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521B1 -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521B1
KR101956521B1 KR1020187002767A KR20187002767A KR101956521B1 KR 101956521 B1 KR101956521 B1 KR 101956521B1 KR 1020187002767 A KR1020187002767 A KR 1020187002767A KR 20187002767 A KR20187002767 A KR 20187002767A KR 101956521 B1 KR101956521 B1 KR 1019565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wl
door
guide groove
mounting bracket
width dir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2913A (ko
Inventor
나츠키 츠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0229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29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5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5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30Constructional features of doors or g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3/00Doors, gates, or other apparatus controlling access to, or exit from, cages or lift well landings
    • B66B13/02Door or gate operation
    • B66B13/06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 B66B13/08Door or gate operation of sliding doors guided for horizontal mov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RELATING TO HINGES OR OTHE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AND 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AND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4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elevators

Abstract

안내 홈 내의 일방의 측면에 맞닿아 걸리는 제1 폴과, 문의 다리의 변형에 의해서 안내 홈 내의 타방의 측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소성 변형하여 걸리는 제2 폴인 2개의 다른 빠짐 방지 효과를 나타내는 폴에 의해, 관련된 하중을 분산하여 받아 들임으로써, 빠짐 방지 장치가 안내 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문의 다리의 폭방향의 편측 또는 양측에 돌출하여 마련되고, 문의 다리에 연동하여 안내 홈 내를 폭방향으로 슬라이드함과 아울러 문의 다리의 변형에 따라서 각각 독립하여 변형 가능한 복수의 폴로서, 미닫이가 폭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부터 밀어졌을 때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 통상 위치로부터 변위하여 안내 홈 내의 일방의 측면에 맞닿아 걸리는 제1 폴과, 문의 다리의 변형에 의해서 안내 홈 내의 타방의 측면에 맞닿음과 아울러 소성 변형하여 걸리는 제2 폴이 마련된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장치에 있어서, 충격에 의한 승강장 도어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장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도어 패널을 상부로부터 매달고, 하부에 문의 다리를 장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문의 다리를 문턱의 홈에 삽입함으로써, 도어 개폐시에 도어 패널을 스무스하게 안내할 뿐만 아니라, 도어 패널이 문턱의 홈으로부터 간단하게 빠지지 않도록 하고 있다.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은, 승강장으로부터 승강로 내로의 이용자의 전락(轉落) 방지를 위해, 또, 승강장측 기기와 엘리베이터측 기기가 간섭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약간의 충격 등에 의해서는 간단하게 빠지지 않도록 설치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승강장에서는 대차(台車) 부딪힘이나 걷어참 등, 통상의 사용에 비해 큰 하중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만일, 승강장 패널이 빠져 버렸을 때에는, 이용자 및 엘리베이터 기기는 매우 위험한 상태에 빠지게 되어 버린다. 그래서,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패널의 빠짐을 방지하는 방법으로서, 문의 다리의 하단에 안내 홈의 단차에 걸기 위한 돌기를 마련하는 구성이나, 안내 홈에 L자형으로 변형 가능한 빠짐 방지 장치를 마련하는 구성(특허 문헌 1)이 있다.
