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1020B1 -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 Google Patents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1020B1
KR101961020B1 KR1020170078737A KR20170078737A KR101961020B1 KR 101961020 B1 KR101961020 B1 KR 101961020B1 KR 1020170078737 A KR1020170078737 A KR 1020170078737A KR 20170078737 A KR20170078737 A KR 20170078737A KR 101961020 B1 KR101961020 B1 KR 1019610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tube
paper container
driving
siz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475A (ko
Inventor
홍대희
위형종
홍준호
김학민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787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1020B1/ko
Priority to PCT/KR2017/011898 priority patent/WO2018236000A1/ko
Publication of KR20180138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10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10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006Controlling; Regulating; Measuring; Improving safe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31B50/74Auxiliary operations
    • B31B50/92Delivering

Landscapes

  • Auxiliary Devices For And Details Of Packaging Control (AREA)

Abstract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은 공기압에 의해 종이용기가 이송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으로서, 관; 관 내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관 내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상에서 이동하여 관 내에서 종이용기의 이송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및 관의 외부에 배치되어 한 쌍의 가이드에 결합되며,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이송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가이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Variable transfer tube for paper containers}
본 발명은 종이용기 이송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이송관의 크기를 조정하여 다품종 종이용기의 이송을 위한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가 용이하고 폐기시 부피를 감소시키며, 재활용이 가능한 종이 재료를 이용한 다양한 용기가 제작되고 있다. 이러한 종이용기는 작은 크기의 물컵용으로부터 큰 크기의 라면용기 등 그 종류가 다양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종이용기의 수요가 증가하면서 종이용기의 대량 생산을 위한 제조장비가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종이용기의 제조장비에서 대량 생산된 종이용기를 적재 장소로 이동할 때 공기압을 이용한 이송관을 통해 이송한다.
이때, 종이용기의 크기보다 이송관의 크기가 매우 큰 경우 종이용기가 이송중 회전하여 방향이 바뀌어 적재시 불량을 초래할 수 있고, 이송관의 크기가 작은 경우, 이송관 내에서 종이용기의 끼임 또는 겹침 현상이 발생하여 이송불량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크기의 종이용기를 이송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크기의 이송관을 새로 설치해야 한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이송관의 길이가 길기 때문에, 새로 설치하기 위해 제작비용, 교체시간, 교체비용, 인력 등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므로 생산성의 감소를 초래한다.
KR 10-0408449 B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송관의 크기를 조정하여 다품종 종이용기의 크기에 적합한 이송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을 제공하고자 한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압에 의해 종이용기가 이송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으로서, 관; 상기 관 내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관 내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관 내에서 상기 종이용기의 이송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및 상기 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에 결합되며, 상기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이송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은 상기 한 쌍의 가이드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두 쌍의 가이드 각각은 상기 이송공간의 크기가 최소로 조정된 경우, 상기 각각의 가이드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 폭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수나사와 상기 가이드에 구비되는 암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나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암나사가 직선이동하여 상기 가이드를 구동하는 스크루;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직선이동하여 상기 가이드를 구동하는 랙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은 상기 가이드의 초기위치 및 현재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가이드의 초기위치와 상기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른 목표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가이드의 위치가 상기 목표위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은 상기 가이드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부의 모터의 회전수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은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측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구동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관은 상기 관의 내부와 상기 제1수용부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은 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은 상기 관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관 내에서 상기 종이용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본체; 및 상기 가이드본체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관의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 및 상기 구동부의 일측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는, 상기 관 내에서 상기 종이용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본체; 및 상기 가이드본체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관의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측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은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이송공간의 크기를 조정함으로써, 이송관과 종이용기의 크기가 적합하지 않음에 따른 종이용기의 회전 또는 끼임 등과 같은 이송 불량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의 이송관만으로 다양한 크기의 다품종 종이용기를 이송하므로 이송관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 시간, 및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 이송관만을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이송관 제작 비용을 절감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이송관을 보관하기 위해 별도의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의 가이드 조정을 위한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의 종이용기 이송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의 종이용기 이송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의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100)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의 사시도, 및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100)은 관(110), 가이드(120) 및 구동부(130)를 포함한다.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100)은 종이용기의 제조장비에서 제작된 종이용기를 적재장소로 이송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에서 인가되는 공기압에 의해 개별 제작된 종이용기가 이송된다.
