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604B1 -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 Google Patents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604B1
KR101957604B1 KR1020170146126A KR20170146126A KR101957604B1 KR 101957604 B1 KR101957604 B1 KR 101957604B1 KR 1020170146126 A KR1020170146126 A KR 1020170146126A KR 20170146126 A KR20170146126 A KR 20170146126A KR 101957604 B1 KR101957604 B1 KR 1019576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ze
user terminal
mission
server
challe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선
이현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콜럼버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콜럼버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콜럼버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146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760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6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6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07Discounts or incentives, e.g. coupons or rebates
    • G06Q30/0209Incentive being awarded or redeemed in connection with the playing of a video gam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63F13/61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using advertising inform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64Quiz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Abstract

본 출원은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품제공방법은,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경품에 대한 경품정보를 수신하는 경품정보수신단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정보에 대응하는 도전미션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행한 상기 도전미션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를 판별하는 미션성공판별단계; 상기 도전미션이 성공으로 판별되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의 획득을 위한 획득지점에 대한 획득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위치정보제공단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획득지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획득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내에 경품이미지를 출력하는 경품출력단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경품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증사진을 수신하고, 상기 인증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하는 인증단계; 및 서버가, 획득성공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에 대응하는 경품획득메시지를 전송하는 경품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Method for providing free gift by using augmented reality and server for the same}
본 출원은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으로서,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는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으며, 특히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마케팅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는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사용자의 증가에 따라, 많은 기업들은 인터넷을 통하여 자사의 제품과 기업이미지를 광고하고 있다. 현재 인터넷 광고 방식은 네티즌들이 직접 특정의 웹사이트를 방문하여 각 페이지에 기재된 광고를 읽거나, 특정 웹사이트에 게제된 배너광고를 클릭함으로써 자사 웹사이트에 접속하여 광고를 읽게 하는 방법 등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광고방법들은 단순한 노출형태의 광고로서 네티즌들의 흥미를 유발하기는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최근 증강현실 기법이 개발되어 이를 마케팅 등에 적용하고자 하는 시도들이 늘어나고 있다.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은 사용자가 눈으로 보는 현실세계와 증강정보를 갖는 가상세계를 합쳐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가상현실의 하나이다. 현실세계를 가상세계로 보완해주는 개념인 증강현실은,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들어진 가상환경을 사용하지만 주역은 현실환경이다. 컴퓨터 그래픽은 현실환경에 필요한 정보를 추가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사용자가 보고 있는 실사 영상에 가상의 증강정보영상을 겹침(overlap)으로써 현실환경과 가상환경의 구분이 모호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출원은, 경품증정을 통한 마케팅을 수행할 수 있는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하여, 고객이 경품제공 이벤트에 참여하는 경우, 증강현실을 통하여 자연스럽게 광고업체의 오프라인 매장으로의 방문을 유도할 수 있는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은,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경품에 대한 경품정보를 수신하는 경품정보수신단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정보에 대응하는 도전미션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행한 상기 도전미션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를 판별하는 미션성공판별단계; 상기 도전미션이 성공으로 판별되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의 획득을 위한 획득지점에 대한 획득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위치정보제공단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획득지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획득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내에 경품이미지를 출력하는 경품출력단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경품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증사진을 수신하고, 상기 인증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하는 인증단계; 및 서버가, 획득성공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에 대응하는 경품획득메시지를 전송하는 경품제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션성공판별단계는,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도전미션으로 퀴즈 또는 미니게임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미션성공판별단계는, 서버가, 상기 도전미션을 기 설정된 개수의 단계로 구성하고, 각각의 단계별로 퀴즈 또는 미니게임을 제공하며, 상기 도전미션 내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계를 모두 성공하는 경우에 상기 도전미션에 성공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위치정보제공단계는,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지도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지도인터페이스 내에 상기 획득위치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경품출력단계는, 서버가, 상기 지도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경품에 대응하는 경품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경품 아이콘에 사용자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단계는,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품 이미지의 위치가 설정된 인증사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지정영역 내에 상기 경품 이미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단계는, 서버가, 상기 인증사진을 경품제공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경품제공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확인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단계는, 서버가, 상기 경품 이미지가 출력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한정시간 내에 상기 인증사진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한정시간 내에 상기 인증사진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경품은 