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313B1 -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313B1
KR101375313B1 KR1020130109286A KR20130109286A KR101375313B1 KR 101375313 B1 KR101375313 B1 KR 101375313B1 KR 1020130109286 A KR1020130109286 A KR 1020130109286A KR 20130109286 A KR20130109286 A KR 20130109286A KR 101375313 B1 KR101375313 B1 KR 101375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screw rod
diffuser
low noise
air conditio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철용
Original Assignee
정철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철용 filed Critical 정철용
Priority to KR102013010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3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3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uct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공기의 양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의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제1 공기조절부(30)와 경사면(4) 사이에 형성된 배출로(80)가 협소할수록 플렉시블 덕트(A)의 공기 압력에 의해 마찰 소음이 크게 발생하게 되고 바람소리와 같은 소음이 발생하게 되나 본체(2)의 흡음재(70)에 의해 소음을 흡음하여 마찰 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며, 더불어 공기를 필터링하는 기능을 제공하기 때문에 실내에 쾌적한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Low noise diffuser for air conditioning}
본 발명은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 공기의 양을 간편하고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유입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발생되는 내부의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일반적인 공기조화(Air conditioning)는 실내의 온도·습도·세균·냄새 등의 조건을 설치된 장소의 목적에 적합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도록 각종 건물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상기 공기조화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사용자가 원하는 양으로 실내에 공급하기 위해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767022와 같이 천장에 설치된 플렉시블 덕트의 끝단에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지는 디퓨져를 설치한다.
상기 디퓨져는 플렉시블 덕트에 연결되어 내부에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경사면을 가진 본체를 형성하고, 이 본체의 내부에 아치형상의 풍량조절댐퍼를 설치하며, 풍량조절댐퍼를 본체 내부에서 상·하로 승강시키기 위해 상기 풍량조절댐퍼와 나사결합되는 나사봉을 구성하고, 이 풍량조절댐퍼의 하부에 설치되고 나사봉을 회전시켜 풍량조절댐퍼를 상·하로 조절함으로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하부패널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퓨져는 하부패널을 회전할 시 나사봉과 하부패널이 일체로 고정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잦은 사용으로 하부패널이 나사봉에서 이탈되는 현상이 자주 발생되고, 한번 이탈된 하부패널은 재차 끼움 결합하더라도 나사봉을 회전시키지 못하고 공회전되는 현상이 발생되므로 원활한 작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으며, 천장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하부패널이 떨어져 각종 안전사고를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풍량조절댐퍼를 이용하여 적은 양의 공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시 플렉시블 덕트에서 발생되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풍량조절댐퍼와 본체에서 마찰 소음이 발생되고, 풍량조절댐퍼와 본체 사이에 형성된 협소한 통로에 의해 강한 바람소리와 같은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KR 10-0767022 B1 2007.10.15.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문제점을 해소코자 본 발명을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디퓨져의 잦은 사용으로도 파손되거나 훼손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실내로 공기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소음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며,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한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부에 플렉시블 덕트와 연결되는 연결관체를 형성하며, 중앙에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경사진 경사면을 형성하고, 하부에 테두리를 구성하며, 이 테두리와 경사면 사이에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경사진 확관면을 형성한 본체와; 상기 테두리의 상부에 스프링이 탄력 지지된 걸림부재와; 상기 연결관체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연결보강대로 연결관체의 내면과 연결 구성하고, 상단에 단이진 걸림편이 형성되며, 중앙에 축공이 형성된 관체와; 상기 연결보강대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핀과; 