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853B1 -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 Google Patents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853B1
KR101956853B1 KR1020170078099A KR20170078099A KR101956853B1 KR 101956853 B1 KR101956853 B1 KR 101956853B1 KR 1020170078099 A KR1020170078099 A KR 1020170078099A KR 20170078099 A KR20170078099 A KR 20170078099A KR 101956853 B1 KR101956853 B1 KR 101956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pig
pig leg
unit
ch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8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8045A (ko
Inventor
김동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리트식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리트식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리트식품
Priority to KR1020170078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853B1/ko
Publication of KR201801380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80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08Scalding; Scraping; Dehairing; Singeing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5/00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 A22B5/0064Accessories for use during or after slaughtering for classifying or grading carcasses; for measuring back fat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BSLAUGHTERING
    • A22B7/00Slaughterhouse arrangements
    • A22B7/001Conveying arrangements
    • A22B7/003Positioning, orienting or supporting carcasses as they are being conveyed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Processing Of Meat And F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돼지 다리의 1차적인 털 제거시에 제거되지 않고 돼지 다리에 잔류하는 털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돼지 다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돼지 다리의 털을 제거하는 돼지다리털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Fur nishing Removal system}
본 발명은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돼지 다리의 1차적인 털 제거시에 제거되지 않고 돼지 다리에 잔류하는 털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축을 도살하여 용도별로 가공을 함에 있어 도살된 가축의 털을 1차 제거한 후에 가공 단계를 거쳐 출하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렇게, 가공을 통하여 출하가 이루어지는 부위 중 다리 부분에 남아 있는 털을 2차로 제거하는 방법으로 면도기를 사용하게 되는데 돼지의 다리털은 굵고 뻣뻣하여 면도날이 면도기에 견고하게 고정되지 않으면 면도날이 이탈되거나 흔들림 현상이 발생하여 털 제거에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돼지를 뜨거운 물로 부드럽게 한 후에 털을 제거할 때에는 습기를 머금은 돼지의 피부에 면도기의 헤드가 마찰이 일어나게 되어 면도시 많은 힘이 필요하게 되어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면도날과 본체는 손잡이를 끼움 결합하여 헤드를 가압하여 면도날이 고정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이때 통상의 손잡이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많은 힘을 가하게 되면 손잡이에 크릭이 발생하게 되고, 돼지털의 특성상 면도날을 자주 교체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0041호 "돼지 다리털 제거용 칼"이 제시되어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은 종래와 동일하게 칼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털을 깎는 방식으로 돼지 다리에 잔류하는 털을 제거하는 것으로,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는 등 작업이 비능률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제20-2009-0000041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컨베이어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돼지 다리에 잔류하는 털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돼지 다리의 피부에 잔류하는 털을 제거하는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제모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많은 인력이 필요 없어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돼지 다리의 상단부에 승강동작을 수행하는 털제거부를 구비하되, 털제거부는 커터를 구비하여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커터의 회전 시 절삭날에 의해 털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돼지 다리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돼지 다리의 피부에 잔류하는 털을 제거하는 털제거부는 다리의 상하부에 잔류하는 털과 측부에 잔류하는 털을 제거하는 장치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돼지 다리 피부에 잔류하는 모든 털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동하는 돼지 다리는 이웃하는 컨베이어의 상부로 안착되는 과정에서 가이드판에 의해 뒤집힌 상태로 이웃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돼지 다리의 피부 상부와 컨베이어에 접한 하부에 잔류하는 털을 용이하게 모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돼지 다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돼지 다리의 털을 제거하는 돼지다리털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이송부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제1체인컨베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체인컨베이어에 결합 고정되는 다수개의 제1안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체인컨베이어의 일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2체인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2체인컨베이어에 결합 고정되는 다수개의 제2안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2체인컨베이어는 제1체인컨베이어의 진행 방향의 끝단부 하단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안착부재의 상부에는 흡착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체인컨베이어와 제2체인컨베이어의 사이에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돼지다리털제거수단은 이송부의 제1,2체인컨베이어 상부에 설치되는 제1,2상부털제거부와, 상기 이송부의 