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2636B1 -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2636B1
KR101252636B1 KR1020120156741A KR20120156741A KR101252636B1 KR 101252636 B1 KR101252636 B1 KR 101252636B1 KR 1020120156741 A KR1020120156741 A KR 1020120156741A KR 20120156741 A KR20120156741 A KR 20120156741A KR 101252636 B1 KR101252636 B1 KR 1012526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air
diffuser
support means
filter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선
Original Assignee
(주)하이시스이엔지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시스이엔지,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하이시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20156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26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26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26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2Sound-absorb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먼지 걸름 및 방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매우 용이하게 소제 가능하도록 하고, 원형이나 사각형태의 공기확산부를 갖는 디퓨져에는 물론이거니와 그 어떠한 형태의 공기확산부를 갖는 디퓨져에도 모두 채용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외곽둘레부(11) 중앙에 공기통과공(12)이 있고, 상기 외곽둘레부(11)의 하측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훅크돌기부(13)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훅크돌기부(13)들 사이에는 걸림턱면(131)보다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바람막이돌륜부(14)를 갖는 필터지지수단(10) 및 상기 훅크돌기부(13)의 걸림턱면(131)과 바람막이돌륜부(14) 사이에 끼워지게 결합되는 외곽프레임(21) 내측으로 여과부재(22)를 갖는 필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터장치를 제공하고, 상기 필터지지수단(10)이 디퓨져(1) 본체(2)의 공기통로부(3)와 공기확산부(4)의 경계선상에 구비되는 수평플레이트(5) 내면에 고정된 후 필터(20)가 훅크돌기부(13)의 걸림턱면(131)과 바람막이돌륜부(14) 사이에 끼워지도록 결합 되도록 설치되게 채용되는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Air diffuser for the harmony of the filter device}
본 발명은 건물의 실내 천장에 설치되어 냉난방공기를 실내로 확산 되게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기 위한 공기조화용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먼지 걸름 및 방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매우 용이하게 소제 가능하도록 하고, 원형이나 사각형태의 공기확산부를 갖는 디퓨져에는 물론이거니와 그 어떠한 형태의 공기확산부를 갖는 디퓨져에도 모두 채용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용 디퓨져는 천장(天障)에 설치되어 덕트로부터 공급되는 냉난방공기를 실내로 확산 되게 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디퓨져는 상측부에 덕트와 연결되어 냉난방공기가 유입되는 공기통로부를 구비하고 하측에는 공기를 확산시키기 위한 공기확산부재(내부격자)가 내장되게 설치되는 공기확산부를 구비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리고 상기한 디퓨져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기 되도록 하는 용도로도 이용된다.
이 경우에는 공기조화유니트에 있는 배기용 환풍기에 의해 빨아들이는 흡입력에 의해서 실내 공기가 디퓨져로 흡입되어 덕트를 통해서 외부로 배기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디퓨져를 통해서 실내 공기가 흡입되어 배출되는 경우 오염된 실내 공기가 디퓨져를 통해 흡입되어 덕트를 통과하는 과정에 실내 공기에 포함하고 있는 먼지가 덕트 내주면에 달라붙게 된다.
그러나 디퓨져는 실내 공기만을 흡입하는 역할만 하는 것이 아니라 냉난방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디퓨져를 통해 실내로 냉난방공기를 공급할 때에는 냉난방공기가 덕트를 통과하게 되며, 이때 덕트 내주면에 달라붙어 있던 먼지가 떨어지면서 냉난방공기에 섞여서 디퓨져를 통해 다시 실내로 주입됨에 따라 실내 공기가 오염되게 되는 문제점이 초래된다.
그러므로 필터를 채용하는 디퓨져가 개시되었으나 특허문헌에 기재된 선행기술에 있어서의 디퓨져에 구비하게 되는 필터들은 대부분 공기통로부에 내장되는 상태로 구비하도록 개시된다.
