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919B1 - 건조용 통풍 대차 및 그 통풍 대차를 포함한 건조 시스템 - Google Patents

건조용 통풍 대차 및 그 통풍 대차를 포함한 건조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919B1
KR101962919B1 KR1020180145653A KR20180145653A KR101962919B1 KR 101962919 B1 KR101962919 B1 KR 101962919B1 KR 1020180145653 A KR1020180145653 A KR 1020180145653A KR 20180145653 A KR20180145653 A KR 20180145653A KR 101962919 B1 KR101962919 B1 KR 101962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ing
air
block
column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56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해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성마리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성마리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성마리프
Priority to KR10201801456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9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건조용 통풍 대차 및 그 통풍 대차를 포함한 건조 시스템은, 피 건조물 또는 채반이 적재될 수 있는 선반; 및 상기 선반을 수평인 상태로 지지하는 기둥 구조물을 형성하는 다수의 건조 블럭;을 포함하는 건조용 통풍 대차로서, 상기 건조 블럭은 상기 선반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에 결합 되며, 상기 건조 블럭은 중공의 기둥 구조물을 형성하며, 상기 건조 블럭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공기 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선반은 상기 공기 토출통로에서 토출된 공기를 일정한 공간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챔버의 천장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격자 형태로 다수 분포된 공기 분사구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 토출통로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조용 통풍 대차 및 그 통풍 대차를 포함한 건조 시스템{Drying bogie device and drying system including thereof}
본 발명은 농축수산물 및 임산물이나 식품과 같은 피 건조물을 효율적으로 건조하기 위한 장치로서, 더 구체적으로는 채반에 수납된 피 건조물에 냉풍이나 온풍을 고르고 신속하게 공급할 수 있는 대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농축수산물 및 임산물이나 이를 가공한 식품은 보관 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농축수산물 및 임산물이나 식품의 수분을 최대한 제거한 상태로 건조하여 보관 기간을 연장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실내 공간에 온풍이나 냉풍을 공급할 수 있는 건조 시스템이 고안되었다. 또한, 이러한 건조 시스템을 구성하는 구성요소로서 효과적인 피 건조물의 건조를 위해 건조용 통풍 대차가 고안되었다.
일반적으로 건조용 통풍 대차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18-8078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수의 건조용 선반을 적층 하여 설치할 수 있는 구조를 구비한다. 건조용 선반에는 피 건조물이 얇고 넓은 상태로 수용되어 냉풍이나 온풍에 의해 효과적으로 피 건조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한다.
그런데 종래의 건조용 통풍 대차는 피 건조물을 단순히 넓게 펴서 그 통풍 대차위에 올려놓을 수만 있게 구성되므로 피 건조물에 건조를 위한 공기가 골고루 제공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피 건조물이 균일하게 건조되지 않을 뿐 아니라, 건조 시간이 지나치게 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피 건조물에 공급되는 공기를 최대한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건조용 통풍 대차의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건조 시간을 현저하게 단축시키는 동시에 균일한 건조를 효과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건조용 통풍 대차 및 건조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조용 통풍 대차는, 피 건조물 또는 채반이 적재될 수 있는 선반; 및
상기 선반을 수평인 상태로 지지하는 기둥 구조물을 형성하는 다수의 건조 블럭;을 포함하는 건조용 통풍 대차로서,
상기 건조 블럭은 상기 선반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에 결합 되며,
상기 건조 블럭은 중공의 기둥 구조물로서 공기 공급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건조 블럭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공기 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선반은 상기 공기 토출통로에서 토출된 공기를 일정한 공간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챔버의 천장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격자 형태로 다수 분포된 공기 분사구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 토출통로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 점에 특징이 있다.