제1,2체인컨베이어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1,2측부털제거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상부털제거부는 이송부의 제1,2안착부재 상부에 위치되게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실린더가 설치된 제1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1설치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1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결합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측에 양측 끝단부가 결합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커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커터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커터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2측부털제거부는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되, 이송부의 제1,2안착부재의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되, 서로 대응되는 외측부에 제2실린더가 설치된 제2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설치프레임 대응면에 설치되되, 제2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결합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측에 양측 끝단부가 결합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2커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커터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커터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제1,2커터는 길이방향 중심부가 오목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원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삭홀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홀의 단부에는 절삭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의 제2체인컨베이어 진행 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이송 과정에서 털이 제거된 돼지 다리를 세척하는 세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는 아송부의 제2체인컨베이어 진행 방향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진향 방향 양측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세척실이 형성된 터널이 구비되며, 상기 터널의 세척실에 설치되는 에어분사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터널의 세척실을 구획하여 세척이 이루어진 돼지 다리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살균램프가 설치된 살균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돼지다리털제거수단에 의해 털이 제거된 돼지 다리를 무게별로 선별하는 선별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선별부는 일측부에 제3실린더가 설치된 전자저울이 구비되고, 상기 전자저울과 연동되게 선별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며, 상기 선별컨베이어벨트의 폭 방향 일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선별컨베이어벨트의 실린더로드가 갈합 고정되되, 일측부가 선별컨베이어벨트에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는 선별배출판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실린더에 대응되게 선별컨베이어벨트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컨베이어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돼지 다리에 잔류하는 털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써, 돼지 다리의 피부에 잔류하는 털을 제거하는 작업시간이 단축되고, 제모작업이 자동으로 이루어지게 되어 많은 인력이 필요 없어 인건비를 절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돼지 다리의 상단부에 승강동작을 수행하는 털제거부를 구비하되, 털제거부는 커터를 구비하여 회전하는 동작에 의해 커터의 회전 시 절삭날에 의해 털이 제거되도록 함으로써, 돼지 다리의 피부를 손상시키지 않고 용이하게 털을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돼지 다리의 피부에 잔류하는 털을 제거하는 털제거부는 다리의 상하부에 잔류하는 털과 측부에 잔류하는 털을 제거하는 장치를 각각 구비함으로써, 돼지 다리 피부에 잔류하는 모든 털을 자동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컨베이어를 통하여 이동하는 돼지 다리는 이웃하는 컨베이어의 상부로 안착되는 과정에서 가이드판에 의해 뒤집힌 상태로 이웃하는 컨베이어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돼지 다리의 피부 상부와 컨베이어에 접한 하부에 잔류하는 털을 용이하게 모두 제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을 보인 개략도.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이송부를 보인 도면.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돼지다리털제거수단을 보인 도면.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돼지다리털제거수단의 제1 및 제2커터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세척부를 보인 도면.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선별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을 보인 개략도이고,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이송부를 보인 도면이고,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의 돼지다리털제거수단을 보인 도면이고, 도 4a 내지 도 4b는 본 발명의 돼지다리털제거수단의 제1 및 제2커터를 보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세척부를 보인 도면이며,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선별부를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100)은 베이스(110)와, 상기 베이스(110)에 설치되어 돼지 다리를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이송부(210)와, 상기 이송부(210)에 의해 이송되는 돼지 다리의 상부 및 측부에 잔류하는 털을 제거하는 돼지다리털제거수단(300)과, 상기 돼지다리털제거수단(300)에서 털이 제거된 돼지 다리를 세척하는 세척부(410)와, 상기 세척부(410)에서 세척이 이루어진 돼지 다리를 무게별로 선별하는 선별부(51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부(210)는 베이스(110)에 설치되는 제1체인컨베이어(212)가 구비되고, 제1체인컨베이어(212)의 진행 방향 후부 하단에 위치되게 제2체인컨베이어(220)가 구비된다.
이때, 제2체인컨베이어(220)의 일측부는 제1체인컨베이어(212)의 일측 하단에 위치되게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2체인컨베이어(212)(220)에는 체인에 결합 고정되어 상부에 돼지 다리가 안착되는 제1,2안착부재(214)(222)가 각각 구비되되, 제1,2안착부재(214)(222)의 각각 상부에는 상부로 돌출되어 돼지 다리가 흡착되는 흡착판(216)(224)이 구비된다.
상기 제1,2안착부재(214)(222)에 구비된 흡착판(216)224)은 돼지 다리의 자체 하중에 의해 흡착되는 것을 일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흡입수단에 의해 흡입 고정되는 등 돼지 다리를 고정시킬 수 있는 모든 수단이 적용 가능하다.