그러므로 선행기술들은 덕트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거나 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할 때에는 공기가 디퓨져의 공기통로부를 반드시 통과하여야 하기 때문에 먼지 걸름 효율성이 양호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공기통로부 내부에 필터가 내장됨으로써 필터를 소제 하기 위해 분리시키는데에는 수많은 부품 들을 일일이 분해하여야 하기 때문에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이 있고, 그로 인해 정기적으로 필터 소제나 또는 교체를 하지 않게 됨으로써 필터에 쌓인 먼지가 도리어 실내로 유입되는 등의 비위생적이고 필터 채용의 실효성이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KR 10-2002-0070657 A 2002.09.10 KR 10-0858448 B1 2008.09.12 KR 20-0442850 Y1 2008.12.17
본 발명은 먼지 걸름 및 방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매우 용이하게 소제 가능하도록 개선된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형이나 사각형태의 공기확산부를 갖는 디퓨져에는 물론이거니와 그 어떠한 형태의 공기확산부를 갖는 디퓨져에도 모두 채용 가능한 필터장치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외곽둘레부 중앙에 공기통과공이 있고, 상기 외곽둘레부의 하측면에는 등간격으로 걸림턱면과 경사부를 가진 다수의 훅크돌기부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훅크돌기부들 사이에는 외곽둘레부로부터 걸림턱면까지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바람막이돌륜부를 갖는 필터지지수단 및 상기 훅크돌기부의 걸림턱면과 바람막이돌륜부 사이에 끼워지게 결합 되는 외곽프레임 내측으로 여과부재를 갖는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필터장치를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지지수단의 외곽둘레부에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는 결착구멍과, 디퓨져 본체의 수평플레이트에 구비되는 결착공으로 결착구가 강제적으로 끼워지게 하여 수평플레이트에 필터지지수단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결착구는, 머리부와, 갈라짐공을 갖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하측에 걸림턱을 갖는 쐐기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지지수단과 필터가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하거나 상기 필터지지수단의 외곽둘레부 및 필터의 외곽프레임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각각 양측에 상호 대향 하는 L자형홈부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외곽둘레부의 L자형홈부에는 외곽둘레부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공기막이편부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지지수단이 디퓨져 본체의 공기통로부와 공기확산부의 경계선상에 구비되는 수평플레이트 내면에 고정된 후 필터가 훅크돌기부의 걸림턱면과 바람막이돌륜부 사이에 끼워지도록 결합 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먼지 걸름 및 방음 역할을 충실히 수행하면서도 조립 및 분리가 용이하여 매우 수월하게 소제 가능하게 하는 디퓨져의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제가 용이하므로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깨끗한 공기를 실내에 공급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원형이나 사각형태의 공기확산부를 갖는 디퓨져에는 물론이거니와 그 어떠한 형태의 공기확산부를 갖는 디퓨져에도 모두 채용 가능한 필터장치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원형이나 사각형태의 공기확산부를 갖는 디퓨져 모두에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필터장치도 제공하게 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디퓨져의 전체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전체 분리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지지수단의 저면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평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필터장치의 결합상태를 보인 단면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필터장치가 결합된 상태의 평면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의 필터에 댐퍼조절대가 관통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필터장치가 사각형태의 디퓨져에 장착된 상태의 저면도,
도 9는 본 발명 필터장치가 원형 형태의 디퓨져에 장착된 상태의 개략 저면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도 1과 같이 1개의 디퓨져(1)를 가지고 건물의 실내 천장부재(T)에 설치되어 냉난방공기를 실내로 확산 되게 공급되도록 하거나 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디퓨져(1)에 실시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천장부재(T)에 설치되는 다수의 디퓨져(1) 중에서 일부는 냉난방공기를 실내로 확산 되게 공급되게 하는 냉난방공기 확산을 위한 급기용 디퓨져(1)로 이용되고, 다른 일부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하는 실내공기 흡기용 디퓨져(1)로 이용되는 것에도 실시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급기용 디퓨져(1)나 실내공기 흡기용 디퓨져(1)는 모두 동일한 구조를 이루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는데 있어서는 냉난방공기 급기용 디퓨져(1)나 실내공기 흡기용 디퓨져(1)의 구조가 동일하므로,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냉난방공기 급기용 디퓨져(1)나 실내공기 흡기용 디퓨져(1) 중에 선택적으로 냉난방공기 급기용 디퓨져(1)로 이용되는 경우를 선택하여 그에 부합되는 부품 명칭으로 설명하거나 또는 냉난방공기 확산작용을 할 때의 필터장치의 역할이나 기능을 설명 하는 것으로 한다.
