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9157B1 -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9157B1
KR101959157B1 KR1020177027010A KR20177027010A KR101959157B1 KR 101959157 B1 KR101959157 B1 KR 101959157B1 KR 1020177027010 A KR1020177027010 A KR 1020177027010A KR 20177027010 A KR20177027010 A KR 20177027010A KR 101959157 B1 KR101959157 B1 KR 1019591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agement
control
torque
lock
clu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270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1246A (ko
Inventor
고헤이 가미야
도모아키 혼마
아키토 스즈키
야스히로 엔도
Original Assignee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2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91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18Propelling the vehicle
    • B60W30/18009Propelling the vehicle related to particular drive situations
    • B60W30/18072Co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41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of rate of change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38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of gear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16H61/143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2Clutches
    • B60W2510/0208Clutch engagement state, e.g. engaged or disengaged
    • B60W2510/0233Clutch engagement state, e.g. engaged or disengaged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2510/00Input parameters relating to a particular sub-units
    • B60W2510/06Combustion engines, Gas turbines
    • B60W2510/0657Engine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 F16H2059/186Co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3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 F16H59/46Inputs being a function of speed dependent on a comparison between speeds
    • F16H2059/465Detecting slip, e.g. clutch slip ratio
    • F16H2059/467Detecting slip, e.g. clutch slip ratio of torque conver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61/00Control functions within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Control of exclusively fluid gearing, friction gearing, gearings with endless flexible members or other particular types of gearing
    • F16H61/14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 F16H61/143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 F16H2061/146Control of torque converter lock-up clutches using electric control means for smoothing gear shift shock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14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 F16H59/18Inputs being a function of torque or torque demand dependent on the position of the accelerator ped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ntrol Of Fluid Gearings (AREA)

Abstract

액셀러레이터의 온 조작에 의하여 토크 컨버터(2)의 완전 걸림 결합 상태를 일단 해제한 후에 완전 걸림 결합 상태로 복귀시킬 때, 로크업 클러치(20)의 토크 전달 용량을 증대시키면서 슬립 걸림 결합에 의하여 내연 기관(1)의 회전을 상승시킨 후에 완전 걸림 결합 상태로 하는 제어의 실시 중에, 검출된 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차회전수가, 제어 개시 후 소정 시간 내에 제1 소정값(ΔN1) 이상으로 상승한 후에 제1 소정값보다도 작은 제2 소정값(ΔN2) 이하로 되어 있는 상태에서, 내연 기관(1)의 출력 토크의 증가가 판정되면, 증대시키고 있는 로크업 클러치(20)의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한다. 로크업 상태로의 과도 시에 있어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 복귀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저더 진동을 회피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차량에 장비되고, 로크업 클러치를 구비한 토크 컨버터를 갖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등의 차량의 자동 변속기에는, 엔진과 자동 변속 기구 사이에, 로크업 클러치를 구비한 토크 컨버터가 장비된 것이 있다. 이 로크업 클러치의 제어로서, 액셀러레이터 오프에 의한 코스트 주행 중의 로크업 시(소위, 코스트 로크업 시)에 액셀러레이터 온으로 된 경우에, 토크 전달 방향이 역전하는 역 토크의 작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큰 토크 쇼크를 회피하기 위하여, 로크업 클러치의 완전 걸림 결합(로크업)을 금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
일본 실용신안 출원 공개 소63-182352호 공보
그런데, 상기와 같이 코스트 로크업 시에 액셀러레이터 온으로 되어, 로크업 클러치의 완전 걸림 결합이 금지되면, 로크업 클러치를 완전 해방 또는 슬립 걸림 결합의 상태로 하여 토크 쇼크를 회피하게 되지만, 그 후에는, 로크업 클러치를 다시 완전 걸림 결합(드라이브 로크업)의 상태로 되도록 신속히 제어하는 것이 연비 향상에 있어서도 유효하다.
로크업 클러치가 해방 또는 슬립 걸림 결합된 상태에서 액셀러레이터가 온으로 되면, 엔진 회전수가 상승해 감과 함께, 엔진 토크가 토크 컨버터에 의하여 증폭되어 터빈 러너에 전달되어 가기 때문에, 터빈 러너의 회전수(터빈 회전수)도 상승해 가서 차량이 가속 또는 발진한다. 그 후, 로크업 클러치를 완전 걸림 결합시켜 가게 된다.
로크업 클러치가 해방 상태이면, 이를 걸림 결합시켜 가면, 로크업 클러치는 먼저 슬립 걸림 결합하고, 이것에 의하여 로크업 클러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엔진 회전수와 터빈 회전수의 차회전수)가 감소해 가고 그 후 완전 걸림 결합 상태로 이행한다. 단, 이 완전 걸림 결합 상태에 이르는 과정에서, 클러치 저더라 칭해지는, 차량의 전후 G가 진동하는 현상(저더 진동)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저더 진동의 발생 원인에는, 로크업 클러치의 마찰재의 정지 마찰 계수와 운동 마찰 계수의 차의 변동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저더 진동의 발생 원인에는, 상기 차회전수의 크기나, 엔진 토크와 로크업 클러치의 전달 토크 용량(로크업 클러치의 걸림 결합압에 대응함)의 관계를 들 수 있다.
예를 들어, 차회전수가 작아져 로크업 클러치가 완전 걸림 결합으로 되기 직전에,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 증가가 있어서 엔진 토크가 증가하면, 엔진 토크에 비하여 로크업 클러치의 전달 토크 용량이 부족해져, 원활한 완전 걸림 결합으로의 이행을 달성할 수 없어 저더 진동을 초래하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감안하여 창안된 것이며,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있어서, 로크업 상태로의 과도 시에 있어서 구동원의 토크 증가에 기인하여 발생하는 저더 진동을 회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는, 변속 기구와, 차량의 구동원인 내연 기관과 상기 변속 기구 사이에 설치되고 로크업 클러치를 구비한 토크 컨버터를 장비한 자동 변속기와,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자동 변속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을 구비한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이며, 상기 로크업 클러치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의 감속 시에 완전 걸림 결합 상태(코스트 로크업 상태)의 상기 로크업 클러치에 대하여 액셀러레이터의 온 조작에 의하여 상기 완전 걸림 결합 상태를 일단 해제한 후에 완전 걸림 결합 상태로 복귀시킬 때, 상기 로크업 클러치의 토크 전달 용량을 증대시키면서 슬립 걸림 결합 상태에 의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을 상승시킨 후에 완전 걸림 결합 상태로 하는 제1 걸림 결합 제어를 행하는 제1 걸림 결합 제어부와, 상기 제1 걸림 결합 제어의 슬립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차회전수가, 제어 개시 후 제1 소정값 이상으로 상승한 후에, 상기 토크 전달 용량의 증대에 의하여 상기 제1 소정값보다도 작은 제2 소정값 이하로 된 상태에서, 상기 토크 판정부에 의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 토크의 증가가 판정되면, 상기 증대시키고 있는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하는 제2 걸림 결합 제어를 행하는 제2 걸림 결합 제어부를 갖고 있다.
(2) 상기 제2 걸림 결합 제어부는, 상기 검출 차회전수가 상기 제1 소정값 이상으로 상승했는지 여부를, 상기 제1 걸림 결합 제어의 제어 개시 후의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판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 상기 제2 걸림 결합 제어부는, 상기 검출 차회전수의 상기 제1 소정값 이상으로의 상승이, 상기 소정 시간 내에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토크 판정부에 의하여 상기 토크의 증가가 판정되면, 상기 증대시키고 있는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하는 제2 걸림 결합 제어를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4) 상기 소정 용량은, 상기 토크의 증가 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5)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걸림 결합 제어 또는 상기 제2 걸림 결합 제어를 행하여, 상기 검출 차회전수가, 상기 제2 소정값보다도 작은 제3 소정값 이하로 되면,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이 최대로 되더라도, 상기 로크업 클러치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가 증대되지 않는 토크 전달 용량으로 되도록, 상기 증대시키고 있는 토크 전달 용량의 증대율을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차량 감속 시에 있어서의 로크업 클러치의 완전 걸림 결합 상태로부터 액셀러레이터의 온 조작에 의하여 일단 완전 걸림 결합 상태를 해제하고, 다시 슬립 걸림 결합 상태로부터 완전 걸림 결합 상태로 이행시키고 있을 때, 내연 기관의 회전이 상승(블로우 업)한 후, 로크업 클러치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가 근접해 있는 상태에서 내연 기관의 출력 토크가 증가되면, 입출력 요소 간의 마찰 상태의 변동(마찰력의 증감)에 의하여 진동(저더 진동)을 발생시킬 우려가 생기지만, 본 발명에 의하면, 이때는, 로크업 클러치의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하므로, 마찰 상태의 변동이 억제되어 저더 진동의 발생이 회피되어 로크업 클러치가 원활히 로크업한다.
