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899B1 - 가공삭도 시스템 - Google Patents

가공삭도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899B1
KR101957899B1 KR1020177016704A KR20177016704A KR101957899B1 KR 101957899 B1 KR101957899 B1 KR 101957899B1 KR 1020177016704 A KR1020177016704 A KR 1020177016704A KR 20177016704 A KR20177016704 A KR 20177016704A KR 101957899 B1 KR101957899 B1 KR 1019578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bounded area
entering
limiting device
boun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67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7135A (ko
Inventor
안드레아스 내터
마리오 벤저
Original Assignee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인노바 파텐트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0871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71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8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8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00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platforms, or sidings; Railway networks; Rail vehicle marshalling systems
    • B61B1/02General arrangement of stations and platforms including protection devices for the passe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12/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61B7/00 - B61B11/00
    • B61B12/02Suspension of the load; Guiding means, e.g. wheels; Attaching traction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7/00Rope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flexible tra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in Traffic Observation, Control, And Security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Electric Cable Arrangement Between Relatively Moving Par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공삭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가공삭도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이러한 스테이션 사이에서 수송 수단(1), 특히 차량이 케이블에 의해 당겨질 때 이동할 수 있으며, 스테이션은 승객이 수송 수단(1)에 탑승하는 승차 구역(6)과 수송 수단(1)에서 내리는 하차 구역(5)을 포함한다. 스테이션에 들어가는 수송 수단(1)에 의해 센서(7)가 활성화될 수 있다. 센서(7)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이트(9, 1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구역(8)이 스테이션에 위치한다.

Description

가공삭도 시스템{AERIAL CABLEWAY SYSTEM}
본 발명은 가공삭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가공삭도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이러한 스테이션 사이에서 수송 수단(vehicle), 특히 차량(car)이 케이블에 의해 당겨질 때 이동할 수 있고, 스테이션들은 승객이 수송 수단에 탑승하는 승차(loading) 영역과, 승객이 수송 수단에서 내리는 하차(unloading) 영역을 포함한다.
가공삭도 시스템, 예를 들면 곤돌라 리프트 시스템 또는 체어리프트 시스템은 하나의 스테이션에 수송될 승객들을 위한 하차 영역과 승차 영역을 포함한다. 차량 또는 체어리프트와 같은 수송 수단이 스테이션으로 들어갈 때, 하차 영역을 먼저 통과한 다음 승차 영역을 통과한다. 하차 영역과 승차 영역 사이에는 필요시 수송 수단의 이동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방향 변경(redirection) 영역이 제공될 수 있다.
