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403B1 -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403B1
KR101963403B1 KR1020180031315A KR20180031315A KR101963403B1 KR 101963403 B1 KR101963403 B1 KR 101963403B1 KR 1020180031315 A KR1020180031315 A KR 1020180031315A KR 20180031315 A KR20180031315 A KR 20180031315A KR 101963403 B1 KR101963403 B1 KR 1019634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pper slide
locking plate
locking
clearance hole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13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동
윤성민
전민기
박용민
Original Assignee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313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4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4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05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e.g. dismountable auxiliary seats
    • B60N2/01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 B60N2/01508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 B60N2/01516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 B60N2/0155Attaching seats directly to vehicle chassis using quick release attachments with locking mechanisms with the locking mechanism on the vehicle floor or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7Slid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0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 B60N2/0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 B60N2/08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whole seat being movable slidable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전후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를 선택된 위치에 록킹시키거나 다른 위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하는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전후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워 레일; 상기 로워 레일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퍼 슬라이드; 및 상기 어퍼 슬라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어퍼 슬라이드를 상기 로워 레일에 선택적으로 록킹시키거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로워 레일에 형성된 복수개의 레일홈들 중 일부분에 삽입되는 치열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수직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레일홈들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 플레이트;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조인트 핀부에 의해 링크 결합되는 제 1 여유홀이 되며, 타단부에 작용부가 형성되는 작동 레버; 및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되는 조인트 핀부에 의해 링크 결합되는 제 2 여유홀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 플레이트가 상기 레일홈들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제 1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탄성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Detachable seat sliding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트 탈거시 차체 바닥면과 롱슬라이드 간 돌출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고, 차량용 시트의 전후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시트를 선택된 위치에 록킹시키거나 다른 위치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게 하는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탑승자를 위한 시트를 구비하는 것으로서, 시트의 위치는 탑승자의 체격이나 취향이나 상황이나 필요에 따라서 조절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시트의 전후진 위치를 조절할 수 있도록 일명 "롱 슬라이드"라고 불리우는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가 널리 적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평상시 특정 위치에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다가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레버나 버튼이나 스위치 등의 조작 장치를 조작하면 록킹된 상태가 해제되면서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어서, 사용자는 시트를 슬라이딩시키면서 다시 조작 장치를 조작하여 선택된 위치에 록킹시킴으로써 시트를 원하는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사용자가 시트를 탈부착하여 사용할수 있게, 시트를 부착시 고정시킬수 있으며, 시트 탈거시 차체 바닥면과 롱슬라이드 간 돌출 높이를 최소화 할수 있다.
특히, 차량은 안전이 매우 중요한 이동 수단으로서, 만약 차량의 이동시에 외력이나 충격 등에 의해서 시트의 록킹 상태가 해제된다면 시트와 함께 탑승자도 슬라이딩되면서 자칫 안전 사고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일반적으로 종래의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탄성 스프링의 탄성력을 강하게 하여 상기 록킹 장치를 록킹시키는 결속력을 강화시키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그 구조가 단순하여 록킹 결속력이 강하면 강할수록 사용자의 해제 조작시 탄성 스프링의 강한 힘을 이기기 위해서 더 큰 조작력이 필요하고,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조작이 어려워지거나 힘들거나 노약자들은 사용하기 어려워지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록킹시 탄성 스프링의 힘이 예컨대 록킹 플레이트의 연결부분 등 한 곳에만 집중되어 쉽게 헐거워지거나 나머지 부품들, 즉 여유홀들과의 충돌로 인하여 진동과 소음이 심하게 발생되는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시트 탈거시 차체 바닥면과 롱슬라이드 간 돌출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동 레버와는 별도로 개선된 탄성 레버를 설치하고, 록킹 플레이트에 설치된 조인트 핀부의 양쪽으로 여유홀들이 각각 상하 접촉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한 가압력을 양쪽 여유홀들로 분산되게 하여 진동과 소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탄성 레버가 강한 힘으로 