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808B1 -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808B1
KR101961808B1 KR1020160132543A KR20160132543A KR101961808B1 KR 101961808 B1 KR101961808 B1 KR 101961808B1 KR 1020160132543 A KR1020160132543 A KR 1020160132543A KR 20160132543 A KR20160132543 A KR 20160132543A KR 101961808 B1 KR101961808 B1 KR 1019618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tch
oil
high purity
heavy oil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2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0807A (ko
Inventor
박수진
임윤지
박연희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32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808B1/ko
Publication of KR20180040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0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8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8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1/00Working-up tar
    • C10C1/04Working-up tar by distillation
    • C10C1/16Winning of pitch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1/00Working-up tar
    • C10C1/18Working-up tar by extraction with selective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3/00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 C10C3/002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by thermal mea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C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TAR; PYROLIGNEOUS ACID
    • C10C3/00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 C10C3/08Working-up pitch, asphalt, bitumen by selective extrac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Working-Up Tar And Pitc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를 이용하여 피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화수율 및 연화점이 높은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를 점진적으로 승온시켜 열처리하고 용매추출법을 통해 제조된 피치를 추출함으로서, 경질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시켜 방향족 고리에 대한 중합정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HIGH PURITY PITCH FROM FLUIDIZED CATALYTIC CRACKING DECANT OIL}
본 발명은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를 이용하여 피치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탄화수율 및 연화점이 높은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내의 주요 정유회사들이 증가하고 있는 휘발유 수요를 감당하기 위하여 중질유 분해공정 가동을 시작하였고, 그 부산물로 생성되는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는 비점이 450℃ 이상되는 성분이 50%정도를 차지하는 중질유로서 황함량(2~%)이 비교적 높고 무엇보다 촉매 잔사량이 많아 그 처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는 높은 방향족화도와 불용분 함량이 적어 탄소재료의 대상 원료로서 충분한 가능성을 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얻은 탄소재료는 고부가 가치를 얻을 수 있어, 저가의 원료로 고 부가가치의 탄소물질을 생산하는데 높은 기여할 수 있는 적합한 원료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와 같은 중질유분을 개질하여 얻은 핏치는 유분 내에서 열분해 반응이 일어나 가스, 경질유분이 계외로 방출되고 동시에 라디칼 생성으로 활성화된 분자가 환화(cyclization), 방향족화(aromatization), 중축합 고분자화(polycondensation) 되어지는 일련의 과정을 의미한다. 정유 및 석유화학 공정에서 만들어지는 석유 피치는 전극봉, 리튬이온전극 부극재, 바인더, 탄소 복합재료 기지재 등의 원료 물질로 최첨단 신소재, 전자, 에너지 등 산업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중요한 소재 물질이다.
탄소섬유나 침상 코크스의 전구체로 사용되는 중간상 피치(mesophase picth)는 원료용 피치의 가열 처리 등을 통해 얻을 수 있지만, 이러한 원료용 피치는 퀴놀린에 녹지 않는, 이른바 퀴놀린 불용분이라는 고체입자와 회분 (ash) 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거되지 않고 잔류해있는 크기가 약 0.2 내지 약 2.0㎛ 정도인 퀴놀린 불용분 (QI)은, 그로부터 제조되는 코크스 및 탄소 제품의 물성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들은 탄화 전구체인 메조페이스(mesophase) 구체의 표면에 붙어서 메조페이스의 성장 및 합체를 방해하여 이방성 조직의 성장을 억제한다. 그 결과 제조된 침상 코크스의 열팽창계수(CTE) 값이 올라가게 하거나, 탄소섬유의 방사성, 강도, 탄성률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따라서, 침상 코크스나 탄소섬유 등과 같은 탄소소재의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원료 물질로부터 회분 성분 이외에도 퀴놀린 불용분 함량을 최소화할 필요가 있다. 베타-레진 성분은 탄화 전구체인 메조페이스 생성 및 성장에 도움이 되는 물질로 그 함량이 많을수록 메조페이스 생성 및 성장이 잘 된다. 