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8453B1 - 금융기기, 매체인식장치, 및 매체인식방법 - Google Patents

금융기기, 매체인식장치, 및 매체인식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8453B1
KR101958453B1 KR1020160100086A KR20160100086A KR101958453B1 KR 101958453 B1 KR101958453 B1 KR 101958453B1 KR 1020160100086 A KR1020160100086 A KR 1020160100086A KR 20160100086 A KR20160100086 A KR 20160100086A KR 101958453 B1 KR101958453 B1 KR 1019584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image
area
damaged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0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6105A (ko
Inventor
이정인
배용운
조한철
최은주
한종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텍에이피
Priority to KR1020160100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453B1/ko
Publication of KR201800161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61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4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4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r condition, e.g. wear or tear
    • G07D7/185Detecting holes or por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11/00Devices accepting coins; Devices accepting, dispensing, sorting or counting valuable papers
    • G07D11/20Controlling or monitoring the operation of devices; Data handling
    • G07D11/22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 G07D11/225Means for sensing or detection for detecting or indicating tampering
    • G06K9/3275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10Image acquisition
    • G06V10/12Details of acquisition arrangemen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06V10/44Local feature extraction by analysis of parts of the pattern, e.g. by detecting edges, contours, loops, corners, strokes or intersections; Connectivity analysis, e.g. of connected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7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using pattern recognition or machine learning
    • G06V10/74Image or video pattern matching; Proximity measures in feature spaces
    • G06V10/75Organisation of the matching processes, e.g. simultaneous or sequential comparisons of image or video features; Coarse-fine approaches, e.g. multi-scale approaches; using context analysis; Selection of dictionar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98Detection or correction of errors, e.g. by rescanning the pattern or by human intervention; Evaluation of the quality of the acquired patter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181Testing mechanical properties or condition, e.g. wear or tear
    • G07D7/183Detecting folds or doub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20Testing patterns thereon
    • G07D7/2016Testing patterns thereon using feature extraction, e.g. segmentation, edge detection or Hough-transform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2Deposit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9/00Complete banking systems; Coded card-freed arrangements adapted for dispensing or receiving monies or the like and posting such transactions to existing accounts, e.g. automatic teller machines
    • G07F19/20Automatic teller machines [ATMs]
    • G07F19/203Dispensing operations within AT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Fina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인식장치에는, 매체에, 빛을 투과시켜 얻은 투과이미지와, 빛을 반사시켜 얻은 반사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외곽경계를 설정하는 외곽경계설정부; 상기 외곽경계의 내부에서, 훼손영역이 탐색되면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고, 상기 훼손영역이 탐색되지 않은 매체는 정상매체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반사이미지 및 상기 투과이미지를 비교하여 오염물이 있는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 및 상기 투과이미지를 이용해서 접힘이 있는 매체를 정상매체로 판단하는 제 2 판단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매체 및 훼손매체 인식율이 향상될 수 있고, 고객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금융기기, 매체인식장치, 및 매체인식방법{Financial device, apparatus and method for media recognition}
본 발명은 금융기기, 매체인식장치, 및 매체인식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금융기기는, 고객이 원하는 금융 업무를 처리하는 기기이다. 상기 금융기기는 매체를 입출금하거나 매체를 자동으로 이체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금융기기는 지폐 또는 수표 등을 입금하거나 출금할 수 있다.
선행기술문헌인 일본공개특허공보 JP08339466A에는 자동거래장치가 개시된다.
상기 선행기술은 지폐의 통과 중에 시간을 측정하여 접힘, 훼손 파손 및 스큐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에서 제시되는, 시간을 측정하여 훼손을 판단하는 것은, 훼손을 검출하는 인식율이 낮을 수 있고, 이는 고객에게 불편함을 줄 수 있다.
또한, 낮은 인식율로 매체처리시간이 오래 지연될 수 있다.