연속적으로 순환하는 수송 수단을 포함하는 가공삭도 시스템에서는, 수송 수단이 계속해서 움직이는 동안, 스테이션들에 제공된 영역들에서 승객이 수송 수단에서 내리거나 이들 수송 수단에 올라타야 한다. 그러므로 수송 수단이 하차 영역과 승차 영역을 통해 움직이는 시간 기간 내에서 승객이 내리고 올라타는 것이 가능한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그러한 설계(design)를 가지는 이전에 알려진 가공삭도 시스템에서는, 불명확하고 본질적으로 제어되지 않은 수의 승객이 승차 영역에 있다는 점에서 문제가 될 수 있다. 이러한 승객들의 수가 수송 수단에 관한 최대 가능한 승객들의 수를 초과한다면, 어느 승객이 수송 수단에 올라탈 수 있고, 어느 승객이 그 다음 수송 수단을 기다려야 하는지에 관한 불확실성이 생길 수 있다. 따라서 한편으로는 수송 수단 쪽으로의 승객들에 의한 큰 밀침(big push)이 존재하게 되어, 승객들에게 잠재적인 위험을 일으킬 수 있는 위험이 존재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이는 많은 수(high volume)의 승객이 존재하는 경우에도 수송 수단의 정원이 미달되는(under-occupied) 상태가 생기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질 문제점은 수송 수단으로의 승객들의 탑승을 더 양호하게 조정하는 가공삭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은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가지는 가공삭도 시스템에 의해, 본 발명에 따라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하고 유리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주제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센서가 제공되는데, 이러한 센서는 스테이션에 들어가는 수송 수단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고, 스테이션에는 적어도 하나의 경계가 정해진 영역이 있으며, 이러한 영역은 센서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장치(restrictor)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승차 영역에서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고, 수송 수단의 정원 미달을 회피하기 위해, 승차 영역에 과도한 수의 승객이 있는 것을 회피하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어느 승객들이 접근하는 수송 수단에 탑승할 수 있고, 어느 승객들이 탑승할 수 없는지에 대한 것이 분명해진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스테이션에 들어가는(entering a station)"이라는 것은 스테이션으로부터 위쪽 영역에 있는 수송 수단이 스테이션 쪽으로 움직이고, 스테이션으로부터 위쪽 영역에서 나오는 수송 수단이 스테이션 내로 움직이며, 스테이션 내의 수송 수단이 승객들이 탑승하는 영역 쪽으로 움직인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현수 케이블 및/또는 견인 케이블을 이용하여 케이블에 의해 당겨질 수 있는 수송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차량 또는 특히 차량들에서의 체어리프트의 체어(chair)들이다. 본 발명은, 특히 스테이션에서의 수송 수단이 견인 케이블로부터 분리되고 더 느린 속도로 스테이션을 통해 운반되는 떼어내질 수 있는 리프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수송 수단 각각은 센서를 활성화시키는 정보 송신기를 포함할 수 있거나, 수송 수단은 특히 스테이션의 영역에 있고 센서를 활성화하는 정보 송신기를 가동시킬 수 있다.
승차 영역에서의 연속된 사건들이 가능한 신속하고 안전한 것을 계속해서 보장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수송 수단이 스테이션에 들어가는 영역에 할당되는 것과 같이, 수송 수단의 이동 방향에서 볼 때, 수송 수단 내로 승차 영역으로부터 위쪽에 센서가 있도록 제공된다.
유리하게, 컨트롤러는 타임-스위치(time-switch)를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수송 수단에 의한 센서의 활성화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의 기간 후 미리 정해진 수의 개별 승객들에 의한 통과를 제한 장치가 허용한다. 방해(interference)가 있는 경우 경계가 정해진 영역을 채우는 것이 제어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시간이 스테이션 내로 들어가는 수송 수단의 현재 속도 및/또는 스테이션을 통과하는 수송 수단의 현재 속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게 유리하게 정해진다는 사실이 제공된다.
승차 영역에서의 연속된 사건들이 가능한 신속하고 안전한 것을 보장하기 위해,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경계가 정해진 영역이 승차 영역에 할당되고, 특히 승차 영역으로부터 위쪽에 있게끔 정해진다는 사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수송 수단 쪽으로 볼 때,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가 접근 방향에 위치하게 정해지고, 이 경우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가 바람직하게는 사람 분리 시스템, 특히 회전식 문(turnstile)이다. 사람 분리 시스템은 한 명의 개별 승객에 의해서만 통과를 허용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사람 분리 시스템은 또한 기계적이지 않게 작용하는 장치인 것뿐만 아니라, 다음에 정의된 것처럼 광학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는 수송 수단 쪽으로 볼 때 접근 방향에 있는 것으로 정해진다는 사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는 기계적인 장벽 및/또는 승객들이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이 허용될 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의도된 대로 사용될 때 장벽은, 특히 수송 수단이 승차 영역에 도달하였을 때, 또는 승차 영역도착에 근접할 때 승객들이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허용되는 것을 나타낸다.
