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317B1 -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 - Google Patents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317B1
KR102225317B1 KR1020190107395A KR20190107395A KR102225317B1 KR 102225317 B1 KR102225317 B1 KR 102225317B1 KR 1020190107395 A KR1020190107395 A KR 1020190107395A KR 20190107395 A KR20190107395 A KR 20190107395A KR 102225317 B1 KR102225317 B1 KR 1022253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cked
door frame
window frame
cleaning device
air clea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73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선하
Original Assignee
박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선하 filed Critical 박선하
Priority to KR10201901073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53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3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3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을 병렬로 적층해서 벽처럼 만들고 환기할 창문 또는 문을 연 틈에 끼워놓고 가동함으로써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기 전에 정화시켜 환기 및 공기정화를 동시에 이루어낼 수 있고, 환기 이후 적층된 공기청정장치를 다시 분리하여 각 실내에 구비하여 공기청정기로 사용이 가능하기에 다용도의 기능과 편리성이 높은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Multi-layer air cleaning device that can be used indoor and outdoor}
본 발명은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2개 이상을 병렬로 적층해서 벽처럼 만들고 환기할 창문 또는 문을 연 틈에 끼워놓고 가동함으로써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기 전에 정화시켜 환기 및 공기정화를 동시에 이루어낼 수 있고, 환기 이후 적층된 공기청정장치를 다시 분리하여 각 실내에 구비하여 공기청정기로 사용이 가능하기에 다용도의 기능과 편리성이 높은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에너지 절약을 위한 방편과 소음 등의 문제로 점차 인간의 주거공간은 기밀화 및 단열화 되고 있는 반면, 이러한 폐쇄공간의 공기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이산화탄소량이 증가하여 오염됨으로써 생명체의 호흡을 방해하게 된다.
따라서, 사무실이나 차량과 같이, 많은 사람이 협소한 공간에 머물게 된 곳은 수시로 환기를 시켜야 하며, 이때 통상적으로 환기장치가 이용되는데 이것은 실내공기 온도를 유지하면서 외부공기를 유입하고, 오염된 실내공기를 배출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장치의 경우 외부의 공기가 아무런 여과없이 실내로 유입되고 있어, 황사, 공기오염, 꽃가루 등 유해성분이 무분별하게 실내로 유입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별도의 종래기술에 따른 환기장치의 경우 외부와 방음장치 없이 연통되어 있어 외부의 소음이 그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환기장치가 없는 경우 이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벽체에 구멍을 뚫고 전문가에 의해 시공이 진행되어야 하는바, 설치비용과 시간이 만만치 않게 소요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공기정화장치를 설치하는데, 일반적인 공기정화장치는 실내의 공기만을 정화할 수 있다. 그러나 외부에서 들어오는 공기도 정화하여 실내로 유입시킬 필요가 있다. 이러한 기술은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519544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술한 공보에는 창문에 공기 정화용 필터를 설치하여 외부의 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때 필터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기술은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오염물질은 어느 정도 막을 수 있으나, 내부의 공기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또 다른 공기정화장치를 필요로 하는 단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51954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2개 이상을 병렬로 적층해서 벽처럼 만들고 환기할 창문 또는 문을 연 틈에 끼워놓고 가동함으로써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기 전에 정화시켜 환기 및 공기정화를 동시에 이루어낼 수 있고, 환기 이후 적층된 공기청정장치를 다시 분리하여 각 실내에 구비하여 공기청정기로 사용이 가능하기에 다용도의 기능과 편리성이 높은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창틀 또는 문틀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고, 상기 창틀 또는 문틀의 높이에 따라 병렬로 다수개 설치되며, 상기 다수개를 용도에 따라 분리시켜 실내에 구비될 수 있는 공기청정장치에 있어서,
다수개가 병렬로 적층되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에 고정자석부가 설치되고, 중공된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와 송풍팬이 설치되며, 전면과 후면에 공기가 유입/배출되도록 관통홀이 형성되는 커버가 설치되는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측면부에 고정된 뒤, 창틀 또는 문틀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본체부를 창틀 또는 문틀 내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과;