특허 문헌 1 : 일본특허공개 소58-17081
이러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에서, 승강장측으로부터 대차(台車) 부딪힘이나 걷어참 등, 통상의 사용에 비해 큰 하중이 작용하여 도어 패널이 밀린 경우, 빠짐 방지 장치가 마련되어 있어도, 큰 하중에 견디지 못하고 변형해 버려, 안내 홈으로부터 빠져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또, 1개의 빠짐 방지 장치가 이러한 큰 하중 전부를 받아 들이는 구성 때문에 관련된 하중은 분산되지 않고 1개소에 집중되어 있었다. 그래서, 이러한 하중에 대해서 빠짐 방지 장치가 견딜 수 있도록 하려면, 빠짐 방지 장치의 강도를 높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빠짐 방지 장치의 강도를 높게 하기 위해서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으면 안되며, 이것에 의해 코스트 업(cost up)이 발생해 버린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된 것이며, 승강장측으로부터 대차(台車) 부딪힘이나 걷어참 등, 통상의 사용에 비해 큰 하중이 작용하여 도어 패널이 밀린 경우, 빠짐 방지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또한 최소한의 코스트 업(cost up)으로 슬라이딩 부재가 안내 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상부로부터 매달려져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폭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미닫이와, 미닫이의 하부를 따라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이 형성된 문턱과, 미닫이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는 장착 브라켓과, 장착 브라켓의 하단에 장착되고, 미닫이의 개폐에 맞추어 안내 홈 내를 폭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장착 브라켓의 상부에서 폭방향의 편측 또는 양측에 돌출하여 마련되고, 승강장측으로부터 미닫이에 대해서 밀어졌을 때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 변형하는 장착 브라켓과 함께 변위하여, 안내 홈 내의 일방의 측면에 맞닿아 걸리는 제1 폴과, 슬라이딩 부재가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의 하단에서 폭방향의 편측 또는 양측에 돌출하여 마련되고,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 폴과 반대 방향으로 변위했을 때, 안내홈의 폭방향으로 확장하도록 변형하여, 안내 홈 내의 타방의 측면에 맞닿아 걸리는 제2 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승강장측으로부터 대차(台車) 부딪힘이나 걷어참 등, 통상의 사용에 비해 큰 하중이 도어 패널에 작용한 경우, 변형하는 장착 브라켓과 함께 변위하여 안내 홈 내의 일방의 측면에 맞닿아 걸리는 제1 폴과, 슬라이딩 부재가 제1 폴과 반대 방향으로 변위했을 때, 안내 홈의 폭방향으로 확장하도록 변형하여 걸리는 제2 폴이, 안내 홈 내의 양쪽 모두의 측면에 걸려, 관련된 하중을 받아 들임으로써, 빠짐 방지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또한 최소한의 코스트 업으로 슬라이딩 부재가 안내 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전체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1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2의 측면도(우측)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2의 단면 A를 나타내는 단면도(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2의 단면 B를 나타내는 단면도(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2의 단면 C를 나타내는 단면도(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2의 단면 D를 나타내는 단면도(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2의 동작(통상시)을 나타내는 단면도(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도 2의 동작(도어 하중 작용시)을 나타내는 단면도(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문의 다리)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제1 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제2 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도 14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도 16의 측면도이다.
실시 형태 1.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1에 의한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를 설명하는 것이며, 도 1은 도어 장치 전체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우측)이다. 도 4는 도 2의 단면 A를 나타내는 단면도(측면도), 도 5는 도 2의 단면 B를 나타내는 단면도(측면도), 도 6은 도 2의 단면 C를 나타내는 단면도(측면도), 도 7은 도 2의 단면 D를 나타내는 단면도(측면도)이다. 도 8은 도 2의 동작(통상시)을 나타내는 단면도(측면도), 도 9는 도 2의 동작(도어 하중 작용시)을 나타내는 단면도(측면도)이다. 또,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기기로서 문 폐쇄 장치, 도어 모터 등은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면에서, 도어 장치(1)는 승강장(도시하지 않음) 또는 엘리베이터 칸(도시하지 않음)에 마련되고, 수평 방향으로 긴 레일(2), 레일(2) 상을 수평 방향으로 구르는 롤러(4)를 가지는 행거(3)를 가지고 있다. 도어 패널(5)은 행거(3)에 고정되어 매달려져 있으며, 도어 패널(5)의 하부에는 수평 방향의 안내 홈의 측면(6b), 측면(6c)을 가지는 문턱(6)이 마련되어 있다. 도어 패널(5)의 하단에는 문의 다리(7)가 마련되고, 문의 다리(7)는 안내 홈(6a)에 삽입되어 있으며, 도어 패널(5)은 안내 홈(6a)을 따라서 폭방향으로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미닫이이다.
