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803B1 -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803B1
KR101959803B1 KR1020160171243A KR20160171243A KR101959803B1 KR 101959803 B1 KR101959803 B1 KR 101959803B1 KR 1020160171243 A KR1020160171243 A KR 1020160171243A KR 20160171243 A KR20160171243 A KR 20160171243A KR 101959803 B1 KR101959803 B1 KR 1019598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plating layer
lamp
unit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1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9240A (ko
Inventor
황현주
김시홍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1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803B1/ko
Priority to CN201710671473.8A priority patent/CN108613118A/zh
Publication of KR2018006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9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8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8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1/00Shades for light sources, i.e. lampshades for table, floor, wall or ceiling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8/00Coating for obtaining at least two superposed coatings either by methods not provided for in a single one of groups C23C2/00 - C23C26/00 or by combinations of methods provided for in subclasses C23C and C25C or C25D
    • C23C28/30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 C23C28/34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 C23C28/345Coatings combining at least one metallic layer and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layer including at least one inorganic non-metallic material layer, e.g. metal carbide, nitride, boride, silicide layer and their mixtures, enamels, phosphates and sulphates with at least one oxide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7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surface treatment or co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7/00Reflectors for light sources
    • F21V7/22Reflectors for light sources characterised by materials, surface treatments or coatings, e.g. dichroic reflectors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빔 패턴 형성을 위하여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 유닛의 두께로 인하여 불필요한 암영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쉴드 유닛에 의해 차단된 광이 렌즈 유닛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 유닛,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 유닛, 및 상기 쉴드 유닛을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쉴드 유닛은, 금속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된 광이 상기 렌즈 유닛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되는 도금층, 및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증착층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Lamp for vehicle and shield unit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빔 패턴 형성을 위하여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 유닛의 두께로 인하여 불필요한 암영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면서도 쉴드 유닛에 의해 차단된 광이 렌즈 유닛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차량용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헤드 램프 및 포그 램프 등은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고, 턴 시그널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은 주로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며, 각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헤드 램프는 차량의 주행 환경, 예를 들어 주변 밝기, 주변 차량, 도로 환경, 기상 환경 등에 따라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 등과 같은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헤드 램프는 도 1과 같이 렌즈 유닛(14)의 광축(Ax)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복수의 램프 유닛(11, 12)이 위치할 수 있고, 복수의 램프 유닛(11, 12) 각각은 광원(11a, 12a) 및 광원(11a, 12a)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리플렉터(11b, 12b)를 포함한다.
복수의 램프 유닛(11, 12) 전방에는 쉴드 유닛(13)이 위치하며, 쉴드 유닛(13)은 복수의 램프 유닛(11, 12)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동시에 차단된 광을 렌즈 유닛(14)으로 반사시켜 광 사용 효율이 향상되도록 한다.
이때,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할 때는 광축(Ax)을 기준으로 상측에 위치한 램프 유닛(11)이 점등되고,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할 때는 광축(Ax)을 기준으로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한 복수의 램프 유닛(11, 12)이 점등된다.