상기 적층되는 다수개의 본체부 중 최상단에 위치한 본체부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창틀 또는 문틀과 본체부와의 이격된 간격을 차단하는 상단 커버 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는 중공된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와 송풍팬이 설치되도록 결합부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는 전면과 후면에 결합홈이 형성되되, 상기 전면의 결합홈에는 다수개의 필터가 상호 적층되어 결합되며, 상기 후면의 결합홈에는 송풍팬이 설치되어 송풍팬을 통해 이송되는 외부 공기가 다수개의 필터를 관통하면서 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본체부의 내부에는 송풍팬과 연결되어 송풍팬을 제어하는 제어부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이 커버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 브라켓은 본체부의 측면부에 고정되도록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의 일면에는 창틀 또는 문틀의 내측면에 설치되도록 한 쌍의 보조 브라켓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보조 브라켓 중 하나의 보조 브라켓은 상호 간에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창틀 또는 문틀의 내측면 폭에 맞춰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상단 커버 브라켓은, 상기 본체부의 상부면에 설치되도록 일측면에 고정자석부가 부착되고,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요철부가 돌출 형성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요철부에 수직으로 탈부착 되어 창틀 또는 문틀과 본체부와의 이격된 간격을 차단하고, 상기 이격된 간격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커버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는 2개 이상을 병렬로 적층해서 벽처럼 만들고 환기할 창문 또는 문을 연 틈에 끼워놓고 가동함으로써 유입되는 외부공기를 실내로 유입하기 전에 정화시켜 환기 및 공기정화를 동시에 이루어낼 수 있고, 환기 이후 적층된 공기청정장치를 다시 분리하여 각 실내에 구비하여 공기청정기로 사용이 가능하기에 다용도의 기능과 편리성이 높은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기청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기청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기청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커버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은 그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욱 명확히 설명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 전에, 다음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들의 상세로 그 응용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들로 구현되고 실시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 장치 또는 요소 방향(예를 들어 "전(front)", "후(back)", "위(up)", "아래(down)", "상(top)", "하(bottom)", "좌(left)", "우(right)", "횡(lateral)")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본원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고,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제 1(first)", "제 2(second)"와 같은 용어는 설명을 위해 본원 및 첨부 청구항들에 사용되고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기청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기청정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형 공기청정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단 커버 브라켓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는 기존의 창틀(1) 또는 문틀(1)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데, 상기 창틀(1) 또는 문틀(1)의 높이에 따라 병렬로 다수개 설치되고, 상기 다수개의 공기청정장치를 용도에 따라 분리시켜 실내에 하나 이상씩 구비될 수 있는 공기청정장치로써, 본체부(10)와, 고정 브라켓(20)과, 상단 커버 브라켓(30)으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부(1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개가 병렬로 적층되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에 고정자석부(15)가 설치되고, 상기 본체부(10)의 중공된 내부에는 다수개의 필터(13)와 송풍팬(14)이 설치되며, 상기 본체부(10)의 전면과 후면에는 공기가 유입/배출되도록 관통홀(11a)이 형성된 커버(11)가 설치된다. 이때, 상기 고정자석부(15)는 네오디움 재질의 자석을 사용하고 상기 본체부(10)의 내측의 상부와 하부의 같은 위치에 부착 고정하여 본체부(10)가 병렬로 적층시 고정자석부(15)의 자성력에 의해 상호 간에 부착 정렬되며, 상기 본체부(10)는 플라스틱 소재로 사용하지만 제한을 두지 않는다.
여기서, 상기 본체부(10)는 중공된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13)와 송풍팬(14)이 설치되도록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는 전면과 후면에 결합홈(12a)이 형성되되, 상기 전면의 결합홈(12a)에는 다수개의 필터(13)가 상호 적층되어 결합되며, 상기 후면의 결합홈(12a)에는 송풍팬(14)이 설치되어 송풍팬(14)을 통해 이송되는 외부 공기가 다수개의 필터(13)를 관통하면서 정화된다.