또한, 제1 걸림 결합 제어에 의하여 슬립 걸림 결합에 의하여 로크업 클러치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를 부여하여 내연 기관의 회전을 상승시킬 때, 내연 기관의 회전이 충분히 상승하지 않은 상태에서, 즉, 로크업 클러치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가 커지지 않고 근접해 있는 상태에서, 내연 기관의 출력 토크가 증가된 경우에도, 상기 입출력 요소 간의 마찰 상태의 변동(마찰력의 증감)에 따라서 진동(저더 진동)을 발생시킬 우려가 생기지만, 이때도, 로크업 클러치의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하므로, 마찰 상태의 변동이 억제되어 저더 진동의 발생이 회피되어 로크업 클러치가 원활히 로크업한다.
또한, 상기 소정 용량이 내연 기관의 출력 토크의 증가 상태에 따라 설정되면, 마찰 상태의 변동을 보다 확실히 해소하여 로크업 클러치를 원활히 로크업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구동계와 제어계를 도시하는 전체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를 행하는 상황을 설명하는 타임 차트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를 설명하는 타임 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를 설명하는 타임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를 설명하는 타임 차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를 설명하는 타임 차트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에 의한 제어를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기재하는 실시 형태는 어디까지나 예시에 불과하며,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 명시하지 않은 다양한 변형이나 기술의 적용을 배제한다는 의도는 없다.
[1. 구성]
먼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가 적용된 차량의 구동계와 제어계의 구성을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변속 기구에, 벨트식 무단 변속 기구(이하, 배리에이터라고도 함)가 적용된 벨트식 무단 변속기(이하, 벨트식 CVT, 또는 간단히, CVT라고도 함)를 예시하지만, 변속 기구로서는, 토로이달식 등 그 외의 무단 변속 기구나, 유단 변속 기구를 적용할 수도 있다.
[1.1. 전체 시스템 구성]
도 1은,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차량의 구동계와 제어계를 도시하는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구동계는, 엔진(내연 기관)(1)과, 토크 컨버터(2)와, 전후진 전환 기구(3)와, 변속 기구로서의 배리에이터(4)와, 종감속 기구(5)와, 구동륜(6, 6)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토크 컨버터(2)와 전후진 전환 기구(3)와 배리에이터(4)와 종감속 기구(5)를 변속기 케이스 내에 수납함으로써 벨트식 무단 변속기(CVT)(100)가 구성된다.
엔진(1)에는, 스로틀 밸브 개폐 동작이나 퓨얼 컷 동작 등에 의하여 출력 토크 제어를 행하는 출력 토크 제어 액추에이터(10)가 장비된다. 이것에 의하여, 엔진(1)은, 드라이버에 의한 액셀러레이터 조작에 의한 출력 토크의 제어 이외에, 외부로부터의 엔진 제어 신호에 의한 출력 토크의 제어도 가능하게 되어 있다.
토크 컨버터(2)는, 토크 증대 기능을 갖는 발진 요소이며, 토크 증대 기능을 필요로 하지 않을 때는, 엔진 출력축(11)(=토크 컨버터 입력축)과 토크 컨버터 출력축(21)을 직결 가능한 로크업 클러치(20)를 갖고 있다. 이 토크 컨버터(2)는, 엔진 출력축(11)에 컨버터 하우징(22)을 개재하여 연결된 펌프 임펠러(23)와, 토크 컨버터 출력축(21)에 연결된 터빈 러너(24)와, 케이스에 원웨이 클러치(25)를 개재하여 설치된 스테이터(26)를 구성 요소로 한다.
또한, 로크업 클러치(20)는, 차량의 상태나 운전 상태에 따라 로크업 상태(완전 걸림 결합 상태)와, 언로크업 상태(완전 해방 상태)와, 슬립 로크업 상태〔클러치 미끄럼 걸림 결합 상태, 즉, 로크업 클러치의 입력측 회전 부재(입력측 요소)의 회전수와, 출력측의 회전 부재(출력측 요소)의 회전수에 차회전이 있지만, 입력측으로부터 출력측으로 토크가 전달되고 있는 상태. 슬립 걸림 결합 상태라고도 함〕 중 어느 하나로, 전환되어 제어된다.
이 전환 제어, 및 로크업 상태나 슬립 로크업 상태에서의 클러치 걸림 결합력, 즉, 클러치의 토크 전달 용량의 제어는, 로크업 클러치(20)에 공급하는 공급 유압의 제어에 의하여 행한다. 이 공급 유압이란, 로크업 클러치(20) 전후의 도시하지 않은 2개의 유실의 차압, 즉, 어플라이실의 토크 컨버터 공급압 Pa와 릴리즈실의 토크 컨버터 해방압 Pr의 차압(로크업 차압) ΔP(=Pa-Pr)를 의미하며,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슬립 걸림 결합도 포함함)을 제어한다는 점에서, 로크업 클러치 걸림 결합압 PLU라고도, 또는 간단히, 로크업압 PLU라고도 칭한다.
전후진 전환 기구(3)는, 배리에이터(4)로의 입력 회전 방향을 전진 주행 시의 정전 방향과 후퇴 주행 시의 역전 방향으로 전환하는 기구이다. 이 전후진 전환 기구(3)는, 더블 피니언식 유성 기어(30)과, 복수의 클러치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진 클러치(31)(전진측 마찰 걸림 결합 요소)와, 복수의 브레이크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후퇴 브레이크(32)(후퇴측 마찰 걸림 결합 요소)를 갖는다.
전진 클러치(31)는, D 레인지(드라이브 레인지) 등의 전진 주행 레인지의 선택 시에 전진 클러치압 Pfc에 의하여 걸림 결합된다. 후퇴 브레이크(32)는, 후퇴 주행 레인지인 R 레인지(후퇴 레인지)의 선택 시에 후퇴 브레이크압 Prb에 의하여 걸림 결합된다. 또한, 전진 클러치(31) 및 후퇴 브레이크(32)는, N 레인지(뉴트럴 레인지, 비주행 레인지)의 선택 시, 전진 클러치압 Pfc와 후퇴 브레이크압 Prb를 드레인함으로써, 모두 해방된다.
배리에이터(4)는, 벨트 접촉 직경의 변경에 의하여 변속기 입력 회전수와 변속기 출력 회전수의 비인 변속비를 무단계로 변화시키는 무단 변속 기능을 구비하고, 프라이머리 풀리(42)와, 세컨더리 풀리(43)와, 벨트(44)를 갖는다. 프라이머리 풀리(42)는, 고정 풀리(42a)와 슬라이드 풀리(42b)에 의하여 구성되고, 슬라이드 풀리(42b)는, 프라이머리압실(45)로 유도되는 프라이머리압 Ppri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세컨더리 풀리(43)는, 고정 풀리(43a) 및 슬라이드 풀리(43b)에 의하여 구성되고, 슬라이드 풀리(43b)는, 세컨더리압실(46)로 유도되는 세컨더리압 Psec에 의하여 축 방향으로 이동한다.
프라이머리 풀리(42)의 고정 풀리(42a) 및 슬라이드 풀리(42b)의 각 대향면인 시브면, 그리고 세컨더리 풀리(43)의 고정 풀리(43a) 및 슬라이드 풀리(43b)의 각 대향면인 시브면은, 모두 V자 형상을 이루며, 벨트(44)의 양측의 프랭크면은, 이들 각 시브면과 접촉한다. 슬라이드 풀리(42b, 43b)의 이동에 따라, 프라이머리 풀리(42) 및 세컨더리 풀리(43)로의 벨트(44)의 감김 반경이 변경됨으로써, 변속비가 변경된다.
종감속 기구(5)는, 배리에이터(4)의 변속기 출력축(41)으로부터의 변속기 출력 회전을 감속함과 함께 차동 기능을 부여하여 좌우의 구동륜(6, 6)에 전달하는 기구이다. 이 종감속 기구(5)는, 변속기 출력축(41)과 아이들러축(50)과 좌우의 드라이브축(51, 51) 사이에 개재 장착되며, 감속 기능을 갖는 변속기 출력축(41)에 설치된 제1 기어(52), 아이들러축(50)에 설치된 제2 기어(53), 및 제3 기어(54), 및 최종 감속 기어(55)와, 차동 기능을 갖는 차동 장치(56)를 갖는다.