쉴드 유닛(13)은 복수의 램프 유닛(11, 12)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을 형성하게 되는데,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하여 복수의 램프 유닛(11, 12)이 점등될 때 쉴드 유닛(13)의 두께가 두꺼운 경우에는 도 2와 같이 각 램프 유닛(11, 12)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 사이에 쉴드 유닛(13)의 두께로 인하여 불필요한 암영대(S)가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쉴드 유닛(13)에 의해 차단된 광이 렌즈 유닛(14)으로 반사되도록 쉴드 유닛(13)의 일면에 반사층을 형성할 때 반사층의 재료로서 도료를 사용하는 경우 쉴드 유닛(13)의 에지 부근에서 액고임 현상이 발생하여 비정상적인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쉴드 유닛(13)의 두께로 인하여 불필요한 암영대(S)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면서도 쉴드 유닛(13)에 반사층 형성시 액고임 현상 등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35027호(2014.03.2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쉴드 유닛의 두께로 인한 불필요한 암영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쉴드 유닛에 의해 차단된 광이 렌즈 유닛으로 반사되도록 쉴드 유닛에 반사층을 형성할 때 액고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적어도 하나의 램프 유닛,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 유닛, 및 상기 쉴드 유닛을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쉴드 유닛은, 금속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된 광이 상기 렌즈 유닛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되는 도금층, 및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증착층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은, 램프 유닛으로부터 렌즈 유닛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며, 상기 차단된 광이 상기 렌즈 유닛으로 반사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면에 반사층이 형성되는 쉴드 유닛을 제조하는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 재질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면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도금층을 포함하는 도금층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도금층 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증착층을 포함하는 증착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쉴드 유닛의 재질로서 얇은 두께로 형성하기에 유리한 금속 재질을 사용하여 쉴드 유닛의 두께로 인한 불필요한 암영대가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쉴드 유닛의 베이스 플레이트에 반사층을 형성할 때 액고임이 발생하는 것이 방지되어 비정상적인 빔 패턴이 형성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개략도.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이 도시된 개략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설치된 차량이 도시된 개략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유닛이 도시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층 및 증착층이 도시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층 및 증착층이 도시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가 도시된 측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는 제1 램프 유닛(100), 제2 램프 유닛(200), 쉴드 유닛(300) 및 렌즈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는 도 8과 같이 차량의 전방 양측에 설치되어 차량이 어두운 장소나 야간에 주행할 때 차량의 전방 시야가 확보될 수 있도록 하는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는 헤드 램프뿐만 아니라, 주간 주행 램프, 포그 램프, 테일 램프, 브레이크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은 빔 패턴에 따라 적어도 하나가 점등되어 서로 다른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일 예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헤드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 로우 빔 패턴을 형성할 때 제1 램프 유닛(100)이 점등되고,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할 때 제1 램프 유닛(100)과 더불어 원거리 시야 확보를 위한 원거리 시야 패턴을 형성하는 제2 램프 유닛(200)이 함께 점등될 수 있다.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은 렌즈 유닛(400)의 광축(Ax)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방향에 위치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램프 유닛(100)이 광축(Ax)의 상측에 위치하고, 제2 램프 유닛(200)이 광축(Ax)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램프 유닛(10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 및 제1 리플렉터(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은 제1 기판(111)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은 복수로 구성되어 렌즈 유닛(400)의 광축(Ax)에 수직한 가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위치될 수 있으며, 이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으로부터 광이 발생될 때 함께 발생되는 열을 분산시켜 효율적인 방열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 리플렉터(120)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기판(111)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발생되는 광이 전방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하측으로부터 전방에 이르는 면이 개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도달하는 면에는 알루미늄이나 크롬 등과 같은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재질이 증착 또는 코팅되어 반사면(12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이 전방으로 반사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으로 광이 반사된다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가 설치되는 방향이나 위치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이 복수로 구성되는 경우 제1 리플렉터(120)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램프 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210) 및 제2 리플렉터(2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210)이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과 유사하게 복수로 구성되어 렌즈 유닛(400)의 광축(Ax)에 수직한 가로 방향으로 소정 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위치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2 리플렉터(220)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210)으로부터 발생된 광을 전방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기판(211)에 하면에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210)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발생되는 광이 전방으로 반사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부터 전방에 이르는 면이 개방되고,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210)으로부터 발생되는 광이 도달하는 면에는 알루미늄이나 크롬 등과 같은 높은 반사율을 가지는 재질이 증착 또는 코팅되어 반사면(221)이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은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210)으로부터 광이 발생될 때 함께 발생되는 고온의 열로 인하여 온도가 상승되는 경우 발광 성능의 급격한 저하가 발생하기 때문에 온도 상승이 방지될 수 있도록 방열 유닛(500)에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방열 유닛(500)의 상면 및 하면에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이 설치되는 제1 기판(11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210)이 설치되는 제2 기판(211)이 장착되어 적어도 하나의 제1 광원(110)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광원(210)으로부터 발생되는 열이 신속하게 방출되도록 할 수 있으며, 방열 성능의 향상을 위하여 방열 유닛(500) 뿐만 아니라 냉각 팬(미도시) 등과 같은 방열 장치가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쉴드 유닛(300)은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빔 패턴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쉴드 유닛(300)은 제1 램프 유닛(100)이 점등되어 로우 빔 패턴이 형성될 때 제1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여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함으로써, 선행 차량이나 대향 차량 등과 같은 전방 차량의 운전자에게 눈부심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쉴드 유닛(300)은 전단 양측이 렌즈 유닛(400)의 양측을 향하여 서서히 변위되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로우 빔 패턴의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할 수 있도록 렌즈 유닛(400)의 광축(Ax)에 나란한 선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지도록 단차를 가질 수 있다.
