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827B1 - 전동 리벳 건 - Google Patents

전동 리벳 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827B1
KR101959827B1 KR1020170079869A KR20170079869A KR101959827B1 KR 101959827 B1 KR101959827 B1 KR 101959827B1 KR 1020170079869 A KR1020170079869 A KR 1020170079869A KR 20170079869 A KR20170079869 A KR 20170079869A KR 101959827 B1 KR101959827 B1 KR 1019598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vet
gear
drill
housing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98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0630A (ko
Inventor
정준
Original Assignee
정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준 filed Critical 정준
Priority to KR10201700798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827B1/ko
Publication of KR201900006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06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8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8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105Portable riv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02Riveting procedures
    • B21J15/04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 B21J15/043Riveting hollow rivets mechanically by pulling a mandr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16Drives for riveting machine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 B21J15/26Drives for riveting machines; Transmission means therefor operated by rotary drive, e.g. by electric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JFORGING; HAMMERING; PRESSING METAL; RIVETING; FORGE FURNACES
    • B21J15/00Riveting
    • B21J15/10Riveting machines
    • B21J15/30Particular elements, e.g. supports; Suspension equipment specially adapted for portable riv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sertion Pins And Riv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별도록 충전식 드릴도 구현하면서, 충전식 드릴의 드릴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드릴 고정부로부터 드릴 고정부의 맞은 편을 향해 돌출하는 리벳 형상 조작 부를 포함하고, 리벳 형상 조작 부는 드릴 고정부에서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드릴 척과 안착 대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리벳 발사체와 랜딩 고리를 포함하고, 리벳 발사체는 랜딩 고리에 가까이 위치되는 하우징, 하우징의 내부에서 충전 드릴의 모터의 동력에 연동하여 하우징에 대해 회전운동 가능한 동력 전달부, 하우징의 내부에서 동력 전달부의 회전 운동 궤적을 따라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커넥팅 로드, 그리고 커넥팅 로드의 왕복 운동 궤적을 따라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 운동을 하는 리벳 입출입 플랫폼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 리벳 건{ELECTROMOTION RIVET GUN}
본 발명은 충전 드릴에 부가 도구를 탈부착시켜 두 개의 판재에 구멍을 형성하고 두 개의 판재를 관통하는 구멍에 리벳을 순차적으로 설치하는데 적합한 전동 리벳 건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두 개의 판재를 결합시키기 위해, 충전 드릴에 결합된 리벳 건이 리벳 작업 현장에 제공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 충전 드릴에 결합된 리벳 건은 충전 드릴로부터 리벳 건을 탈착시켜 충전 드릴만을 사용하여 두 개의 판재에 구멍을 형성하고 충전 드릴에 리벳 건을 부착시켜 두 개의 판재를 관통하는 구멍에 리벳을 순차적으로 설치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충전 드릴에 결합된 리벳 건은 리벳 작업 현장에서 충전 드릴의 단독 사용과 리벳 건의 단독 사용에 대한 작업 가방의 전체 부피와 작업자의 착용 부담을 줄여 주고, 충전 드릴의 개별 사용과 리벳 건의 개별 사용시 도구 개수의 증가에 따른 도구 정렬 문제와 도구 무의식 상시 접촉 위험을 감소시켜 준다. 한편, 상기 충전 드릴에 결합된 리벳 건은 유럽 등록특허공보 EP 0 881 011 B1 에 발명의 명칭 '범용 단순 리벳 건(UNIVERAL SIMPLIFIED RIVETER GUN)'으로 제시되었다.
그러나, 상기 범용 단순 리벳 건(40)의 기술적 문제점으로써, 상기 범용 단순 리벳 건(40)은, 첫째로, 스핀들(17)에서 숫 나사(17e)와 구동 부품(21)에서 암 나사(21e)의 나선 결합으로 리벳(50)으로부터 맨드릴(52)의 절단 시기를 알 수 없어 스핀들(17)을 구동 부품 동굴(21a)에 충분히 삽입할 때까지 드릴 척(44)을 회전시켜야 하기 때문에 드릴 기구(43)의 전력 소모를 크게 갖는다.
상기 범용 단순 리벳 건(40)은, 둘째로, 리벳(50)으로부터 맨드릴(52)을 절단시키기 위해 구동 부품(21)을 일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 부품(21)의 구동 부품 동굴(21a)에 스핀들(17)을 수용시키고 절단된 맨드릴을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해 구동 부품(21)을 타 방향으로 회전시켜 구동 부품(21)의 구동 부품 동굴(21a)로부터 스핀들(17)을 분리시키기 때문에 반복적인 리벳 작업시 작업자의 회전별 작업 스위치 누름에 신경 쓰여서 작업자에게 작업 피로도를 누적시킨다.
상기 범용 단순 리벳 건(40)은, 셋째로, 스핀들(17)을 구동 부품 동굴(21a)에 충분히 삽입시켜 나선 스프링(19)을 압축시키는 때, 압축 스프링(19)을 통해 구동 부품(21)에 대고 스핀들(17)을 밀기 때문에 스핀들(17)에서 숫 나사(17e)와 구동 부품(21)에서 암 나사(21e)의 강한 접촉과 심한 마찰로 인하여 사용 수명 시간 전에 나사산을 함몰시켜 드릴 척(44)의 회전에 스핀들(17)을 연동시키지 못해 리벳 작업 환경을 열악하게 한다.
