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644B1 -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 Google Patents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7644B1
KR101887644B1 KR1020180058066A KR20180058066A KR101887644B1 KR 101887644 B1 KR101887644 B1 KR 101887644B1 KR 1020180058066 A KR1020180058066 A KR 1020180058066A KR 20180058066 A KR20180058066 A KR 20180058066A KR 101887644 B1 KR101887644 B1 KR 1018876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main body
roller
safety gu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0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동우
유성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신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신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신테크
Priority to KR10201800580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76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7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7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15/581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the swinging axis laying in the sliding dir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2Doors specially adapted for stoves or rang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5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 E05D15/58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 E05D2015/58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with successive different movements with both swinging and sliding movements with travelling hinge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3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 E05Y2900/308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domestic appliances for ov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에 관한 것으로, 조리실의 개구부를 전면에 형성한 본체; 서로 대향되는 완충부재가 설치된 스토퍼를 전, 후방에 구비하여 본체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레일부의 하면에 안착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레일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서포트가이더를 구비하여 본체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서포터;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힌지부를 통해 도어서포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0 ~ 90°의 각으로 개폐되는 도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홀을 상측이 개구되도록 형성하여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안전가드; 상기 안전가드의 가이드홀에 대응되도록 도어의 내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힌지부와 인접한 부위에는 경사각 형성하여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도어의 슬라이드 진입을 가이드하는 유도부를 구성한 안전가드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The oven with safety sliding opening door}
본 발명은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작비용을 절감한 상태에서도 설치의 용이성과 안정성 및 편의성을 높여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와 도어서포터의 이중 안정장치를 통해 슬라이딩 동작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을 높여 장기간 사용에도 도어의 개방각도 제한에 오작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가 예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도 도어의 슬라이드 진입에 있어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이 멈출 때 발생하는 충격을 레일부 자체에서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오븐 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되는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에 관한 것이다.
오븐(oven)은 챔부 내부에 선반이 있어 요리 용기를 넣어 열풍 또는 증기(스팀)로 조리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오븐의 조리실에 요리를 넣거나 뺄 때에는,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는 것이 좋은데, 이는 도어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요리를 넣거나 뺄 경우, 조리실의 전방 일측에 놓이는 도어에 의한 간섭과 더불어, 화상을 입게 되는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도어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조리실 내의 이동성에 큰 방해를 받는 문제가 있어, 도어를 개방한 상태에서도 조리실에서의 이동에 영향을 주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되었으며, 이러한 기술은 일본 공개특허공보 h08-191765호인 "요리장비"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기술은 오븐의 도어를 본체의 측면에 수납할 수만 있었을 뿐, 슬라이딩 동작에서 오븐을 보호하는 구성이 기재되어 않아,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을 통한 완전개폐에 있어 파손에 우려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JP 특개 평 8-191765호 (1996.07.30) "요리장비" - 콘부오테루무 일렉트로 게임 레테 · 게제루시야후토 · 미토 · 베시유렌쿠테루 · 하후?구 KR 제10-1801072호 (2017.11.20) B1 "도어 완전 개방구조를 갖는 오븐" - 주식회사 동방포쎄 / 김현정
한편, 근래에 들어서는 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도어 완전 개방구조를 갖는 오븐"이 개발되었다.
하지만, 위 기술은 도어의 상부에 외측방향으로 돌출되는 힌지결합부분에 돌출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조리실에서의 안전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었을 뿐만 아니라, 도어에 형성되는 돌출부와 도어서포터에 형성되는 걸림부가 상부에만 얇은 두께로 곧게 형성된 것에 의해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있었으며, 이로 인해 장시간 사용시 도어의 개폐제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도어의 회전을 방지하는 가이드가 본체의 상면에 결합되는 결합부와, 도어의 상부를 감싸도록 결합부에서 연장형성되는 구속부와, 상기 구속부에 결합되어 도어에 접촉되는 미끄럼부재로 구성된 것에 의해, 도어가 가이드부에 진입한 상태에서는 회전방지를 이룰 수 있었으나, 도어가 90°즉, 직각이 아닌 예각으로 열린 상태에서는,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도어가 본체 또는 가이드에 충돌할 수 밖에 없어 파손이 발생할 우려가 높았으며,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어서포터를 잡아주는 구성이 없어 안전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었다.
