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37932B1 - 흡기용 디퓨져 - Google Patents

흡기용 디퓨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37932B1
KR101437932B1 KR1020140076299A KR20140076299A KR101437932B1 KR 101437932 B1 KR101437932 B1 KR 101437932B1 KR 1020140076299 A KR1020140076299 A KR 1020140076299A KR 20140076299 A KR20140076299 A KR 20140076299A KR 101437932 B1 KR101437932 B1 KR 1014379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iffuser
fastening bolt
fixing
plastic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62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홍선
Original Assignee
(주)하이시스이엔지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하이시스이엔지, 주식회사 선일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하이시스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0762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9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9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9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6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having one or more bowls or cones diverging in the flow dir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Abstract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필터 소제 기간이 더욱 길어지도록 할 수 있게 하면서도 매우 수월하게 필터 소제를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흡기용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장부재(1)에 고정되는 디퓨져본체(10)와, 상기 디퓨져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20) 및 공기유도부재(30)와, 상기 필터(20) 및 공기유도부재(30)가 고정되게 하는 체결볼트(40)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본체(10)의 상단주연부에 수평돌기편(11)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돌기편(11)이 끼워져서 결합 되게 하는 결합홈(51)을 원주면 하단부에 다수 구비하고, 체결볼트(40)가 체결되는 나사공(53)이 있는 중앙지지부(52)가 다수의 지지대(54)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플라스틱지지체(50), 상기 플라스틱지지체(50) 하단부에 밀착되는 외곽테두리부(21) 및 공기유도부재(30)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40)가 관통되는 중앙관통공(22)이 있고,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 된 여과부재(23)가 구비되어 경사유도면(24)을 따라 유도되게 통과되는 공기통과력이 상승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부재(23)가 고정되는 고정대(25) 하부에는 다수의 간격유지돌기(26)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필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흡기용 디퓨져{Intake diffuser}
본 발명은 건물 실내의 천장에 설치되는 흡기용 디퓨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매우 수월하게 필터 소제를 할 수 있도록 개선된 흡기용 디퓨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 실내 천장에는 흡기용 디퓨져를 구비하여 실내 공기가 흡기되어 공기정화기에서 정화되도록 하고 있으며, 이러한 흡기용 디퓨져에는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선행기술들과 같이 실내 공기에 포함하고 있는 먼지를 걸러내는 필터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에 기재된 선행기술들은 필터가 단순한 평면형태의 것이 채용됨으로써 수시로 필터 소제를 해 주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즉, 평면상의 단순한 필터는 공기가 통과하는 표면적이 작기 때문에 필터에 먼지가 빨리 축적되어 주기적으로 소제해야 하는 필터의 소제 기간이 단축되기 때문에 가령 3개월에 1회 소제해야 할 것을 2개월 1회 소제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그로 인해 빌딩 전체의 디퓨져 필터를 소제할 경우 소제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있어서 매우 비경제적인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디퓨져에 필터가 채용되게 하는데 있어서 천장에 고정되는 디퓨져 본체를 분리하고 필터를 분리시켜 소제해야 하였기 때문에 필터 소제 작업이 매우 불편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므로 보다 용이한 필터 소제를 위해서 공기유도부재(내부격자)에 의해 필터가 지지 되도록 한 것이 있었으나 공기유도부재 상부에 길다란 형태의 지지대를 구비하여 필터를 가압하도록 된 것이므로 실내에서 상기한 지지대가 육안으로 보이기 때문에 실내 디자인을 해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초래되는 문제점을 수반하고 있다.