차량의 제어계 중, 특히 CVT(100)의 제어계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압 컨트롤 유닛(7)과, CVT 전자 컨트롤 유닛(CVTECU)(8)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이 CVT 전자 컨트롤 유닛(8)과 정보를 수수하는 엔진 전자 컨트롤 유닛(엔진 ECU)(9)이 장비되어 있다. 또한, 각 전자 컨트롤 유닛(ECU: Electric Control Unit)(8, 9)은, 입출력 장치, 다수의 제어 프로그램을 내장한 기억 장치(ROM, RAM, BURAM 등), 중앙 처리 장치(CPU), 타이머 카운터 등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유압 컨트롤 유닛(7)은, 프라이머리압실(45)로 유도되는 프라이머리압 Ppri와, 세컨더리압실(46)로 유도되는 세컨더리압 Psec와, 전진 클러치(31)로의 전진 클러치압 Pfc와, 후퇴 브레이크(32)로의 후퇴 브레이크압 Prb와, 로크업 컨트롤 밸브(78)로의 솔레노이드압 Psol을 창출하는 제어 유닛이다. 이 유압 컨트롤 유닛(7)은, 오일 펌프(70)와, 유압 제어 회로(71)를 구비하고, 유압 제어 회로(71)는, 라인압 솔레노이드(72)와, 프라이머리압 솔레노이드(73)와, 세컨더리압 솔레노이드(74)와, 전진 클러치압 솔레노이드(75)와, 후퇴 브레이크압 솔레노이드(76)와, 로크업 솔레노이드(77)를 갖는다.
라인압 솔레노이드(72)는, CVTECU(8)로부터 출력되는 라인압 지시에 따라, 오일 펌프(70)로부터 압송되는 작동유를, 지시된 라인압 PL로 압력 조절한다.
프라이머리압 솔레노이드(73)는, CVTECU(8)로부터 출력되는 프라이머리압 지시에 따라, 라인압 PL을 원압으로 하여, 지시된 프라이머리압 Ppri로 감압 조정한다.
세컨더리압 솔레노이드(74)는, CVTECU(8)로부터 출력되는 세컨더리압 지시에 따라, 라인압 PL을 원압으로 하여, 지시된 세컨더리압 Psec로 감압 조정한다.
전진 클러치압 솔레노이드(75)는, CVTECU(8)로부터 출력되는 전진 클러치압 지시에 따라, 라인압 PL을 원압으로 하여, 지시된 전진 클러치압 Pfc로 감압 조정한다.
후퇴 브레이크압 솔레노이드(76)는, CVTECU(8)로부터 출력되는 후퇴 브레이크압 지시에 따라, 라인압 PL을 원압으로 하여, 지시된 후퇴 브레이크압 Prb로 감압 조정한다.
로크업 솔레노이드(77)는, CVTECU(8)로부터의 듀티 신호 Duty에 의한 지시에 의하여, 로크업 컨트롤 밸브(78)로의 지시 신호압으로서의 솔레노이드압 Psol을 창출한다. 로크업 컨트롤 밸브(78)는, 솔레노이드압 Psol을 작동 신호압으로 하여, 로크업 클러치(20)의 클러치 전후 유실의 차압인 로크업 차압 ΔP(ΔP=Pa-Pr)가 CVTECU(8)로부터의 지시에 기초하는 값으로 되도록 토크 컨버터 공급압과 토크 컨버터 해방압을 창출한다.
CVTECU(8)는, 스로틀 개방도 등에 따른 목표 라인압을 얻는 지시를 라인압 솔레노이드(72)에 출력하는 라인압 제어, 차속이나 스로틀 개방도 등에 따라 목표 변속비를 얻는 지시를 프라이머리압 솔레노이드(73) 및 세컨더리압 솔레노이드(74)에 출력하는 변속 유압 제어, 전진 클러치(31)와 후퇴 브레이크(32)의 걸림 결합/해방을 제어하는 지시를 전진 클러치압 솔레노이드(75) 및 후퇴 브레이크압 솔레노이드(76)에 출력하는 전후진 전환 제어를 행함과 함께, 로크업 솔레노이드(77)에 지시를 출력하여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해방, 슬립 걸림 결합(클러치 미끄럼 걸림 결합) 등의 제어를 행한다.
이 CVTECU(8)에는, 프라이머리 회전 센서(80), 세컨더리 회전 센서(81), 세컨더리압 센서(82), 유온 센서(83), 엔진 회전수 센서(84), 브레이크 스위치(85), 스로틀 개방도 센서(86), 프라이머리압 센서(87), 라인압 센서(89), 차속 센서(90),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91), 아이들 스위치(92) 등으로부터의 센서 정보나 스위치 정보가 입력된다. 또한, 엔진 ECU(9)로부터는 토크 정보가 입력되고, 엔진 ECU(9)에는 토크 리퀘스트를 출력한다. 여기서, 도시하지 않은 인히비터 스위치는, 운전자의 시프트 레버의 조작에 의하여 선택되어 있는 레인지 위치(D 레인지, N 레인지, R 레인지 등)를 검출하여, 레인지 위치에 따른 레인지 위치 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91)를 액셀러레이터 상태 검출 수단으로서뿐만 아니라, 엔진(1)의 출력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 수단으로서도 사용하고 있다. 단, 토크 검출 수단으로서는, 스로틀 개방도 센서(86)를 사용하는 등, 엔진(1)의 출력 토크에 대응하는 양을 검출하는 것이면 어느 것이어도 된다.
[1.2.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의 구성]
[1.2.1. 제어의 개요]
그런데, 본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는, 차량이 코스트 상태일 때, 소정의 제어 조건(코스트 로크업 제어 조건)이 성립하면, 로크업 클러치(20)를 걸림 결합시키는 코스트 로크업을 행하는 제어(코스트 로크업 제어)를 행하고, 코스트 로크업의 해제 후에는 로크업의 일단 해제(슬립 걸림 결합 상태로 함) 및 드라이브 로크업에 따른 제어를 행한다.
또한, 드라이브 로크업에 따른 제어에는,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상태의 제어와, 배리에이터(4)의 변속비의 제어가 있다. 후자인 드라이브 로크업에 따른 배리에이터(4)의 변속비의 제어는, 코스트 로크업의 해제 후에 한하지 않고 제어 조건이 성립하면 행한다. 이들 제어를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는, CVTECU(8)에 설치된 기능 요소와, 센서류로 구성되어 있다.
[1.2.2. 로크업 클러치의 제어]
로크업 클러치(20)의 동작 상태로서는, 토크 컨버터(2)의 입출력 요소 간(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이기도 함)을 직결 상태로 하는 로크업 상태(완전 걸림 결합 상태)와, 해당 입출력 요소 간을 완전 해방하고, 유체를 통하여 토크 전달을 행하는 컨버터 상태(언로크 상태, 즉, 완전 해방 상태)와, 로크업 클러치(20)를 반(半)걸림 결합 상태로 하고, 해당 입출력 요소 간을 소정의 슬립 상태로 유지하는 슬립 로크업 상태(슬립 걸림 결합 상태)가 있다.
로크업 클러치(20)의 제어에서는, 이들 3개의 동작 상태를,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압 PLU(=로크업 차압 ΔP)를 변경하여 행하는데, 이때의 제어에 있어서는, 로크업 클러치(20)의 토크 전달 용량(걸림 결합 용량이라고도 함) CLU를 주기적으로 구하고, 이 걸림 결합 용량 CLU에 따라 오픈 루프 제어에 의하여 로크업 클러치 걸림 결합압 PLU를 제어한다.
또한,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용량 CLU와 걸림 결합압(로크업압) PLU는, 걸림 결합 용량 CLU가 증대됨에 따라 걸림 결합압 PLU가 증대(예를 들어, 선형으로 증대)되는 관계가 있으므로, 이 관계에 기초하는 변환 맵을 준비해 둠으로써, 이 변환 맵을 참조하여, 걸림 결합 용량 CLU를 걸림 결합압 PLU로 변환할 수 있다. 그리고, 얻어진 걸림 결합압 PLU를 로크업 솔레노이드(77)의 명령값(로크업 듀티)으로 변환하고, 명령값에 의하여 로크업 솔레노이드(77)를 제어하여, 로크업 클러치(20)의 상태를 제어한다.
본 차량에서는,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이 해제(액셀러레이터 오프)된 차량의 코스트 상태일 때, 엔진 ECU(9)에 의하여 엔진의 연료 분사를 정지시키는 퓨얼 컷 제어를 실시하여 연비의 저감을 도모한다. 이 경우에, 엔진 회전수나 차속이 규정값까지 저하되면, 엔진 스톨의 방지와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을 재개시키는 퓨얼 리커버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하여, 코스트 로크업 제어를 실시한다. 따라서, 코스트 로크업 시에는 동시에 퓨얼 컷이 실시되고 있다.
