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923B1 -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923B1
KR101959923B1 KR1020120083249A KR20120083249A KR101959923B1 KR 101959923 B1 KR101959923 B1 KR 101959923B1 KR 1020120083249 A KR1020120083249 A KR 1020120083249A KR 20120083249 A KR20120083249 A KR 20120083249A KR 101959923 B1 KR101959923 B1 KR 1019599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mps
pad
wirings
pad wirings
insulating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2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6549A (ko
Inventor
양용호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2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923B1/ko
Priority to US13/834,833 priority patent/US9105633B2/en
Publication of KR20140016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6549A/ko
Priority to US14/792,924 priority patent/US9537118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9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9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9/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1/00Processes or apparatus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or solid state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2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 H01L21/04Manufacture or treatment of semiconductor devices or of parts thereof the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 H01L21/50Assembly of semiconductor devices using processe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the subgroups H01L21/06 - H01L21/326, e.g. sealing of a cap to a base of a container
    • H01L21/52Mounting semiconductor bodies in contain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01Manufacture or treat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패드 배선,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범프를 복수개의 패드 배선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임시 상부 보호 필름의 하프 커팅시 발생하는 충격이 복수개의 패드 배선이나 절연막에 가해지는 것을 차단 또는 완화하여 패드 배선이나 절연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정공 주입 전극과 유기 발광층 및 전자 주입 전극으로 구성되는 유기 발광 소자들을 포함한다. 각각의 유기 발광 소자는 유기 발광층 내부에서 전자와 정공이 결합하여 생성된 여기자(exciton)가 여기 상태로부터 기저 상태로 떨어질 때 발생하는 에너지에 의해 발광하고, 이러한 발광을 이용하여 유기 발광 표시 장치가 소정의 영상을 표시한다.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자발광(self-luminance) 특성을 가지며, 액정 표시 장치와 달리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두께와 무게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낮은 소비 전력, 높은 휘도 및 빠른 응답 속도 등의 고품위 특성을 나타내므로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을 받고 있다.
전술한 유기 발광 소자는, 전극 재료로 사용되는 인듐 주석 산화물(ITO)로부터의 산소에 의한 유기 발광층 열화 및 유기 발광층을 구성하는 유기물층들 계면간의 반응에 의한 열화 등 내적 요인에 의해 열화될 수 있으며, 외부의 수분과 산소 또는 자외선 등의 외적 요인에 의해 열화될 수 있다. 특히 외부의 산소와 수분은 유기 발광 소자의 수명에 치명적인 영향을 미치므로 유기 발광 소자를 밀봉시키는 패키징(packaging) 기술이 매우 중요하다.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에 적용하기 위해, 유기 발광 소자는 얇게 제조되거나 쉽게 구부릴 수 있도록 제조될 것이 요구된다. 유기 발광 소자를 얇고 구부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박막 봉지(Thin Film Encapsulation, TFE) 기술이 개발되었다. 박막 봉지 기술은 기판의 표시 영역에 형성된 유기 발광 소자들 위로 무기막과 유기막을 한층 이상 교대로 적층하여 표시 영역을 박막 봉지층으로 덮는 기술이다. 이러한 박막 봉지층을 구비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을 플랙서블 필름(flexible film)으로 형성하는 경우 쉽게 구부릴 수 있으며, 슬림화에 유리한 장점을 지닌다.
기판으로 플랙서블 필름을 이용하는 유기 발광 소자는 외부 충격에 약해 제조 공정(예를 들면, 커팅 공정 등) 중 손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충격을 수반하는 공정으로부터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발광 소자의 구조 및 제조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커팅(cutting) 공정에 의한 불량을 방지할 수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패드 배선,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범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범프가 인접하는 상기 패드 배선 사이 모두에 형성되어 있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범프가 인접하는 상기 패드 배선 사이 중 일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범프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과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을 덮고 있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범프는 상기 절연막 위의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은 상기 절연막 아래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범프는 복수개의 서브 범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서브 범프층 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서브 범프층의 폭은 상기 복수개의 서브 범프층 중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서브 범프층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범프와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패드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범프는 상기 상부 패드 배선과 상기 패드 배선 사이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인접하는 범프 사이에 상기 상부 패드 배선 및 상기 패드 배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인접하는 범프 사이에 상기 상부 패드 배선 또는 상기 패드 배선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범프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을 덮고 있는 보호막을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범프 및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은 상기 절연막 위의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범프는 상기 보호막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범프의 폭은 상기 인접하는 패드 배선간의 간격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의 주변 영역에 복수개의 패드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 사이에 복수개의 범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 및 상기 범프 위에 임시 상부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범프를 인접하는 상기 패드 배선 사이 모두에 형성할 수 있거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범프를 인접하는 상기 패드 배선 사이 중 일부에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기판 및 복수개의 패드 배선 위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절연막 위에 상기 표시 영역을 덮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범프는 상기 절연막 위의 주변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커터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상부 보호 필름의 필름 주변부를 하프 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시 상부 보호 필름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탈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복수개의 범프를 복수개의 패드 배선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임시 상부 보호 필름의 하프 커팅시 발생하는 충격이 복수개의 패드 배선이나 절연막에 가해지는 것을 차단 또는 완화하여 패드 배선이나 절연막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여러 층 및 영역을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두께를 확대하여 나타내었다. 그리고 도면에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부 층 및 영역의 두께를 과장되게 나타내었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또는 "상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하여 도 1 내지 도 3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A1) 및 표시 영역(A1)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A2)을 포함하는 기판(110), 기판(110)의 주변 영역(A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 기판(110) 및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을 덮고 있는 절연막(130), 절연막(130)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 영역(A1)을 덮고 있는 보호막(200), 절연막(130)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범프(20)를 포함한다.