단면 A에서, 문의 다리(7)는, 상부에 장착 브라켓(7a)이 마련되고, 도어 패널(5)의 하단부에 볼트 등의 체결 요소(8)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장착 브라켓 (7a)의 하단에는 완충·슬라이딩 부재(7b)가 장착되고, 안내 홈(6a)에 삽입되어 있으며, 도어 패널(5)의 개폐와 함께 안내 홈(6a) 내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도어 패널(5)이 스무스하게 개폐하도록 개폐 동작을 서포트하고 있다. 장착 브라켓(7a)의 폭방향의 상부 양측에는 제1 폴(7c)이, 완충·슬라이딩 부재(7b)가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7a)의 하부 양측에는 제2 폴(7d)이 각각 돌출하여 마련되고, 완충·슬라이딩 부재(7b)와 함께 안내 홈(6a)에 삽입되어 있다. 장착 브라켓(7a)과 제1 폴(7c)과 제2 폴(7d)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제1 폴(7c)과 제2 폴(7d)과의 사이에는 노치 홈(9)이 마련되는 것에 의해, 단면 B로부터 보아, 제1 폴(7c)과 제2 폴(7d)은 각각 독립하여 형성되어 있으며, 각각 다른 형상의 벤딩 가공이 실시되어 있다.
단면 C에서, 제1 폴(7c)은 하단이 L자 모양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다. 제1 폴(7c)은, 통상시는 완충·슬라이딩 부재(7b)와 함께 안내 홈(6a)에 삽입되어 있으며, 안내 홈(6a) 내의 엘리베이터 칸측의 측면(6b), 승강장측의 측면(6c)에 맞닿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제1 폴(7c)은, 장착 브라켓(7a)이 변형했을 때, 하단부가 안내 홈(6a) 내의 측면(6b), 측면(6c)에 맞닿아 걸리는 범위의 높이에 들어가도록 미리 조정되어 있다.
단면 D에서, 제2 폴(7d)은 장착 브라켓(7a)에 고정되는 수직부(7e)와, 수직부(7e)의 하단에 마련되는 제1 굽힘부(7f)에서 상부로 접혀, 추가로 제2 굽힘부(7g)에서 く자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있으며, 제1 굽힘부(7f)의 접힘 부분이 이루는 각은 예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또, 수직부(7e)와, 제1 굽힘부(7f)와 제2 굽힘부(7g) 사이에 끼워지는 면과, 제2 굽힘부(7g)와 선단부(7h) 사이에 끼워지는 면인 3개의 면에 의해 둘러싸여진 부분에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공간이 형성되도록 제1 굽힘부(7f)와 제2 굽힘부(7g)가 각각 이루는 각의 각도가 설정되어 있다. 이 공간은 제2 폴(7d)에 대해서 수직 방향으로 압축 하중이 작용했을 때, 미리 마련된 굽힘부(7f, 7g)에 응력 집중시켜, 소성 변형을 일으키기 쉽게 함과 아울러, 소성 변형한 후의 제2 폴(7d)에서의 안내 홈(6a)의 폭방향의 길이가 용이하게 확장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선단부(7h)는, 도어 패널(5)의 하단부에 맞닿고 있다. 제1 굽힘부(7f)와 제2 굽힘부(7g)는, 통상시는 완충·슬라이딩 부재(7b)와 함께 안내 홈(6a)에 삽입되어 있으며, 안내 홈(6a) 내의 측면(6b), 측면(6c)에 맞닿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제2 굽힘부(7g)는, 장착 브라켓(7a)이 변형함으로써, 완충·슬라이딩 부재(7b)가 제1 폴(7c)과 반대 방향으로 변위했을 때, 안내 홈(6a) 내의 측면(6b), 측면(6c)에 맞닿음과 아울러 소성 변형하여 걸리도록 미리 조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에서, 통상시, 즉 도어 패널(5)에 폭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부터의 하중이 작용하고 있지 않는 경우, 제1 폴(7c)과 제2 폴(7d)은, 도어 패널(5)의 개폐에 연동하여, 안내 홈(6a) 내를 완충·슬라이딩 부재(7b)와 함께 슬라이드한다. 이 때, 제1 폴(7c)과 제2 폴(7d)은, 안내 홈(6a) 내의 측면에 맞닿아 있지 않기 때문에, 완충·슬라이딩 부재(7b)의 이동을 방해하지는 않는다.
