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936B1 -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 Google Patents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936B1
KR101959936B1 KR1020147008658A KR20147008658A KR101959936B1 KR 101959936 B1 KR101959936 B1 KR 101959936B1 KR 1020147008658 A KR1020147008658 A KR 1020147008658A KR 20147008658 A KR20147008658 A KR 20147008658A KR 101959936 B1 KR101959936 B1 KR 1019599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cylinder
cylinder
axis
suction tube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86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2104A (ko
Inventor
에토르 로나티
티베리오 로나티
파우스토 로나티
Original Assignee
로나티 에스.피.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나티 에스.피.에이. filed Critical 로나티 에스.피.에이.
Publication of KR20140062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2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9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9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1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two needle cylinders for purl work or for Links-Links loop formation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88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 D04B15/92Take-up or draw-off devices for knitting products pneumatic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with provision for transfer of knitted goods from one machine to another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9/00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 D04B9/42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 D04B9/4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 D04B9/56Circular knitting machines with independently-movable needles specially adapted for producing goods of particular configuration stockings, or portions thereof heel or toe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푸팅(3)이 구비되어 있는 지지 구조(2)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구조(2)는, 하부 바늘 실린더(5)가 수직으로 향한 자체 축(4)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 구조(2)는, 상기 제품(12)의 생산시에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 위에 동축으로 위치될 수 있는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를 지지하고 있는, 생산시에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에 관한 것이다. 바늘 실린더(5, 7)는 상기 지지 구조(2)에 대해 자체 축(4, 6) 주위로 회전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생산시에 상기 제품(12)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11)는 상기 바늘 실린더(5, 7) 내에 수용되고, 상기 디바이스(11)는, 상기 바늘 실린더(5, 7) 내에 수용되는 상기 바늘(10)에 의해 편물이 형성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제품(12)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13), 및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에 수용되고 명령에 따라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인장 튜브(14)를 포함한다. 상기 인장 튜브(14)의 하단은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을 따른 미끄럼 이동으로 인해, 상기 유지 수단(13)으로부터 상기 바늘(10)까지 놓이며 형성되고 있는 상기 제품(12)의 영역과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유지 수단(13)은, 상기 유지 수단(13)에 대한 상기 인장 튜브(14)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에 적합한 사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을 따른 상기 인장 튜브(14)의 병진 이동을 위한 수단(15)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유지 수단(13)은,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 내에 동축으로 수용되는 흡입 튜브(16), 및 상기 흡입 튜브(16)의 상단과 대면하고 상부 바늘 실린더(7)에 의해 지지되는 제품(12)을 록킹하기 위한 록킹 부재(17)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 부재(17)는 상기 흡입 튜브(16)의 상단과 맞물리거나 분리되기 위해 명령에 따라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DOUBLE-CYLINDER 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 WITH DEVICE FOR TENSIONING THE MANUFACTURE}
본 발명은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에 관한 것이다.
공지된 바와 같이,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에, 일반적으로 생산시에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가 구비된다.
본 출원인 명의의 EP-727.516은, 생산시에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가 구비되는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를 기술하고 있으며, 상기 편물기는, 편물이 편물기의 바늘에 의해 형성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제품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 및 상부 바늘 실린더 내에 수용되고 명령에 따라 상부 바늘 실린더의 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인장 튜브를 포함한다. 인장 튜브의 하단은, 상부 바늘 실린더의 축을 따라 미끄러짐으로써, 유지 수단으로부터 바늘까지 놓이는 형성되고 있는 제품의 영역과 맞물릴 수 있다. 인장 튜브는 유지 수단의 외부 둘레에서 미끄러져, 동축으로 배치되는 바늘 실린더의 축을 따라 병진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사이즈를 가진다.
이러한 특허에 기술된 유지 수단은 실질적으로, 상부 바늘 실린더 내에 수용되며, 하단부가 하부 바늘 실린더와 대면하는 흡입 튜브, 및 하부 바늘 실린더의 축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부 바늘 실린더 내에 지지되고, 제품의 형성시에 흡입 튜브 내로 흡입된 제품을 막기 위해, 흡입 튜브의 하단에 대해 맞물리거나 분리되기 위해 이동될 수 있는 록킹 부재에 의해 구성된다.
인장 튜브는, 인장 튜브에 의해 제품에 인가되는 힘을 변화시키기 위해 압력이 변할 수 있는 가압 유체가 공급될 수 있는 복동 유체-작동 실린더의 작용으로 인해 바늘 실린더의 공통 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실제로, EP-727.516에 기술되었듯이, 제품의 형성시에, 제품의 시작 부분은 흡입 튜브 내로 흡입되며 록킹 부재에 의해 록킹된다. 그러면, 상부 바늘 실린더 내에 전에 수용된 인장 튜브는, 흡입 튜브로부터 바늘까지 놓이는 제품의 부분과 인장 튜브의 하단이 맞물리고, 하부 바늘 실린더 내에서 하강하여 복동 유체 작동 실린더의 공급 압력에 의존하는 힘으로 제품을 인장하기 위해, 복동 유체 작동 실린더의 작용으로 인해 점진적으로 하강된다. 제품 형성의 종료시에, 인장 튜브는 상부 바늘 실린더 내로 다시 격납되고, 제품은 흡입 튜브 내로 흡입되며 다음에는 동일한 흡입 튜브에 의해 편물기로부터 제거되도록 바늘로부터 버려진다.
최근 몇 년에, 특히 양말의 분야에서, 양말을 생산한 편물기로부터 생산의 종료시에 양말을 픽업하여 봉제 또는 루핑 스테이션으로 이송할 수 있는 자동 시스템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였으며, 봉제 또는 루핑 스테이션은 대체로 상기 편물기에 대해 측 방향에 배치되고, 봉제 또는 루핑 스테이션에 양말의 발가락을 폐쇄하기 위해 작동될 수 있는 봉제 헤드가 구비된다. 이들 자동 시스템은 단일 실린더 양말 편물기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주로 이중 실린더 편물기의 구조가 더 복잡함으로 인한 많은 어려움으로 인해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에는 덜 사용되었다.
