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2264B1 - 수직 전회전 북집 - Google Patents

수직 전회전 북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2264B1
KR101962264B1 KR1020177012098A KR20177012098A KR101962264B1 KR 101962264 B1 KR101962264 B1 KR 101962264B1 KR 1020177012098 A KR1020177012098 A KR 1020177012098A KR 20177012098 A KR20177012098 A KR 20177012098A KR 101962264 B1 KR101962264 B1 KR 1019622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ase
bobbin
spring
hook
circumferential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20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5627A (ko
Inventor
준 하타나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히로세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히로세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히로세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170065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5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2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2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10Shuttles
    • D05B57/14Shuttles with rotary hook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8Applications of bobbins for storing the lower 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실 끊김(thread breakage) 및 실 뭉침(balls of thread)의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서 안쪽 북집(3)의 걸어맞춤 오목부(28)에 스프링 부재(50)를 설치하여 보빈 케이스(5)의 걸어맞춤편(27)의 걸어맞춤부(27a)를 회전방향(A) 하류측에 스프링 탄성지지함으로써 보빈 케이스(5)의 안쪽 북집(3)에 대한 덜컹거림 및 진동을 억제한다.

Description

수직 전회전 북집{VERTICAL FULL ROTATION HOOK}
본 발명은 재봉틀에 구비되는 수직 전회전(全回轉) 북집(hook)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의 수직 전회전 북집은 예를 들어 특허 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이 종래 기술의 수직 전회전 북집은 재봉틀의 하부축에 고정되며 갈고리 선단부를 갖는 바깥 북집과, 바깥 북집에 수용된 상태로 지지되는 안쪽 북집과, 안쪽 북집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보빈 케이스와, 밑실이 권회되며 보빈 케이스에 수용되는 보빈을 구비한다.
재봉틀의 봉제 동작이 개시되면 하부축이 수평한 회전축선 주위에 미리 정하는 회전방향으로 회전 구동됨과 함께, 하부축의 회전축선에 수직인 축선을 따라 재봉바늘이 상기 회전축선에 근접 및 이반(離反)하는 동작을 반복한다. 재봉바늘에 삽통된 바늘실은 갈고리 선단에 의해 포착되어 바늘실 루프를 형성하고, 이 바늘실 루프가 안쪽 북집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실을 통과시킴으로써, 바늘실이 안쪽 북집으로부터 재봉틀 헤드 상의 바늘판의 바늘구멍에 인출되어 있는 밑실에 걸어 맞춰져서 피봉제물에 솔기가 형성된다.
안쪽 북집은 거의 원통형의 주벽부와, 주벽부의 축선방향 일단부로 이어져서 일 직경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바닥부를 형성하는 브리지부와, 브리지부에 주벽부의 축선방향 타단부측을 향하여 입설되는 스터드와, 주벽부의 축선방향 타단부측으로 이어져서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외향 플랜지와, 주벽부의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C자 모양의 궤조(軌條)를 갖는다.
주벽부에는 재봉바늘이 삽통하는 바늘 낙하 구멍이 형성되고, 이 바늘 낙하 구멍이 항상 재봉바늘의 축선 상에 배치되도록 안쪽 북집은 재봉틀의 기체(機體)에 기단부가 연결된 회전 멈춤 부재에 의해 회전이 멈춰져서 바깥 북집에 추종하여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어 있다.
보빈 케이스는 안쪽 북집 내에 끼이는 원통형의 주벽부와, 주벽부의 일단부측 개구를 막도록 형성되는 단벽부와, 단벽부에 주벽부의 축선에 수직인 일 직경선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래치라고도 불리는 걸어맞춤편과, 걸어맞춤편을 일방향으로 스프링 탄성지지하는 래치 스프링과, 걸어맞춤편을 래치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대항하여 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레버를 구비한다.