(광학) 장벽은, 예를 들면 안전 관련 정보가 나타내어지는 디스플레이, 특히 스크린일 수 있다. (광학) 장벽은 또한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있는 승객들이 볼 수 있는 표면에, 예를 들면 "멈춤(STOP)" 또는 "진행(GO)" 등을 투영하는 프로젝터(projector)일 수 있다. 안전장치는 또한, 예를 들면 조명이 비추어진 바(bar)의 형태를 갖는 교통 신호등 시스템이 제공된 통로일 수 있고, 이 경우 "적색" 색깔은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서 아직 나갈 수 없음을 의미하고, "녹색" 색깔은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서 나갈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필요하다면, "황색" 색깔이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승객들이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서 곧 나갈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경계가 정해진 영역의 면(side)들에 장벽이 제공될 수 있고, 따라서 부적절하게 들어갈 수 없는 명확히 정의된 영역이 형성된다. 이러한 경계가 정해진 영역의 크기(size)는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수송 수단에 관한 승객의 최대 인원수에 맞추어 설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의 컨트롤러를 센서가 활성화시키도록 정해지고,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는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나오기 위해 제한 장치의 컨트롤러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가 승차 영역에 들어가는 수송 수단, 또는 하나의 추가 타임-스위치 요소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하나의 추가 센서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게 정해질 수 있다는 사실이 제공된다.
상기 영역이 비어 있을 때에만 승객들이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들어갈 수 있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가 닫힐 때에만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가 열리게 유리하게 정해질 수 있다는 사실이 제공된다.
어떠한 승객도 부적절하게 승차 영역에 들어가지 않게 보장하기 위해서는,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가 닫힐 때에만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가 열리게 유리하게 정해질 수 있다는 사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열린(opened)"이라는 용어는 기계적으로 열리는 것뿐만 아니라, 통과가 예를 들면 적절한 광학 신호에 의해 허용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닫힌(closed)"이라는 용어는 기계적으로 닫히는 것뿐만 아니라, 통과가 예를 들면 적절한 광학 신호에 의해 허용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는,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가 그것의 활성화 전에 닫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는,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가 센서에 의해 그 다음 활성화가 이루어질 때까지, 미리 정해진 수의 통과에 도달한 후 닫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경계가 정해진 영역을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의 컨트롤러는 하나의 수송 수단에 관한 승객들의 정해진 수가 저장되는 메모리뿐만 아니라 카운팅 장치를 포함하도록 정해진다는 사실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승객들의 적당한 인원수가 수송 수단 각각에 관해 제공되거나 제공될 것이 보장될 수 있어서, 승차 영역에서의 안전성이 증가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특히 수송 수단이 승차 영역에 도달하기 전에, 경계가 정해진 영역을 들어가기 위해 제한 장치를 미리 정해진 수의 개별 승객이 통과하는 것이 허용되게 정해질 수 있다는 사실이 제공된다. 그러므로 수송 수단이 승차 영역에 도달할 때, 바라는 수만큼의 승객이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모이는 것이 보장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활성화 후에 수송 수단용에 관해 허용된 최대 승객 수에 대응하는, 개별 승객들에 의한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 제한 장치를 통해 들어가는 정해진 수의 통과가 허용되게 정해진다는 사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는, 예를 들면 제1 스테이션과 제2 스테이션, 특히 골짜기 스테이션과 산 스테이션이 제공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중간 스테이션이 또한 제공될 수 있다. 가공삭도 시스템 또는 스테이션들은 예컨대 스키 리조트 또는 휴양지 공원과 같은 개방된 영역뿐만 아니라 도시 지역들에도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케이블이 끄는 수송 수단이 케이블카 시스템뿐만 아니라 가공삭도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예를 들면 제1 스테이션에서는 다수의 승객에 의한 탑승만이 가능하고, 그 인원수는 수송 수단 한 대당 최대 가능한 인원수에 해당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중간 스테이션에서는 추가 승객들이 이러한 수송 수단에 탑승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된다. 만약 차량이 예를 들면 8명이 타기 위한 것이라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스테이션에서는 오직 4명의 승객이 차량에 탑승할 수 있고, 따라서 중간 스테이션에서 이 차량에 4명의 추가 승객이 탑승할 수 있거나, 오로지 예컨대 모든 두 번째 수송 수단이 점유되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현재 있는 승객들의 인원수뿐만 아니라, 승객들의 미리 정해진 인원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바람직하게는 2개의 서로 옆에 위치하는 사람을 분리하는 시스템이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로서 제공될 수 있고, 예를 들면 교대로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는, 서로 인접하게 위치한 2개 이상의 경계가 정해진 영역이 또한 제공될 수 있고, 이들은 예를 들면 교대로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청구항 1에서 주장된 것과 같은 가공삭도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가공삭도 시스템에 관해 설명된 특징들은 또한 방법 특징들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세부 사항, 특징, 및 장점은 바람직한 실시예가 묘사되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어지는 설명으로부터 유래한다.
