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762B1 -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 Google Patents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762B1
KR102222762B1 KR1020190081854A KR20190081854A KR102222762B1 KR 102222762 B1 KR102222762 B1 KR 102222762B1 KR 1020190081854 A KR1020190081854 A KR 1020190081854A KR 20190081854 A KR20190081854 A KR 20190081854A KR 102222762 B1 KR102222762 B1 KR 1022227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sorption
smartphone
front panel
smart phone
back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18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35104A (ko
Inventor
권오성
안승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테크
Priority to CN201910747900.5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1975701A/zh
Publication of KR202001351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1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7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7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49Details of the mechanical connection between the housing parts or relating to the method of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개시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가 장치 프레임 부재와,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와, 흡착 부재와, 가열 부재와, 흡착 승강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올려놓기만 하면,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전면 패널과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자동으로 분리되어 인출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가 수작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완료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휘는 등 손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Automatic separating apparatus of smartphone front panel and backcover}
본 발명은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smartphone)은 휴대 전화에 여러 컴퓨터 지원 기능을 추가한 지능형 단말기를 말하는 것으로, 사용자가 원하는 응용 프로그램(앱)을 설치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스마트폰은 일반적으로 그 프레임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를 위한 전면 패널이 장착되고, 그 프레임의 후면에 백커버가 장착되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사이 부분에 배터리, 회로 기판 등이 내장된다.
이러한 스마트폰의 액정 수리, 배터리 교체 등 상기 스마트폰의 내부에 대한 접근이 필요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의 후면을 덮는 상기 백커버 및/또는 상기 스마트폰의 전면을 덮는 상기 전면 패널을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해주어야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할 마땅한 장치가 없어서,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고 있는 실정이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작업 효율이 떨어짐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가 떨어지는 경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휘는 등 손상이 발생될 위험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원의 출원인이 이미 출원하여 특허등록받은 아래 제시된 특허문헌의 그 것처럼, 스마트폰 자동 분리 장치가 제시되었으나, 이러한 스마트폰 자동 분리 장치에 의하더라도, 작업자의 수작업이 많이 개입되어야 하였고, 그에 따라 위와 같은 문제의 개선이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 10-1791525호, 등록일자: 2017.10.24., 발명의 명칭: 스마트폰 자동 분리 장치
본 발명은 스마트폰의 프레임으로부터 전면 패널과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분리시켜줄 수 있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일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는 스마트폰 프레임,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의 전면에 접착되어 있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의 후면에 접착되어 있는 백커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이 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 프레임 부재; 상기 스마트폰의 거치나 회수를 위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공정 수행을 위해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 부재;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접착시킨 접착제가 일정 수준 녹을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을 가열해줄 수 있는 가열 부재; 및 상기 가열 부재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접착시킨 상기 접착제가 일정 수준 녹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흡착된 상태의 상기 흡착 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흡착 승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이 얹혀질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가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과,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로 전달하는 스마트폰 거치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전면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출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이 그 위에 얹힐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에 의하면,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가 장치 프레임 부재와,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와, 흡착 부재와, 가열 부재와, 흡착 승강 부재를 포함함에 따라, 스마트폰을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올려놓기만 하면,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전면 패널과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자동으로 분리되어 인출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가 수작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완료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휘는 등 손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를 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에 대한 확대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에 대한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전면의 아래에서 비스듬히 올려다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에서 흡착 덮개가 제거된 상태로 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C에 대한 확대도.