베타-레진을 많이 회수하거나 QI를 제거함에 의해 피치 원료 물질의 베타-레진/QI 중량비를 높일 수 있는데, 이때 메조페이스 생성 및 성장에 유리한 고순도 피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를 이용하여 고순도 피치재료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중질유 분해공정의 부산물로 생성되는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를 탄소재료의 원료로 활용하는 방안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은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를 열처리하여 피치를 제조하는 피치제조단계 및 용매추출법으로 상기 제조된 피치의 순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피치제조단계는 온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처리는 온도범위 100 내지 600℃에서, 승온 속도가 분당 1 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피치제조단계는 질소 및 아르곤 등의 비활성 기체 중에서 1종 이상 선택되는 기체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매추출법은 피치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피치를 온도 20 내지 200℃인 용매에 중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를 점진적으로 승온시켜 열처리 하고 용매추출법을 통해 제조된 피치를 추출함으로서, 경질유분을 효과적으로 제거시켜 방향족 고리에 대한 중합정도가 현저히 증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탄화수율 및 연화점이 높은 고순도 피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는 분해공정의 부산물로 생성되므로 불순물 함량이 적고 미반응한 성분들은 연료로 활용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를 이용하여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을 제공함으로서, 해외 수입에 대부분을 의존하는 피치를 국내 생산화 할 수 있다. 또한 제조된 고순도 피치를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수소자동자의 연료전지인 음극 소재 기술에 응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FCC-DO)를 기반으로 한 고순도 피치의 열중량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FCC-DO)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은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를 열처리하여 피치를 제조하는 피치제조단계 및 용매추출법으로 상기 제조된 피치의 순도를 높이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피치제조단계는 온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열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열처리는 온도범위 100 내지 600℃에서, 승온속도가 분당 1 내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와 같이 온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열처리 하여 경질유분을 제거한다.
상기 열처리 온도가 100℃ 이하일 경우에는 반응온도가 너무 낮아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에 포함된 경질 유분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기 때문에 고순도 피치를 제조하기에 바람직하지 못하고, 600℃ 이상일 경우에는 고온 탄화가 이루어져 이방성 코크스를 형성하는데 이는 퀴놀린 불용성분으로 작용되어 고순도 피치를 제조하기에 바람직하지 않다.
상기 승온속도가 분당 1℃ 이하일 경우에는 반응시간이 오래 걸려 경제적이지 못하여 바람직하지 못하고, 승온속도가 분당 20℃ 이상일 경우에는 반응시간은 줄어들어 경제적이지만 반응속도가 너무 빨라져 온도를 점진적으로 상승키며 구간별 제거되어야 할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내의 경질유분이 충분히 제거되지 않아 피치의 질을 저하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에서 발명하고자 하는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의 고순도 피치를 제조하기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 피치제조단계는 질소 및 아르곤 등과 같은 비활성 기체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용매추출법은 상기 피치제조단계에서 제조된 피치를 온도 20 내지 200℃인 용매에 중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치를 용매에 중탕하는 것은 제조된 피치의 불용분을 제거하여 피치의 순도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중탕온도는 사용하는 용매의 기화온도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FCC-DO)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
1-1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FCC-DO)를 열처리하여 피치를 제조하는 피치제조단계
용기에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를 1000g 준비해 유리반응기속의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를 2.5℃/min의 속도로 온도를 승온 시켜 300℃에서 1시간 그리고 350℃에서 1시간 유지시켜주었다. 열처리 과정 중 점성이 높은 중질 시료의 국부적 과열 방지를 위해 스테인레스 스틸로 만든 교반기로 300rpm으로 회전시켜 교반 시켜주었고 반응기 밑바닥 부근으로 질소를 2L/min 흘려주었다. 그리고 420℃에서 3h 유지 후 천천히 냉각시켜 시료를 채취해 피치를 제조하였다.
1-2 용매추출법으로 상기 제조된 피치의 순도를 높이는 단계
상기 1-1에서 열처리를 통해 얻은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피치를 75℃의 퀴놀린용액에 중탕시켜 준 뒤 감압필터 하여 퀴놀린에 용해된 시료를 채취 후, 130℃로 톨루엔용액을 중탕시켜 감압필터 하여 톨루엔 불용분을 채취 하여 고순도 피치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의 방법 중 단계 1-2를 제외한 방법으로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피치를 제조하였다.
측정예 1.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피치의 탄화수율을 관찰하기 위해, 열중량분석(thermogravimetric analysis, TGA) 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1 및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에 따르면 비교예 1의 탄화수율이 42% 인 것에 비해, 실시예 1의 경우 약 82%의 탄화수율을 가지며 고온에서 매우 안정한 우수한 열안정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상기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의 고순도 피치 제조공정에 있어 미반응 저분자량 성분들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음을 확인할 수있다.