본 출원인 명의의 WO2009/112346은, 원형 양말 편물기 등에서 생산 사이클의 종료시에, 편물된 관형 제품을 그 축 방향 단부 중 하나의 단부에서 폐쇄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은 실질적으로, 픽업 디바이스에 의해 편물기의 바늘로부터 생산의 종료시에 제품을 제거하고, 편물기의 바늘 시스템에 대해 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영역으로 제품을 이송하는 것으로 구성되며, 편물기에 핸들링 디바이스 및 봉제 헤드가 구비되고, 핸들링 디바이스는 픽업 디바이스로부터 제품을 수용하고, 폐쇄될 제품의 축 방향 단부의 2개의 플랩을 서로 인접하도록 이동시키며, 봉제 헤드는 이들 플랩을 결합하여 제품의 축 방향 단부를 폐쇄시킨다.
상기 국제 특허 출원에 기술되어 있고 WO 2009/112347의 주제인 픽업 디바이스는 환형 몸체, 지지부, 내부 반경 방향 슬롯, 및 픽업 부재를 포함하며, 환형 몸체는 단일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의 바늘 실린더의 상단 주위에 동축으로 위치될 수 있고, 픽업 부재는 명령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또한, 환형 몸체의 축을 향한 픽업 부재의 단부에 의해 래치 아래에서 편물기의 바늘의 스템과 맞물릴 수 있어, 위로 향한 팁을 가진 후크처럼 생긴 상기 단부에서, 바늘이 래치 아래로 하향으로 눌릴 때, 상기 바늘에 의해 형성되는 제품의 편물의 마지막 루프를 수용한다. 상기 픽업 디바이스의 후속적 상향 이동으로 인해, 바늘의 헤드 상의 래치가 폐쇄되고, 제품이 편물기의 바늘로부터 분리된다.
이중 실린더 원형 편물기에서, 상기 픽업 디바이스는, 바늘에 의해 형성되고, 하부 바늘 실린더로 전에 이송되었거나 유지된 상기 바늘에 의해 유지되는 편물의 마지막 로우의 루프를 픽업하기 위해, 이론상 하부 바늘 실린더의 상단 주위에 위치될 수 있다.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에 대한 이러한 픽업 디바이스의 실제적 응용에 있어서, 생산의 종료시에 제품이 상부 바늘 실린더 내로 흡입되어, 상술한 형태의 픽업 디바이스를 하부 바늘 실린더의 상단 주위에 배치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하기 때문에, 생산시에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의 존재를 포함하여 여러 가지 어려움에 봉착하였다.
본 발명의 목표는, 상기 바늘의 상부 래치 아래에서 하부 바늘 실린더에 배치되는 바늘의 스템과 맞물릴 수 있는 픽업 부재가 구비되는 픽업 디바이스에 의해 생산의 종료시에 편물기로부터 제품의 자동 픽업을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하게 하는, 생산시에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표 내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 픽업을 위한 작동을 준비함에 있어서 바늘에 대해 제품을 위치시키는 데에 협동할 수 있는,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생산시에 제품을 인장시키는 힘을 어떤 경우에도 조절할 수 있게 하는 제품 인장 디바이스를 가진 편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시에 안전 및 신뢰성을 가장 확실하게 하는 제품 인장 디바이스를 가진 편물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에서 더욱 명백하게 될 이러한 목표 및 이들 및 다른 목적은, 생산시에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에 있어서, 지지 구조, 및 생산시에 상기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구조에 땅에 놓이기 위한 푸팅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 구조는, 하부 바늘 실린더가 수직으로 향한 자체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 구조는, 상기 제품의 생산시에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 위에 동축으로 위치될 수 있는 상부 바늘 실린더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와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는 상기 지지 구조에 대해 자체 축 주위로 회전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바늘 실린더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디바이스는, 상기 바늘 실린더 내에 수용되는 상기 바늘에 의해 편물이 형성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제품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 및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에 수용되고 명령에 따라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의 상기 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인장 튜브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 튜브의 하단은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의 상기 축을 따른 미끄럼 이동으로 인해, 상기 유지 수단으로부터 상기 바늘까지 놓이며 형성되고 있는 상기 제품의 영역과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유지 수단에 대한 상기 인장 튜브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에 적합한 사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의 상기 축을 따른 상기 인장 튜브의 병진 이동을 위한 수단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 내에 동축으로 수용되는 흡입 튜브, 및 상기 흡입 튜브의 상단과 대면하고 상부 바늘 실린더에 의해 지지되는 제품을 록킹하기 위한 록킹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부재는 상기 흡입 튜브의 상단과 맞물리거나 분리되기 위해 명령에 따라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의 축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추가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비제한적 예로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편물기의 바람직하지만 배타적이 아닌 실시예의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제품 형성의 시작시의 본 발명에 따른 편물기의 축 방향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상세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다른 상세 확대도이다.
도 4는 제품의 생산시의 도 1에서와 같은 편물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상세 확대도이다.
도 6은 제품의 생산의 종료시의 도 1에서와 같은 편물기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상세 확대도이다.
도 8은, 상부 바늘 실린더가 하부 바늘 실린더로부터 이격된 후에, 편물기의 바늘로부터 픽업하기 위한 위치에 제품이 있는, 상세한 정도가 도 7과 동일한 상세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대체로 도면 부호 1로 표시되는 본 발명에 따른 편물기는, 땅에 놓이기 위한 푸팅(3)을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포함하는 지지 구조(2)를 포함하며, 지지 구조는, 하부 바늘 실린더(5)가 수직으로 향한 자체 축(4)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부 바늘 실린더를 지지한다. 지지 구조(2)는 또한, 하부 바늘 실린더(5) 위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에 대해 동축으로 위치될 수 있는 상부 바늘 실린더(7)가 대응 축(6)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 바늘 실린더를 지지한다.