상기 관체의 축공에 삽입되어 축 설치되며, 상기 관체의 걸림편에 안치되도록 상단에 머리부를 형성하고, 중간에 나사부를 형성한 나사봉과; 상기 나사봉의 나사부에 승강되도록 체결되며, 아치형상으로 몸체를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는 상부너트를 구성하며, 이 몸체의 상부면에 가이드핀이 관통될 수 있도록 가이드공을 형성한 제1 공기조절부와; 상기 관체의 상부에 씌워지며, 내부 상단에 안치턱을 형성한 캡과; 상기 확관면의 내부 상단에 구성된 암나사부와; 연결보강대를 격자형태로 구성하고, 중앙에 나사봉이 내입 구성될 수 있도록 중공을 구성하며, 외주면에는 암나사부의 상단에 체결되도록 제1 체결부를 구성한 차단판과; 상기 차단판의 하부에 구성되며, 중앙에 나사봉이 삽입되는 관통공을 형성한 흡음재와; 외주면에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경사유도면을 형성하고, 상부에 흡음재를 가압 및 팽창시킬 수 있도록 가압링를 형성하며, 이 가압링과 경사유도면 사이에 연결보강대가 연결 구성된 제2 공기조절부와; 상기 가입링의 외주면에 암나사부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2 공기조절부의 상면에 결합턱을 갖도록 단이진 내입공과; 상기 제2 공기조절부의 내부에 모터가 설치된 실내공간과; 상기 결합턱에 결합되며, 중앙에 나사봉의 끝단이 삽입 구성될 수 있도록 삽입공을 형성한 가압판과; 상기 나사봉의 끝단에 모터의 축이 결합되는 결합홈;를 더 포함하여 구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디퓨져는 사용자가 수동 또는 자동으로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여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하고, 본체 내부에 흡음재를 구성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과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기 때문에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흡음재는 플렉시블 덕트에서 발생되는 먼지를 여과하는 기능을 제공하고, 제1 공기조절부와 더불어 흡음재를 이용한 제2 공기조절부를 구성하여 압축 또는 팽창시켜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으며, 흡음재의 기공 밀도가 높을 경우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사용하고, 흡음재의 기공 밀도가 낮을 경우 흡음재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디퓨져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은 디퓨져의 제1 공기조절부에 가이드핀을 구성하여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설치 구성되고, 가이드핀을 따라 제1 공기조절부를 원활하게 상·하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오작동이 발생되지 않으며, 작동을 손쉽게 이루어지므로 사용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퓨져의 연결보강대 상부 양측면을 경사지게 유로를 형성하여 아래쪽으로 원활하게 유입되거나 강하게 배출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의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는 마감덮개의 다른 실시예를 분리 사시도
도 6은 흡음재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 상태도
이하에서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의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은 공기조화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실내에 공급될 수 있도록 천장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플렉시블 덕트(A)의 단부에 연결되는 본체(2)를 구성한다.
상기 본체(2)는 상부에 플렉시블 덕트(A)의 단부와 연결되는 연결관체(3)가 구성되고, 중앙에 본체(2)로 들어오는 공기가 넓게 확장될 수 있도록 경사면(4)을 형성하며, 하부에 천장마감재(B)와 연접되는 테두리(5)가 구성되고, 이 테두리(5)와 경사면(4) 사이에 실내로 공기를 배출할 시 공기가 확산될 수 있도록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경사진 확관면(6)을 형성한다.
상기 본체(2)의 내부에는 본체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1 공기조절부(30)와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되도록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제2 공기조절부(50)를 구성한다.
상기 테두리(5)의 상부에는 천장마감재(B)에 본체(2)가 걸림되어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스프링(8)이 탄력 지지된 걸림부재(7)가 구성된다.
상기 연결관체(3)는 상부 중앙에 관체(9)를 구성하고, 이 관체(9)의 외주면에 120° 간격으로 연결보강대(10)를 연결관체(3)의 내면과 일체로 연결 구성한다.
즉, 연결보강대(10)는 3개가 형성되는 것이며, 이 연결보강대(10)의 개수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 분야의 통상적인 기술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결보강대(10)는 단면상 오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부에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유로(11)를 형성하며, 하부 중간에 아래쪽으로 연장된 가이드핀(12)을 형성한다.
상기 관체(9)는 중앙에 나사봉(20)이 내입되어 축 회전되도록 축공(9a)을 하고, 상단에 걸림편(13)을 형성한다.
상기 관체(9)의 상부에는 나사봉(20)을 삽입시킨 후 위로 상승하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캡(24)을 구성한다.
상기 캡(24)은 관체(9)에 씌워지고, 내부에는 관체(9)의 걸림편(13)에 걸림되어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안치턱(14)을 형성한다.
상기 나사봉(20)은 걸림편(13)의 상부에 안치되어 이탈되지 않고 자유 회전할 수 있도록 상단에 걸림턱(23)이 형성된 머리부(22)를 형성하고, 중간에 제1 공기조절부(30)가 상·하로 승강될 수 있도록 체결되는 나사부(21)를 형성한다.
