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7876A -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7876A
KR20240057876A KR1020220138628A KR20220138628A KR20240057876A KR 20240057876 A KR20240057876 A KR 20240057876A KR 1020220138628 A KR1020220138628 A KR 1020220138628A KR 20220138628 A KR20220138628 A KR 20220138628A KR 20240057876 A KR20240057876 A KR 202400578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ilter
auxiliary fixing
filter member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8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기용
Original Assignee
성기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기용 filed Critical 성기용
Priority to KR10202201386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7876A/ko
Publication of KR20240057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78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보조고정부재에 의해 필터부재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는, 다수의 개별필터(100)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10)와,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와 개별필터(100) 연결부를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20)에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고정부재(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20)과 보조고정부재(30)는 가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터치 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필터부재의 고정이 더욱 견고해지고 필터장치의 페기처분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FILTER APPARATUS AND MANUFACTURE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프레임과 보조고정부재에 의해 필터부재가 견고하게 고정되는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의 오염물질을 걸러내어 청정한 실내 환경을 만들거나 대기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에어덕트 등에 필터장치가 구비된다.
에어필터라 불리기도 하는 필터부재가 장착되는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는 공조기와 같은 에어 관리 설비에 장착되어 외부 유입공기 및 순환공기 중에서 공기 속의 먼지나 공해, 각종 세균 및 악취 등과 같은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깨끗한 공기가 공급되게 하는 여과장치다.
이러한 에어덕트용 필터장치는 조선소와 같은 산업부문과 빌딩 공기정화나 병원, 연구소 등 다양한 건물에 구비되어 사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대기 오염이 심각하여 일반 주거용 건물에도 많이 보급되어 설치되어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공조용 필터의 설치 보급이 앞으로 갈수록 더욱 보편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종래의 에어덕트용 필터장치의 경우에는 특허 제10-1964307호에서와 같이 필터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다수의 프레임(케이싱)이 구비되고, 이러한 프레임(케이싱)은 통상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따라서 필터가 금속재질의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아 장기간 사용에 의해 필터부재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나아가 필터장치의 폐기처분시에는 일일이 프레임과 필터를 분리하여 배출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금속재질의 프레임이 소각처리가 불가하므로 필터와 프레임을 분리한 다음 필터부재를 별도로 소각하여야 하므로, 필터와 프레임의 분리 제거에 많은 노력과 노동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96430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필터장치의 모든 부품이 가연성 소재로 이루어지는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필터부재가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장시간 사용시에도 필터의 분리가 방지되는 필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는, 다수의 개별필터(100)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10)와,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와 개별필터(100) 연결부를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20)에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고정부재(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20)과 보조고정부재(30)는 가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터치 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프레임(2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하는 사각틀(200)과, 상기 사각틀(200) 내부에 등(等)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개별필터(100)의 연결부분을 지지하는 사이드바(250)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고정부재(30)는, 상기 사각틀(200)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편(300)과, 상기 지지편(300)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편(310)을 포함하며; 상기 개별필터(100)는,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필터부(110)와,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필터부(110) 양단과 수직으로 서로 접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틀(200)의 일면에는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접합되어 고정되는 접착면(232)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고정편(310) 사이에는 상기 사이드바(250)가 수용되는 회피홈(312)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0)의 사각틀(200)과 상기 보조고정부재(30)의 지지편(300)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져 체결되는 체결돌기(320)와 돌기홀(234)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돌기(320)는 상기 지지편(300)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기홀(234)은 상기 사각틀(200)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기홀(234)의 일단에는 상기 사각틀(20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돌기지지단(240)이 더 형성되며, 상기 돌기지지단(240)과 체결돌기(320)의 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각틀(200)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는 