따라서, 상기 제1,2안착부재(214)(222)의 상부에 안착되는 돼지 다리는 흡착판(216)(224)에 흡착 고정된 상태에서 제1,2체인컨베이어(212)(220)의 작동에 따라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제1체인컨베이어(212)의 일측부, 즉 제2체인컨베이어(220)가 설치된 방향에는 제1체인컨베이어(212)에 의해 이동하는 돼지 다리가 제2체인컨베이어(220)의 상부에 구비된 제2안착부재(222)에 안착될 때 돼지 다리의 상, 하부가 뒤집히게 180°로 회전한 상태로 안착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230)가 더 구비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230)는 "⊃"자 형상으로 내측에 돼지 다리가 이동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 공간을 통하여 이동하는 과정에서 돼지 다리의 상, 하부가 서로 뒤집어진 상태로 제2안착부재(222)에 안착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체인컨베이어(212)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돼지 다리의 상부와 측부에 잔류하는 털이 제거된 상태에서 제2체인컨베이어(220)의 제2안착부재(222)에 안착될 때 가이드부재(230)의 가이드에 의해 털이 제거되지 않은 하부가 상부를 향하도록 돼지 다리를 회전시킨 상태로 안착시켜 제2체인컨베이어(220)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돼지 다리에 잔류하는 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체인컨베이어(220)의 일측부, 즉 제1체인컨베이어(212)의 하부에 가이드부재(230)의 가이드에 의해 돼지 다리가 안착되는 구간의 일측부와 폭방향 양측부에는 돼지 다리가 제2안착부재(222)에 안착될 때 제2안착부재(222)로부터 돼지 다리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로 돌출된 이탈방지판(미도시)을 더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돼지다리털제거수단(300)은 이송부(210)의 제1,2체인컨베이어(212)(220)의 상부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2상부털제거부(310)(310a)와, 제1,2체인컨베이어(212)(220)의 측부에 각각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2측부털제거부(330)(330a)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2상부털제거부(310)(310a)는 제1,2체인컨베이어(212)(220)의 상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2체인컨베이어(212)(220)의 상부에 위치되게 제1설치프레임(312)이 구비되고, 제1설치프레임(312)의 상부에 일정 간격이 유지되게 다수개의 제1실린더(314)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제1설치프레임(312)의 하부에 위치하여 제1실린더(314)의 실린더로드가 상부에 결합 고정되는 "ㄷ"자 형상의 제1고정부재(316)가 구비되고, 제1고정부재(316)의 내측에 양측 끝단부가 결합설치되는 제1커터(318)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커터(318)에 연결 설치되어 제1커터(318)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3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1커터(318)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는 결속홈(318a)이 형성되며, 원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삭홀(318b)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홀(318b)의 단부에는 돼지털을 제거하기 위한 절삭날(318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커터(318)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돼지 다리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이 길이방향 중심부가 오목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돼지 다리와 밀착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돼지 다리에 잔류하는 털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삭홀(318b)은 원형, 사다리꼴,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삭날(318c)은 돼지털이 깎일 수 있도록 적정한 각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커터(318)는 상기 제1고정부재(316)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회전돌기(316a)에 일측 결속홈(318a)이 결합되고, 타측 결속홈(318a)에는 상기 제1고정부재(316)의 일측 외측부에 구비된 제1모터(322)의 모터축(322a)이 결합되어 제1모터(32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1커터(318)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제1,2체인컨베이어(212)(220)에 의해 이동하는 돼지 다리가 제1,2상부털제거부(310)(310a)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모터(322)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1커터(318)가 회전하게 되고, 이 상태에서 제1실린더(314)를 작동시키게 되면 제1고정부재(316)가 하강하여 제1커터(318)가 돼지 다리의 상부면에 밀착되며, 돼지 다리에 밀착된 상태에서 제1커터(318)의 회전에 의해 절삭날(318c)이 털을 깎아 