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250B1 -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250B1
KR101959250B1 KR1020170076339A KR20170076339A KR101959250B1 KR 101959250 B1 KR101959250 B1 KR 101959250B1 KR 1020170076339 A KR1020170076339 A KR 1020170076339A KR 20170076339 A KR20170076339 A KR 20170076339A KR 101959250 B1 KR101959250 B1 KR 1019592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module
mobile terminal
body frame
induction coil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3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7123A (ko
Inventor
장형준
김영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일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일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일야
Priority to KR10201700763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9250B1/ko
Publication of KR201801371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1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2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2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9B3/4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evaporation
    • B09B3/0083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03Apparatus specially adapted to the manufacture of LC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CD와 터치윈도우로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디스플레이 모듈의 재활용을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을 모바일 단말기의 바디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는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바디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도포된 접착재를 용융시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을 높이고, 회로 손상 없이 접착재를 용융시켜 디스플레이 모듈을 재활용 가능한 상태로 분리 회수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DISPLAY MODULE SEPARATING DEVIC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LCD와 터치윈도우로 구성되는 모바일 단말기용 디스플레이 모듈의 재활용을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을 모바일 단말기의 바디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과 같은 모바일 단말기(1)는 풀터치 입력 방식으로 작동되며, 이를 위해 LCD(3)와 터치윈도우(4)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사용된다. 도 1 에는 이러한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기(1)의 적층 구조가 단면도로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는 대체로 4각형의 테두리 윤곽을 형성하고 전후방이 각각 개방된 바디프레임(2)을 포함하며, 상기 바디프레임(2)의 내측에는 분리 가능한 격판(2a)이 전후를 양분하도록 배치되고, 전면측에는 LCD(3)와 터치윈도우(4)가 순차 적층된 형태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안착되며. 후방측에는 디스플레이모듈 및 모바일 단말기(1)의 전체 작동을 위한 각종 소자들이 실장된 회로부가 내장되며, 후면 개구에는 후방커버(6)가 결합된다. 특히,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터치윈도우(4)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바디프레임(2)의 내측에 'ㄴ'자 형상으로 형성된 단차부에 안착되며, 상기 터치윈도우(4)의 가장자리 부분과 바디프레임(2)의 내측 단차부 수직면과 수평면에는 OCA 또는 광학 레진(OPTICAL RESIN)과 같은 접착재(5)가 도포되어 터치윈도우(4)와 바디프레임(2)이 견고하게 접착 결합된다.
한편, 모바일 단말기(1)의 제조시에는 여러 공정 단계를 거치면서 많은 불량이 발생하게 되는데, 모바일 단말기(1) 디스플레이 모듈에 사용되는 터치윈도우(4)는 비교적 고가의 부품으로써 다른 부품이나 구조에 불량이 발생한 경우, 고가의 터치윈도우(4)는 회수되어 재활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터치윈도우(4)의 재활용을 위해서는 바디프레임(2)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을 분리하는 작업이 수반되어야 하는데,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터치윈도우(4)가 바디프레임(2)의 단차부에 접착재에 의해 견고하게 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을 바디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이 쉽지는 않다.
종래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바디프레임(2)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터치윈도우(4)의 전면에 가열판을 접촉한 상태에서 가열하거나 터치윈도우(4)의 가장자리 부분에 히팅팬으로 열풍을 가하여 바디프레임(2)의 단차부와 터치윈도우(4)의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된 접착재(5)를 용융시키면서 바디프레임(2)의 후방측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푸시 가압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런데, 접착재의 용융을 위해서는 약 80℃ 내지 120℃ 정도의 온도로 가열해야 하는바, 위와 같이 가열판 또는 열풍을 이용하는 경우 온도 상승 속도가 느리기 때문에 접착재를 용융하는데 매우 긴 시간이 소요된다. 통상적으로 스마트폰 1개의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작업시 평균적으로 약 10분 정도의 시간이 걸리는바 작업 효율이 매우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터치윈도우의 전면에 직접 80℃ 내지 120℃의 열을 가하는 경우, 터치윈도우 및 LCD의 구동 회로가 열에 의해 손상되어 재활용이 불가능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0793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1-008877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모바일 단말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방법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을 높이고, 회로 손상 없이 접착재를 용융시켜 디스플레이 모듈을 재활용 가능한 상태로 분리 회수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는, 고주파발진기와; 모바일 단말기의 금속재 바디프레임 외측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고주파발진기로부터 고주파 전류를 인가받아 모바일 단말기의 바디프레임을 유도가열 방식으로 선택적 가열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의 바디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접착재를 용융시키는 유도코일을 포함한다.