도 9는 도 7에 도시된 C의 단면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에서 흡착 덮개가 제거된 상태로 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흡착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를 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B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을 전면의 아래에서 비스듬히 올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에서 흡착 덮개가 제거된 상태로 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C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7에 도시된 C의 단면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의 내부 구성에서 흡착 덮개가 제거된 상태로 전면의 위에서 비스듬히 내려다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10을 함께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100)는 스마트폰 프레임(12),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전면에 접착되어 있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후면에 접착되어 있는 백커버(11)를 포함하는 스마트폰(10)이 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 프레임 부재(110)와,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와, 흡착 부재(150)와, 가열 부재(160)와, 흡착 승강 부재(170)를 포함한다.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는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100)의 골격을 이루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그 내부가 빈 육면체 형태로 형성되되, 그 상단이 개방된 형태를 이룬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는 상기 스마트폰(10)의 거치나 회수를 위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공정 수행을 위해 상기 스마트폰(10)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와,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과, 스마트폰 거치 동력 전달 수단(132)을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10)이 얹혀질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전면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출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10)이 그 위에 얹힐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스마트폰(10)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입될 수 있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브러시리스 모터(BLDC motor)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고,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에 고정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 동력 전달 수단(132)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로 전달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상기 스마트폰 거치 동력 전달 수단(132)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의 회전축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 회전축(133)과,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회전축(133) 상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134)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의 저면을 따라 일정 길이 형성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134)와 맞물리는 랙 기어(135)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의 회전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회전축(133) 및 상기 피니언 기어(134)도 같은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랙 기어(135)가 전진되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로부터 인출될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의 회전축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회전축(133) 및 상기 피니언 기어(134)도 같은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랙 기어(135)가 후진되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는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부(1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부(140)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에 얹혀진 상기 스마트폰(10)의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집어 고정시킬 수 있는 것으로, 한 쌍의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와,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과,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전달 수단(143)을 포함한다.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에 얹혀진 상기 스마트폰(10)의 양 방향에서 접근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서로 마주보는 두 면을 각각 집는 것이다.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는 각각 일정 길이로 긴 바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접하는 면에는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각 말단부가 삽입될 수 있는 V자 형태 등의 홈이 형성된다.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은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에 얹혀진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집을 수 있도록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브러시리스 모터가 그 예로 제시될 수 있고,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에 고정된다.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이 브러시리스 모터로 제시되면,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집는 압력이 정밀하게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전달 수단(143)은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향해 각각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로 전달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전달 수단(143)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의 회전축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과,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이 각각 관통하고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가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를 포함한다.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의 외면에서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가 맞물리는 각 부분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의 각 관통 홀 내면에는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의 각 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된다. 그러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이 회전될 때,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서로 근접되거나 서로 이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이 회전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도 같은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가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각 면을 집을 수 있게 된다.
반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의 회전축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144)도 같은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145)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각 면을 집은 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착 부재(150)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10)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할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흡착 부재(150)는 흡착 덮개(151)와, 흡착 회전축(152)과, 흡착 접촉체(153)와,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을 포함한다.
상기 흡착 덮개(151)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개방된 상단을 개폐시킬 수 있는 것으로, 일정 면적의 플레이트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흡착 덮개(151)의 전면부에는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의 후술되는 흡착 승강체(171)의 상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체 연결부(155)가 형성된다.
상기 흡착 회전축(152)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상단을 상기 흡착 덮개(151)가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에 상기 흡착 덮개(151)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흡착 회전축(152)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가 진출되는 전면이 아닌 후면부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흡착 덮개(151)를 연결시키고, 그에 따라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가 진출되는 전면을 향해 개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착 접촉체(153)는 상기 흡착 덮개(151)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를 향하는 면인 저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 거치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10)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흡착을 위해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흡착 접촉체(153)는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그 상단 및 그 하단이 개방된 사다리꼴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져서, 상기 흡착 접촉체(153)가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면서 눌리면, 상기 흡착 접촉체(153)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은 상기 흡착 접촉체(153)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접촉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되도록 부압(negative pressure)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부압 형성 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밀착된 상기 흡착 접촉체(153)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임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밀착된 상기 흡착 접촉체(153)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각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에는 각각 개폐 밸브(미도시)가 부착되어, 상기 각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이 개별적으로 개폐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흡착 접촉체(153)는 복수 개로 배치되되, 서로 이웃하도록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은 상기 각 흡착 접촉체(153)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형성됨으로써, 상기 각 흡착 접촉체(153)는 서로 독립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흡착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흡착 접촉체(153) 중 특정의 것들이 활성화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하게 된다.