내벽(210) 및 외벽(220)과, 상기 내벽(210)과 외벽(220)의 일단을 연결하는 결합면(2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돌기지지단(240)은 상기 결합면(23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체결돌기(32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지지단(240)과 내벽(210) 사이의 간격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고, 상기 체결돌기(320)와 고정편(310)의 간격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의 제조방법은,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프레임을 제작하는 프레임제작단계(S400)와,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보조고정부재를 제작하는 보조고정부재제작단계(S410)와, 공기가 통과하는 가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개별필터(100)를 서로 연결하여 필터부재(10)를 만드는 필터부재제작단계(S420)와, 상기 필터부재(10)를 상기 프레임(20)에 결합하는 필터부재결합단계(S430)와,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된 필터부재(10)의 테두리를 프레임(20)의 일면에 고정하는 필터부재접합단계(S440)와, 상기 보조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재접합단계(S440)에 의해 프레임(20)에 고정된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프레임(20)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밀착하는 보조고정단계(S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다수의 개별필터로 이루어지는 필터부재가 프레임의 사이드바에 걸쳐 설치된 다음 프레임의 표면에 융착 등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개별필터의 연결부분이 다수의 사이드바에 걸려 지지됨과 동시에 융착에 의해 고정된 프레임의 지지력에 의해 필터부재가 장시간 견고하게 사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필터부재의 테두리가 프레임에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지지하는 보조고정부재가 더 구비된다. 따라서 필터부재가 건물의 배기덕트 등에서 장시간 사용되는 경우에도 필터부재의 테두리가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는 현상이 방지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서는 필터장치의 모든 부품이 가연성 소재로 이루어진다. 즉 필터부재는 물론 프레임과 보조고정부재도 불에 잘 타는 플라스틱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폐기시에는 소각처리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사용 후 폐기처분이 쉬워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돌기지지단이 더 형성되어 체결돌기를 지지하도록 함과 동시에 체결돌기와 돌기지지단에 요철()을 형성하여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돌기지지단과 내벽의 끝단은 벌어지고, 체결돌기와 고정편의 끝단은 서로 가까워지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보조고정부재가 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력은 더 강화되므로 고정편과 내벽 사이에서 고정되는 필터부재의 테두리는 더욱 견고하게 프레임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터장치의 개별필터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보조고정부재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블럭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보조고정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 가로 절개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보조고정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 세로 절개사시도.
도 9는 도 8의 A-A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개별필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의 일 실시예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1 및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와 분해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3 내지 도 5에는 본 발명 실시예를 구성하는 필터장치와 프레임 그리고 보조고정부재의 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1)는, 다수의 개별필터(100)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10)와,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와 개별필터(100) 연결부를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20)에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고정부재(30)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부재(10)는 물론 상기 프레임(20)과 보조고정부재(30)도 가연성(可燃性)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프레임(20)과 보조고정부재(30)는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야 하나 가연성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프레임(20)과 보조고정부재(30)은 원터치 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하는 사각틀(200)과, 상기 사각틀(200) 내부에 등(等)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개별필터(100)의 연결부분을 지지하는 사이드바(2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20)은 견고한 재질로 이루어져, 연결덕트(미도시) 등에 고정 설치되는 부분으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의 외관을 형성한다.
상기 사각틀(200)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는 내벽(210) 및 외벽(220)과, 상기 내벽(210)과 외벽(220)의 일단을 연결하는 결합면(23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사각틀(200)은 일방이 개구된 'ㄷ'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외관을 형성하는 외벽(220)과, 외벽(220)과 대응되는 형상 및 크기를 가지도록 소정 거리 이격되게 형성되는 내벽(210) 그리고 상기 외벽(220)과 내벽(210)을 연결하는 결합면(230)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면(230)은 상기 필터부재(10) 또는 보조고정부재(30)가 밀착 고정되는 부분이다.
상기 사각틀(200)의 일면에는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접합되어 고정되는 접착면(232)이 단차지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사각틀(200)의 결합면(230) 내측부분은 소정 깊이로 후측으로 함몰된 단차가 형성되어 접착면(232)을 형성한다.
상기 접착면(232)은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융착 또는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상기 접착면(232)이 상기 사각틀(200)의 결합면(230)으로부터 함몰되어 있으므로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상기 사각틀(200)에 부착 고정되는 경우에도 필터부재(10)가 프레임(20)의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는다.