걸어맞춤편은 띠형상의 기부(基部)와, 기부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거의 직각으로 이어지는 걸어맞춤부를 갖고, 이 걸어맞춤부가 주벽부로부터 돌출한 상태에서 걸어맞춤편이 걸어맞춤부를 돌출시키는 방향으로 래치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스프링 탄성지지되어 있다. 래치 스프링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단벽부에 걸어맞춤편의 길이방향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스프링 수용 구멍에 수용되어 있다.
안쪽 북집은 보빈 케이스의 주벽부가 거의 꽉 끼워 맞춰질 수 있는 주벽부와, 주벽부의 개방단측의 일단부에 이어지는 플랜지부를 갖고, 주벽부 및 플랜지부에는 주벽부와 플랜지부에 걸쳐 전술한 걸어맞춤부가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된다. 안쪽 북집에 보빈 케이스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안쪽 북집의 걸어맞춤 오목부에 보빈 케이스의 걸어맞춤부가 끼여 걸어 맞춰져서 보빈 케이스는 안쪽 북집에 대하여 안쪽 북집의 축선 주위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일본 실용 신안 공고 소61-14375호 공보
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재봉틀의 봉제 동작이 개시되면 재봉바늘의 왕복 변위동작 및 바깥 북집의 회전동작에 의해 밑실은 봉제 중에 솔기의 진행에 수반하여 보빈 케이스로부터 인출되기 때문에, 보빈은 밑실의 공급에 의한 인장력에 의해 보빈 케이스 내에서 회전하고 있다. 보빈 케이스는 전술한 바와 같이 걸어맞춤부가 안쪽 북집의 걸어맞춤 오목부에 끼여 걸어 맞춰지기 때문에 보빈 케이스의 안쪽 북집의 축선 주위의 회전이 저지되지만, 보빈 케이스는 안쪽 북집에 대하여 보빈 교환시에 착탈할 수 있어야만 하기 때문에 걸어맞춤부와 걸어맞춤 오목부는 0.1 내지 0.3mm 정도의 공차의 범위에서 안쪽 북집의 축선에 관하여 회전방향으로 틈을 갖는다. 그 때문에 봉제시에 보빈 케이스가 안쪽 북집에 대하여 주로 회전방향의 진동을 일으켜 윗실 및 밑실의 장력 변화에 의해 실 끊김(thread breakage) 및 실 뭉침(balls of thread)을 발생시킨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실 끊김 및 실 뭉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 전회전 북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재봉바늘이 설치되는 바늘대(needle bar)의 축선에 수직인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하부축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축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선단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되는 갈고리 선단부를 갖는 바깥 북집과,
상기 바깥 북집에 상기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안쪽 북집이며, 상기 재봉바늘이 삽통하는 바늘 낙하 구멍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의 일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주벽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걸쳐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는 안쪽 북집과,
상기 안쪽 북집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보빈 케이스이며,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상기 회전방향으로 틈을 두고 착탈이 자유롭게 걸어 맞춰지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걸어맞춤편을 갖는 보빈 케이스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지지되고,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상기 걸어맞춤편이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틈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보빈 케이스에 수용되며 밑실이 권회되는 보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회전 북집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판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보다 상기 회전방향의 상류측에 고정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상기 틈 내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방향의 하류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안쪽 북집의 걸어맞춤 오목부에 스프링 부재가 설치되기 때문에, 보빈 케이스를 안쪽 북집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걸어맞춤편이 스프링 부재에 의해 회전방향 하류측에 스프링 탄성지지되어 보빈 케이스의 안쪽 북집에 대한 진동이 억제됨으로써 윗실 및 밑실의 장력 변화에 따른 실 끊김 및 실 뭉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하기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을 통해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수직 전회전 북집(1)을 도 1의 절단면선 Ⅱ-Ⅱ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안쪽 북집(3)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보빈(4)을 수용한 보빈 케이스(5)가 장착되는 안쪽 북집(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절단면선 Ⅴ-Ⅴ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절단면선 Ⅵ-Ⅵ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7은 스프링 부재(50)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안쪽 북집(3)의 측면도이다.