따라서,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이 실시되는 디퓨져(1)는 본체(2)가 천장부재(T)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덕트(D)로부터 냉난방공기를 공급받아서 실내로 확산시키는 역할을 하거나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배기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냉난방공기 또는 실내 공기는 경우에 따라서는 공기라고만 명칭 하여 설명하기도 한다.
상기 디퓨져(1) 본체(2)는 덕트(D)로부터 냉난방공기를 공급받기 위한 공기통로부(3)를 구비하게 되고, 상기 공기통로부(3) 하측에는 공기확산부재(6)가 설치되어 공기가 실내로 확산 되도록 하기 위한 공기확산부(4)를 구비하게 된다.
상기 공기통로부(3)는 통상적으로 원형 형태로 구성되며, 공기확산부(4)는 원형 형태나 또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공기통로부(3)와 공기확산부(4)의 경계선상에 구비하게 되는 수평플레이트(5)는 공기확산부(4)가 원형 형태일 경우에는 그와 동일한 원형 형태를 이루게 되고, 공기확산부(4)가 사각형태일 경우에는 역시 그와 동일한 사각 형태를 이루게 된다.
물론, 공기확산부(4)는 원형 형태 및 사각형태 이외에, 가령 육각 형태나 또는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 경우에 수평플레이트(5) 역시 공기확산부(4)와 동일한 형태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필터지지수단(10)이 디퓨져(1) 본체(2)의 공기통로부(3)와 공기확산부(4)의 경계선상에 구비되는 수평플레이트(5) 내면에 고정된 후 필터(20)가 필터지지수단(10)에 결합 되도록 설치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지지수단(10) 및 필터(20)는 수평플레이트(5) 내면 쪽에 설치되는 것이므로 그 수평플레이트(5) 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구성되게 된다.
예컨대, 공기확산부(4)가 원형 형태나 또는 사각형태일 경우 그와 동일하게 수평플레이트(5)도 원형 형태나 또는 사각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므로 필터지지수단(10) 및 필터(20) 역시 공기확산부(4) 및 수평플레이트(5)의 형태와 동일한 원형 형태나 또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필터지지수단(10) 및 필터(20)는 공기확산부(4)와 동일하게 이루어지게 되는 수평플레이트(5)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로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지지수단(10) 및 필터(20)를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 및 도 3과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필터지지수단(10)은 외곽둘레부(11) 중앙에 공기통과공(1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외곽둘레부(11)의 하측면에는 등간격으로 다수의 훅크돌기부(13)가 돌출되어 있다.
상기 다수의 훅크돌기부(13)는 외곽둘레부(11)와 일체로 되게 하면서 돌출되게 구성함으로써 외력을 가할 경우 내측이나 외측 방향으로 휘어졌다가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자체 탄성력으로 인해 다시 원래 상태로 되돌아 올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으로서, 탄성력을 갖는 금속에 의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으나 플라스틱 재질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다수의 훅크돌기부(13)는 각각 내측에 걸림턱면(131)을 구비하고 외측에는 경사부(132)를 구비하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지지수단(10)은 다수의 훅크돌기부(13)들 사이에는 외곽둘레부(11)로부터 걸림턱면(131)까지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바람막이돌륜부(14)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필터지지수단(10)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디퓨져(1) 본체(2)의 공기통로부(3)의 출구(31)가 위치하게 되는 수평플레이트(5)에 고정되도록 설치 되게만 하는 것이므로 여러 가지의 고정수단들에 의해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도 2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지지수단(10)의 외곽둘레부(11)에 다수의 결착구멍(15)을 구비하고 결착구(16)를 이용하여 디퓨져(1) 본체(2)의 수평플레이트(5)에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결착구(16)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머리부(161)가 있고, 갈라짐공(163)을 갖는 몸체부(162) 및 상기 몸체부(162) 하측에 걸림턱(164)을 갖는 쐐기부(165)를 갖도록 이루어진 것이 사용된다.