즉, 상기 스마트폰(10)의 기종에 따른 상기 백커버(11) 자체의 형태, 상기 백커버(11)에 형성된 카메라의 위치 형태 등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흡착 접촉체(153) 중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 중 평평한 면과 접하게 되는 특정의 것들 내에 형성된 상기 각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을 통해서만 부압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10)의 기종에 따른 상기 백커버(11) 자체의 형태, 상기 백커버(11)에 형성된 카메라의 위치 형태 등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에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흡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흡착 승강체(171)가 하강되면, 상기 흡착 덮개(151)도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흡착 접촉체(153)도 하강되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 상에 거치된 상기 스마트폰(10)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에 상기 흡착 접촉체(153)가 탄성 변형되어 눌리면서 밀착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부압 형성 펌프가 작동되어, 상기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을 통해 부압이 걸리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흡착 접촉체(153) 사이의 공기가 외부로 빠져나가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흡착 접촉체(153) 사이의 공간에 부압이 형성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 고정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 승강체(171)가 상승되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열 부재(160)는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를 접착시킨 접착제가 일정 수준 녹을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10)을 가열해줄 수 있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가열 부재(160)는 발열체(161)와, 열풍 형성 수단(162)과, 열풍 공급 노즐(163)을 포함한다.
상기 발열체(161)는 열기를 발산하는 것으로서,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발열하는 니크롬선 등의 일반적인 발열 수단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은 상기 발열체(161)에서 발산되는 상기 열기를 이용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팬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은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에 의해 형성된 상기 열풍을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으로 불어주는 것이다.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후면을 관통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측을 향하는 부분이 점진적으로 확장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그러면,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열풍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측으로 확산되면서 퍼지게 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측 공간이 상대적으로 더 신속하게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발열체(161)는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 중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외측에 해당되는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은 상기 발열체(161)의 외측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발열체(161)에서 발열이 이루어지는 상태에서,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이 작동됨으로써,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에 의해 유동되는 외부 공기가 상기 발열체(161)를 통과하면서 상기 열풍이 되고, 상기와 같이 형성된 상기 열풍이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을 통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으로 확산됨으로써,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이 전체적으로 데워지게 된다.
상기 스마트폰(10)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 거치된 상태로 인입되어 있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이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열풍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열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접착시킨 상기 접착제가 녹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열 부재(160)가 상기 열풍을 형성 및 공급하여, 상기 스마트폰(10)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 거치된 상태로 인입되어 있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이 전체적으로 상기 열풍에 의해 가열되는 방식으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접착시킨 상기 접착제가 녹게 됨으로써, 열선 히터에서 발열된 열이 상기 흡착 접촉체(153)를 통한 전도 방식의 열전달에 의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에 전달되는 방식에 비해, 열전달 효율이 매우 우수하게 되고, 실리콘 등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흡착 접촉체(153)의 열손상이 방지될 수 있으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가열되어 상기 접착제가 균일하게 녹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100)는 온도 감지 부재(101)를 더 포함한다.
상기 온도 감지 부재(101)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전면부 내측 등에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온도 감지 부재(101)에서 감지되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요구되는 온도값이 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체(161)와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이 제어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는 상기 가열 부재(160)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접착시킨 상기 접착제가 일정 수준 녹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흡착된 상태의 상기 흡착 부재(150)를 상승시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는 흡착 승강체(171)와,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173)과,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174)을 포함한다.
상기 흡착 승강체(171)는 상기 흡착 덮개(151)에서 상기 흡착 회전축(152)이 연결된 부분과 다른 부분, 여기서는 상기 흡착 덮개(151)의 전면부에 형성된 상기 승강체 연결부(155)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기 흡착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덮개(151)를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것이다.
상기 흡착 승강체(171)의 상부에는 흡착 회동체(172)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흡착 회동체(172)와 상기 승강체 연결부(155)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흡착 승강체(171)의 승강 시에, 상기 흡착 승강체(171)와 상기 흡착 덮개(151)가 이루는 사잇각이 가변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착 승강체(171)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전면부를 따라 승강되는 형태로 이동된다.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173)은 상기 흡착 승강체(171)가 승강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유압 실린더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고,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에 고정된다.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174)은 상기 흡착 승강체(171)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173)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흡착 승강체(171)에 전달하는 것이다.
더욱 상세히,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174)은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173)에 의해 승강되고, 상기 흡착 승강체(171)가 그 말단부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바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173)이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174)을 상승시키면, 상기 흡착 승강체(171)도 상승하게 되어, 상기 흡착 덮개(151)의 전면부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기 흡착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상단을 열게 된다.
반면,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173)이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174)을 하강시키면, 상기 흡착 승강체(171)도 하강하게 되어, 상기 흡착 덮개(151)의 전면부가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기 흡착 회전축(152)을 중심으로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상단을 닫게 된다.