도 9에서, 도어 패널(5)이 승강장측으로부터 밀려, 문의 다리(7)에 하중(10b)이 작용하는 경우, 문의 다리(7)는, 완충·슬라이딩 부재(7b)가 안내 홈(6a)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안내 홈(6a)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 대략 수직 방향으로는 움직일 수 없다. 그 때문에, 장착 브라켓(7a)을 엘리베이터 칸측으로 압압하는 방향으로 하중(10b)이 작용한다. 장착 브라켓(7a)의 상부는 엘리베이터 칸측으로 압압됨으로써, 엘리베이터 칸측으로 기울어져 소성 변형된다. 장착 브라켓(7a)의 변형에 따라서 제1 폴(7c)의 상부는 엘리베이터 칸측으로 이동하는 것에 의해, 하부는 동시에 안내 홈(6a) 내의 측면(6b)에 밀어 붙여진다. 이 때, 제1 폴(7c)의 하단의 L자 모양으로 구부러진 부분이 안내 홈(6a) 내의 측면(6b)에 걸려, 완충·슬라이딩 부재(7b)가 안내 홈(6a)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다음으로, 도어 패널(5)의 승강장측으로부터 밀려, 문의 다리(7)에 소정의 크기 이상의 하중(10b)이 작용하는 경우, 즉, 제1 폴(7c)만에 의해서는 하중(10b)을 흡수할 수 없는 경우이다. 도어 패널(5)에 하중(10b)이 작용하면, 장착 브라켓(7a)에는 하중(10b)이 작용하여, 제1 폴(7c)이 안내 홈(6a) 내의 측면(6b)으로 밀어 붙여진다. 여기서, 제1 폴(7c)에는 하중(10b)이 작용하지만, 하중(10b)이 소정 이상의 크기이기 때문에, 제1 폴(7c)만에 의해서는 하중(10b)은 흡수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장착 브라켓(7a)에 하중(10b)이 더 작용하면, 장착 브라켓(7a)의 상부는 엘리베이터 칸측으로 기울어져 소성 변형을 개시함과 아울러 제2 폴(7d)의 상부도 엘리베이터 칸측으로 기울어져 간다. 제2 폴(7d)의 상부가 엘리베이터 칸측으로 기울어져 변형하면, 수직부(7e)의 상부도 엘리베이터 칸측으로 기울어짐이 생기는 한편으로, 수직부(7e)의 하부, 즉, 제1 굽힘부(7f)는 승강장측을 향하여 상부 방향으로 기울어짐이 생긴다. 이 기울어짐에 의해서 제1 굽힘부(7f)가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려지기 때문에, 제2 굽힘부(7g)도 상부 방향으로 들어 올려져, 선단부(7h)를 상부 방향으로 변위시키는 압압력이 작용한다. 여기서 선단부(7h)는 도어 패널(5)의 하단부에 맞닿아 있기 때문에, 그 위치보다 상부로 변위할 수 없으므로, 이 하중은 제1 굽힘부(7f), 제2 굽힘부(7g)측을 수직 방향으로 압축하는 압축력으로서 작용한다. 이 압축력이 제1 굽힘부(7f), 제2 굽힘부(7g)측에 작용하면, 제2 폴(7d)에서 수직 방향의 좌굴(座屈)이 발생한다. 이 좌굴에 의해, 제1 굽힘부(7f)가 이루는 각(角)의 각도는 크게 되고, 제2 굽힘부(7g)가 이루는 각의 각도는 작게 됨으로써, 제2 폴(7d)의 안내 홈(6a)의 폭방향의 길이는 확장된다. 즉, 제2 폴(7d)의 수직 방향의 좌굴에 의해, 제2 굽힘부(7g)가 안내 홈(6a)의 측면(6c)에 밀어 붙여지는 압압력이 커진다. 이것에 의해, 도어 패널(5)에 하중(10b)이 작용하고, 장착 브라켓(7a)에 하중(10b)이 작용하여 소성 변형함과 아울러, 제1 폴(7c)이 안내 홈(6a) 내의 측면(6b)에 밀어 붙여져도 하중(10b)이 흡수되지 않고, 또한 장착 브라켓(7a)에 하중이 작용한 경우, 제2 폴(7d)이 안내 홈(6a) 내의 측면(6c)에 걸려 완충·슬라이딩 부재(7b)가 다리(5)가 안내 홈(6a)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 형태 1에 의하면, 상부로부터 매달려져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폭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미닫이인 도어 패널(5)과, 도어 패널(5)의 하부를 따라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6a)이 형성된 문턱(6)과, 도어 패널(5)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는 장착 브라켓(7a)과, 장착 브라켓(7a)의 하단에 장착되고, 