록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록킹을 견고하게 할 수 있는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는, 전후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워 레일; 상기 로워 레일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퍼 슬라이드; 및 상기 어퍼 슬라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어퍼 슬라이드를 상기 로워 레일에 선택적으로 록킹시키거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로워 레일에 형성된 복수개의 레일홈들 중 일부분에 삽입되는 치열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수직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레일홈들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 플레이트;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조인트 핀부에 의해 링크 결합되는 제 1 여유홀이 되며, 타단부에 작용부가 형성되는 작동 레버; 및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되는 조인트 핀부에 의해 링크 결합되는 제 2 여유홀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 플레이트가 상기 레일홈들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제 1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탄성 레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여유홀 또는 상기 제 2 여유홀은 각각 전후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여유홀 또는 상기 제 2 여유홀은 적어도 상기 조인트 핀부 또는 상기 조인트 핀부의 단면 직경 보다 높은 내경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록킹 장치의 록킹 작동시, 상기 탄성 레버의 탄성 가압력이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좌우로 분산되어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인트 핀부는 상기 제 1 여유홀의 내경면 하부와 접촉되고, 상기 조인트 핀부는 상기 제 2 여유홀의 내경면 상부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가이드부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 사이에 수지 재질의 가이드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인트 핀부의 외경면에 수지 재질의 완충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상면에 걸림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 2 힌지축에 와인딩되며, 타단부가 상기 탄성 레버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힌지축은 상기 수직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힌지축은 상기 수직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가 상기 레일홈들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제 2 탄성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상면에 걸림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 1 힌지축에 와인딩되며, 타단부가 상기 작동 레버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스프링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시트 탈거시 차체 바닥면과 롱슬라이드 간 돌출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탄성 레버를 설치하여 록킹 플레이트에 설치된 조인트 핀부의 양쪽으로 여유홀들이 각각 상하 접촉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한 가압력을 양쪽 여유홀들로 분산되게 하여 진동과 소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탄성 레버가 강한 힘으로 록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록킹을 견고하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안정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록킹 장치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5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9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의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의 록킹 장치(3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전방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의 록킹 장치(3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후방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는, 크게 로워 레일(10)과, 어퍼 슬라이드(20) 및 록킹 장치(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로워 레일(10)은 차량의 바디측, 예를 들면, 차량 실내의 바닥면 등에 움직이지 않게 고정되는 것으로서,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 경로를 안내할 수 있도록 내부에 안내 공간이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방이 개방된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로워 레일(10)은 하측에 일렬을 이루는 복수개의 레일홈(H)들이 길이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로워 레일(10)은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예컨대, 좌우 폭방향으로 넓게 형성되거나, 차량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등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 및 종류의 모든 레일 구조체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어퍼 슬라이드(20)는, 상기 로워 레일(10)과 대응되도록 차량의 시트측에 고정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로워 레일(10)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어퍼 슬라이드(20)는 상기 로워 레일(10)을 따라 자유롭게 전후진이 될 수 있고, 후술될 록킹 장치(30)를 이용하여 록킹 작동 및 해제 작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어퍼 슬라이드(20)는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형상 및 종류의 모든 가동 구조체가 적용될 수 있다.
즉, 예컨대, 상기 어퍼 슬라이드(20)는, 구름 베어링(24)을 설치할 수 있는 가동 몸체(21)와, 내부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 몸체(21)를 덮는 케이스(22) 및 상기 내부 공간에 설치되는 록킹 몸체(23)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상기 어퍼 슬라이드(20)는 일체로 형성되거나 각종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는 등 매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장치(30)는 상기 어퍼 슬라이드(20)에 설치되어 상기 어퍼 슬라이드(20)를 상기 로워 레일(10)에 선택적으로 록킹시키거나 록킹을 해제시킬 수 있는 장치로서,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한 후술될 작동 레버(32)가 설치될 수 있다.