한편,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100)는 걸림 부재(180)를 더 포함한다.
상기 걸림 부재(180)는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승되었던 상기 흡착 덮개(151)가 하강될 때,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되어 있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가 걸리는 것이다.
상세히, 상기 걸림 부재(180)는 걸림 몸체(181)와, 걸림 돌기(182)와, 걸림 탄성체(183)를 포함한다.
상기 걸림 몸체(181)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서 전면부에서 상방으로 일정 길이 돌출되는 것으로, 상기 걸림 돌기(182)가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홀이 그 내부에 형성된다.
상기 걸림 돌기(182)는 상기 걸림 몸체(181)에서 돌출되거나, 상기 걸림 몸체(181)의 상기 수용 홀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걸림 몸체(181)는 T자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 돌기(182)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각 걸림 돌기(182)가 그 상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지점에서 안정적으로 지지된다.
상기 걸림 탄성체(183)는 상기 걸림 몸체(181)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걸림 돌기(182)가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수용 홀의 말단부에 삽입되는 압축 스프링 등이 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걸림 돌기(182) 중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와 대면되는 부분은 그 하단으로부터 그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상기 걸림 몸체(181)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승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182)가 그 하단부터 점진적으로 눌리게 되면서, 상기 걸림 돌기(182)가 상기 걸림 몸체(181)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승 중인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걸림 돌기(182)에 걸리지 아니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걸림 탄성체(183)는 눌리면서 복원력을 축적하게 된다.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한 상기 흡착 부재(150)의 상승이 지속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걸림 돌기(182)를 지나가게 되면, 상기 걸림 탄성체(183)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182)가 상기 걸림 몸체(181)에서 돌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승되었던 상기 흡착 덮개(151)가 하강될 때,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되어 있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걸림 돌기(182)의 돌출된 상단에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분리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임의로 다시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에 접촉되지 않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100)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승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상단이 열린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이 작동되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외부로 인출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 상에 상기 스마트폰(10)이 놓인다. 이 때, 상기 전면 패널을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이 정자세인 상태, 즉 상기 전면 패널이 위를 향하는 상태로 놓이고, 상기 백커버(11)를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하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폰(10)이 뒤집어진 상태, 즉 상기 백커버(11)가 위를 향하는 상태로 놓인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이 작동되어, 상기 스마트폰(10)이 놓인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인입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142)이 작동되어,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141)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의 양 측을 집어 고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기 흡착 덮개(151)가 닫히게 된다. 그러면, 상기 흡착 접촉체(153)가 상기 스마트폰(10)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에 밀착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 부압 형성 노즐(154)을 통해 부압이 걸리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과 상기 흡착 접촉체(153) 사이에 부압이 걸리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흡착 고정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발열체(161)와 상기 열풍 형성 수단(162)이 작동되면, 상기 열풍이 형성되어 상기 열풍 공급 노즐(163)을 통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로 공급되고, 그에 따라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내부 공간이 전체적으로 가열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과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을 접착시켜주던 상기 접착제가 녹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가열 부재(160)의 작동이 중지되고,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기 흡착 덮개(151)가 상승하게 되면, 상기 흡착 접촉체(153)에 여전히 흡착 고정된 상태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되어 상승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은 상기 걸림 부재(180)를 지나치고 걸리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한 상기 흡착 덮개(151)의 상승이 완료되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분리된 상태가 되고, 상기 걸림 부재(180)는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에 의해 상기 흡착 덮개(151)가 하강되는데, 이러한 하강 과정에서, 상기 흡착 부재(150)에 흡착 고정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걸림 부재(180)에 걸리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흡착 부재(150)에 걸려있던 부압이 해제되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흡착 접촉체(153)와 분리되지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걸림 부재(180)에 걸려 있기 때문에,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131)이 작동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분리된 상태의 상기 스마트폰(10)이 거치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130)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의 외부로 인출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위를 