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545B1 -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545B1
KR101958545B1 KR1020170034775A KR20170034775A KR101958545B1 KR 101958545 B1 KR101958545 B1 KR 101958545B1 KR 1020170034775 A KR1020170034775 A KR 1020170034775A KR 20170034775 A KR20170034775 A KR 20170034775A KR 101958545 B1 KR101958545 B1 KR 101958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rror
sound
unit
state
out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7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441A (ko
Inventor
한창균
홍원식
정재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엠알오토모티브모듈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34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545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4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4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12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 B60R2001/1276Mirror assemblies combined with other articles, e.g. clocks with radio receivers, loud-speakers or buzz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 미러가 동작할 때 효과음을 재생하여 모터 소음 문제를 해결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례로, 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거나 펴는 미러 구동부; 상기 미러 구동부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히거나 펴질 때 효과음을 재생하도록 명령하는 미러 제어부; 및 상기 미러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효과음을 재생하는 음향 재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Driving apparatus for outside mirror capable playing sound}
본 발명은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는 운전자가 자동차를 운행함에 있어서 자동차 주변의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안전운행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또한, 운전자는 운전석에서 간단한 스위치 조작에 의해 아웃사이드 미러를 자동으로 접거나 펼 수 있다. 이때,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 내부에 위치한 모터가 동작하여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거나 펼 수 있다. 한편,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거나 펼 때 모터의 소음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아웃사이드 미러가 동작할 때 효과음을 재생하여 모터 소음 문제를 해결하여 소비자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는 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거나 펴는 미러 구동부; 상기 미러 구동부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히거나 펴질 때 효과음을 재생하도록 명령하는 미러 제어부; 및 상기 미러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효과음을 재생하는 음향 재생부;를 포함한다.
상기 효과음의 크기는 상기 미러 구동부에 의해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거나 펼 때 발생하는 모터 소음의 크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미러 제어부는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힐 때와 펴질 때의 효과음을 다르게 재생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상기 미러 제어부는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힐 때 제1효과음을 재생하고,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펴질 때 제2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상기 음향 재생부에 명령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의 도어 잠금 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미러 제어부에 전달하는 도어 감지부; 및 상기 자동차가 주행중인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미러 제어부에 전달하는 주행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러 제어부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온/오프 상태 및 상기 미러 구동부의 상태를 조합하여 효과음을 다르게 재생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상기 미러 제어부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온 상태이며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힐 때 제1효과음을 재생하고,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오프 상태이며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힐 때 제3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상기 음향 재생부에 명령할 수 있다.
상기 미러 제어부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온 상태이며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펴질 때 제2효과음을 재생하고,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오프 상태이며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펴질 때 제4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상기 음향 재생부에 명령할 수 있다.
상기 미러 제어부는 상기 주행 감지부로부터 자동차가 주행중임의 정보를 받은 상태에서 상기 미러 구동부를 통해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힌 상태임을 감지하면, 경고음을 재생하라고 명령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는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히거나 펴질 때 효과음을 재생하여 모터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는 도어 잠금 장치의 상태 및/또는 아웃사이드 미러의 구동 상태에 따라 다른 효과음을 재생함으로써, 운전자가 아웃사이드 미러를 보지 않고도 효과음을 통해 아웃사이드 미러의 상태 및 도어 잠금 장치의 상태를 알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지가 내장된 미러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이하의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며,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된다"라는 의미는 A 부재와 B 부재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A 부재와 B 부재의 사이에 C 부재가 개재되어 A 부재와 B 부재가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includ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includ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 /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가 내장된 자동차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지가 내장된 미러를 도시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100)는 미러 구동부(110), 도어 감지부(120), 주행 감지부(130), 미러 제어부(140) 및 음향 재생부(1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100)는 자동차의 외부 측면에 설치되어 있는 아웃사이드 미러(M) 내부에 형성되어,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라 아웃사이드 미러(M)를 구동시키는 동시에 효과음을 재생시킨다. 즉,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100)는 아웃사이드 미러(M)를 접거나 펼 수 있으며(즉,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 이때 특정 효과음을 함께 재생시킬 수 있다.
상기 미러 구동부(110)는 운전자의 스위치 조작에 따른 구동 신호를 받아, 아웃사이드 미러(M)를 접거나 편다. 예를 들어, 상기 미러 구동부(110)는 LIN통신(Local Interconnect Network)을 통해 자동차 내의 메인 제어부(미도시)로부터 구동 신호를 인가 받을 수 있다. 상기 미러 구동부(110)는 아웃사이드 미러(M)를 접으라는 구동 신호(folding)를 인가 받으면 모터를 구동시켜 아웃사이드 미러(M)를 접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미러 구동부(110)는 아웃사이드 미러(M)를 펴라는 구동 신호(un-folding)를 인가 받으면 모터를 구동시켜 아웃사이드 미러(M)를 펼 수 있다.