일본공개특허공보 JP08339466A
본 발명의 목적은 훼손매체를 인식하고, 분류하는 매체인식장치, 매체인식방법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신속한 매체처리시간을 제공하는 매체인식장치, 매체인식방법 및 금융기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매체인식장치에는, 매체에, 빛을 투과시켜 얻은 투과이미지와, 빛을 반사시켜 얻은 반사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외곽경계를 설정하는 외곽경계설정부; 상기 외곽경계의 내부에서, 훼손영역이 탐색되면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고, 상기 훼손영역이 탐색되지 않은 매체는 정상매체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반사이미지 및 상기 투과이미지를 비교하여 오염물이 있는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 및 상기 투과이미지를 이용해서 접힘이 있는 매체를 정상매체로 판단하는 제 2 판단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매체 및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고, 고객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에서, 상기 외곽경계는 직사각형으로 제공하여 상기 매체 인식의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고, 매체 인식의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에서, 상기 제 2 판단부는, 상기 접힘으로 의심되는 제 1 영역의 명도와, 훼손되지 않은 제 2 영역의 명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영역의 명도가 상기 제 2 영역의 명도보다 낮으면 접힘으로 판단하여 매체의 접힘을 판단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별도 메모리 공간이 소요되지 않으므로, 상기 메모리를 좀 더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매체의 변과 접하는 영역으로 제공되는 것이 접힘을 인식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매체의 모서리와 접하는 영역으로 제공되는 것이 접힘을 인식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에서,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스큐를 보정하는 스큐보정부를 추가로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외곽경계설정부로부터 상기 스큐가 보정된 이미지의 경계를 설정하게 함으로써, 이미지의 외곽경계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어 매체의 훼손영역 검출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에서, 상기 훼손영역의 종류 및 넓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국가별 검출기준이 저장된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되도록 하여, 한 국가의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국가의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훼손영역에는, 상기 훼손영역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외곽경계와 접하지 않은 영역이 손실된 홀, 상기 매체의 변과 접하는 영역이 손실된 테어스, 모서리가 손실된 귀접힘훼손, 및 상기 오염물이 포함된 스테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도록 하여, 종류에 따른 국가별 검출기준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훼손영역의 넓이는 체인코드 방식으로 획득하여, 기존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저장하는 방식보다 데이터의 양을 줄일 수 있어 메모리가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신속하게 상기 훼손영역의 위치를 찾는데 용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출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검출기준을 초과하지 않은 것은 정상매체로 분류하는 비교분류부를 추가로 포함되도록 하여,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분류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에서, 상기 제 1 판단부 및 상기 제 2 판단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검증대상매체에 대해서만 판단되도록 하여, 훼손매체가 판단되는 것에 대한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에서, 상기 검증대상매체와 상기 정상매체의 분류 기준은 변경 가능하도록 하여,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로 분류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반사이미지와 상기 투과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한 이미지에서 상기 훼손영역이 탐색되면 상기 매체를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도록 하여, 상기 매체를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로 분류하는 것에 대한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반사이미지와 상기 투과이미지 모두에서 상기 훼손영역이 탐색되면 상기 매체를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여, 상기 매체를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로 분류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본 발명의 매체인식장치에는, 매체의 투과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 상기 투과이미지에 외곽경계를 설정하는 외곽경계설정부; 상기 외곽경계의 내부에서 훼손영역이 탐색된 매체는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고, 훼손영역이 탐색되지 않은 매체는 정상매체로 분류하는 분류부; 및 접힘이 있는 매체를 상기 정상매체로 판단하는 제 2 판단부가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훼손매체를 검출하는 것에 대한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에서, 상기 이미지획득부는 반사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투과이미지와 상기 반사이미지를 비교하여 오염물이 있는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가 추가로 포함되도록 하여, 훼손매체를 검출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판단부는, 상기 반사이미지에서 어느 대상영역이 명도가 낮고, 상기 투과이미지에서 상기 대상영역이 명도가 낮으면 오염물이 있는 훼손매체로 판단하여, 오염물이 있는 훼손매체를 검출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에서, 상기 제 2 판단부는 접힘이 있는 영역의 명도가 낮은 것을 이용하여, 접힘이 있는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것에 대한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인식장치에서, 상기 제 2 판단부는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된 매체에 대해서만 판단을 수행하도록 하여, 접힘이 있는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것에 대한 신속성이 더욱 더 향상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매체인식방법에는, 매체의 이미지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외곽경계가 설정되는 단계; 상기 외곽경계의 내부를 탐색하고, 훼손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훼손영역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훼손영역의 종류를 분류하여, 검증대상매체를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대상매체 중에서 접힘이 있는 매체는 정상매체로 판단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검출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고, 상기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검출하는 것에 대한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방법에서, 매체의 이미지가 획득되는 단계는, 빛을 투과시켜 얻는 투과이미지를 획득하는 것과, 빛을 반사시켜 얻는 반사이미지를 획득하여,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검출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의 금융기기에는, 매체의 출입금을 위한 매체출입부; 상기 매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정상매체와 검증대상매체를 분류하고, 상기 검증대상매체에서 접힘이 있는 매체로 판단되면, 상기 판단된 매체는 정상매체로 분류되는 매체인식장치; 및 상기 매체인식장치를 통과한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집적부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정상매체 및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고, 고객에게 신속한 금융거래시간을 제공할 수 있고, 금융거래를 위한 고객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정상매체 및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매체를 인식하고 처리하는 시간이 빨라질 수 있다.