향하고 있는 것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과 분리된 상태의 상기 스마트폰(10)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100)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110)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와, 상기 흡착 부재(150)와, 상기 가열 부재(160)와, 상기 흡착 승강 부재(170)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10)을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120)에 올려놓기만 하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12)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자동으로 분리되어 인출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의 분리가 수작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완료될 수 있어서 작업 효율이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작업자의 숙련도와 무관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11) 중 적어도 하나가 휘는 등 손상 발생이 방지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러한 설명을 수행함에 있어서, 상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이미 기재된 내용과 중복되는 설명은 그에 갈음하고, 여기서는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를 구성하는 흡착 부재를 보이는 사시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는, 흡착 부재(250)가 흡착 덮개(251), 흡착 접촉체(253) 및 흡착 부압 형성 노즐(254)과 함께, 범용 적용 접촉체(256), 범용 적용 부압 형성 노즐(257) 및 범용 적용 부압 형성 유로(258)를 포함한다.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는 상기 흡착 덮개(251)에서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를 향하는 면인 저면 상에 형성되되, 상기 흡착 접촉체(253)와 나란히 배치되고,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된 스마트폰의 전면 패널과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흡착을 위해 접촉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는 실리콘 등 탄성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가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접촉하면서 눌리면,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가 탄성 변형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는 상기 흡착 접촉체(253)에 비해 상대적으로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어, 복수 개의 상기 흡착 접촉체(253)가 상기 스마트폰과 접촉되는 경우의 면적에 대응되는 면적을 단수 개의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가 커버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착 덮개(251)에는 단수 개의 상기 흡착 접촉체(253)와 단수 개의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의 형태, 예를 들어 카메라의 돌출 형태 등에 무관하게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가 상기 스마트폰에 접촉될 수 있게 되어, 상기 흡착 부재(250)가 상기 스마트폰에 범용적으로 적용되어 상기 스마트폰을 흡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노즐(257)은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에 접촉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에 흡착되도록 부압을 형성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노즐(257)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하부 공간에 배치되는 부압 형성 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밀착된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 내부의 공기를 빨아들임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밀착된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 내부에 부압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유로(258)는 상기 흡착 덮개(251) 중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의 내부에 해당되는 바닥 부분에 그루브(groove) 형태로 함몰 형성되고,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노즐(257)과 연통되는 것이다. 예시적으로,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유로(258)는 격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면, 상기 부압 형성 펌프의 작동에 따라,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노즐(257) 및 그 주변 부분에 상기 스마트폰의 일부가 흡착되더라도, 상기 범용 적용 부압 형성 유로(258)를 통해 상기 범용 적용 접촉체(256) 전체적으로 부압이 걸릴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흡착 부재(250)에 밀착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이러한 수정 및 변형 구조들은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되는 것임을 분명하게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에 의하면, 스마트폰의 프레임으로부터 전면 패널과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자동으로 분리시켜줄 수 있으므로, 그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높다고 하겠다.
100 :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110 : 장치 프레임 부재
120 :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
150 : 흡착 부재
160 : 가열 부재
170 : 흡착 승강 부재
180 : 걸림 부재

Claims (8)

  1. 스마트폰 프레임,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의 전면에 접착되어 있는 전면 패널 및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의 후면에 접착되어 있는 백커버를 포함하는 스마트폰이 거치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장치 프레임 부재;
    상기 스마트폰의 거치나 회수를 위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 인출되거나,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분리하기 위한 공정 수행을 위해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를 개폐시킬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할 수 있는 흡착 부재;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접착시킨 접착제가 일정 수준 녹을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을 가열해줄 수 있는 가열 부재; 및