하부 바늘 실린더(5)와 상부 바늘 실린더(7)는 그들의 측면에 복수의 슬롯(8, 9)을 가진다. 상부 바늘 실린더(7)가 하부 바늘 실린더(5)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될 때,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 방향 슬롯(9)은 하부 바늘 실린더(5)의 축 방향 슬롯(8)과 정렬된다. 하부 바늘 실린더(5)에 형성되는 축 방향 슬롯(8) 및 상부 바늘 실린더(7)에 형성되며 축 방향 슬롯(8)과 정렬되는 각각의 쌍의 축 방향 슬롯(8, 9)은, 각각 상부 헤드(10a) 및 하부 헤드(10b)인 2개의 헤드(10a, 10b)가 단부에 구비되는 바늘(10)을 수용한다. 바늘(10)의 헤드(10a, 10b)는, 편물을 생산하기 위해 편물기의 피드 또는 드롭에서 공급되는 얀을 취하기 위해 후크 형상을 가진다.
편물 요구사항에 따라, 바늘(10)은 하부 바늘 실린더(5) 내에서 병진이동될 수 있고 바늘의 상부 헤드(10a)에 의해 편물을 형성할 수 있거나, 상부 바늘 실린더(7) 내에서 병진이동될 수 있고 바늘의 하부 헤드(10b)에 의해 편물을 형성할 수 있다. 편물기의 바늘(10)은, 편물기의 피드 또는 드롭에서 공급되는 얀을 취하여 편물을 형성하기 위해, 하부 바늘 실린더(5) 또는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 방향 슬롯(8, 9)을 따라 교대 이동을 하도록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제품의 형성시에 편물 제품(12)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11)는 바늘 실린더(5, 7) 내에 수용된다.
제품(12)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11)는, 편물 형성 영역, 즉 하부 바늘 실린더(5)가 동축인 상부 바늘 실린더(7)와 대면하는 영역에 인접하여 제품(12)을 유지하는 유지 수단(13), 및 상부 바늘 실린더(7)에 수용되고 명령에 따라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인장 튜브(14)를 포함한다.
인장 튜브(14)의 하단은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을 따른 미끄럼 이동으로 인해, 유지 수단(13)으로부터 바늘(10)까지 놓이는 형성되고 있는 제품(12)의 영역과 맞물릴 수 있다. 유지 수단(13)은, 상기 유지 수단(13)에 대한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을 따른 인장 튜브(14)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에 적합한 사이즈를 가진다. 인장 튜브(14)는 대응 병진 이동 수단(15)에 의해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을 따라 이동된다.
본 발명에 따라, 유지 수단(13)은, 하부 바늘 실린더(5) 내에 동축으로 수용되는 흡입 튜브(16), 및 흡입 튜브(16)의 상단과 대면하고 상부 바늘 실린더(7)에 의해 지지되는 제품(12)을 록킹하기 위한 록킹 부재(17)를 포함한다. 록킹 부재(17)는 흡입 튜브(16)의 상단과 맞물리거나 분리되기 위해 명령에 따라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흡입 튜브(16)는 축(4)과 일치하는 흡입 튜브의 축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부 바늘 실린더(5)에 의해 지지되며, 하부 바늘 실린더(5)에 대해 흡입 튜브의 축(4)을 따른 흡입 튜브(16)의 병진 이동을 위한 수단(18)이 구비된다.
더 구체적으로, 흡입 튜브(16)는 자체 축(4) 주위의 회전에 관해서 하부 바늘 실린더(5)와 일체이며, 자체 축(4)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하부 바늘 실린더(5)에 의해 지지된다. 흡입 튜브(16)는 그 하단이 하부 바늘 실린더(5)의 하단으로부터 나온다. 하부 바늘 실린더(5)로부터 하향으로 나오는 흡입 튜브(16)의 하단의 부분은 한 쌍의 베어링(19)의 삽입으로 인해 슬리브(20) 내에 연결된다.
하부 바늘 실린더(5)에 대한 흡입 튜브(16)의 자체 축(4)을 따른 병진 이동을 위한 수단(18)은 바람직하게 전기 모터(21) 예를 들면 스텝 모터에 의해 구성되며, 전기 모터는 자체 몸체에 의해 지지 구조(2)의 푸팅(3)에 연결되고, 자체 축에 의해 나사진 샤프트(22)에 연결되며, 나사진 샤프트는 하부 바늘 실린더(5)의 축(4)에 대해 평행하도록 향하고, 슬리브(20)의 측 방향 연장부에 형성되는 암형 나사(23)와 맞물린다.
전기 모터(21)의 작동에 의해, 나사진 샤프트(22)와 슬리브(20) 사이의 스크루 너트 결합의 결과로서,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에 대해 하부 바늘 실린더(5)의 축(4)을 따른 슬리브(20)의, 따라서 흡입 튜브(16)의 상향 또는 하향 병진이동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특히, 전기 모터(21)의 작동에 의해, 흡입 튜브(16)를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또한 그 역으로, 또한 임의의 중간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하며, 하강 위치에서, 흡입 튜브는 그 상단이 하부 바늘 실린더(5)의 상단 아래에 있도록 배치되고, 상승 위치에서, 흡입 튜브는 그 상단이 하부 바늘 실린더(5)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된다.
인장 튜브(14)는, 상부 바늘 실린더(7) 내에 동축으로 고정되는 안내 실린더(24) 내에서 동축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동축으로 수용된다.