제거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모터(32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축(322a)에 제1커터(318)가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모터에 연결되는 체인 및 기어박스에 의해 각각의 제1커터(318)와 연결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316)에는 돼지 다리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센서에서 감지되는 거리에 따라 제1실린더(314)의 작동거리를 제어하여 굴곡지게 형성되는 돼지 다리 표면에 대응되도록 제1커터(318)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돼지 다리에 남아있는 털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며, 돼지 다리의 살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제1,2측부털제거부(330)(330a)는 제1,2체인컨베이어(212)(220)의 폭 방향 양측부에 위치되게 베이스(110)에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2설치프레임(33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설치프레임(332)은 제1,2체인컨베이어(212)(220)의 폭 방향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되고,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제2설치프레임(332)의 외측부에는 실린더로드가 서로 대응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설치되는 제2실린더(334)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2설치프레임(332)의 서로 대응되는 방향에 설치되되, 제2실린더(334)의 실린더로드에 결합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336)가 구비되고, 제2고정부재(336)의 내측에 양측 끝단부가 결합설치되는 제2커터(338)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커터(338)에 연결 설치되어 제2커터(338)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34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제2커터(338)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는 결속홈(338a)이 형성되며, 원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삭홀(338b)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홀(338b)의 단부에는 돼지털을 제거하기 위한 절삭날(338c)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커터(338)는 라운드지게 형성된 돼지 다리에 대응되도록 외주면이 길이방향 중심부가 오목하도록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돼지 다리와 밀착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돼지 다리에 잔류하는 털을 보다 완벽하게 제거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삭홀(338b)은 원형, 사다리꼴, 사각형, 삼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삭날(338c)은 돼지털이 깎일 수 있도록 적정한 각도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2커터(338)는 상기 제2고정부재(336)의 내측에 돌출 형성된 회전돌기(336a)에 일측 결속홈(338a)이 결합되고, 타측 결속홈(338a)에는 상기 제2고정부재(336)의 일측 외측부에 구비된 제2모터(342)의 모터축(342a)이 결합되어 제2모터(342)의 구동에 의해 상기 제2커터(338)가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제2실린더(334)의 작동에 의해 제1,2체인컨베이어(212)(220)의 방향으로 제2고정부재(336)가 이동동작을 수행하게 되고, 제2모터(342)에 의해 제2커터(338)가 회전 동작을 수행하면서 돼지 다리의 측부에 잔류하는 털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2모터(342)는 전술한 바와 같이 모터축(342a)에 제2커터(338)가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하나의 모터에 연결되는 체인 및 기어박스에 의해 각각의 제2커터(338)와 연결 설치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고정부재(336)에는 돼지 다리와의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되어 센서에서 감지되는 거리에 따라 제2실린더(334)의 작동거리를 제어하여 굴곡지게 형성되는 돼지 다리 표면에 대응되도록 제2커터(338)가 접촉되도록 함으로써 돼지 다리에 남아있는 털이 완전히 제거될 수 있도록 하며, 돼지 다리의 살점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다수개의 제1,2상부털제거부(310)(310a)와 제1,2측부털제거부(330)(330a)를 시차를 두면서 작동시킴으로써, 돼지 다리의 털을 빠짐없이 제거할 수 있고, 각각의 사이에는 감지센서(미도시)를 구비하여 제1,2체인컨베이어(212)(220)에 의해 이동하는 돼지 다리가 제1,2상부털제거부(310)(310a) 및 제1,2측부털제거부(330)(330a)의 정확한 위치에서 털을 제거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도면에는 다수개의 제1,2상부털제거부(310)(310a)와 제1,2측부털제거부(330)(330a)는 각각 구획하여 배치되도록 도시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수개의 제1,2상부털제거부(310)(310a) 