, e.g. for an easy mounting or transpo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의 전기설비를 설치할 필요없이 실내 건축물의 환기설비를 통해 실내 천정의 급기구로 공급되는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Non-power air purifier for ceiling diffuser}
본 발명은 별도의 전기설비를 설치할 필요없이 실내 건축물의 환기설비를 통해 실내 천정의 급기구로 공급되는 외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효과적으로 필터링할 수 있는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란 눈에 보이지 않을 만큼 매우 작기 때문에 공기 중에 머물러 있다 호흡기를 거쳐 폐 등에 침투하거나 혈관을 따라 체내로 이동하여 들어감으로써 건강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공기로, 최근 공기정화에 대한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아파트 등의 공동주택에는 실내의 오염된 공기를 여과하여 쾌적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급배기용 환기장치가 구비된 환기장치가 설치된다.
종래의 환기장치는 실외로부터 외기를 흡입하여 공동주택의 곳곳의 천정에 형성된 급기구를 통해 외기를 실내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환기장치를 통해 외기의 먼지와 여러 해충이 실내로 유입되거나, 덕트에 쌓인 이물질이 외기와 함께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급기구에 부직포 형태의 필터를 설치하여 운용하고 있는데, 입자가 큰 먼지는 필터에 걸러지지만 입자가 작은 미세먼지나 초미세먼지는 필터링되지 못한 채 실내로 유입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필터에 먼지가 쌓이면 먼지가 필터의 공극을 막아 외기가 제대로 실내로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서, 급기구에 전기시설인 팬을 설치하여 강제로 외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직포 형태의 필터는 대기 중의 미세먼지와 초미세먼지를 거를 수 없고, 이러한 미세먼지와 초미세 먼지를 거를 수 있는 헤파필터를 설치하면 공극이 너무 작고, 먼지에 쉽게 막혀 팬과 같이 별도의 전기시설을 설치하여야 하므로 설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2233487호, "급기구 장착형 필터모듈" 문헌 2.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20-0066935호,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문헌 3.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제10-0640825호, "환기장치" 문헌 4. 대한민국특허청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106836호, "건물 환기 시스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별도의 전기시설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건축물 천정 급기구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환기설비를 통해 급기구로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는 파이프 형태의 몸체 하부에 수평의 플랜지(121)가 형성되어 천정패널(10)의 급기구에 삽입되는 하우징(120); 상기 플랜지(121)에 형성되어 하우징(120)을 천정패널(10)에 체결, 고정하는 고정구(130); 영구정전기를 갖는 띠 형태의 합성수지 필름(111)이 롤 형태로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삽입되는 필터(110); 및 체결수단으로 상기 하우징(120)에 체결되어 필터(110)를 하우징(120) 내부에 고정시키는 커버(15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필터(110)의 필름(111)은 표면에 엠보싱(112)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커버(150)에는 방사상으로 하부 지지구(151)가 형성됨으로써, 필터(110)가 하부 지지구(151)에 지지되어 하우징(120)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130)는 플랜지(121)에 천공된 클립 삽입구(131); 상기 클립 삽입구(131)의 하부 양측 플랜지(121)에서 경사지게 하향 돌출된 경사돌기(132); 수직의 판 형태의 몸체와, 몸체 상부가 수평으로 절곡 연장된 상부 압착편(134)과,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홈(136)으로 구성된 클립(133)으로 구성되어, 플랜지(121)에서 하향 돌출된 경사돌기(132)가 클립(133)의 홈(136)에 삽입되어 클립(133)이 수평이동하며 상부 압착편(14)이 천정패널(10)을 압착하여 하우징(120)이 천정패널(10)에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경사돌기(132)는 소정 간격마다 수평 구간이 형성되는 계단식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필터(110)의 엠보싱(112)에는 일부가 절개된 절개구(1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별도의 전기시설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건축물 천정 급기구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환기설비를 통해 급기구로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천정 급기구에 설치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저면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을 구성하는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플랜지에 구성된 고정구를 도시한 요부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분해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결합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이 설치된 상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 및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되,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함을 전제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당해 구성요소만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한정되어 해석되지 아니하며,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상부", "하부", "저부", "전방", "후방", "아래" 등의 용어는 단지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구성요소의 배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건축물의 환기장치로부터 각 실내의 천정으로 연결되는 에어덕트(1) 단부에 설치하여 실내로 공급되는 외기에 포함된 먼지 등의 이물질을 걸러내도록 구성된 공기청정기(100)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평면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저면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의한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100)는 도 2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21)가 형성된 하우징(120)과, 상기 하우징(120) 하부에 체결되는 덮개(140) 및 커버(150)와,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삽입되어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110)로 구성된다.