더 구체적으로, 안내 실린더(24)는 2개의 부품으로 구성되며, 즉, 상부 바늘 실린더(7)의 내면에 고정되는 하부 부분(25), 및 하부 부분(25)의 상단에 일체로 고정되며 상부 바늘 실린더(7)로부터 상향으로 나오는 상부 부분(26)으로 구성된다. 하부 부분(25)과 상부 부분(26)은 모두 단부면에서 개방되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중공 형상을 가진다.
안내 실린더(24)의 상부 부분(26)은 그 측면을 통과하는 복수의 축 방향 슬롯(27)을 가진다. 인장 튜브(14)의 상단은 복수의 이(28a)를 가지는 실린더(28)에 동축으로 고정되며, 이(28a)는 축 방향 미끄럼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축 방향 슬롯(27)을 통과하여, 안내 실린더(24)의 상부 부분(26)에 대해 측 방향으로 배치되는 블럭(29)에 실린더(28)를 연결한다. 베어링(30)은, 실린더(28), 인장 튜브(14), 및 안내 실린더(24)가 상부 바늘 실린더(7)와 일체로 그 축(6) 주위로 회전되지만, 블럭(29)은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을 따른 병진 이동에서 있어서 실린더(28) 따라서 인장 튜브(14)와 일체임에도 불구하고 상부 바늘 실린더(7)의 회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다.
블럭(29)은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대응 안내부(31) 내에 지지되며, 안내부(31)는 지지 구조(2)에 연결되고, 안내 실린더(24)의 상부 부분(26)에 대해 측면에서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된다.
인장 튜브(14)의 병진 이동 수단(15)은 제1 복동 유체 작동 실린더(32)를 포함하며, 제1 복동 유체 작동 실린더는 그 몸체에 의해 지지 구조(2)에 연결되고, 그 피스톤의 스템(33)이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에 대해 평행하게 향하도록 배치된다. 제1 복동 유체 작동 실린더(32)의 스템(33)은 블럭(29)에 연결되고, 제1 복동 유체 작동 실린더(32)에,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을 따라 인장 튜브(14)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안내부(31)를 따라 블럭(29)을 이동시키기 위해 가압 유체가 공급될 수 있다.
제1 복동 유체 작동 실린더(32)의 공급 압력은, 인장 튜브(14)에 의해 제품(12)에 인가되는 인장의 정도를 변화시키기 위해, EP-727.516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을 따른 인장 튜브(14)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34)이 구비된다.
검출 수단(34)은 2개의 풀리(36, 37)를 서로 연결하는 톱니 벨트(35)를 포함하며, 풀리(36, 37)는 대응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편물기의 지지 구조(2)에 의해 지지된다. 풀리(36, 37)의 축은 상호 평행하고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에 대해 직각으로 배치되어, 이들 풀리(36, 37)를 서로 연결하는 톱니 벨트(35)의 2개의 부분은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에 대해 평행하며, 즉 수직이다. 이들 2개의 부분 중 하나는 블럭(29)에 연결되고, 풀리(36)는 엔코더(38)에 연결되며, 엔코더에 의해, 제1 복동 유체 작동 실린더(32)에 의해 작동되는 블럭(29)의 이동에 의해 발생되는 풀리(36)의 회전이 검출되어,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을 따른 인장 튜브(14)의 이동이 고정밀도로 검출된다.
록킹 부재(17)는 플러그 형상이며, 그 하부 부분은 흡입 튜브(16)의 상단의 내경보다 작은 직경을 가져, 상기 하부 부분은 흡입 튜브(16)의 상단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록킹 부재(17)의 중간 부분은 흡입 튜브(16)의 상단의 내경보다 큰 직경을 가져, 록킹 부재(17)는 이러한 중간 부분이 흡입 튜브(16)의 상단 즉 입구에 대향하는 상태로 안착될 수 있다. 록킹 부재(17)의 큰 외경은,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을 따른 인장 튜브(14)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인장 튜브(14)의 내경보다 작다.
록킹 부재(17)는 내부가 중공인 샤프트의 하단에 고정되며, 중공 샤프트는 상부 바늘 실린더(7)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단으로부터 나온다.
샤프트(39)는 실린더(28)를 통과하며, 샤프트의 상단은 안내 실린더(24)로부터 상향으로 돌출하고, 제2 유체 작동 실린더(40)의 피스톤의 스템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2 유체 작동 실린더(40)는 그 몸체에 의해 인클로져(enclosure)(41)에 연결되고, 인클로져는 편물기의 지지 구조(2)에 고정되며 또한 제1 복동 유체 작동 실린더(32)를 지지한다. 베어링(42)은 제2 유체 작동 실린더(40)의 피스톤의 스템과 샤프트(29)의 상단 사이에 삽입되어, 샤프트(39)는 제2 유체 작동 실린더(40)의 스템을 회전시키지 않으면서 상부 바늘 실린더(7)와 일체로 축(6) 주위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39)는 그 상단에서, 축(6) 주위로의 회전에 있어서, 샤프트(43)에 의해 안내 실린더(24)와 일체로 되며, 샤프트(43)는 샤프트(39)의 상단에 고정되고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에 대해 평행하게 향한다. 이러한 샤프트(43)는, 안내 실린더(24)의 상단을 폐쇄시키기 위해 고정되는 덮개(44)를 통과하는 구멍을 미끄럼 방식으로 통과한다. 베어링(45)은 덮개(44)와 인클로져(41) 사이에 삽입되고, 인클로져(41)는 축(6) 주위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에 의해 인클로져의 상단에서 안내 실린더(24)를 지지한다. 제2 유체 작동 실린더(40)는 하향 작동의 단동식 형태이고, 샤프트(39)를 따라 샤프트의 상단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어깨부와 덮개(44) 사이에 삽입되는 복귀 스프링(46)이 구비된다.