Condition TI (%) QI (%) Carbon yield (%) Softening point( o C)
비교예 1 >29.6 <7.5 42 207.1
실험예 1 >99.9 <0.1 82 271.5
측정예 2.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피치의 퀴놀린 불용분(QI)를 관찰하기 위하여, ASTM D 2318에 준하여 QI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에 따르면 비교예 1의 회분 (ash)와 같이 피치로부터 제조되는 코크스 및 탄소 제품의 물성을 저하시킬 수 있는 퀴놀린 불용분 수치인 QI 값에 비해, 실시예 1의 QI 값은 0.1이하의 매우 낮은 값을 가진다. 이러한 실험 결과를 통해, 상기 고순도 피치 제조 방법을 통해서 퀴놀린 불용분 함량을 최소하 하여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의 고순도 피치가 제조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제조한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피치의 연화점은 연화점 측정기 (Mattler toledo, DP90)를 사용하여 ASTM D3104에 따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상기 결과에 따르면 비교예 1의 경우 연화점이 207.1℃이며, 실시예 1은 271.5℃의 연화점을 가지며, 이를 통해 상기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고순도 피치 제조방법을 통해서 미반응 또는 저반응 된 저분자량 성분이 효과적으로 제거되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해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6)

  1. (1)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FCC-DO)를 열처리하여 피치를 제조하는 피치제조단계;
    (2) 상기 제조된 피치를 퀴놀린으로 1차 용매추출하는 단계; 및
    (3) 상기 1차 용매추출된 피치를 톨루엔으로 2차 용매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는 열분해 연료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
    상기 (1)단계의 피치제조단계는 온도를 점진적으로 상승시켜 열처리하고,
    상기 열처리는 온도범위 300 내지 450 ℃에서, 승온 속도가 분당 1 내지 20 ℃이고,
    상기 (1) 단계의 피치제조단계는 비활성 기체인 질소에서 수행하고,
    상기 (2) 단계 퀴놀린의 온도는 70 내지 80 ℃이고,
    상기 (3) 단계 톨루엔으로 2차 용매추출하는 단계는 130℃에서 톨루엔이 중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60132543A 2016-10-13 2016-10-13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 KR1019618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543A KR101961808B1 (ko) 2016-10-13 2016-10-13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2543A KR101961808B1 (ko) 2016-10-13 2016-10-13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807A KR20180040807A (ko) 2018-04-23
KR101961808B1 true KR101961808B1 (ko) 2019-03-25

Family

ID=62089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2543A KR101961808B1 (ko) 2016-10-13 2016-10-13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1808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28275A (ko) * 2018-05-08 2019-11-18 오씨아이 주식회사 다량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콜타르의 처리 방법
KR20200019710A (ko) * 2017-06-19 2020-02-24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준결정상 피치 제조, 아스팔텐 제거, 및 원유 잔사 개질을 위한 통합된 열적 공정
KR20210012074A (ko) * 2019-07-23 2021-02-03 오씨아이 주식회사 석유계 고연화점 피치의 제조방법
KR102389550B1 (ko) * 2021-09-24 2022-04-21 한국화학연구원 2단 용매 추출 방식에 기반하는 중질유 유래 탄소섬유용 이방성피치의 제조방법
KR20220059212A (ko) * 2020-11-02 2022-05-10 한국화학연구원 메조겐분리 방식을 포함하는 중질유 유래 탄소섬유용 이방성피치의 제조방법
KR20220105214A (ko) * 2021-01-18 2022-07-27 오씨아이 주식회사 함침 피치의 제조 방법
KR20220144153A (ko) * 2021-04-19 2022-10-2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인조흑연용 피치의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22341A (ko) * 2022-08-11 2024-02-20 오씨아이 주식회사 석유계 고연화점 피치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56423B (en) * 1979-08-16 1983-02-23 Lancashire Tar Distillers Ltd Porous carbon