각각의 사이에 제1,2측부털제거부(330)(330a)를 배치, 즉 다수개의 제1상부털제거부(310)의 사이에 제1측부털제거부(330)를 배치시키는 방식으로, 제1,2상부털제거부(310)(310a)의 각 사이에 제1,2측부털제거부(330)(330a)를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1,2체인컨베이어(210)(220)의 일측부, 즉 돼지 다리가 진입하는 위치에는 돼지 다리의 털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테프론판 등을 이용하여 털을 세워주는 장치가 설치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상부털제거부(310)(310a) 각각의 사이와 제1,2측부털제거부(330)(330a) 각각의 사이에는 제거된 털을 세척할 수 있도록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수단(미도시)을 더 설치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세척부(410)는 이송부(210)의 제2체인컨베이어(220)의 진행 방향에 설치되어 돼지 다리를 이송시키는 이송컨베이어벨트(412)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412)의 상부에 설치되되, 이송컨베이어벨트(412)의 진행 방향의 양측부가 개방되게 내측에 세척실(416)이 형성된 터널(414)이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터널(414)의 세척실(416)에는 상부와 측부 등에 설치되어 에어를 분사하는 에어분사관(418)이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412)에 의해 이송되는 돼지 다리는 터널(414)의 입구를 통하여 세척실(416)로 진입하게 되고, 이 세척실(416)로 진입한 돼지 다리는 에어분사관(418)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상기 터널(414)의 내측에는 칸막이 등 분리수단에 의해 내측 공간을 분리하여 살균실(420)이 형성되고, 이 살균실(420)에는 살균램프(422)가 설치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세척실(416)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세척이 이루어진 돼지 다리는 살균실(420)로 진입하고, 이 살균실(420)로 진입한 돼지 다리는 살균램프(422)에 의해 살균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터널(414)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선별부(510)는 세척부(410)의 이송컨베이어벨트(412)의 진행 방향에는 돼지 다리가 안착되어 무게를 측정하는 전자저울(512)이 구비되고, 이 전자저울(512)의 일측부에는 전자저울(512)에 안착된 돼지 다리를 배출시키는 제3실린더(514)가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412)로부터 공급된 돼지 다리는 전자저울(512)의 상부에 안착되고, 이 전자저울(512)에 안착된 돼지 다리의 무게가 측정되어 제어부(미도시)로 정보가 전송되며, 무게 측정이 완료된 돼지 다리는 제3실린더(514)의 작동에 의해 실린더로드가 인출되면서 배출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전자저울(512)의 일측부에 설치되어 제3실린더(514)에 의해 전자저울로(512)부터 배출된 돼지 다리를 이동시키는 선별컨베이어벨트(516)가 구비된다.
나아가, 상기 선별컨베이어벨트(516)의 폭 방향 일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게 설치되는 다수개의 배출실린더(518)가 구비되고, 이 배출실린더(518)의 실린더로드가 결합 고정되되, 일측부가 선별컨베이어벨트(516)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는 선별배출판(520)이 구비되며, 선별배출판(520)이 설치된 선별컨베이어벨트(516)의 타측부에는 배출실린더(518)에 대응되게 배출구(522)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배출구(522)는 배출되는 돼지 다리가 용이하게 이동하여 배출될 수 있도록 일측부로 경사지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실린더(518)에 의해 전자저울(512)로부터 배출된 돼지 다리는 선별컨베이어벨트(516)로 진입하여 이동하게 되고, 선별컨베이어벨트(516)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무게별로 설정되어 제어부에 의해 동작하는 다수개의 배출실린더(518) 중 무게에 해당하는 돼지 다리가 이동할 때 배출실린더에 의해 선별배출판(520)이 회전하여 선별컨베이어벨트(516)의 상부를 차단하여 돼지 다리를 배출구(522)로 안내하여 배출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배출실린더(518)는 전자저울(512)에서 측정된 무게의 정보를 입력받은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작동하여 돼지 다리의 무게별로 다수개의 배출구(522)를 통하여 선별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에 대한 작용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의 작용관계를 보인 도면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100)은 먼저, 작업을 수행할 돼지 다리를 제1체인컨베이어(212)에 구비된 제1안착부재(214)의 상부에 안착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안착부재(214)의 상부에 안착되는 돼지 다리는 자체 하중에 의해 제1안착부재(214)의 상부에 구비된 흡착판(216)에 흡착 고정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안착부재(214)에 돼지 다리가 안착 고정된 상태에서 제1체인컨베이어(212)에 의해 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며 돼지 다리가 제1상부털제거부(310)의 