상기 제1 공기조절부(30)는 아치형상으로 몸체(31)를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 나사봉(20)의 나사부(21)와 체결되는 상부너트(33)를 형성하며, 이 몸체(31)의 상면에는 가이드핀(12)이 내입 구성되어 상·하로 안내될 수 있도록 가이드공(32)을 형성한다.
상기 차단판(40)은 흡음재(70)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공기가 흡음재(70)로 빠르게 흘려보내고 분산될 수 있도록 연결보강대(41)를 격자형태로 구성하고, 중앙에 나사봉(20)이 관통될 수 있도록 중공(43)을 구성하고, 외주면에 암나사부의 상단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44)를 구성하며, 하부에 흡음재(70)가 설치 구성된다.
상기 연결보강대(41)는 단면상 오각 형상으로 형성하고, 상부에 양측으로 경사진 유로(42)를 형성한다.
상기 흡음재(70)는 무수한 기공이 내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중앙에 나사봉(20)이 삽입되어 관통되는 관통공(71)을 형성하고, 두께는 사용자가 원하는 설치장소와 환경에 따라 변화시켜 사용할 수 있으며, 제2 공기조절수단(50)을 압축할 시 가압링(52)과 가압판(60)이 밀착되어 압축되었다가 제2 공기조절수단(50)이 감압(減壓)될 시 빠르게 원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복원력이 우수한 발포 폴리에틸렌, 부직포, 합성섬유, 스펀지 등으로 제작되며, 기공의 밀도가 높을 경우 흡음재(70)의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사용하고, 기공의 밀도가 낮을 경우 흡음재(7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사용한다.
즉, 흡음재(70)를 스펀지를 사용할 경우, 기공의 밀도가 낮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빠르게 진행하여 내부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으므로 두께를 두껍게 하여 사용해야 하고, 흡음재(70)를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기공의 밀도가 높아 두께를 얇게 사용하여도 소음을 완벽하게 차단하면서 공기를 빠르게 흘려보낼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확관면(6)의 내부 상단에는 차단판(40)과 제2 공기조절부(50)가 체결되도록 암나사부(15)를 형성한다.
상기 제2 공기조절부(50)는 상기 흡음재(70)의 하부에 설치되며, 외주면에 공기를 경사지게 흐르도록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경사유도면(51)을 형성하고, 상부에 흡음재(70)를 가압 및 팽창시킬 수 있도록 가압판(60)과 가압링(52)를 형성하며, 이 가압링(52)과 경사유도면(51) 사이에 네 방향으로 연결 구성된 연결보강대(54)를 구성한다.
상기 가압링(52)의 외주면에는 제2 체결부(53)를 형성하여 암나사부(15)와 체결 구성한다.
상기 연결보강대(54)는 단면상 오각 형상으로 형성하며, 상부에 공기를 아래쪽으로 신속하고 원활하게 흐를 수 있도록 유로(55)를 형성한다.
상기 제2 공기조절부(50)는 상면에 결합턱(56)을 갖도록 단이진 내입공(57)을 형성하고, 내부에 실내공간(58)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턱(56)에는 실내공간(58)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가압판(60)이 구성된다.
상기 가압판(60)은 중앙에 나사봉(20)의 끝단이 삽입 구성될 수 있도록 삽입공(61)을 형성하면, 본 발명은 완성된다.
도 4와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1)의 다른 실시예를 도면으로서, 디퓨져(1)의 나사봉(20)을 잡고 수동으로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불편한 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개선한 것이며, 자동으로 제1 공기조절부(30)를 작동시켜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디퓨져(1)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도면에 의거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상기 실내공간(58)에는 나사봉(20)을 회전시켜 제1 공기조절부(30)가 상·하로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모터(M)를 설치한다.
상기 나사봉(20)의 끝단에는 모터(M)의 축과 연결 구성될 수 있도록 결합홈(25)을 형성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완성된다.
도 6과 같이 흡음재(70)는 한 개의 원통으로 구성할 수 있으나 일정하게 기공이 형성되지 않는 흡음재(70)를 지그재그 형태로 공기가 흐를 수 있도록 흡음재(70)를 여러 장으로 겹쳐서 본체(2) 내부에 결합 구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1)는 공기조화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기 위해 도 7과 같이 천장에 설치되어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구성의 설치 순서를 설명한다.