상기 사각틀(200)에는 소정 크기의 돌기홀(234)이 형성된다. 즉 상기 결합면(230)에는 전후로 관통되는 돌기홀(234)이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형성된다. 상기 돌기홀(234)은 아래에서 설명할 보조고정부재(30)의 체결돌기(320)가 관통하여 결합되는 부분이다.
상기 보조고정부재(30)는, 상기 필터부재(10)가 상기 프레임(20)에 더욱 견고하고 고정 장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사각틀(200)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편(300)과, 상기 지지편(300)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편(31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부재(30)는 상기 사각틀(200)과 같이 사각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틀(200)의 상하좌우에 각각 체결되도록 4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서는 상기 보조고정부재(30)가 모두 4개로 구성되어 상기 사각틀(200)에 개별적으로 체결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상기 지지편(30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두께를 가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편(310)은 상기 지지편(300)의 일단(도 5에서는 하단)으로부터 일측(도 5에서는 전방)으로 수직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상기 고정편(3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개가 형성됨이 바람직하여, 다수의 고정편(310) 사이에는 회피홈(312)이 형성된다. 상기 회피홈(312)은 상기 보조고정부재(30)를 상기 프레임(20)에 체결할 때에 개별필터(100)의 연결부 및 사이드바(250)와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부분이다. 따라서 상기 회피홈(312)은 끝단(도 5에서는 전방)으로 갈수록 점차 그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조고정부재(30)에는 체결돌기(320)가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고정부재(30)의 지지편(300) 일면(도 5에서는 전면)에는 전방으로 일정 크기를 가지도록 돌출된 체결돌기(320)가 소정 간격 이격되도록 다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돌기(320)는 상기 돌기홀(234)에 끼워져 결합되는 부분으로 상기 돌기홀(234)과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체결돌기(320)와 돌기홀(234)의 두께(상하 폭)는 서로 대응되는 크기를 가져 상기 체결돌기(320)가 돌기홀(234)에 억지끼움 등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돌기(320)의 길이방향 폭은 상기 돌기홀(234)의 길이방향(도 5에서는 좌우)의 폭 크기보다 더 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재(10)는 전체적으로 상기 프레임(20)의 외관에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일단(도 1 및 도 2에서는 선단)이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재(10)는 다수의 개별필터(100) 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개별필터(100)를 서로 연결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별필터(100)는 부직포나 면 또는 폴리에스트와 같은 섬유를 포함할 수 있으며, 불에 잘 타는 가연성 큰 소재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별필터(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필터부(110)와,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필터부(110) 양단과 수직으로 서로 접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부(12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전방(도 3에서)에는 사각 형상의 유입구(130)가 형성되어 공기가 흡입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개별필터(100)의 유입구(130)를 통해 후방(도 3에서)으로 이동하는 혼합공기는 상기 개별필터(100)의 필터부(110)를 통과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공기 중의 먼지와 같은 이물질이 필터부(110)를 통과하지 못하고 걸러지게 된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의 제조방법이 블럭도로 도시되어 있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프레임을 제작하는 프레임제작단계(S400)와,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보조고정부재를 제작하는 보조고정부재제작단계(S410)와, 공기가 통과하는 가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개별필터(100)를 서로 연결하여 필터부재(10)를 만드는 필터부재제작단계(S420)와, 상기 필터부재(10)를 상기 프레임(20)에 결합하는 필터부재결합단계(S430)와,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된 필터부재(10)의 테두리를 프레임(20)의 일면에 고정하는 필터부재접합단계(S440)와, 상기 보조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재접합단계(S440)에 의해 프레임(20)에 고정된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프레임(20)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밀착하는 보조고정단계(S450)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제작단계(S400)와 보조고정부재제작단계(S410)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상기 프레임(20)과 보조고정부재(30)를 사출 성형에 의해 제조하는 과정일 수 있으며, 견고한 폼을 유지하면서도 불에 탈 수 있는 재질이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필터부재제작단계(S420)는 부직포 등을 이용하여 필터를 제작하는 과정으로, 먼저 다수의 개별필터(100)를 만드는 과정이 이루어진 다음 상기 다수의 개별필터(100)를 서로 연결하는 과정이 진행된다.