상기 선반은 상기 건조 블럭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상기 건조 블럭이 관통하는 블럭 조립공을 구비하며,
상기 건조 블럭은, 상기 블럭 조립공을 관통하는 기둥 몸체; 상기 기둥 몸체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둥 몸체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조립 기둥; 및 상기 기둥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 몸체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받침 플랜지; 및 상기 기둥 몸체의 내주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 기둥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기둥 수용홈;을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공기 토출통로는 상기 부채꼴 형태를 다수 개로 분할하는 격벽을 구비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럭 조립공은 비원형 단면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 몸체는 상기 블럭 조립공에 조립되는 비원형 단면 구조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챔버의 공기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공이 구비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은 상기 통풍 대차를 포함하며, 상기 건조 블럭의 최상단에 연결되어 건조용 공기를 공급하는 플랙시블 덕트; 및
상기 플랙시블 덕트에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생성 및 순환시키는 건조장치;를 포함한 점에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용 통풍 대차 및 그 통풍 대차를 포함한 건조 시스템은, 피 건조물이 건조를 위해 적재되는 선반이 챔버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선반을 복수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에 결합된 기둥 형상의 건조 블럭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건조 블럭에서 토출되는 건조용 공기가 선반의 챔버 내부로 방사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챔버의 천장에 형성된 격자 형상의 다수 분사구를 통해 피 건조물에 건조용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되므로 건조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뿐 아니라 피 건조물의 건조 균일도가 매우 높은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용 통풍 대차는 건조 블럭을 쉽게 선반과 분리할 수 있어,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일 뿐 아니라 건조 블럭끼리의 조립과 분리도 용이하므로 건조하고자 하는 공간의 크기나, 피 건조물의 양에 따라 가변적으로 크기를 조정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건조용 통풍 대차를 분리하여 보관하면 보관 공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의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용 통풍 대차의 최소 단위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용 통풍 대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반의 절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건조 블럭의 입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건조 블럭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Ⅶ - Ⅶ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Ⅷ - Ⅷ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건조용 통풍 대차에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의 흐름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 시스템의 구성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건조용 통풍 대차의 최소 단위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조용 통풍 대차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선반의 절단면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건조 블럭의 입체적인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건조 블럭을 다른 방향에서 본 도면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Ⅶ - Ⅶ 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5에 도시된 Ⅷ - Ⅷ 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2에 도시된 건조용 통풍 대차에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의 흐름을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다른 건조용 통풍 시스템은, 건조용 통풍 대차(10)와, 플랙시블 덕트(50)와, 건조장치(60)를 포함한다.
상기 건조용 통풍 대차(10)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구성요소이다. 상기 건조용 통풍 대차(10)는 선반(20)과, 건조 블럭(30)과, 바퀴(40)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20)은 피 건조물 또는 채반이 적재될 수 있도록 평평한 적재 면을 구비한다. 상기 선반(20)은 챔버(22)와, 블럭 조립공(24)과, 공기 분사구(26)와, 압력 조절공(미도시)을 구비한다.
상기 챔버(22)는 후술하는 건조 블럭(30)의 공기 토출통로(34)에서 토출 된 공기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일정한 크기의 공간이다. 상기 챔버(22)는 예컨대 사각 상자 형태의 구조물의 내부 공간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럭 조립공(24)은 후술하는 건조 블럭(30)이 조립되는 구멍이다. 상기 블럭 조립공(24)은 상기 챔버(22)의 천장과 바닥을 모두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블럭 조립공(24)은 예컨대 평면도 상에서 전체적으로 원형인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블럭 조립공(24)은 상기 건조 블럭(30)이 조립된 상태에서 불필요하게 회전 또는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비원형 단면 구조를 포함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선반(20)은 건조 블럭(30)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블럭 조립공(24)에 상기 건조 블럭(30)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조립된다.
상기 공기 분사구(26)는 상기 챔버(22)의 천장을 관통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공기 분사구(26)는 격자 형태로 다수 분포된다. 상기 공기 분사구(26)는 소형의 원형 구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공은 상기 챔버(22)의 바닥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공은 상기 챔버(22)로 유입되는 공기가 원활하게 상기 공기 분사구(26)를 통해 분사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챔버(22) 내부의 압력이 지나치게 높아지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선반(20)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압력 조절공은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압력 조절공은 상기 공기 분사구(26) 보다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 블럭(30)은 상기 선반(20)을 수평인 상태로 지지하는 기둥 구조물을 형성한다. 상기 건조 블럭(30)은 다수 구비된다. 상기 건조 블럭(30)은 상기 선반(20)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 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20)에 결합 된다. 상기 건조 블럭(30)은 중공의 기둥 구조물이다. 상기 건조 블럭(30)의 중공은 공기 공급통로(32)를 형성한다. 상기 건조 블럭(30)은 상기 건조 블럭(3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공기 토출통로(34)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토출통로(34)는 상기 공기 공급 통로(32)에 연통 된다. 상기 공기 토출통로(34)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공기 토출통로(34)가 부채꼴 형태로 형성된 것은 상기 공기 토출통로(34)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가 상기 챔버(22) 내에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균일하게 분배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것이다. 상기 공기 토출통로(34)는 상기 부채꼴 형태를 다수 개로 분할하는 격벽(35)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격벽(35)은 상기 공기 토출통로(34)의 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토출 되는 공기압이 특정 부위에 편중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건조 블럭(30)은 기둥 몸체(36)와, 조립 기둥(37)과, 받침 플랜지(38)와, 기둥 수용홈(39)을 포함한다.