쉴드 유닛(300)은 적어도 일면에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발생된 광을 차단하고, 차단된 광이 렌즈 유닛(400)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층(320)이 형성되어 광 사용 효율을 향상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쉴드 유닛(300)의 상면에 반사층(320)이 형성되어 제1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고, 차단된 광을 렌즈 유닛(400)으로 반사시키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반사층(320)은 차단된 광을 반사시킬 필요가 있는 적어도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유닛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쉴드 유닛(300)은 베이스 플레이트(310) 및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반사층(3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쉴드 유닛(300)의 전체적인 형상을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반사층(320)은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쉴드 유닛(300)에 의해 차단된 광을 렌즈 유닛(400)으로 반사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상면에 반사층(320)이 형성되어 제1 램프 유닛(100)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고, 차단된 광이 렌즈 유닛(400)으로 반사되도록 하여 로우 빔 패턴이 형성될 때 로우 빔 패턴의 소정 영역이 보강되도록 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베이스 플레이트(31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베이스 플레이트(310)가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두께로 인하여 제1 램프 유닛(100) 및 제2 램프 유닛(200)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 사이에 불필요한 암영대가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다시 말해서, 베이스 플레이트(310)가 수지 재질로 형성되는 경우 금속 재질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기 때문에 불필요한 암영대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베이스 플레이트(310)를 수지 재질에 비하여 두께를 얇게 형성하는데 유리한 금속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베이스 플레이트(310) 의 두께로 인하여 불필요한 암영대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반사층(320)은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형성되는 도금층(321) 및 도금층(321) 상에 형성되는 증착층(3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층 및 증착층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금층(321)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도금층(321a~321d)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도금층(321a~321d)은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도금을 가능하게 하며 각 층간의 밀착성이 향상되도록 하고, 외부 환경에 의한 부식, 손상, 변색 등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도금층(321a~321d)은 제1 서브 도금층(321a), 제2 서브 도금층(321b), 제3 서브 도금층(321c) 및 제4 서브 도금층(321d)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도금층(321a~321d)은 전해 도금 공법을 통해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서브 도금층(321a)는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도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서브 도금층(321a)은 아연을 포함하며, 10㎛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제1 서브 도금층(321a)은 징케이트 처리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310)가 알루미늄 소재 등과 같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경우 도금이 가능하도록 아연으로 치환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서브 도금층(321b)은 제1 서브 도금층(321a) 상에 형성되어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2 서브 도금층(321b)은 니켈을 포함하며, 10㎛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제2 서브 도금층(321b)은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소정의 도금층을 형성하고자 할 때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소정의 도금층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이때, 제2 서브 도금층(321b)에 의한 밀착성 향상을 위해는 니켈의 PH가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니켈의 PH가 낮을 경우 제1 서브 도금층(321a)이 얇아지거나 벗겨지는 현상이 발생하여 밀착성 및 내열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대략 4.5 내지 5.2의 PH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3 서브 도금층(321c)은 제2 서브 도금층(321b) 상에 형성되어 표면을 균일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3 서브 도금층(321c)은 구리를 포함하며, 1㎛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제4 서브 도금층(321d)은 제3 서브 도금층(321c) 상에 형성되어 제3 서브 도금층(321c)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4 서브 도금층(321d)은 니켈을 포함하며, 50㎛ 이하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즉, 구리를 포함하는 제3 서브 도금층(321c)은 상대적으로 부식이 쉽고 외부 힘에 의해 쉽게 손상이 발생하기 때문에 제4 서브 도금층(321d)을 통해 이를 방지하는 것이다.