상기 디퓨져(1)의 가이드핀(12)에 제1 공기조절부(30)의 가이드공(32)으로 삽입 구성하고, 관체(9)의 축공(9a)에 나사봉(20)을 관통시켜 나사봉(20)의 머리부(22)가 관체(9)의 걸림편(13)에 안치시키면, 관체(9)에서 나사봉(20)이 공회전되게 설치되며, 관체(9)의 상부에 캡(24)을 씌워 나사봉(20)이 외부로 이탈됨을 방지하고, 나사봉(20)의 나사부(21)에 제1 공기조절부(30)의 상부너트(33)를 체결하면, 나사봉(20)의 끝단을 잡고 회전시켜 제1 공기조절부(30)가 나사부(21)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어 경사면(4)의 내부와 밀착되거나 떨어져 공기가 흐를 수 있는 배출로(80)가 형성된다.
그리고 본체(2)의 암나사부(15)에 차단판(40)의 제1 체결부(44)를 이용하여 차단판(40)이 암나사부(15)의 상단에 체결되도록 하고, 이 차단판(40)의 하부면에 밀착되도록 흡음재(70)를 삽입 구성한 후 암나사부(15)의 하단에 제2 공기조절부(50)의 제2 체결부(53)를 이용하여 체결하면, 공기 조화용 저소음 디퓨져(1)의 결합이 완성된다.
상기 디퓨져(1)는 본체(2)의 연결관체(3)와 플렉시블 덕트(A)의 끝단과 연결 구성하고, 천장마감재(B)의 하부에 테두리(5)의 상부를 연접시킨 후 이 천장마감재(B)의 상부에 스프링(8)이 탄력 지지된 걸림부재(7)를 이용하여 본체를 고정시키면, 천장에 디퓨져(1)가 설치된다.
상기 디퓨져(1)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본체(2)의 연결관체(3)와 플렉시블 덕트(A)의 끝단에 연결 구성된 디퓨져(1)의 본체(2)에서 제2 공기조절부(50)를 분리시킨 후 나사봉(20)의 끝단을 잡고 정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제1 공기조절부(30)가 나사봉(20)의 나사부(21)에서 위로 상승하고, 제1 공기조절부(30)의 몸체(31)가 경사면(4)의 내부면에 가까워져 배출로(80)가 협소하여 적은 양의 공기가 디퓨져(1)의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고, 반대로 공기의 양을 내부로 많이 유입할 경우, 나사봉(20)의 끝단을 잡고 역방향으로 회동시키면, 제1 공기조절부(30)가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경사면(4)의 내부면과 멀리 떨어져 배출로(80)가 넓게 형성되므로 디퓨져(1)의 내부에 많은 공기가 유입되는 것이다.
상기 디퓨져(1)에서 실내로 배출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서는, 제2 공기조절부(50)를 회동시켜 제2 체결부(53)에 의해 암나사부(15)의 위로 상승하며, 상기 흡음재(70)가 압착되어 흡음재(70)에 형성된 기공의 밀도가 높아져 적은 양의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며, 제2 공기조절부(50)를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킬 경우, 제2 공기조절부(50)가 암나사부915)의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흡음재(70)가 팽창되어 흡읍재(70)에 형성된 기공의 밀도가 낮아져 많은 공기가 실내로 배출되는 것이다.
상기 디퓨져(1)의 내부에 흡음재(70)을 구성하여 제1 공기조절부(30)와 경사면(4) 사이 배출로(80)를 통해 공기가 흐르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소음을 소멸시켜주고, 공기조화에서 불어오는 공기의 압력에 의해 디퓨져(1)와 마찰되는 소음을 차단할 수 있으므로 쾌적한 실내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흡음재(70)는 기공의 밀도가 높은 부직포와 같은 재료를 사용할 경우에 두께를 얇게 형성하여 사용하고, 기공의 밀도가 낮은 스펀지를 사용할 경우에 흡음재(70)의 두께를 두껍게 형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나사봉(20)을 조작하여 디퓨져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양을 수동으로 조절하는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도록 나사봉(20)의 하단에 모터(M)와 연결 구성하여 자동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사용상의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공기조화기에서 발생되는 공기가 플렉시블 덕트(A)에서 흐르는 동안 먼지와 섞여 흐르게 되고, 이 먼지를 흡음재(70)에서 필터링하여 실내에 유입되기 때문에 실내에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디퓨져(1)의 연결보강대(10)(41)(54)를 단면상 오각 형상으로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을 빠르게 유도하여 공기의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쾌속하게 공기를 흐르도록 유도하여 공기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고 있는 바,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적정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이상의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관련되는 균등수단에 대해서는 그 보호범위가 미친다고 할 것이다.