여기서, 중앙 내측에 모바일 단말기의 가장자리 윤곽 형상에 상응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 외측에 유도코일이 안착 배치되는 코일안착홈이 형성된 블럭본체와; 중앙에 상기 블럭본체의 개구와 상응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본체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블럭본체의 코일안착홈에 안착 배치된 유도코일을 고정 지지하는 상부커버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를 하측에서 파지하는 하지그와; 상기 하지그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승강부재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측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파지하는 상지그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바디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접착재 용융시 상지그를 상승시켜 디스플레이 모듈을 바디프레임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제2승강부재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지그의 상부에는 모바일 단말기를 흡착 파지하기 위한 제1흡착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상지그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흡착 파지하기 위한 제2흡착패드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제1승강부재와 제2승강부재는 에어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지그와 제2승강부재를 승강시키는 제3승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고주파 유도 가열을 이용하여 모바일 단말기의 바디프레임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에 도포된 접착재를 용융시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시켜 작업 효율을 높이고, 회로 손상 없이 접착재를 용융시켜 디스플레이 모듈을 재활용 가능한 상태로 분리 회수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도 1 은 통상적인 모바일 단말기 사시도(a) 및 그 적층 구조가 도시된 단면도(b),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의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의 요부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의 요부 분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가 프레임에 장착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의 작동 상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100)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100)는 고주파 발진기(101)와 유도코일(116)을 포함한다.
고주파 발진기(101)(High-Frequency Oscillator)는 100,000 Hz 이상의 높은 주파수를 갖는 교류 전류를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본 발명에서는 후술하는 유도코일(116)에 고주파 전류를 공급하기 위해 구비된다.
유도코일(116)은 상기 고주파 발진기(101)로부터 고주파 전류를 인가받아 모바일 단말기(1)의 바디프레임(2)을 유도가열 방식으로 선택적 가열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의 바디프레임(2)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접착재(5)를 용융시키기 위한 것이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착재(5)는 바디프레임(2)의 내측면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디프레임(2)의 내측면 단차부와 터치윈도우(4)의 가장자리 사이에 도포된다.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기(1)의 바디프레임(2)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을 분리시 디스플레이 모듈 전면에 직접 열을 가하여 바디프레임(2)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접착재(5)를 용융시키는 방식을 채택하였는바, 이러한 방식에 따르면 접착재(5) 용융에 걸리는 시간이 매우 길고, 고온에 의해 디스플레이 모듈 및 구동 회로의 손상을 야기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최근 출시되는 대부분의 모바일 단말기(1)들의 바디프레임(2)이 금속재로 구성되어 있다는 점에 착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의 전면에서 직접 가열하는 방식을 버리고 금속재 바디프레임(2)만을 가장자리 외측 둘레에서 유도가열 방식으로 선택적으로 가열함으로써, 디스플레이 모듈 및 구동 회로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였다.
이를 위해,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의 바디프레임(2) 외측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유도코일(116)이 폐루프를 형성하도록 절곡 배치하고, 유도코일(116)의 양단부를 고주파 발진기(101)에 연결하여 고주파 전류가 유도코일(116)을 따라 흘러감에 따라 전자유도 현상에 의해 코일 내측에 배치된 모바일 단말기(1)의 금속재 바디프레임(2)이 가열된다. 주지의 사실과 같이, 전자유도 현상은 금속에 대해서만 발생하므로, 금속재가 아닌 터치윈도우(4)와 LCD(3) 등 디스플레이 모듈에는 직접적으로 열을 가하지 않고, 금속재인 바디프레임(2)만이 선택적으로 가열된다. 이에 따라, 바디프레임(2)의 내측 단차부에 도포된 접착재(5)가 용융된다. 이와 같이, 유도가열 방식으로 바디프레임(2)이 선택적으로 가열되고 유도코일(116)이 바디프레임(2)의 둘레 외측에 배치되므로, 디스플레이 모듈과 그 구동회로가 열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고주파에 의한 유도가열 방식은 온도 상승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에, 수초 내지 수십초 이내에 신속하게 접착재(5)의 용융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유도코일(116)이 모바일 단말기(1)의 외측 가장자리 둘레에 배치되도록 유도코일(116)과 모바일 단말기(1)를 각각 지지하는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지지 수단으로서, 히팅블럭(110), 상지그(130) 및 하지그(120)를 더 포함한다. 도 3 에는 이러한 히팅블럭(110), 상지그(130) 및 하지그(120)가 서로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 에는 그것들의 분해도가 도시된다.