상기 개별필터(100)를 만드는 과정은, 2개의 상기 필터부(110) 일단(도 3에서는 후단)을 서로 꿰매어 연결한 다음, 상기 한 쌍의 필터부(110) 좌우(도 3에서)측에 측면부(120)를 바느질 작업 등으로 궤매는 과정이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다수의 개별필터(100)가 만들어지면, 다음으로는 개별필터(100)의 선단(도 3에서)을 상하로 서로 바느질 등으로 꿰매어 연결한다. 이렇게 되면 도 2에서와 같은 필터부재(10)가 완성된다.
상기 필터부재결합단계(S430)는 상기 필터부재제작단계(S420)에 의해 만들어진 필터부재(10)를 상기 프레임(20)에 결합하는 과정으로, 도 2에 도시된 상기 필터부재(10)를 상기 프레임(20)의 전방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여 결합한다.
이렇게 되면,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는 상기 사각틀(200)에 접하게 되고, 상기 개별필터(100)의 선단부 상하 연결부분은 상기 사이드바(250)에 걸리게 된다.
아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필터부재접합단계(S440)가 진행된다.
상기 필터부재접합단계(S440)는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를 상기 사각틀(200)의 접착면(232)에 고정시키는 과정이며, 이때 필터부재(10)를 사각틀(200)에 고정시키기 위해 접착제가 사용될 수 있으며 고주파융착 등 다양한 형태의 접합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조고정단계(S450)는 상기 보조고정부재(30)를 상기 프레임(20)에 결합하는 과정으로,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된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프레임(20)에 밀착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과정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필터부재(10)가 상기 프레임(20)에 접합된 상태에서 상기 4개의 보조고정부재(30)를 전방(도 2에서 볼 때)으로부터 후방으로 이동하여 상기 프레임(20)에 밀착시키면, 상기 보조고정부재(30)의 체결돌기(320)가 상기 프레임(20)에 형성된 돌기홀(23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체결돌기(320)와 돌기홀(234)은 서로 대응되는 크기와 위치를 가지므로, 상기 보조고정부재(30)를 상기 프레임(20)에 밀착시키는 동작만으로 원터치에 의해 보조고정부재(30)와 프레임(20)의 결합이 완료된다.
상기 보조고정부재(30)가 프레임(20)에 결합되면, 상기 보조고정부재(30)의 고정편(310)과 상기 프레임(20)의 내벽(210) 사이에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위치되므로, 상기 필터부재(10)는 상기 고정편(310)의 밀착력에 의해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7 내지 도 10에는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의 다른 실시예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즉, 도 7 및 도 8에는 상기 필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프레임과 보조고정부재의 결합상태를 보인 부분 가로 및 세로 절개사시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으며, 도 9에는 도 8의 A-A부 단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필터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는 개별필터의 구성을 보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기홀(234)의 일단(도 8 및 도 9에서는 하단)에는 상기 사각틀(20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돌기지지단(24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틀(200)의 결합면(230)에는 수직으로 전방(도 8 및 도 9에서)으로 연장된 돌기지지단(2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지지단(2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조고정부재(30)의 체결돌기(320)가 상기 돌기홀(234)에 삽입된 경우에 체결돌기(320)와 밀착되어 체결돌기(32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돌기지지단(240)은 상기 체결돌기(32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지지단(240)과 체결돌기(320)의 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凹凸)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돌기지지단(240)의 상면(도 8 및 도 9에서)에는 지지단요철(242)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돌기(320)의 저면(도 8 및 도 9에서)에는 돌기요철(322)이 상기 지지단요철(242)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요철(232,242)에 의해 상기 체결돌기(320)와 돌기지지단(240)은 체결력이 강화된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지지단(240)은 상기 결합면(23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체결돌기(32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보조고정부재(30)와 프레임(20)의 결속력을 강화하여 결과적으로 상기 보조고정부재(30)에 필터부재(10)가 더 견고하게 프레임(20)에 고정되어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상기 