또한, 메모리의 효율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고객의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또한, 여러 국가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인식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표현한 블록도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매체인식장치에 획득된 투과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인식장치에 획득된 반사이미지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체인코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체인코드 방식에서, 경계점 방향을 벡터로서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체인코드 방식을 적용하여 훼손영역의 넓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매체인식장치에서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금융기기는 일례로 지폐, 증권, 지로, 동전, 상품권 등과 같은 다양한 매체를 입수하여 입금처리, 지로수납, 상품권 교환 등과 같은 처리 및/또는 출금처리, 지로방출, 상품권 방출 등과 같은 처리와 같은 매체 처리를 수행하는 금융 업무를 수행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금융기기의 예로는 현금방출기(CD: Cash Dispenser), 현금 입출금기(Cash Recycling Device) 등과 같은 금융자동화기기(ATM: Automated Teller Machine) 등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금융기기는 전술한 예에 한정되지 않고, FIS(Financial Information System)와 같이 금융업무를 자동화하는 장치가 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금융기기가 금융자동화기기인 것으로 가정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다만, 이러한 가정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금융자동화기기에 한정되어 적용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매체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금융기기의 구성을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금융기기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금융기기(1)는, 내부에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본체(1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사용자가 금융업무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입력부(100)와, 수표를 출입금하기 위한 수표출입부(210)와, 지폐를 출입금하기 위한 지폐출입부(220)와, 통장을 출입하기 위한 통장출입부(300)와, 금융처리를 위한 IC카드(Integrated Circuit Card)를 출입하기 위한 카드출입부(400)와, 매체출입부(200)를 통해 입금된 매체를 보관하는 매체집적부(500)와, 매체를 인식하기 위한 매체인식장치(6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수표출입부(210), 통장출입부(300), 및 카드출입부(400) 중 하나 이상은 생략될 수 있다. 수표출입부(210) 및 지폐출입부(220)는 통칭하여 매체출입부(200)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매체집적부(500)는, 사용자가 수납한 매체를 임시로 저장하는 임시집적부(미도시), 입금되는 매체를 보관하는 리싸이클박스(미도시), 훼손매체가 보관되는 회수부(미도시), 매체가 저장되는 카세트(미도시: cassette)등과 같이 금융기기(1)내에 구비되고 매체가 유입되어 보관될 수 있는 모든 모듈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상기 본체(10)의 내부에 구비되고, 매체의 정보를 분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훼손매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훼손매체는 매체 본래의 형태 중 일부를 잃어 외형적으로 변형된 상태이거나, 매체의 표면에 이물질 부착, 글씨, 그림 등 도안 이외의 형태가 포함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인식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간략하게 표현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외부로부터 인입된 매체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6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획득부(601)는 매체에 빛을 투과시켜서 투과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투과이미지는 매체의 영역을 제외한 부분이 상대적으로 명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과이미지는 매체의 외형적 변형에 대한 훼손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매체인식장치에 획득된 투과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투과이미지에서 구멍 및 잘려진 형태의 훼손은 상대적으로 매체의 이미지보다 명도가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매체가 접힌 상태로 이미지가 획득된 경우, 투과이미지에서는 상기 접힌 부분은 매체의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명도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과이미지를 획득하면 매체의 외형적인 변형에 대한 훼손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획득부(601)는 매체에 빛을 반사시켜서 상기 매체의 반사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반사이미지는 매체의 영역을 제외한 부분이 상대적으로 명도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이미지는 지폐 표면의 훼손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매체인식장치에 획득된 반사이미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반사이미지에서 구멍 및 잘려진 형태의 훼손은 상대적으로 매체의 이미지보다 명도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이미지에서 매체 표면의 도안 이외의 형태가 포함된 훼손은 매체 이미지의 명도보다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사이미지를 획득하면 매체의 외형적인 변형에 대한 훼손 및 매체 표면의 도안 이외의 형태가 포함된 훼손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매체 표면의 도안 이외의 형태가 포함된 훼손은 오염물이 있는 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스큐(Skew)를 보정할 수 있는 스큐보정부(60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큐(Skew)는 매체의 이송방향에 대해, 경사진 상태로 이송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스큐(Skew)를 보정함으로써, 후술되는 외곽경계설정부(603)는 상기 이미지의 