히팅블럭(110)은 내측에 모바일 단말기(1)를 수용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1) 외측 가장자리 둘레에 유도코일(116)이 배치되도록 고정 지지하는 것으로, 블럭본체(112)와 상부커버(114)를 포함한다.
블럭본체(112)는 중앙 내측에 모바일 단말기(1)의 가장자리 윤곽 형상에 상응하도록 대체로 사각 형상의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 외측에는 유도코일(116)이 배치된다. 이 때, 상기 유도코일(116)이 안정적으로 안착 배치될 수 있도록, 개구 가장자리 외측부에 오목한 코일안착홈(112b)이 형성된다.
상부커버(114)는 중앙에 상기 블럭본체(112)의 개구와 상응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본체(112)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블럭본체(112)의 코일안착홈(112b)에 안착 배치된 유도코일(116)을 고정 지지한다. 상기 블럭본체(112)와 상부커버(114)는 내측에 유도코일(116)이 안착 배치된 상태에서 상호 볼트 등의 체결구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 결합된다.
한편, 상기 블럭본체(112)와 상부커버(114)의 일측에는 유도코일(116)의 양단부가 외부로 인출되도록 인출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히팅블럭(110),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블럭본체(112)의 하측에는 하지그(120)가 구비된다. 상기 하지그(120)는 모바일 단말기(1)를 하측에서 파지 고정하는 것으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블럭본체(112)의 중앙 개구에 상응하는 형상과 크기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부에는 제1흡착패드(122)가 구비된다. 상기 제1흡착패드(122)는 도시되지 않은 진공장치와 연결되어 모바일 단말기(1)의 후면을 흡착하여 파지 고정한다.
상기 하지그(120)는 위와 같이 모바일 단말기(1)의 후면을 흡착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1)의 바디프레임(2)을 히팅블럭(110)에 배치된 유도코일(116)과 같은 높이로 나란히 배치하기 위해 승강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도 3 및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지그(120)의 하측에는 제1승강부재(140)가 구비된다. 상기 제1승강부재(140)는 에어실린더로 구성되고, 실린더 로드 말단이 상기 하지그(120)의 하부에 고정 결합되어 상기 하지그(120)를 수직으로 승강시킨다.
한편, 상기 히팅블럭(110)의 상측에는 상지그(130)가 구비된다. 상기 상지그(130)는 모바일 단말기(1) 전면의 디스플레이 모듈을 파지하는 것으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윤곽이 상기 히팅블럭(110)(상부커버(114)와 블럭본체(112))의 중앙 개구 형상과 크기에 상응하게 형성되고, 하면에는 모바일 단말기(1)의 전면 디스플레이 모듈을 흡착 파지하기 위한 제2흡착패드(132)가 구비된다.
상기 상지그(130)는 유도코일(116)에 고주파 전류가 인가되어 모바일 단말기(1)의 바디프레임(2)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접착재(5)가 용융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을 상방으로 들어올려 바디프레임(2)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 모듈을 파지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상승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상지그(130)의 상측에는 제2승강부재(150)가 결합된다. 상기 제2승강부재(150) 또한 에어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 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는 제3승강부재(1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제3승강부재(160)는 상지그(130) 및 제2승강부재(150)를 함께 승강시키기 위한 것으로, 에어실린더로 구성되되, 상기 상지그(130) 상부에 결합된 제2승강부재(150)의 상측에 수직으로 배치된다. 상기 제3승강부재(160)의 실린더 부분은 제1플레이트(161)에 고정 거치되며, 실린더로드는 제1플레이트(161)의 하측에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된 제2플레이트(162)의 상면에 고정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제2플레이트(162)의 하부면에는 상지그(130)와 결합된 제2승강부재(150)가 고정 결합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3승강부재(160)의 작동에 의해 상기 제2플레이트(162)와 거기에 결합된 제2승강부재(150) 및 상지그(130)가 함께 승강 이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히팅블럭(110)은 하방에서 제3플레이트(163) 상에 안착된 상태로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제3플레이트(163)의 하측에는 제4플레이트(164)가 배치된다. 상기 제3플레이트(163)와 제4플레이트(164)에는 제1승강부재(140)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는 하지그(120)가 통과될 수 있도록 개구(미도시)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3승강부재(160)는 제4플레이트(164)의 하측에서 하지그(120)와 결합되고,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브라켓에 의해 지지된다.