상기 도어 감지부(120)는 자동차의 도어 잠금 장치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 감지하여, 이를 미러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상기 주행 감지부(130)는 자동차가 현재 주행 중인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미러 제어부(140)에 전달한다.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상기 미러 구동부(110)의 구동 상태를 감지하여 아웃사이드 미러(M)가 접히거나 펴질 때 음향 재생부(150)가 효과음을 재생하도록 제어한다. 즉,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상기 미러 구동부(110)가 모터를 구동시켜 아웃사이드 미러(M)를 접거나 펴면, 상기 음향 재생부(150)에 미러 구동부(110)의 구동 상태에 해당하는 효과음을 재생하라고 명령한다. 그러면, 상기 음향 재생부(150)는 상기 미러 제어부(140)가 명령한 효과음을 재생한다.
예를 들어,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상기 미러 구동부(110)가 아웃사이드 미러(M)를 접는 상태인 것을 감지하면, 제1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음향 재생부(150)에 명령한다. 또한,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상기 미러 구동부(110)가 아웃사이드 미러(M)를 펴는 상태인 것을 감지하면, 제2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음향 재생부(150)에 명령한다.
또한,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도어 감지부(120)와 주행 감지부(130)의 정보도 받아 상기 음향 재생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상기 도어 감지부(120)를 통해 도어 잠금 장치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의 정보와 상기 미러 구동부(110)를 통해 아웃사이드 미러(M)가 접히는 상태인지 펴지는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각 상태에 해당 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음향 재생부(150)에 명령한다.
즉,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자동차의 도어 잠금 장치의 온/오프 상태 및 미러 구동부(110)의 구동 상태에 따라 다른 효과음을 재생하도록 음향 재생부(150)에 명령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자동차의 도어 잠금 장치가 온 상태일 때 미러 구동부(110)가 구동하는 효과음과, 자동차의 도어 잠금 장치가 오프 상태일 때 미러 구동부(110)가 구동하는 효과음을 다르게 재생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는 이러한 효과음에 따라 현재 도어 잠금 장치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를 인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도어 잠금 장치가 온 상태이고 상기 미러 구동부(110)가 아웃사이드 미러(M)를 접는 상태임을 감지하면, 제1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상기 음향 재생부(150)에 명령한다. 또한,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도어 장금 장치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미러 구동부(110)가 아웃사이드 미러(M)를 접는 상태라는 정보를 받으면, 상기 제1효과음과는 다른 제3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상기 음향 재생부(150)에 명령한다.
또한,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도어 잠금 장치가 온 상태이고 상기 미러 구동부(110)가 아웃사이드 미러(M)를 펴는 상태임을 감지하면, 제2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상기 음향 재생부(150)에 명령한다. 또한,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도어 장금 장치가 오프 상태이고 상기 미러 구동부(110)가 아웃사이드 미러(M)를 펴는 상태임을 감지하면, 상기 제2효과음과는 다른 제4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상기 음향 재생부(150)에 명령한다.
더불어,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주행 감지부(130)를 통해 자동차가 주행 중인지 아닌 지의 정보를 받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미러 제어부(140)는 주행 감지부(130)를 통해 자동차가 주행 중임의 정보를 받은 상태에서 상기 미러 구동부(110)를 통해 아웃사이드 미러(M)가 접힌 상태임을 감지하면, 경고음을 재생하라고 상기 음향 재생부(150)에 명령할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아웃사이드 미러(M)가 접힌 채 주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150)는 상기 미러 제어부(140)의 명령에 따라 특정한 효과음을 재생하여, 상기 미러 구동부(110)의 모터 구동에 따른 소음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150)는 미러 제어부(140)로부터 효과음을 재생하라는 명령을 받으면, 해당 효과음을 재생한다. 즉, 상기 음향 재생부(150)는 미러 구동부(110)의 구동 상태에 따라 다른 효과음을 재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운전자가 아웃사이드 미러(M)를 육안으로 확인하지 않아도 상기 효과음에 따라 현재 아웃사이드 미러(M)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재생부(150)에는 여러 가지의 효과음이 저장되어 있으며, 상기 효과음은 운전자가 직접 선택 및 설정이 가능하다. 즉, 어떠한 상황에서 어떤 효과음을 재생할 지를 운전자가 설정할 수 있다.