경계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매체의 훼손영역 검출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 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상기 스큐(Skew)가 보정된 이미지에 외곽경계를 설정하는 외곽경계설정부(6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곽경계의 형태는 매체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체와 동일한 형태로 외곽경계가 설정되면, 외곽과 접하는 훼손영역을 검출할 때, 매체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분류부(604)에서 외곽경계의 내부를 검출하는 과정을 인입 되는 매체마다 동일하게 적용할 수 있어 매체 인식의 신뢰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외곽경계의 형태는 직사각형의 형태 일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외곽경계가 설정된 이미지의 내부를 탐색하고, 상기 이미지의 훼손영역을 검출하는 분류부(60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류부(604)는 상기 외곽경계의 내부에서, 훼손영역이 검출되면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할 수 있고, 상기 훼손영역이 검출되지 않은 매체는 정상매체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분류부(604)의 검증대상매체와 상기 정상매체를 분류하는 분류기준은 변경될 수 있다. 상기 분류부(604)는 상기 반사이미지와 상기 투과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한 이미지에서 상기 훼손영역이 탐색되면 상기 매체를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도록 분류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분류기준에서 상기 매체처리장치(600)는 상기 매체를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로 분류하는 것에 대한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부(604)는 상기 반사이미지와 상기 투과이미지 모두에서 상기 훼손영역이 탐색되면 상기 매체를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분류기준에서 상기 매체처리장치(600)는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로 분류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분류부(604)는 상기 정상매체와 검증대상매체를 1차적으로 분류함으로써, 후술되는 제 1 판단부(609) 및 제 2 판단부(610)는 검증대상매체에서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판단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체의 인식에 대한 신속성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류부(604)의 분류결과와 후술되는 제 1 판단부(609)의 판단결과와 제 2 판단부(610)의 판단결과를 서로 비교하여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상기 훼손영역이 검출되면, 상기 훼손영역의 넓이를 측정할 수 있고, 상기 훼손영역의 위치를 할당할 수 있는 훼손위치획득부(605)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훼손위치획득부(605)는 체인코드 방식을 사용하여 상기 훼손영역의 넓이를 측정할 수 있고, 위치를 할당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훼손위치획득부(605)에서 체인코드 방식을 적용하여 훼손영역의 넓이를 측정하는 방법과, 위치를 할당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훼손위치할당부에서 체인코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체인코드 방식에서, 경계점 방향을 벡터로서 표시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획득된 매체이미지는 픽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훼손위치획득부(605)에서 상기 매체이미지에 체인코드(Chaincode) 방식을 적용하면 훼손영역의 경계선을 따라가면서, 1픽셀(pixel) 주변의 8근방 픽셀(pixel) 다음 경계점 방향을 벡터(vector)로서 표시하여 이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훼손위치획득부(605)는 훼손영역코드를 획득할 수 있고, 상기 훼손영역코드는 후술되는 메모리(608)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훼손위치획득부(605)는 시작점의 좌표를 메모리(608)에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시작점의 좌표와 훼손영역코드를 저장함으로써 훼손영역의 위치를 알 수 있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체인코드 방식을 적용하여 훼손영역의 넓이를 획득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벡터(vector)의 진행방향에 따라 훼손영역의 넓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예로, 첫 코드가 7 이므로, (2,0) 내지 (2,4)인 훼손영역 넓이는 5픽셀(pixel)일 수 있다. 다음 코드가 7 이므로, (3,0) 내지 (3,5) 인 훼손영역 넓이는 6픽셀(pixel)일 수 있다. 따라서, 2번째 코드까지의 훼손영역 넓이는 11픽셀(pixel)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훼손영역코드인 ‘7701234547’을 모두 적용하면, 상기 훼손영역의 넓이는 13픽셀(pixel)일 수 있다. 또한, 출발점의 좌표 (1,3)을 메모리에 저장함으로써 훼손영역의 위치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출발점의 좌표 (1,3)과 상기 훼손영역코드 ‘7701234547’을 적용하면, 상기 훼손영역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상기 체인코드 방식을 적용함으로써, 훼손영역의 넓이와 위치를 숫자로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훼손영역의 넓이와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숫자로 표현함으로써,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보다 데이터의 양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신속하게 상기 훼손영역위치를 찾는데 용이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매체인식장치(600)는 훼손영역의 위치를 바탕으로 훼손영역의 종류를 판단할 수 있는 훼손종류판단부(60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훼손영역의 종류는, 상기 훼손영역의 위치, 면적 및/또는 종류에 따라 홀(Hole), 귀접힘훼손, 테어스(Tears), 및 스테인(Stain) 중 적어도 하나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홀(Hole)은 외곽 경계와 접하지 않는 영역을 잃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귀접힘훼손은 매체의 모서리 영역을 잃은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테어스(Tears)는 매체의 변과 접하는 영역을 잃거나 찢긴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테인(Stain)은 