여기서, 상기 제1플레이트(161)와 제4플레이트(164) 사이에는 제1승강부재(140), 상지그(130), 하지그(120)가 배치 및 작동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 위해 봉 형상의 스페이서(165)가 좌우 양측에 각각 2개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3플레이트(163)의 가장자리 네 모서리 부근에는 각각 봉 형상의 승강가이드(166)가 수직으로 돌출 결합되고, 상기 승강가이드(166)의 상단부는 상기 제2플레이트(162)의 가장자리 네 모서리 부분에 관통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제1플레이트(161)와 제2플레이트(162) 사이의 각 승강가이드(166) 외주면에는 스프링(167)이 결합된다. 상기 스프링(167)은 제3승강부재(160)의 팽창 작동에 따라 제2플레이트(162)와 거기에 결합된 제2승강부재(150) 및 상지그(130)가 하강하는 경우 완충 작용을 함과 아울러 제3승강부재(160)의 수축 작동에 따라 제2플레이트(162)와 제2승강부재(150) 및 상지그(130)가 상승하는 경우 상방으로 원활하게 복귀되도록 탄성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0)에 장착 설치되며, 상기 스탠드(10)의 하부에는 캐스터(12)가 구비되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의 작동 관계를 도 6 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을 분리하기 위하여, 최초, 도 6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지그(120)의 상측에 모바일 단말기(1)를 올려놓은 상태에서 12흡착패드(122)로 모바일 단말기(1)의 후면을 흡착하여 파지 고정한다. 그 상태에서 상기 제1승강부재(140)를 팽창시켜 하지그(120) 및 모바일 단말기(1)를 상승시킨다. 이때, 상기 모바일 단말기(1)의 프레임바디 외측면이 히팅블럭(110)에 배치된 유도코일(116)과 나란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이 경우 상기 제3승강부재(160)는 수축된 상태로 제2승강부재(150)와 상지그(130)가 모바일 단말기(1)로부터 상측으로 이격 분리된 상태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도 6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지그(130)가 하측으로 하강된 상태여도 무관하다.
현 상태에서 고주파 발진기(101)를 작동시켜 유도코일(116)에 고주파 전류를 인가한다. 그러면, 전자기 유도 현상에 의해 모바일 단말기(1)의 금속재 프레임바디 부분이 가열되고, 발생된 열이 접착재(5) 도포 부위로 전달됨에 따라 접착재(5)가 용융되기 시작한다.
접착재(5)의 용융이 진행되면, 도 6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승강부재(160)가 팽창 작동하여 제2승강부재(150)와 상지그(130)를 하강시킨다. 그 다음, 제2승강부재(150)가 팽창 작동하여 상지그(130)를 다시 하방으로 가압하여 제2흡착패드(132)가 모바일 단말기(1)의 디스플레이 모듈, 보다 구체적으로 터치윈도우(4) 전면에 접촉되어 흡착 파지 고정하도록 한다.
그 다음, 접착재(5)의 용융이 거의 완료되면, 제2승강부재(150)와 제3승강부재(160)를 다시 수축시킴으로써 상지그(130)가 디스플레이 모듈을 흡착 파지한 상태에서 상방으로 들어올리도록 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1승강부재(140)를 수축 작동시켜 모바일 단말기(1)의 바디프레임(2)을 흡착 파지한 상태에서 하방으로 잡아 당겨준다. 그러면, 바디프레임(2)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접착재(5)가 거의 용융되어 접착력을 잃었기 때문에 터치윈도우(4)와 LCD(3)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모바일 단말기(1)의 바디프레임으로부터 쉽게 분리된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1 : 모바일 단말기 2 : 바디프레임
2a : 격판 3 : LCD
4 : 터치윈도우 5 : 접착재
6 : 후방커버 10 : 스탠드
12 : 캐스터 100 :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101 : 고주파 발진기 110 : 히팅블럭
112 : 블럭본체 112a : 인출홈
114 : 상부커버 114a : 인출홈
116 : 유도코일 120 : 하지그
122 : 제1흡착패드 130 : 상지그
132 : 제2흡착패드 140 : 제1승강부재
150 : 제2승강부재 160 : 제3승강부재
161 : 제1플레이트 162 : 제2플레이트
163 : 제3플레이트 164 : 제4플레이트
165 : 스페이서 166 : 승강가이드
167 : 스프링

Claims (6)

  1. 고주파 발진기(101)와;
    모바일 단말기(1)의 금속재 바디프레임(2) 외측 둘레에 배치되며, 상기 고주파 발진기(101)로부터 고주파 전류를 인가받아 모바일 단말기(1)의 바디프레임(2)을 유도가열 방식으로 선택적 가열함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의 바디프레임(2)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접착재(5)를 용융시키는 유도코일(116)과;
    중앙 내측에 모바일 단말기(1)의 가장자리 윤곽 형상에 상응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개구의 가장자리 외측에 유도코일(116)이 안착 배치되는 코일안착홈(112b)이 형성된 블럭본체(112)와;
    중앙에 상기 블럭본체(112)의 개구와 상응하는 개구가 형성되고, 상기 블럭본체(112)의 상측에 결합되어 상기 블럭본체(112)의 코일안착홈(112b)에 안착 배치된 유도코일(116)을 고정 지지하는 상부커버(114)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1)를 하측에서 파지하는 하지그(120)와;