편물기의 지지 구조(2)는, 푸팅(3)에 더하여, 푸팅(3)으로부터 상승하고, 하부 바늘 실린더(5)의 축(4)에 대해 평행하며 이격되는 축(48)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암(49)을 지지하는 컬럼(47)을 포함하고, 암(49)은, 한 쌍의 베어링(50)에 의해, 상부 바늘 실린더가 자체 축(6)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부 바늘 실린더(7)를 지지한다. 인클로져(41)는 암(49)에 고정된다.
컬럼 내에, 메인 샤프트(51)가 구비되며, 메인 샤프트의 축은 축(48)을 형성하고, 메인 샤프트는, 도시된 톱니 벨트(52, 53) 또는 기어에 의한 연결에 의해, 하부 바늘 실린더(5) 및 상부 바늘 실린더(7)를 대응 축(4, 6) 주위로 회전 가능하게 상호 연결한다.
바람직하게, 메인 샤프트(51)는 전기 모터(54)의 샤프트에 의해 구성되며, 전기 모터는 컬럼(47) 내에 수용되고, 하부 바늘 실린더(5) 및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작동 모터를 구성한다. 암(49)은 컬럼(47)에 의해 지지되어, 베어링(55)에 의해 메인 샤프트(51)의 축(48) 주위로 회전할 수 있고 메인 샤프트(51)의 축(48) 주위로 컬럼(47)에 대해 회전할 수 있어, 상부 바늘 실린더(7)를 작동 위치로부터 비작동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으며, 작동 위치에서 상부 바늘 실린더는 하부 바늘 실린더(5) 위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비작동 위치에서 상부 바늘 실린더는 하부 바늘 실린더(5)에 대해 측 방향에 배치된다.
상부 바늘 실린더(7)가 비작동 위치에 있으면, 본 출원인 명의의 WO2009/112346 및 WO2009/112347 및 계류중인 특허출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생산의 종료시에 편물기로부터 제품(12)의 자동 픽업을 수행하기 위해, 예를 들면 WO2009/112346 및 WO2009/112347에 기술된 형태의 픽업 부재를 하부 바늘 실린더(5)의 상단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생산시에 제품을 인장하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편물기의 작동은 다음과 같다.
제품(12)의 생산의 시작시에, 흡입 튜브(16)는 그 상단이 하부 바늘 실린더(5)의 상단 바로 아래에 배치된다. 록킹 부재(17)는 흡입 튜브(16)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되고 흡입 튜브에 대해 상승된다.
흡입 튜브(16)는 그 하단에 의해, 부분 진공이 흡입 튜브 내에 생성되어 흡입 튜브의 상단을 통해 공기 흡입을 일으키도록, 공지된 형태이며 간결성을 위해 도시되지 않은 흡입 디바이스에 연결된다.
편물기가 제품(12)의 제1 부분을 형성하기 시작한 후에, 제품(12)의 상기 제1 부분은 공기의 흡입으로 인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튜브(16)의 상단으로 흡입된다.
이러한 시점에, 제2 유체 작동 실린더(40)의 작동에 의해, 록킹 부재(17)는 흡입 튜브(16)의 상단과 맞물리도록 하강되어, 흡입 튜브(16) 내로 삽입된 제품(12)의 초기 부분을 록킹한다.
제품(12)의 생산시에, 제1 유체 작동 실린더(32)의 작동으로 인해, 인장 튜브(14)는 하부 바늘 실린더(5) 내로 점진적으로 하강되고, 그 하단에 의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 튜브(16)의 상단으로부터 편물기의 바늘(10)까지 놓이는 제품(12)의 부분과 맞물린다.
제품(12)이 형성시에 인장되게 하는 힘은 EP-727.516에 기술된 것과 유사한 방식으로 제1 유체 작동 실린더(32)의 공급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변경될 수 있다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엔코더(38)에 의해, 인장 튜브(14)의 점진적 하강을 제어할 수 있어, 또한 형성시에 제품(12)의 길이를 제어할 수도 있다.
제품(12)의 생산의 종료시에, 록킹 부재(17)는, 제2 유체 작동 실린더(40)의 작동 정지로 인해, 또한 스프링(46)의 탄성 반작용의 결과로서, 흡입 튜브(16)의 상단으로부터 분리되고 상향 이격되며, 제1 유체 작동 실린더(32)의 반대 방향으로의 작동에 의해, 인장 튜브(14)는 점진적으로 상승된다.
이러한 단계에서, 흡입 튜브(16) 내에 인가되는 흡입의 결과로서, 제품(12)은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 튜브(16) 내로 점진적으로 흡입된다.
요구사항에 따라, 제품(12)은, 단순히 제품(12)의 생산을 종료하고 제품을 자체적으로 공지된 방식으로 편물기의 바늘(1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흡입 튜브(16)를 통해 편물기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거나, 자동화된 방식으로 편물기로부터 픽업되기 위해 편물기의 바늘(10)에 유지될 수 있고, 예를 들면 축 방향 단부 예를 들면 제품이 양말이면 팁의 자동 폐쇄를 위한 작동과 같은 다른 작업 하에 놓일 수 있다.