하부에 위치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제1실린더(314)를 작동시켜 제1고정부재(316)가 하강하게 되어 제1커터(318)가 돼지 다리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제1모터(322)를 작동시켜 제1커터(318)를 회전시키면 제1커터(318)의 절삭날(318c)에 의해 돼지 다리털이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상부털제거부(310)에서 털 제거작업이 이루어지면서 제1체인컨베이어(212)의 작동에 의해 이웃하는 또 다른 제1상부털제거부(310)의 하단으로 돼지 다리가 이동되고, 상기와 같은 동일한 동작 방식에 의해 다수개의 제1상부털제거부(310)에 의해 돼지 다리의 털을 제거하는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은 상기 다수개의 제1상부털제거부(310)의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돼지 다리털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다수개의 제1상부털제거부(31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돼지 다리의 상부에 잔류하는 털이 모두 제거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체인컨베이어(212)에 의해 이동하는 돼지 다리의 상부에 잔류하는 털을 제1상부털제거부(310)에 의해 제거가 이루어진 후에는 제1체인컨베이어(212)의 작동에 의해 계속하여 이동하게 되어 제1측부털제거부(330)가 설치된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측부털제거부(330)에 돼지 다리가 위치한 상태에서 제2실린더(334)가 작동하게 되고, 제2고정부재(336)가 좌우로 이동하게 되어 제2커터(338)가 돼지 다리의 측면에 밀착되고, 이 상태에서 제2모터(342)를 작동시켜 제2커터(338)을 회전시키면 제2커터(338)의 절삭날(338c)에 의해 돼지 다리털이 제거되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제1체인컨베이어(212)의 폭 방향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설치된 다수개의 제1측부털제거부(330)를 통과하면서 돼지 다리의 측부에 잔류하는 모든 털이 제거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1체인컨베이어(212)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제1상부털제거부(310)와 제1측부털제거부(330)에 의해 돼지 다리의 상부와 측부에 잔류하는 털이 제거된 상태로 이동하여 제1체인컨베이어(212)로부터 배출되고, 배출되는 돼지 다리는 가이드부재(230)를 통과하여 제2체인컨베이어(220)의 상부에 구비된 제2안착부재(222)에 안착됨과 동시에 제2안착부재(222)에 구비된 흡착판(224)에 흡착 고정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230)를 돼지 다리가 통과할 때 이 가이드부재(230)의 안내에 따라 돼지 다리가 180° 회전하면서 상부와 하부가 뒤집힌 상태로 제2체인컨베이어(220)의 상부에 안착되게 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재(230)의 안내에 따라 제2체인컨베이어(220)의 상부에 돼지 다리가 안착될 때 제2체인컨베이어(220)에 설치된 이탈방지판(미도시)에 의해 제2체인컨베이어(220)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상부에 안전하게 안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2체인컨베이어(2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이동하는 과정에서 다수개의 제2상부털제거부(310a)및 제2측부털제거부(330a)에 의해 돼지 다리에 잔류하는 털을 모두 제거되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상부털제거부(310a)와 제2측부털제거부(330a)는 전자에서와 같이 제1상부털제거부(310)와 제1측부털제거부(330)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털을 제거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여기에서는 제2상부털제거부(310a)와 제2측부털제거부(330a)에 의해 돼지 다리의 털을 제거되는 작동관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제1,2체인컨베이어(212)(220)에 의해 이동되는 돼지 다리에 잔류하는 털은 제1,2상부털제거부(310)(310a)와 제1,2측부털제거부(330)(330a)에 의해 모두 제거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제2체인컨베이어(220)에 의해 이동하면서 털이 제거된 돼지 다리는 이송컨베이어벨트(412)의 상부에 안착된 후 이송컨베이어벨트(412)의 작동에 의해 이동하면서 터널(414)로 진입하고, 이 터널(414)의 세척실(416)을 통과할 때 에어분사관(418)에서 분사되는 에어에 의해 세척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세척실(416)에서 세척이 이루어진 돼지 다리는 터널(414)의 내측에 구비된 살균실(420)로 진입하여 통과하는 과정에서 살균램프(422)에 의해 산균이 이루어진 상태로 터널(414) 밖으로 배출되게 된다.
또한, 상기 터널(414)을 통과한 돼지 다리는 전자저울(512)의 상부에 안착되고, 이 전자저울(512)에 안착된 돼지 다리의 무게가 측정되며, 전자저울(512)에 의해 측정된 무게의 정보는 제어부로 전송되게 된다.
이렇게, 상기 전자저울(512)에서 돼지 다리의 무게를 측정한 후 제3실린더(514)를 작동시키게 되면 실린더로드가 인출되면서 돼지 다리를 밀어 선별컨베이어벨트(516)의 상부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선별컨베이어벨트(516)의 작동에 의해 일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돼지 다리가 배출실린더(518)에 의해 무게별로 선별하여 배출구(522)로 배출되게 된다.