코스트 로크업의 해제 후에는 로크업의 일시적인 해제(슬립 걸림 결합 상태로 함) 및 드라이브 로크업에 따른 제어를 행한다. 이 제어를, 도 2의 타임 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도 2의 (a)], 엔진 회전수(엔진 회전 속도) Ne 및 변속기 입력축(=토크 컨버터 출력축(21))의 회전수(변속기 입력 회전수) Nin[도 2의 (b)], 엔진 회전수 Ne와 변속기 입력 회전수 Nin의 차(=Ne-Nin)인 차회전수(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슬립 회전수라고도 함) ΔN[도 2의 (c)], 엔진 토크[도 2의 (d)],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유압(로크업압)[도 2의 (e)]을, 각 제어 모드와 대응시켜 나타내고 있다.
코스트 로크업 실시 중에는, 로크업 클러치(20)로의 입력 토크는 미소하며, 작은 걸림 결합 용량 CLU으로 로크업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도 2에 「코스트 경억제」라 기재한 바와 같이 낮은 로크업압 PLU로 로크업 클러치(20)를 로크업한다. 이 코스트 로크업의 실시 중의, 예를 들어 시점 t1에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액셀러레이터 온)이 있으면, 코스트 로크업을 해제함과 함께 연료 분사의 복귀(퓨얼 리커버)를 실시하여, 로크업 클러치(20)의 완전 걸림 결합을 미소 시간만큼(시점 t1 내지 t3 사이) 일시적으로 해제하고(슬립 걸림 결합 상태로 함), 그 후 다시 완전 걸림 결합의 상태를 향하여 제어한다. 이 제어는, 시점 t2에 있어서 퓨얼 리커버에 의하여 엔진 토크가 입력될 때의 토크 쇼크(리커버 쇼크)를 억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본 발명의 제1 걸림 결합 제어)이며, 소정의 제어 조건이 설정되어 있다.
특히 본 제어 장치에서는, 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에 의하여 로크업 클러치(20)를 슬립 걸림 결합으로부터 완전 걸림 결합으로 제어하는 과정에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 증가(즉, 엔진 토크의 증가)가 있는 경우를 상정하고, 이 엔진 토크 증가에 의하여 저더 진동이 발생할 우려를 회피하는 저더 회피 제어(본 발명의 제2 걸림 결합 제어)를 추가하도록 하고 있다. 이하, 이들 제어에 관한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CVTECU(8)는, 코스트 판정부(코스트 판정 수단)(8A)와, 액셀러레이터 판정부(액셀러레이터 판정 수단)(8B)와, 토크 판정부(토크 판정 수단)(8C)와, 차회전수 연산부(8h)와, 이들 코스트 판정부(8A), 액셀러레이터 판정부(8B), 및 토크 판정부(8C)의 각 판정 정보 및 차회전수 연산부(8h)에서 연산된 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에 기초하여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용량을 제어하는 로크업 클러치 제어부(8D)를 기능 요소로서 구비하고 있다.
차회전수 연산부(8h)는, 엔진 회전수 센서(84) 및 프라이머리 회전 센서(80)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을 연산한다. 이들 회전수 센서(84, 80) 및 회전수 연산부(8h)로부터, 차회전수 ΔN을 검출하는 회전수 검출 수단이 구성된다. 본 제어 장치는, 이들 코스트 판정부(8A), 액셀러레이터 판정부(8B), 토크 판정부(8C), 회전수 검출 수단(84, 80, 8h) 및 로크업 클러치 제어부(8D)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코스트 판정부(8A)는, 차량이 코스트 상태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이 판정은, 여기서는, 「아이들 스위치(92)가 온인지 여부」에 따라 행하지만,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91)가 0에 가까운 미소한 소정 개방도 미만인지 여부」에 따라 행해도 되고, 또한, 「엔진 회전 속도(토크 컨버터의 임펠러 회전수)와 변속기 입력축의 회전 속도(토크 컨버터의 터빈 회전수)의 비에 기초하여 판정해도 된다.
액셀러레이터 판정부(8B)는, 액셀러레이터 상태 검출 수단으로서의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91)로부터의 검출 정보 APO에 기초하여,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 및 답입 복귀, 그리고 액셀러레이터 온 및 액셀러레이터 오프, 나아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미리 설정된 제어 기준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한다.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91)에 의하여 검출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증가하면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답입 증가)」으로 판정하고, 검출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감소하면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 복귀」로 판정한다. 또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91)로부터의 검출 정보의 값이 미소한 판정 역치 이상이면 「액셀러레이터 온」으로 판정하고,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91)로부터의 검출 정보 APO의 값이 상기 미소한 판정 역치 미만이면 「액셀러레이터 오프」로 판정한다.
또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 복귀」, 「액셀러레이터 온」 및 「액셀러레이터 오프」는, 노이즈 등의 영향을 받지 않고 판정할 수 있도록,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91)로부터의 검출 정보에, 이동 평균 또는 평활화 등의 저역 통과 필터 처리를 행하여 판정을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액셀러레이터 온」 및 「액셀러레이터 오프」의 판정에 따른 판정 역치는 개방도 0에 가까운 미소값이므로, 통상의 액셀러레이터 조작에 대해서는, 「액셀러레이터 오프」의 판정은 「액셀러레이터 온」의 판정보다도 시간이 걸린다. 또한, 아이들 스위치(92)로부터의 검출 정보에 기초하여, 아이들 스위치(92)가 오프이면 「액셀러레이터 온」으로 판정하고, 아이들 스위치(92)가 온이면 「액셀러레이터 오프」로 판정해도 된다.
토크 판정부(8C)는, 엔진(1)의 출력 토크가 증가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엔진(1)의 출력 토크와 상관된다는 점에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센서(91)를 토크 검출 수단으로서 사용하여, 토크 판정부(8C)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기준량 이상 증가하면, 출력 토크가 증가되었다고 판정한다.
로크업 클러치 제어부(8D)에는, 차량의 코스트 주행 시에 로크업 클러치(20)를 로크업 상태로 하는 코스트 로크업 제어를 실시하는 기능(코스트 로크업 제어부)(8e)과, 코스트 로크업 제어 중에 액셀러레이터 온으로 된 때의 퓨얼 리커버 쇼크를 억제하는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를 실시하는 기능(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부)(8f)과,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 시에 엔진 토크의 증가에 의하여 저더 진동이 발생할 우려를 회피하는 저더 회피 제어를 실시하는 기능(저더 회피 제어부)(8g)이 구비되어 있다.
[1.2.2.1. 코스트 로크업 제어]
코스트 로크업 제어부(8e)는, 코스트 판정부(8A)에 의하여 차량의 코스트 주행 상태가 판정되고 있는 것을 포함하는 소정의 코스트 로크업 조건이 성립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조건 성립을 판정하면, 상기와 같이 낮은 로크업압 PLU으로 로크업 클러치(20)를 로크업(완전 걸림 결합)하는 코스트 로크업 제어를 실시한다.
코스트 로크업 제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코스트 판정부(8A)에 의하여 차량이 코스트 상태라고 판정되어 실시되는 퓨얼 컷 시에, 엔진 스톨의 방지와 엔진으로의 연료 공급을 재개시키는 퓨얼 리커버 기능을 갖게 하기 위한 것이다. 엔진 회전수나 차속이 충분히 높으면 로크업 클러치(20)를 해방한 토크 컨버터 상태에서도 엔진 스톨의 우려는 낮으며 퓨얼 리커버 기능도 유지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코스트 로크업 조건은, 차량이 코스트 상태라고 판정되고 있으며, 엔진 회전수 Ne가 설정 회전수 Ns1 미만이고, 또한, 차속 VSP가 설정 차속 VSPs 미만인 것으로 하고 있다.
[1.2.2.2.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부(8f)는, 소정의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 조건이 성립 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조건 성립을 판정하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를 실시한다.