    상기 가열 부재에 의해 가열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분리 가능하게,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접착시킨 상기 접착제가 일정 수준 녹은 상태에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흡착된 상태의 상기 흡착 부재를 상승시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는 흡착 승강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에 대해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고, 상기 스마트폰이 얹혀질 수 있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가 슬라이딩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과,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가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동력 제공 수단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로 전달하는 스마트폰 거치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전면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외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출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이 그 위에 얹힐 수 있는 상태가 되고, 상기 스마트폰이 거치된 상태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인입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에 얹혀진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집어 고정시킬 수 있는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부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에 얹혀진 상기 스마트폰의 양 방향에서 접근되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의 서로 마주보는 두 면을 각각 집는 한 쌍의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와,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가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체에 얹혀진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집을 수 있도록 이동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과,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향해 각각 이동될 수 있도록,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로 전달하는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의 회전축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형태를 이루는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과,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이 각각 관통하고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체가 각각 연결된 한 쌍의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의 외면에서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가 맞물리는 각 부분에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의 각 관통 홀 내면에는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의 각 나사산에 맞물릴 수 있는 나사산이 각각 형성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이 회전될 때,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어, 서로 근접되거나 서로 이격될 수 있게 되고,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이 회전축이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도 같은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가 서로 근접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의 각 면을 집을 수 있게 되고,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동력 제공 수단의 회전축이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회전축도 같은 타 방향으로 회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가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게 되어, 상기 각 스마트폰 프레임 고정 맞물림체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의 각 면을 집은 상태가 해제될 수 있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부재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상단을 개폐시킬 수 있는 흡착 덮개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상단을 상기 흡착 덮개가 개폐시킬 수 있도록,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에 상기 흡착 덮개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흡착 회전축과,
    상기 흡착 덮개에서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를 향하는 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되어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로 인입된 상기 스마트폰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흡착을 위해 접촉될 수 있는 흡착 접촉체와,
    상기 흡착 접촉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 흡착 접촉체에 접촉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에 흡착되도록 부압(negative pressure)을 형성시키기 위한 흡착 부압 형성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접촉체는 복수 개로 배치되되, 서로 이웃하도록 나란히 배열되고, 상기 흡착 부압 형성 노즐은 상기 각 흡착 접촉체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형태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흡착 접촉체 중 특정의 것들이 활성화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를 흡착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스마트폰의 기종에 따라, 복수 개의 상기 흡착 접촉체 중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 중 평평한 면과 접하게 되는 특정의 것들 내에 형성된 상기 각 흡착 부압 형성 노즐을 통해서만 부압이 걸리게 됨으로써, 상기 스마트폰의 기종에 무관하게 범용적으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흡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부재는
    열기를 발산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에서 발산되는 상기 열기를 이용하여 열풍을 형성하는 열풍 형성 수단과,
    상기 열풍 형성 수단에 의해 형성된 상기 열풍을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 공간으로 불어주는 열풍 공급 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폰이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 거치된 상태로 인입되어 있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 공간이 상기 열풍 공급 노즐을 통해 공급되는 상기 열풍에 의해 전체적으로 가열되면서,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을 접착시킨 접착제가 녹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감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온도 감지 부재에서 감지되는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내부 공간의 온도가 미리 설정된 요구되는 온도값이 될 수 있도록, 상기 발열체와 상기 열풍 형성 수단 중 적어도 하나의 작동이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 승강 부재는
    상기 흡착 덮개에서 상기 흡착 회전축이 연결된 부분과 다른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흡착 덮개가 상기 흡착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덮개를 밀어주거나 당겨주는 흡착 승강체와,
    상기 흡착 승강체가 승강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과,