KR 20-0399564 Y1 2005.10.25 KR 10-0858448 B1 2008.09.12 KR 20-0442850 Y1 2008.12.17 KR 10-1252636 B1 2013.04.09 KR 10-1296089 B1 2013.08.19
본 발명은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필터 소제 기간이 더욱 길어지도록 할 수 있게 하면서도 매우 수월하게 필터 소제를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흡기용 디퓨져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필터의 여과부재 전체가 여과작용을 할 수 있게 하여 여과 효율이 향상되도록 하는 동시에 필터의 조립 및 분리를 매우 수월하게 하여 매우 용이하고 간편한 필터 소제 작업이 도모될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별도의 플라스틱지지체를 구비하여 필터가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필터가 은폐되도록 하여 실내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디퓨져 외관이 미려함을 가질 수 있도록 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은, 천장부재에 고정되는 디퓨져본체와, 상기 디퓨져 본체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 및 공기유도부재와, 상기 필터 및 공기유도부재가 고정되게 하는 체결볼트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본체의 상단주연부에 수평돌기편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돌기편이 끼워져서 결합 되게 하는 결합홈을 원주면 하단부에 다수 구비하고,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나사공이 있는 중앙지지부가 다수의 지지대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플라스틱지지체 및 상기 플라스틱지지체 하단부에 밀착되는 외곽테두리부 및 공기유도부재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가 관통되는 중앙관통공이 있고,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 된 여과부재가 구비되어 경사유도면을 따라 유도되게 통과되는 공기통과력이 상승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부재가 고정되는 고정대 하부에는 다수의 간격유지돌기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필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퓨져본체의 수평돌기편에 회전방지홈공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방지홈공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부를 플라스틱지지체 하단부에 구비하여 상호 결합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대에 형성되는 지그재그홈부에 얹혀지는 여과부재 상부에 고정부재가 가압 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필터의 중앙관통공으로 손잡이를 가진 체결볼트가 관통되어 플라스틱지지체의 나사공에 체결되게 하거나, 상기 체결볼트가 공기유도부재 상면부에 고정되게 하여 중앙관통공을 관통되게 한 후 나사공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에 의해 체결되도록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또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공기통과력이 상승되면서도 공기통과면적이 넓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필터 소제 기간이 더욱 길어지게 되는 것이므로 소제 시간 단축 및 소제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필터의 여과부재 전체가 여과작용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여과 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필터의 조립 및 분리가 매우 수월하기 때문에 매우 용이하고 간편한 필터 소제 작업을 도모할 수 있게 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별도의 플라스틱지지체를 구비하여 필터가 지지 될 수 있도록 하고 공기유도부재에 의해 필터가 은폐되도록 함으로써 실내에서 육안으로 보이는 디퓨져 외관이 미려함을 가질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실시된 디퓨져의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디퓨져의 전체 종단면 구성도,
도 3은 도 1의 X-X'선 단면 구성도,
도 4는 도 2의 "Y'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Z-Z'선 단면도,