돌기지지단(240)과 내벽(210) 사이의 간격(M)은 끝단(도 9에서는 좌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고, 상기 체결돌기(320)와 고정편(310)의 간격(L)은 끝단(도 9에서는 좌측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돌기지지단(240)과 내벽(210)의 끝단(도 9에서는 좌측단)은 벌어지고, 상기 체결돌기(320)와 고정편(310)의 끝단(도 9에서는 좌측단)은 서로 가까워지면, 상기 보조고정부재(30)가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되는 결합력은 더 강화되므로 상기 고정편(310)과 내벽(210) 사이에서 고정되는 필터부재(10)의 테두리는 더욱 견고하게 상기 프레임(20)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개별필터(100)의 테두리에는 접합부(112,1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개별필터(100)의 필터부(110) 선단(도 10에서)에는 필터부(110)로부터 연장된 필터접합부(112)가 소정 면적을 가지도록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개별필터(100)의 측면부(120) 선단(도 10에서)에도 상기 측면부(120)로부터 연장된 측면접합부(122)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접합부(102)는 상기 다수의 개별필터(100)가 서로 결합할 때 결합면적을 증가시키거나, 상기 필터부재(10)가 상기 프레임(20)의 접착면(232)에 부착될 때 결합면적을 ?혀 필터부재(10)가 더욱 견고하게 프레임(20)에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에서 예시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와 같은 기술범위 안에서 당 업계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있어서는 본 발명을 기초로 하는 다른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돌기(320)와 돌기홀(234)은 상기 프레임(20)의 사각틀(200)과 상기 보조고정부재(30)의 지지편(300)에 서로 반대로 형성되는 경우도 가능하다. 즉, 상기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프레임(20)의 결합면(230)에 돌기홀(234)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고정부재(30)에 체결돌기(320)가 형성되는 경우를 예시하고 있으나, 상기 프레임(20)의 결합면(230)에 체결돌기(320)가 형성되고 상기 보조고정부재(30)에 돌기홀(234)이 형성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1. 필터장치 10. 필터부재
20. 프레임 100. 개별필터
110. 필터부 120. 측면부
130. 유입구 200. 사각틀
210. 내벽 220. 외벽
230. 접합면 232. 접착면
240. 돌기지지단 250. 사이드바
300. 지지편 310. 고정편
320. 체결돌기

Claims (5)

  1. 다수의 개별필터(100)가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공기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부재(10)와,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와 개별필터(100) 연결부를 고정 지지하는 프레임(20)과,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상기 프레임(20)에 압착 고정되도록 하는 보조고정부재(30)를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프레임(20)과 보조고정부재(30)는 가연성의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며, 원터치 결합에 의해 서로 체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2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외관을 형성하는 사각틀(200)과, 상기 사각틀(200) 내부에 등(等)간격으로 다수 형성되어 상기 개별필터(100)의 연결부분을 지지하는 사이드바(250)를 포함하며;
    상기 보조고정부재(30)는,
    상기 사각틀(200)에 밀착 고정되는 지지편(300)과, 상기 지지편(300)의 일단으로부터 수직으로 절곡되어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고정편(310)을 포함하며;
    상기 개별필터(100)는,
    사각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져 일단이 서로 연결되는 한 쌍의 필터부(110)와, 삼각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한 쌍의 필터부(110) 양단과 수직으로 서로 접하여 연결되는 한 쌍의 측면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사각틀(200)의 일면에는 상기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접합되어 고정되는 접착면(232)이 단차지게 형성되고, 상기 다수의 고정편(310) 사이에는 상기 사이드바(250)가 수용되는 회피홈(312)이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20)의 사각틀(200)과 상기 보조고정부재(30)의 지지편(300)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과 크기로 이루어져 체결되는 체결돌기(320)와 돌기홀(234)이 각각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돌기(320)는 상기 지지편(300)의 일면으로부터 일정 크기로 돌출 형성되며, 상기 돌기홀(234)은 상기 사각틀(200)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돌기홀(234)의 일단에는 상기 사각틀(20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으로 연장 형성되는 일정 크기의 돌기지지단(240)이 더 형성되며, 상기 돌기지지단(240)과 체결돌기(320)의 일면에는 서로 대응되는 형상의 요철(凹凸)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사각틀(200)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마주보는 내벽(210) 및 외벽(220)과, 상기 내벽(210)과 외벽(220)의 일단을 연결하는 결합면(230)을 포함하는 구성을 가지며;