    상기 흡착 승강체가 승강될 수 있도록,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에서 제공되는 동력을 상기 흡착 승강체에 전달하는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흡착 덮개의 전면부에는 상기 흡착 승강체의 상부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승강체 연결부가 형성되고,
    상기 흡착 승강체의 상부에는 흡착 회동체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흡착 회동체와 상기 승강체 연결부가 연결됨으로써, 상기 흡착 승강체의 승강 시에, 상기 흡착 승강체와 상기 흡착 덮개가 이루는 사잇각이 가변될 수 있게 되고,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은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에 의해 승강되고, 상기 흡착 승강체가 그 말단부에 연결된 일정 길이의 바아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이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을 상승시키면, 상기 흡착 승강체도 상승하게 되어, 상기 흡착 덮개의 전면부가 상승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흡착 덮개가 상기 흡착 회전축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흡착 덮개가 상기 장치프레임 부재의 상단을 열게 되고,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제공 수단이 상기 흡착 승강 동력 전달 수단을 하강시키면, 상기 흡착 승강체도 하강하게 되어, 상기 흡착 덮개의 전면부가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흡착 덮개가 상기 흡착 회전축을 중심으로 타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흡착 덮개가 상기 장치 프레임 부재의 상단을 닫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는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 승강 부재에 의해 상승되었던 상기 흡착 덮개가 하강될 때, 상기 흡착 접촉체에 흡착되어 있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의 말단부가 걸리는 걸림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부재는
    상기 스마트폰 거치 이동 부재에서 돌출되는 걸림 몸체와,
    상기 걸림 몸체에서 돌출되거나, 상기 걸림 몸체의 내부로 인입될 수 있는 걸림 돌기와,
    상기 걸림 몸체의 외측 방향으로 상기 걸림 돌기가 돌출될 수 있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걸림 탄성체를 포함하고,
    상기 걸림 몸체의 내부에는 상기 걸림 돌기가 인입되어 수용될 수 있는 수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걸림 몸체는 T자 형태로 돌출되고, 상기 걸림 돌기는 복수 개 구비되어, 상기 각 걸림 돌기가 그 상부에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됨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복수의 지점에서 지지되고,
    상기 걸림 돌기는 그 하단으로부터 그 상단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상기 걸림 몸체로부터 상대적으로 더 돌출되도록 경사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 승강 부재에 의해 상승되는 과정에서는,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가 눌리면서,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몸체의 내부로 인입되고,
    상기 흡착 승강 부재에 의한 상기 흡착 부재의 상승이 지속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걸림 돌기를 지나가게 되면, 상기 걸림 탄성체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걸림 돌기가 상기 걸림 몸체에서 돌출되고, 그에 따라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흡착 접촉체에 흡착된 상태로 상기 흡착 승강 부재에 의해 상승되었던 상기 흡착 덮개가 하강될 때, 상기 흡착 접촉체에 흡착되어 있던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걸림 돌기에 걸리게 되어, 상기 전면 패널과 상기 백커버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스마트폰 프레임과 분리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KR1020190081854A 2019-05-23 2019-07-08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KR1022227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910747900.5A CN111975701A (zh) 2019-05-23 2019-08-14 智能手机前面板及后盖的自动分离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060701 2019-05-23
KR1020190060701 2019-05-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104A KR20200135104A (ko) 2020-12-02
KR102222762B1 true KR102222762B1 (ko) 2021-03-04

Family

ID=7379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1854A KR102222762B1 (ko) 2019-05-23 2019-07-08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7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1561A (ko) 2020-10-19 2022-04-26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화재 억제 구조를 가지는 배터리 팩 하우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620Y1 (ko) * 2017-03-03 2017-09-29 임채열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1525B1 (ko) * 2016-02-04 2017-11-20 주식회사 한테크 스마트폰 자동 분리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4620Y1 (ko) * 2017-03-03 2017-09-29 임채열 모바일기기 분리지그 어셈블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104A (ko) 2020-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762B1 (ko)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KR101791525B1 (ko) 스마트폰 자동 분리 장치
US201001575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Thermal Interface for an Electronic Assembly
KR101614813B1 (ko) 필름소재의 에지부를 케이스의 전면 테두리부에 접착시킬 수 있는 에지부 접착유닛을 구비한 필름접착용 열융착 장치
KR102201339B1 (ko) 종이상자 제조 시스템
KR102279644B1 (ko) 보호필름 제거장치 및 보호필름 제거방법
KR102234234B1 (ko) 스마트폰 전면 패널 및 백커버의 자동 분리 장치
CN210283227U (zh) 一种全自动v法薄膜成型系统
CN105172310A (zh) 皮套压合机
CN111975701A (zh) 智能手机前面板及后盖的自动分离装置
CN106584873B (zh) 自动上胶塞装置
EP1801177A1 (en) Portable bonding device and bonding method
CN108433570B (zh) 一种新型的二合一烘烤装置
KR101959250B1 (ko) 디스플레이 모듈 분리 장치
CN104819518A (zh) 空调机组
CN109334023A (zh) 汽车扰流板压合装置
CN112423575B (zh) 一种用于led灯珠的高效贴片方法
CN210651920U (zh) 一种自动上料的热铆工装机
KR102222763B1 (ko) 수동 타입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 지그 장치 및 상기 수동 타입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 지그 장치에 적용되는 스마트폰 재조립 압착용 범용 패드
CN211119810U (zh) 水泵收纳结构及具有其的装置
CN206596959U (zh) 一种面包托架自动升降机构及多士炉
KR20210002160U (ko) 모바일기기 수리용 흡착형 분리장치
CN206549674U (zh) 一种吸头盒
CN111889842A (zh) 一种电子电气器件焊接组装装置
CN217336271U (zh) 拆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