매체의 표면에 이물질 부착, 글씨, 그림 등 도안 이외의 형태인 오염물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훼손영역의 넓이와 검출기준을 비교할 수 있고, 정상매체와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할 수 있는 비교분류부(607)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교분류부(607)는 훼손영역 종류에 따른 훼손영역의 넓이와 후술되는 메모리(608)에 저장된 검출기준을 서로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훼손영역의 넓이가 검출기준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상매체로 분류할 수 있고, 초과하는 매체는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한 국가의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고, 여러 국가의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것에 적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일 예로, 중국매체에는 홀(Hole)이 포함되어 있고, 상기 홀(Hole)이 인민은행 홀(Hole) 검출 기준인 20mm2를 초과하지 않는 경우, 상기 중국의 매체는 정상매체로 분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유럽의 매체에는 홀(Hole) 영역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고, 상기 홀(Hole)이 유럽중앙은행(European Central Bank)의 홀(Hole) 검출 기준인 10mm2 를 초과하는 경우, 상기 유럽의 매체는 훼손매체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훼손영역에 관련된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는 메모리(608)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608)에는 훼손영역의 위치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훼손영역의 위치에 따라 훼손의 종류가 분류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608)에는 훼손영역 종류 및 넓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국가별 검출기준에 대한 정보들이 저장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상기 투과이미지와, 상기 반사이미지를 서로 비교하여 스테인(Stain)이 있는 매체를 판단할 수 있는 제 1 판단부(609)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테인(Stain)은 투과이미지에서 매체의 훼손되지 않은 영역보다 명도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 테어스(Tears), 홀(Hole)의 명도는 매체의 훼손되지 않은 영역의 명도보다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테어스(Tears), 홀(Hole)의 명도는 상기 반사이미지에서 매체의 훼손되지 않은 영역보다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투과이미지와 반사이미지에서 매체의 훼손되지 않은 영역보다 명도가 낮게 나타나는 영역은 스테인(Stain)이 있는 훼손영역임을 알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매체의 투과이미지를 이용하여 매체의 접힘을 판단하는 제 2 판단부(610)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된 매체 중에서는 접힘이 있는 매체가 포함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투과이미지에서는 매체에 접힘이 있는 영역과 훼손되지 않는 영역의 명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매체에 접힘이 있는 영역은 상기 훼손되지 않은 영역의 명도보다 낮을 수 있다. 반사이미지에서는 매체에 접힘이 있는 영역과 훼손되지 않은 영역은 유사한 명도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판단부(610)는 투과이미지를 이용하며 매체에 접힘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판단부(610)는 상기 매체의 투과이미지에서 매체에 접힘이 있는 것으로 의심되는 제 1 영역의 명도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은 접힘 또는 잘림으로써 생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변을 기준으로 상기 귀접힘훼손에 대칭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매체의 변과 접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매체의 모서리와 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의 명도를 메모리에 기 설정해 놓은 특정기준과 비교할 수 있고, 접힘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기 설정해 놓은 특정기준을 비교하여 접힘을 판단하는 것을 제 1 접힘판단모드라 이름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판단부(610)는 매체의 투과이미지에서, 제 1 영역의 명도와 상기 훼손되지 않은 제 2 영역의 명도를 비교하여 접힘을 판단할 수 있는 제 2 접힘판단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접힘판단모드에서, 상기 매체는 제 1 영역의 명도가 제 2 영역의 명도보다 낮으면 접힘으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접힘이 있는 매체인 경우, 상기 제 2 판단부(610)는 상기 매체를 정상매체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접힘이 있는 매체가 아닌 귀접힘훼손인 경우, 훼손매체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매체가 홀(Hole), 테어스(Teas), 및 스테인(Stai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인 경우, 상기 매체는 접힘이더라도 훼손매체로 판단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상기 제 1 접힘판단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상기 제 2 접힘판단모드보다 신속하게 접힘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상기 제 2 접힘판단모드가 수행되면, 상기 제 1 접힘판단모드보다 정확하게 접힘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접힘판단모드는 검출기준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608)에 저장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 1 접힘판단모드가 수행되는 것보다 메모리(608)의 저장공간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인식장치(600)는 상기 이미지획득부(601), 상기 스큐보정부(602), 상기 외곽경계설정부(603), 상기 분류부(604), 훼손위치획득부(605), 상기 훼손종류판단부(606), 상기 비교분류부(607), 상기 메모리(608), 상기 제 1 판단부(609), 및 상기 제 2 판단부(610)를 제어하여 매체가 정상매체인지, 훼손매체인지 판단할 수 있는 제어부(6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다수의 동작모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2, 및 3 제어모드를 가질 수 있다.