도 9는 보빈 케이스(5)가 장착된 안쪽 북집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안쪽 북집(3)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보빈 케이스(5)가 장착된 안쪽 북집(3)의 배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b)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의 스프링 부재(50a)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3은 보빈 케이스(5)가 장착된 안쪽 북집의 스프링 부재(50a)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b)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의 스프링 부재(50b)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보빈 케이스(5)가 장착된 안쪽 북집(3)의 스프링 부재(50b)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을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수직 전회전 북집(1)을 도 1의 절단면선 Ⅱ-Ⅱ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안쪽 북집(3)의 정면도이고, 도 4는 보빈(4)을 수용한 보빈 케이스(5)가 장착되는 안쪽 북집(3)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절단면선 Ⅴ-Ⅴ에서 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절단면선 Ⅵ-Ⅵ에서 본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은 바깥 북집(2)과 안쪽 북집(3)과 보빈(4)과 보빈 케이스(5)를 포함한다. 바깥 북집(2)은 재봉바늘(6)이 착탈 가능하게 동축에 설치되며 바늘대(7)의 축선(L1)에 수직인 회전축선(L2) 주위에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는 하부축(8)에 고정된다. 바깥 북집(2)은 하부축(8)의 회전방향(A) 하류측에 선단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되는 갈고리 선단부(9)를 갖는다.
바깥 북집(2)에는 안쪽 북집(3)이 끼워 넣어지고, 오목부(10)에 도시하지 않은 회전 멈춤 부재의 볼록부가 끼워 맞춰져서 안쪽 북집(3)의 회전이 저지된다. 안쪽 북집(3)은 재봉바늘(6)이 삽통하는 바늘 낙하 구멍(11)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주벽부(12)와, 주벽부(12)의 축선방향 타단부로 이어지며 일 직경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브리지라고도 불리는 바닥부(13)와, 바닥부(13)의 중심에 주벽부(12)의 축선방향 일단부측을 향하여 수직으로 입설되는 스터드(14)와, 주벽부(12)의 축선방향 일단부로 이어지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확장 개방하여 형성되는 플랜지부(15)와, 주벽부(12)에 그 외주면으로부터 돌출하여 형성되는 궤조(16)를 갖는다.
안쪽 북집(3)에는 주벽부 및 플랜지부(15)에 걸쳐 걸어맞춤 오목부(28)가 형성된다.
바깥 북집(2) 및 안쪽 북집(3)은 예를 들어 침탄 담금질 탄소강으로 이루어지고, 열처리에 의해 경도 650HV 이상이 된다. 또한, 보빈(4) 및 보빈 케이스(5)는 강철제 또는 스테인리스강제이다.
플랜지부(15)에는 오목부(10)의 배후측, 즉 주벽부(12)의 축선방향 일단부측에 전술한 바늘 낙하 구멍(11)이 형성됨과 함께, 오목부(10)에 의해 규정되는 전술한 도시하지 않은 회전 멈춤 부재의 볼록부가 끼워 맞춰지는 끼워맞춤 공간에 회전방향(A) 하류측부터 면하여 개방되는 밑실 안내홈(35)이 형성된다. 밑실 안내홈(35)에는 보빈 케이스(5)의 주벽부와 이 주벽부에 설치되는 실 장력 스프링(33)의 사이로부터 인출된 밑실(21)이 삽통되어 재봉틀 헤드에 형성되는 바늘판의 바늘구멍(36)에 팽팽하게 걸리는 밑실(21)이 실 통과시에 오목부(10)로부터 빠져 이탈할 때까지의 동안에 도시하지 않은 실 끊기 메스에 의한 절단 동작 등에 의해 느슨해져도 밑실 안내홈(35) 내에 끼인 상태로 유지되어 오목부(10)로부터 외부로 튀어나오는 것이 방지된다.