따라서, 필터지지수단(10)의 결착구멍(15)과 수평플레이트(5)의 결착공(51)이 일치되게 한 상태에서 결착구(16)의 쐐기부(165)가 결착구멍(15)을 통해 결착공(51)으로 관통되도록 강하게 가압하여 강제적으로 끼우게 되는 것이다.
이때, 몸체부(162)에 갈라짐공(163)이 있기 때문에 쐐기부(165)는 안쪽방향으로 오므려 들었다가 결착공(51)을 통과하는 순간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다시 외측으로 벌어지게 됨으로써 걸림턱(164)이 수평플레이트(5)의 외면에 밀착되어 걸림되는 상태가 된다.
그러므로 필터지지수단(10)의 외곽프레임(21)과 수평플레이트(5)가 결착구(16)의 머리부(162)와 쐐기부(165) 사이에서 고정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수평플레이트(5)에 필터지지수단(10)이 고정된 상태에서 필터(20)를 필터지지수단(10)에 결합시키게 된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서는 필터지지수단(10)에 필터(20)를 먼저 결합시킨 다음에 필터지지수단(10)을 결착구(16)를 이용하여 수평플레이트(5)에 고정되도록 할 수 도 있다.
필터(20)는 도 2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곽프레임(21) 내측으로 여과부재(22)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부호 211은 보강프레임을 나타낸다.
상기 필터(20)는, 도 5에서 가상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일측 외곽프레임(21)이 일측 훅크돌기부(13)의 걸림턱면(131)에 끼워져서 걸리도록 한 다음에, 다른 쪽의 외곽프레임(21)이 훅크돌기부(13)의 경사부(132)에 닿게 하면서 강제적으로 밀어 끼우게 되면 훅크돌기부(13)가 외측 방향으로 휘어지면서 외곽프레임(21)이 안쪽으로 밀려 들어가게 되면서 바람막이돌륜부(14)에 닿게 됨에 따라 외곽프레임(21)이 걸림턱면(131)을 지나치게 되면 외측 방향으로 휘어져 있던 훅크돌기부(13)가 자체 탄성력에 의해서 다시 기립 된 상태로 되돌아 오게 되고, 그로 인해 외곽프레임(21)이 바람막이돌륜부(14)와 훅크돌륜부(13)의 걸림턱면(131) 사이에 끼워지는 상태로 결합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필터지지수단(10)에 필터(20)가 결합 된 상태에서 필터(20)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통로부(3)의 출구(31)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냉난방공기가 여과부재(22)를 통과하게 됨에 따라 냉난방공기에 섞여있는 먼지나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 후 공기확산부(4)를 통해 실내로 공급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실내에 깨끗한 냉난방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람막이돌륜부(14)에 의해서 냉난방공기(바람)가 외주면 방향(측면방향)으로 누출되는 것이 차단됨으로써 공기통로부(3)의 출구(31)로 나오는 공기는 모두 필터(20)을 통과할 수밖에 없기 때문에 여과 효율이 양호하게 된다.
그리고 공기통로부(3)에서 불어오는 공기가 여과부재(22)를 통과하면서 송풍속도가 감속될 뿐만 아니라 여과부재(22)가 바람소리를 흡수하게 됨으로써 됨에 따라 방음도 된다.