획득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인증단계는, 서버가, 상기 획득위치정보를 전송한 때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경로 정보 및 인증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경품에 대한 경품정보를 수신하는 경품정보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정보에 대응하는 도전미션을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행한 상기 도전미션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를 판별하는 도전미션제공부; 상기 도전미션이 성공으로 판별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의 획득을 위한 획득지점에 대한 획득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위치정보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획득지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획득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내에 경품이미지를 출력하는 경품출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경품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증사진을 수신하고, 상기 인증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하는 인증부; 및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으로 판별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에 대응하는 경품획득메시지를 전송하는 경품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의하면,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연계한 마케팅을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온라인 상의 경품제공 이벤트에 참여하는 경우, 증강현실을 활용하여 사용자가 직접 오프라인에서 활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를 업체의 오프라인 매장에 방문하도록 하는 등 마케팅에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의하면, 경품제공시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보물찾기와 같이 경품을 찾도록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흥미를 높일 수 있으며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의하면, 경품제공시 특정 위치로 사용자가 직접 이동하도록 유도할 수 있으므로, 특정 매장에 대한 사용자의 방문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에 의하면, 다양한 방식의 인증을 적용하여 부정한 방법으로 경품을 획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을 위한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3 및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품선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여 제공되는 도전미션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전미션의 성공시와 실패시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도전미션이 복수의 단계로 제공되는 경우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품획득의 실패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품의 획득지점 표시 및 증강현실 내 경품이미지 출력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을 통하여 경품획득 성공 및 실패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경품획득 인증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을 위한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은, 사용자 단말(1), 경품제공자단말(2), 서버(100), 도전미션 데이터베이스(200) 및 광고데이터베이스(30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은 경품을 제공받고자 하는 사용자들이 사용하는 단말장치로, 이동통신망 등 다양한 유무선통신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단말(1)은 Wibro(Wireless Broadband),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등 다양한 통신기술을 통하여 무선 데이터망에 연결되는 단말일 수 있으며,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 다양한 종류의 핸드핼드(hand-held) 단말이 상기 사용자 단말(1)에 해당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1)을 통하여 서버(100) 등과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서버(100)가 제공하는 경품제공서비스 등을 제공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은 서버(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경품들의 목록 중에서 원하는 경품을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한 경품의 획득을 위한 도전미션을 서버(100)에게 요청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은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등의 위치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수신한 위치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1)은 증강현실(AR: Augmented Reality)을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하여, 카메라, 디스플레이부, 스피커 등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1)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으며,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100)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경품제공자 단말(2)은 경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품제공자들이 사용하는 단말장치로,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PDA 등의 핸드핼드(hand-held) 단말이나, 데스크탑, 워크스테이션 등일 수 있다. 경품제공자는 자신의 상품이나 서비스 등을 광고하고자 하는 광고주일 수 있으며, 광고주들은 자신의 경품제공자 단말(2)을 통하여 서버(100)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광고주는 서버(100)와의 통신을 통하여, 자신의 상품이나 서비스 등을 서버(100)에 접속하는 사용자들에게 광고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이때, 경품제공자 단말(2)은 광고 컨텐츠와 경품에 대한 정보 등을 서버(100)측에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를 통하여 광고를 진행하는 경우, 경품제공자단말(2)은 서버(100)로부터 광고효과를 확인하고 이후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마케팅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 및 경품제공자단말(2)과 유,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에게 경품을 제공하거나, 각각의 사용자 단말(1)에게 경품제공자단말(2)의 광고 등의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서버(100)는 경품을 보물찾기 형식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특히 증강현실을 적용하여, 사용자가 경품 획득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직접 해당 매장 등 특정위치로 이동하여, 특정위치에서 사용자 단말(1)이 제공하는 증강현실을 통해 나타나는 경품을 발견하는 경우에 한하여, 경품을 획득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경품을 획득하는 과정에 게임의 요소를 도입하여 사용자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할 수 있으며, 특히 증강현실을 적용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몰입하여 경품 획득에 참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1)이 경품획득을 위하여 수행하는 도전미션에 실패하는 경우, 재도전 기회를 부여하는 대가로 광고를 시청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들은 게임을 통하여 경품을 획득할 수 있으며, 광고주들은 각각의 게임 진행에 따라 사용자의 광고컨텐츠 시청을 자연스럽게 유도할 수 있다.
도전미션 데이터베이스(200)는 사용자들이 경품획득을 위해 수행하는 도전미션 컨텐츠들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도전미션 데이터베이스(200)는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서버(100)에게 도전미션 컨텐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미션 컨텐츠는 퀴즈나 간단한 게임 등일 수 있으며, 각각의 도전미션 컨텐츠는 경품별 또는 경품제공자별로 미리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또는, 도전미션 데이터베이스(200)에 저장된 도전미션 컨텐츠들이 랜덤으로 선택되어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도전미션 컨텐츠들은 난이도별로 구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각 단계별로 난이도가 높은 도전미션 컨텐츠들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도1은 도전미션 데이터베이스(200)가 서버(100)와 별도로 구현된 실시예를 제시하고 있으나,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전미션 데이터베이스(200)가 서버(100) 내에 포함되는 것도 가능하다.