JPH0948978A (ja) * 1995-07-31 1997-02-18 Conoco Inc 溶媒和されたメソフェーズピッチを製造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方法
KR101315979B1 (ko) * 2011-11-28 2013-10-08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탄소섬유용 핏치의 제조방법
KR101611046B1 (ko) * 2013-06-13 2016-04-11 오씨아이 주식회사 고효율의 탄소 소재 원료용 고순도 피치의 제조 방법
KR101593808B1 (ko) * 2014-07-16 2016-02-15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등방성 피치의 제조 방법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9710A (ko) * 2017-06-19 2020-02-24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준결정상 피치 제조, 아스팔텐 제거, 및 원유 잔사 개질을 위한 통합된 열적 공정
KR102355404B1 (ko) 2017-06-19 2022-02-08 사우디 아라비안 오일 컴퍼니 준결정상 피치 제조, 아스팔텐 제거, 및 원유 잔사 개질을 위한 통합된 열적 공정
KR102428396B1 (ko) 2018-05-08 2022-08-02 오씨아이 주식회사 다량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콜타르의 처리 방법
KR20190128275A (ko) * 2018-05-08 2019-11-18 오씨아이 주식회사 다량의 고형분을 포함하는 콜타르의 처리 방법
KR20210012074A (ko) * 2019-07-23 2021-02-03 오씨아이 주식회사 석유계 고연화점 피치의 제조방법
KR102477035B1 (ko) 2019-07-23 2022-12-13 오씨아이 주식회사 석유계 고연화점 피치의 제조방법
KR102474281B1 (ko) 2020-11-02 2022-12-06 한국화학연구원 메조겐분리 방식을 포함하는 중질유 유래 탄소섬유용 이방성피치의 제조방법
KR20220059212A (ko) * 2020-11-02 2022-05-10 한국화학연구원 메조겐분리 방식을 포함하는 중질유 유래 탄소섬유용 이방성피치의 제조방법
KR20220105214A (ko) * 2021-01-18 2022-07-27 오씨아이 주식회사 함침 피치의 제조 방법
KR102498310B1 (ko) 2021-01-18 2023-02-10 오씨아이 주식회사 함침 피치의 제조 방법
KR20220144153A (ko) * 2021-04-19 2022-10-2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인조흑연용 피치의 제조 방법
KR102529745B1 (ko) 2021-04-19 2023-05-08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인조흑연용 피치의 제조 방법
KR102389550B1 (ko) * 2021-09-24 2022-04-21 한국화학연구원 2단 용매 추출 방식에 기반하는 중질유 유래 탄소섬유용 이방성피치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0807A (ko) 2018-04-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1808B1 (ko) 중질유 촉매분해 잔사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
JPH0258317B2 (ko)
CN87103787A (zh) 制备中间相沥青的方法
KR20180051078A (ko) 고연화점 등방성 피치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탄소 섬유
KR101966886B1 (ko) 열분해 연료유 기반 고순도 피치의 제조방법
CN112625722B (zh) 一种通过组合原料制备可纺沥青的方法及制备碳纤维的应用
KR101543534B1 (ko) 탄소 섬유용 피치의 제조 방법
JPH0456077B2 (ko)
JPH069964A (ja) 石油原料の熱転化方法
JPH0472876B2 (ko)
CN113088327B (zh) 一种生产中间相沥青的方法
KR20150118432A (ko) 잔사유 유래 광학적 이방성 피치, 상기 피치 제조방법 및 상기 피치로 제조된 피치탄소섬유
CN103965932B (zh) 作为针状焦原料的混合沥青的处理方法
KR101353457B1 (ko) 침상 코크스의 제조 방법
KR101595222B1 (ko) 탄소재료용 피치의 제조방법
CN112574770B (zh) 一种优质煤系针状焦的制备方法
CN108675278B (zh) 一种由煤焦油沥青制备的纳米碳球及其制备方法
KR101359266B1 (ko) 석탄 피치 제조 방법
CN107760348B (zh) 一种煤液化残渣制中间相沥青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529745B1 (ko) 인조흑연용 피치의 제조 방법
KR101466495B1 (ko) 향상된 물성을 가지는 석탄 피치 제조 방법
KR102583031B1 (ko) 헤테로상 바인더 피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헤테로상 바인더 피치
JP2021080143A (ja) 炭素材料原料用ピッ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382024B1 (ko) 마이크로파 전처리된 석탄 슬러리를 이용한 석탄 피치 제조 방법
KR102207835B1 (ko) 콜타르의 증류 유분을 이용한 탄소소재용 핏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탄소소재용 핏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