도 1은 스테이션의 영역에서 본 발명에 따른 가공삭도 시스템을 보여주는 도면.
도 2 내지 5는 승객들에 관한 경계가 정해진 영역을 보여주는 도면.
도 1은 수송 수단(1)이 차량인 스테이션의 영역에서의 가공삭도 시스템을 보여준다. 차량(1)과, 차량의 안내 또는 드라이브는 종래 기술로부터 공지된 것처럼 설계될 수 있다. 차량(1)은 이동 방향(2)으로 스테이션에 들어가고, 방향 변경 영역(3)에서 방향이 바뀌며, 이동 방향(4)으로 스테이션을 빠져나온다. 승객들이 내리는 하차 영역(5)은 방향 변경 영역(3)으로부터 위쪽에 제공된다. 승객들이 올라타는 승차 영역(6)은 방향 변경 영역(3)에서 제공된다.
스테이션으로 들어가는 수송 수단(1)에 의해 활성화되는 센서(7)는 수송 수단(1)의 이동 방향(2)에서 볼 때 승차 영역(6)으로부터 위쪽에, 즉 도시된 전형적인 실시예에서 수송 수단(1)이 스테이션에 들어가는 영역에 위치한다. 승객들에 관해 경계가 정해진 2개의 영역(8)은 승차 영역(6) 옆에 위치한다. 수송 수단 쪽으로 볼 때 접근 방향에서, 경계가 정해진 영역(8)은 각각 서로 옆에 위치하는 2개의 회전식 문(10)의 형태를 갖는, 경계가 정해진 영역(8) 내로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9)를 포함한다. 경계가 정해진 영역(8)들은 각각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2 제한 장치(11)를 포함하고, 상기 제한 장치들의 더 양호한 모습(view)이 도 2 내지 5에 제공된다.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11)는 조명이 비추어지는 바(13)를 포함하는 교통 신호등 시스템이 제공된 통로이고, 이 경우 "적색" 색깔은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서 아직 빠져나올 수 없음을 의미하고, "녹색" 색깔은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빠져나올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필요하다면 "황색" 색깔이 사용될 수 있고, 이는 승객들이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곧 빠져나올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측면에는 장벽(12)이 제공된다.
스테이션에 들어가는 수송 수단(1)이 센서(7)를 활성화시킬 때, 센서(7)가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의 컨트롤러를 활성화시킴으로써, 일정 시간 기간의 경과 후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11)가 열리고, "녹색" 색깔을 표시한다. 경계가 정해진 영역(8)에 있는 사람들은 이제 승차 영역(6)으로 들어갈 수 있다.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11)가 열려 있는 동안, 확실하게 다른 승객들이 부주의하게 승차 영역(6)으로 들어가지 않도록 하기 위해,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9)는 닫혀 있다.
추가적인 시간 기간의 경과 후, 또는 승객들이 경계가 정해진 영역(8)을 빠져나갔다면,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11)는 다시 닫히고, 이 경우 "적색" 색깔이 표시되며, 그것의 컨트롤러가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9)를 연다.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 들어가기 위한 제한 장치(9)가 열려 있는 동안,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11)는 닫힌다("적색").