광고데이터베이스(300)는 경품제공자 단말(2)이 제공하는 광고컨텐츠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여기서 광고컨텐츠는 이미지나 텍스트, 사운드 또는 동영상 등일 수 있으며, 광고데이터베이스(300)에는 광고컨텐츠가 각각의 경품이나 경품제공자별로 구별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경품제공자 단말(2)이 제공하는 광고컨텐츠 이외의 임의의 광고컨텐츠가 더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광고데이터베이스(300)는 서버(100)의 요청에 따라 각각의 광고컨텐츠를 서버(100) 또는 사용자 단말(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광고데이터베이스(300)가 서버(100) 내에 포함되거나, 경품제공자 단말(2)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유투브(Youtube) 등 동영상 서비스를 제공하는 별도의 서비스 서버 등이 상기 광고데이터베이스(300)로 활용될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는 경품정보수신부(110), 도전미션제공부(120), 재도전기회제공부(130), 위치정보제공부(140), 위치판별부(150), 경품출력부(160), 인증부(170) 및 경품제공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서버를 설명한다.
경품정보수신부(110)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경품에 대한 경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경품정보수신부(110)는 획득가능한 경품들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1)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리스트 중에서 자신이 획득하고자 하는 경품을 선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에는 획득가능한 경품들의 리스트가 출력될 수 있으며, 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해당 경품에 대한 상세한 설명과 함께 도전 여부를 선택하도록 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이 "도전하기"를 선택하는 경우, 경품정보수신부(110)는 사용자가 선택한 경품에 대한 경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경품정보수신부(110)는 수신한 경품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1)이 도전하기로 한 경품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경품들은 획득난이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경품을 획득기한의 마감을 나타내는 만료기한, 현재 도전 중인 사용자의 수, 현재 남아있는 경품의 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리스트들 중에서 복수의 경품들 중에서 자신이 획득하고자 도전할 경품을 선택할 수 있다.
도전미션제공부(120)는, 사용자 단말(1)에게 경품정보에 대응하는 도전미션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이 수행한 상기 도전미션에 대한 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도전미션제공부(120)는 사용자 단말(1)이 도전할 것으로 선택한 경품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도전미션을 사용자 단말(1)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미션제공부(120)가 제공하는 도전미션은 퀴즈나 미니 게임 등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전미션에 복수의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즉, 도전미션은 경품의 종류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개수의 단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계별로 퀴즈 또는 미니게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계를 성공할 때마다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으며, 제공된 모든 단계에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도전미션에 성공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루에 하나의 단계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도전미션 수행에 대한 제한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1)이 광고컨텐츠를 적어도 1회 이상 출력한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단말(1)에게 도전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경품 획득을 위한 도전기회를 제공하는 대가로, 사용자 단말(1)이 광고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1)에 출력되는 광고컨텐츠는 상기 경품을 제공한 경품제공자가 등록한 광고컨텐츠일 수 있다.
한편,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미션제공부(120)는 OX 퀴즈 등 간단한 퀴즈를 도전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도전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정답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도전미션에 대한 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정답인 경우에는 도6(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미션의 성공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도전미션이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의 도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미션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에 대한 진행과정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에 오답인 경우에는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전미션에 실패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다.
재도전기회제공부(130)는 도전미션이 실패로 판별되면, 사용자 단말(1)에게 광고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이 광고컨텐츠의 재생을 완료하면 상기 실패한 도전미션에 대한 재도전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전미션에 실패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광고컨텐츠의 재생을 조건으로 재도전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전미션이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별로 성공여부를 판별하고, 실패한 경우에는 광고컨텐츠의 재생을 조건으로 재도전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재도전을 위하여 광고컨텐츠의 시청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1)에는 동영상 형태의 광고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루에 허용하는 재도전 횟수 등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1)이 요청하는 재도전 횟수가 기 설정된 재도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도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재도전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이 선택한 경품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수량이 모두 떨어지거나 유효기한이 만료되는 등의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도전미션에 실패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1)에게 해당 경품에 대한 더 이상의 재도전 기회는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위치정보제공부(140)는 도전미션이 성공으로 판별되면, 사용자 단말(1)에게 상기 경품의 획득을 위한 획득지점에 대한 획득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위치정보는 획득지점의 GPS 정보 등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도9(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획득위치정보(p)를 지도 인터페이스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1)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1)을 이용하여 획득위치정보(p)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경품의 획득을 위하여 획득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즉, 지도 인터페이스 내에 사용자 단말(1)의 위치정보(u)와 획득위치정보(p)가 함께 표시되므로, 사용자는 지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자신의 위치와 획득위치정보(p)를 비교하면서 정확하게 찾아갈 수 있다. 