둘째 경우에, WO2009/112346 및 WO2009/112347에 기술된 형태의 픽업 디바이스가 사용되면, 흡입 튜브(16)는, 편물의 마지막 형성된 루프가 상부 헤드(10a) 내에 맞물린 상태에서 바늘(10)이 상부 바늘 실린더(5) 내로 하강되고 상부 바늘 실린더(7)가 하부 바늘 실린더(5)에 대해 측 방향으로 비작동 위치로 이동된 후에, 제품(12)의 픽업을 위한 준비의 작동을 보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흡입 튜브(16)는, 모터(21)의 작동으로 인해, 그 상단이 하부 바늘 실린더(5)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기 위해 상승될 수 있어, 바늘(10)과 아직 맞물려 있는 편물의 마지막 형성된 로우를 상승시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지막 형성된 로우를 하부 바늘 실린더(5)의 상단 위로 상승시킬 때 편물의 마지막 로우를 바늘(10)의 상부 헤드(10a)로 밀고 및/또는 유지하여, 편물의 마지막 로우의 루프가 바늘(10)의 상부 래치(10c) 아래로 하강하는 것을 막으며, 상부 래치(10c) 아래에서는 픽업 디바이스의 픽업 부재는 편물의 상기 루프를 수용하기 위해 바늘(10)의 스템과 맞물려야 한다.
제품(12)이 바늘(10)로부터 픽업된 후에, 흡입 튜브(16)는 그 상단이 하부 바늘 실린더(5) 내에 다시 위치될 수 있어, 새로운 제품(12)의 형성에 사용될 수 있고, 상부 바늘 실린더를 작동 위치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실제로, 본 발명에 따른 제품 인장 디바이스를 가진 편물기는, 제품을 자동화된 픽업 작동을 받게 하기에 적합한 위치에서 제품이 아직 편물기의 바늘에 결합되는 동안에 제품을 하부 바늘 실린더 내에 배치할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의도한 목표를 완전히 달성한다는 것이 알려졌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편물기의 인장 디바이스는, 바늘에 의해 형성된 편물의 마지막 로우의 루프를 상기 바늘의 상부 헤드 내에 유지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게 하여, 마지막 로우의 루프가, 상부 래치 아래에서 바늘의 스템과 맞물릴 수 있는 픽업 부재에 의해 자동화된 방식으로 픽업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고안된 제품 인장 디바이스를 가진 편물기는 여러 가지로 수정 및 변경될 수 있으며, 모든 수정 및 변경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 있고, 모든 상세사항은 다른 기술적으로 균등한 부재로 대치될 수 있다.
실제로, 사용된 재료 및 크기는 요구사항 및 기술 상태에 따라 어떤 것도 될 수 있다.
본 출원이 우선권을 주장하는 이탈리아 특허 출원 번호 MI2011A001686의 내용은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청구범위에서 언급된 기술적 면모에 도면 부호가 뒤따를 경우에, 그러한 도면 부호는 청구범위의 명확성을 증가시키는 유일한 목적을 위해 포함되었고, 따라서, 그러한 도면 부호는 그러한 도면 부호에 의해 예로서 표시된 각각의 부재의 해석에 어떠한 제한하는 효과도 가지지 않는다.

Claims (8)

  1. 생산시에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1)에 있어서,
    지지 구조(2), 및
    생산시에 상기 제품(12)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11)
    를 포함하며,
    상기 지지 구조(2)를 땅에 놓기 위한 푸팅(3)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지지 구조(2)는, 하부 바늘 실린더(5)가 수직으로 향한 자체 축(4)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를 지지하고 있으며,
    상기 지지 구조(2)는, 상기 제품(12)의 생산시에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 위에 동축으로 위치될 수 있는 상부 바늘 실린더(7)를 지지하고 있고,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와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는 상기 지지 구조(2)에 대해 자체 축(4, 6) 주위로 회전 이동하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제품(12)을 인장시키기 위한 상기 디바이스(11)는 상기 바늘 실린더(5, 7) 내에 수용되어 있고,
    상기 디바이스(11)는, 상기 바늘 실린더(5, 7) 내에 수용되는 바늘(10)에 의해 편물이 형성되는 영역에 인접하여 상기 제품(12)을 유지하기 위한 유지 수단(13), 및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에 수용되고 명령에 따라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인장 튜브(14)를 포함하며,
    상기 인장 튜브(14)의 하단은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을 따른 미끄럼 이동으로 인해, 상기 유지 수단(13)으로부터 상기 바늘(10)까지 놓이며 형성되고 있는 상기 제품(12)의 영역과 맞물릴 수 있고,
    상기 유지 수단(13)은, 상기 유지 수단(13)에 대한 상기 인장 튜브(14)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에 적합한 사이즈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을 따른 상기 인장 튜브(14)의 병진 이동을 위한 수단(15)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유지 수단(13)은,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 내에 동축으로 수용되는 흡입 튜브(16), 및 상기 흡입 튜브(16)의 상단과 대면하고 상부 바늘 실린더(7)에 의해 지지되는 제품(12)을 록킹하기 위한 록킹 부재(17)를 포함하며,
    상기 록킹 부재(17)는 상기 흡입 튜브(16)의 상단과 맞물리거나 분리되기 위해 명령에 따라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축(6)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튜브(16)는 자체 상기 축(4)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에 대해 자체 상기 축(4)을 따른 상기 흡입 튜브(16)의 병진 이동을 위한 수단(18)이 구비되어 있는,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튜브(16)는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에 대해 자체 상기 축(4)을 따라 하강 위치로부터 상승 위치로 또한 그 역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상기 하강 위치에서, 상기 흡입 튜브는 그 상단이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의 상단 아래에 놓이도록 배치되고,
    상기 상승 위치에서, 상기 흡입 튜브는 그 상단이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의 상단으로부터 돌출되는,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 튜브(16)는 그 하단이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흡입 튜브(16)는 상기 하부 바늘 실린더(5)의 하단으로부터 돌출되는 부분에서 슬리브(20)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흡입 튜브(16)는, 상기 슬리브(20)에 대해 자체 상기 축(4) 주위로 회전할 수 있고,
    상기 흡입 튜브(16)의 병진 이동을 위한 상기 수단(18)은 전기 모터(21)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 모터(21)는 명령에 따라 작동될 수 있고, 상기 전기 모터(21)의 나사진 샤프트(22) 및 암형 나사(23)에 의해 상기 슬리브(2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나사진 샤프트(22) 및 암형 나사(23)는 상기 흡입 튜브(16)의 상기 축(4)에 대해 평행하도록 향하고,
    상기 나사진 샤프트(22)는 상기 암형 나사(23)와 맞물리는,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5.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 튜브(14)는,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 내에 동축으로 고정된 안내 실린더(24) 내에서 동축으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수용되어 있고,
    상기 인장 튜브(14)는 자체 상기 축(6)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에 대해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블럭(29)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인장 튜브(14)의 병진 이동을 위한 상기 수단(15)은 제1 유체 작동 실린더(32)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유체 작동 실린더는 그 몸체에 의해 상기 지지 구조(2)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에 대해 평행하게 향한 상기 제1 유체 작동 실린더의 피스톤의 스템에 의해 상기 블럭(29)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유체 작동 실린더(32)에,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을 따라 상기 인장 튜브(14)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기 위해,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에 대해 평행한 상기 블럭(29)의 이동을 작동시키기 위해 가압 유체가 공급될 수 있는,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을 따른 상기 인장 튜브(14)의 이동을 검출하기 위한 검출 수단(34)을 더 포함하는,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34)은, 2개의 풀리(36, 37)를 상호 연결하고 있는 톱니 벨트(35)를 포함하며,