상기 범용 단순 리벳 건(40)의 적용 문제점으로써, 상기 범용 단순 리벳 건(40)은, 첫째로, 하우징(1)과 바디(2)를 통해 드릴 기구(43)의 드릴 척(44)에 장착해서 드릴 기구(43)의 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 동안 작업자의 양 손을 범용 단순 리벳 건(40)의 바디(2)와 드릴 기구(43)의 손잡이에 각각 위치시켜야 하기 때문에 리벳 작업에서 작업자의 작업 여유도를 제한하여 작업 환경에 대한 인식 저하를 초래시킨다.
상기 범용 단순 리벳 건(40)은, 둘째로, 하우징(1)에 바디(2)를 고정시키고 바디(2)에 드릴 척(44)을 수용시킴과 함께 바디(2)를 드릴 척(44)에 단단하게 고정하지 않아서 드릴 기구(43)의 모터의 정회전 및 역회전 동안 하우징(1)과 바디(2)를 통해 드릴 척(44) 주위로 회전되기 때문에 리벳 작업시 작업자의 양 손을 필요로 하지만 드릴 척(44) 주위로 회전을 막기 위해 작업자의 힘도 필요로 하여 반복적인 리벳 작업 후 작업자의 근골격계에 통증을 유발시킨다.
유럽 등록특허공보 EP 0 881 011 B1
본 발명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두 개의 판재를 리벳을 통해 결합시키기 위해 리벳 작업시 충전 드릴을 이용하면서, 충전 드릴의 전력 소모를 작게 가지고, 반복적인 리벳 작업에 의해 작업자에게 작업 피로도를 최소화시키고, 도구의 사용 수명 시간 동안 구성 부품의 기능을 계속 유지시켜 리벳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해주며,
리벳 작업 동안 작업자의 작업 여유도를 크게 하여 작업 환경을 충분히 인식시키고, 반복적인 리벳 작업 후 작업자의 근골격계에 통증을 유발시키지 않도록 하는데 적합한 전동 리벳 건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리벳 건은, 수평으로 연장하는 원기둥 형상의 드릴 고정부, 상기 드릴 고정부에 'T' 자형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모터와 외부에 작동 스위치를 갖는 몸체 부, 그리고 상기 몸체 부 아래에 위치되는 전원 공급 부를 구비하면서, 상기 드릴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드릴 고정부로부터 상기 드릴 고정부의 맞은 편을 향해 돌출하는 리벳 형상 조작 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벳 형상 조작 부는 상기 드릴 고정부에서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드릴 척과 안착 대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리벳 발사체와 랜딩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벳 발사체는 상기 랜딩 고리에 가까이 위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을 관통하여 상기 드릴 척에 삽입되며 상기 드릴 척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운동 가능한 동력 전달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동력 전달부에 일 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의 회전 운동 궤적을 따라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커넥팅 로드, 상기 커넥팅 로드의 타 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커넥팅 로드의 왕복 운동 궤적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 운동을 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타 측을 관통하는 리벳 입출입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에 블라인드 리벳의 장착 후 상기 블라인드 리벳을 통해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의 후진시 상기 드릴 척의 상기 회전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리벳 발사체는 상기 드릴 척에서 척의 입구와 긴밀하게 접촉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 측과 상기 타 측을 통해 상기 내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드릴 척의 척의 입구와 마주하고,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의 상기 직선 운동을 제한하도록 수평으로 누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측에서 일 면을 완전히 개구시키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 측을 향하는 타 면으로 관통 홀을 한정하는 이동 저지관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충전식 드릴에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드릴 척을 통해 공급 받아 상기 모터의 상기 동력을 상기 커넥팅 로드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2 쌍의 기어를 맞물린 2단 기어 기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드릴 척에 삽입되는 기어 회전 축, 상기 기어 회전 축에 고정되어 상기 드릴 척의 회전에 연동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교차하는 축을 가지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기어와 동일 중심을 가지며 상기 제2 기어에 고정되는 제3 기어, 그리고 상기 제2 기어 및 제3 기어와 평행한 축을 가지는 제4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는 베벨 기어 결합 형태를 이루고, 상기 제3 기어와 상기 제4 기어는 평기어 결합 형태를 이룰 수 있다.
상기 제3 기어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기어와 상기 제4 기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4 기어는 기어 둘레를 따라 소정 영역에 복수의 기어치를 제거시켜 제거된 기어치의 이뿌리를 따라 원호를 이루는 기어 싱크 구간을 가지고, 상기 기어 싱크 구간은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의 내부에 상기 블라인드 리벳 중 맨드릴의 장착시 또는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의 내부에서 상기 블라인드 리벳으로부터 상기 맨드릴을 절단하여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을 통해 절단된 맨드릴을 외부에 노출시 상기 제3 기어를 둘러쌀 수 있다.