기판(110)은 쉽게 구부릴 수 있으며, 슬림화에 유리한 플렉서블 기판일 수 있다.
기판(110) 위의 표시 영역(A1)에는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복수의 신호선과 이들에 연결되어 있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itching transistor), 구동 트랜지스터(driving transistor) 등이 형성되어 있으며, 신호선은 게이트 신호(또는 주사 신호)를 전달하는 주사 신호선(scanning signal line),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는 데이터선(data line), 구동 전압을 전달하는 구동 전압선(driving voltage line) 등을 포함한다. 외부로부터 이러한 복수의 신호선에 신호를 인가하기 위해 주변 영역(A2)에 팬아웃부 등의 패드 배선(121)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은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어 있으며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과 복수의 신호선 등은 무기막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막(130)에 의해 덮여 있다.
이러한 절연막(130) 위의 표시 영역(A1)에는 표시 영역(A1)을 평탄화하기 위한 보호막(200)이 형성되어 있으며, 절연막(130) 위의 주변 영역(A2)에는 복수개의 범프(20)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범프(20)는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과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어 있다. 보호막(200)은 신호선 및 트랜지스터에 연결되며 빛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을 덮고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범프(20)는 보호막(200)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으며, 각 범프(20)의 폭(W1)은 인접하는 패드 배선(121)간의 간격(W2)보다 작을 수 있다. 따라서, 범프(20)는 패드 배선(121)과 중첩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수개의 범프(2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범프(20)가 인접하는 패드 배선(121) 사이 모두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보다 완전하게 커터(400)에 의한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보호막(200) 및 복수개의 범프(20) 위에는 임시 상부 보호 필름(310)이 부착되어 있다. 임시 상부 보호 필름(310)은 제조 공정 중 보호막(200) 등이 손상되는 것을 보호하기 위해 부착된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범프(20)를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를 덮는 절연막(130) 위에 형성하고, 복수개의 범프(20)를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 사이에 형성함으로써,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의 노출을 위해 커터(400)를 이용하여 임시 상부 보호 필름(300)을 커팅선(C)을 따라 하프 커팅하는 경우 발생하는 충격이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이나 절연막(130)에 가해지는 것을 차단 또는 완화하여 패드 배선(121)이나 절연막(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순서대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우선,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10)의 주변 영역(A2)에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을 형성하고,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을 덮는 절연막(130)을 형성하고, 절연막(130) 위에 복수개의 범프(20)를 형성한다. 이 때, 각 범프(20)는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 사이에 형성한다. 그리고, 범프(20) 위에 임시 상부 보호 필름(300)을 부착한다.