1: 디퓨져 2: 본체
3: 연결관체 4: 경사면
5: 테두리 6: 확관면
7: 걸림부재 8: 스프링
9: 관체 9a: 축공
10: 연결보강대 11: 유로
12: 가이드핀 13: 걸림편
14: 안치턱 15: 암나사부
20: 나사봉 21: 나사부
22: 머리부 23: 걸림턱
24: 캡 25: 결합홈
30: 제1 공기조절부 31: 몸체
32: 가이드공 33: 상부너트
40: 차단판 41: 연결보강대
42: 유로 43: 중공
44: 제1 체결부
50: 제2 공기조절부 51: 경사유도면
52: 가압링 53: 제2 체결부
54: 연결보강대 55: 유로
56: 결합턱 57: 내입공
58: 실내공간
60: 가압판 61: 삽입공
70: 흡음재 71: 관통공
80: 배출로
M: 모터 A: 플렉시블 덕트
B: 천장마감재

Claims (4)

  1. 상부에 플렉시블 덕트(A)와 연결되는 연결관체(3)를 형성하며, 중앙에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경사진 경사면(4)을 형성하고, 하부에 테두리(5)를 구성하며, 이 테두리(5)와 경사면(4) 사이에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게 경사진 확관면(6)을 형성한 본체(2)와;
    상기 테두리(5)의 상부에 스프링(8)이 탄력 지지된 걸림부재(7)와;
    상기 연결관체(3)의 상부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면에 연결보강대(10)로 연결관체(3)의 내면과 연결 구성하고, 상단에 단이진 걸림편(13)이 형성되며, 중앙에 축공(9a)이 형성된 관체(9)와;
    상기 연결보강대(10)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핀(12)과;
    상기 관체(9)의 축공(9a)에 삽입되어 축 설치되며, 상기 관체(9)의 걸림편(13)에 안치되도록 상단에 머리부(22)를 형성하고, 중간에 나사부(21)를 형성한 나사봉(20)과;
    상기 나사봉(20)의 나사부(21)에 승강되도록 체결되며, 아치형상으로 몸체(31)를 형성하고, 상부 중앙에는 상부너트(33)를 구성하며, 이 몸체(31)의 상부면에 가이드핀(12)이 관통될 수 있도록 가이드공(32)을 형성한 제1 공기조절부(30)와;
    상기 관체(9)의 상부에 씌워지며, 내부 상단에 안치턱(14)을 형성한 캡(24)과;
    상기 확관면(6)의 내부 상단에 구성된 암나사부(15)와;
    연결보강대(41)를 격자형태로 구성하고, 중앙에 나사봉(20)이 내입 구성될 수 있도록 중공(43)을 구성하며, 외주면에는 암나사부의 상단에 체결되도록 제1 체결부(44)를 구성한 차단판(40)과;
    상기 차단판(40)의 하부에 구성되며, 중앙에 나사봉(20)이 삽입되는 관통공(71)을 형성한 흡음재(70)와;
    외주면에 상부가 좁고 하부가 넓은 경사유도면(51)을 형성하고, 상부에 흡음재(70)를 가압 및 팽창시킬 수 있도록 가압링(52)를 형성하며, 이 가압링(52)과 경사유도면(51) 사이에 연결보강대(54)가 연결 구성된 제2 공기조절부(50)와;
    상기 가입링(52)의 외주면에 암나사부(15)와 체결되는 제2 체결부(53);를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보강대(10)(41)(54)는 단면상 오각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부에 공기를 아래쪽으로 신속하게 흐를 수 있도록 유도하는 유로(11)(42)(55)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공기조절부(50)의 상면에 결합턱(56)을 갖도록 단이진 내입공(57)과;
    상기 제2 공기조절부(50)의 내부에 모터(M)가 설치된 실내공간(58)과;
    상기 결합턱(56)에 결합되며, 중앙에 나사봉(20)의 끝단이 삽입 구성될 수 있도록 삽입공(61)을 형성한 가압판(60)과;
    상기 나사봉(20)의 끝단에 모터(M)의 축이 결합되는 결합홈(25);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70)를 여러 장으로 겹쳐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KR1020130109286A 2013-09-11 2013-09-11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KR101375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286A KR101375313B1 (ko) 2013-09-11 2013-09-11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9286A KR101375313B1 (ko) 2013-09-11 2013-09-11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5313B1 true KR101375313B1 (ko) 2014-03-18

Family

ID=50648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9286A KR101375313B1 (ko) 2013-09-11 2013-09-11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31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499B1 (ko) 2014-11-28 2016-02-18 (주)영진이앤씨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1672673B1 (ko) * 2016-03-15 2016-11-03 성경선 환기 덕트용 디퓨저 연결구 및 이의 시공방법