증착층(322)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증착층(322a, 322b)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서브 증착층(322a, 322b)은 제1 서브 증착층(322a) 및 제2 서브 증착층(3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증착층(322a)은 도금층(321) 상에 형성되어 쉴드 유닛(300)의 반사율을 높이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서브 증착층(322a)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1 서브 증착층(322a)이 Sputtering 방식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서브 증착층(322a)은 Evaporation 방식 또는 E-Beam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제2 서브 증착층(322b)은 제1 서브 증착층(322a)를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2 서브 증착층(322b)이 산화 규소를 포함하며, PE-CVD 방식 등에 의해 형성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베이스 플레이트(310)에 형성되는 반사층(320)을 도금층(321) 및 증착층(322)으로 구성하는 것은 반사층(320)으로서 도료를 사용하는 경우 베이스 플레이트(310)의 에지 부근이나 컷 오프 라인을 형성하는 단차 부근에서 액고임이 발생하여 비정상적으로 빔 패턴이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한편,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도금층(321)이 제1 내지 제4 서브 도금층(321a~321d)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외관을 향상시키면서도 외부 환경에 대한 내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서브 도금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층 및 증착층이 도시된 개략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층(321)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도금층(321a~321e)을 포함할 수 있으며, 증착층(322)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증착층(322a, 322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기로 하고,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금층(321)은 제4 서브 도금층(321d) 상에 제5 서브 도금층(321e)이 형성되고, 제5 서브 도금층(321e) 상에 증착층(32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5 서브 도금층(321e)은 외부 환경에 의한 변색 등에 대한 내성을 강화시키면서도 외관 상품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크롬을 포함하며, 0.01㎛ 이상의 두께를 가지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제5 서브 도금층(321e)은 전술한 내성 강화나 외관 상품성 향상뿐만 아니라, 제4 서브 도금층(321d)과 증착층(322) 사이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역할을 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각각의 서브 도금층의 두께 범위는 각각의 서브 도금층이 요구되는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한 최적의 두께 범위로서, 전술한 두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요구되는 성능을 충분히 발휘하지 못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400)은 렌즈(410) 및 렌즈(410)를 지지하는 렌즈 홀더(420)를 포함할 수 있으며, 렌즈 유닛(400)은 방열 유닛(500)의 전방에 렌즈 홀더(420)가 결합되어 쉴드 유닛(300) 전방에 위치할 수 있다.
렌즈(410)는 필요로 하는 렌즈 특성에 따라 다양한 렌즈 특성을 가지는 렌즈가 사용될 수 있으며, 일 예로 렌즈(410)는 다양한 렌즈 특성을 구현할 수 있도록 비구면 렌즈가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은, 먼저 금속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의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S110).
베이스 플레이트(310) 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도금층을 포함하는 도금층(321)을 형성하게 된다(S120).
전술한 S12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베이스 플레이트(310)에 도금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1 서브 도금층(321a)을 형성하고(S121), 제1 서브 도금층(321a) 상에 베이스 플레이트(310)와 도금층 사이의 밀착력 향상을 위하여 제2 서브 도금층(321b)을 형성하게 된다(S122).
제2 서브 도금층(321b) 상에 표면이 균일해지도록 제3 서브 도금층(321c)를 형성한 다음(S123), 제3 서브 도금층(321c) 상에 제3 서브 도금층(321c)의 보호를 위한 제4 서브 도금층(321d)을 형성하게 된다(S124).
제4 서브 도금층(321d) 상에 도금층(321) 및 증착층(322) 사이의 밀착성을 높이면서도 외관을 향상시키고 외부 환경에 대한 내성이 강화되도록 하는 제5 서브 도금층(321e)을 형성하게 된다(S125).
전술한 S121 내지 S125 단계와 같이 도금층(321)을 형성한 다음, 도금층(321) 상에 광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한 증착층(322)을 형성하게 된다(S130).