하우징(120)은 파이프 형태로 몸체가 형성되고, 몸체 하단이 외측으로 절곡 연장되어 수평의 플랜지(121)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121)에는 공기청정기를 천정패널(10)에 체결하기 위해 방사상으로 소정 개수의 고정구(130)가 형성된다.
상기 플랜지(121)의 외측 단부에는 방사상으로 소정 개수의 고정돌기(125)가 형성된다.
그리고 하우징(120)의 몸체 내부 중심에는 수직의 폴(122)이 형성되고, 상기 폴(122)에는 방사상으로 소정 개수의 상부 지지구(124)가 형성되어 하우징(120)의 몸체 내벽에 체결된다.
덮개(140)는 상기 하우징(120)의 플랜지에 체결되어 외관을 깔끔하게 마무리하기 위해 체결되는데, 링 형태로 몸체가 형성되고, 방사상으로 몸체의 외측 입벽에는 홈 또는 홀 형태로 소정 개수의 고정홈(141)이 형성된다.
하우징(120)의 플랜지(121)에 형성된 고정돌기(125)가 덮개(140)의 고정홈(141)에 삽입되어 덮개(140)가 하우징(120)과 체결된다.
필터(110)는 하우징(120) 내부에 삽입, 고정되어 급기구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필터링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필터(110)는 띠 형태의 합성수지 필름(111)을 권취하여 구성된 것이다.
필름(111)은 200~500㎛의 시트로서,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과 폴리프로필렌(Polyprophylene, PP)을 적층하여 구성된 시트이다.
폴리에틸렌(PE)은 에틸렌의 중합으로 생기는 사슬 모양의 고분자 화합물이고,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필렌을 중합하여 얻는 열가소성 고분자 화합물로서 강도가 높고 내충격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은 220~240℃의 온도에서 용융 적층하여 필름(111)을 성형하는데, 상기와 같은 온도로 용융 적층하였을 때 냉각 후 물리적 충격을 가하면 백화현상(Whitening)이 더욱 잘 발생한다.
폴리에틸렌과 폴리프로필렌을 적층한 필름(111)을 도 5와 같이 엠보싱(112) 가공하고, 돌출된 엠보싱(112)을 절개하여 절개구(113)를 형성한다.
필름(111)에 충격을 가하여 엠보싱(112) 가공하면 필름(111)의 색상이 하얗게 백화현상이 발생한다.
필터(110)를 통과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은 필터(110)의 유도 정전기에 의해 이물질이 포집된다.
정전기 유도 방식은 대전체의 근방에 도체 또는 유전체가 있을 때 그 대전체에 가까운 쪽의 면에는 그와 반대인 전하가 나타나고, 먼 쪽의 면에는 같은 종류의 전하가 타나타는 현상을 이용하여 미세먼지 및 냄새 성분을 강한 흡착력을 통해 포집하는 것으로서 필터(110)는 영구정전기를 가지도록 제작된 필름(111)에 의해 미세먼지 등의 이물질을 포집한다. 영구정전기는 고분자 합성수지에 고압의 전류를 하전하면 생성된다.
이물질이 포함된 공기가 백화현상으로 하얗게 변한 필터(110)를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필터(110)에 포집되면 필터(110)의 하얀 색상이 점차 검게 변하므로 사용자는 필터(110)의 색상 변화를 통해 필터 교환시기를 가름할 수 있다.
필름(111)이 권취되면 엠보싱(112)으로 인해 필름(111)과 필름(111) 사이에 엠보싱(112) 두께만큼 간격이 발생하고, 이 간격들 사이로 공기가 유동하며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와 이물질이 포집된다.
또한, 상기 엠보싱(112)과 엠보싱(112)에 형성된 절개구(113)는 공기와 필름(111) 사이의 접촉 면적을 높여 먼지들이 효과적으로 포집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필터(110)를 하우징(120) 내부에 삽입하고, 커버(150)를 하우징(120)에 체결함으로써, 필터(110)가 하우징(120) 내부에 고정된다.
상기 커버(150)는 도 4와 같이, 링 형태의 몸체가 형성되고, 상기 몸체의 중심에 파이프 형태의 폴 삽입구(152)가 형성되며, 상기 폴 삽입구(152)에는 방사상으로 하부 지지구(151)가 형성된다.
필터(110)를 하우징(120)에 삽입하고, 커버(150)를 체결하면 필터(110)는 하우징(120)의 상부 지지구(124)와 커버(150)의 하부 지지구(151)에 의해 하우징(120) 내부에서 고정된다.