여기서, 획득지점은 경품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위치로 상기 경품제공자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오프라인 매장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전미션이 성공으로 판별된 때의 사용자 단말(1)의 위치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범위 내에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도전미션의 경우, 각각의 단계에 성공할 때마다 획득지점에 대한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힌트를 이용하여 획득지점에 대한 추리를 할 수 있으며, 힌트는 획득지점의 주소나 획득지점을 나타내는 약도의 일부분, 획득지점의 GPS 좌표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힌트를 통하여 획득지점을 추리한 경우, 사용자는 추가적인 도전미션에 도전하지 않고 경품획득을 위하여 획득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추리한 획득위치로 이동한 후, 사용자 단말(1)을 이용하여 추리완료메시지를 서버(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위치정보제공부(140)는 사용자 단말(1)에게 획득위치정보를 제공하지 않을 수 있으며, 지도 상에 사용자 단말(1)의 위치정보(u)만을 표시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추리한 획득위치가 맞는 것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해당 획득위치정보(p)를 지도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위치판별부(150)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단말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이 획득지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에게 획득위치정보를 제공한 이후에는, 위치판별부(150)가 사용자 단말(1)로부터 단말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위치정보(u)는 GPS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위치판별부(150)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수신한 단말위치정보(u)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1)이 획득위치에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위치판별부(150)는 사용자 단말(1)가 획득지점(p)으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d)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자 단말(1)이 획득위치에 도착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힌트를 통하여 획득지점을 추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추리완료메시지를 수신한 때로부터 사용자 단말(1)의 단말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1)이 해당 획득지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경품출력부(160)는 사용자 단말(1)이 획득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자 단말(1)을 증강현실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1)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내에 경품이미지(g)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9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품출력부(160)는 사용자 단말(1)이 획득지점(p)으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d, 예를들어, 10m) 내로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1)이 획득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이 획득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별한 경우에는, 도9(a)와 같이 경품출력부(160)가 지도상에 경품 아이콘(i)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경품 아이콘(i)에 입력을 인가하면, 사용자 단말(1)이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한 이후에는, 도9(b)와 같이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부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 내에, 경품 이미지(P)가 포함되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경품출력부(160)는 증강현실모드로 전환시 경품 이미지(P)의 위치를 획득지점 내의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1)의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해당 경품 이미지의 위치를 비추는 경우에 한하여 경품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획득 지점의 여러 곳을 비춰서 경품 이미지를 찾아보도록 함으로써, 보물찾기와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에 표시된 경품 이미지(g)에 입력을 인가하여 경품 찾기를 시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1)이 경품 찾기에 성공한 경우에는, 도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품 찾기 성공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이 증강현실 내 출력될 수 있으며, 경품 찾기에 실패한 경우에는 도10(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경품 찾기 실패를 나타내는 애니메이션이 증강현실 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준비된 경품의 수량이 모두 떨어지거나 경품 획득의 유효기한이 만료되는 경우 등에 경품 찾기에 실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한정된 수량과 유효기한의 경품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이 경쟁적으로 경품 찾기에 도전할 수 있으므로, 경품출력부(160)에서는 실시간으로 경품의 수량과 유효기한의 도과여부를 판단하여 경품 찾기 성공 또는 경품 찾기 실패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하고 기 설정된 한계시간 내에 경품 이미지(g)를 찾아서 입력을 인가하지 못하는 경우에도 경품 찾기에 실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인증부(170)는 사용자 단말(1)로부터 경품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증사진을 수신하고, 인증사진을 이용하여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부 사용자들이 부정한 방법으로 경품 찾기에 성공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인증부(170)에서는 사용자 단말(1)에게 정당한 방식으로 경품을 찾았다는 