상기 커넥팅 로드는 상기 제4 기어의 중심 주변에서 상기 제4 기어의 일 면을 통해 상기 제4 기어에 회전 고정되며, 상기 제4 기어의 회전 운동 궤적을 따라 상기 제4 기어의 상부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하부 측을 경유하고 상기 상부 측에 다시 도달하거나 좌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우 측을 경유하고 상기 좌 측에 다시 도달할 수 있다.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에 상기 블라인드 리벳의 장착 후 상기 블라인드 리벳을 통해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이 후진되는 때, 상기 커넥팅 로드는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에 의해 밀려 상기 제4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기어 싱크 구간 주변에 위치되는 기어치를 상기 제3 기어의 기어치에 맞물리게 할 수 있다.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 측에서 상기 이동 저지 관의 외부에 위치되는 헤드, 상기 헤드와 나선 결합하여 상기 이동 저지 관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헤드의 맞은 편에서 개구되는 헤드 관, 상기 헤드 관의 내부에서 상기 헤드와 마주하고 상기 헤드 관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이동 저지 관의 상기 관통 홀을 지나 상기 커넥팅 로드에 결합되는 리벳 장착 관, 상기 리벳 장착 관의 내부에서 상기 헤드와 마주하며 상기 리벳 장착 관의 선단에 위치되는 리벳 삽입구, 그리고 상기 리벳 삽입구와 커넥팅 로드 사이에서 상기 리벳 삽입구와 커넥팅 로드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에 상기 블라인드 리벳이 장착되는 때, 상기 헤드, 헤드 관, 상기 리벳 장착관과 상기 리벳 삽입구는 상기 블라인드 리벳의 상기 맨드릴을 둘러쌀 수 있다.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이 상기 블라인드 리벳을 통해 후진되는 때, 상기 헤드 관은 상기 블라인드 리벳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이동 저지관을 따라 상기 타 면을 향해 병진 운동을 하고, 상기 리벳 장착 관은 상기 헤드 관의 상기 병진 운동 동안 상기 이동 저지관의 상기 타 면에서 상기 관통 홀을 점진적으로 지나며 상기 커넥팅 로드를 상기 동력 전달부를 향해 밀어 상기 드릴 척의 상기 회전에 상기 동력 전달부의 상기 회전 운동을 연동시키고, 상기 리벳 삽입구는 상기 블라인드 리벳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블라인드 리벳을 죄면서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킬 수 있다.
상기 랜딩 고리는 상기 드릴 고정부의 상기 안착 대를 둘러싸는 결착 밴드와 상기 결착 밴드를 관통하여 상기 결착 밴드를 상기 안착 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동 리벳 건은 상기 리벳 발사체와 상기 랜딩 고리 사이에 보호 커버와 연결 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리벳 발사체와 상기 랜딩 고리 사이의 영역을 둘러싸서 상기 드릴 척을 수용하고, 상기 연결 대는 상기 보호 커버 상에서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리벳 발사체와 상기 랜딩 고리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킬 수 있다.
별도록 충전식 드릴도 구현하도록 수평으로 연장하는 원기둥 형상의 드릴 고정부, 상기 드릴 고정부에 'T' 자형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모터와 외부에 작동 스위치를 갖는 몸체 부, 그리고 상기 몸체 부 아래에 위치되는 전원 공급 부를 구비하면서,
본 발명은 리벳 발사체에 서로 기구적으로 연결되는 동력 전달부, 커넥팅 로드와 리벳 입출입 플랫폼을 포함하고 드릴 척으로부터 동력 전달부, 커넥팅 로드와 리벳 입출입 플랫폼을 순차적으로 배열시키며 드릴 척의 회전에 동력 전달부를 연동시켜 동력 전달부에서 기어의 1 회전마다 블라인드 리벳으로부터 맨드릴을 절단시키므로 충전 드릴의 전력 소모를 작게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리벳 발사체에서 드릴 고정부로부터 순차적으로 배열되는 동력 전달부, 커넥팅 로드와 리벳 입출입 플랫폼을 가지며 드릴 고정부의 드릴 척의 일 방향 회전에만 동력 전달부를 연동시켜 충전식 드릴의 작동 스위치 조작에 신경을 특별히 쓰지 않고 리벳 입출입 플랫폼에서 블라인드 리벳으로부터 맨드릴의 절단과 리벳 입출입 플랫폼으로부터 절단된 맨드릴의 배출을 용이하게 수행하여 반복적인 리벳 작업에 의해 작업자에게 작업 피로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리벳 발사체에서 충전 드릴의 모터의 동력을 블라인드 리벳에 순차적으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 커넥팅 로드와 리벳 입출입 플랫폼을 가지며 동력 전달부, 커넥팅 로드와 리벳 입출입 플랫폼의 접촉과 마찰을 최소화하여 리벳 발사체의 개별 구성 부품의 빠른 노후화를 미연에 방지하므로 전동 리벳 건의 사용 수명 시간 동안 개별 구성 부품의 기능을 계속 유지시켜 리벳 작업 환경을 양호하게 해줄 수 있다.