즉, 예컨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록킹 장치(30)는, 상기 로워 레일(10)에 형성된 복수개의 레일홈(H)들 중 일부분에 삽입되는 치열(T)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 슬라이드(20)의 수직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레일홈(H)들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 플레이트(31)와, 상기 어퍼 슬라이드(20)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힌지축(HS1)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의 일면에 형성된 조인트 핀부(J)에 의해 링크 결합되는 제 1 여유홀(H1)이 되며, 타단부에 작용부(HD)가 형성되는 작동 레버(32) 및 상기 어퍼 슬라이드(20)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힌지축(HS2)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의 타면에 형성되는 조인트 핀부(J)에 의해 링크 결합되는 제 2 여유홀(H2)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 플레이트(31)가 상기 레일홈(H)들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제 1 탄성 부재(W1)가 설치되는 탄성 레버(3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지렛대의 원리와 함께 별도의 상기 탄성 레버(33)를 설치하여 시트 탈거시 차체 바닥면과 롱슬라이드 간 돌출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상기 작동 레버(32)는 사용자나 시트 장치가 록킹을 해제하기 위한 동작을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에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전달할 수 있고, 이와는 별도의 상기 탄성 레버(33)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31)가 록킹되는 방향으로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에 탄성 복원력을 인가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 탄성 부재(W1)는 장치의 높이와 폭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일단부가 상기 어퍼 슬라이드(20)의 상면에 걸림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 2 힌지축(HS2)에 와인딩되며, 타단부가 상기 탄성 레버(33)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스프링일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코일 스프링이나 태엽 스프링이나 판 스프링 등 매우 다양한 스프링들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 레버(32)와 상기 탄성 레버(33)는 서로 반대편에 대칭적으로 설치되어 작용과 반작용시 균형을 유지시킬 수 있고, 그러므로, 작용되는 하중과 충격을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의 전후방향으로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힌지축(HS1)은 상기 수직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어퍼 슬라이드(20)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힌지축(HS2)은 상기 수직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어퍼 슬라이드(20)의 후방에 설치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5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의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의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1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작동 레버(32)에 강제적인 힘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록킹 플레이트(31)는 상기 탄성 레버(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하강할 수 있고,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의 상기 치열(T)이 상기 로워 레일(10)의 상기 레일홈(H)에 걸림 결합되어 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여유홀(H1) 또는 상기 제 2 여유홀(H2)은 각각 전후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여유홀(H1) 또는 상기 제 2 여유홀(H2)은 적어도 상기 조인트 핀부(J) 또는 상기 조인트 핀부(J)의 단면 직경(D) 보다 높은 내경 높이(ID)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여유홀(H1)(H2)들은 상기 작동 레버(10)의 회전 운동을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의 직선 운동으로 변환시 발생되는 축길이의 차이를 상쇄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부품들 간의 충돌이나 마찰로 인하여 소음과 진동의 원인이 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상기 록킹 장치(30)의 록킹 작동시, 상기 탄성 레버(33)의 탄성 가압력이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의 좌우로 분산되어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인트 핀부(J)는 상기 제 1 여유홀(H1)의 내경면 하부와 접촉되고, 상기 조인트 핀부(J)는 상기 제 2 여유홀(H2)의 내경면 상부와 접촉되어 충격과 하중을 분산시키고 맞물림을 견고하게 하여 작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가이드부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31) 사이에 수지 재질 또는 금속 재질의 가이드 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이드 부재는 수직형 가이드 부재(G1)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예컨대,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인트 핀부(J)의 외경면에 수지 재질의 완충 부재(E)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작동 레버(10)와는 별도로 개선된 상기 탄성 레버(20)를 설치하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에 설치된 상기 조인트 핀부(J)의 양쪽으로 여유홀(H1)(H2)들이 각각 상하 접촉되어 탄성 복원력에 의한 가압력을 양쪽 여유홀(H1)(H2)들로 분산되게 하여 진동과 소음을 최대한 방지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탄성 레버(20)가 강한 힘으로 록킹 동작을 수행할 수 있게 하여 록킹을 견고하게 할 수 있어서 제품의 안정성과 쾌적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어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시트 장치가 상기 작용부(HD)를 가압하면 상기 작동 레버(32)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록킹 플레이트(31)를 강제로 상승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의 상기 치열(T)이 상기 로워 레일(10)의 상기 레일홈(H)으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될 수 있다. 이 때도 역시 상술된 바와 같은 원리로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20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200)를 나타내는 부품 분해 사시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200)의 작동 레버(32)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31)가 상기 레일홈(H)들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제 2 탄성 부재(W2)가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2 탄성 부재(W2)는, 일단부가 상기 어퍼 슬라이드(20)의 상면에 걸림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 1 힌지축(HS1)에 와인딩되며, 타단부가 상기 작동 레버(32)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스프링일 수 있다.