먼저, 상기 제어부(611)는 제 1 제어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제 1 제어모드에서 분류부(604)를 제어하여 정상매체와 검증대상매체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제 1 판단부(609)를 제어하여 스테인(Stain)이 있는 훼손매체와 스테인(Stain)이 없는 매체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제 2 판단부(610)를 제어하여 접힘이 있는 매체와 접힘이 없는 매체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접힘이 없는 매체는 귀접힘훼손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류부(604), 상기 제 1 판단부(609), 상기 제 2 판단부(610)를 모두 비교하여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가 상기 제 1 제어모드로 작동되면,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분류하는 정확성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제 2 제어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제 2 제어모드에서 분류부(604)를 제어하여 정상매체와 검증대상매체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제 1 판단부(609)를 제어하여 상기 검증대상매체 중에서 스테인(Stain)이 있는 훼손매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제 2 판단부(610)를 제어하여 상기 검증대상매체 중에서 귀접힘훼손이 있는 훼손매체를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611)는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가 제 2 제어모드로 작동되면, 상기 제 1 제어모드보다 신속하게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제 3 제어모드로 동작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제 3 제어모드에서 분류부(604)를 제어하여 정상매체와 검증대상매체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제 1 판단부(609)를 제어하여 상기 검증대상매체 중에서 스테인(Stain)이 있는 훼손매체와 스테인(Stain)이 없는 매체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스테인(Stain)이 있는 매체를 훼손매체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스테인(Stain)이 없고, 홀(Hole)이 있는 매체를 훼손매체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제 2 판단부(610)를 제어하여 검증대상매체이고, 상기 스테인(Stain)이 없는 매체이고, 및 홀(Hole)이 없는 매체의 접힘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접힘인 매체를 정상매체로 분류할 수 있고, 귀접힘훼손인 매체를 훼손매체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가 제 3 제어모드로 작동되면, 상기 제 1 제어모드 및 상기 제 2 제어모드보다 신속하게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분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매체인식장치에서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매체인식장치에서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정상/훼손을 판단하기 위한 매체가 인입될 수 있다(S1).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인입된 매체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2). 상기 제어부(611)는 매체의 투과이미지 및 반사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획득된 이미지의 스큐(Skew)를 보정할 수 있다(S3).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스큐(Skew)가 보정되면, 상기 이미지의 외곽경계를 상기 이미지의 형태에 맞게 설정할 수 있고, 매체의 훼손검출에 대한 신뢰성이 향상 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스큐(Skew)가 보정된 이미지의 외곽경계를 설정할 수 있다(S4). 상기 외각 경계의 형태는 매체의 형태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매체와 동일한 형태로 외곽경계가 설정되면, 외곽과 접하는 훼손영역을 검출할 때, 매체를 벗어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내부탐색을 수행하여 훼손영역을 검출하는 단계에서 매체이미지마다 동일한 외곽경계를 적용할 수 있어 매체 인식의 신뢰성과 신속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한 외곽경계의 형태는 직사각형의 형태 일 수 있다.
상기 이미지의 외곽경계가 설정되면, 상기 제어부(611)는 외곽경계의 내부 탐색을 수행할 수 있다(S5). 상기 제어부(611)는 매체이미지에서 훼손영역이 검출되면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할 수 있고,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투과이미지 및 반사이미지를 이용하여 훼손된 영역을 검출 할 수 있다(S6).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반사이미지와 상기 투과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한 이미지에서 상기 훼손영역이 탐색되면 상기 매체를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도록 분류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상기 분류기준에서,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매체를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로 분류하는 것에 대한 신속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반사이미지와 상기 투과이미지 모두에서 상기 훼손영역이 탐색되면 상기 매체를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분류기준에서, 상기 제어부(611)는 정상매체와 훼손매체로 분류하는 것에 대한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투과이미지는 외형적 변형에 의한 훼손영역인 홀(Hole), 귀접힘훼손, 및 테어스(Tears)를 검출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과이미지와 상기 반사이미지를 비교하는 것은 스테인(Stain)을 검출하는데 효과적일 수 있다.
상기 인입된 매체에서 훼손영역이 검출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인입된 매체를 정상매체로 분류할 수 있다(S7). 또한, 상기 인입된 매체의 훼손영역이 검출되면, 상기 제어부(6111)는 상기 인입된 매체를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체인코드(Chaincode) 방식을 적용하여 훼손영역의 넓이를 획득할 수 있다(S8).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체인코드(Chaincode)방식을 통하여, 훼손영역의 위치를 판단할 수 있다(S9). 상기 인입된 매체의 훼손영역의 위치에 따라 홀(Hole), 귀접힘훼손, 테어스(Tears), 및 스테인(Stain) 중 어느 하나인 훼손을 분류할 수 있다. 각 특성에 따라 훼손의 종류를 분류함으로써, 매체의 주요요소들을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고, 상기 금융기기(1)의 정상동작을 유도할 수 있어서 유지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상기 귀접힘훼손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매체 중, 상기 귀접힘훼손이 아닌 접힘인 매체를 판단할 수 있다(S10). 상기 제어부(611)는 투과이미지에서 귀접힘훼손으로 판단된 영역의 밝기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11)는, 제 1 접힘판단모드를 통해 상기 제 1 영역의 명도와 관리자가 설정해 놓은 특정기준을 서로 비교할 수 있고, 매체의 접힘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11)는, 제 2 접힘판단모드를 통해 상기 제 1 영역의 명도와 제 2 영역의 명도를 서로 비교할 수 있고, 매체의 접힘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의 접힘을 판단함으로써, 상기 금융기기(1)는 정상매체와 훼손매체에 대한 판단을 명확하게 내릴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융기기(1)의 오인식을 줄일 수 있어 고객의 편의성을 증대 시킬 수 있다.
상기 접힘이 있는 매체로 판단 된 경우, 제어부(611)는 상기 매체를 정상매체로 분류할 수 있다(S7).