도어 패널(5)의 개폐에 맞추어 안내 홈(6a) 내를 폭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완충·슬라이딩 부재(7b)와, 장착 브라켓(7a)의 상부에서 폭방향의 양측에 돌출하여 마련되고, 승강장으로부터 도어 패널(5)에 대해서 밀어졌을 때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 변위하는 장착 브라켓(7a)과 함께 변위하여, 안내 홈(6a) 내의 일방의 측면(6b)에 맞닿아 걸리는 제1 폴(7c)과, 완충·슬라이딩 부재(7b)가 장착되는 장착 브라켓(7a)의 하부에서 폭방향의 양측에 돌출하여 마련되고, 완충·슬라이딩 부재(7b)가 제1 폴(7c)과 반대 방향으로 변위했을 때, 안내 홈(6a)의 폭방향으로 확장하도록 변형하여, 안내 홈(6a) 내의 측면(6c)에 맞닿아 걸리는 제2 폴(7d)을 구비한 것에 의해, 승강장측으로부터 대차(台車) 부딪힘이나 걷어참 등, 통상의 사용에 비해 큰 하중이 작용하여 도어 패널이 밀어진 경우, 제1 폴(7c)이 안내 홈(6a)에 맞닿아 걸린다. 또한 완충·슬라이딩 부재(7b)가 안내 홈(6a) 내로부터 빠지는 방향(제1 폴(7c)과 반대 방향)으로 변위한 경우, 제2 폴(7d)은 완충·슬라이딩 부재(7b)의 변위에 의해서 안내 홈(6a)의 폭방향으로 확장하도록 소성 변형하여, 안내 홈(6a) 내의 측면(6c)에 맞닿아 걸린다. 또 제1 폴(7c)과, 제2 폴(7d)을 문의 다리(7)와 일체화하여 형성함으로써, 빠짐 방지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또한 최소한의 코스트 업으로, 완충·슬라이딩 부재(7b)가 안내 홈(6a)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 형태 2.
도 10~17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설명하는 것이고, 도 10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문의 다리)이며, 도 11은 도 10의 측면도이다. 도 12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제1 폴)이며, 도 13은 도 12의 측면도이다. 도 14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제2 폴)이며, 도 15는 도 14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의 요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며, 도 17은 도 16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 2에 의한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는, 문의 다리(11)의 폭방향의 양측에 제1 폴(12b)과 제2 폴(13b) 모두 별체로 형성되는 것이 다르고, 그것 이외의 동일 부분에 동일 기호를 부기하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면에서, 문의 다리(11)의 폭방향의 양측에 제1 폴(12b)과 제2 폴(13b) 모두 별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서, 문의 다리(11)는, 상부에 장착 브라켓(11a)이 마련되고, 도어 패널(5)의 하단부에 볼트 등의 체결 요소(14)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하부에는 완충·슬라이딩 부재(11b)가 마련되고, 안내 홈(6a)에 삽입되어 있으며, 도어 패널(5)의 개폐와 함께 안내 홈(6a) 내를 슬라이드시킴으로써, 도어 패널(5)이 스무스하게 개폐하도록 개폐 동작을 서포트하고 있다. 또, 문의 다리(11)는 제1 폴 또는 제2 폴을 구비하고 있지 않으며, 종래 기술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12~도 15에서, 장착 브라켓(12a)의 양측에 돌출하여 제1 폴(12b)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1 폴(12b)은, 실시 형태 1의 제1 폴(7c)과 동일한 구성이다. 장착 브라켓(13a)의 양측에 돌출하여 제2 폴(13b)이 마련되어 있으며, 제2 폴(13b)은, 실시 형태 1의 제2 폴(7d)과 동일한 구성이다.