따라서, 상술된 상기 제 1 탄성 부재(W1)의 탄성 복원력이 충분하지 못할 경우에는, 상기 작동 레버(32)에도 상기 제 2 탄성 부재(W2)를 설치하여 탄성 복원력을 보강할 수 있고, 이렇게 보강된 경우에도 상기 작동 레버(32)와 상기 탄성 레버(33)는 서로 반대편에 대칭적으로 분산 배치되어 충격과 하중을 골고루 분산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음과 진동을 더욱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 부재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31)를 둘러싸는 형태의 부시형 가이드 부재(G2)나 또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의 전면의 일부와 후면의 일부를 각각 지지하는 판스프링형 가이드 부재(G3)가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부재는 매우 다양한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도 9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200)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200)의 록킹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13은 도 11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200)의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도 13의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200)의 해제 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20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먼저,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록킹 상태에서는 상기 작동 레버(32)에 강제적인 힘이 인가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록킹 플레이트(31)는 상기 작동 레버(32) 및 상기 탄성 레버(33)의 탄성 복원력에 의해서 하강할 수 있고, 하강된 상태에서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의 상기 치열(T)이 상기 로워 레일(10)의 상기 레일홈(H)에 걸림 결합되어 록킹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어서,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또는 시트 장치가 상기 작용부(HD)를 가압하면 상기 작동 레버(32)가 지렛대의 원리를 이용하여 상기 록킹 플레이트(31)를 강제로 상승시킬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록킹 플레이트(31)의 상기 치열(T)이 상기 로워 레일(10)의 상기 레일홈(H)으로부터 이탈되어 록킹이 해제될 수 있다. 이 때도 역시 상술된 바와 같은 원리로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로워 레일
20: 어퍼 슬라이드
21: 가동 몸체
22: 케이스
23: 록킹 몸체
24: 구름 베어링
30: 록킹 장치
H: 레일홈
T: 치열
31: 록킹 플레이트
32: 작동 레버
33: 탄성 레버
HS1: 제 1 힌지축
HS2: 제 2 힌지축
J: 조인트 핀부
H1: 제 1 여유홀
H2: 제 2 여유홀
HD: 작용부
W1: 제 1 탄성 부재
W2: 제 2 탄성 부재
D: 단면 직경
ID: 내경 높이
G1: 수직형 가이드 부재
G2: 부시형 가이드 부재
G3: 판스프링형 가이드 부재
E: 완충 부재
100: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Claims (9)

  1. 전후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로워 레일;
    상기 로워 레일을 따라 전후진 슬라이딩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어퍼 슬라이드; 및
    상기 어퍼 슬라이드에 설치되고, 상기 어퍼 슬라이드를 상기 로워 레일에 선택적으로 록킹시키거나 록킹을 해제시키는 록킹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록킹 장치는,
    상기 로워 레일에 형성된 복수개의 레일홈들 중 일부분에 삽입되는 치열이 형성되고,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수직 가이드부를 따라 상기 레일홈들 방향으로 승하강이 가능하게 설치되는 록킹 플레이트;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단부가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된 조인트 핀부에 의해 링크 결합되는 제 1 여유홀이 되며, 타단부에 작용부가 형성되는 작동 레버; 및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타측에 형성되는 제 2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동이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타면에 형성되는 조인트 핀부에 의해 링크 결합되는 제 2 여유홀이 형성되며, 상기 록킹 플레이트가 상기 레일홈들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제 1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탄성 레버;
    를 포함하는,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여유홀 또는 상기 제 2 여유홀은 각각 전후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 1 여유홀 또는 상기 제 2 여유홀은 적어도 상기 조인트 핀부 또는 상기 조인트 핀부의 단면 직경 보다 높은 내경 높이로 형성되는,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장치의 록킹 작동시, 상기 탄성 레버의 탄성 가압력이 상기 록킹 플레이트의 좌우로 분산되어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인트 핀부는 상기 제 1 여유홀의 내경면 하부와 접촉되고, 상기 조인트 핀부는 상기 제 2 여유홀의 내경면 상부와 접촉되는,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가이드부와 상기 록킹 플레이트 사이에 수지 재질의 가이드 부재가 설치되는,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소음과 진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조인트 핀부의 외경면에 수지 재질의 완충 부재가 설치되는,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탄성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상면에 걸림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 2 힌지축에 와인딩되며, 타단부가 상기 탄성 레버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스프링인,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힌지축은 상기 수직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힌지축은 상기 수직 가이드부를 기준으로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후방에 설치되는,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레버는, 상기 록킹 플레이트가 상기 레일홈들 방향으로 가압될 수 있도록 제 2 탄성 부재가 설치되는,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탄성 부재는,