즉, 상기 다수개의 배출실린더(518)는 무게별로 설정되어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동작하는 것으로, 전자저울(512)에서 측정된 돼지 다리의 무게의 정보를 제어부로부터 입력받아 선별컨베이어벨트(516)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측정된 돼지 다리의 무게가 설정된 범위의 배출실린더(518) 구간에 위치할 때 배출실린더(518)가 작동하여 선별배출판(520)을 회동시켜 선별컨베이어벨트(516)의 상부를 차단하여 선별컨베이어벨트(516)에 의해 이동하는 돼지 다리가 선별배출판(520)의 안내에 따라 배출구(522)로 배출되게 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전자저울(512)에서 측정된 정보를 전달받아 선별컨베이어벨트(516)에 의해 이동하는 과정에서 배출실린더(518)의 작동에 의해 동작하는 선별배출판(520)의 안내에 따라 배출구(522)를 통하여 배출시는 방식으로 돼지 다리가 무게별로 선별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한다.
본 발명은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식재료로 널리 사용되는 돼지 다리의 1차적인 털 제거시에 제거되지 않고 돼지 다리에 잔류하는 털을 자동으로 제거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100 : 돼지 다리털제거시스템 110 : 베이스
210 : 이송부 212, 220 : 제1,2체인컨베이어
214, 222 : 제1,2안착부재 216, 224 : 흡착판
230 : 가이드부재 300 : 돼지다리털제거수단
310, 310a : 제1,2상부털제거부 312, 332 : 제1,2설치프레임
314, 334, 514 : 제1,2,3실린더
316, 336 : 제1,2고정부재 318, 338 : 제1,2커터
322, 342 : 제1,2모터 330, 330a : 제1,2측부털제거부
410 : 세척부 412 : 이송컨베이어벨트
414 ; 터널 416 : 세척실
418 : 에어분사관 420 : 살균실
422 : 살균램프 510 : 선별부
512 : 전자저울 516 : 선별컨베이어벨트
518 : 배출실린더 520 : 선별배출관
522 : 배출구

Claims (15)

  1. 베이스와,
    상기 베이스에 설치되어 돼지 다리를 이송시키는 이송부와,
    상기 이송부에 의해 이송되는 돼지 다리의 털을 제거하는 돼지다리털제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돼지다리털제거수단은 이송부의 제1,2체인컨베이어 상부에 설치되는 제1,2상부털제거부와,
    상기 이송부의 제1,2체인컨베이어의 측부에 설치되는 제1,2측부털제거부로 구성되며,
    상기 제1,2상부털제거부는 이송부의 제1,2안착부재 상부에 위치되게 베이스에 설치되어 상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제1실린더가 설치된 제1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제1설치프레임의 하부에 위치되어 제1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결합 고정되는 제1고정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의 내측에 양측 끝단부가 결합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1커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1커터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1커터를 회전시키는 제1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베이스에 설치되는 제1체인컨베이어가 구비되며,
    상기 제1체인컨베이어에 결합 고정되는 다수개의 제1안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인컨베이어의 일측부에 길이 방향으로 제2체인컨베이어가 구비되고,
    상기 제2체인컨베이어에 결합 고정되는 다수개의 제2안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체인컨베이어는 제1체인컨베이어의 진행 방향의 끝단부 하단에 위치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안착부재의 상부에는 흡착판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인컨베이어와 제2체인컨베이어의 사이에는 가이드부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측부털제거부는 베이스 상부에 설치되되, 이송부의 제1,2안착부재의 양측부에 서로 대응되게 한 쌍이 구비되되, 서로 대응되는 외측부에 제2실린더가 설치된 제2설치프레임이 구비되고,
    상기 한 쌍의 제2설치프레임 대응면에 설치되되, 제2실린더의 실린더로드가 결합 고정되는 제2고정부재가 구비되며,
    상기 제2고정부재의 내측에 양측 끝단부가 결합 설치되는 다수개의 제2커터가 구비되고,
    상기 제2커터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제2커터를 회전시키는 제2모터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커터는 길이방향 중심부가 오목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되,
    원주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절삭홀이 형성되고, 상기 절삭홀의 단부에는 절삭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의 제2체인컨베이어 진행 방향에 대응되게 설치되어 이송 과정에서 털이 제거된 돼지 다리를 세척하는 세척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부는 아송부의 제2체인컨베이어 진행 방향에 설치되는 이송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벨트의 진향 방향 양측부가 개방되어 내측에 세척실이 형성된 터널이 구비되며,
    상기 터널의 세척실에 설치되는 에어분사관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터널의 세척실을 구획하여 세척이 이루어진 돼지 다리의 살균이 이루어지도록 살균램프가 설치된 살균실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돼지다리털제거수단에 의해 털이 제거된 돼지 다리를 무게별로 선별하는 선별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선별부는 일측부에 제3실린더가 설치된 전자저울이 구비되고,