다음으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커터(400)를 이용하여 임시 상부 보호 필름(300)의 필름 주변부(310)를 하프 커팅하여 분리한다. 이 때, 범프(20)는 커터의 물리적인 충격이 패드 배선(121)으로 전달되는 것을 완화 또는 차단한다. 이와 같이, 임시 상부 보호 필름(300)의 하프 커팅시 발생하는 충격이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이나 절연막(130)에 가해지는 것을 차단 또는 완화하여 패드 배선(121)이나 절연막(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임시 상부 보호 필름(300)을 유기 발광 표시 장치로부터 탈거한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범프가 단일층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범프가 복수개의 서브 범프층으로 형성되는 제2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범프의 구조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범프(20)는 복수개의 서브 범프층(21, 22)을 포함한다. 복수개의 서브 범프층 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서브 범프층(22)의 폭(d2)은 복수개의 서브 범프층 중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서브 범프층(21)의 폭(d1)보다 작을 수 있다. 이와 같이 범프(20)는 이중 단차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범프(20)가 이중 단차를 가지는 경우 상부 서브 범프층(22)에서 먼저 충격을 흡수하고 다시 하부 서브 범프층(21)에서 충격을 흡수함으로써 충격 완화를 극대화하여 패드 배선(121)을 더욱 완전히 보호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개의 서브 범프층(21, 22)은 하프톤 마스크(half tone mask)를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는 두개의 서브 범프층만 도시되어 있으나 3개 이상의 서브 범프층으로 범프를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범프와 패드 배선이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어 있으나, 범프와 패드 배선이 동일한 층에 형성되는 제3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3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범프와 패드 배선의 형성 위치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10)을 덮고 있는 절연막(130), 절연막(130)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 영역(A1)을 덮고 있는 보호막(200), 절연막(130) 위의 주변 영역(A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 및 복수개의 범프(20)를 포함한다. 이 때,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 사이에 복수개의 범프(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범프(20)는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의 높이는 범프(20)의 높이보다 높을 수 있다. 이는 범프(20)가 커터(400)로부터의 충격을 흡수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보호막(200) 및 복수개의 범프(20) 위에는 임시 상부 보호 필름(300)이 부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범프(20)를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 사이에 형성하고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의 높이는 범프(20)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함으로써, 임시 상부 보호 필름(300)을 하프 커팅하는 경우 발생하는 충격이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이나 절연막(130)에 가해지는 것을 차단 또는 완화하여 패드 배선(121)이나 절연막(1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 및 제3 실시예에서는 범프가 어느 한층에 형성된 패드 배선 사이에 형성되었으나, 패드 배선이 복수개의 층에 형성된 경우 범프를 형성하는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는 각각 본 발명의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제4 실시예 및 제5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범프와 패드 배선의 형성 위치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기판(110)의 주변 영역(A2)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 기판(110) 및 복수개의 패드 배선(121)을 덮고 있는 절연막(130), 절연막(130)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표시 영역(A1)을 덮고 있는 보호막(200), 절연막(130) 위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상부 패드 배선(122) 및 복수개의 범프(20)를 포함한다.
범프(20)는 상부 패드 배선(122)과 패드 배선(1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범프(20) 사이에 상부 패드 배선(122)만 형성되거나 패드 배선(121)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범프(20)는 상부 패드 배선(122)과 패드 배선(121) 사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인접하는 범프(20) 사이에 상부 패드 배선(122) 및 패드 배선(121)이 모두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복수개의 범프(20)를 상부 패드 배선(122) 및 패드 배선(121)과 중첩하지 않도록 형성함으로써, 임시 상부 보호 필름(300)을 하프 커팅하는 경우 발생하는 충격을 범프(20)가 우선 흡수하여 충격이 복수개의 상부 패드 배선(122) 또는 패드 배선(121)에 가해지는 것을 차단 또는 완화하여 상부 패드 배선(122) 또는 패드 배선(121)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실시예에서는 범프가 인접하는 패드 배선 사이 모두에 형성되어 있었으나, 범프가 인접하는 패드 배선 사이 중 일부에만 형성되는 제6 실시예도 가능하다.
이하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제6 실시예는 도 1에 도시된 제1 실시예와 비교하여 범프의 형성 위치만을 제외하고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유기 발광 표시 장치는 범프(20)가 인접하는 패드 배선(121) 사이 중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다. 즉, 인접하는 패드 배선(121) 사이 모두에 범프(20)가 형성되어 있지 않고 그 중 일부의 패드 배선(121) 사이에만 범프(2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범프(20)는 패드 배선(121) 사이에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20: 범프 110: 기판
121: 패드 배선 122: 서브 패드 배선
130: 절연막 200: 보호막
300: 임시 상부 보호 필름 310: 필름 주변부

Claims (22)

  1.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
    상기 기판 위에 형성되어 있는 절연막,
    상기 절연막 위에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표시 영역을 덮고 있는 보호막,
    상기 기판의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패드 배선, 및
    상기 기판 위에 위치하고,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복수개의 범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과 상기 복수개의 범프는 중첩하지 않고,
    상기 복수개의 범프는 상기 절연막 위의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범프가 인접하는 상기 패드 배선 사이 모두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범프가 인접하는 상기 패드 배선 사이 중 일부에만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범프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과 서로 다른 층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은 상기 절연막 아래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복수개의 서브 범프층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브 범프층 중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 서브 범프층의 폭은 상기 복수개의 서브 범프층 중 하부에 위치하는 하부 서브 범프층의 폭보다 작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범프와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패드 배선을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는 상기 상부 패드 배선과 상기 패드 배선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범프 사이에 상기 상부 패드 배선 및 상기 패드 배선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인접하는 상기 범프 사이에 상기 상부 패드 배선 또는 상기 패드 배선이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범프는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과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은 상기 절연막 위의 주변 영역에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4. 제5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범프는 상기 보호막과 동일한 물질로 형성되어 있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범프의 폭은 인접하는 상기 패드 배선간의 간격보다 작은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플렉서블 기판인 유기 발광 표시 장치.
