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3123B1 -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 - Google Patents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3123B1
KR101963123B1 KR1020170034454A KR20170034454A KR101963123B1 KR 101963123 B1 KR101963123 B1 KR 101963123B1 KR 1020170034454 A KR1020170034454 A KR 1020170034454A KR 20170034454 A KR20170034454 A KR 20170034454A KR 101963123 B1 KR101963123 B1 KR 1019631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groove
supporting
attaching
detachable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319A (ko
Inventor
장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미스
Priority to KR1020170034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312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3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3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31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31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djusting assemblages of electric components
    • H05K13/0061Tools for holding the circuit boards during processing; handling transport of printed circuit 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9/00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G49/05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 B65G49/06Conveying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application for specified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ragile or damageable materials or articles for fragile sheets, e.g. glass
    • B65G49/062Easels, stands or shelves, e.g. castor-shelves, supporting means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자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기판의 이송시 기판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두께가 있고 직사각형이며 길이방향으로 기판을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피시비 착탈홈을 형성하되 상기 착탈홈은 폭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며, 상기 기판 수용부재는 기판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판 평면에 상기 기판 수용부재 복수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구성이다.

Description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RECEIVING ELEMENT}
본 발명은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자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기판이 이송시 기판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부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판은 전자부품을 탑재하여 부품과 부품 사이 또는 신호선과 신호선 사이를 정기적으로 접속하여 주는 배선판을 말한다.
그 중 HDI(High Density Interconnection)는 경량화, 박형화 되어가는 고기능 전자 제품에 대응하기 위하여 고밀도로 집적된 PCB제품 즉, 미세회로 형성 및 적층 기술을 이용한 고밀도, 고다층 PCB를 통칭한다.
HDI는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리드 타임이 길기 때문에 각 공정간의 LOT이동시 박스를 이용하여 LOT를 구분/적재 하는데 기판과 기판끼리 표면 접촉이 일어나 상처 불량이 발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 간지를 사용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기판을 적층시키는 과정에서 각 기판 사이에 간지를 사용하게 되면, 간지 구매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판 사이에 간지를 작업자가 일일이 끼워 넣어야 하기 때문에 숙련된 작업 스킬이 요구된다. 즉, 기판 가공이 완료된 후 다음 공정으로 진행되기 위해서는 단시간에 기판을 상자에 적층시켜 다음 공정이 진행되는 위치까지 이동시켜야 하는데 이 과정에서 숙련되지 않은 작업자의 경우 적층되는 기판들 사이에 신속하게 간지를 끼워넣지 못하여 작업공정이 원할하게 진행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작업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적층되는 기판 사이에 간지가 끼워진 경우에는 각 공정의 설비 투입부와 수취부에 로딩 및 언로딩 장치가 별도로 필요하게 됨으로써, 공정상에서 추가비용이 상승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기판 수용부재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기판의 이송시 기판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목적과, 많은 양의 기판을 수용하기 위한 목적과, 기판을 효과적으로 지지하는 목적이 있다.
상기 이상의 목적은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두께가 있고, 직사각형이며, 길이방향으로 피시비(기판)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피시비 착탈홈을 형성하되 상기 착탈홈은 폭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된 기판 수용부재이다.
상기 기판 수용부재는 기판 수용부재를 지지하는 베이스판 평면에 상기 기판 수용부재 복수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구성이다.