아울러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구간을 제한하기 위한 구성이 본체에 측면에 형성되는 경계부재와, 도어서포터에 설치되어 경계부재와 충돌하는 충돌부재로 이루어진 것에 의해 장기간 반복 사용시, 상기 경계부재와 충돌부재가 부딪치는 충격에 의해 본체의 측면부가 파손될 우려가 높은 문제점도 지적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대각으로 배치되는 제1, 2롤러를 통해 도어의 하중점을 모두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수의 롤러를 배치하지 않고도 도어가 결합된 도어서포터의 슬라이드결합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1롤러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서포트가이더에 의해 도어서포터를 레일부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어 및 도어서포터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상측에 위치한 제1롤러의 파손 발생시에도 보조작동이 이루어지게 하여 안정성 및 편리성이 높아지는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측면에 구성되는 안전가드의 가이드홀에 도어의 내측면에 구성되는 안전가드레일이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도어의 좌,우 흔들림 및 이탈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서포트가이더의 좌측 하부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부를 본체와 레일부 사이에 끼워지도록하여 도어서포터의 좌,우 흔들림 및 이탈이 방지되게 함으로써, 도어와 도어서포터의 이중 안전장치를 통해 슬라이딩 동작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되는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어서포터의 상, 하부에 결합되는 제한부재에 각각 구성되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굽혀져 형성되는 한 쌍의 제한턱과, 도어의 상, 하부에 결합되는 걸림부재에 구성되어 제한턱에 맞닿는 한 쌍의 경사부를 통해 내구성을 높혀 파손을 예방함으로써 장기간 반복사용에도 도어의 개방각도 제한에 오작동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더불어 본 발명은 도어가 예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의 슬라이드 진입을 이룬다 하더라도, 안전가드레일에 형성된 유도부가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안전가드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가 90°의 각으로 완전개방되도록 하여 안전가드레일이 안전가드의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작동이 이루지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슬라이드 진입에 있어 파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을 제공하려는 목적이 있다.
더하여 본 발명은 완충부재가 결합되는 스토퍼를 레일부의 전, 후방에 서로 대향되게 구성시키는 것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이 정지되는 지점에서 제1, 2롤러가 완충부재가 맞닿게 함으로써, 도어 및 도어서포터에 의한 멈춤 충격을 레일부 자체에서 흡수하여 오븐 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조리실의 개구부를 전면에 형성한 본체; 서로 대향되는 완충부재가 설치된 스토퍼를 전, 후방에 구비하여 본체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 상기 레일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레일부의 하면에 안착되는 제2롤러와, 상기 제1롤러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레일부의 상면에 안착되는 서포트가이더를 구비하여 본체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서포터; 상기 본체의 개구부를 개폐하도록 힌지부를 통해 도어서포터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0 ~ 90°의 각으로 개폐되는 도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홀을 상측이 개구되도록 형성하여 본체의 측면에 결합되는 안전가드; 상기 안전가드의 가이드홀에 대응되도록 도어의 내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힌지부와 인접한 부위에는 경사각 형성하여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도어의 슬라이드 진입을 가이드하는 유도부를 구성한 안전가드레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은 대각으로 배치되는 제1, 2롤러를 통해 도어의 하중점을 모두 지지할 수 있으므로, 다수의 롤러를 배치하지 않고도 도어가 결합된 도어서포터의 슬라이드결합을 안정적으로 이룰 수 있어,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될 뿐만 아니라, 제1롤러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서포트가이더에 의해 도어서포터를 레일부에 안정적으로 안착시킬 수 있게 되므로 도어 및 도어서포터의 설치가 용이해지고, 상측에 위치한 제1롤러의 파손 발생시에도 보조작동이 이루어져 안정성 및 편리성이 높아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체의 측면에 구성되는 안전가드의 가이드홀에 도어의 내측면에 구성되는 안전가드레일이 끼워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도어의 슬라이드 이동시 상기 도어의 좌,우 흔들림 및 이탈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음과 더불어, 서포트가이더의 좌측 하부로 돌출되는 이탈방지돌부를 본체와 레일부 사이에 끼워지도록하여 도어서포터의 좌,우 흔들림 및 이탈이 방지되게 할 수 있으므로, 도어와 도어서포터의 이중 안전장치를 통해 슬라이딩 동작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되는 장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도어서포터의 상, 하부에 결합되는 제한부재에 각각 구성되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굽혀져 형성되는 한 쌍의 제한턱과, 도어의 상, 하부에 결합되는 걸림부재에 구성되어 제한턱에 맞닿는 한 쌍의 경사부에 의해 내구성이 높아져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장기간 