안쪽 북집(3)에는 보빈 케이스(5)가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고, 보빈 케이스(5)에는 보빈실이라고도 불리는 밑실(21)이 권회된 보빈(4)이 수용된다. 보빈 케이스(5)에는 재봉바늘(6)의 강하를 허용하기 위한 제1 절결(notch)(22)이 형성된다. 이 제1 절결(22)은 보빈 케이스(5)의 주벽부에 축선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2 절결(23)로 이어진다. 보빈 케이스(5)에는 안쪽 북집(3)에 착탈이 자유롭게 걸어 맞춰지는 래치 기구(25)가 설치된다.
안쪽 북집(3)의 내주부(17)에는 1쌍의 돌기부(24)가 형성된다. 이들 돌기부(24)는 제2 절결(23)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보빈 케이스(5)의 주벽부의 내면에 접촉한다. 이에 의해 보빈 케이스(5)를 안쪽 북집(3)에 장착할 때에 보빈 케이스(5)의 안쪽 북집(3)으로의 삽입을 안내함과 아울러 래치기구(25)와 함께 보빈 케이스(5)와 안쪽 북집(3)의 상호간의 각(角)변위를 저지한다.
래치기구(25)는 조작레버(26)와 걸어맞춤편(27)을 포함하고, 걸어맞춤편(27)이 안쪽 북집(3)에 형성된 걸어맞춤 오목부(28)에 걸어 맞춰짐으로써 안쪽 북집(3)과 보빈 케이스(5)의 각변위가 저지됨과 함께 안쪽 북집(3)에 대하여 보빈 케이스(5)를 걸어 빠짐을 방지하고, 또한 보빈(4)의 교환시에는 보빈 케이스(5)의 안쪽 북집(3)에 대한 걸림 상태를 해제하여 보빈 케이스(5)를 안쪽 북집(3)으로부터 이탈시킬 수 있다.
이러한 수직 전회전 북집(1)에 있어서 걸어맞춤편(27)은 보빈 케이스(5)가 안쪽 북집(3)에 장착된 상태에서 걸어맞춤 오목부(28)에 끼여 걸어 맞춰지는 걸어맞춤부(27a)와, 걸어맞춤부(27a)에 이어지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기부(27b)를 갖고, 대략 L자 모양으로 형성된다. 걸어맞춤부(27a)는 걸어맞춤 오목부(28)에 회전방향(A)에 틈을 두고 착탈이 자유롭게 걸어 맞춰진다. 플랜지부(15)에는 걸어맞춤 오목부(28)에 걸어맞춤부(27a)가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 걸어맞춤부(27a)를 회전방향(A) 상류측으로부터 회전방향(A) 하류측을 향하여 스프링 탄성지지하는 스프링 부재(50)가 설치된다. 스프링 부재(50)는 상기 틈에 배치된다.
도 7은 스프링 부재(50)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8은 안쪽 북집(3)의 측면도이고, 도 9는 보빈 케이스(5)가 장착된 안쪽 북집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안쪽 북집(3)의 배면도이고, 도 11은 보빈 케이스(5)가 장착된 안쪽 북집(3)의 배면도이다. 전술한 스프링 부재(50)는 플랜지부(15)의 걸어맞춤 오목부(28)보다 회전방향(A) 상류측에 고정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설치부(51)와, 설치부(51)의 길이방향의 일단으로부터 거의 직각으로 굴곡하여 걸어맞춤 오목부(28) 내로 연장되고, 회전방향(A) 하류측(도 7의 위쪽)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돌출하는 돌기부(52)를 갖는다. 스프링 부재(50)는 예를 들어 두께 0.15mm 정도의 스프링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이다.