도 6의 (a)는 본 발명의 필터 단면도이고,(b)는 일부 확대 작용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필터의 저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디퓨져의 전체 종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구분하면 천장부재(1)에 고정되는 디퓨져본체(10)와, 상기 디퓨져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20) 및 공기유도부재(30)와, 상기 필터(20) 및 공기유도부재(30)가 고정되게 하는 체결볼트(40) 및 필터(20)가 장착되는 플라스틱지지체(50)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퓨져본체(10)의 상단주연부에 수평돌기편(11)이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수평돌기편(11)은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디퓨져본체(10)의 상단부가 안쪽 방향으로 절곡되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으며, 이러한 수평돌기편(11)의 어느 한 지점에는 회전방지홈공(12)을 구비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회전방지홈공(12)에는 이후에 다시 설명되는 플라스틱지지체(50) 하단부에 구비하는 걸림돌기부(55)가 끼워지도록 결합 됨으로써 상기 플라스틱지지체(50)가 디퓨져본체(10)로부터 원주방향으로 회동되지 못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본 발명의 플라스틱지지체(50)는, 상기 수평돌기편(11)이 끼워져서 결합 되게 하는 결합홈(51)을 원주면 하단부에 다수 구비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합홈(51)을 3군데 지점에 등간격으로 구성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플라스틱지지체(50)는 체결볼트(40)가 체결되는 나사공(53)이 있는 중앙지지부(52)가 다수의 지지대(54)에 의해 지지 되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디퓨져본체(10)의 상단부에 플라스틱지지체(50)를 먼저 결합시키게 된다. 이때 플라스틱지지체(50)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결합홈(51)이 있는 하단부를 안쪽 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약간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먼저 어느 한쪽의 결합홈(51)이 있는 부분을 도 4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안쪽으로 약간 들어가도록 한 상태에서 그 결합홈(51)에 수평돌기편(11)이 끼워지도록 하면서 가압하던 힘을 풀게 되면 안쪽으로 약간 들어간 상태의 결합홈(51) 부분이 외측방향으로 다시 튀어 나오면서 결합홈(51)에 수평돌기편(11)에 끼워져서 결합 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 나머지 2개의 결합홈(51) 부분을 상기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일한 방법으로 차례로 결합홈(51)에 수평돌기편(11)이 끼워지도록 결합하는 것이다. 그리고 완전히 결합 된 상태에서는 플라스틱지지체(50)의 결합홈(51) 있는 부분이 외측방향으로 탄력이 작용 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억지로 잡아 빼지 않는 한 결합홈(51)으로부터 수평돌기편(11)이 이탈되지 않지 않게 견고하게 결합 되는 상태가 되는 것이다.
다음, 본 발명은 천장부재(1)에 형성되는 설치공(부호없음) 외곽프레임(60)을 끼우고 나사(65)로 고정되게 한다. 상기 외곽프레임(60)은 중앙끼움공(61) 외주연부에 구비되는 기립지지편부(62)가 있고, 상기 기립지지편부(62)에서 외측 직각 방향으로 절곡 되어 천장부재(1)에 다수의 나사(65)에 의해 고정되는 수평고정편부(63)를 갖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끼움공(61)으로 끼워지는 디퓨져본체(10)의 외주면부에 있는 다수의 장착수단(13)이 기립지지편부(62) 내면(621)에 밀착되어 강제적으로 끼워지도록 하여 기립지지편부(62)의 상단부에 장착수단(13)이 걸림되게 장착되는 것이다.
상기한 상태에서 본 발명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체결볼트(40)에 의해 필터(20)와 공기유도부재(30)가 장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터(20)는 플라스틱지지체(50) 하단부에 밀착되는 외곽테두리부(21)가 있고, 공기유도부재(30)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40)가 관통되는 중앙관통공(22)을 구비한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대(25)에 형성되는 지그재그홈부(251)에 얹혀지는 여과부재(23) 상부에 고정부재(252)가 가압 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 되어 이루어지게 됨으로써,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되어 경사유도면(24)을 갖는 여과부재(23)를 구비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디퓨져본체(10)와 연결되는 덕트(미도시됨)에서 실내 공기를 빨아들이는 흡입력에 의해서 실내 공기가 여과부재(23)를 통과하게 되는데, 이때 도 6의 (b)와 같이 경사유도면(24)을 따라 실내 공기가 유도되어 통과하게 된다.