그리고, 상기 결합부(12)는 본체부(10)의 중공된 내부에 형성되는데, 상기 본체부(10)의 길이방향으로 1개 이상 형성되어 다수개의 송풍팬(14)이 설치되고, 상기 송풍팬(14)에 맞춰 다수개의 필터(13)가 각각 연결되어 한번에 많은 양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송풍팬(14)과 연결되어 송풍팬(14)을 제어하는 제어부(PCB,16)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6)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17)이 커버(1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이때, 상기 작동버튼(17)은 본체부(10)의 후면에 설치되는 후면 커버(11)에 돌출 형성되어 실내에서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본체부(10) 중 최하단부에 위치하는 본체부(10)의 하부면에는 창틀(1) 또는 문틀(1)의 내측 하단부에 본체부가 놓여지도록 결착홈(미도시)이 형성되고, 상기 결착홈은 창틀(1) 또는 문틀(1)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결착홈 내에는 창틀(1) 또는 문틀(1)에 끼워지도록 고무패드(미도시)가 더 형성된다.
상기 고정 브라켓(2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부(10)의 측면부에 고정된 뒤, 창틀(1) 또는 문틀(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본체부(10)를 창틀(1) 또는 문틀(1) 내에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고정 브라켓(20)은 본체부(10)의 측면부에 고정되도록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20)의 일면에는 창틀(1) 또는 문틀(1)의 내측면에 설치되도록 한 쌍의 보조 브라켓(21,22)이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 브라켓(20)의 내측면 즉, 두 개의 고정 브라켓(20)이 상호 대응되는 면에는 반구형의 삽입돌기(23)가 돌출 형성되어 고정 브라켓(20)이 본체부(10)의 측면부에 고정시, 상기 고정 브라켓(20)이 "┏┓" 형태로 형성되어 있기에 본체부(10)의 전면과 후면에 형성된 커버(11)와 접촉되고 이때, 고정 브라켓(20)의 삽입돌기(23)는 커버(11)에 형성된 다수개의 관통홀(11a) 중 어느 하나의 관통홀(11a)에 삽입되어 고정 브라켓(20)이 본체부(10)의 측면부에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조 브라켓(21,22)은 고정 브라켓(20)의 일면에 고정 브라켓(20)과 반대측으로 돌출 형성되는데 두 개의 보조 브라켓(21,22)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고, 상기 두 개의 보조 브라켓 사이에 창틀(1) 또는 문틀(1)의 내측면이 삽입되어 고정 브라켓(20)을 고정시키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한 쌍의 보조 브라켓(21,22) 중 하나의 보조 브라켓(22)은 두 개의 보조 브라켓(21,22) 상호 간에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 창틀(1) 또는 문틀(1)의 내측면 폭에 맞춰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절용 보조 브라켓(22)은 상호 간에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 형태로 형성되어 일면이 고정 브라켓(20)의 일면에 접촉되어 고정 브라켓(20)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데, 상기 조절용 보조 브라켓(22)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이동이 가능한 장홀(24)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조절용 보조 브라켓(22)의 장홀(24)에 맞춰 고정 브라켓(20)의 일면에는 장홀(24)에 관통되는 연결돌기(25)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연결돌기(25)의 끝단면에는 나사산으로 형성되어 고정 볼트(26)가 결합되도록 나사 홈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 볼트(26)가 연결돌기(25)의 끝단면에 나사 결합됨으로써, 조절용 보조 브라켓(22)을 고정 브라켓(20)의 일면에 고정시킬 수 있어 두 개의 보조 브라켓(21,22) 간격을 조절하는 동시에 조절용 보조 브라켓(22)을 통해 창틀(1) 또는 문틀(1)의 내측면에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조절용 보조 브라켓(22) 이외의 다른 보조 브라켓(21)은 고정 브라켓(20)의 일면에 돌출 형성되는데, 상기 조절용 보조 브라켓(22)이 창틀(1) 또는 문틀(1)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고정될 때 받쳐주기 위해 고정 리브(27)가 더 형성되고, 상기 고정 리브(27)는 고정 브라켓(20)의 일면과 보조 브라켓(21)의 일면에 연결되어 보조 브라켓(21)을 받쳐주는 것이다.