상기 기둥 몸체(36)는 상기 블럭 조립공(24)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구조물이다. 상기 기둥 몸체(36)는 원기둥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둥 몸체(36)의 내부에는 상술한 공기 공급통로(3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기둥 몸체(36)에는 공기 토출통로(34)가 형성된다. 상기 공기 토출통로(34)가 형성되는 부분은 상기 챔버(22) 내부에 수용된 형태로 설치된다. 상기 기둥 몸체(36)는 상기 블럭 조립공(24)에 조립되는 비원형 단면 구조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기둥 몸체(36)가 상기 블럭 조립공(24)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조립 기둥(37)은 상기 기둥 몸체(36)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구조물이다. 상기 조립 기둥(37)은 상기 기둥 몸체(36)보다 작은 외경을 가진다. 상기 조립 기둥(37)은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다수의 건조 블럭(30)이 상호 분리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도록 마련된 것이다. 상기 조립 기둥(37)은 인접하는 건조 블럭(30)에 구비된 기둥 수용홈(39)에 슬라이딩 결합 된다.
상기 받침 플랜지(38)는 상기 기둥 몸체(36)에 형성된다. 상기 받침 플랜지(38)는 상기 기둥 몸체(36)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된 환상의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받침 플랜지(38)는 상기 공기 토출통로(34) 하측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받침 플랜지(38)는 상기 기둥 몸체보다 큰 외경을 가진다. 또한, 상기 받침 플랜지(38)는 상기 선반(20)에 구비된 블럭 조립공(24) 보다 크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받침 플랜지(38)는 상기 선반(20)의 바닥면 하측에 접촉 지지 된다.
상기 기둥 수용홈(39)은 상기 기둥 몸체(36)의 내주면 하부에 형성된다. 상기 기둥 수용홈(39)은 상기 조립 기둥(37)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진다. 상기 기둥 수용홈(39)은 인접하는 건조 블럭에 구비된 조립 기둥(37)과 원활하게 슬라이딩 결합할 수 있는 정도의 범위에서 적정한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상기 기둥 수용홈(39)의 내경의 크기는 상기 기둥 몸체(36)의 외경보다 클 수 없다. 상기 기둥 수용홈(39)의 길이는 상기 조립 기둥(37)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랙시블 덕트(50)는 적층 된 상기 건조 블럭(30)의 최상단에 연결된다. 상기 플랙시블 덕트(50)는 길이 방향이나 폭 방향으로 가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플랙시블 덕트(50)는 건조용 공기를 공급하는 상기 건조용 통풍 대차(10)에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상기 플랙시블 덕트(50)는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플랙시블 덕트(50)는 지면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 동축 상에 설치된 건조 블럭(30)의 최상단에 결합된다.
상술한 선반(20)과 건조 블럭(30)이 조립된 구성을 순차적으로 적층 하여 실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건조용 통풍 대차(10)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건조용 통풍 대차(10)의 최하단부에는 이동의 편리를 위해 바퀴(40)가 복수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건조장치(60)는 상기 플랙시블 덕트(50)에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생성 및 순환시키는 장치다. 상기 건조장치(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의 공기를 유입하여 습도가 낮은 건조용 공기를 생성하거나, 상기 건조용 통풍 대차(10)를 통과하여 가습된 공기의 일부를 외부로 내보내거나 증발기 또는 냉각기를 통해 제습한 공기를 다시 상기 플랙시블 덕트(50)로 순환시키기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요소를 포함한 건조용 통풍 대차(10) 및 건조 시스템을 이용하여 피 건조물을 건조시키는 과정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상기 건조용 통풍 대차(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최소 구성을 조립한 후 순차적으로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하여 도 1과 같이 적층된 구조의 건조용 통풍 대차(10)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건조용 통풍 대차(10)의 선반(20) 위에는 예컨대 농산물, 수산물, 식품 등을 채반에 담은 채 적재한다.