한편, 장기간 사용하게 되면 여과부재(22)에 필연적으로 먼지가 쌓이게 되고, 이때에는 어느 일측의 훅크돌기부(13)를 외측 방향으로 밀거나 당겨서 휘어지게 한 상태가 되도록 한 다음에 필터(20)의 외곽프레임(21)을 빼내는 방법으로 필터(20)를 분리해 낼 수 있다.
그리고 분리해 낸 필터(20)를 물이나 기타 세제를 이용하여 깨끗하게 소제 하고 건조시 킨 다음 다시 필터(20)를 필터지지수단(10)에 결합시키게 되는 것으로서, 정기적으로 필터(20)를 소제 할 수 있기 때문에 청결을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실내로 깨끗한 공기를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필터장치는 디퓨져(1) 본체(2)로부터 공기확산부재(6)를 조립하고 다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한 디퓨져(1)에 채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 1를 참조하면 수평플레이트(5)의 양측에는 한쌍의 걸림공(71)을 가진 걸림편(7)이 고정되고, 이러한 걸림편(7)에는 공기확산부재(6)의 상부에 구비되는 수평대(61)의 양측 돌기(62)가 각각의 걸림공(71)에 끼워지게 하여 조립된다.
그리고 분리시에는 스프링(63)이 있는 쪽으로 수평대(61)가 이동되게 하여 그 반대쪽의 돌기(62)가 걸림공(71)으로부터 이탈되게 한 다음 수평대(61)가 하측으로 약간 경사지게 한 상태에서 다른 쪽(스프링이 있는 쪽)의 걸림공(71)으로부터 돌기(62)가 이탈되도록 하여 공기확산부재(6)를 분리하게 되는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공기확산부재(6)를 분리한 다음에 필터(20)를 분리시켜 소제를 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반드시 상기와 같이 공기확산부재(6)를 분리시키는 디퓨져(1)에만 채용되는 것은 아니고, 가령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9317호와 같이 훅크편과 걸림편을 구비하여 디퓨져 본체로부터 공기확산부재를 조립하고 다시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는 디퓨져에도 채용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디퓨져(1)에는 이미 알려진 바와 같이 공기량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댐퍼(8)와 조절손잡이(82)를 가진 댐퍼조절대(81)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댐퍼조절대(81)는 통상 댐퍼(8)로부터 조립 및 분리되도록 구성되기 때문에 필터(20) 소제시에는 공기확산부재(6)와 댐퍼조절대(81)를 분리하고 필터(20)를 분리시켜 소제시키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댐퍼(8)를 채용하는 경우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필터(20) 중앙부에 보강프레임(211)을 구비하여 그 보강프레임(211)의 중앙을 댐퍼조절대(81)가 관통하도록 하면 보강프레임(211)이 댐퍼조절대(81)를 잡아 주는 상태가 되므로 더욱 안정적인 상태가 될 수도 있다.
한편, 이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확산부(4)가 원형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수평플레이트(5)가 원형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경우 필터지지수단(10)과 필터(20)도 역시 원형 형태로 제조되어 채용되게 되는 것이며, 공기확산부(4)가 사각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수평플레이트(5)가 사각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경우 필터지지수단(10)과 필터(20) 역시 사각 형태로 제조되어 채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디퓨져(1)의 공기확산부(4)와 수평플레이트(5)의 형상에 따라 필터지지수단(10)과 필터(20)가 원형이나 사각 형태로 각각 제조되어 채용되는 경우 디퓨져(1)의 크기가 다양하므로 그 디퓨져(1) 종류와 크기별로 수많은 필터지지수단(10)과 필터(20)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고 낭비가 초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하나의 필터장치를 가지고 원형 형태이거나 사각형태의 공기확산부(4)와 수평플레이트(5)를 갖는 디퓨져(1)에 모두 채용 가능한 필터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다시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필터지지수단(10)의 외곽둘레부(11) 및 필터(20)의 외곽프레임(21)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각각 양측에 상호 대향 하는 L자형홈부(110,210)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구성된다.