이 리커버 쇼크는, 저차속 시에는 위화감을 부여하지만, 고차속 시에는 위화감을 부여하지 않으므로,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의 제어 조건으로서, 코스트 로크업 해제 시의 차속이 미리 설정된 차속 이하일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차속 조건에 추가하여, 로크업압을 가하는 유압 계통에 유진이 발생하는 상황이 아닐 것을 조건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어 프라이머리압이나 세컨더리압으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라인압이 소정압 이하로 저하된 경우에는, 유진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이러한 유압 상황으로부터 유진이 발생하는 상황인지 여부를 판정할 수 있다.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는, 일단, 로크업 클러치(20)를 슬립 걸림 결합 상태로 한 후 완전 걸림 결합으로 복귀시키므로, 유진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이 제어를 행하면, 유압 불안정에 기인한 저더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그래서, 유진이 발생하는 상황이 아닐 것을 조건으로 하고 있다.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에서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용량의 저감 제어(로크업압 저감 제어)에 의한 슬립 걸림 결합에 의하여 퓨얼 리커버에 기인하는 토크 쇼크를 억제한다. 그리고, 토크 쇼크를 억제하면,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용량 CLU를 소정의 램프 상태에서 상승시키는 제어(로크업압 상승 제어)에 의하여, 퓨얼 리커버에 의하여 재시동한 엔진이 어느 정도 블로우 업되도록(상승하도록) 하고, 블로우 업된 엔진의 토크를 받으면서, 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을 작게 해 가서, 차회전수 ΔN이 0 부근인 미소한 걸림 결합 판정 기준값인 제3 소정값 ΔN3 이하로 되면 완전 걸림 결합시킨다. 또한, 이 완전 걸림 결합까지를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라 한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압 PLU(걸림 결합 용량 CLU)를 단시간만(시점 t1 내지 t3 사이) 저감시킨다. 이때, 시점 t1에서 걸림 결합압 PLU(걸림 결합 용량 CLU)를 슬립 제어 걸림 결합압 PLUS(슬립 제어 용량 CLUS)보다도 높은 중간압(중간 용량)까지는 일거에 저하시키고, 그 후, 슬립 제어 걸림 결합압 PLUS(슬립 제어 용량 CLUS)까지 램프형으로 저하시키고, 오버슈트하여 로크업 클러치(20)의 해방을 초래하지 않도록 하고, 그 후, 슬립 제어 걸림 결합압 PLUS(슬립 제어 용량 CLUS)를 유지한다.
이것에 의하여 로크업 클러치(20)를 슬립 걸림 결합 상태로 하면(시점 t3),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압(로크업압) PLU를 증대시켜 걸림 결합 용량 CLU를 증대시킨다. 이 과정에서 로크업 클러치(20)의(걸림 결합 용량 CLU)의 증대가 급격히 행해지면, 로크업(완전 걸림 결합) 시에 걸림 결합 쇼크를 초래하여, 차량의 승차감을 손상시킨다. 그래서, 로크업 클러치(20)를 로크업 상태로 할 때는, 걸림 결합압 PLU(걸림 결합 용량 CLU)의 증대를 서서히 행하여 원활히 로크업으로 이행시키는 제어(스무드 온 제어, SM ON)를 행한다.
이 스무드 온 제어는, 걸림 결합 쇼크를 방지하면서 신속히 로크업을 완료시켜 연비의 향상을 도모하려 하기 때문에,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먼저 시점 t3에서, 걸림 결합압 PLU에 초기값(스무드 온 초기값)을 부여하여 계단형으로 증대시키고, 그 후 램프형으로 점증시킨다. 스무드 온 초기값은, 슬립 상태로 된 로크업 클러치(20)를 걸림 결합측으로 기동시켜 클러치 간의 간극을 0으로 유지하기 위한 것이며, 로크업 클러치(20)에 간극(덜걱거림)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정도의 크기로 설정된다.
램프형으로 점증시키는 과정(램프 제어)에서는, 처음에, 증가율이 비교적 작은 램프 a의 점증을 실시하여 엔진(1)을 블로우 업시키고, 그 후, 증가율이 비교적 큰 램프 b의 점증을 실시한다. 램프 b에 의하여 블로우 업을 억제하고, 그 후 램프 c로 전환하여 서서히 걸림 결합압 PLU를 증대시킴으로써, 걸림 결합측으로 기동한 로크업 클러치(20)의 움직임을 진정시켜 급걸림 결합의 우려를 회피한다. 엔진(1)을 블로우 업시킴으로써, 토크 컨버터(2)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슬립 회전수) ΔN은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고(시점 t4), 그 후, 블로우 업에 의하여 증가한 엔진 토크를 받으면서 토크 컨버터(2)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보다도 작아져 간다.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보다도 작은 제2 소정값 ΔN2 이하로 되면(시점 t5), 걸림 결합에 과잉의 시간이 걸리지 않고 또한 급걸림 결합의 우려를 회피할 수 있는 적당한 증가율의 램프 c로 전환하고, 이 램프 c에 의하여 걸림 결합압 PLU를 증대시킨다.
또한,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의 개시 후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 내에 차회전수 ΔN은 제1 소정값 ΔN1 이상(시점 t4에서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는 것으로 상정하고 있다.
또한, 엔진(1)이 블로우 업된 것을 저더 회피 제어의 제어 개시 조건의 하나에 추가하였으며, 여기서는, 차회전수 ΔN은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면 엔진(1)의 블로우 업이 완료되었다고 판정한다. 그러나, 예를 들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의 개시 후,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작은 상태가 계속된 경우에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엔진이 블로우 업되지 못하고,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의 개시 후 제1 소정 시간 내에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지 않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어떠한 원인(로크업 클러치(20)의 유압 응답 지연이나, 엔진(1)의 토크 응답 지연 등)으로 인하여 블로우 업되지 않았다고 가정하고, 제1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엔진(1)을 블로우 업된 것으로 하여, 저더 회피 제어의 제어 개시 조건의 하나가 성립한 것으로 한다.
램프 제어에 의하여, 토크 컨버터(2)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슬립 회전수) ΔN이 제3 소정값 ΔN3 이하로 되면(시점 t6), 엔진(1)의 토크가 최대로 되더라도 슬립양의 증대를 회피할 수 있는 증가율의 램프 d로 전환하고, 이 램프 d에 의하여 소정 시간, 걸림 결합압 PLU를 증대시킨다. 소정 시간 후에는 슬립 상태로부터 완전히 로크업 상태로 전환된 것으로 하여(시점 t7), 걸림 결합압 PLU를 계단형으로 증대시키고, 로크업 상태를 확실히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단, 이 로크업 상태의 판정은, 연산한 슬립 회전수 ΔN을 노이즈 캔슬을 위하여 필터링한 후에 행한다.
또한, 로크업 클러치(20)가 슬립 상태로부터 로크업 상태로 전환되는 것은, 로크업 클러치(20)가 전달하는 토크 용량(걸림 결합 용량) CLU가 토크 컨버터(2)(따라서, 로크업 클러치(20))에 입력되는 입력 토크(여기서는, 엔진 토크) Te를 상회한 때이며, 입력 토크 Te에 의존한다. 즉, 슬립 상태에 있어서,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용량 CLU가 증가하지 않더라도, 입력 토크 Te가 저하되면 로크업 상태로 전환된다.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용량 CLU가 증가하더라도 입력 토크 Te가 증가하면, 좀처럼 로크업 상태로 전환되기 어렵다.
[1.2.2.3. 저더 회피 제어]
저더 회피 제어부(8g)는, 소정의 저더 회피 제어 조건이 성립했는지 여부를 판정하여, 조건 성립을 판정하면, 저더 회피 제어를 실시한다.
이 저더 회피 제어에는,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 개시 후 제1 소정 시간 내에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어 엔진(1)의 블로우 업이 판정되고, 그 후(여기서는, 제2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도 2에 나타내는 시점 ts2) 이후) 차회전수 ΔN이 제2 소정값 ΔN2 이하로 된 경우에 있어서 행하는 제1 저더 회피 제어와,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 개시 후 제1 소정 시간 내에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지 않고, 제1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엔진(1)이 블로우 업된 것으로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 행하는 제2 저더 회피 제어가 설정된다.
저더 회피 제어는, 상술한 바와 같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에 의하여 로크업 클러치(20)를 슬립 걸림 결합으로부터 완전 걸림 결합으로 제어하는 과정에서, 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작아진 완전 걸림 결합 직전에, 엔진 토크의 증가가 있으면, 이것에 의하여 저더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어서, 이를 회피하기 위하여 행하는 제어이다.
이러한 저더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는 상황은, 슬립 걸림 결합으로부터 완전 걸림 결합으로 제어하는 과정에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일정값 APO1 이상인(즉, 엔진 토크가 일정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토크가 명확히 증가(여기서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가 명확히 증가)한 경우이다. 그래서, 저더 회피 제어의 조건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일정값 APO1이고 또한 엔진 토크가 일정 이상(예를 들어, 단위 시간당 증가량이 일정 이상 또는 증가율이 일정 이상) 증가한 것을 조건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엔진(1)의 블로우 업 후에 차회전수 ΔN이 감소한 완전 걸림 결합압으로 제어하기 직전이며, 차회전수 ΔN이 제2 소정값 ΔN2 이하로 감소한 단계에서, 액셀러레이터가 어느 정도 답입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엔진 토크의 증가가 있으면, 즉, 로크업 클러치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어느 정도 작은 상태에서 엔진 토크가 증가되면, 입출력 요소 간의 마찰 상태의 변동(마찰력의 증감)에 의하여,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더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저더 회피 제어부(8g)는, 이러한 저더 진동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1 저더 회피 제어를 실시한다. 이 때문에, 제1 저더 회피 제어의 제어 조건을, 엔진(1)의 블로우 업 후에, 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제2 소정값 ΔN2 이하로 되어 있고, 또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일정값 APO1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토크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또한, 액셀러레이터 페달의 답입에 의하여, 코스트 로크업 제어로부터,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로 이행했지만, 예를 들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작고, 제1 소정 시간 내에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지 않아, 제1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엔진(1)이 블로우 업된 것으로 가정한 경우에도, 로크업 클러치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은 작기 때문에, 엔진 토크가 증가되면, 역시, 입출력 요소 간의 마찰 상태의 변동(마찰력의 증감)에 의하여, 저더 진동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본 저더 회피 제어부(8g)는, 이러한 저더 진동의 우려를 해소하기 위하여, 제2 저더 회피 제어를 실시한다. 이 경우의 저더 회피 제어의 제어 조건은, 제1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에서 엔진(1)이 블로우 업된 것으로 가정한 경우에 있어서, 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 미만으로 되어 있고, 또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일정값 APO2 이상인 상태에서, 엔진 토크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하고 있다.