    일단부가 상기 어퍼 슬라이드의 상면에 걸림 결합되고, 중간부가 상기 제 1 힌지축에 와인딩되며, 타단부가 상기 작동 레버의 상면을 가압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와이어 스프링인,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20180031315A 2018-03-19 2018-03-19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1963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15A KR101963403B1 (ko) 2018-03-19 2018-03-19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1315A KR101963403B1 (ko) 2018-03-19 2018-03-19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3403B1 true KR101963403B1 (ko) 2019-03-28

Family

ID=65908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1315A KR101963403B1 (ko) 2018-03-19 2018-03-19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40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978B1 (ko) * 2020-05-06 2021-10-2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
CN115402161A (zh) * 2022-09-21 2022-11-29 长春一汽富晟李尔汽车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便于座椅滑轨与车身连接的锚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7497A (ja) * 1996-11-28 1998-06-16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リヤ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JPH1199857A (ja) * 1997-09-29 1999-04-13 Tachi S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構造
KR20040074790A (ko) * 2003-02-19 2004-08-26 주식회사 윤 영 차량시트용 롱슬라이드형 이송레일의 록킹장치
KR100501727B1 (ko) * 2004-09-24 2005-07-18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7497A (ja) * 1996-11-28 1998-06-16 Ikeda Bussan Co Ltd 自動車リヤ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JPH1199857A (ja) * 1997-09-29 1999-04-13 Tachi S Co Ltd シートスライド装置のロック構造
KR20040074790A (ko) * 2003-02-19 2004-08-26 주식회사 윤 영 차량시트용 롱슬라이드형 이송레일의 록킹장치
KR100501727B1 (ko) * 2004-09-24 2005-07-18 대원강업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슬라이딩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8978B1 (ko) * 2020-05-06 2021-10-29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러기지룸 수납시스템
CN115402161A (zh) * 2022-09-21 2022-11-29 长春一汽富晟李尔汽车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便于座椅滑轨与车身连接的锚锁
CN115402161B (zh) * 2022-09-21 2024-04-12 长春一汽富晟李尔汽车座椅系统有限公司 一种便于座椅滑轨与车身连接的锚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91995B2 (en) Seat slide mechanism for vehicles
JP4854200B2 (ja) ヘッドレストサポート
US10286818B2 (en) Dual suspension seating assembly
US8172319B2 (en) Active headrest apparatus for vehicle and actuator thereof
US20130056604A1 (en) Slide rail device for vehicle
KR101963403B1 (ko) 차량용 탈착 시트 슬라이딩 장치
CA2852903A1 (en) Seat-track assembly
WO2014049722A1 (ja) ヘッドレスト
KR20110016566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WO2014049724A1 (ja) ヘッドレスト
CN107953804B (zh) 座椅滑动装置
WO2014049726A1 (ja) ヘッドレスト
JP5947642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991207B2 (ja) スライドレール
JP5845949B2 (ja) 車両用シートスライド装置
JP5710831B1 (ja) ヘッドレスト用傾倒装置及びヘッドレスト
WO2008093918A1 (en) Apparatus for locking seat track for vehicle
KR101053865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JP2007050829A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2002283888A (ja) シートのスライド装置
EP3964386B1 (en) Seat-sliding apparatus for vehicle
KR101108272B1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KR102111675B1 (ko) 차량용 시트 슬라이딩 장치
KR100575399B1 (ko) 차량의 시트트랙용 록킹기구
KR100472187B1 (ko) 고강성 차량용 리클라이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