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632B1 -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 Google Patents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632B1
KR101956632B1 KR1020180082312A KR20180082312A KR101956632B1 KR 101956632 B1 KR101956632 B1 KR 101956632B1 KR 1020180082312 A KR1020180082312 A KR 1020180082312A KR 20180082312 A KR20180082312 A KR 20180082312A KR 101956632 B1 KR101956632 B1 KR 1019566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filter
support
air conditioner
bru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23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수
Original Assignee
(주)센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센도리 filed Critical (주)센도리
Priority to KR10201800823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6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6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6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3/1603
    • B01D46/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 F24F2003/1639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집진망과, 상기 집진망의 일측방향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집진망에 밀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로 이루어지는 공조기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중간부에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는 플랙시블한 보조지지대가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효과로는 집진면적을 넓히기 위해 집진망을 사각형태로 만들수 있고, 이로 인해 원형으로만 회전하는 브러쉬가 해결할 수 없는 사각지대를 플랙시블한 보조지지대에 의해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의 청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Filter of airconditioner}
본 발명은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원형보다 넓은 공기순환면적을 갖는 사각형태의 공조기용 필터의 사각지대(모서리부)의 먼지를 제거할 수 있는 필터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최근 지어지는 건물은 에너지 절감을 위해 단열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건강을 위해 환기에 매우 많은 주의를 기울이고 있다.
따라서 단열과 환기를 모두 만족시키기 위해 실내공기와 외부공기를 환풍팬을 통해 강제로 흡입, 배출하도록 하고, 필터 또는 열교환장치를 이용해 공기의 청정 및 에너지 절감을 가능하게 하는 건물용 공조(환기)장치가 사용되는데, 상기한 건물용 공조장치는 공간의 효율적 활용을 위해 대개 천정에 설치되며 덕트를 통해 실내 공기와 실외 공기를 흡배기하도록 하고 있다. 물론 상기 공조기는 냉방(에어컨)과 난방(온풍기)기능을 구비하게 할 수도 있다.
종래 집진장치를 구비하는 공조기는 케이스의 한 측면에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흡입공과, 상기 흡입공으로부터 흡입된 외부공기와 실내공기의 온도차를 이용하여, 외부공기를 냉각 또는 가열할 수 있는 수단을 개재한 전열교환기와, 상기 전열교환기를 통과한 외부공기를 실내로 급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외부공기 급기팬과, 상기 급기팬에 의하여 외부공기가 실내로 유입될 수 있도록 형성된 급기공과, 상기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형성된 흡입공과 반대편 타측, 즉 실내측에 설치되어 실내공기를 배기할 수 있도록 형성된 실내공기 흡입공과, 상기 흡입공으로부터 배기되는 실내공기가 전열교환기를 통과하고,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형성된 실내공기 배기팬과, 상기 배기팬에 의하여 실내공기가 외부로 배기될 수 있도록 구성된 실내공기 배기공으로 이루어진 전열교환형 환기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열교환형 공기청정기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어, 실내로 흡입되는 외부공기 속의 세균, 박테리아, 배기가스, 먼지 등을 흡착처리할 수 있도록, 큰 먼지와 같이 입자가 큰 물질을 포집하기 위하여 섬유매트 형태로 구성된 프리필터(Pre-Filter)와, 상기 프리필터(Pre-Filter)를 통하여 유입되는 미세한 먼지입자를 하전시키는 이오나이져(Ionizer)와, 상기 이오나이져(Ionizer)에 의하여 대전된 미세먼지 입자를 정전현상을 이용하여 포집하는 콜렉터(Collector)와, 상기 콜렉터(Collector)에 의하여 미세먼지가 제거된 공기의 냄새를 제거하기 위하여 구성된 냄새제거용 탈취필터를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공조기는 열교환기로 유입되는 먼지만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가 열교환기 측면에 설치된 구조여서 공조기 내부로 먼지가 유입되는 것을 자체를 차단하거나 또 이처럼 차단하여 모아진 먼지를 털어주거나 제거하기 위한 어떠한 수단도 구비되어 있지 않아 공조기 내부가 더러워지고 결국 이는 실내 공기의 오염의 원인이 될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그런데 종래의 공조기용 필터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러쉬가 원형으로만 회전하는 구조여서 결국 필터의 집진망도 원형의 형상만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이처럼 필터의 집진망이 원형으로 한정되면 공기흡입 및 배출량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해 공조기의 공기순환량이 줄어들 수 밖에 없다.
따라서 집진면적을 넓히기 위해 집진망을 사각형태로 만들게 되면 종래의 브러쉬로는 먼지를 제거할 수 없는 사각지대, 즉 모서리부분의 청소는 불가능한 단점을 갖는 것이다.