이제 다수 적층 된 선반(20)과 건조 블럭(30)의 최상단 건조 블럭(30)의 상단부에 상기 플랙시블 덕트(50)를 결합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장치(60)를 작동시킨다. 상기 건조장치(60)에서 생성되어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는 제습되어 습도가 매우 낮은 상태에 있다. 상기 플랙시블 덕트(50)로 공급된 건조용 공기는 상기 건조 블럭(30)의 공기 공급통로(32)를 따라 지면을 향해 하강한다. 그리고 각각의 건조 블럭(30)에 구비된 공기 토출통로(34)를 통해 상기 챔버(22) 내부로 공급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공기 토출통로(34)가 평면도 상에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챔버(22)로 공급되는 공기가 물결이 전파되는 형태로 모든 방향에 대해 균일한 속도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챔버(22)에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는 상기 챔버(22) 내부에 형성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공기 분사구(26)를 통해 피 건조물의 하방에서 상방으로 균일하게 공급된다. 그 결과 피 건조물에 포함된 수분은 건조용 공기에 의해 신속하고 균일하에 피 건조물로부터 분리된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건조용 통풍 대차의 챔버(22)에 유입된 공기가 전파되는 형태가 화살표로 도식적으로 도시된바 건조용 공기의 전달 형태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건조용 통풍 대차 및 그 통풍 대차를 포함한 건조 시스템은, 피 건조물이 건조를 위해 적재되는 선반이 챔버 구조를 가지도록 구성하고, 상기 선반을 복수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에 결합된 기둥 형상의 건조 블럭에 건조 공기를 공급하는 통로를 형성하여 건조 블럭에서 토출되는 건조용 공기가 선반의 챔버 내부로 방사상으로 공급되도록 함으로써 챔버의 천장에 형성된 격자 형상의 다수 분사구를 통해 피 건조물에 건조용 공기가 균일하게 공급되므로 건조 시간이 현저하게 단축될 뿐 아니라 피 건조물의 건조 균일도가 매우 높은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건조용 통풍 대차는 건조 블럭을 쉽게 선반과 분리할 수 있어, 세척이 용이하여 위생적일 뿐 아니라 건조 블럭끼리의 조립과 분리도 용이하므로 건조하고자 하는 공간의 크기나, 피 건조물의 양에 따라 가변적으로 크기를 조정할 수 있어서 사용 편의성이 좋은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하지 않는 건조용 통풍 대차를 분리하여 보관하면 보관 공간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그러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 예가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10 : 건조용 통풍 대차
20 : 선반
22 : 챔버
24 : 블럭 조립공
26 : 공기 분사구
30 : 건조 블럭
32 : 공기 공급통로
34 : 공기 토출통로
35 : 격벽
36 : 기둥 몸체
37 : 조립 기둥
38 : 받침 플랜지
39 : 기둥 수용홈
40 : 바퀴
50 : 플랙시블 덕트
60 : 건조장치

Claims (6)

  1. 피 건조물 또는 채반이 적재될 수 있는 선반; 및
    상기 선반을 수평인 상태로 지지하는 기둥 구조물을 형성하는 다수의 건조 블럭;을 포함하는 건조용 통풍 대차로서,
    상기 건조 블럭은 상기 선반을 일정한 간격을 두고 지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적층할 수 있도록 상기 선반에 결합 되며,
    상기 건조 블럭은 중공의 기둥 구조물로서 공기 공급통로를 형성하며, 상기 건조 블럭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공기 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선반은 상기 공기 토출통로에서 토출된 공기를 일정한 공간에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챔버를 구비하며,
    상기 챔버의 천장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격자 형태로 다수 분포된 공기 분사구가 구비되며,
    상기 공기 토출통로는 상기 기둥 구조물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기준으로 부채꼴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공기 토출통로는 상기 부채꼴 형태를 다수 개로 분할하는 격벽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통풍 대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반은 상기 건조 블럭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 되도록 상기 건조 블럭이 관통하는 블럭 조립공을 구비하며,
    상기 건조 블럭은, 상기 블럭 조립공을 관통하는 기둥 몸체; 상기 기둥 몸체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되며 상기 기둥 몸체보다 작은 외경을 가지는 조립 기둥; 및 상기 기둥 몸체에 형성되며 상기 기둥 몸체보다 큰 외경을 가지는 받침 플랜지; 및 상기 기둥 몸체의 내주면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조립 기둥의 외경보다 큰 내경을 가지는 기둥 수용홈;을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통풍 대차.