전술하나 S130 단계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금층(321) 상에 광의 반사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1 서브 증착층(322a)을 형성하고(S131), 제1 서브 증착층(322a) 상에 제1 서브 증착층(322a)의 보호를 위한 제2 서브 증착층(322b)을 형성하게 된다(S132).
전술한 도 12에서는 도금층(321)이 제1 내지 제5 서브 도금층(321a~321e)을 포함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5 서브 도금층(321e)은 외관의 상품성이나 외부 환경에 대한 내성이 충분히 확보되는 경우라면 생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제1 램프 유닛
110: 제1 광원
120: 제1 리플렉터
200: 제2 램프 유닛
210: 제2 광원
220: 제2 리플렉터
300: 쉴드 유닛
310: 베이스 플레이트
320: 반사층
321: 도금층
321a, 321b, 321c, 321d, 321e: 서브 도금층
322: 증착층
322a, 322b: 서브 증착층
400: 렌즈 유닛
500: 방열 유닛

Claims (13)

  1. 적어도 하나의 램프 유닛;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 유닛; 및
    상기 쉴드 유닛을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쉴드 유닛은,
    금속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된 광이 상기 렌즈 유닛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되는 도금층; 및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증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도금층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도금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도금층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이 도금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1 서브 도금층;
    상기 제1 서브 도금층 상에 형성되어 밀착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제2 서브 도금층;
    상기 제2 서브 도금층 상에 형성되어 표면이 균일해지도록 하는 제3 서브 도금층; 및
    상기 제3 서브 도금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서브 도금층을 보호하는 제4 서브 도금층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도금층은,
    아연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서브 도금층의 두께는,
    10㎛ 이하인 차량용 램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서브 도금층은,
    니켈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브 도금층의 두께는,
    10㎛ 이하인 차량용 램프.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서브 도금층은,
    구리를 포함하며,
    상기 제3 서브 도금층의 두께는,
    1㎛ 이상인 차량용 램프.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서브 도금층은,
    니켈을 포함하며,
    상기 제4 서브 도금층의 두께는,
    50㎛ 이하인 차량용 램프.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도금층은,
    상기 제4 서브 도금층 상에 형성되어 외관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5 서브 도금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5 서브 도금층은,
    크롬을 포함하며,
    상기 제5 서브 도금층의 두께는,
    0.01㎛ 이상인 차량용 램프.
  8. 적어도 하나의 램프 유닛;
    상기 적어도 하나의 램프 유닛으로부터 발생된 광의 일부를 차단하는 쉴드 유닛; 및
    상기 쉴드 유닛을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렌즈 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쉴드 유닛은,
    금속 재질의 베이스 플레이트; 및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어 상기 차단된 광이 상기 렌즈 유닛으로 반사되도록 하는 반사층을 포함하며,
    상기 반사층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에 형성되는 도금층; 및
    상기 도금층 상에 형성되는 증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증착층은,
    적어도 하나의 서브 증착층을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증착층은,
    광의 반사율을 높이는 제1 서브 증착층; 및
    상기 제1 서브 증착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서브 증착층을 보호하는 제2 서브 증착층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증착층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서브 증착층은,
    산화규소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0. 램프 유닛으로부터 렌즈 유닛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며, 상기 차단된 광이 상기 렌즈 유닛으로 반사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면에 반사층이 형성되는 쉴드 유닛을 제조하는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 재질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면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도금층을 포함하는 도금층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도금층 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증착층을 포함하는 증착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도금층이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이 도금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1 서브 도금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1 서브 도금층 상에 형성되어 밀착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제2 서브 도금층이 형성되는 단계;
    상기 제2 서브 도금층 상에 형성되어 표면이 균일해지도록 하는 제3 서브 도금층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제3 서브 도금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제3 서브 도금층을 보호하는 제4 서브 도금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