저더 회피 제어부(8g)는, 도 3,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회전수 ΔN이 작게 되어 있는 조건 하에서, 엔진 토크가 상승하고 있는 것을 판정하면, 램프형으로 증대시키고 있는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용량(토크 전달 용량) CLU에 소정 용량을 추가함으로써 저더 진동을 회피한다.
또한, 도 3, 도 4에 있어서, (a)는 액셀러레이터 개방도를, (b)는 엔진 회전수 Ne 및 변속기 입력 회전수 Nin을, (c)는 차회전수 ΔN을, (d)는 엔진 토크를, (e)는 로크업압을, (f)는 타이머값 TM을, (g)는 블로우 업 검지 상태를, (h)는 저더 회피 제어의 작동 플래그를, 각 제어 모드와 대응시켜 나타내고 있다.
제1 저더 회피 제어에서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 개시 후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이 경과한 시점 ts1 이내에, 토크 컨버터(2)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고(시점 t4), 엔진(1)의 블로우 업을 판정하여, 그 후(여기서는, 제어 개시 후 제2 소정 시간 경과한 시점 ts2 이후), 제2 소정값 ΔN2 이하로 되고(시점 t5), 엔진 토크가 상승하면(상승 개시 시점 ttu), 저더 회피 제어의 작동 플래그를 세트하고, 램프형으로 증대시키고 있는 로크업 클러치의 걸림 결합압 PLU에 소정압을 추가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램프형으로 증대되고 있는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한다.
제2 저더 회피 제어에서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토크 컨버터(2)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지 않지만, 제어 개시 후 소정 시간(제1 소정 시간) 경과한 시점 ts1에서 엔진(1)의 블로우 업이 있었던 것으로 가정하고, 그 후, 엔진 토크가 상승하면(시점 ttu'), 저더 회피 제어의 작동 플래그를 세트하고, 램프형으로 증대시키고 있는 로크업 클러치의 걸림 결합압 PLU에 소정압을 추가함으로써, 마찬가지로 램프형으로 증대되고 있는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한다.
또한,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용량 CLU에 추가하는 소정 용량은, 제어 판정 시의 엔진 토크의 상승에 따라, 즉, 엔진 토크의 증가율(단위 시간당 증가량)에 기초하여, 증가율이 클수록 걸림 결합 용량 CLU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제어 판정 시란, 제어 판정을 한 제어 주기여도 되고, 제어 판정을 한 제어 주기를 포함하는 복수의 제어 주기의 대표값(평균값 또는 최댓값)이어도 된다.
[1.2.3 배리에이터의 변속비 제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CVTECU(8)에는, 변속비 제어부(8I)가 기능 요소로서 구비된다.
여기서, 변속비 제어부(8I)에 의한 드라이브 로크업에 따른 배리에이터(4)의 변속비의 제어를 설명한다. 또한, 이 제어는, 코스트 로크업의 해제 후에 한하지 않고 제어 조건이 성립하면 행한다.
이 제어는, 예를 들어 토크 컨버터 상태에서의 차량의 발진 시에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점 t11에서 액셀러레이터 온되면, 토크 컨버터 상태에서 배리에이터(4)는 최(最)로우 상태를 유지하면서 엔진 회전수 Ne가 높아지고, 동시에 로크업압 PLU도 램프형으로 증가한다. 엔진 회전수 Ne가 어느 정도 높아진 시점 t12에서, 로크업 클러치(20)가 슬립 걸림 결합하면, 엔진 회전수 Ne는 일시적으로 정체되고, 그 후의 시점 t13에서 배리에이터(4)의 변속비가 최로우로부터 하이측으로 업시프트 제어되면서, 변속기 입력 회전수(터빈 회전수) Nin과 엔진 회전수 Ne가 접근한다.
변속기 입력 회전수 Nin의 증대에 수반하여 배리에이터(4)를 업시프트하면, 이것에 의하여 변속기 입력 회전수 Nin의 상승이 억제되기 때문에,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제어는 엔진 회전수 Ne을 변속기 입력 회전수 Nin을 향하여 끌어내리게 된다. 그 결과, 토크 컨버터(2)의 토크 증폭 작용이 크게 변동되어, 엔진 부하가 크게 변동되기 때문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저더 진동이 발생한 경우에, 그 진폭이 커진다는 과제가 발생한다.
그래서, 이 저더 진동이 발생했다고 하더라도 그 진동의 진폭의 증대를 억제하기 위하여,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변속비 제어부(8I)에서는, 차회전수 ΔN이 소정값 ΔN11 이하로 되면, 배리에이터(4)를 다운시프트시켜, 변속기 입력 회전수 Nin쪽의 회전을 상승시키고, 엔진 회전수 Ne을 낮추는 것을 방지하면서 차회전수 ΔN을 감소시켜 간다. 차회전수 ΔN이, 소정값 ΔN11보다도 충분히 작은 소정값 ΔN12 이하까지 감소하면, 차회전수 ΔN의 감소 변화율을 저하시켜, 완전 걸림 결합 시의 이너셔 쇼크를 억제한다.
여기서, 소정값 ΔN11은 차회전수 ΔN의 변화 속도(dΔN/dt)에 따라 설정된다.
즉, 차회전수 ΔN의 감소 속도가 느리면, 저더 진동이 발생한 경우의 진폭의 증대는 비교적 작아, 차회전수 ΔN이 어느 정도 작아지고 나서 다운시프트 제어를 실시하더라도 저더 진동의 진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차회전수 ΔN의 감소 속도가 빠르면, 저더 진동이 발생한 경우의 진폭의 증대가 비교적 커지므로, 차회전수 ΔN이 비교적 큰 단계로부터 다운시프트 제어를 실시하지 않으면 저더 진동의 진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없다.
그래서, 차회전수 ΔN의 변화는 감소 변화이므로 변화 속도(dΔN/dt)는 마이너스 값으로 되고, 변화 속도(dΔN/dt)의 크기(절댓값)가 클수록, 즉, 차회전수 ΔN의 감소 속도가 빠를수록, 소정값 ΔN11은 큰 값으로 설정된다.
또한, 소정값 ΔN11은 고정값이어도 된다.
단, 상기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제1 걸림 결합 제어)를 실시하고 있을 때는, 이 배리에이터(4)를 다운시프트시키는 변속비 제어에 의하여 행하는 저더 진동 억제 제어는 금지된다. 이는, 변속비 제어에 의하여 행하는 저더 진동 억제 제어는, 차회전수 ΔN이 비교적 큰 상태로부터 드라이브 로크업의 제어를 하는 경우를 노린 것이며, 차회전수 ΔN이 어느 정도 클 것이 전제이다. 한편,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에서는 로크업 클러치(20)를 코스트 로크업 상태로부터 일시적으로 슬립 걸림 결합으로 한 후에 완전 걸림 결합시키는 것이며, 이때의 차회전수 ΔN은 미소하여 저더 진동 억제의 변속비 제어에서 착안하는 저더 진동은 일어나기 어려우며, 오히려,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에 중첩되도록 저더 진동 억제의 변속비 제어를 행하면, 제어가 불안정해져 버린다. 그래서,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 시에는 금지하고 있는 것이다.
[2. 작용 및 효과]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른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예를 들어, 도 7의 흐름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로크업 클러치(20)의 제어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도 7의 흐름도는, 차량의 키 스위치의 온 조작 등을 받아 개시되고 소정의 제어 주기로 반복되고, 키 스위치의 오프 조작 등을 받아 종료된다.