    2개의 상기 풀리는, 서로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에 대해 직각인 상기 풀리의 대응 축 주위로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구조(2)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톱니 벨트(35)는, 상기 2개의 풀리(36, 37) 사이에 놓인 부분이 상기 블럭(29)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2개의 풀리(36, 37) 중 1개의 풀리(36)는 그 회전을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38)에 연결되어 있는,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8.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 부재(17)는 샤프트(39)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는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내부에 동축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자체 상기 축(6)을 따라 미끄러질 수 있도록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상기 샤프트(39)는 그 상단에 의해 제2 유체 작동 실린더(40)의 피스톤의 스템에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2 유체 작동 실린더(40)는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 위에서 상기 편물기의 상기 지지 구조(2)와 결합되어 있고,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에 대해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의 상기 축(6)을 따른 상기 샤프트(39)의 병진 이동을 작동시키도록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샤프트(39)는 상기 제2 유체 작동 실린더(40)의 상기 스템에 대해 상기 상부 바늘 실린더(7)와 함께 상기 샤프트의 자체 상기 축(6) 주위로 회전할 수 있는,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KR1020147008658A 2011-09-19 2012-07-23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KR1019599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1686A ITMI20111686A1 (it) 2011-09-19 2011-09-19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o per calzetteria a doppio cilindro con dispositivo di tiraggio del manufatto a maglia.
ITMI2011A001686 2011-09-19
PCT/EP2012/064423 WO2013041269A1 (en) 2011-09-19 2012-07-23 Double-cylinder 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 with device for tensioning the manufa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2104A KR20140062104A (ko) 2014-05-22
KR101959936B1 true KR101959936B1 (ko) 2019-03-19

Family

ID=44936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8658A KR101959936B1 (ko) 2011-09-19 2012-07-23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9365961B2 (ko)
EP (1) EP2758575B1 (ko)
JP (1) JP6047163B2 (ko)
KR (1) KR101959936B1 (ko)
CN (1) CN103827372B (ko)
BR (1) BR112014005366B1 (ko)
CO (1) CO6910166A2 (ko)
EA (1) EA026230B1 (ko)
ES (1) ES2620408T3 (ko)
HR (1) HRP20170598T1 (ko)
IT (1) ITMI20111686A1 (ko)
MX (1) MX341653B (ko)
PL (1) PL2758575T3 (ko)
UA (1) UA111499C2 (ko)
WO (1) WO2013041269A1 (ko)
ZA (1) ZA201401975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MI20130050A1 (it) * 2013-01-16 2014-07-17 Lonati Spa Procedimento per attuare la chiusura automatizzata di un'estremita' assiale di un manufatto tubolare e il suo scarico in assetto a rovescio ed apparecchiatura per la sua esecuzione.
CN105887316B (zh) * 2015-12-07 2018-11-16 浙江海润精工机械有限公司 从袜机的针筒转移袜子的转移方法
CN110512344A (zh) * 2019-04-10 2019-11-29 浙江叶晓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双针筒织机固定装置
CN110512347B (zh) * 2019-04-10 2020-12-22 浙江叶晓机械科技有限公司 一种双针筒织机编织方法
USD961627S1 (en) * 2019-06-17 2022-08-23 Santoni S.P.A. Textile machine
IT201900009615A1 (it) * 2019-06-20 2020-12-20 Santoni & C Spa Dispositivo rovesciatore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e metodo per il rovesciament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CN113005619A (zh) * 2019-12-19 2021-06-22 大康织机股份有限公司 织袜设备与其操作方法
US20230002940A1 (en) * 2020-03-24 2023-01-05 Lonati S.P.A Circular hosiery knitting machine for manufacturing tubular item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7280A (en) 1972-04-24 1974-03-19 F Lonati Stretcher device for articles under manufacture on double 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s
EP1375719A1 (en) * 2002-06-24 2004-01-02 LONATI S.p.A. Circular double-cylinder hosiery knitting machine with device for removing and transferring the article at the end of the knitting process, particularly for automating the closure of the toe of hosiery items
JP2011514941A (ja) * 2008-03-10 2011-05-12 ロナティ エッセ.ピ.ア. 靴下類等のための円形編機から筒状ニット製品を取り出し、取り出された製品を、該製品に更なる作業を行うべく適合されたユニットに移すためのピックアッ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8123A (en) * 1969-07-14 1973-06-12 Solis Sil Pneumatic knit fabric tensioning devices for use with circular knitting machines
GB1552501A (en) * 1976-09-18 1979-09-12 Bentley Eng Co Ltd Tensioning knitted fabric on a circular knitting machine
DE2829180A1 (de) * 1977-07-14 1979-01-25 Lonati Cost Mecc Warenabzugsvorrichtung an einer doppelzylinder-rundstrickmaschine
JPH0291255A (ja) * 1988-09-26 1990-03-30 Nagata Seiki Kk 編地引張り装置
IT1250423B (it) * 1991-05-31 1995-04-07 Lonati Srl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o calzetteria a doppio cilindro con dispositivo di tiraggio del tessuto a maglia
IT1252475B (it) * 1991-07-31 1995-06-16 Francesco Turini Apparecchio pneumatico ad aspirazione per il tensionamento,il rovesciamento e l'allontanamento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IT1273934B (it) * 1995-02-17 1997-07-11 Lonati Sp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o calzetteria a doppio cilindro con dispositivo di tiraggio del tessuto a maglia
ITFI980039A1 (it) * 1998-02-20 1999-08-20 Fabritex Srl Metodo ed apparecchiatura per unire i lembi di manufatti tessuti a maglia.