본 발명은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리벳 발사체와 랜딩 고리를 구비하여 랜딩 고리를 충전 드릴의 드릴 고정부에 강하게 고정시켜 드릴 고정부의 선단에 리벳 발사체를 위치시키고 충전 드릴을 사용하여 리벳 작업을 수행시 충전 드릴의 몸체부에 작업자의 한 손만을 필요로 하므로 리벳 작업 동안 작업자의 작업 여유도를 크게 하여 작업 환경을 충분히 인식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충전 드릴을 이용하여 두 개의 판재에 리벳 작업을 수행하기 위해 충전 드릴의 드릴 고정부에 리벳 발사체와 랜딩 고리를 결합시켜 랜딩 고리를 통해 드릴 고정부 주위로 리벳 발사체의 회전을 방지하고 리벳 작업시 충전 드릴의 몸체부에 작업자의 한 손만을 필요로 하므로 반복적인 리벳 작업 후 작업자의 근골격계에 통증을 유발시키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리벳 건의 충전 드릴과 리벳 형상 조작부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도 1의 충전 드릴과 리벳 형상 조작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도 2의 리벳 형상 조작부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전동 리벳 건의 사용 방법을 설명해주는 사진 및 개략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및 면적,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리벳 건의 충전 드릴과 리벳 형상 조작부를 보여주는 사진이고, 도 2는 도 1의 충전 드릴과 리벳 형상 조작 부를 분해하여 보여주는 사진이다.
또한, 도 3은 도 2의 리벳 형상 조작 부를 확대하여 상세하게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전동 리벳 건(150)은, 충전 드릴(20)과 리벳 형상 조작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충전 드릴(20)은,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으로 연장하는 원기둥 형상의 드릴 고정부(13), 드릴 고정부(13)에 'T' 자형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모터(M)와 외부에 작동 스위치(S)를 갖는 몸체 부(16), 그리고 몸체 부(16) 아래에 위치되는 전원 공급 부(19)를 포함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드릴 고정부(13)는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드릴 척(11)과 안착 대(12)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충전 드릴(20)은 드릴 척(11)의 척 입구에 드릴 날(도면에 미 도시)을 삽입하여 작동 스위치(S)를 통해 모터(M)를 구동시키고 모터(M)의 동력을 이용하여 드릴 척(11)과 드릴 날을 회전시켜 두 개의 판재(도 6의 180)를 관통하는 구멍(175)을 하나 또는 다수로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충전 드릴(20)의 형상과 구조는 일반적으로 당업자에게 널리 공지되고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 추가적인 설명에 대해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리벳 형상 조작부(140)는 충전 드릴(20)의 드릴 고정부(13)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드릴 고정부(13)로부터 드릴 고정부(13)의 맞은 편을 향해 도 1 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리벳 형상 조작 부(140)는 랜딩 고리(40), 리벳 발사체(110), 보호 커버(120)와 연결 대(130)를 포함한다. 상기 랜딩 고리(40)와 리벳 발사체(110)는 연결 대(130)를 통해 서로에 대해 고정되며 드릴 고정부(13)의 안착 대(12)와 드릴 척(11)에 각각 결합된다. 상기 랜딩 고리(40)는 드릴 고정부(13)의 안착 대(12)를 둘러싸는 결착 밴드(34)와 결착 밴드(34)를 관통하여 결착 밴드(34)를 안착 대(12)에 고정시키는 체결부(38)를 포함한다.
상기 체결부(38)는 나사를 통해 결착 밴드(34)를 관통하여 안착 대(12)에 긴밀하게 밀착된다. 상기 리벳 발사체(110)는 드릴 척(11)에서 척의 입구와 긴밀하게 접촉한다. 상기 리벳 발사체(110)는 아래에서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상기 보호 커버(120)와 연결 대(130)는 랜딩 고리(40)와 리벳 발사체(110)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보호 커버(120)는 랜딩 고리(40)와 리벳 발사체(110) 사이의 영역을 둘러싸서 드릴 척(11)을 수용한다.
상기 연결 대(130)는 보호 커버(120) 상에서 복수로 배치되어 랜딩 고리(40)와 리벳 발사체(110)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리벳 발사체(110)는 하우징(58), 동력 전달부(70), 커넥팅 로드(80)와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을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58)은 랜딩 고리(40)에 가까이 위치되어 동력 전달부(70), 커넥팅 로드(80)와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을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한다.
또한, 상기 하우징(58)은 일 측과 타 측을 통해 내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드릴 척(11)의 척의 입구와 마주하고, 수평으로 누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하우징(58)의 일 측에서 일 면을 완전히 개구시키고 하우징(58)의 타 측을 향하는 타 면으로 관통 홀을 한정하는 이동 저지관(54)을 갖는다.
상기 동력 전달부(70)는 하우징(58)의 내부에서 하우징(58)의 일 측을 관통하여 드릴 척(11)에 삽입되며 드릴 척(11)의 회전에 따라 하우징(58)에 대해 회전운동 가능하다. 상기 동력 전달부(70)는 충전식 드릴(20)에서 모터(M)의 동력을 드릴 척(11)을 통해 공급받아 모터(M)의 동력을 커넥팅 로드(80)에 전달한다. 또한, 상기 동력 전달부(70)는 하우징(58)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2 쌍의 기어를 맞물린 2단 기어 기구로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동력 전달부(70)는 드릴 척(11)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되는 기어 회전 축(61), 기어 회전 축(61)에 고정되어 드릴 척(11)의 회전에 연동하는 제1 기어(63), 제1 기어(63)와 교차하는 축을 가지는 제2 기어(65), 제2 기어(65) 상에 위치되어 제2 기어(65)와 동일 중심을 가지며 제2 기어(65)에 고정되는 제3 기어(67), 그리고 제2 기어(65) 및 제3 기어(67)와 평행한 축을 가지는 제4 기어(69)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어(63)와 제2 기어(65)는 베벨 기어 결합 형태를 이루고, 상기 제3 기어(67)와 제4 기어(69)는 평기어 결합 형태를 이룬다. 상기 제3 기어(67)는 동력 전달부(70)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서 볼 때 제2 기어(65)와 제4 기어(69) 사이에 위치된다. 상기 제4 기어(69)는 기어 둘레를 따라 소정 영역에 복수의 기어치를 제거시켜 제거된 기어치의 이뿌리를 따라 원호를 이루는 기어 싱크 구간(68)을 갖는다.