것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즉, 경품 찾기에 성공한 이후에도, 인증부(170)를 통하여 인증을 완료하여야 경품 획득에 성공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1(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인증부(170)는 사용자 단말(1)에게 인증사진 촬영시 사용자가 위치해야하는 인증영역(a)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획득지점의 영상과 경품이미지(g)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가 인증영역(a) 내에 위치하도록 하여 인증사진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인증사진의 촬영이 완료되면, 인증부(170)는 도11(b)와 같이 인증사진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인증사진을 전송하기 전에 획득지점의 영상과 경품이미지(g), 사용자의 형상이 인증영역(a) 내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이 완료되면 "사진 전송하기"를 입력하여 인증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인증부(170)는 수신한 인증사진을 경품제공자 단말(2)에게 전송하여 인증사진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경품제공자 단말(2)의 담당자는 수신한 인증사진을 통하여, 인증사진 내에 획득지점의 영상과 경품이미지(g), 그리고 사용자의 형상이 모두 정확히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이 완료되면, 담당자는 인증부(170)로 확인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1)의 경품 획득 성공여부를 알릴 수 있다. 담당자는 인증성공 또는 인증실패를 확인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인증부(170)는 수신한 확인메시지를 이용하여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인증부(170)가 경품제공자 단말(2)에게 인증을 요청하는 대신에 서버(100)를 운영하는 측의 담당자가 인증사진을 통하여 확인메시지를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미지프로세싱을 통하여 인증사진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미지프로세싱을 통하여 인증사진 내에 경품이미지(g)의 포함여부, 인증영역 내에 사람의 형상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등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 결과에 따라 경품 획득 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인증부(170)는 경품 이미지(g)가 출력된 ?로부터 기 설정된 제한시간 내에 상기 인증사진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한시간(예를들어 1시간) 내에 인증사진이 수신되지 않으면, 경품의 획득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경품 이미지(g)를 찾은 경우에는 즉시 인증사진을 촬영하여 전송하도록 하여, 혹시 있을 수 있는 인증사진에 대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인증부(170)는 경품에 대한 획득위치정보를 전송한 때로부터 사용자 단말(1)의 이동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이동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경품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할 때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경로 정보는 사용자 단말(1)의 GPS 정보 등을 수신하여 생성하는 것으로, 실제 사용자 단말(1)이 획득위치정보에 따라 이동하여 획득지점에 도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1)이 실제로 도전미션에 참여하여 획득지점으로 이동하고, 획득지점에서 해당 인증사진을 촬영하는지를 이동경로정보 및 인증사진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도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은 경품정보수신단계(S10), 미션성공판별단계(S20), 재도전단계(S30), 위치정보제공단계(S40), 위치판별단계(S50), 경품출력단계(S60), 인증단계(S70) 및 경품제공단계(S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을 설명한다.
경품정보수신단계(S10)에서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경품에 대한 경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는 획득가능한 경품들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경품들 중에서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경우, 서버는 해당 경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해당 경품에 대한 도전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이 도전을 선택하는 경우, 서버는 사용자가 선택한 경품에 대한 경품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서버는 수신한 경품정보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이 도전하기로 한 경품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각각의 경품들에는 획득난이도가 설정되어 있을 수 있으며, 경품을 제공하는 만료기한, 현재 도전 중인 사용자의 수, 현재 남아있는 경품의 수 등이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만료기한, 현재 도전 중인 사용자의 수, 현재 남아있는 경품의 수 등을 고려하여, 복수의 경품들 중에서 자신이 획득하고자 도전할 경품을 선택할 수 있다.
미션성공판별단계(S20)에서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경품정보에 대응하는 도전미션을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이 수행한 도전미션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를 판별할 수 있다. 먼저, 서버는 사용자 단말이 도전할 것으로 선택한 경품정보를 확인하고, 그에 대응하는 도전미션을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도전미션은 퀴즈나 미니 게임 등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전미션이 복수의 단계로 구성될 수 있다. 즉, 도전미션은 경품의 종류 등에 따라 미리 설정된 개수의 단계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단계별로 퀴즈 또는 미니게임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각 단계를 성공할 때마다 다음 단계로 진행할 수 있으며, 제공된 모든 단계에 성공한 경우에 한하여 도전미션에 성공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루에 하나의 단계만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도전미션 수행에 대한 제한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 단말이 광고컨텐츠를 적어도 1회 이상 출력한 경우에 한하여 사용자단말에게 도전미션을 제공할 수 있다. 