ITFI20010164A1 (it) * 2001-08-28 2003-02-28 Metalworking And Finance Group Dispositivo per il trasferimento di un manufatto tubolare in tessuto a maglia dalla macchina che lo produce a mezzi di chiusura della punta
ITMI20080399A1 (it) * 2008-03-10 2009-09-11 Lonati Spa Dispositivo rovesciatore di manufatti tubolari a maglia, particolarmente per stazioni di cucitura o di rimagliatura per la chiusura automatizzata dei manufatti tubolari in corrispondenza di una loro estremita' assiale.
ITMI20080397A1 (it) 2008-03-10 2009-09-11 Lonati Spa Procedimento ed apparecchiatura per eseguire la chiusura di un manufatto tubolare a maglia in corrispondenza di una sua estremita' assiale, al termine del suo ciclo di produzione su una macchina circolare per maglieria, calzetteria o simil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97280A (en) 1972-04-24 1974-03-19 F Lonati Stretcher device for articles under manufacture on double cylinder circular knitting machines
EP1375719A1 (en) * 2002-06-24 2004-01-02 LONATI S.p.A. Circular double-cylinder hosiery knitting machine with device for removing and transferring the article at the end of the knitting process, particularly for automating the closure of the toe of hosiery items
JP2011514941A (ja) * 2008-03-10 2011-05-12 ロナティ エッセ.ピ.ア. 靴下類等のための円形編機から筒状ニット製品を取り出し、取り出された製品を、該製品に更なる作業を行うべく適合されたユニットに移すためのピックアッ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758575A1 (en) 2014-07-30
CN103827372B (zh) 2016-11-02
US20140338401A1 (en) 2014-11-20
ITMI20111686A1 (it) 2013-03-20
MX2014003299A (es) 2014-05-28
HRP20170598T1 (hr) 2017-06-30
MX341653B (es) 2016-08-26
ZA201401975B (en) 2014-11-26
US9365961B2 (en) 2016-06-14
BR112014005366A2 (pt) 2017-03-28
KR20140062104A (ko) 2014-05-22
EP2758575B1 (en) 2017-02-08
ES2620408T3 (es) 2017-06-28
CN103827372A (zh) 2014-05-28
JP6047163B2 (ja) 2016-12-21
WO2013041269A1 (en) 2013-03-28
CO6910166A2 (es) 2014-03-31
BR112014005366B1 (pt) 2020-12-29
PL2758575T3 (pl) 2017-08-31
EA026230B1 (ru) 2017-03-31
UA111499C2 (uk) 2016-05-10
EA201490657A1 (ru) 2014-06-30
JP2014530305A (ja) 2014-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936B1 (ko) 제품을 인장시키기 위한 디바이스를 가진 이중 실린더 원형 양말 편물기
KR101581875B1 (ko) 양말 등을 위한 원형 편물기로부터 관형 편물을 픽업하고, 편물에 추가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유닛으로 편물을 이송하기 위한 픽업 디바이스
US7975513B2 (en) Turning device for tubular knitted articles, particularly for sewing or looping stations for the automated closing of tubular articles at an axial end thereof
KR101570182B1 (ko) 양말 등을 위한 원형 편물기 상에서 생산 사이클의 종료 시점에, 관형 편물의 축방향 단부들 중 하나의 단부에서 관형 편물을 폐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6017564B2 (ja) 少なくとも1つのフィード又はドロップを有するダブルシリンダ円形編機での靴下類製品などの筒状製品の形成を終了する際に、自動ピックアップのために筒状製品を準備する方法、及びこのような方法を行うためのダブルシリンダ円形編機
EP2946034B1 (en) Method for closing automatically an axial end of a tubular manufacture and for unloading it in an inside-out configuration,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EP3374554B1 (en) Method for preparing a tubular article, such as a sock or the like, for automated pickup at the end of its forming on a double cylinder circular machine with at least one feed or drop, and double cylinder circular machine for the execution thereof
KR20190028666A (ko) 양말 등을 위한 원형 편직 기계로부터 편직 관형 제조물을 픽업하고 또한 제조물에 대한 추가적인 작업물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는 유닛에 제조물을 전달하기 위한 픽업 장치
US6698250B2 (en) Circular knitting machine with knitted item removal/transferring device
KR101963397B1 (ko) 관형 편물 제품을 생산하기 위한, 특히 양말류를 만들기 위한 이중 실린더 원형 편물기
WO2008028576A1 (en) Device for reversing tubular articles,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WO2008028575A1 (en) Device for reversing tubular articles, particularly for circular knitting machines provided with a station for closing an axial end of the tubular art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