상기 기어 싱크 구간(68)은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의 내부에 블라인드 리벳(도 4 또는 도 5의 160) 중 맨드릴(154)의 장착시 또는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의 내부에서 블라인드 리벳(160)으로부터 맨드릴(154)을 절단하여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을 통해 절단된 맨드릴(154)을 외부에 노출시 제3 기어(67)를 둘러싼다. 상기 커넥팅 로드(80)는 하우징(58)의 내부에서 동력 전달부(70)에 일 단을 통해 연결되어 동력 전달부(70)의 회전 운동 궤적을 따라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을 한다.
상기 커넥팅 로드(80)는 제4 기어(69)의 중심 주변에서 제4 기어(69)의 일 면을 통해 제4 기어(69)에 회전 고정되며, 제4 기어(69)의 회전 운동 궤적을 따라 제4 기어(69)의 상부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하부 측을 경유하고 상부 측에 다시 도달하거나 좌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우 측을 경유하고 좌 측에 다시 도달한다.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에 블라인드 리벳(160)의 장착 후 블라인드 리벳(160)을 통해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이 후진되는 때, 상기 커넥팅 로드(80)는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에 의해 밀려 제4 기어(69)를 회전시켜 기어 싱크 구간(68) 주변에 위치되는 기어치를 제3 기어(67)의 기어치에 맞물리게 한다.
따라서, 상기 동력 전달부(70)는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에 블라인드 리벳(160)의 장착 후 블라인드 리벳(160)을 통해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의 후진시 드릴 척(11)의 회전에 연동한다.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은 커넥팅 로드(80)의 타 단을 통해 연결되어 커넥팅 로드(80)의 왕복 운동 궤적을 따라 하우징(58)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 운동을 하며 하우징(58)의 내부에서 하우징(58)의 타 측을 관통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은 헤드(91), 헤드 관(93), 리벳 장착 관(95), 리벳 삽입구(97), 그리고 스프링(99)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91)는 하우징(58)의 타 측에서 이동 저지 관(54)의 외부에 위치된다. 상기 헤드 관(93)은 헤드(91)와 나선 결합하여 이동 저지 관(54)을 따라 연장하고 헤드(91)의 맞은 편에서 개구된다. 상기 헤드 관(93)은 이동 저지 관(54)의 내부에서 이동 저지 관(54)의 홀(H)을 따라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이동 저지관(54)은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을 따라 위치하여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의 직선 운동을 제한한다. 상기 리벳 장착 관(95)은 헤드 관(93)의 내부에서 헤드(91)와 마주하고 헤드 관(93)을 따라 연장하여 이동 저지 관(54)의 관통 홀을 지나 커넥팅 로드(80)에 결합된다. 상기 리벳 삽입구(97)는 리벳 장착 관(95)의 내부에서 헤드(19)와 마주하며 리벳 장착 관(95)의 선단에 위치된다. 상기 스프링(99)은 리벳 삽입구(97)와 커넥팅 로드(80) 사이에서 리벳 삽입구(97)와 커넥팅 로드(80)에 고정된다.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에 블라인드 리벳(160)이 장착되는 때, 상기 헤드(91), 헤드 관(93), 리벳 장착관(95)과 리벳 삽입구(97)는 블라인드 리벳(160)의 맨드릴(154)을 둘러싼다.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이 블라인드 리벳(160)을 통해 후진되는 때, 상기 헤드 관(93)은 블라인드 리벳(160)을 통해 하우징(58)의 이동 저지관(54)을 따라 타 면을 향해 병진 운동(도 4의 M1)을 한다.
상기 리벳 장착 관(95)은 헤드 관(93)의 병진 운동(M1) 동안 이동 저지관(54)의 타 면에서 관통 홀을 점진적으로 지나며 커넥팅 로드(80)를 동력 전달부(70)를 향해 밀어 드릴 척(11)의 회전에 동력 전달부(70)의 회전 운동을 연동시킨다. 상기 리벳 삽입구(97)는 블라인드 리벳(160)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블라인드 리벳(160)을 죄면서 스프링(99)을 압축시킨다.
도 4 내지 도 6은 도 1의 전동 리벳 건의 사용 방법을 설명해주는 사진 및 개략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전동 리벳 건(150)과 블라인드 리벳(160)이 도 1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전동 리벳 건(150)은 충전 드릴(20)과 리벳 형상 조작 부(140)를 결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리벳(160)은 헤드 단(152), 맨드릴(154), 리벳 바디(156)와 리벳 플렌지(158)을 포함한다. 상기 헤드 단(152)과 맨드릴(154)은 일체로 이루어져 리벳 바디(156)와 리벳 플렌지(158)를 관통한다.