또한, 상기 필터지지수단(10)의 외곽둘레부(11)의 L자형홈부(110)에는 외곽둘레부(11)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공기막이편부(111)를 갖도록 이루어도록 한다.
따라서, 도 8은 사각 형태의 공기확산부(4)와 수평플레이트(5)를 갖는 디퓨져(1)에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경우는 수평플레이트(5)가 사각형태이므로 전체가 원형 형태를 이루게 되는 필터지지수단(10)을 설치할 수 있으면서도 공기확산부재(6)를 설치하기 위한 걸림편(7)을 충분히 설치할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때 공기통로부(3)의 일부가 공기막이편부(111)에 의해서 가려지게 되는 상태가 될 수 있으나 그 가려지는 면적은 전체 면적에 비해 약소하기 때문에 공기 흐름에는 크게 지장이 초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9는 원형 형태의 공기확산부(4)와 수평플레이트(5)를 갖는 디퓨져(1)에 설치되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이 경우에는 수평플레이트(5)가 원형 형태이므로 전체가 원형 형태를 이루게 되는 필터지지수단(10)을 설치하는 경우에는 공기확산부재(6)를 설치하기 위한 걸림편(7)을 설치하기 위한 수평플레이트(5)의 면적이 협소하다.
그러나 L자형홈부(110)에 있는 바람막이편부(111) 부분으로 걸림편(7)의 일부분이 위치하여 포개지도록 하는 상태로 하면 걸림편(7)을 무난하게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공간이 확보되기 때문에 걸림편(7)을 설치 가능한 상태가 된다.
물론, 이 경우에도 공기통로부(3)의 일부가 공기막이편부(111)에 의해서 가려지게 되는 상태가 되지만 그 가려지는 면적은 전체 면적에 비해 매우 약소하기 때문에 공기 흐름이나 필터(20)의 여과작용에는 크게 지장이 초래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터장치가 필터지지수단(10)의 외곽둘레부(11) 및 필터(20)의 외곽프레임(21)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각각 양측에 상호 대향 하는 L자형홈부(110,210)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외곽둘레부(11)의 L자형홈부(110)에는 외곽둘레부(11)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공기막이편부(111)를 갖도록 하는 경우에는 하나의 필터장치를 가지고 사각 형태의 공기확산부(4)와 수평플레이트(5)를 갖는 디퓨져(1) 뿐만 아니라 원형 형태의 공기확산부(4)와 수평플레이트(5)를 갖는 디퓨져(1)에도 모두 채용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디퓨져 2:본체
3:공기통로부 4:공기확산부
5:수평플레이트 51:결착공
6:공기확산부재 62:돌기
7:걸림편 71:걸림공
8:댐퍼 81:댐퍼조절대
10:필터지지수단 11:외곽둘레부
12:공기통과공 13:훅크돌기부
131:걸림턱면 132:경사부
14:바람막이돌륜부 15:결착구멍
16:결착구 20:필터
21:외곽프레임 22:여과부재
110,120:L자형홈부 111:공기막이편부

Claims (6)

  1. 외곽둘레부(11) 중앙에 공기통과공(12)이 있고, 상기 외곽둘레부(11)의 하측면에는 등간격으로 걸림턱면(131)과 경사부(132)를 가진 다수의 훅크돌기부(13)가 돌출되어 있으며, 상기 다수의 훅크돌기부(13)들 사이에는 외곽둘레부(11)로부터 걸림턱면(131)까지 높이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높이로 돌출되는 바람막이돌륜부(14)를 갖는 필터지지수단(10)과;
    상기 훅크돌기부(13)의 걸림턱면(131)과 바람막이돌륜부(14) 사이에 끼워지게 결합되는 외곽프레임(21) 내측으로 여과부재(22)를 갖는 필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수단(10)의 외곽둘레부(11)에 등간격으로 다수 구비되는 결착구멍(15)과, 디퓨져(1) 본체(2)의 수평플레이트(5)에 구비되는 결착공(51)으로 결착구(16)가 강제적으로 끼워지게 하여 수평플레이트(5)에 필터지지수단(10)이 고정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결착구(16)는, 머리부(161)와, 갈라짐공(163)을 갖는 몸체부(162)와, 상기 몸체부(162) 하측에 걸림턱(164)을 갖는 쐐기부(165)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수단(10)과 필터(20)가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 중에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수단(10)의 외곽둘레부(11) 및 필터(20)의 외곽프레임(21)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되 각각 양측에 상호 대향 하는 L자형홈부(110,210)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하고, 상기 외곽둘레부(11)의 L자형홈부(110)에는 외곽둘레부(11) 공기조화용 두께보다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공기막이편부(111)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지지수단(10)이 