회전식 문의 컨트롤러는 하나의 수송 수단(1)에 관한 승객들의 정해진 인원수가 저장되는 메모리뿐만 아니라 카운팅 장치를 포함한다.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11)의 컨트롤러에 의해 회전식 문이 활성화된 후, 미리 정해진 수의 개별 승객들이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 들어갈 수 있다. 미리 정해진 수의 승객이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 들어갔을 때, 회전식 문은 센서(7)에 의한 다음 활성화까지 다시 차단된다. 경계가 정해진 영역(8)에 있는 사람들은 스테이션에 들어가는 새로운 수송 수단(1)이 센서(7)를 활성화시킬 때까지, 경계가 정해진 영역(8)에 남아 있고, 이는 경계가 전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11)의 컨트롤러를 활성화시켜, 이로 인해 일정 시간 기간의 경과 후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한 장치(11)가 다시 열린다("녹색").
요약하면,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는 아래와 같이 묘사될 수 있다.
가공삭도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스테이션을 포함하고, 이러한 스테이션 사이에는 수송 수단(1), 특히 차량이 케이블에 의해 당겨질 때 이동할 수 있고, 이러한 스테이션들은 승객이 수송 수단(1)에 올라타는 승차 영역(6)과 승객이 수송 수단(1)에서 내리는 하차 영역(5)을 포함한다. 센서(7)는 스테이션으로 들어가는 수송 수단(1)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다. 센서(7)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한 장치(9, 11)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계가 정해진 영역(8)은 스테이션에 위치한다.

Claims (18)

  1. 적어도 2개의 스테이션을 포함하는 가공삭도 시스템으로서,
    상기 스테이션 사이에서 수송 수단(1)은 케이블에 의해 당겨질 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스테이션은 승객이 상기 수송 수단(1)에 탑승하는 승차 영역(6)과 승객이 상기 수송 수단(1)에서 하차하는 하차 영역(5)을 포함하고,
    스테이션에 들어가는 수송 수단(1)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센서(7)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7)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경계가 정해진 영역(8)이 상기 스테이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경계가 정해진 영역(8)은 제1 및 제2 제한 장치(9, 11)에 의해 경계가 정해지며,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에 들어가기 위한 상기 제1 제한 장치(9)와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상기 제2 제한 장치(11)는 상기 수송 수단(1) 쪽으로 볼 때 접근 방향에 존재하고,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 들어가기 위한 제1 제한 장치(9)는,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2 제한 장치(11)가 닫힐 때에만 열리고,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2 제한 장치(11)는,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 들어가기 위한 제1 제한 장치(9)가 닫힐 때에만 열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송 수단(1)은 각각 상기 센서(7)를 활성화시키는 정보 송신기를 포함하거나, 상기 수송 수단(1)은 스테이션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센서(7)를 활성화시키는 정보 송신기를 작동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7)는 상기 수송 수단(1)의 이동 방향(2)에서 보았을 때, 상기 승차 영역(6)으로부터 위쪽에 위치하고, 수송 수단(1)이 스테이션에 들어가는 영역에 위치가 정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타임-스위치(time-switch) 요소를 포함하고,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제한 장치(9, 11)는 수송 수단(1)에 의해 센서(7)가 활성화된 후, 미리 정해진 시간이 지난 후에 미리 정해진 수의 개별 승객들이 통과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은 수송 수단(1)의 현재 속도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은 상기 승차 영역(6)에 대해 위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에 들어가기 위한 제1 제한 장치(9)는, 사람을 분리하는 시스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2 제한 장치(11)는 기계적 장벽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한 제2 제한 장치(11)는, 경계가 정해진 영역으로부터 승객이 빠져나오는 것이 허용되는 때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프로젝터, 및 통로에 제공되는 교통 신호등 시스템으로부터 선택되는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7)는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해 제2 제한 장치(11)의 컨트롤러를 활성화하고,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 들어가기 위한 제1 제한 장치(9)는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부터 빠져나오기 위해 상기 제2 제한 장치(11)의 컨트롤러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 들어가기 위한 제1 제한 장치(9)는, 승차 영역(6)으로 들어가는 수송 수단(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또 다른 센서, 또는 또 다른 타임-스위치 요소에 의해 활성화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13. 삭제
  14. 삭제
  1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 들어가기 위한 제1 제한 장치(9)의 컨트롤러는 하나의 수송 수단(1)에 관한 승객들의 미리 정해진 인원수가 저장되는 메모리와, 카운팅(counting)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16. 제15 항에 있어서,
    활성화된 후, 상기 제1 제한 장치(9)를 통해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 들어가는 개별 승객들에 의한, 미리 정해진 수의 통과가 허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17. 제16 항에 있어서,
    다음 활성화까지, 미리 정해진 수의 통과가 행해진 후, 상기 경계가 정해진 영역(8)으로 들어가기 위한 제1 제한 장치(9)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18. 제4 항에 있어서,
    승객들의 미리 정해진 인원수와, 경계가 정해진 영역에 현재 있는 승객들의 인원수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가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공삭도 시스템.