그러므로 경사유도면(24)을 따라 한곳으로 공기가 쏠리게 됨에 따라 공기 흐름이 빨라지게 됨으로써 여과부재(23)를 통과하는 공기통과력이 상승되기 때문에 신속하게 통과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공기통과력이 상승되면서도 공기통과면적이 넓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실시해야 하는 필터 소제 기간이 더욱 길어지게 되는 것이므로 가령 1년에 4회 소제해야 할 것을 3회만 소제하여도 되는 것이고, 그로 인해 소제시간 단축 및 소제비용이 절감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필터(20)는 도 2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과부재(23)가 고정되는 고정대(25) 하부에 다수의 간격유지돌기(26)를 갖도록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므로 상기 다수의 간격유지돌기(26)에 의해서 공기유도부재(30)와 필터(20)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고, 이러한 간격을 통해서 공기유도부재(30)가 필터(20) 하부에 가로 막혀 있어도 실내 공기가 필터(20)의 중앙부분의 여과부재(23)를 통과할 수 있게 되고, 그로 인해 필터(20)의 여과부재(23) 전체가 여과작용을 할 수 있게 됨으로써 여과 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필터(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기유도부재(30)의 관통공(31) 및 필터(20)의 중앙관통공(22)으로 손잡이(41)를 가진 체결볼트(40)가 관통되게 하여 상기 체결볼트(40)가 플라스틱지지체(50)의 나사공(53)에 체결되게 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필터(20)를 소제 할 시에는 체결볼트(40)를 나사옥(53)으로부터 풀림되게 하면 도 2의 가상선 도시와 같이 필터(20) 및 공기유도부재(30)가 분리됨으로써 소제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체결볼트(40)를 풀기만 하면 되므로 매우 신속하게 필터(20)를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필터(20) 소제가 용이하고 간편하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체결볼트(40)가 공기유도부재(30) 상면부에 고정되게 하여 중앙관통공(22)을 관통되게 한 후 나사공(53)에 체결되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면으로 도시되고 설명된 실시예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 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천장부재 10:디퓨져본체
11:수평돌기편 12:회전방지홈부
13:장착수단 20:필터
21:외곽테두리부 22:중앙관통공
23:여과부재 24:경사유도면
25:고정대 251:지그재그홈부
252:고정부재 26:간격유지돌기
30:공기유도부재 31:관통공
40:체결볼트 41:손잡이
50:플라스틱지지체 51:결합홈
52:중앙지지부 53:나사공
54:지지대 55:걸림돌기부
60:외곽프레임

Claims (4)

  1. 천장부재(1)에 고정되는 디퓨져본체(10)와, 상기 디퓨져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필터(20) 및 공기유도부재(30)와, 상기 필터(20) 및 공기유도부재(30)가 고정되게 하는 체결볼트(40)를 구비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본체(10)의 상단주연부에 수평돌기편(11)이 구비되도록 하고;
    상기 수평돌기편(11)이 끼워져서 결합 되게 하는 결합홈(51)을 원주면 하단부에 다수 구비하고, 체결볼트(40)가 체결되는 나사공(53)이 있는 중앙지지부(52)가 다수의 지지대(54)에 의해 지지되도록 이루어진 플라스틱지지체(50); 및
    상기 플라스틱지지체(50) 하단부에 밀착되는 외곽테두리부(21) 및 공기유도부재(30)를 고정시키는 체결볼트(40)가 관통되는 중앙관통공(22)이 있고,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 된 여과부재(23)가 구비되어 경사유도면(24)을 따라 유도되게 통과되는 공기통과력이 상승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여과부재(23)가 고정되는 고정대(25) 하부에는 다수의 간격유지돌기(26)를 갖도록 이루어지는 필터(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용 디퓨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퓨져본체(10)의 수평돌기편(11)에 회전방지홈공(12)을 구비하고, 상기 회전방지홈공(12)에 끼워지는 걸림돌기부(55)를 플라스틱지지체(50) 하단부에 구비하여 상호 결합 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용 디퓨져.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25)에 형성되는 지그재그홈부(251)에 얹혀지는 여과부재(23) 상부에 고정부재(252)가 가압 되도록 인서트 사출 성형 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용 디퓨져.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20)의 중앙관통공(22)으로 손잡이(41)를 가진 체결볼트(40)가 관통되어 플라스틱지지체(50)의 나사공(53)에 체결되게 하거나, 상기 체결볼트(40)가 공기유도부재(30) 상면부에 고정되게 하여 중앙관통공(22)을 관통되게 한 후 나사공(53)에 체결되도록 하는 것 중에 어느 하나에 의해 체결되도록 이루어지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기용 디퓨져.