  11. 삭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층이 형성되는 단계는,
    상기 제4 서브 도금층 상에 외관 상품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제5 서브 도금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
  13. 램프 유닛으로부터 렌즈 유닛으로 입사되는 광의 일부를 차단하며, 상기 차단된 광이 상기 렌즈 유닛으로 반사되도록 베이스 플레이트의 적어도 일면에 반사층이 형성되는 쉴드 유닛을 제조하는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으로서,
    금속 재질의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 일면의 이물질이 제거되는 단계;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일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도금층을 포함하는 도금층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도금층 상에 적어도 하나의 서브 증착층을 포함하는 증착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증착층이 형성되는 단계는,
    광의 반사율이 향상되도록 제1 서브 증착층이 형성되는 단계; 및
    상기 제1 서브 증착층 상에 상기 제1 서브 증착층이 보호되도록 제2 서브 증착층이 형성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
KR1020160171243A 2016-12-15 2016-12-15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 KR1019598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243A KR101959803B1 (ko) 2016-12-15 2016-12-15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
CN201710671473.8A CN108613118A (zh) 2016-12-15 2017-08-08 车载灯具及车载灯具的阻隔单元制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1243A KR101959803B1 (ko) 2016-12-15 2016-12-15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9240A KR20180069240A (ko) 2018-06-25
KR101959803B1 true KR101959803B1 (ko) 2019-03-20

Family

ID=62805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1243A KR101959803B1 (ko) 2016-12-15 2016-12-15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9803B1 (ko)
CN (1) CN1086131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367263A1 (en) 2018-06-15 2021-11-25 Lg Chem, Ltd. Solid electrolyte membrane and solid-state battery comprising the same
FR3083624B1 (fr) * 2018-07-06 2021-02-12 Aml Systems Element optique destine a modifier la repartition d'un faisceau lumineux, pour projecteur de vehicule automobil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62B1 (ko) * 2012-11-08 2014-04-08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89434A (en) * 1994-05-19 1995-11-22 Spafax Int Ltd Making an optical component
KR20050001425A (ko) * 2003-06-27 2005-01-06 아사히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고반사경
FR2943144B1 (fr) * 2009-03-13 2012-12-14 Jet Metal Technologies Miroir anticorrosion, son procede de fabrication et ses applications dans la recuperation de l'energie solaire
CN202003044U (zh) * 2011-02-28 2011-10-05 中国航天科工集团第三研究院第八三五八研究所 一种反射膜层
CN102407624B (zh) * 2011-08-15 2014-09-17 西北核技术研究所 一种耐激光辐照的漫反射金属面板及其加工方法
KR20140035027A (ko) 2012-09-13 2014-03-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쉴드 이미지를 제공하는 차량용 램프
CN106051581B (zh) * 2016-07-29 2019-12-10 浙江金驹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远近光合一的led照明模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862B1 (ko) * 2012-11-08 2014-04-08 주식회사 에스엘 서봉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13118A (zh) 2018-10-02
KR20180069240A (ko) 201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862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US20060077683A1 (en) Headlight or light for a motor vehicle
KR101959803B1 (ko) 차량용 램프 및 차량용 램프의 쉴드 유닛 제조 방법
KR101794065B1 (ko) 차량용 광학 렌즈 및 이를 이용한 차량용 램프
US4271459A (en) Vehicle headlamp assembly
JP4078116B2 (ja) バイザ付車両用灯具
KR20150051672A (ko) 차량용 램프
KR102031832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342060B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0494435Y1 (ko) 차량용 램프
KR101948529B1 (ko) 차량용 램프
KR102145188B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63035A (ko) 차량용 램프
KR102617542B1 (ko) 차량용 램프
JP5238381B2 (ja) 照明用車両用灯具
KR102031834B1 (ko) 차량용 램프
KR101666509B1 (ko) 차량용 램프
KR101674495B1 (ko) 차량용 램프
KR102384547B1 (ko) 차량용 램프
JP2014175231A (ja) 車両用灯具
KR102526207B1 (ko) 차량용 램프
KR200488319Y1 (ko) 차량용 램프
KR20170092826A (ko) 차량용 램프
KR101740668B1 (ko) 차량용 램프
KR101948528B1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