상기 접힘이 있는 매체가 아닌 귀접힘훼손으로 판단 된 경우, 제어부(611)는 상기 매체를 훼손매체로 분류 할 수 있다(S11).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구성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금융기기 10: 본체
100: 입력부 200: 매체출입부
300: 통장출입부 400: 카드출입부
500: 매체집적부 600: 매체인식장치
601: 이미지획득부 602: 스큐보정부
603: 외곽경계설정부 604: 분류부
605: 훼손위치획득부 606: 훼손종류판단부
607: 비교분류부 608: 메모리
609: 제1판단부 610: 제2 판단부
611: 제어부

Claims (23)

  1. 매체에, 빛을 투과시켜 얻은 투과이미지와, 빛을 반사시켜 얻은 반사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외곽경계를 설정하는 외곽경계설정부;
    상기 외곽경계의 내부에서, 훼손영역이 탐색되면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고, 상기 훼손영역이 탐색되지 않은 매체는 정상매체로 분류하는 분류부;
    상기 반사이미지 및 상기 투과이미지를 비교하여 오염물이 있는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 및
    상기 투과이미지를 이용해서 접힘이 있는 매체를 정상매체로 판단하는 제 2 판단부를 포함하는 매체인식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경계는 직사각형인 매체인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부는,
    상기 접힘으로 의심되는 제 1 영역의 명도와, 훼손되지 않은 제 2 영역의 명도를 비교하여,
    상기 제 1 영역의 명도가 상기 제 2 영역의 명도보다 낮으면 접힘으로 판단하는 매체인식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매체의 변과 접하는 영역인 매체인식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영역은 상기 매체의 모서리와 접하는 영역인 매체인식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스큐를 보정하는 스큐보정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매체인식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경계설정부는 상기 스큐가 보정된 이미지의 외곽경계를 설정하는 매체인식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훼손영역의 종류 및 넓이 중의 적어도 하나에 대한 국가별 검출기준이 저장된 메모리를 추가로 포함하는 매체인식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훼손영역에는,
    상기 훼손영역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외곽경계와 접하지 않은 영역이 손실된 홀, 상기 매체의 변과 접하는 영역이 손실된 테어스, 모서리가 손실된 귀접힘훼손, 및 상기 오염물이 포함된 스테인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되는 매체인식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훼손영역의 넓이는 체인코드 방식으로 획득하는 매체인식장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기준을 적용하여, 상기 검출기준을 초과하지 않은 것은 정상매체로 분류하는 비교분류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매체인식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단부 및 상기 제 2 판단부 중의 적어도 하나는, 상기 검증대상매체에 대해서만 판단을 수행하는 매체인식장치.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증대상매체와 상기 정상매체의 분류 기준은 변경 가능한 매체인식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반사이미지와 상기 투과이미지 중 적어도 어느 한 이미지에서 상기 훼손영역이 탐색되면 상기 매체를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는 매체인식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기준은, 상기 반사이미지와 상기 투과이미지 모두에서 상기 훼손영역이 탐색되면 상기 매체를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는 매체인식장치.
  16. 매체의 투과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획득부;
    상기 투과이미지에 외곽경계를 설정하는 외곽경계설정부;
    상기 외곽경계의 내부에서 훼손영역이 탐색된 매체는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고, 훼손영역이 탐색되지 않은 매체는 정상매체로 분류하는 분류부; 및
    접힘이 있는 매체를 상기 정상매체로 판단하는 제 2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미지획득부는 반사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투과이미지와 상기 반사이미지를 비교하여 오염물이 있는 훼손매체를 판단하는 제 1 판단부가 더 포함되는 매체인식장치.
  17. 삭제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단부는, 상기 반사이미지에서 어느 대상영역이 명도가 낮고, 상기 투과이미지에서 상기 대상영역이 명도가 낮으면 오염물이 있는 훼손매체로 판단하는 매체인식장치.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부는 접힘이 있는 영역의 명도가 낮은 것을 이용하여 판단하는 매체인식장치.
  20.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단부는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된 매체에 대해서만 판단을 수행하는 매체인식장치.
  21. 매체의 이미지가 획득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이미지의 외곽경계가 설정되는 단계;
    상기 외곽경계의 내부를 탐색하고, 훼손영역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훼손영역의 위치에 따라서 상기 훼손영역의 종류를 분류하여, 검증대상매체를 구분하는 단계; 및
    상기 검증대상매체 중에서 접힘이 있는 매체는 정상매체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매체인식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매체의 이미지가 획득되는 단계는,
    빛을 투과시켜 얻는 투과이미지를 획득하는 것과, 빛을 반사시켜 얻는 반사이미지를 획득하는 매체인식방법.