디퓨져(1) 본체(2)의 공기통로부(3)와 공기확산부(4)의 경계선상에 구비되는 수평플레이트(5) 내면에 고정된 후 필터(20)가 훅크돌기부(13)의 걸림턱면(131)과 바람막이돌륜부(14) 사이에 끼워지도록 결합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KR1020120156741A 2012-12-28 2012-12-28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KR1012526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741A KR101252636B1 (ko) 2012-12-28 2012-12-28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741A KR101252636B1 (ko) 2012-12-28 2012-12-28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2636B1 true KR101252636B1 (ko) 2013-04-09

Family

ID=4844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741A KR101252636B1 (ko) 2012-12-28 2012-12-28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263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4178A (en) * 2015-01-15 2016-07-20 Nuaire Ltd An air vent assembly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5806A1 (en) 2001-01-29 2002-10-24 Mcgill Joseph A. Adjustable damper for airflow systems
KR20030043042A (ko) * 2001-11-26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고정구조
KR200425388Y1 (ko) 2006-06-19 2006-09-01 (주)대성에어테크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KR20090008527U (ko) * 2008-02-20 2009-08-25 주식회사 삼일이엔지 공조기용 에어필터 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5806A1 (en) 2001-01-29 2002-10-24 Mcgill Joseph A. Adjustable damper for airflow systems
KR20030043042A (ko) * 2001-11-26 2003-06-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조화기의 에어필터 고정구조
KR200425388Y1 (ko) 2006-06-19 2006-09-01 (주)대성에어테크 공기조화기용 디퓨저
KR20090008527U (ko) * 2008-02-20 2009-08-25 주식회사 삼일이엔지 공조기용 에어필터 조립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34178A (en) * 2015-01-15 2016-07-20 Nuaire Ltd An air vent assembly
GB2534178B (en) * 2015-01-15 2020-12-30 Nuaire Ltd An air vent assembly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255B1 (ko) 먼지 제거가 가능한 필터 구조
US4514197A (en) Filter for air circulator
TWI585350B (zh) 換氣扇
AU2018293203A1 (en) Air-conditioning device having dust removing function
US7722694B2 (en) Filter system for an air cleaner
KR101375313B1 (ko) 공기조화용 저소음 디퓨져
CN202402369U (zh) 换气扇
CA2602631A1 (en) Air filter for an exhaust fan
KR101252636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US20030188520A1 (en) Air filter system for a free-standing air blowing fan
KR102054973B1 (ko) 공기 청정기
US20160271553A1 (en) Multi-stage hood filter
CN104696292A (zh) 换气扇
CN214536478U (zh) 一种风机盘管机组
KR100652800B1 (ko) 공기 청정기
JP4950347B1 (ja) 空調システム
JP3742630B2 (ja) フィルター取付具
KR20110002272U (ko) 정전기미세섬유필터가 장착된 열교환 환기시스템
KR101437932B1 (ko) 흡기용 디퓨져
KR200470659Y1 (ko) 바이러스 감염 방지용 헤파박스
KR20180005517A (ko) 공조용 에어필터 및 이를 포함하는 공조장치
JP2011257052A (ja) 換気装置用ルーバー
CN210302846U (zh) 空气净化器
CN204582896U (zh) 空调用活性炭滤网
CN216346704U (zh) 一种一体式空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