이어서, 상기 전동 리벳 건(150)으로부터 리벳 형상 조작 부(140)를 분리시키고 충전 드릴(20)의 드릴 척(11)에 드릴 날을 삽입시킨 후, 충전 드릴(20)의 작동 스위치(S)를 눌려서 모터(M)의 동력을 통해 드릴 날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충전 드릴(20)의 드릴 날을 이용하여 두 개의 판재(180)를 관통하는 구멍(175)이 하나 또는 다수로 형성할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충전 드릴(20)의 드릴 척(11)에 리벳 형상 조작 부(140)를 결합시킨 후, 상기 리벳 형상 조작 부(140)의 리벳 발사체(110)에 블라인드 리벳(160)이 장착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블라인드 리벳(160)은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의 외부에 헤드 단(152), 리벳 바디(156)와 리벳 플렌지(158)를 위치시키고 맨드릴(154)을 통해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의 헤드(91)에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맨드릴(154)은 하우징(58)의 이동 저지관(54), 그리고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의 헤드(91), 헤드관(93), 리벳 장착관(95)과 리벳 삽입구(97)에 의해 둘러싸일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블라인드 리벳(160)을 두 개의 판재(180)의 구멍(175)에 삽입시킨 후, 상기 전동 리벳 건(150)에 의해 블라인드 리벳(160)이 눌려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블라인드 리벳(160)은 이동 저지관(54)의 내부에서 이동 저지관(54)의 홀(H)을 따라 헤드(91)와 헤드 관(93)을 밀 수 있다.
상기 이동 저지관(54)의 내부에서 헤드(91)와 헤드 관(93)의 수평 이동 동안, 상기 리벳 장착관(95)은 헤드(91)에 의해 밀려서 이동 저지관(54)의 관통 홀을 점진적으로 지나고, 상기 리벳 삽입구(97)는 블라인드 리벳(160)의 맨드릴(154)을 죄면서 리벳 장착관(95)과 함께 이동한다. 이를 통해서,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은 이동 저지관(54)을 따라 제1 병진 운동(M1)을 한다.
다음으로, 상기 리벳 장착관(95)이 이동 저지관(54)의 관통 홀을 점진적으로 지나는 동안, 상기 리벳 장착관(95)은 커넥팅 로드(80)를 동력 전달부(70)의 제4 기어(69)를 향해 밀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동력 전달부(70)는 충전 드릴(20)의 드릴 척(11)의 회전에 연동하여 제1 기어 내지 제3 기어(63, 65, 67)를 회전시키고 있지만, 제3 기어(67)를 제4 기어(69)의 기어 싱크 구간(68)에 두어서 제4 기어(69)에 대해 제1 내지 제3 기어(63, 65, 67)를 공회전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커넥팅 로드(80)가 동력 전달부(70)의 제4 기어(69)를 더 미는 때, 상기 제4 기어(69)의 기어 싱크 구간(68) 주변에 위치되는 기어치에 제3 기어(67)의 기어치가 맞물려진다. 이를 통해서, 상기 동력 전달부(70)는 제1 기어 내지 제4 기어(63, 65, 67, 69)를 이용하여 충전 드릴(20)의 드릴 척(11)의 회전에 연동하여 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동력 전달부(70)가 일 방향으로 회전 운동을 하는 동안, 상기 동력 전달부(70)는 제4 기어(69)를 통해 커넥팅 로드(80)를 왕복 운동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제4 기어(69)의 1 회전에 대해 커넥팅 로드(80)의 1 왕복 운동 동안, 상기 커넥팅 로드(80)는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을 통해 블라인드 리벳(160)을 잡아 당겨서 블라인드 리벳(160)으로부터 맨드릴(154)을 절단시킬 수 있다.
상기 블라인드 리벳(160)으로부터 맨드릴(154)이 절단되는 동안, 상기 헤드 단(152)은 맨드릴(154)을 통해 리벳 바디(156)로 억지로 삽입되어 리벳 바디(156)의 일 부분을 두 개의 판재(180)에 대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리벳 바디(156)은 두 개의 판재의 구멍(175)에 밀착되어 압축 부분과 리벳 플랜지(158)에 의해 구멍(175)에 설치될 수 있다.
이후로, 상기 커넥팅 로드(180)가 1 왕복 운동을 하는 동안, 상기 커넥팅 로드는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을 제4 기어(69)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이동 저지관(54)에 대해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을 제2 병진 운동(M2)을 시킬 수 있다.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은 제2 병진 운동(M2)을 통해 절단된 맨드릴(154)을 헤드(91)를 통해 외부에 노출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서, 상기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100)은 제1 병진 운동(M1)과 제2 병진 운동(M2)으로 직선 운동을 할 수 있다.