즉, 경품 획득을 위한 도전기회를 제공하는 대가로, 사용자 단말이 광고컨텐츠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에 출력되는 광고컨텐츠는 상기 경품을 제공한 경품제공자가 등록한 광고컨텐츠일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도전미션의 경우, 각각의 단계에 성공할 때마다 획득지점에 대한 힌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힌트를 이용하여 획득지점에 대한 추리를 할 수 있으며, 힌트는 획득지점의 주소나 획득지점을 나타내는 약도의 일부분, 획득지점의 GPS 좌표 등일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가 힌트를 통하여 획득지점을 추리한 경우, 사용자는 추가적인 도전미션에 도전하지 않고 경품획득을 위하여 획득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자신이 추리한 획득위치로 이동한 후,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추리완료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추리완료메시지는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서버는 수신한 GPS 정보와 획득위치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추리가 맞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서버는 OX 퀴즈 등 간단한 퀴즈를 도전컨텐츠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도전컨텐츠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이 정답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도전미션에 대한 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여기서, 정답인 경우에는 도전미션의 성공을 표시할 수 있으며, 도전미션이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의 도전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전미션이 복수의 단계로 구성된 경우에는, 도전미션에 포함된 각각의 단계에 대한 진행과정을 확인하는 것도 가능하다. 반면에 오답인 경우에는 도전미션에 실패하였음을 표시할 수 있으며, 재도전할 것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재도전단계(S30)에서는, 도전미션이 실패로 판별되면,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재도전 여부를 문의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이 재도전을 요청하면, 사용자 단말에게 광고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이 광고컨텐츠의 재생을 완료하면 실패한 도전미션에 대한 재도전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도전미션에 실패한 경우에는, 사용자에게 광고컨텐츠의 재생을 조건으로 재도전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도전미션이 복수의 단계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별로 성공여부를 판별하고, 실패한 경우에는 광고컨텐츠의 재생을 조건으로 재도전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재도전을 위하여 광고컨텐츠의 시청을 선택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에는 동영상 형태의 광고컨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서는, 하루에 허용하는 재도전 횟수 등을 미리 설정해 둘 수 있으며, 사용자단말이 요청하는 재도전 횟수가 기 설정된 재도전 횟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재도전을 허용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이 선택한 경품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수량이 모두 떨어지거나 유효기한이 만료되는 등의 경우에는 최종적으로 도전미션에 실패한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단말에게 해당 경품에 대한 더 이상의 재도전 기회는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위치정보제공단계(S40)에서는, 도전미션이 성공으로 판별되면, 서버가 사용자 단말에게 경품의 획득을 위한 획득지점에 대한 획득위치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위치정보는 획득지점의 GPS 정보 등일 수 있으며, 이 경우 서버는 획득위치정보를 지도인터페이스 내에 표시하여 사용자 단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획득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경품의 획득을 위하여 획득위치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획득지점은 경품제공자가 미리 설정한 위치로 경품제공자의 물품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매장의 위치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전미션이 성공으로 판별된 때의 사용자 단말의 위치정보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범위 내에 임의로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위치판별단계(S50)에서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이 획득지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에게 획득위치정보를 제공한 이후에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위치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위치정보는 GPS 정보일 수 있다. 따라서, 서버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단말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 단말이 획득위치에 도착하였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서버는 사용자 단말이 획득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사용자 단말이 획득위치에 도착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힌트를 통하여 획득지점을 추리한 경우에는, 사용자가 입력한 추리완료메시지를 수신한 때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단말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이 해당 획득지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경품출력단계(S60)에서는, 사용자 단말이 획득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서버가 사용자 단말을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하고,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내에 경품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사용자 단말이 획득지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반경 내로 접근하면, 사용자 단말이 획득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이 획득지점에 위치한 것으로 판별한 경우에는, 서버가 지도 인터페이스상에 경품 아이콘을 출력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경품 아이콘에 입력을 인가하면, 사용자 단말이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하도록 할 수 있다.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한 이후에는,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부 등을 통하여 입력되는 영상 내에, 경품 이미지가 포함되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서버는 증강현실모드로 전환시 경품 이미지의 위치를 획득지점 내의 임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부를 이용하여 해당 경품 이미지의 위치를 비추는 경우에 한하여 경품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획득 지점의 여러 곳을 비춰서 경품 이미지를 찾아보도록 함으로써, 보물찾기와 유사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에 표시된 경품 이미지에 입력을 인가하여 경품 찾기를 시도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이 경품 찾기에 성공한 경우에는, 경품 찾기 성공을 나타내는 애니메이션이 증강현실 내 출력될 수 있으며, 경품 찾기에 실패한 경우에는 경품 찾기 실패를 나타내는 애니메이션이 증강현실 내 출력될 수 있다. 여기서,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하고 기 설정된 한계시간 내에 경품 이미지를 찾아서 입력을 인가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경품 찾기에 실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준비된 경품의 수량이 모두 떨어지거나 경품 획득의 유효기한이 만료되는 경우 등에도 경품 찾기에 실패한 것으로 할 수 있다. 즉, 한정된 수량과 유효기한의 경품에 대하여 복수의 사용자들이 경쟁적으로 경품 찾기에 도전할 수 있으므로, 서버에서는 실시간으로 경품의 수량과 유효기한의 도과여부를 판단하여 경품 찾기 성공 또는 경품 찾기 실패를 나타낼 수 있다.