여기서, 종이용기는 대략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물컵과 같이 부위별로 서로 상이한 외경을 갖거나 라면용기와 같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경을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 종이용기의 크기는 부위별로 서로 상이한 외경을 갖는 경우, 가장 큰 외경을 의미한다. 일례로, 종이용기는 75㎜ 내지 150㎜의 외경을 가질 수 있다.
관(110)은 종이용기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관으로서, 원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관(110)은 외부로 돌출하는 돌출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부(112)는 그 내부에 공간을 포함하며 구동부(130)의 일측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11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수용부(114)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스크루의 수나사가 수용되는 가이드(120)의 연결부(122)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2)는 관(110)의 내측과 대향하는 일면에 제1삽입공(116)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1삽입공(116)은 구동부(130)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삽입공(116)은 스크루의 수나사와 결합되는 구동모터(132)의 축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돌출부(112)는 관(110)의 내부와 제1수용부(114)를 연통하는 연통구(118)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연통구(11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가이드(120)의 연결부(122)가 삽입될 수 있다.
가이드(120)는 관(110) 내에서 배치되며, 서로 대향하는 적어도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이드(120)는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관(110) 내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상에서 직선운동할 수 있다. 즉, 가이드(120)는 관(110)의 내측으로 직선운동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2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구동모터(132)의 구동력에 의해 관(110)의 내부에서 중심측 또는 외측으로 직선운동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종이용기를 이송하는 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가이드(120)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가이드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110)의 상하좌우에 두 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두 쌍의 가이드(120) 각각은 이송공간의 크기가 최소로 조정된 경우, 서로 간섭되지 않는다. 즉, 두 쌍의 가이드(120) 각각은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최소 거리를 유지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두 쌍의 가이드(12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 동시에, 종이용기가 가이드(120) 사이에서 빠지지 않고 가이드하기 위해 적합하도록 일정한 폭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120)는 가이드본체(120a) 및 연결부(122)를 포함한다.
가이드본체(120a)는 관(110)의 내부에 배치되며 관(110)의 길이에 따라 일정 길이를 가지며, 종이용기를 가이드하기 위해 일정 폭을 가질 수 있다.
연결부(122)는 가이드본체(120a)의 적어도 일측에 배치되며, 바람직하게는 가이드본체(120a)의 길이방향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부(122)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구동력에 의해 가이드본체(120a)가 관(110)의 내부에서 일정하게 직선이동하도록 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2)는 관(11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즉, 연결부(122)는 관(110)의 연통구(118)를 통하여 관(110)의 돌출부(112)의 제1수용부(114) 내로 인출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122)는 그 내부에 공간을 포함하며 구동부(130)의 일측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124)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수용부(124)는 스크루의 수나사가 수용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122)는 관(110)의 내측과 대향하는 일면, 즉, 제1삽입공(116)이 구비되는 면과 평행한 일면에 제2삽입공(126)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2삽입공(126)은 구동부(13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다. 일례로, 제2삽입공(126)은 스크루의 수나사가 삽입될 수 있다.
구동부(130)는 관(110)의 외부에 배치되며, 관(110)의 돌출부(112) 및 가이드(120)의 연결부(122)를 통하여 가이드(12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구동부(130)는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이송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가이드(120)를 구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부(130)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제어부(140)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구동부(130)는 구동모터(132)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구동부(130)는 스크루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30)는 구동모터(132), 및 스크루(134,136)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32)는 관(110)의 돌출부(112)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132)는 그 회전축이 돌출부(112)의 제1삽입공(116)에 삽입되도록 제1삽입공(116)이 구비된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132)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스크루(134,136)는 제1부분이 구동모터(132)에 결합되고 제2부분이 가이드(120)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루(134,136)는 수나사(134) 및 암나사(136)를 포함할 수 있다.
수나사(134)는 일측이 구동모터(132)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132)의 회전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나사(134)의 타측은 제1수용부(114)에 수용될 수 있다. 아울러, 수나사(134)의 타측은 가이드(120)가 이동함에 따라 연결부(122)의 제2수용부(124)에 수용될 수도 있다.