[선행기술문헌]
1. 대한민국 특허등록 10-1471074호
2. 대한민국 특허등록 10-0343036호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공기흡입 및 배출량을 넓히기 위해 집진망을 사각형태로 만들되, 원형으로 회전하는 브러쉬의 양단에 플랙시블한 보조지지대를 형성함으로써 집진망의 사각지대도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성취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해결수단을 살펴보면,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집진망과, 상기 집진망의 일측방향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집진망에 밀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로 이루어지는 공조기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중간부에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는 플랙시블한 보조지지대가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는 상기 보조지지대의 일측면에 모헤어가 형성되어 집진망의 일측면을 쓸어낼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효과로는 집진면적을 넓히기 위해 집진망을 사각형태로 만들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 원형으로만 회전하는 브러쉬가 해결할 수 없는 사각지대를 플랙시블한 보조지지대에 의해 먼지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하여 필터의 청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도 1은 종래 공조기용 필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공조기용 필터의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3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로써, (가)도는 모서리부분을 보조지지대에 의해 먼지를 털어낼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고, (나)도는 보조지지대가 휘어지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며, (다)도는 휘어졌던 보조지지대가 다시 펼쳐지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 필터를 공조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사용되는 전문용어는 단지 특정 실시예를 언급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지 않는다. 또 여기서 사용되는 단수 형태들은 문구들이 이와 명백히 반대의 의미를 나타내지 않는 한 복수 형태들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다르게 정의하지는 않았지만, 여기에 사용되는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를 포함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보통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기술문헌과 현재 개시된 내용에 부합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추가 해석되고,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공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사시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나타낸다. 그 결과, 도해의 다양한 변형, 예를 들면 제조 방법 및/또는 사양의 변형이 예상된다. 따라서 실시예는 도시한 영역의 특정 형태에 국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제조에 의한 형태의 변형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편평하다고 도시되거나 설명된 영역은 일반적으로 거칠거나/거칠고 비선형인 특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날카로운 각도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된 부분은 라운드질 수 있다. 따라서 도면에 도시된 영역은 원래 대략적인 것에 불과하며, 이들의 형태는 영역의 정확한 형태를 도시하도록 의도된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좁히려고 의도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공조기용 집진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 공조기용 필터의 분리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작용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로써, (가)도는 모서리부분을 보조지지대에 의해 먼지를 털어낼 수 있음을 보이기 위한 도면이고, (나)도는 보조지지대가 휘어지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며, (다)도는 휘어졌던 보조지지대가 다시 펼쳐지는 상태를 보이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 필터를 공조장치에 설치된 상태를 보이기 위한 참고도이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기용 집진장치(100)는 테두리부(110)와,
상기 테두리부(110)의 내측에 형성되는 집진망(120)과, 상기 집진망(120)의 일측방향에 설치되는 모터(160)와, 상기 집진망(120)에 밀착되어 모터(160)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140)로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대(141)의 양단에는 플랙시블(flexible)한 보조지지대(142)가 지지대(141)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보조지지대(142)의 일측면에는 모헤어(150)가 형성되어 집진망(120)의 일측면을 쓸어낼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보조지지대(142)를 휘도록 제작할 경우 재질의 특성을 탄성을 가지게 되는 것이어서 집진망(120)에 묻어있는 먼지까지 쓸어내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물론 상기 보조지지대(142)의 일측면에 모헤어(150) 대신에 얇은 날개판(미도시)을 돌출시켜 상기 날개판으로 먼지를 쓸어내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집진망(120)의 형상이 다각형상, 특히 사각형상으로 이루어져 원형보다 면적이 더 넓어져 공기흡입 및 배출량이 많아지는 필터에 더욱 유용한 구조이다.
즉 상기 브러쉬(140)의 지지대(141)는 모터(160)에 의해 회전하면서 집진망(120)을 원형으로 먼지를 제거하게 되고, 보조지지대(142)는 브러쉬(140)가 제거하지 못한 사각지대, 즉 집진망(120)의 모서리부분의 먼지를 제거하게 된다.
본 발명에 있어 테두리부(110)에는 프레임(130)을 형성할 수도 있다. 상기 프레임(130)은 테두리부(110)로 부터 내측으로 다수개 연장되어 집진망(120)을 부착하게 할 수도 있고, 모터(160)의 안정적 결합을 위한 것이다. 이때 상기 프레임(130)의 중앙에는 모터축이 관통할 수 있는 통공이 천공될 수도 있다. 상기 통공을 관통하는 모터축은 또 집진망(120)의 중앙을 관통하여 집진망(120)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하는 브러쉬(140)에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술 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들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할 것이다.