인증단계(S70)에서는,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경품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증사진을 수신하고, 인증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일부 사용자들이 부정한 방법으로 경품 찾기에 성공하는 경우 등이 있을 수 있으므로,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게 정당한 방식으로 경품을 찾았다는 것에 대한 인증을 수행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즉, 경품 찾기에 성공한 이후에도, 인증을 완료하여야 경품 획득에 성공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게 인증사진 촬영시 사용자가 위치해야하는 인증영역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증강현실을 이용하여 획득지점의 영상과 경품이미지가 표시될 수 있으며, 동시에 사용자가 인증영역 내에 위치하도록하여 인증사진을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인증사진의 촬영이 완료되면, 서버는 인증사진 전송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인증사진을 전송하기 전에 획득지점의 영상과 경품이미지, 사용자의 형상이 인증사진 내에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으며, 확인이 완료되면 "사진 전송하기"를 입력하여 인증사진을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서버는 수신한 인증사진을 경품제공자 단말에게 전송하여 인증사진에 대한 확인을 요청할 수 있다. 경품제공자 단말의 담당자는 수신한 인증사진을 통하여, 인증사진 내에 획득지점의 영상과 경품이미지, 그리고 사용자의 형상이 모두 정확히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이 완료되면, 담당자는 서버로 확인메시지를 전송하여 해당 사용자 단말의 경품 획득 성공여부를 알릴 수 있다. 담당자는 인증성공 또는 인증실패를 확인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으므로, 서버는 수신한 확인메시지를 이용하여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경품제공자 단말에게 인증을 요청하는 대신에 서버를 운영하는 측의 담당자가 인증사진을 통하여 확인메시지를 직접 입력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미지프로세싱을 통하여 인증사진에 대한 확인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미지프로세싱을 통하여 인증사진 내에 경품이미지의 포함여부, 인증영역 내에 사람의 형상이 포함되었는지 여부 등을 추출할 수 있으며, 추출 결과에 따라 경품 획득 성공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서버는 경품 이미지가 출력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제한시간 내에 상기 인증사진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제한시간 내에 인증사진이 수신되지 않으면, 경품의 획득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경품 이미지를 찾은 경우에는 즉시 인증사진을 촬영하여 전송하도록 하여, 혹시 있을 수 있는 인증사진에 대한 조작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외에도, 서버는 경품에 대한 획득위치정보를 전송한 때로부터 사용자 단말의 이동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이동경로 정보를 사용자의 경품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할 때 활용할 수 있다. 여기서, 이동경로 정보는 사용자 단말의 GPS 정보 등을 수신하여 생성하는 것으로, 실제 사용자 단말이 획득위치정보에 따라 이동하여 획득지점에 도착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이 실제로 도전미션에 참여하여 획득지점으로 이동하고, 획득지점에서 해당 인증사진을 촬영하는지를 이동경로정보 및 인증사진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경품제공단계(S80)에서는, 서버가 획득성공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사용자 단말에게 경품에 대응하는 경품획득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인증단계(S70)에서 인증이 성공하면 서버는 사용자 단말에게 경품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경품획득메시지는 쿠폰이나 온라인 상품권 등의 형식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후 사용자가 매장 등을 방문하여 쿠폰이나 온라인 상품권을 경품과 교환하도록 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가 입력하는 주소로 경품을 배송하는 것을 알리는 메시지를 경품획득메시지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 사용자 단말 2: 경품제공자 단말
100: 서버 110: 경품정보수신부
120: 도전미션제공부 130: 재도전기회제공부
140: 위치정보제공부 150: 위치판별부
160: 경품출력부 170: 인증부
180: 경품제공부 200: 도전미션 데이터베이스
300: 광고데이터베이스
S10: 경품정보수신단계 S20: 미션성공판별단계
S30: 재도전 단계 S40: 위치정보제공단계
S50: 위치판별단계 S60: 경품출력단계
S70: 인증단계 S80: 경품제공단계

Claims (11)

  1. 서버가,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경품에 대한 경품정보를 수신하는 경품정보수신단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정보에 대응하는 도전미션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행한 상기 도전미션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를 판별하는 미션성공판별단계;
    상기 도전미션이 실패로 판별되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컨텐츠의 재생을 완료하면 상기 실패한 도전미션에 대한 재도전 기회를 제공하는 재도전단계;
    상기 도전미션이 성공으로 판별되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의 획득을 위한 획득지점에 대한 GPS 정보인 획득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위치정보제공단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획득지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획득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을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내에 경품이미지를 출력하는 경품출력단계;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경품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증사진을 수신하고, 상기 인증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하는 인증단계; 및
    서버가, 획득성공으로 판별된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에 대응하는 경품획득메시지를 전송하는 경품제공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단계는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품 이미지의 지정영역이 설정된 인증사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지정영역 내에 상기 경품 이미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경품 이미지가 출력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제한시간 내에 상기 인증사진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한시간 내에 상기 인증사진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경품은 획득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인증단계는
    서버가, 상기 획득위치정보를 전송한 때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경로 정보 및 상기 인증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하는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성공판별단계는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도전미션으로 퀴즈 또는 미니게임을,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션성공판별단계는
    서버가, 상기 도전미션을 기 설정된 개수의 단계로 구성하고, 각각의 단계별로 퀴즈 또는 미니게임을 제공하며, 상기 도전미션 내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계를 모두 성공하는 경우에 상기 도전미션에 성공한 것으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정보제공단계는
    서버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지도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지도인터페이스 내에 상기 획득위치정보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경품출력단계는