상기 상단 커버 브라켓(30)은 도 1내지 도 3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적층되는 다수개의 본체부(10) 중 최상단에 위치한 본체부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창틀(1) 또는 문틀(1)과 본체부와의 이격된 간격을 차단한다. 즉, 상기 본체부는 창틀(1) 또는 문틀(1)의 높이에 따라 병렬로 적층되어 설치되는데, 상기 본체부는 기성품으로 높이가 정해진 상태로 제작되는 반면 창틀(1) 또는 문틀(1)의 높이는 각 제조회사마다 제품의 높이가 다르기에 정확하게 맞출 수 없고 그에 따라 적층된 본체부 상부와 창틀(1) 또는 문틀(1)의 내측 상부와 간격이 발생하는 것을 상단 커버 브라켓(30)으로 차단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상단 커버 브라켓(30)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면에 설치되도록 일측면에 고정자석부(34)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요철부(33)가 돌출 형성되는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의 요철부(33)에 수직으로 탈부착되어 창틀(1) 또는 문틀(1)과 본체부(10)와의 이격된 간격을 차단하고, 상기 이격된 간격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커버부(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31)에는 고정자석부(34)가 형성되어 본체부(1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고정자석부(34)와 상호 간에 자성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커버부(32)는 몸체부(31)의 요철부(33)에 탈부착 가능한데 수직으로 평판형으로 형성되어 창틀(1) 또는 문틀(1)과 본체부(10)와의 이격된 간격을 차단하는데, 상기 창틀(1) 또는 문틀(1)과 본체부(10)와의 이격된 간격에 따라 조절이 되도록 커버부(32)의 일면에 절제선(35)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절제선(35)은 커버부(32)의 일면에 수평으로 길게 형성되되, 상기 커버부(32)의 상,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다수개가 형성되며, 상기 절제선(35)에는 "∨" 형태로 홈이 형성되어 창틀(1) 또는 문틀(1)과 본체부(10)와의 이격된 간격에 따라 커버부(32)를 절단하여 이격 간격을 차단한다.
10 : 본체부 11 : 커버
11a : 관통홀 12 : 결합부
12a : 결합홈 13 : 필터
14 : 송풍팬 15,34 : 고정자석부
16 : 제어부 17 : 작동버튼
20 : 고정 브라켓 21 : 보조 브라켓
22 : 조절용 보조 브라켓 23 : 삽입돌기
24 : 장홀 25 : 연결돌기
26 : 고정 볼트 27 : 고정 리브
30 : 상단 커버 브라켓 31 : 몸체부
32 : 커버부 33 : 요철부
35 : 절제선

Claims (5)

  1. 창틀(1) 또는 문틀(1)에 설치되어 외부에서 실내로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고, 상기 창틀(1) 또는 문틀(1)의 높이에 따라 병렬로 다수개 설치가 가능하며, 상기 다수개를 용도에 따라 분리시켜 실내에 구비할 수 있는 공기청정장치에 있어서,
    다수개가 병렬로 적층되도록 상부면과 하부면에 고정자석부(15)가 설치되고, 중공된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13)와 송풍팬(14)이 설치되며, 전면과 후면에 공기가 유입/배출되도록 관통홀(11a)이 형성되는 커버(11)가 설치되는 본체부(10)와;
    상기 본체부(10)의 측면부에 고정된 뒤, 창틀(1) 또는 문틀(1)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본체부(10)를 창틀(1) 또는 문틀(1) 내에 고정시키는 고정 브라켓(20)과;
    상기 적층되는 다수개의 본체부(10) 중 최상단에 위치한 본체부(10)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창틀(1) 또는 문틀(1)과 본체부(10)와의 이격된 간격을 차단하는 상단 커버 브라켓(30);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20)은 본체부(10)의 측면부에 고정되도록 "┏┓"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브라켓(20)의 일면에는 창틀(1) 또는 문틀(1)의 내측면에 설치되도록 한 쌍의 보조 브라켓(21,22)이 돌출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보조 브라켓(21,22) 중 하나의 보조 브라켓(22)은 상호 간에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창틀(1) 또는 문틀(1)의 내측면 폭에 맞춰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는 중공된 내부에 다수개의 필터(13)와 송풍팬(14)이 설치되도록 