암나사(136)는 가이드(120)의 연결부(122)의 일면에 구비된 제2삽입공(126)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즉, 암나사(136)는 제2삽입공(126)의 내면을 따라 구비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나사(134)의 나사산과 암나사(136)의 나사산이 맞물리도록 배치되어 수나사(134)의 회전에 따라 암나사(136)가 직선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32)의 구동에 따라 수나사(134)가 회전되면, 암나사(136)가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암나사(136)가 구비된 가이드(120)가 직선으로 이동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의 가이드 조정을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100)은 제어부(140), 센서부(150), 입력부(160), 저장부(170), 및 표시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40)는 센서부(150)에서 획득된 가이드(120)의 위치를 기초로 이송대상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구동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일례로, 제어부(140)는 센서부(150)에서 획득된 가이드(120)의 초기위치 또는 현재위치와 이송대상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른 목표위치를 비교하여 가이드(120)의 위치가 목표위치에 도달할 때까지 센서부(150)의 위치검출 및 그에 따른 가이드(120)의 위치 조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제어부(140)는 센서부(150)에서 획득된 가이드(120)의 초기위치 또는 현재위치를 기초로 저장부(170)에 저장된 가이드(120)의 이동에 따른 구동모터(132)의 회전수를 참조하여 가이드(120)가 목표위치로 이동하도록 구동모터(132)를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가이드(120)의 위치 조정에 따른 구동전류값을 산출하여 구동모터(132)에 인가할 수 있다.
센서부(150)는 관(110) 내에 배치되어 가이드(120)의 초기위치 및 현재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50)는 거리센서일 수 있다. 이때, 센서부(150)는 관(110) 내에서 가이드본체(120a)와의 거리에 따라 가이드(12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60)는 가이드(120)의 위치 조정값이 사용자에 의해 입력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160)는 키보드 또는 조이스틱일 수 있다. 이때, 입력부(160)는 키보드인 경우 가이드(120)의 위치값이 숫자로 입력되고, 조이스틱인 경우, 기준위치를 중심으로 일정간격만큼 이동하도록 방향값이 입력될 수 있다.
저장부(170)는 가이드(120)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는 구동부(130)의 구동모터(132)의 회전수가 저장될 수 있다. 즉, 최초 위치로부터 해당 종이용기의 크기에 대응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기 위한 구동모터(132)의 회전수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120)의 최초 위치는 최대 크기의 종이용기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최소 크기의 종이용기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즉, 가이드(120)의 최초 위치는 가이드(120)가 관(110)의 내면과 가장 근접한 위치 또는 가장 먼 위치일 수 있다.
아울러, 가이드(120)의 최초 위치는 이전 이송대상 종이용기의 크기에 대응하는 위치 또는 이송대상 종이용기의 크기를 변경하기 직전에 대응하는 위치일 수 있다.
표시부(180)는 관(110) 내에서 가이드(120)의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표시부(180)는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관(110) 내의 가이드(120) 위치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80)는 LCD일 수 있다.
또한, 표시부(180)는 저장부(170)에 저장된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른 구동모터(132)의 회전수 또는 가이드(120)의 위치를 입력부(16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을 기초로 제어부(140)의 제어에 따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의 종이용기 이송상태의 일례를 나타낸 단면도, 및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의 종이용기 이송상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큰 종이용기(10a)가 이송되는 경우, 가이드(120)의 가이드본체(120a)는 관(110) 내부면에 근접한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종이용기(10a)의 크기에 대응하는 이송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가이드(120)는 구동모터(132)의 구동에 따라 관(110)의 외측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다. 이때, 종이용기(10a)가 공기압에 의해 가이드(120)를 따라 이송하기 용이하도록 가이드(120)의 가이드본체(120a)와 종이용기(10a)와 사이에 약간의 간격을 갖도록 가이드본체(120a)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종이용기(10a)보다 작은 크기의 종이용기(10b)로 이송대상이 변경되는 경우, 센서부(150)가 현재위치를 감지하여 제어부(140)로 전송하고, 제어부(140)는 센서부(150)에 의해 감지된 가이드(120)의 현재위치로부터 변경된 종이용기(10b)의 크기에 대응하는 위치로 가이드(120)의 가이드본체(120a)를 이동하도록 구동모터(132)를 구동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는 센서부(150)에서 감지된 가이드(120)의 현재위치와 종이용기(10b)의 크기에 대응하는 목표위치 사이의 거리에 따라 구동모터(132)의 구동전류를 산출하여 구동모터(132)로 산출된 구동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부(140)는 센서부(150)에서 감지된 가이드(120)의 최초위치와 종이용기(10b)의 크기에 대응하는 목표위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는 구동모터(132)의 회전수를 저장부(170)로부터 검색하고 검색된 회전수에 대응하는 구동전류를 산출하여 구동모터(132)로 산출된 구동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40)에 의해 가이드(120)가 제어되기 이전에, 가이드(120)는 최초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즉, 도 4와 같이 종이용기(10a)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가이드(120)의 최초 위치로 먼저 이동한 상태에서, 제어부(140)에 의해 종이용기(10b)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이드(120)의 몸체는 관(110)의 중심측으로 직선이동함으로써,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100)은 작은 크기의 종이용기(10b)에 적합하게 되도록 조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구동부가 스크루를 대신하여 랙-피니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의 사시도 및 도 7은 도 6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200)은 관(210), 가이드(220) 및 구동부(230)를 포함한다. 여기서, 관(210) 및 가이드(220)는 랙-피니언 구조에 적합하도록 변형된 것일 수 있다.