KR1020177016704A 2014-11-20 2015-11-19 가공삭도 시스템 KR1019578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841/2014 2014-11-20
ATA841/2014A AT516582B1 (de) 2014-11-20 2014-11-20 Seilbahnanlage
PCT/AT2015/000146 WO2016077854A1 (de) 2014-11-20 2015-11-19 Seilbahnanlag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7135A KR20180087135A (ko) 2018-08-01
KR101957899B1 true KR101957899B1 (ko) 2019-03-13

Family

ID=54848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6704A KR101957899B1 (ko) 2014-11-20 2015-11-19 가공삭도 시스템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10392030B2 (ko)
EP (1) EP3221199B1 (ko)
JP (1) JP6568586B2 (ko)
KR (1) KR101957899B1 (ko)
CN (1) CN107000764A (ko)
AR (1) AR102733A1 (ko)
AT (1) AT516582B1 (ko)
AU (1) AU2015349585B2 (ko)
BR (1) BR112017010089A2 (ko)
CA (1) CA2967838C (ko)
CL (1) CL2017001247A1 (ko)
CO (1) CO2017004896A2 (ko)
ES (1) ES2733499T3 (ko)
MX (1) MX364060B (ko)
NZ (1) NZ731793A (ko)
PE (1) PE20170761A1 (ko)
RU (1) RU2671930C1 (ko)
TN (1) TN2017000188A1 (ko)
WO (1) WO201607785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16582B1 (de) * 2014-11-20 2020-12-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CN106740877A (zh) * 2016-11-21 2017-05-31 河南辉煌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轨道交通乘车分流及防夹伤的方法
CN110217245B (zh) * 2019-05-06 2023-07-18 东莞理工学院 基于受力分析缆车人数重量监测系统及其监测方法
IT202000007789A1 (it) * 2020-04-14 2021-10-14 Sunland Optics Srl Sistema visivo di gestione automatica dell’ingresso in esercizi commerciali e/o uffici pubblici o aperti al pubblico
AT523076B1 (de) * 2020-04-22 2021-05-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station mit Sicherheitsschranke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8571A1 (fr) 1991-07-02 1993-01-08 Pomagalski Sa Dispositif d'automatisation de l'acces d'un teleporteur.
WO2013144850A1 (en) 2012-03-26 2013-10-03 Rolic International S.A R.L. Cable-car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and relative cable-car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5271B (de) * 1995-04-07 1999-06-25 Doppelmayr & Sohn Seilbahnanlage mit einem um zwei umlenkscheiben geführten trag- und förderseil für fahrbetriebsmittel
FR2476579A1 (fr) * 1980-02-25 1981-08-28 Pomagalski Sa Dispositif d'embarquement d'une installation de transport a cable aerien, notamment d'un telesiege debrayable
FR2702186B1 (fr) * 1993-03-05 1995-05-05 Pomagalski Sa Télésiège à tapis roulant d'embarquement.