설치부(51)를 플랜지부(15)에 고정하는 방법으로서는 플랜지부(15)에 설치부(51)의 길이방향에 평행한 축선에 대하여 하부축(8)의 축선(L2)에 수직인 가상 일평면 상에서 수직인 접선방향으로 연장되는 설치홈(53)을 형성하고, 설치홈(53)에 설치부(51)를 끼워 맞춘 상태에서 양측부(54a, 54b)를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코킹(caulking)하여 설치부(51)가 측부(54a, 54b)에 의해 협착되도록 변형시키는 코킹 가공에 의해 고정하도록 해도 된다.
돌기부(52)는 보빈 케이스(5)의 안쪽 북집(3)에 대한 착탈이 용이하도록 걸어맞춤부(27a)의 걸어맞춤 오목부(28)에 대한 삽입방향(도 7에서는 오른쪽)을 향해 회전방향(A) 하류측으로 경사진 제1 부분(56)과, 가장 회전방향(A) 하류측에 위치하는 피크부(57)를 거쳐 삽입 방향을 향함에 따라 회전방향(A) 상류측으로 경사지는 제2 부분(58)을 갖는다.
이러한 스프링 부재(50)는 보빈 케이스(5)를 안쪽 북집에 장착한 상태에서는 걸어맞춤 오목부(28)에 걸어맞춤부(27a)가 걸어 맞춰지고, 스프링 부재(50)는 피크부(57)가 걸어맞춤부(27a)에 회전방향 상류측으로부터 탄발적으로 당접(當接)하여 일정한 압압력으로 압압되기 때문에, 봉제시에 보빈 케이스(5)의 안쪽 북집(3)에 대한 진동을 억제하고, 이 진동에 따른 윗실 및 밑실의 장력 변화를 저지하여 실 파손 및 실 뭉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a)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b)의 스프링 부재(50a) 부근을 도시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 13은 보빈 케이스(5)가 장착된 안쪽 북집의 스프링 부재(50a)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a)은 바깥 북집(2)과 안쪽 북집(3)과 보빈(4)과 보빈 케이스(5)와 스프링 부재(50a)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a)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50a)는 설치부(61)와, 설치부(6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이어지는 대략 반원통형상의 제1 부분(62)과, 제1 부분(62)에 이어지며, 보빈 케이스(5)의 삽입방향(도 12의 오른쪽)을 향해 회전방향(A) 상류측으로 경사지는 제2 부분(63)을 갖는다. 스프링 부재(50a)는 예를 들어 두께 0.15mm 정도의 스프링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이다. 설치부(61)는 리벳(64)에 의해 홈(53) 내에서 플랜지부(15)에 고정된다.
이러한 스프링 부재(50a)는 제2 부분(63)에 의해 걸어맞춤부(27a)를 회전방향(A) 하류측을 향하여 압압함과 함께 보빈 케이스(5)의 삽입방향으로도 압압하기 때문에, 보빈 케이스(5)의 축선(L2) 주위의 덜컹거림 및 진동을 억제할 수 있음과 함께 축선(L2) 방향의 덜컹거림 및 진동도 억제할 수 있고, 이에 의해 실 파손 및 실 뭉침의 발생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b)에 구비되는 안쪽 북집(3)의 스프링 부재(50b)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15는 보빈 케이스(5)가 장착된 안쪽 북집(3)의 스프링 부재(50b) 부근의 확대 단면도이다.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대응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b)은 바깥 북집(2)과 안쪽 북집(3b)과 보빈(4)과 보빈 케이스(5)와 스프링 부재(5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수직 전회전 북집(1b)에 있어서 스프링 부재(50b)는 설치부(71)와, 설치부(71)의 길이방향 일단부에 수직면보다 큰 각도로 굴곡하여 이어지며 걸어맞춤 오목부(28) 내로 연장되는 제1 부분(72)과, 제1 부분(72)에 이어지며 보빈 케이스(5)의 삽입방향 하류측의 단부 근처에서 회전방향(A) 하류측으로 볼록하게 만곡하여 돌출하는 돌기부(73)를 갖는다. 스프링 부재(50b)는 예를 들어 두께 0.15mm 정도의 스프링 강판으로 이루어지는 판스프링이다. 설치부(71)는 플랜지부(15)에 리벳(74)에 의해 고정된다.