또한, 도 7의 흐름도 중의 F는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에 관한 제어 플래그이다. 제어 플래그 F가 「0」이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는 비제어(작동 불허가)로 되고, 제어 플래그 F가 「1」 내지 「3」이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는 제어(작동 허가)로 된다. 또한, 제어 플래그 F가 「1」이면 차회전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하인 상황을 나타내고, 제어 플래그 F가 「2」이면 차회전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하인 상황을 나타내고, 제어 플래그 F가 「3」이면 차회전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된 것을 나타낸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먼저, 제어 플래그 F가 「0」인지 여부를 판정하여(스텝 S10), 제어 플래그 F가 「0」이면, 현재, 퓨얼 컷 중이고 또한 코스트 로크업 중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20). 퓨얼 컷 중이고 또한 코스트 로크업 중이면, 금회의 제어 주기에서 액셀러레이터 온이 있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30). 스텝 S20에서 퓨얼 컷 중이고 또한 코스트 로크업 중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나 스텝 S30에서 액셀러레이터 온은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리턴하여 다음 제어 주기에 대기한다.
스텝 S30에서 액셀러레이터 온이 있었다고 판정되면, 퓨얼 리커버(연료 분사 개시)를 실시하고(스텝 S40),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 조건이 성립하였는지 여부, 즉, 코스트 로크업 해제 시의 차속이 미리 설정된 차속 이하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0).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 조건이 성립하였으면, 유압 계통에 유진이 발생하는 상황이 아닌지 여부를 더 판정한다(스텝 S60).
스텝 S60에서 유진이 발생하는 상황이 아니라고 판정되면, 제어 플래그 F를 「1」로 세트하고(스텝 S70), 타이머 카운트를 개시하고(스텝 S80),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의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용량의 저감 제어(로크업압 저감 제어)를 개시하고(스텝 S90), 타이머 카운트값 TM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의 개시 후 설정 시간에 따른 설정값 TM0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00).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 조건이 성립하지 않았거나, 또는 유압 계통에 유진이 발생하는 상황이라고 판정된 경우에는, 리턴하여 다음 제어 주기에 대기한다.
또한, 로크업압 저감 제어는, 소정의 타임 스케줄에 따라 타이머 카운트값 TM이 설정값 TM0에 도달하기까지 로크업압의 저감을 행한다. 이 동안에는, 스텝 S10, S110, S80, S90, S100의 각 스텝을 실행한다.
스텝 S100의 판정에 의하여 타이머 카운트값 TM이 설정값 TM0에 도달했다고 판정되면, 제어 플래그 F를 「2」로 세트하고(스텝 S120), 타이머 카운트를 실시하고(스텝 S130),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의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용량의 증대 제어(로크업압 상승 제어)를 개시한다(스텝 S140). 로크업압 상승 제어는, 소정의 스케줄에 따라 로크업압의 상승을 행한다.
그리고, 저더 진동이 발생한 경우의 진폭의 증대를 억제하기 위한 배리에이터의 변속비 제어를 금지하고(스텝 S150), 제어 플래그 F가 「2」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60). 제어 플래그 F가 「2」이면, 타이머 카운트값 TM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의 개시 후의 제1 소정 시간에 따른 설정값 TM1 미만인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70).
타이머 카운트값 TM이 설정값 TM1 미만이면, 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180).
제어 플래그 F가 「2」로 세트되어 있으면, 스텝 S10, S110, S130, S140, S150, S160의 각 스텝을 거쳐, 스텝 S170으로 나아간다.
로크업압 상승 제어의 상정에서는, 타이머 카운트값 TM이 설정값 TM1에 도달하기 전에, 엔진(1)을 블로우 업되어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상에 도달하고, 타이머 카운트값 TM이 억제 제어의 개시 후의 제2 소정 시간에 따른 설정값 TM2 이후로 되면, 차회전수 ΔN은 제2 소정값 ΔN2 이하로 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스텝 S180에서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되지 않으면 리턴하여 다음 제어 주기에 대기하고,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었다고 판정되면, 제어 플래그 F를 「3」으로 세트하고(스텝 S190), 스텝 S210으로 나아간다.
스텝 S180에서, 제어 플래그 F가 「3」으로 세트되면, 다음 제어 주기에서는, 스텝 S10, S110, S130, S140, S150, S160의 각 스텝을 거쳐 스텝 S210으로 나아간다.
스텝 S210에서는, 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제2 소정값 ΔN2 이하로 감소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차회전수 ΔN이 제2 소정값 ΔN2 이하로 감소했다고 판정되면,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일정값 APO1 이상인지 여부가 판정되고(스텝 S220),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일정값 APO1 이상이면 엔진 토크가 상승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230). 여기서, 엔진 토크가 상승되었다고 판정되면, 즉,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일정값 APO1 이상이고 또한 엔진 토크가 상승된 경우에는, 엔진 토크의 증가에 따른 압을 로크업압 PLU에 추가하고, 로크업 클러치(20)의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하는 제어(제1 저더 회피 제어)를 실시한다(스텝 S240).
스텝 S210에서, 차회전수 ΔN이 제2 소정값 ΔN2 이하로 감소했다고 판정되지 않는 경우나, 스텝 S220에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일정값 APO1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나, 스텝 S230에서, 엔진 토크가 상승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리턴하여 다음 제어 주기에 대기한다.
스텝 S240의 처리를 실시하면, 스텝 S250으로 나아간다.
한편, 스텝 S170에서, 타이머 카운트값 TM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의 개시 후의 소정 시간에 따른 설정값 TM1 미만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 즉, 차회전수 ΔN이 제1 소정값 ΔN1 이상으로 되는 일 없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의 개시 후의 소정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는, 스텝 S280으로 나아가,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일정값 APO2 이상인지 여부가 판정된다.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일정값 APO2 이상이면 엔진 토크가 상승되었는지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290). 여기서, 엔진 토크가 상승되었다고 판정되면, 즉,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일정값 APO2 이상이고 또한 엔진 토크가 상승된 경우에는, 엔진 토크의 증가에 따른 압을 로크업압 PLU에 추가하고, 로크업 클러치(20)의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하는 제어(제2 저더 회피 제어)를 실시한다(스텝 S300).
스텝 S280에서, 액셀러레이터 개방도 APO가 일정값 APO2 이상이 아니라고 판정된 경우나, 스텝 S290에서, 엔진 토크가 상승되지 않았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스텝 S250으로 나아간다.
스텝 S250에서는, 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제3 소정값 ΔN3 이하로 감소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 차회전수 ΔN이 제3 소정값 ΔN3 이하로 되면 스텝 S260으로 나아간다. 스텝 S260에서는, 로크업압을 엔진(1)의 과대한 토크가 들어가더라도 벗겨지지 않을(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증대하지 않을)만큼의 램프 d(상승률)로 전환한다. 램프 d로 전환하고 나서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걸림 결합압 PLU를 계단형으로 증대시켜, 완전 걸림 결합압으로 제어하고, 스텝 S270으로 나아간다. 스텝 S270에서는, 제어 플래그 F를 0으로 리셋하고, 타이머도 0으로 리셋하여 정지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본 제어 장치에 의하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제1 걸림 결합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 엔진(1)의 회전이 블로우 업된 후, 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작아진 상태에서 엔진의 출력 토크가 증가되면, 입출력 요소 간의 마찰 상태의 변동(마찰력의 증감)에 의하여 진동(저더 진동)을 발생시킬 우려가 생기지만, 이 상황 하에서는, 로크업 클러치(20)의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하도록 하므로, 마찰 상태의 변동이 억제되어 저더 진동의 발생이 회피되어 로크업 클러치(20)가 원활히 로크업하게 된다.
또한, 본 제어 장치에 의하면, 리커버 쇼크 억제 제어(제1 걸림 결합 제어)를 행하고 있을 때, 엔진(1)의 회전이 충분히 블로우 업되지 않은 상태에서, 즉, 로크업 클러치(20)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 ΔN이 커지지 않고 접근하고 있는 상태에서, 엔진(1)의 출력 토크가 증가된 경우에도, 입출력 요소 간의 마찰 상태의 변동(마찰력의 증감)에 따라서 진동(저더 진동)을 발생시킬 우려가 생기지만, 이때도, 로크업 클러치(20)의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하도록 하므로, 마찰 상태의 변동이 억제되어 저더 진동의 발생이 회피되어 로크업 클러치(20)가 원활히 로크업하게 된다.
[3. 기타]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되거나, 일부를 채용하거나 하여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업 클러치(20)의 걸림 결합 제어에, 저더 진동 억제의 변속비 제어를 병용한 경우를 설명했지만, 저더 진동 억제의 변속비 제어는 필수는 아니다. 저더 진동 억제의 변속비 제어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당연히 그 금지 제어도 불필요해진다.