상기 기판 수용부재는 쿠션부재를 이용함으로서 기판을 착탈홈(3)에 끼웠을 때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발생된다.
본원은 기판 수용부재에 적층된 상태로 수용된 기판의 이송시 기판의 흔들림을 방지하는 효과와 많은 양의 기판을 수용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이상의 효과는 구체적인 내용에서 더 밝혀진다.
제1도의 가)는 본 발명의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의 사시도,
제1도의 나)는 본 발명의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의 사시도로서 기판 수용부재에 도포된 접착제를 보호하기 위해 부착한 보호시트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으로서 기판 수용부재를 베이스판에 부착한 상태에서 기판 수용부재에 기판을 수용할 수 있는 착탈홈이 드러나도록 절개부를 제거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가 베이스판에 부착된 상태를 보인상태,
제4도는 제3도의 상태에서 기판이 착탈홈에 수용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사시도,
제6도의 가)는 제5도의 상태에서 기판을 지지부재의 제2착탈홈에 수용한 상태와 분리한 상태이며,
제6도의 나)는 제6도의 아래 도면의 평면도이다.
첨부한 도면에 의해 구성을 재차 살펴보고 그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제2도는 본 발명으로서 기판 수용부재(2)를 베이스판(4)에 부착한 상태에서 기판 수용부재(2)에 기판을 수용(지지)할 수 있는 착탈홈(3)이 드러나도록 절개부(20)를 제거하는 모습을 보인 사시도이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절개부(20)를 제거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절개부 제거는 도 1의 상태에서 절개부를 제거한 다음 3도와 같이 베이스판(4)에 부착하는데 이렇게 하게되면 복수의 착탈홈(3)의 간격을 유지하기가 아주 번거로워 생산성이 떨어진다.
설명을 더 보충하면 상기 기판 수용부재는 쿠션부재로서 스펀지와 같으므로 미리 절개부를 제거하면 복수의 착탈홈의 간격이 서로 뒤죽박죽하여 품질기준을 달성할 수 없다.
다음은 도 1 내지는 도 4도에 의해 다른 구성들을 살펴보기로 한다.
구성, 두께가 있고, 직사각형이며 길이방향으로 피시비(기판)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피시비 착탈홈(3)을 형성하되 상기 착탈홈(3)은 폭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된 기판 수용부재(2)이다.
상기 착탈홈(3)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면,
상기 기판 수용부재(2)의 평면에서 하단으로 칼날금형을 삽입 후 그 삽입을 해제하면 도 1과 같이 착탈홈(3)의 테두리가 절개된다.
다음은 기판 수용부재(2)를 베이스판에 부착하고자 한다.
기판(10) 수용부재(2)는 기판 수용부재(2)를 지지하는 베이스판(4) 평면에 상기 기판 수용부재(2) 복수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구성이다.
이와 같이 베이스판(4)에 기판 수용부재(2)를 부착하는 이유는 기판 수용부재를 지지하면서 많은 양의 기판(10)을 하나의 틀(베이스)에 수용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4)은 골판재를 이용함이 견고하면서 가벼워 운반이 용이하다.
상기 기판 수용부재(2)는 쿠션부재를 이용함으로서 기판(10)을 착탈홈(3)에 끼웠을 때 기판을 지지하는 지지력이 발생된다.
만약 쿠션력이 없게되면 기판(10)을 지지할 수 없어 별도의 지지장치가 요구됨으로 가격상승의 요인이 발생된다.
다음은 착탈홈(3)에 대해 더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기판 수용부재(2)는 상기 기판 수용부재(2)에 기판을 착탈하는 착탈홈(3)을 성형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칼날을 착탈홈(3)에 해당하는 형상으로 성형한 복수의 칼날금형을 이용하여 기판 수용부재의 폭방향을 절개하면 착탈홈(3)의 테두리가 절개된다.
이와 같이 절개된 기판 수용부재(2)를 도 1의 나)와 같이 보호시트(11)를 제거한 다음 도시한 도 2와 같이 베이스판(4)에 부착 후 절개된 절개부(20)를 제거하면 착탈홈(3)이 드러난다.
그 후 도시한 도 4와 같이 기판을 착탈홈(3)에 끼우면 기판은 착탈홈(3)에 지지된다.
상기 베이스판(4)에 기판 수용부재(2)가 부착되는 이유는 기판 수용부재(2) 저면에 접착층이 도포되어 있기에 부착이 가능하다.
다음은 또 다른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5,6 참조)
제6도의 가)는 제5도의 상태에서 기판을 지지부재의 제2착탈홈에 수용한 상태와 분리한 상태이며
제6도의 나)는 제6도의 아래도면의 평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2착탈홈(3')에 돌출부(21)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그 돌출부 부분에 해당하는 지지부재(30) 외벽이 양방향으로 버려지는 것이다.
이 부분까지 착탈홈에 수용되면 지지부재는 착탈홈에 억지 끼워맞춤이 되는 것이다. 이점도 참고하기 바란다.
다음은 또 다른 구성을 살펴보면,
착탈홈(3)에 제2착탈홈(3')이 형성된 별도의 지지부재(30)를 수용한 후 상기 제2착탈홈(3')에 기판(10)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기판(10)을 상기 착탈홈(3)으로부터 분리(탈거)하면 상기 지지부재(30)가 상기 기판(10)과 함께 분리되도록 상기 착탈홈(3)에 상기 지지부재(30)가 수용되되
상기 착탈홈(3)에 지지되는 지지부재(30)의 지지력이 상기 지지부재(30)에
지지되는 기판(10)의 지지력과 비교할 경우 상기 착탈홈(3)에 지지되는 지지부재(30)의 지지력을 약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재(30)에 지지되는 기판(10)의 지지력은 강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약함과 강함의 의미는 상기 착탈홈(3)에 지지부재(30)가 지지된 상태는 지지력이 약해 부드럽게 착탈되고,
상기 지지부재(30)가 기판(10)에 지지된 상태는 지지력이 강해 이용자가 좀 더 강한 힘에 의해 착탈되도록 한다.
상기 착탈홈(3)에 수용되는 지지부재(20)는
상기 지지부재(30)의 제2착탈홈(3')에 해당하는 일측 끝단 내측에
상기 제2착탈홈(3')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21)로 하여금 기판(10) 벽면을 압박하게 한다.
상기 돌출부(21) 방향은 지지부재(30)를 착탈홈(3)에 수용할 경우 상기 돌출부(21)방향에 해당하는 부분은 수용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돌출부(21) 부분이 착탈홈(3)에 수용되면 기판을 상기 착탈부로부터 분리할 경우 지지부재(30)도 함께 분리될 수 있는 것이다.
2 : 기판 수용부재 3 : 착탈홈
3': 제2착탈홈 4 : 베이스판
10: 기판 11 : 보호시트
20: 절개부 21 : 돌출부
30: 지지부재