도 16~도 17에서, 문의 다리(11)의 엘리베이터 칸측의 측면에 장착 브라켓(12a)이 마련되고, 승강장측의 측면에 장착 브라켓(13a)이 마련되며, 각각 체결 요소(14)에 의해서 고정되어 있다. 즉, 문의 다리(11)는 엘리베이터 칸측에 마련된 장착 브라켓(12a)과 승강장측에 마련된 장착 브라켓(13a)에 의해서 양측 사이에 끼워져 도어 패널(5)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 형태 2의 동작에 대해서는, 실시 형태 1에서의 동작과 동일하기 때문에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실시 형태 2에 의하면, 문의 다리(11)의 폭방향의 양측에 제1 폴(12b)과 제2 폴(13b)이 모두 별체로 형성되는 것에 의해, 종래 기술에서 구성된 문의 다리(11)의 구조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 제1 폴(12b)과 제2 폴(13b)을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며, 또, 이미 가동중인 엘리베이터에서의 문의 다리(11)에 대해서도 그 구조를 거의 변경하지 않고 용이하게 장착 가능하다. 이것에 의해, 신설 및 기설(旣設)의 도어 장치에서, 빠짐 방지 장치를 대형화하지 않고, 또한 최소한의 코스트 업으로 완충·슬라이딩 부재(7b)가 안내 홈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를 실현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엘리베이터의 승강장 도어 장치에 있어서, 충격에 의한 승강장 도어의 빠짐을 방지할 수 있는 승강장 도어 장치에 관한 것이다.
1 : 도어 장치 2 : 레일
3 : 행거 4 : 롤러
5 : 도어 패널 6 : 문턱
6a : 안내 홈 7, 11 : 문의 다리
7a, 12a, 13a : 장착 브라켓 7b : 완충·슬라이딩 부재
7c, 12b : 제1 폴 7d, 13b : 제2 폴
7e : 수직부 7f : 제1 굽힘부
7g : 제2 굽힘부 7h : 선단부
8, 14 : 체결 요소 9 : 노치 홈
10a, 10b : 하중

Claims (5)

  1. 상부로부터 매달려져 엘리베이터의 출입구를 폭방향으로 수평으로 이동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폐하는 미닫이와,
    상기 미닫이의 하부를 따라서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안내 홈이 형성된 문턱과,
    상기 미닫이의 하단으로부터 하부로 돌출하는 장착 브라켓과,
    상기 장착 브라켓의 하단에 장착되고, 상기 미닫이의 개폐에 맞추어 상기 안내 홈 내를 폭방향으로 슬라이드하는 슬라이딩 부재와,
    상기 장착 브라켓의 상부에서 상기 폭방향의 편측 또는 양측에 돌출하여 마련되고, 승강장으로부터 상기 미닫이에 대해서 밀어졌을 때 작용하는 하중에 의해서 변형하는 상기 장착 브라켓과 함께 변위하여, 상기 안내 홈 내의 일방의 측면에 맞닿아 걸리는 제1 폴과,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장착되는 상기 장착 브라켓의 하부에서 상기 폭방향의 편측 또는 양측에 돌출하여 마련되고, 상기 슬라이딩 부재가 상기 제1 폴과 반대 방향으로 변위했을 때, 상기 안내 홈의 폭방향으로 확장하도록 변형하여, 상기 안내 홈 내의 타방의 측면에 맞닿아 걸리는 제2 폴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폴은, 상기 안내 홈의 폭방향으로 확장하도록 변형할 때, 좌굴(座屈)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 폴은 하단이 L자 굽힘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2 폴은 하단으로부터 접히고, く자(字) 굽힘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도어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187002767A 2015-07-13 2015-07-13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KR1019565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JP2015/069999 WO2017009919A1 (ja) 2015-07-13 2015-07-13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2913A KR20180022913A (ko) 2018-03-06
KR101956521B1 true KR101956521B1 (ko) 2019-03-08

Family