이러한 스프링 부재(50b)를 이용함으로써도 또한 전술한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윗실 및 밑실의 장력 변화를 줄여 실 파손 및 실 뭉침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그 정신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실시 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 범위에 나타내는 것이며, 명세서 본문에는 전혀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청구 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다.
1, 1a, 1b : 수직 전회전 북집 2 : 바깥 북집
3 : 안쪽 북집 4 : 보빈
5 : 보빈 케이스 6 : 재봉바늘
7 : 바늘대 8 : 하부축
9 : 갈고리 선단부 10 : 오목부
11 : 바늘 낙하 구멍 12 : 주벽부
13 : 바닥부 14 : 스터드
15 : 플랜지부 16 : 궤조
17 : 내주부 21 : 밑실
22 : 절결 23 : 절결
24 : 돌기부 25 : 래치기구
26 : 조작레버 27 : 걸어맞춤편
28 : 걸어맞춤 오목부 33 : 실 장력 스프링
35 : 밑실 안내홈 36 : 바늘구멍
50, 50a, 50b : 스프링 부재 51, 61, 71: 설치부
52, 57, 73 :돌기부 53 : 설치홈
54a, 54b : 측부 56, 62, 72 : 제1 부분
58, 63 : 제2 부분

Claims (3)

  1. 재봉바늘이 설치되는 바늘대(needle bar)의 축선에 수직인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 구동되는 하부축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축의 회전방향의 하류측에 선단부를 향하여 테이퍼 형상이 되는 갈고리 선단부를 갖는 바깥 북집과,
    상기 바깥 북집에 상기 회전축선 주위로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는 안쪽 북집이며, 상기 재봉바늘이 삽통하는 바늘 낙하 구멍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주벽부와, 상기 주벽부의 일단부로부터 반경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를 갖고, 상기 주벽부와 상기 플랜지부에 걸쳐 걸어맞춤 오목부가 형성되는 안쪽 북집과,
    상기 안쪽 북집에 착탈이 자유롭게 장착되는 보빈 케이스이며,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상기 회전방향으로 틈을 두고 착탈이 자유롭게 걸어 맞춰지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걸어맞춤편을 갖는 보빈 케이스와,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상기 걸어맞춤편이 걸어 맞춰진 상태에서 상기 틈에 배치되는 스프링 부재와,
    상기 보빈 케이스에 수용되며 밑실이 권회되는 보빈을 포함하고,
    상기 스프링 부재는 상기 안쪽 북집의 플랜지부에 설치되고, 상기 걸어맞춤편이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에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에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걸어맞춤편을 상기 회전방향 상류측으로부터 상기 회전방향 하류측을 향하여 스프링 탄성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회전 북집.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는 판스프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회전 북집.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은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걸어맞춤 오목부보다 상기 회전방향의 상류측에 고정되는 직사각형 판형상의 설치부와, 상기 설치부의 길이방향 일단으로부터 상기 틈 내로 연장되며 상기 회전방향의 하류측으로 돌출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직 전회전 북집.