Claims (1)

  1. 두께가 있고 직사각형이며 길이방향으로 기판를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의 길이방향에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의 피시비 착탈홈(3)을 형성하되 상기 착탈홈(3)은 폭방향으로 길게 장공이 형성되며, 기판 수용부재(2)는 기판 수용부재(2)를 지지하는 베이스판(4) 평면에 상기 기판 수용부재(2) 복수가 접착제에 의해 부착되는 구성에 있어서,

    상기 착탈홈(3)에 제2착탈홈(3')이 형성된 별도의 지지부재(30)를 수용한 후 상기 제2착탈홈(3')에 기판(10)을 수용한 상태에서
    상기 기판(10)을 상기 착탈홈(3)으로부터 분리하면 상기 지지부재(30)가 상기 기판(10)과 함께 분리되도록 상기 착탈홈(3)에 상기 지지부재(30)가 수용되되
    상기 착탈홈(3)에 지지되는 지지부재(30)의 지지력이 상기 지지부재(30)에
    지지되는 기판(10)의 지지력과 비교할 경우 상기 착탈홈(3)에 지지되는 지지부재(30)의 지지력을 약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재(30)에 지지되는 기판(10)의 지지력은 강하도록 구성하며,
    상기 지지부재(30)의 제2착탈홈(3')에 해당하는 일측 끝단 내측에
    상기 제2착탈홈(3') 중앙 방향으로 돌출되는 돌출부(21)를 형성하여 상기 돌출부(21)로 하여금 기판(10) 벽면을 압박하는 구성과,
    상기 돌출부(21) 방향은 지지부재(30)를 착탈홈(3)에 수용할 경우 상기 돌출부(21)방향에 해당하는 부분은 수용되지 않도록 구성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
KR1020170034454A 2017-03-20 2017-03-20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 KR1019631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54A KR101963123B1 (ko) 2017-03-20 2017-03-20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454A KR101963123B1 (ko) 2017-03-20 2017-03-20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19A KR20180106319A (ko) 2018-10-01
KR101963123B1 true KR101963123B1 (ko) 2019-07-31

Family

ID=63877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454A KR101963123B1 (ko) 2017-03-20 2017-03-20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312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484B2 (ja) * 1990-07-18 2000-11-06 株式会社安川電機 希土類合金薄膜磁石の形成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50983U (ja) * 1984-03-16 1985-10-07 日伸鋼業株式会社 電子回路基板収納箱
JPS61203383A (ja) * 1985-02-26 1986-09-09 ホ−ヤ株式会社 基板保持構造
JP3106484U (ja) * 2004-06-21 2005-01-06 克彦 高橋 回路基板サイズ共用型収納容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6484B2 (ja) * 1990-07-18 2000-11-06 株式会社安川電機 希土類合金薄膜磁石の形成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319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33815B2 (en) Tray having limiting structures
US20170227809A1 (en) Display device
KR100986793B1 (ko) 연성회로기판 고정용 지그
KR101442706B1 (ko) Pcb의 마감용 테이핑 지그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cb의 테이핑 방법
KR101963123B1 (ko) 기판 이송용 흔들림 방지용 기판 수용부재
US8464873B2 (en) Container box and substrate set
KR20190109835A (ko) 인쇄회로기판 적재용 박스
KR102013066B1 (ko) 인쇄회로기판 적재장치
US8785783B2 (en) Protective cove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JP2011131940A (ja) 基板収納容器、膜付きガラス基板収納体、マスクブランク収納体、および転写マスク収納体
KR20090019745A (ko) 인쇄 배선 기판용 방진기
JP2009184699A (ja) デバイス搬送用トレイ
KR20110086202A (ko) 인쇄회로기판용 지그
JP6804108B2 (ja) 位置ずれ防止冶具及びプレス冶具
KR101693211B1 (ko) 이형지 박리 작업성이 향상된 모바일 기기용 전자부품모듈
KR101004583B1 (ko) 회로기판 모듈용 지그
JP2001315846A (ja) キャリアテープ
TW200930193A (en) Supportin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ouble surfaces mounted printed circuir board using the same
KR20060027600A (ko) 캐리어를 사용하지 않는 박형 인쇄회로기판
KR200473505Y1 (ko) 릴 타입 사이드 탭 터미널
KR101549585B1 (ko) 모듈용 기판 홀더 및 이를 이용한 모바일 기기의 전자부품 제조방법
JP2006089046A (ja) デバイス搬送用トレイ及びデバイスの製造方法
JP2011151124A (ja) 粘着性固定冶具
JP2021048400A (ja) 位置ずれ防止冶具及びプレス冶具
JP6592252B2 (ja) 搬送包装テー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