FR2769564B1 (fr) * 1997-10-09 2000-01-07 Pomagalski Sa Estacade pour station d'embarquement de telesiege
FR2800689B1 (fr) * 1999-11-09 2001-12-07 Gimar Montaz Mautino Dispositif d'acces a une remontee mecanique
AT503615A3 (de) * 2006-04-26 2010-06-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mit an ein trag- und förderseil ankuppelbaren fahrbetriebsmitteln
CN100545020C (zh) * 2006-07-28 2009-09-30 杨宗林 高架微型轨道列车的客流状态控制系统
GB0911455D0 (en) * 2008-11-12 2009-08-12 Lo Q Plc System for regulating access to a resource
JP5324352B2 (ja) 2009-07-31 2013-10-23 寺岡ファシリティーズ株式会社 風除け室ドアの開閉制御方法及び装置
FR2953476B1 (fr) * 2009-12-03 2015-04-24 Denis Creissels Consultant Telepherique avec controle du nombre admissible de passagers en cabine
CN104442834A (zh) * 2013-09-12 2015-03-25 侯庆生 地铁座席区乘客人数控制装置及方法
AT516582B1 (de) * 2014-11-20 2020-12-15 Innova Patent Gmbh Seilbahnanla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78571A1 (fr) 1991-07-02 1993-01-08 Pomagalski Sa Dispositif d'automatisation de l'acces d'un teleporteur.
WO2013144850A1 (en) 2012-03-26 2013-10-03 Rolic International S.A R.L. Cable-car system control method and program, and relative cable-car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E20170761A1 (es) 2017-07-04
AT516582B1 (de) 2020-12-15
JP6568586B2 (ja) 2019-08-28
ES2733499T3 (es) 2019-11-29
US20180029613A1 (en) 2018-02-01
TN2017000188A1 (en) 2018-10-19
CN107000764A (zh) 2017-08-01
EP3221199A1 (de) 2017-09-27
AU2015349585A1 (en) 2017-06-08
RU2671930C1 (ru) 2018-11-07
CL2017001247A1 (es) 2017-11-24
AU2015349585B2 (en) 2019-01-17
CA2967838C (en) 2018-12-04
EP3221199B1 (de) 2019-06-05
AT516582A1 (de) 2016-06-15
CO2017004896A2 (es) 2017-06-09
BR112017010089A2 (pt) 2018-01-02
US10392030B2 (en) 2019-08-27
MX2017006375A (es) 2018-02-01
CA2967838A1 (en) 2016-05-26
NZ731793A (en) 2018-08-31
AR102733A1 (es) 2017-03-22
WO2016077854A1 (de) 2016-05-26
JP2017535475A (ja) 2017-11-30
MX364060B (es) 2019-04-11
KR20180087135A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7899B1 (ko) 가공삭도 시스템
RU2491193C2 (ru) Подвесная канатная дорога с вспомогатель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для посадки/высадки
US6741175B1 (en) Mass transportation passenger guidance system
CA2646579C (en) Automatic cable car facility
EP2738060A1 (en) Passenger guidance system for guidance of passengers withi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US3263625A (en) Electrical control systems for point-to-point transit systems
KR20070105832A (ko) 이송케이블에 결합될 수 있는 운송장치를 갖는 공중케이블시스템
CN100410117C (zh) 操纵空中索道系统的方法
CA2948594C (en) Cable car system for transporting people
US3727558A (en) Transport system with moving-platform terminal
CN110740918B (zh) 缆索运送系统的站台、包括该站台的缆索运送系统和操作该缆索运送系统的方法
JPS6410381B2 (ko)
DE202016002976U1 (de) Personenförderanlage
KR101502565B1 (ko) 추진장치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이송장치
KR101502563B1 (ko) 유압장치를 이용한 prt 차량 수직이송장치
DE102019007463A1 (de) Elektrofahrzeug für die kombinierte Nutzung von Straßen und Seilbahnen
JPH0558276A (ja) 索道の乗車ゾーンにおける乗客入場規制装置
CN110725178A (zh) 一种解决交通拥堵的快速上下车系统
EP2919199A1 (de) Verfahren und System zur Kontrolle der Zugangsberechtigung bei getaktet fahrenden Transportmitteln, welche zumindest einen örtlich festgelegten Einsteige- und zumindest einen örtlich festgelegten Aussteigebereich aufweisen
WO2018046732A1 (fr) Installation de transport de personnes et procede de transport de passagers
JPH1087232A (ja) ロープ無しエレベータ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