  23. 매체의 출입금을 위한 매체출입부;
    상기 매체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에 외곽경계를 설정하며, 상기 외곽경계의 내부를 탐색하여 상기 매체를 정상매체 또는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고, 상기 검증대상매체가 접힘이 있는 매체로 판단되면 상기 판단된 매체를 정상매체로 분류하는 매체인식장치; 및
    상기 매체인식장치를 통과한 매체가 보관되는 매체집적부를 포함하고,
    상기 매체인식장치는,
    상기 매체에 빛을 투과 및 반사시켜 투과이미지 및 반사이미지를 획득하는 이미지 획득부와,
    상기 획득된 이미지에 외곽경계를 설정하는 외곽경계설정부;
    상기 외곽경계 내부에서, 훼손영역이 탐색된 매체를 검증대상매체로 분류하고, 상기 훼손영역이 탐색되지 않은 매체를 정상매체로 분류하는 분류부와,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된 매체의 반사이미지 및 상기 투과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검증대상매체를 훼손매체로 판단하는 제 1 판단부와,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된 매체의 투과 이미지를 이용해서 접힘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된 매체를 정상매체로 판단하는 제 2 판단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판단부는,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된 매체의 투과이미지에서 훼손되지 않은 영역보다 명도가 높게 나타나고,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된 매체의 반사이미지에서 훼손되지 않은 영역보다 명도가 낮게 나타나는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된 매체를 테어스 및 홀이 있는 훼손매체로 인식하고,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된 매체의 투과이미지에서 훼손되지 않은 영역보다 명도가 낮게 나타나고,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된 매체의 반사이미지에서 훼손되지 않은 영역보다 낮게 나타나는 영역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검증대상매체로 분류된 매체를 스테인이 있는 훼손매체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융기기.
KR1020160100086A 2016-08-05 2016-08-05 금융기기, 매체인식장치, 및 매체인식방법 KR1019584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86A KR101958453B1 (ko) 2016-08-05 2016-08-05 금융기기, 매체인식장치, 및 매체인식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0086A KR101958453B1 (ko) 2016-08-05 2016-08-05 금융기기, 매체인식장치, 및 매체인식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05A KR20180016105A (ko) 2018-02-14
KR101958453B1 true KR101958453B1 (ko) 2019-03-20

Family

ID=6122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0086A KR101958453B1 (ko) 2016-08-05 2016-08-05 금융기기, 매체인식장치, 및 매체인식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45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7252A (ja) 2009-05-27 2010-12-09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JP2014115856A (ja) 2012-12-11 2014-06-26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紙葉類の取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339466A (ja) 1995-06-13 1996-12-24 Toshiba Corp 自動取引装置
KR101397782B1 (ko) * 2007-05-29 2014-05-20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지폐이미지 추출 장치 및 방법
KR20090103716A (ko) * 2008-03-28 2009-10-01 후지츠 프론테크 가부시키가이샤 지엽류 감별 장치 및 그 감별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77252A (ja) 2009-05-27 2010-12-09 Toshiba Corp 紙葉類判別装置
JP2014115856A (ja) 2012-12-11 2014-06-26 Hitachi Omron Terminal Solutions Corp 紙葉類取扱装置および紙葉類の取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6105A (ko) 2018-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6790B2 (ja) 紙葉類識別方法及び紙葉類識別装置
JP2009238090A (ja) 紙葉類鑑別装置及びその鑑別方法
US8983168B2 (en) System and method of categorising defects in a media item
JP5635968B2 (ja) 紙幣取扱装置及び現金自動取引装置
US9202122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cting medium image, and financial device
KR101620693B1 (ko) 매체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금융기기
KR101781009B1 (ko) 낡은 지폐 식별 방법
JP5502111B2 (ja) 紙葉類識別装置および紙葉類識別方法
US958271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cognizing media and financial device
KR101958453B1 (ko) 금융기기, 매체인식장치, 및 매체인식방법
KR20090060006A (ko) 매체 진위 판별 방법 및 장치, 그리고 이의 자동화기기
CN108520586B (zh) 验证损坏的钞票
US9047723B2 (en) Defect categorization
KR101857186B1 (ko) 매체 처리 장치 및 매체 처리 방법
JP2006085443A (ja) 紙葉類取り扱い装置、それに用いる紙葉類判別方法及び自動取引装置
KR20090103716A (ko) 지엽류 감별 장치 및 그 감별 방법
KR101460779B1 (ko) 지폐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655704B1 (ko) 매체 인식 장치 및 방법, 그리고 금융기기
KR101364880B1 (ko) 매체처리장치, 매체처리방법 및 이를 이용한 금융기기
KR101955215B1 (ko) 금융기기, 매체인식장치, 및 대표 템플릿을 제공하는 방법
JP4470521B2 (ja) 媒体認識装置
JP4454397B2 (ja) 紙葉類識別装置
KR100602544B1 (ko) 용지류 식별 방법 및 용지류 식별 장치
RU2454723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нализа бумажных листов
KR101022432B1 (ko) 매체수납장치 및 그의 매체이송 제어방법, 그리고 그를 이용한 금융자동화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