34; 결착 밴드, 38; 체결부
40; 랜딩 고리, 54; 이동 저지관
58; 하우징, 61; 기어 회전 축
63, 65, 67, 69; 제1 내지 제4 기어,
70; 동력 전달부, 80 커넥팅 로드
91; 헤드, 93; 헤드 관
95; 리벳 장착관, 97; 리벳 삽입구
99; 스프링, 100; 리벳 입출입 플랫폼
110; 리벳 발사체, 130; 연결 대
140; 리벳 형상 조작부

Claims (15)

  1. 수평으로 연장하는 원기둥 형상의 드릴 고정부, 상기 드릴 고정부에 'T' 자형으로 연결되어 내부에 모터와 외부에 작동 스위치를 갖는 몸체 부, 그리고 상기 몸체 부 아래에 위치되는 전원 공급 부를 구비하는 전동 리벳 건에 있어서,
    상기 드릴 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드릴 고정부로부터 상기 드릴 고정부의 맞은 편을 향해 돌출하는 리벳 형상 조작 부를 포함하고,
    상기 리벳 형상 조작 부는 상기 드릴 고정부에서 순차적으로 위치되는 드릴 척과 안착 대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에 대해 고정되는 리벳 발사체와 랜딩 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리벳 발사체는 상기 랜딩 고리에 가까이 위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일 측을 관통하여 상기 드릴 척에 삽입되며 상기 드릴 척의 회전에 따라 상기 하우징에 대해 회전운동 가능한 동력 전달부,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동력 전달부에 일 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동력 전달부의 회전 운동 궤적을 따라 반복적으로 왕복 운동을 하는 커넥팅 로드, 상기 커넥팅 로드의 타 단을 통해 연결되어 상기 커넥팅 로드의 왕복 운동 궤적을 따라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직선 운동을 하며 상기 하우징의 상기 내부에서 상기 하우징의 타 측을 관통하는 리벳 입출입 플랫폼을 포함하고,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에 블라인드 리벳의 장착 후 상기 블라인드 리벳을 통해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의 후진시 상기 드릴 척의 상기 회전에 연동하도록,
    상기 드릴 척에 삽입되는 기어 회전 축, 상기 기어 회전 축에 고정되어 상기 드릴 척의 회전에 연동하는 제1 기어, 상기 제1 기어와 교차하는 축을 가지는 제2 기어, 상기 제2 기어 상에 위치되어 상기 제2 기어와 동일 중심을 가지며 상기 제2 기어에 고정되는 제3 기어, 그리고 상기 제2 기어 및 제3 기어와 평행한 축을 가지는 제4 기어를 포함하는 전동 리벳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발사체는 상기 드릴 척에서 척의 입구와 긴밀하게 접촉하는 전동 리벳건.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일 측과 상기 타 측을 통해 상기 내부를 외부에 노출시키고, 상기 드릴 척의 척의 입구와 마주하고,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을 따라 위치하여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의 상기 직선 운동을 제한하도록 수평으로 누운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일 측에서 일 면을 완전히 개구시키고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 측을 향하는 타 면으로 관통 홀을 한정하는 이동 저지관을 가지는 전동 리벳건.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충전식 드릴에서 상기 모터의 동력을 상기 드릴 척을 통해 공급 받아 상기 모터의 상기 동력을 상기 커넥팅 로드에 전달하는 전동 리벳건.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2 쌍의 기어를 맞물린 2단 기어 기구로 이루어지는 전동 리벳건.
  6. 삭제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어와 상기 제2 기어는 베벨 기어 결합 형태를 이루고, 상기 제3 기어와 상기 제4 기어는 평기어 결합 형태를 이루는 전동 리벳건.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기어는 상기 동력 전달부의 동력 전달 경로 상에서 볼 때 상기 제2 기어와 상기 제4 기어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제4 기어는 기어 둘레를 따라 소정 영역에 복수의 기어치를 제거시켜 제거된 기어치의 이뿌리를 따라 원호를 이루는 기어 싱크 구간을 가지고,
    상기 기어 싱크 구간은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의 내부에 상기 블라인드 리벳 중 맨드릴의 장착시 또는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의 내부에서 상기 블라인드 리벳으로부터 상기 맨드릴을 절단하여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을 통해 절단된 맨드릴을 외부에 노출시 상기 제3 기어를 둘러싸는 전동 리벳건.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 로드는 상기 제4 기어의 중심 주변에서 상기 제4 기어의 일 면을 통해 상기 제4 기어에 회전 고정되며, 상기 제4 기어의 회전 운동 궤적을 따라 상기 제4 기어의 상부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하부 측을 경유하고 상기 상부 측에 다시 도달하거나 좌 측으로부터 시작하여 우 측을 경유하고 상기 좌 측에 다시 도달하는 전동 리벳건.
  10.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에 상기 블라인드 리벳의 장착 후 상기 블라인드 리벳을 통해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이 후진되는 때,
    상기 커넥팅 로드는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에 의해 밀려 상기 제4 기어를 회전시켜 상기 기어 싱크 구간 주변에 위치되는 기어치를 상기 제3 기어의 기어치에 맞물리게 하는 전동 리벳 건.