상기 폴 삽입구(152)의 상단에는 '┛' 형태로 돌기 홈(153)이 형성되고, 하우징(120)의 폴(122) 외면에는 '┛' 형태로 커버 고정돌기(123)가 형성된다.
하우징(120)의 폴(122)을 커버(150)의 폴 삽입구(152)에 삽입하고 회전시키면 커버(150)가 하우징(120)에 체결되어 고정되고, 필터(110)가 하우징(120) 내부에서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9와 같이 건물의 실내 천정 패널(10) 급기구에 체결되는데, 도 4에 도시한 플랜지(121)에 형성된 고정구(130)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를 간편하고 견고하게 체결할 수 있다.
고정구(13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121)에 방사상으로 천공된 클립 삽입구(131)와, 상기 클립 삽입구(131)에 삽입되는 클립(133)으로 구성된다.
도 6 및 도 8과 같이, 클립 삽입구(131)의 하부 면 양측으로 경사돌기(132)가 하향 돌출되는데, 상기 경사돌기(132)는 플랜지(121) 중심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돌기의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클립 삽입구(131)에는 클립(133)이 삽입되는데, 상기 클립(133)은 도 6과 같이 수직의 판 형태로 몸체가 형성되고, 몸체 상부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태로 상부 압착편(134)이 형성되며, 몸체 하부는 수평 방향으로 절곡 연장된 형태로 하부 압착편(135)이 형성된다.
그리고 클립(133)의 몸체 양측에는 홈(136)이 형성되고, 하부 압착편(135)의 단부는 하향 절곡되어 핸들(137)이 형성된다.
상기 클립(133)을 플랜지(121)의 클립 삽입구(131)에 삽입하면 한 쌍의 경사돌기(132)가 클립(133)의 홈(136)에 삽입되는 형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는 도 1 및 도 9와 같이 건물의 실내 천정패널(10)의 급기구에 설치되는데, 도 7과 같이 천정패널(10)의 급기구에 하우징(120)을 삽입한다.
하우징(120)을 급기구에 삽입할 때는 클립(133)을 하우징(120)의 중심 측으로 이동시킨 상태에서 삽입하여야만 클립(133)의 상부압착판(134)이 천정패널(10)에 걸리지 않고 원활하게 삽입된다.
하우징(120)을 급기구에 삽입한 후에는 핸들(137)을 잡고 클립(133)을 하우징(120)의 중심 외측으로 민다.
도 6과 같이 클립(133)의 홈(136)에 경사돌기(132)가 삽입되어 있으므로 클립(133)은 경사돌기(132)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한다.
상기 경사돌기(132)는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차 두꺼워지도록 플랜지(121)에서 하향 돌출되므로, 도 7과 같이 클립(133)을 이동시키면 경사돌기(132)의 두께만큼 상부 압착편(134)이 하강하면서 천정패널(10)을 강하게 압착하여 하우징(120)이 천정패널(10)의 급기구에 고정된다.
이 상태에서 덮개(140)를 하우징(120)에 체결하고, 필터(110)를 하우징(120) 내부에 삽입한 상태에서 커버(150)를 하우징(120)에 체결함으로써, 본 발명의 공기청정기(100)가 빠르고 간편하게 급기구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경사돌기(132)는 소정 간격마다 수평 구간이 형성되도록 계단식으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단식을 소정 간격마다 수평 구간이 존재하므로 외부의 충격에 의해 하우징(120)이 급기구에서 임의로 빠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별도의 전기시설을 설치하지 않고서도 기존의 건축물 천정 급기구에 간단하게 설치하여 환기설비를 통해 급기구로 공급되는 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 및 초미세먼지를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실시 예를 통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상기 살펴본 실시 예를 다양하게 변형하거나 변경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또한, 비록 명시적으로 도시되거나 설명되지 아니하였다 하여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재사항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한 기술적 사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의 변형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며, 이는 여전히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첨부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 상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술된 것이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러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아니한다.