ID=57757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767A KR101956521B1 (ko) 2015-07-13 2015-07-13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6179694B2 (ko)
KR (1) KR101956521B1 (ko)
CN (1) CN107835783B (ko)
DE (1) DE112015006709B4 (ko)
WO (1) WO201700991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88690A (ja) 2009-10-20 2011-05-06 Toshiba Elevator Co Ltd 乗場ドア装置
JP2011520737A (ja) 2008-06-10 2011-07-21 韓国三菱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防止構造
JP2013507304A (ja) 2009-10-09 2013-03-04 ウイッツァー エス.ピー.エー. リフト又はエレベータのドアの可動板の脱線防止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75834A (en) * 1977-11-30 1979-06-18 Hitachi Ltd Door
JPS5817081A (ja) 1981-07-17 1983-02-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レベ−タ用緩衝器取付装置
CN203333121U (zh) * 2013-07-12 2013-12-11 上海贝思特门机有限公司 一种防脱地坎组件
CN203682839U (zh) * 2014-01-24 2014-07-02 苏州德奥电梯有限公司 防止电梯门脱轨的门滑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20737A (ja) 2008-06-10 2011-07-21 韓国三菱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防止構造
JP2013507304A (ja) 2009-10-09 2013-03-04 ウイッツァー エス.ピー.エー. リフト又はエレベータのドアの可動板の脱線防止装置
JP2011088690A (ja) 2009-10-20 2011-05-06 Toshiba Elevator Co Ltd 乗場ドア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835783A (zh) 2018-03-23
JP6179694B2 (ja) 2017-08-16
CN107835783B (zh) 2020-05-22
KR20180022913A (ko) 2018-03-06
WO2017009919A1 (ja) 2017-01-19
DE112015006709T5 (de) 2018-04-05
DE112015006709B4 (de) 2022-02-03
JPWO2017009919A1 (ja) 2017-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94790B2 (ja) 跳上げ防止具を備えた引込み装置付吊戸
JP5518849B2 (ja) エレベータの乗場ドア離脱防止構造
US9050908B2 (en) Longitudinal rail guide
CN209862695U (zh) 能扩宽的桌
KR20170012354A (ko) 엘리베이터의 문턱
US10781855B2 (en) Slide rail assembly
JP6030209B1 (ja) エレベータ装置
KR101956521B1 (ko) 엘리베이터의 도어 장치
KR101887644B1 (ko)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JP2009242039A (ja) エレベーター装置及びその出入口装置
TW201502352A (zh) 防墜落推開窗型材及其構成的防墜窗
KR100880570B1 (ko) 이탈방지 기능을 갖는 엘리베이터 승강장도어장치
KR200443973Y1 (ko) 승강기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200457792Y1 (ko) 엘리베이터 승강장 도어의 이탈방지장치
KR102302094B1 (ko) 개폐 장치
KR101806017B1 (ko) 승강기도어 이탈방지장치
KR200482009Y1 (ko) 엘리베이터의 승강장도어 상부이탈방지장치
JP6026633B1 (ja) エレベータ装置
JP6271652B2 (ja) エレベータ装置
CN108883689B (zh) 具有能够相对于车身移位的车辆部件的机动车
KR20100093841A (ko) 엘리베이터의 보조 안전도어 개폐장치
KR101748313B1 (ko) 엘리베이터용 도어 안전 개폐장치
KR101633051B1 (ko) 승강장 안전바
JP2013241233A (ja) エレベーターのドア装置
JP6026625B1 (ja) エレベー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