    상기 돌기지지단(240)은 상기 결합면(230)의 일면으로부터 수직 절곡되어 상기 체결돌기(320)와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기지지단(240)과 내벽(210) 사이의 간격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커지고, 상기 체결돌기(320)와 고정편(310)의 간격은 끝단으로 갈수록 점차 작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5.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프레임을 제작하는 프레임제작단계(S400)와, 플라스틱 재질을 이용하여 사출 성형에 의해 보조고정부재를 제작하는 보조고정부재제작단계(S410)와, 공기가 통과하는 가연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다수의 개별필터(100)를 서로 연결하여 필터부재(10)를 만드는 필터부재제작단계(S420)와, 상기 필터부재(10)를 상기 프레임(20)에 결합하는 필터부재결합단계(S430)와, 상기 프레임(20)에 결합된 필터부재(10)의 테두리를 프레임(20)의 일면에 고정하는 필터부재접합단계(S440)와, 상기 보조고정부재(30)를 이용하여 상기 필터부재접합단계(S440)에 의해 프레임(20)에 고정된 필터부재(10)의 테두리가 프레임(20)의 일면에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밀착하는 보조고정단계(S4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장치 제조방법.
KR1020220138628A 2022-10-25 2022-10-25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2400578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628A KR20240057876A (ko) 2022-10-25 2022-10-25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8628A KR20240057876A (ko) 2022-10-25 2022-10-25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7876A true KR20240057876A (ko) 2024-05-03

Family

ID=91077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8628A KR20240057876A (ko) 2022-10-25 2022-10-25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78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307B1 (ko) 2017-12-04 2019-04-01 주식회사 더원필터 에어덕트용 필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4307B1 (ko) 2017-12-04 2019-04-01 주식회사 더원필터 에어덕트용 필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07416B2 (en) Inlet frame and filter assembly including an inlet frame
US9510557B2 (en) Non V-bank filter for animal confinement facility
US6652613B2 (en) Expandable media filter with flexible spacing ribbons
US6814773B2 (en) Expandable media filter assembly
US65993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n expandable and disposable media filter
US65926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n expandable media filter
US663833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n expandable media filter with spacing ribbons
KR20240057876A (ko) 필터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074531B1 (ko) 공조기용 필터를 수용하도록 제공되는 합성수지 성형품 및 이의 이용방법
KR101403923B1 (ko) 집진기용 백 케이지의 구조
WO1998037945A1 (en) Frame arrangement for fastening of adjacent filter bags
KR20190057173A (ko) 형태 안정성이 우수한 콜게이트 형상의 에어 필터 및 제조방법
KR102169518B1 (ko) 필터부재를 구비한 창문의 먼지 유입 방지장치
KR102189470B1 (ko) 창문의 먼지 유입 방지장치
CA2430699C (en) Expandable and disposable media filter
JP3651192B2 (ja) フィルタユニット
KR20160069774A (ko) 필터 프레임 제작 방법
CN215505963U (zh) 一种层叠式空气净化滤网框
KR101458279B1 (ko) 필터 프레임
CN216814517U (zh) 一种空气净化器
FI129956B (en) Filter set
EP0856347B1 (en) Multifunctional filtering unit for suction and/or filtering hoods
JP2007229568A (ja) 吹き流し形フィルタ
KR20240056918A (ko) 필터프레임
JP4594719B2 (ja) 濾材交換型フィルタ、枠体及び濾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