Claims (6)

  1. 변속 기구와, 차량의 구동원인 내연 기관과 상기 변속 기구 사이에 설치되고 로크업 클러치를 구비한 토크 컨버터를 장비한 자동 변속기와,
    상기 차량의 주행 상태에 따라 상기 자동 변속기를 제어하는 제어 수단
    을 구비한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이며,
    상기 로크업 클러치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를 검출하는 회전 검출 수단과,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 토크를 검출하는 토크 검출 수단과,
    상기 출력 토크의 증가를 판정하는 토크 판정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차량의 감속 시에 완전 걸림 결합 상태의 상기 로크업 클러치에 대하여 액셀러레이터의 온 조작에 의하여 상기 완전 걸림 결합 상태를 일단 해제한 후에 완전 걸림 결합 상태로 복귀시킬 때, 상기 로크업 클러치의 토크 전달 용량을 증대시키면서 슬립 걸림 결합 상태에 의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을 상승시킨 후에 완전 걸림 결합 상태로 하는 제1 걸림 결합 제어를 행하는 제1 걸림 결합 제어부와,
    상기 제1 걸림 결합 제어의 슬립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상기 회전 검출 수단에 의하여 검출된 검출 차회전수가, 제어 개시 후 제1 소정값 이상으로 상승한 후에, 상기 토크 전달 용량의 증대에 의하여 상기 제1 소정값보다도 작은 제2 소정값 이하로 된 상태에서, 상기 토크 판정부에 의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 토크의 증가가 판정되면, 상기 증대시키고 있는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하는 제2 걸림 결합 제어를 행하는 제2 걸림 결합 제어부를 갖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 결합 제어부는, 상기 검출 차회전수가 상기 제1 소정값 이상으로 상승했는지 여부를, 상기 제1 걸림 결합 제어의 제어 개시 후의 소정 시간 내에 있어서 판정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걸림 결합 제어부는, 상기 검출 차회전수의 상기 제1 소정값 이상으로의 상승이, 상기 소정 시간 내에 발생하지 않은 경우, 상기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토크 판정부에 의하여 상기 내연기관의 출력 토크의 증가가 판정되면, 상기 증대시키고 있는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하는 제2 걸림 결합 제어를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용량은,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 토크의 증가 상태에 따라 설정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 에 있어서,
    상기 제어 수단은, 상기 제1 걸림 결합 제어 또는 상기 제2 걸림 결합 제어를 행하여, 상기 검출 차회전수가, 상기 제2 소정값보다도 작은 제3 소정값 이하로 되면,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이 최대로 되더라도, 상기 로크업 클러치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가 증대되지 않는 토크 전달 용량으로 되도록, 상기 증대시키고 있는 토크 전달 용량의 증대율을 크게 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6. 변속 기구와, 차량의 구동원인 내연 기관과 상기 변속 기구 사이에 설치되고 로크업 클러치를 구비한 토크 컨버터를 장비한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이며,
    상기 로크업 클러치의 입출력 요소 간의 차회전수를 검출하고,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 토크를 검출하고,
    상기 차량의 감속 시에 완전 걸림 결합 상태의 상기 로크업 클러치에 대하여 액셀러레이터의 온 조작에 의하여 상기 완전 걸림 결합 상태를 일단 해제한 후에 완전 걸림 결합 상태로 복귀시킬 때, 상기 로크업 클러치의 토크 전달 용량을 증대시키면서 슬립 걸림 결합 상태에 의하여 상기 내연 기관의 회전을 상승시킨 후에 완전 걸림 결합 상태로 하는 제1 걸림 결합 제어를 행하고,
    상기 제1 걸림 결합 제어의 슬립 걸림 결합 상태에 있어서, 검출된 검출 차회전수가, 제어 개시 후 제1 소정값 이상으로 상승한 후에, 상기 토크 전달 용량의 증대에 의하여 상기 제1 소정값보다도 작은 제2 소정값 이하로 된 상태에서, 상기 내연 기관의 출력 토크의 증가가 판정되면, 상기 증대시키고 있는 토크 전달 용량에 소정 용량을 추가하는 제2 걸림 결합 제어를 행하는, 자동 변속기의 제어 방법.
KR1020177027010A 2015-03-30 2016-02-22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9591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069962 2015-03-30
JPJP-P-2015-069962 2015-03-30
PCT/JP2016/054972 WO2016158076A1 (ja) 2015-03-30 2016-02-22 自動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246A KR20170121246A (ko) 2017-11-01
KR101959157B1 true KR101959157B1 (ko) 2019-03-15

Family

ID=570049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27010A KR101959157B1 (ko) 2015-03-30 2016-02-22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27165B2 (ko)
EP (1) EP3279520B1 (ko)
JP (1) JP6412635B2 (ko)
KR (1) KR101959157B1 (ko)
CN (1) CN107407408B (ko)
WO (1) WO201615807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96073B2 (ja) * 2016-02-01 2018-03-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動力伝達装置の制御装置
WO2018074564A1 (ja) * 2016-10-21 2018-04-26 ジヤトコ株式会社 車両用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CN107965557A (zh) * 2017-12-29 2018-04-27 徐工集团工程机械有限公司 液力变矩器和车辆
FR3083339B1 (fr) * 2018-06-28 2021-01-22 Valeo Equip Electr Moteur Procede de pilotage d'une machine electrique tournante pour compenser les oscillations de couple d'une chaine de traction de vehicule automobile
WO2020054269A1 (ja) * 2018-09-10 2020-03-19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JP7202455B2 (ja) * 2019-04-23 2023-01-11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及び自動変速機の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3451A (ja) 2008-12-02 2010-06-17 Aisin Aw Co Ltd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0196810A (ja) 2009-02-25 2010-09-09 Toyota Motor Corp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WO2016006421A1 (ja) 2014-07-09 2016-01-14 ジヤトコ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64Y2 (ja) 1987-05-19 1995-01-11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変速機のロツクアツプ制御装置
JP3318945B2 (ja) * 1992-03-02 2002-08-26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用制御装置、自動車制御システム及び自動車の制御方法
JP3384157B2 (ja) * 1994-12-27 2003-03-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トルクコンバータのロックアップ制御装置
JP3374574B2 (ja) * 1995-02-24 2003-02-04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トルクコンバータのスリップ制御装置
CN102667258B (zh) * 2010-02-10 2013-11-06 株式会社小松制作所 作业车辆及作业车辆的控制方法
JP5380402B2 (ja) 2010-09-10 2014-01-08 ジヤトコ株式会社 自動変速機及び油圧制御装置
JP5464134B2 (ja) * 2010-12-02 2014-04-09 アイシン・エィ・ダブリュ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594234B1 (ko) 2011-06-15 2016-02-15 쟈트코 가부시키가이샤 차량 구동 장치 및 방법
JP5267693B1 (ja) * 2012-02-17 2013-08-2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EP3064809B1 (en) * 2013-10-31 2018-04-11 Jatco Ltd Lockup clutch control device
JP6791027B2 (ja) 2017-06-09 2020-1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の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3451A (ja) 2008-12-02 2010-06-17 Aisin Aw Co Ltd 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
JP2010196810A (ja) 2009-02-25 2010-09-09 Toyota Motor Corp 車両用駆動装置の制御装置
WO2016006421A1 (ja) 2014-07-09 2016-01-14 ジヤトコ株式会社 ロックアップクラッチの制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79520A1 (en) 2018-02-07
WO2016158076A1 (ja) 2016-10-06
KR20170121246A (ko) 2017-11-01
EP3279520B1 (en) 2019-08-07
US10527165B2 (en) 2020-01-07
CN107407408A (zh) 2017-11-28
JPWO2016158076A1 (ja) 2017-10-19
US20180073632A1 (en) 2018-03-15
CN107407408B (zh) 2019-11-01
JP6412635B2 (ja) 2018-10-24
EP3279520A4 (en) 2018-05-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562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959157B1 (ko) 자동 변속기의 제어 장치 및 제어 방법
KR101322069B1 (ko) 차량의 제어 장치
KR101775296B1 (ko) 로크 업 클러치의 제어 장치
KR20150087165A (ko) 벨트식 무단 변속기의 변속 제어 장치
EP3176472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810341B1 (ko) 유단 변속 기구의 제어 장치
EP3176473B1 (en)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1680989B1 (ko) 무단 변속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80037023A (ko) 차량용 무단 변속기의 유압 제어 장치 및 유압 제어 방법
WO2018074564A1 (ja) 車両用無段変速機の制御装置および制御方法
US10690239B2 (en) Control device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for vehicle
KR101624472B1 (ko) 차량용 자동 변속기
JP6019051B2 (ja) ベルト無段変速機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6105249A (ja) 自動変速機の変速制御装置
JP2020034145A (ja) 車両の制御装置及び車両の制御方法
JP2019100474A (ja) 車両の変速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