KR1020140076299A 2014-06-23 2014-06-23 흡기용 디퓨져 KR1014379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299A KR101437932B1 (ko) 2014-06-23 2014-06-23 흡기용 디퓨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6299A KR101437932B1 (ko) 2014-06-23 2014-06-23 흡기용 디퓨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932B1 true KR101437932B1 (ko) 2014-09-16

Family

ID=517594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6299A KR101437932B1 (ko) 2014-06-23 2014-06-23 흡기용 디퓨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9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397A (ko)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힘펠 풀림방지 구조가 구비된 디퓨져
KR20200142331A (ko) * 2019-06-12 2020-12-22 황정모 에어컨 장착용 미세먼지 저감 필터
KR20230134731A (ko)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협일공조 필터교체가 용이한 디퓨저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564Y1 (ko) 2005-08-16 2005-10-25 주식회사 삼우필터 공조 시스템의 공기 디퓨져
KR200442850Y1 (ko) 2008-06-03 2008-12-17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축물 실내 환기장치용 실내측 디퓨져의 필터장치
KR20100102173A (ko) * 2008-01-30 2010-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458550Y1 (ko) 2010-06-14 2012-02-27 김대욱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9564Y1 (ko) 2005-08-16 2005-10-25 주식회사 삼우필터 공조 시스템의 공기 디퓨져
KR20100102173A (ko) * 2008-01-30 2010-09-20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0442850Y1 (ko) 2008-06-03 2008-12-17 주식회사 제일테크 건축물 실내 환기장치용 실내측 디퓨져의 필터장치
KR200458550Y1 (ko) 2010-06-14 2012-02-27 김대욱 실내 공기조화용 흡기유닛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46397A (ko) 2017-10-26 2019-05-07 주식회사 힘펠 풀림방지 구조가 구비된 디퓨져
KR20200142331A (ko) * 2019-06-12 2020-12-22 황정모 에어컨 장착용 미세먼지 저감 필터
KR102214711B1 (ko) * 2019-06-12 2021-02-09 황정모 에어컨 장착용 미세먼지 저감 필터
KR20230134731A (ko) 2022-03-15 2023-09-22 주식회사 협일공조 필터교체가 용이한 디퓨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80045133A1 (en) Filter fan with a quick fastening device
KR101437932B1 (ko) 흡기용 디퓨져
US9636617B2 (en) Air purifier device with fan duct
US20180187400A1 (en) Mixed material apron sink
KR20180053821A (ko) 헤파필터 하단 가장자리에서의 공기 와류 발생을 차단한 헤파필터 박스
US6468324B1 (en) Mounting system for filtration media
WO2013064418A1 (en) Holding device
CN111482002A (zh) 滤网装置及滤网系统
MX2017011878A (es) Filtro de campana de etapas multiples.
KR101289355B1 (ko) 주방용구용 걸이대 고정시스템
KR101037968B1 (ko) 스피커 장착 지지구
KR102054971B1 (ko) 공기청정기
KR101715480B1 (ko) 환풍기 그릴 체결장치
KR200436874Y1 (ko) 크린부스의 비닐커튼 체결구조
KR100972912B1 (ko) 기류 균배를 위한 공기필터의 구조
KR101252636B1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필터장치
JP2015064144A (ja) レンジフード
KR200491032Y1 (ko) 탈부착이 용이한 구조를 가지는 조명등
CN219036992U (zh) 水洗空气净化器
CN214995631U (zh) 一种安全可拆装的踢脚线
AU2008265519A1 (en) Fan and grille assembly
AU781083B2 (en) Ventilation grill system
KR200421011Y1 (ko) 조명등
KR20150146175A (ko) 공기조화용 디퓨져의 고정장치
KR101839536B1 (ko) 반도체 클린룸용 시스템 실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