    서버가, 상기 지도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경품에 대응하는 경품 아이콘을 출력하고, 상기 경품 아이콘에 사용자의 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상기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단계는
    서버가, 상기 인증사진을 경품제공자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경품제공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확인메시지를 이용하여 상기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사용자 단말로부터 사용자가 선택한 경품에 대한 경품정보를 수신하는 경품정보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정보에 대응하는 도전미션을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하여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행한 상기 도전미션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를 판별하는 도전미션제공부;
    상기 도전미션이 실패로 판별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광고컨텐츠를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광고컨텐츠의 재생을 완료하면 상기 실패한 도전미션에 대한 재도전 기회를 제공하는 재도전기회제공부;
    상기 도전미션이 성공으로 판별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의 획득을 위한 획득지점에 대한 GPS 정보인 획득위치정보를 전송하는 위치정보제공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단말위치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획득지점에 위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는 위치판별부;
    상기 사용자 단말이 상기 획득지점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별되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증강현실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 표시되는 증강현실 내에 경품이미지를 출력하는 경품출력부;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경품이미지를 포함하는 인증사진을 수신하고, 상기 인증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하는 인증부; 및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으로 판별하는 경우에는 상기 사용자 단말에게 상기 경품에 대응하는 경품획득메시지를 전송하는 경품제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사용자 단말로 상기 경품 이미지의 지정영역이 설정된 인증사진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상기 지정영역 내에 상기 경품 이미지가 포함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하며, 상기 경품 이미지가 출력된 때로부터 기 설정된 제한시간 내에 상기 인증사진이 수신되는지 여부를 확인하여, 상기 제한시간 내에 상기 인증사진이 수신되지 않으면, 상기 경품은 획득에 실패한 것으로 판별하고,
    상기 인증부는
    상기 획득위치정보를 전송한 때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이동경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경로 정보 및 상기 인증사진을 이용하여 상기 경품의 획득성공여부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KR1020170146126A 2017-11-03 2017-11-03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KR1019576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126A KR101957604B1 (ko) 2017-11-03 2017-11-03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126A KR101957604B1 (ko) 2017-11-03 2017-11-03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604B1 true KR101957604B1 (ko) 2019-03-13

Family

ID=657621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126A KR101957604B1 (ko) 2017-11-03 2017-11-03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60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314A (ko) * 2002-11-29 2004-06-05 한승섭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보물찾기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20100096409A (ko) * 2009-02-24 2010-09-02 신훈희 무선주파수 식별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미션관광 게임방법
KR20120076634A (ko) * 2010-12-08 2012-07-09 와플스토어 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과금 방법
KR20130137968A (ko) * 2012-06-08 2013-12-18 김용천 사용자 단말에서 증강 현실을 통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47314A (ko) * 2002-11-29 2004-06-05 한승섭 유무선 통신망을 이용한 보물찾기 서비스 방법 및 그시스템
KR20100096409A (ko) * 2009-02-24 2010-09-02 신훈희 무선주파수 식별기와 모바일 단말기를 이용한 미션관광 게임방법
KR20120076634A (ko) * 2010-12-08 2012-07-09 와플스토어 주식회사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과금 방법
KR20130137968A (ko) * 2012-06-08 2013-12-18 김용천 사용자 단말에서 증강 현실을 통한 이벤트 제공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31649B1 (en) Method and device for allocating augmented reality-based virtual objects
AU201322736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conducting lottery games with portable devices enabled for near field communication (NFC)
US20150019308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a Multi-User Competition
US11501323B1 (en) Augmented reality store and services orientation gamification
WO2002101604A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net advertising through on-line games
US20130157693A1 (en) Ad-hoc user and device engagement platform
CN109819276B (zh) 视频播放的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US20140278946A1 (en) Advertisement and actual benefit distribution in a geocaching/treasure hunting environment
US103734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distribution through mobile social gaming
KR20120076634A (ko) 위치 기반 서비스를 이용한 미션 당 과금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과금 방법
KR20120010567A (ko) 컨텐츠 시스템, 서버 및 이의 동작 방법
US201903550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advertising distribution through mobile social gaming
US20150133209A1 (en) Social media-based virtual/actual interactive games
KR101957604B1 (ko) 증강현실기법을 이용한 경품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서버
US20020090997A1 (en) System for integrated media presentation
US20190034968A1 (en) Interactive Advertisement Method and System
KR20130062391A (ko) 경품 이벤트 진행 방법
JP2002191870A (ja) 特典付与システム、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KR20130023554A (ko) 스마트폰에서 이용가능한 미션게임 기반 광고 프로모션 장치
KR20160131978A (ko) 실시간 문자 참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방법
KR20130091156A (ko) 위치기반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US2023014504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a single qr code to provide varying user experiences
JP7102884B2 (ja)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09670841B (zh) 信息状态的切换方法和装置
KR100838764B1 (ko) 전자 게이밍 장치상에 게임 디렉토리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