    상기 전자저울과 연동되게 선별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며,
    상기 선별컨베이어벨트의 폭 방향 일측부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의 배출실린더가 구비되고,
    상기 선별컨베이어벨트의 실린더로드가 갈합 고정되되, 일측부가 선별컨베이어벨트에 회동되게 결합 고정되는 선별배출판이 구비되며,
    상기 배출실린더에 대응되게 선별컨베이어벨트의 타측부에 설치되는 배출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KR1020170078099A 2017-06-20 2017-06-20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KR101956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99A KR101956853B1 (ko) 2017-06-20 2017-06-20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8099A KR101956853B1 (ko) 2017-06-20 2017-06-20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45A KR20180138045A (ko) 2018-12-28
KR101956853B1 true KR101956853B1 (ko) 2019-03-12

Family

ID=65008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8099A KR101956853B1 (ko) 2017-06-20 2017-06-20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614B1 (ko) * 2023-04-14 2024-03-26 이순정 돼지 족발 제모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20267A (zh) * 2020-08-13 2020-10-27 青岛建华食品机械制造有限公司 一种猪体均布装置
CN114304232A (zh) * 2022-02-21 2022-04-12 牧原肉食品有限公司 一种猪蹄刮毛设备
CN115462409A (zh) * 2022-08-05 2022-12-13 秦显星 去毛工具及其去毛导流刀具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399Y1 (ko) * 2002-03-21 2002-08-10 (주)다프 과채류의 오존 살균 및 세척 장치
JP2009213407A (ja) * 2008-03-11 2009-09-24 Prima Meat Packers Ltd 食肉塊付着毛除去装置
KR101658753B1 (ko) 2016-05-10 2016-09-30 김준형 도계가공방법 및 도계가공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00041U (ko) 2007-06-28 2009-01-07 심기옥 돼지 다리털 제거용 칼
KR101887372B1 (ko) * 2015-10-27 2018-08-10 이명국 구근류 자동 칼날 박피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4399Y1 (ko) * 2002-03-21 2002-08-10 (주)다프 과채류의 오존 살균 및 세척 장치
JP2009213407A (ja) * 2008-03-11 2009-09-24 Prima Meat Packers Ltd 食肉塊付着毛除去装置
KR101658753B1 (ko) 2016-05-10 2016-09-30 김준형 도계가공방법 및 도계가공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51614B1 (ko) * 2023-04-14 2024-03-26 이순정 돼지 족발 제모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8045A (ko) 2018-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6853B1 (ko)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FI84083C (fi) Foerfarande och anordning foer att avlaegsna fettet och koettet fraon koettsidan av skinnet eller paelsen fraon ett paelsdjur.
JPH0443610B2 (ko)
US2979746A (en) Egg washing machine
JP2017526340A (ja) 食品片から異物を除去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80042247A1 (en) Device for cleaning and for processing the rectum and pelvis of slaughtered pigs and operating method of said device
EP2845487B1 (en) An automatic machine for removal of seasoning lard paste
US2007027756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Fur
JP2008516587A (ja) 魚を処理する方法及び機械
KR101870967B1 (ko) 돼지 다리털 제거시스템
KR20170054975A (ko) 게 가공용 탈갑 및 절단 분리기
EP3241687A2 (en) A method of cleaning of a printed band of flexible material, as well as a device therefor
US3097382A (en) Egg washer
US2518772A (en) Fish filleting machine
KR102487520B1 (ko) 닭염통 부분절단장치
WO2009070040A2 (en) Improvements in pelt removal from animal carcasses
KR100367173B1 (ko) 오징어 가공장치
CN110304472B (zh) 鸡蛋分级检测上料装置
NZ540091A (en) Animal cleaning apparatus
KR200438321Y1 (ko) 가금류 내장 분리용 커팅 장치
EP0118315A2 (en) Brushing device
JP2009119737A (ja) 農業用マルチシートの処理装置
DK143833B (da) Apparat til behandling af saltet krydret eller paa anden maade tilberedt fisk,fortrinsvis sild
KR20170098200A (ko) 가금류 사체를 세척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9990036043U (ko) 오징어 할복 및 내장 제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