    상기 하지그(120)를 승강시키기 위한 제1승강부재(140)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1)의 상측에서 디스플레이 모듈을 파지하는 상지그(130)와;
    상기 모바일 단말기(1)의 바디프레임(2)과 디스플레이 모듈 사이의 접착재(5) 용융시 상지그(130)를 상승시켜 디스플레이 모듈을 바디프레임(2)으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한 제2승강부재(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하지그(120)의 상부에는 모바일 단말기(1)를 흡착 파지하기 위한 제1흡착패드(122)가 구비되고, 상기 상지그(130)의 하부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흡착 파지하기 위한 제2흡착패드(132)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승강부재(140)와 제2승강부재(150)는 에어실린더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상지그(130)와 제2승강부재(150)를 승강시키는 제3승강부재(1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KR1020170076339A 2017-06-16 2017-06-16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KR1019592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339A KR101959250B1 (ko) 2017-06-16 2017-06-16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339A KR101959250B1 (ko) 2017-06-16 2017-06-16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123A KR20180137123A (ko) 2018-12-27
KR101959250B1 true KR101959250B1 (ko) 2019-03-18

Family

ID=649529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339A KR101959250B1 (ko) 2017-06-16 2017-06-16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92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4253B (zh) * 2021-08-25 2022-11-08 联宝(合肥)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屏幕拆解治具及拆解方法
CN114505326B (zh) * 2022-01-06 2023-07-21 广州巽文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智能卡芯片回收处理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1654A (ja) * 2005-12-22 2007-07-05 Pioneer Electronic Corp パネルの分離方法及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8772A (ko) 2010-01-29 2011-08-04 (주) 에스티에스 터치스크린패널의 디스플레이 모듈 재생을 위한 광학투명접착제 분리제거 장치 및 그 방법
KR101407932B1 (ko) 2013-11-04 2014-06-19 주식회사 제이텍 진공을 이용한 터치스크린패널의 재생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71654A (ja) * 2005-12-22 2007-07-05 Pioneer Electronic Corp パネルの分離方法及び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123A (ko)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472963B1 (ja) 高温用真空プレス装置
KR101959250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JP6022425B2 (ja) ワークを湾曲状に貼合する貼合装置、および貼合方法
KR101801559B1 (ko) 곡면패널 부착장치
CN113226768A (zh) 保护膜贴附装置
CN109290988A (zh) 一种手机配件自动化组装定位和吸附支撑装置及其治具
CN104889931A (zh) 一种电子设备拆卸装置及拆卸方法
KR101175679B1 (ko) 글라스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N106827768B (zh) 曲面贴合设备及其贴合方法
KR101614813B1 (ko) 필름소재의 에지부를 케이스의 전면 테두리부에 접착시킬 수 있는 에지부 접착유닛을 구비한 필름접착용 열융착 장치
CN105275935B (zh) 显示屏与边框热压粘合装置及其模板更换方法
KR101638579B1 (ko) 유리기판 성형 장치
CN207101030U (zh) 一种艺术设计作品展示栏
CN211276182U (zh) 一种具有缓冲保护功能的冲压模具
KR20220000151A (ko) 보호 필름 부착 장치
JP2015135903A5 (ko)
CN107097175A (zh) 拆卸治具及其使用方法
KR20210002160U (ko)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
TWM521262U (zh) 半導體元件壓合機
KR101276263B1 (ko) 전자기기의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윈도우와 디스플레이 패널의 분리방법
KR102222762B1 (ko)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JP2018065642A (ja) トレイ分離装置
CN112518656B (zh) 一种显示屏分离装置
CN113070840A (zh) 拆屏装置
CN217414981U (zh) 一种触摸屏压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