KR1020177012098A 2015-02-13 2015-02-13 수직 전회전 북집 KR10196226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54038 WO2016129122A1 (ja) 2015-02-13 2015-02-13 垂直全回転かま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5627A KR20170065627A (ko) 2017-06-13
KR101962264B1 true KR101962264B1 (ko) 2019-03-26

Family

ID=5661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2098A KR101962264B1 (ko) 2015-02-13 2015-02-13 수직 전회전 북집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3257992B1 (ko)
JP (1) JP6440746B2 (ko)
KR (1) KR101962264B1 (ko)
CN (1) CN107109747B (ko)
WO (1) WO2016129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69439B2 (ja) 2019-10-16 2023-10-26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減速逆転機
JP7369438B2 (ja) 2019-10-02 2023-10-26 株式会社 神崎高級工機製作所 減速逆転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9523A (zh) * 2008-07-04 2010-01-06 Juki株式会社 缝纫机的线轴壳体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4375Y2 (ko) * 1981-01-12 1988-04-22
JPS58152277U (ja) * 1982-04-01 1983-10-12 株式会社廣瀬製作所 ミシンの全回転かま
JPS6114375U (ja) 1984-06-29 1986-01-28 追浜工業株式会社 エンジン回転計
JPS6141674U (ja) * 1984-08-23 1986-03-17 ジャガー株式会社 ミシンの全回転釜
JPH0268096A (ja) * 1988-09-01 1990-03-07 Hirose Mfg Co Ltd 本縫いミシンの全回転かま
JP2972965B2 (ja) * 1991-03-31 1999-11-08 ブラザー工業 株式会社 ミシンの全回転かま
JPH0642626Y2 (ja) * 1991-11-05 1994-11-09 株式会社廣瀬製作所 垂直全回転かま
CN1110590C (zh) * 1997-01-29 2003-06-04 株式会社广濑制作所 缝纫机的梭板
JP2824246B2 (ja) * 1997-02-07 1998-11-11 株式会社廣瀬製作所 ミシンのかま
CN1153863C (zh) * 1999-05-28 2004-06-16 三菱电机株式会社 全旋转梭
ITMI20130324A1 (it) * 2013-03-04 2014-09-05 Cm Cerliani S R L Crochet rotativo con capsula per macchina per cucire a punto annodato comprendente mezzi per ridurre i giochi tra capsula e cestello e ridurne la rumorosita'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9523A (zh) * 2008-07-04 2010-01-06 Juki株式会社 缝纫机的线轴壳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440746B2 (ja) 2018-12-19
CN107109747B (zh) 2019-08-13
WO2016129122A1 (ja) 2016-08-18
KR20170065627A (ko) 2017-06-13
CN107109747A (zh) 2017-08-29
EP3257992A1 (en) 2017-12-20
JPWO2016129122A1 (ja) 2017-11-30
EP3257992B1 (en) 2023-04-05
EP3257992A4 (en) 2018-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264B1 (ko) 수직 전회전 북집
JP2012001874A (ja) 精紡スピンドルまたは撚糸スピンドルのためのロック装置
US6745712B1 (en) Fully rotatable shuttle
CN209144413U (zh) 一种缝纫机机针的自动定位找正结构
KR20080016480A (ko) 완전 회전 북집 장치
JPH11309288A (ja) ミシン及びミシンの縫針保持装置
KR20140024701A (ko) 보빈 고정장치
JP4013228B1 (ja) ブレードマシン用キャリヤー
WO2016157488A1 (ja) 垂直全回転かま
KR101909650B1 (ko) 수직 전회전 북집
JP5648669B2 (ja) 緯糸測長貯留装置の緯糸送り羽根調整工具
TWI579425B (zh) The improved structure of the yarn extruder
KR20040007300A (ko) 보빈 케이스
US1680433A (en) Fur-sewing-machine attachment
JP2010227399A (ja) 半回転釜の給油機構及びミシン
JP2008142474A (ja) 水平半回転かま
KR101553305B1 (ko) 보빈케이스
JP2005261847A (ja) ミシンのかまおよび外かま
US2646760A (en) Loop-taker mounting means for sewing machines
US20120222598A1 (en) Bobbin case for a sewing machine
KR101227238B1 (ko) 횡편기를 위한 직접 구동 보조 실 가이드 장치
JP6697242B2 (ja) ミシンの天秤装置
US3294049A (en) Lubricating devices for sewing machines
JP2002172287A (ja) 垂直全回転かま
KR101517891B1 (ko) 셔틀케이스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