관(210)은 도 1의 관(110)에 비하여 돌출부(112)가 생략되고 연통구(218)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연통구(218)는 관(2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할 수 있다.
이때, 관(210)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구동모터(232)가 랙(236)과 직각으로 배치되기 위해 관(21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데, 이때, 구동모터(132)가 관(210)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관(210)의 외주면이 평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관(210)은 원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구동모터(232)는 관(210)의 외주면에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면이 곡면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220)는 도 1의 가이드(120)에 비하여 제2삽입공(126)이 생략될 수 있다. 다면, 가이드(220)의 연결부(222)는 제2수용부(224)의 일면이 외부와 차단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구동부(230)는 구동모터(232), 랙(234), 피니언(236) 및 샤프트(238)를 포함한다.
구동모터(232)는 랙(234)과 직각으로 배치되므로, 관(210)의 외주면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모터(232)는 스텝모터일 수 있다.
랙(234)은 가이드(220)의 연결부(222) 내에 구비될 수 있다. 일례로, 랙(234)은 연결부(222)의 제2수용부(224)에서 외부와 차단된 면 상에 구비된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피니언(236)은 그 중심축이 샤프트(238)를 통하여 구동모터(232)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샤프트(238)는 일측이 구동모터(232)에 결합되고, 타측이 피니언(236)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랙(234)의 나사산과 피니언(236)의 나사산이 서로 맞물리게 배치됨으로써, 랙(234)의 회전운동이 피니언(236)의 직선운동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구동모터(232)의 구동에 따라 랙(234)이 회전되면, 피니언(236)이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하여 피니언(236)이 구비된 가이드(220)가 직선으로 이동함으로써, 종이용기의 이송공간의 크기를 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발명의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100,200)은 이송관과 종이용기의 크기가 적합하지 않음에 따른 종이용기의 회전 또는 끼임 등과 같은 이송 불량을 방지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100,200)은 단일의 이송관만으로 다양한 크기의 다품종 종이용기를 이송하므로 이송관의 교체에 소요되는 비용, 시간, 및 인력을 감소시킬 수 있고 따라서 작업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100,200)은 단일 이송관만을 사용함으로써, 추가적인 이송관 제작 비용을 절감하여 제조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동시에, 이송관을 보관하기 위해 별도의 공간을 구비할 필요가 없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0 :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110,210 : 관
112 : 돌출부 114 : 제1수용부
116 : 제1삽입공 118,218 : 연통구
120,220 : 가이드 120a,220a : 가이드본체
122,222 : 연결부 124,224 : 제2수용부
126 : 제2삽입공 130 : 구동부
132,232 : 구동모터 134 : 수나사
136 : 암나사 234 : 랙
236 : 피니언 238 : 샤프트
140 : 제어부 150 : 센서부
160 : 입력부 170 : 저장부
180 : 표시부

Claims (12)

  1. 공기압에 의해 종이용기가 이송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으로서,
    외부에서 상기 공기압이 인가되며,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는 연통구가 구비되는 관;
    상기 관 내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관 내의 중심을 통과하는 직선상에서 이동하여 상기 관 내에서 상기 종이용기의 이송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는 한 쌍의 가이드; 및
    상기 관의 외부에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가이드에 결합되며, 상기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이송공간의 크기를 조정하도록 상기 가이드를 구동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는,
    상기 관의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관의 길이에 따른 길이 및 상기 종이용기를 가이드하도록 일정한 폭을 갖는 가이드본체; 및
    상기 가이드본체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연통구를 통하여 상기 관의 외부로 인출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압에 의해 상기 종이용기가 상기 가이드본체를 따라 이송되도록 상기 가이드본체와 상기 종이용기 사이에 일정한 간격이 형성되게 상기 가이드본체의 위치가 조정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가이드와 직각으로 배치되는 다른 한 쌍의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두 쌍의 가이드 각각은 상기 이송공간의 크기가 최소로 조정된 경우, 상기 각각의 가이드들이 서로 간섭되지 않는 폭을 갖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및