100: 공조기용 집진장치
110: 테두리부
120: 집진망 130: 프레임
140: 브러쉬 141: 지지대
142: 보조지지대
150: 모헤어 160: 모터
A: 공조기

Claims (2)

  1. 사각형상의 테두리부와, 상기 테두리부의 내측에 형성되는 집진망과, 상기 집진망의 일측방향에 설치되는 모터와, 상기 집진망에 밀착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브러쉬로 이루어지는 공조기용 필터에 있어서,
    상기 브러쉬는 사각형상의 테두리부의 중간부에 형성되되 테두리부의 내측 가장 짧은 직경보다 더 짧게 형성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양단에는 플랙시블한 보조지지대가 지지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되 테두리부의 내측면에 닿으면 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지지대의 일측면에 모헤어가 형성되어 집진망의 일측면을 쓸어낼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KR1020180082312A 2018-07-16 2018-07-16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KR1019566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312A KR101956632B1 (ko) 2018-07-16 2018-07-16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2312A KR101956632B1 (ko) 2018-07-16 2018-07-16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632B1 true KR101956632B1 (ko) 2019-03-11

Family

ID=65758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2312A KR101956632B1 (ko) 2018-07-16 2018-07-16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6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89121A (zh) * 2020-04-20 2020-07-10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隔离病房新风除尘净化装置
KR20210008756A (ko) 2019-07-15 2021-01-25 허욱 열회수기가 구비되고, 헤파필터가 다층으로 탑재된 공조기
US20210310671A1 (en) * 2020-04-06 2021-10-07 Tae Yeon Won Window-mounted smart air purifier
CN113790494A (zh) * 2021-10-28 2021-12-14 赵绪华 一种绿色建筑的通风节能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64B1 (ko) * 2007-11-19 2010-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정화장치
KR20110123356A (ko) * 2010-05-07 2011-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1227515B1 (ko) * 2010-09-02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
KR101573192B1 (ko) * 2014-05-30 2015-12-01 주식회사 유진로봇 주행 및 청소 능력이 향상된 청소 로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6764B1 (ko) * 2007-11-19 2010-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 정화장치
KR20110123356A (ko) * 2010-05-07 2011-1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KR101227515B1 (ko) * 2010-09-02 2013-01-31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장치
KR101573192B1 (ko) * 2014-05-30 2015-12-01 주식회사 유진로봇 주행 및 청소 능력이 향상된 청소 로봇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8756A (ko) 2019-07-15 2021-01-25 허욱 열회수기가 구비되고, 헤파필터가 다층으로 탑재된 공조기
US20210310671A1 (en) * 2020-04-06 2021-10-07 Tae Yeon Won Window-mounted smart air purifier
US11913652B2 (en) * 2020-04-06 2024-02-27 Tae Yeon Won Window-mounted smart air purifier
CN111389121A (zh) * 2020-04-20 2020-07-10 郑州大学第一附属医院 一种隔离病房新风除尘净化装置
CN113790494A (zh) * 2021-10-28 2021-12-14 赵绪华 一种绿色建筑的通风节能系统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255B1 (ko) 먼지 제거가 가능한 필터 구조
KR101956632B1 (ko) 사각지대의 먼지 제거가 가능한 공조기용 필터
US11433345B2 (en) Air-conditioning device having dust removing function
JP6208130B2 (ja) 空気濾過および空気浄化装置
KR102034300B1 (ko) 공기 조화기 및 그 제어 방법
JPH1114093A (ja) 空気調和機
JPH11226331A (ja) 空気調和装置の室内機
KR20000063929A (ko) 전기집진기를 포함한 전열교환형 환기장치
JP6426987B2 (ja) 空気調和機
US20220088519A1 (en) Air purifier
WO2017043104A1 (ja) 除加湿装置
JP6498365B1 (ja) 集塵デバイスおよび集塵デバイスを搭載した空気調和機
KR102584609B1 (ko) 공기조화기
KR101843132B1 (ko) 공기 흡입에 의한 자전식 집진장치
JP2010063947A (ja) 空気清浄機
JP2015129595A (ja) 空気調和機
CN213955580U (zh) 一种除尘装置、换热器及空调器
CN212930254U (zh) 天花嵌入式空调室内机和空调器
JP6120981B2 (ja) 空気調和機
KR100556313B1 (ko) 환기시스템
JP2011149653A (ja) 送風装置
KR200211988Y1 (ko) 천장형 항온 항습기
JP2017211142A (ja) 空気調和機
JPWO2018016059A1 (ja) 空気清浄機および空気調和機
CN112413811A (zh) 一种除尘装置、换热器、空调器及空调换热器的除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