CN107202414A (zh) * 2017-06-07 2017-09-26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声学混响室专用通风口结构
KR102058312B1 (ko) * 2019-04-11 2019-12-20 김진영 공기 정화용 디퓨져
KR20200107326A (ko) * 2019-03-07 2020-09-16 송진환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KR20230136267A (ko) * 2022-03-18 2023-09-26 윤용철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589A (ja) 1999-01-18 2000-07-25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100767022B1 (ko) 2007-08-29 2007-10-15 삼보설비엔지니어링(주)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442850Y1 (ko) 2008-06-03 2008-12-17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축물 실내 환기장치용 실내측 디퓨져의 필터장치
KR20090074374A (ko) * 2008-01-02 2009-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05589A (ja) 1999-01-18 2000-07-25 Mitsubishi Electric Corp 空気調和機
KR100767022B1 (ko) 2007-08-29 2007-10-15 삼보설비엔지니어링(주) 공기조화용 디퓨져
KR20090074374A (ko) * 2008-01-02 2009-07-07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조화기
KR200442850Y1 (ko) 2008-06-03 2008-12-17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축물 실내 환기장치용 실내측 디퓨져의 필터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5499B1 (ko) 2014-11-28 2016-02-18 (주)영진이앤씨 공기조화용 디퓨져
KR101672673B1 (ko) * 2016-03-15 2016-11-03 성경선 환기 덕트용 디퓨저 연결구 및 이의 시공방법
CN107202414A (zh) * 2017-06-07 2017-09-26 中车长春轨道客车股份有限公司 一种声学混响室专用通风口结构
KR20200107326A (ko) * 2019-03-07 2020-09-16 송진환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KR102168456B1 (ko) * 2019-03-07 2020-10-21 송진환 공기 청정기 및 이를 갖는 실내 공기 청정 시스템
KR102058312B1 (ko) * 2019-04-11 2019-12-20 김진영 공기 정화용 디퓨져
KR20230136267A (ko) * 2022-03-18 2023-09-26 윤용철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KR102584119B1 (ko) * 2022-03-18 2023-09-27 윤용철 실내 천정 급기구용 무전원 공기청정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5313B1 (ko)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EP2989264B1 (en) Sound dampening device
CN204141788U (zh) 气流交换装置
KR101595499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
US10688431B2 (en) Air purifier
JP2019533791A5 (ko)
US2272394A (en) Suction cleaner
US20190128545A1 (en) Air Exchanging Device
KR20160136819A (ko) 가습공기청정기
JP6284806B2 (ja) フィルタエレメント、フィルタエレメント組立体、および空気清浄システム
KR102225287B1 (ko) 필터가 구비되는 환기 디퓨저
KR101672673B1 (ko) 환기 덕트용 디퓨저 연결구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267416B1 (ko) 필터 교환형 환기 디퓨저
US20200103138A1 (en) System and Method for HVAC Register Filtration
KR102589011B1 (ko) 환기 디퓨저용 배기조절판
KR101375311B1 (ko) 공기조화용 소음 디퓨져
JP2006026573A (ja) フィルタ及び空気調和装置
CN208145679U (zh) 一种室外过滤主机
CN208936390U (zh) 进风盒结构及包括其的加湿器
KR20120113028A (ko) 가습 장치
CN205641171U (zh) 一种多出风口新风机柜
CN207228248U (zh) 方形起泡器
KR101252636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CN106196397A (zh) 一种组合式过滤通风系统
CN205279285U (zh) 一种窗式通风空气净化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