  3. 삭제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럭 조립공은 비원형 단면 구조를 포함하며,
    상기 기둥 몸체는 상기 블럭 조립공에 조립되는 비원형 단면 구조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통풍 대차.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의 바닥면에는 상기 챔버의 공기 압력을 조절하는 압력 조절공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용 통풍 대차.
  6. 제1항 내지 제2항 및 제4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건조용 통풍 대차를 포함하는 건조 시스템으로서,
    상기 건조 블럭의 최상단에 연결되어 건조용 공기를 공급하는 플랙시블 덕트; 및
    상기 플랙시블 덕트에 공급되는 건조용 공기를 생성 및 순환시키는 건조장치;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시스템.
KR1020180145653A 2018-11-22 2018-11-22 건조용 통풍 대차 및 그 통풍 대차를 포함한 건조 시스템 KR1019629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653A KR101962919B1 (ko) 2018-11-22 2018-11-22 건조용 통풍 대차 및 그 통풍 대차를 포함한 건조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5653A KR101962919B1 (ko) 2018-11-22 2018-11-22 건조용 통풍 대차 및 그 통풍 대차를 포함한 건조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919B1 true KR101962919B1 (ko) 2019-03-28

Family

ID=65908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5653A KR101962919B1 (ko) 2018-11-22 2018-11-22 건조용 통풍 대차 및 그 통풍 대차를 포함한 건조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91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975A (ja) * 1982-06-30 1984-01-30 エ−ル・フレ−リツヒ・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フユ−ル・エネルギ−リユツクゲヴインヌング 穀粒の連続麦芽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66456Y1 (ko) * 1999-07-15 2000-02-15 조성환 이동식농산물예냉장치
KR20060036426A (ko) * 2006-04-06 2006-04-28 엄익호 균일한 건조를 위한 농산물 건조기
KR20130001010U (ko) * 2011-08-03 2013-02-14 주식회사 남진농기 농산물 건조기
KR20160087712A (ko) * 2015-01-14 2016-07-22 이순향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7975A (ja) * 1982-06-30 1984-01-30 エ−ル・フレ−リツヒ・アクチエンゲゼルシヤフト・フユ−ル・エネルギ−リユツクゲヴインヌング 穀粒の連続麦芽製造方法及びその装置
KR200166456Y1 (ko) * 1999-07-15 2000-02-15 조성환 이동식농산물예냉장치
KR20060036426A (ko) * 2006-04-06 2006-04-28 엄익호 균일한 건조를 위한 농산물 건조기
KR20130001010U (ko) * 2011-08-03 2013-02-14 주식회사 남진농기 농산물 건조기
KR20160087712A (ko) * 2015-01-14 2016-07-22 이순향 농산물용 열풍 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636437Y2 (ja) 空気循環装置
US20060272350A1 (en) Cooling room
US9671164B2 (en) Seed dryer and method
KR101962919B1 (ko) 건조용 통풍 대차 및 그 통풍 대차를 포함한 건조 시스템
KR101922847B1 (ko) 고품질 고추건조 트레이 장치
US3028681A (en) Apparatus for treating granular materials
JP2995622B2 (ja) 被乾燥収容体ユニットを使用した乾燥方法
KR20190050883A (ko) 농수산물 건조기
JP3674616B2 (ja) 接ぎ苗順化装置
US5079855A (en) Drying chamber and air distribution means therefor
KR100452127B1 (ko) 농작물용 연무장치
KR200242883Y1 (ko) 농작물용 연무장치
KR200460037Y1 (ko) 청과물 품질관리 장치
JP3070001B2 (ja) 被乾燥体の乾燥装置
JP3215064U (ja) 湿度調整装置
CN219928494U (zh) 一种雪茄的存储柜
JP5416603B2 (ja) 食品保管庫
KR200482318Y1 (ko) 식품건조기의 양면 건조망
JP3674617B2 (ja) 接ぎ苗順化装置
KR101873383B1 (ko) 후숙고
RU2212012C1 (ru) Карусельная зерносушилка
KR102233704B1 (ko) 하이브리드 감압식 히트펌프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방법
CN218142972U (zh) 一种雪茄的储存装置
JPH07241141A (ja) 接ぎ苗順化装置
JP3242831U (ja) 鮮度保持システムの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