상기 음향 재생부(150)는 상기 미러 제어부(140)로부터 특정 효과음을 재생하라는 정보를 받으면, 스피커를 통해 해당 효과음을 재생한다. 상기 음향 재생부(150)에 의해 재생된 효과음은 자동차 내부 및 외부로 전달된다. 따라서, 운전자는 자동차 내부나 외부에서 이러한 효과음을 듣고, 아웃사이드 미러(M)의 상태를 알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음향 재생부(150)에서 재생되는 효과음을 듣고 현재 도어 잠금 장치가 온 상태일 때 아웃사이드 미러(M)가 접히거나 펴지는 것인지, 도어 잠금 장치가 오프 상태일 때 아웃사이드 미러(M)가 접히거나 펴지는 것인지의 여부를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음향 재생부(150)에서 재생되는 효과음의 크기(데시벨)는 상기 미러 구동부(110)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소음의 크기(데시벨)보다 크다. 따라서,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모터 소음은 효과음에 묻혀서 들리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100)는 운전자가 음향 재생부(150)에서 재생되는 효과음을 듣고 현재 도어 잠금 장치의 상태 및 아웃사이드 미러의 상태를 알 수 있는 동시에,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히거나 펴질 때 발생되는 모터 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의한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를 실시하기 위한 하나의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
100: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110: 미러 구동부
120: 도어 감지부
130: 주행 감지부
140: 미러 제어부
150: 음향 재생부

Claims (9)

  1. 모터를 구동시켜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거나 펴는 미러 구동부;
    상기 미러 구동부의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히거나 펴질 때 효과음을 재생하도록 명령하는 미러 제어부; 및
    상기 미러 제어부의 명령에 따라 효과음을 재생하는 음향 재생부;를 포함하고,
    상기 효과음의 크기는 상기 미러 구동부에 의해 아웃사이드 미러를 접거나 펼 때 발생하는 모터 소음의 크기보다 크며,
    상기 미러 제어부는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힐 때 제1효과음을 재생하고,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펴질 때 제2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상기 음향 재생부에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의 도어 잠금 장치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미러 제어부에 전달하는 도어 감지부; 및
    상기 자동차가 주행중인 지의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미러 제어부에 전달하는 주행 감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제어부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의 온/오프 상태 및 상기 미러 구동부의 상태를 조합하여 효과음을 다르게 재생하도록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제어부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온 상태이며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힐 때 제1효과음을 재생하고,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오프 상태이며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힐 때 제3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상기 음향 재생부에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제어부는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온 상태이며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펴질 때 제2효과음을 재생하고, 상기 도어 잠금 장치가 오프 상태이며 상기 아웃사이드 미러가 펴질 때 제4효과음을 재생하라고 상기 음향 재생부에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 제어부는 상기 주행 감지부로부터 자동차가 주행중임의 정보를 받은 상태에서 상기 미러 구동부를 통해 아웃사이드 미러가 접힌 상태임을 감지하면, 경고음을 재생하라고 명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KR1020170034775A 2017-03-20 2017-03-20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KR101958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775A KR101958545B1 (ko) 2017-03-20 2017-03-20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775A KR101958545B1 (ko) 2017-03-20 2017-03-20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441A KR20180106441A (ko) 2018-10-01
KR101958545B1 true KR101958545B1 (ko) 2019-03-14

Family

ID=63877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775A KR101958545B1 (ko) 2017-03-20 2017-03-20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54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610B2 (ja) * 1997-06-04 2000-12-04 東洋ガスメーター株式会社 ガスメーター用伝送装置の取付具
KR101702888B1 (ko) * 2015-10-12 2017-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야 각도 조절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용 시야 각도 조절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3610B2 (ja) * 1997-06-04 2000-12-04 東洋ガスメーター株式会社 ガスメーター用伝送装置の取付具
KR101702888B1 (ko) * 2015-10-12 2017-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야 각도 조절장치, 이를 포함하는 차량 및 차량용 시야 각도 조절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441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49815B2 (en) Demonstrating an active vibration isolation system
JP5192901B2 (ja) ノイズキャンセルヘッドホン
US8213631B2 (en) Sound system with multiple speakers
US20070218959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telephone communication method thereof
JP6848512B2 (ja) 開閉体駆動モータ及び開閉体駆動システム
KR100757424B1 (ko) 차량용 미디어 재생기의 초기화 장치 및 방법
JP2006254285A (ja) 車載装置及び車載装置の制御方法
KR101958545B1 (ko) 음향 재생이 가능한 아웃사이드 미러 구동 장치
CN110476205A (zh) 在自动驾驶车辆的驾驶舱中主动控制隔音的设备
JP4632974B2 (ja) 車載オーディオシステム
WO2012066685A1 (ja) 音響装置及び出力音制御方法
JP2007336327A (ja) 車載データ再生システム、及び、車載データ再生システムの制御方法
KR20190031043A (ko) 음향 재생이 가능한 후방 뷰 장치에 대한 구동 장치
KR102062554B1 (ko) 홈 도어 시스템
JP6464987B2 (ja) 車両の警報装置
JPS6343502Y2 (ko)
JP4466330B2 (ja) 車両用オーディオシステム
JPH06335083A (ja) 車載用音響装置
JPH11355082A (ja) 鉄道等車両用の騒音追従制御型放送装置
JPS5979448A (ja) 音響機器の動作禁止装置
JPH0684500U (ja) カラオケ装置
KR0133873B1 (ko) 자동차의 스피커 위치 제어 dsp 오디오 장치
JP2005286591A (ja) 車載用音響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H07245798A (ja) カーオーディオ装置
JP2008147900A (ja) オーディオシステム、オーディオ装置、ポータブルオーディオ装置および音声出力切替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