결합부(12)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12)는 전면과 후면에 결합홈(12a)이 형성되되, 상기 전면의 결합홈(12a)에는 다수개의 필터(13)가 상호 적층되어 결합되며, 상기 후면의 결합홈(12a)에는 송풍팬(14)이 설치되어 송풍팬(14)을 통해 이송되는 외부 공기가 다수개의 필터(13)를 관통하면서 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10)의 내부에는 송풍팬(14)과 연결되어 송풍팬(14)을 제어하는 제어부(16)가 더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16)를 작동시키는 작동버튼(17)이 커버(1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커버 브라켓(30)은,
    상기 본체부(10)의 상부면에 설치되도록 일측면에 고정자석부(34)가 형성되고, 상부면에는 길이방향으로 요철부(33)가 돌출 형성되는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31)의 요철부(33)에 수직으로 탈부착 되어 창틀(1) 또는 문틀(1)과 본체부(10)와의 이격된 간격을 차단하고, 상기 이격된 간격에 따라 높이가 조절되는 커버부(32);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
KR1020190107395A 2019-08-30 2019-08-30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 KR1022253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395A KR102225317B1 (ko) 2019-08-30 2019-08-30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07395A KR102225317B1 (ko) 2019-08-30 2019-08-30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5317B1 true KR102225317B1 (ko) 2021-03-08

Family

ID=75184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7395A KR102225317B1 (ko) 2019-08-30 2019-08-30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53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544B1 (ko) 2003-10-29 2005-10-10 이병수 공기 자동정화 창문
KR20100009711U (ko) * 2009-03-25 2010-10-05 최구락 창틀고정용 환기장치
KR101972597B1 (ko) * 2017-11-30 2019-08-26 임미란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9544B1 (ko) 2003-10-29 2005-10-10 이병수 공기 자동정화 창문
KR20100009711U (ko) * 2009-03-25 2010-10-05 최구락 창틀고정용 환기장치
KR101972597B1 (ko) * 2017-11-30 2019-08-26 임미란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27842B2 (en) Filter fan with a quick fastening device
KR20190012094A (ko) 창문형 공기청정기
KR20130017658A (ko) 환기장치
KR102225317B1 (ko) 실내외 겸용으로 사용이 가능한 적층형 공기청정장치
KR20150140074A (ko) 창틀 고정용 환풍기 설치대
KR20080047103A (ko) 정압실을 형성한 격벽형 에어필터를 이용한 공기정화용창호
KR100980199B1 (ko) 창호용 환기장치의 장착연결구조
US7603873B2 (en) Enbloc air conditioner
WO2015114738A1 (ja) 空気清浄機
KR101190496B1 (ko) 전열교환기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47112A (ko) 공기정화용 창호
KR101995119B1 (ko) 창문설치형 공기청정기
CN107687222B (zh) 一种多功用铝天花板
KR102255044B1 (ko) 공기정화기용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공기정화기 설치방법
CN203869248U (zh) 一种用于配置室内通风和空气质量调节设备的系统
CH713386A2 (it) Dispositivo di ventilazione.
CN220588050U (zh) 一种门帘强吸配件及磁吸门帘
KR102538734B1 (ko) 커튼월 구조를 갖는 환기 시스템의 창틀 구조체
KR20190118479A (ko) 이동식 기능을 갖는 창호설치용 환기청정시스템
KR102541475B1 (ko) 전열교환기
KR102630352B1 (ko) 이중창 내입형 환기용 공기청정기
KR102409418B1 (ko) 창호용 조립식 환기 장치
DE10310973B3 (de) Lüftungsvorrichtung mit Schall- und Akustikkapselung
JP5909344B2 (ja) 空気調和装置用分岐チャンバー
JP2017115319A (ja) 玄関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