1 : 에어덕트
10 : 천정패널
100 : 공기청정기
110 : 필터
111 : 필름
112 : 엠보싱
113 : 절개구
120 : 하우징
121 : 플랜지
122 : 폴
123 : 커버 고정돌기
124 : 상부 지지구
125 : 고정돌기
130 : 고정구
131 : 클립 삽입구
132 : 경사돌기
133 : 클립
134 : 상부 압착편
135 : 하부 압착편
136 : 홈
137 : 핸들
140 : 덮개
141 : 고정홈
150 : 커버
151 : 하부 지지구
152 : 폴 삽입구
153 : 돌기홈

Claims (6)

  1. 파이프 형태의 몸체 하부에 수평의 플랜지(121)가 형성되어 천정패널(10)의 급기구에 삽입되는 하우징(120);
    플랜지(121)에 천공된 클립 삽입구(131)와, 상기 클립 삽입구(131)의 하부 양측 플랜지(121)에서 경사지게 하향 돌출된 경사돌기(132)와, 수직의 판 형태의 몸체와, 몸체 상부가 수평으로 절곡 연장된 상부 압착편(134)과, 몸체의 양측에 형성된 홈(136)으로 구성된 클립(133)으로 구성되어 플랜지에서 하향 돌출된 경사돌기(132)가 클립(133)의 홈(136)에 삽입되어 클립(133)이 수평이동하며 상부 압착편(14)이 천정패널(10)을 압착하여 하우징(120)이 천정패널(10)에 체결, 고정되도록 구성된 고정구(130);
    영구정전기를 갖는 띠 형태의 합성수지 필름(111)이 롤 형태로 권취되어 상기 하우징(120) 내부에 삽입되는 필터(110); 및
    체결수단으로 상기 하우징(120)에 체결되어 필터(110)를 하우징(120) 내부에 고정시키는 커버(15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10)의 필름(111)은 표면에 엠보싱(112)들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150)에는 방사상으로 하부 지지구(151)가 형성됨으로써, 필터(110)가 하부 지지구(151)에 지지되어 하우징(120) 내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돌기(132)는 소정 간격마다 수평 구간이 형성되는 계단식으로 성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110)의 엠보싱(112)에는 일부가 절개된 절개구(11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KR1020220033748A 2022-03-18 2022-03-18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KR102584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748A KR102584119B1 (ko) 2022-03-18 2022-03-18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748A KR102584119B1 (ko) 2022-03-18 2022-03-18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267A KR20230136267A (ko) 2023-09-26
KR102584119B1 true KR102584119B1 (ko) 2023-09-27

Family

ID=88188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748A KR102584119B1 (ko) 2022-03-18 2022-03-18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411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5313B1 (ko) * 2013-09-11 2014-03-18 정철용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KR101408988B1 (ko) * 2013-05-09 2014-07-02 정동환 살균 처리가 가능한 외부 디퓨져 여과필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0825B1 (ko) 2005-02-18 2006-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환기장치
KR20100078671A (ko) * 2008-12-30 2010-07-08 강금자 공기 청정기용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554996B1 (ko) 2018-12-03 2023-07-18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환기장치용 필터박스 및 이를 포함하는 환기장치
KR102233487B1 (ko) 2019-07-11 2021-03-29 이승욱 급기구 장착형 필터모듈
KR20210106836A (ko) 2020-02-21 2021-08-31 강호도 건물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8988B1 (ko) * 2013-05-09 2014-07-02 정동환 살균 처리가 가능한 외부 디퓨져 여과필터
KR101375313B1 (ko) * 2013-09-11 2014-03-18 정철용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36267A (ko) 2023-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743B1 (ko) 공조용 필터장치
KR101831520B1 (ko) 필터가 구비된 선풍기
US9636617B2 (en) Air purifier device with fan duct
AU2018293203A1 (en) Air-conditioning device having dust removing function
US7048625B2 (en) Clean bench for cleaning atmosphere of partitioned space
KR101598756B1 (ko) 미세먼지 차단용 필터
US20060278074A1 (en) Electrostatic air purifier with a laterally removable collection grid module
MX2007005705A (es) Dispositivo purificador de aire.
JP2009504385A (ja) 空気清浄機
BR0213266B1 (pt) dispositivo para montagem de uma instalação de limpeza por aspiração central.
EP3480528B1 (en) Air exchanging device
CN212179095U (zh) 一种新型空气消毒净化设备
KR102584119B1 (ko)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KR20180065711A (ko) 공기조화기
JP2009074707A (ja) フィルタ装置
KR20010082621A (ko) 공기 여과 시스템
US202001031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HVAC Register Filtration
CN110741209A (zh) 室内空气净化器
CN213599530U (zh) 一种基于单片机的智能空气净化设备
US10837661B2 (en) Air purifying device
JP2020204445A (ja) 外気処理装置
CN111425961A (zh) 一种新型空气消毒净化设备
JP2009092260A (ja) 空気浄化システム
KR200177600Y1 (ko) 음이온을 발생하는 집진필터
KR102225317B1 (ko)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