  11.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은 상기 하우징의 상기 타 측에서 상기 이동 저지 관의 외부에 위치되는 헤드, 상기 헤드와 나선 결합하여 상기 이동 저지 관을 따라 연장하고 상기 헤드의 맞은 편에서 개구되는 헤드 관, 상기 헤드 관의 내부에서 상기 헤드와 마주하고 상기 헤드 관을 따라 연장하여 상기 이동 저지 관의 상기 관통 홀을 지나 상기 커넥팅 로드에 결합되는 리벳 장착 관, 상기 리벳 장착 관의 내부에서 상기 헤드와 마주하며 상기 리벳 장착 관의 선단에 위치되는 리벳 삽입구, 그리고 상기 리벳 삽입구와 커넥팅 로드 사이에서 상기 리벳 삽입구와 커넥팅 로드에 고정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전동 리벳 건.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에 상기 블라인드 리벳이 장착되는 때,
    상기 헤드, 헤드 관, 상기 리벳 장착관과 상기 리벳 삽입구는 상기 블라인드 리벳의 맨드릴을 둘러싸는 전동 리벳 건.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입출입 플랫폼이 상기 블라인드 리벳을 통해 후진되는 때,
    상기 헤드 관은 상기 블라인드 리벳을 통해 상기 하우징의 상기 이동 저지관을 따라 상기 타 면을 향해 병진 운동을 하고,
    상기 리벳 장착 관은 상기 헤드 관의 상기 병진 운동 동안 상기 이동 저지관의 상기 타 면에서 상기 관통 홀을 점진적으로 지나며 상기 커넥팅 로드를 상기 동력 전달부를 향해 밀어 상기 드릴 척의 상기 회전에 상기 동력 전달부의 상기 회전 운동을 연동시키고,
    상기 리벳 삽입구는 상기 블라인드 리벳에 긴밀하게 밀착되어 상기 블라인드 리벳을 죄면서 상기 스프링을 압축시키는 전동 리벳 건.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랜딩 고리는 상기 드릴 고정부의 상기 안착 대를 둘러싸는 결착 밴드와 상기 결착 밴드를 관통하여 상기 결착 밴드를 상기 안착 대에 고정시키는 체결부를 포함하는 전동 리벳 건.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 발사체와 상기 랜딩 고리 사이에 보호 커버와 연결 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보호 커버는 상기 리벳 발사체와 상기 랜딩 고리 사이의 영역을 둘러싸서 상기 드릴 척을 수용하고,
    상기 연결 대는 상기 보호 커버 상에서 복수로 배치되어 상기 리벳 발사체와 상기 랜딩 고리를 서로에 대해 고정시키는 전동 리벳 건.
KR1020170079869A 2017-06-23 2017-06-23 전동 리벳 건 KR1019598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69A KR101959827B1 (ko) 2017-06-23 2017-06-23 전동 리벳 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9869A KR101959827B1 (ko) 2017-06-23 2017-06-23 전동 리벳 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30A KR20190000630A (ko) 2019-01-03
KR101959827B1 true KR101959827B1 (ko) 2019-07-04

Family

ID=65022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9869A KR101959827B1 (ko) 2017-06-23 2017-06-23 전동 리벳 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82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1783B1 (ko) * 2007-08-10 2007-12-04 (주)오성디이씨 실내 전기구의 자동 온오프 제어기구
CN110405700B (zh) * 2019-07-29 2024-03-19 中建安装集团有限公司 一种自吸式自动进给钻机
DE102020216474A1 (de) * 2020-12-22 2022-06-23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Nietaufsatzvorrichtung
CN116060570A (zh) * 2023-03-07 2023-05-05 峰范新能源汽车技术(太仓)有限公司 一种多功能零配件铆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404B1 (ko) 2008-10-31 2011-10-10 연규봉 드릴겸용 유압식 리벳팅 전동공구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4055995A (en) * 1995-02-15 1996-08-22 World Wide Product Development Company Limited Power operated self-drilling rivet setting tool
ES2144906B1 (es) 1996-09-03 2001-02-01 Perez Aniento Andres Remachadora simplificada universal.
KR100887541B1 (ko) * 2007-03-14 2009-03-09 이수일 셀프 드릴링 및 자동 인발을 위한 리벳팅용 전동공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71404B1 (ko) 2008-10-31 2011-10-10 연규봉 드릴겸용 유압식 리벳팅 전동공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0630A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9827B1 (ko) 전동 리벳 건
US20230211483A1 (en) Driver
US5794325A (en) Electrically operated, spring-biased cam-configured release mechanism for wire cutting and seating tool
EP1948513B1 (en) Metal tie tool with rotary gripper and ball setting device
CN106564040B (zh) 作业工具
KR102554587B1 (ko) 조임 밴드를 끼우기 위한 수동식 자가-작동 기기
US8702622B2 (en) Quick cycle biopsy system
US8316895B2 (en) Metal tie tool with rotary gripper and ball setting device
JP6837055B2 (ja) 遠隔操作用掛止具
JP4891061B2 (ja) ねじ締め機のねじ送り装置
EP2732914A1 (en) Dust collecting device and power tool having the same
EP3037214B1 (en) Power tool
EP1600234A1 (en) Electric cutting tool
US4541266A (en) Riveting motor tool
CN109866165B (zh) 进给装置和附带进给装置的螺钉紧固器
KR102604973B1 (ko) 핸드헬드 핸들-전동식 풀 리벳터
JP6258063B2 (ja) 集塵装置
JP2007090473A (ja) 打込み作業工具
US20220395911A1 (en) Rotary tool
US20220281079A1 (en) Fastening tool
DE102012224448A1 (de) Handwerkzeugmaschinenbeleuchtungsvorrichtung
CN110802557B (zh) 一种机械式泡钉打钉器
JP3843511B2 (ja) リベッター装置およびこれの給油方法
CN211413541U (zh) 一种充电式前吐拉钉铆枪
CN220179185U (zh) 冲击工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