  17. 화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 및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주변 영역을 포함하는 기판의 상기 주변 영역에 복수개의 패드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 사이에 복수개의 범프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 및 상기 범프 위에 임시 상부 보호 필름을 부착하는 단계,
    상기 기판 및 복수개의 패드 배선 위에 절연막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절연막 위에 상기 표시 영역을 덮는 보호막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범프는 상기 절연막 위의 상기 주변 영역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패드 배선과 상기 복수개의 범프는 중첩하지 않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범프를 인접하는 상기 패드 배선 사이 모두에 형성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범프를 인접하는 상기 패드 배선 사이 중 일부에만 형성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0. 삭제
  21. 제17항에 있어서,
    커터를 이용하여 상기 임시 상부 보호 필름의 필름 주변부를 하프 커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임시 상부 보호 필름을 상기 기판으로부터 탈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20083249A 2012-07-30 2012-07-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9599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49A KR101959923B1 (ko) 2012-07-30 2012-07-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3/834,833 US9105633B2 (en) 2012-07-30 2013-03-15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4/792,924 US9537118B2 (en) 2012-07-30 2015-07-07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249A KR101959923B1 (ko) 2012-07-30 2012-07-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49A KR20140016549A (ko) 2014-02-10
KR101959923B1 true KR101959923B1 (ko) 2019-03-20

Family

ID=49994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249A KR101959923B1 (ko) 2012-07-30 2012-07-30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105633B2 (ko)
KR (1) KR10195992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202B1 (ko) * 2012-11-22 2019-04-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2457248B1 (ko) * 2016-01-12 2022-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57246B1 (ko) * 2016-01-12 2022-10-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64934B1 (ko) 2016-07-29 2019-04-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406621B1 (ko) * 2019-12-20 2022-06-0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202179B1 (ko) * 2019-12-20 2021-01-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20492B1 (ko) * 2021-01-07 2023-04-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US20230127776A1 (en) * 2021-08-31 2023-04-27 Chengdu Boe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3618A1 (en) * 1999-02-15 2002-10-24 Tsugihiko Hirano Semiconductor device
US20040147092A1 (en) * 2003-01-28 2004-07-29 Gem Line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fabricating thin film transistor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2108B1 (ko) 2004-12-10 2007-04-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유기 전계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4614126B2 (ja) 2005-02-21 2011-01-19 リンテック株式会社 積層シート、積層シートの巻取体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KR100768718B1 (ko) 2006-06-29 2007-10-19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오엘이디 디스플레이 패널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53618A1 (en) * 1999-02-15 2002-10-24 Tsugihiko Hirano Semiconductor device
US20040147092A1 (en) * 2003-01-28 2004-07-29 Gem Line Technology Co., Ltd. Method for fabricating thin film transistor display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6549A (ko) 2014-02-10
US9537118B2 (en) 2017-01-03
US20140027737A1 (en) 2014-01-30
US9105633B2 (en) 2015-08-11
US20150311478A1 (en) 2015-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923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367275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204846B2 (en) Display device
KR102329978B1 (ko) 플렉서블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
KR102111562B1 (ko) 표시 장치
KR102271586B1 (ko) 가요성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64207B1 (ko) 스트레쳐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712170B (zh) 可拉伸顯示裝置
KR10215877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US10153322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KR20200078176A (ko) 스트레쳐블 표시장치
KR102366701B1 (ko) 플렉서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및 플렉서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80018972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598831B1 (ko) 스트레처블 표시장치
KR102522533B1 (ko) 유기전계 발광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13489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596755B (zh) 有機發光二極體顯示器及其製造方法
KR102100656B1 (ko) 유기전계발광 표시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0706A (ko) 표시 장치
US10944074B2 (e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KR20140064553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50019951A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1671515B1 (ko) 유기발광다이오드 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2012068422A (ja) ディスプレイパネル及びマザーパネル並びにディスプレイ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255591B1 (ko) 고 개구율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