    상기 구동모터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수나사와 상기 가이드에 구비되는 암나사를 포함하며, 상기 수나사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암나사가 직선이동하여 상기 가이드를 구동하는 스크루;를 포함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피니언; 및
    상기 가이드에 구비되며 상기 피니언의 회전에 따라 직선이동하여 상기 가이드를 구동하는 랙을 포함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초기위치 및 현재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가이드의 초기위치와 상기 종이용기의 크기에 따른 목표위치를 비교하여 상기 가이드의 위치가 상기 목표위치에 도달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의 위치 이동에 대응하는 상기 구동부의 모터의 회전수가 저장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외부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측이 수용되는 제1수용부 및 상기 구동부의 타측이 삽입되는 제1삽입공을 포함하며,
    상기 연통구는 상기 관의 내부와 상기 제1수용부를 연통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원형상으로 이루어진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은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진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측이 삽입되는 제2삽입공 및 상기 구동부의 일측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구동부의 일측이 수용되는 제2수용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KR1020170078737A 2017-06-21 2017-06-21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KR1019610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37A KR101961020B1 (ko) 2017-06-21 2017-06-21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PCT/KR2017/011898 WO2018236000A1 (ko) 2017-06-21 2017-10-26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737A KR101961020B1 (ko) 2017-06-21 2017-06-21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75A KR20180138475A (ko) 2018-12-31
KR101961020B1 true KR101961020B1 (ko) 2019-03-21

Family

ID=64736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737A KR101961020B1 (ko) 2017-06-21 2017-06-21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61020B1 (ko)
WO (1) WO201823600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533B1 (ko) * 2016-02-24 2016-05-30 황해석 파이프형 컨베이어 이송장치 및 파이프형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23146B2 (ja) * 1990-07-05 1995-12-25 株式会社東芝 不揮発性半導体記憶装置の製造方法
KR100408449B1 (en) 2003-06-05 2003-12-03 Ho Seop Lee Paper container forming machine and paper container manufacturing device and method
KR20160075281A (ko) * 2014-12-20 2016-06-29 주식회사 옥천 가변형 종이 성형 장치
KR20170021588A (ko) * 2015-08-18 2017-02-28 주식회사 옥천 종이용기 열접착 제조장치의 가변 성형 몰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5533B1 (ko) * 2016-02-24 2016-05-30 황해석 파이프형 컨베이어 이송장치 및 파이프형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475A (ko) 2018-12-31
WO2018236000A1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1682B1 (ko) 자동나사조임장치
JP2011224712A (ja) 自動ネジ締め装置
JP2017048018A (ja) 物品仕分装置
US9731910B2 (en) Formatting part for guiding containers in a container treatment installation
US7654384B1 (en) Adjustable conveyor for varied size and shape containers
KR101961020B1 (ko) 가변형 종이용기 이송관
KR20160001727A (ko) 나사 체결 장치
US6155561A (en) Sheet variable side shift interface transport system with variably skewed arcuate baffles
KR101625533B1 (ko) 파이프형 컨베이어 이송장치 및 파이프형 컨베이어 이송 시스템
EP1918225B1 (en) Product Transport Apparatus
CN104627727B (zh) 薄片物件自动折叠机构
US5104365A (en) Paper sheet bending apparatus in bag making machine
KR20120110321A (ko) 벨트 컨베이어용 슈트
JP2001019143A (ja) 電子部品の整列供給装置
JP6877874B2 (ja) 巻締め装置
RU2493063C2 (ru) Направляющая полотна
KR20230090820A (ko) 화물 자동 운반 장치
WO2017149901A1 (ja) 帯状体搬送装置
CN217728721U (zh) 配送机器人及运输装置
CN216785706U (zh) 灌装设备
KR200477420Y1 (ko) 골프공 이송 장치
JP6419630B2 (ja) 方向転換機構及びローラコンベヤ装置
KR101800879B1 (ko) 디지털 프린팅 머신용 인쇄지의 이송장치
KR101684177B1 (ko) 사이펀을 이용한 전동식 액체 배출 장치
CN116748153B (zh) 一种音箱的自动化分拣测试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