반복사용에도 도어의 개방각도 제한에 오작동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은 도어가 예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의 슬라이드 진입을 이룬다 하더라도, 안전가드레일에 형성된 유도부가 본체의 전방으로 돌출된 안전가드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도어가 90°의 각으로 완전개방되어 안전가드레일이 안전가드의 가이드홀에 삽입되는 작동이 이루어지므로, 도어의 슬라이드 진입에 있어 파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더하여 본 발명은 완충부재가 결합되는 스토퍼를 레일부의 전, 후방에 서로 대향되게 구성시키는 것을 통해, 슬라이드 이동이 정지되는 지점에서 제1, 2롤러가 완충부재가 맞닿게 할 수 있으므로, 도어 및 도어서포터에 의한 멈춤 충격을 레일부 자체에서 흡수할 수 있게 되어 오븐 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의 도어가 90°의 각으로 개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레일부를 분리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서포터의 이동시 제2롤러가 레일부에 구성된 스토퍼의 완충부재에 부딪쳐 충격이 완화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레일부와 안전가드가 보이도록 도어서포터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부분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도어서포터가 레일부에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확대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도어를 도어서포트에서 분리하여 도시한 부분 분해사시도.
도 8는 도 7의 B부분 확대도.
도 9는 예각으로 개방된 도어의 슬라이드 진입시, 도어가 90°의 각으로 완전개방되면서 슬라이드 이동되는 작동상태도.
도 10은 도 9의 C부분 확대도.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500)에 관한 것으로, 조리실의 개구부(11)를 전면에 형성한 본체(10); 서로 대향되는 완충부재(240)가 설치된 스토퍼(230)를 전, 후방에 구비하여 본체(1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20); 상기 레일부(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롤러(31)와, 상기 제1롤러(31)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레일부(20)의 하면에 안착되는 제2롤러(32)와, 상기 제1롤러(32)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레일부(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서포트가이더(35)를 구비하여 본체(1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서포터(30);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도록 힌지부(400)를 통해 도어서포터(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0 ~ 90°의 각으로 개폐되는 도어;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홀(51)을 상측이 개구되도록 형성하여 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되는 안전가드(50); 상기 안전가드(50)의 가이드홀(51)에 대응되도록 도어(40)의 내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힌지부(400)와 인접한 부위에는 경사각(α)을 형성하여 도어(40)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도어(40)의 슬라이드 진입을 가이드하는 유도부(61)를 구성한 안전가드레일(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체(10)와, 레일부(20)와, 도어서포터(30)와, 도어(40)와, 안전가드(50)와, 안전가드레일(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본 발명의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50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첫째, 본체(10)는 도 1 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10)의 회동조작을 통해 개폐되는 조리실의 개구부(11)를 전면에 형성하는 구성으로, 종래에 공지된 바와 같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둘째, 레일부(20)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서포터(30)를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도록 본체(1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성으로, 도어서포터(30)를 전, 후방향으로 안전하게 이동배치하기 위한 구성으로, 2개 이상의 복수로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레일부(20)에는 도어서포터(30)의 슬라이드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230)가 양단 즉, 레일부(20)의 전, 후방에 서로 대향되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때 각각의 스토퍼(230)에는 충격흡수를 위한 완충부재(240)가 서로 대향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레일부(20)는 통상의 볼트결합 등을 통해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수평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길게 결합되는 롤러가이드브라켓(210)과, 상기 롤러가이드브라켓(21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결합되는 롤러가이드레일(220)을 구성하는데, 여기서 상기 롤러가이드브라켓(210)은 안전가드(50)의 설치 및 제1, 2롤러(31, 32)의 동작을 위한 공간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통상의 판금물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공간 확보를 할 수 있게 하는 구성이라면, 이 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가공부품으로 적용하여 본체에 돌출되게 고정시킬 수도 있을 것이다.
아울러 상기 롤러가이드레일(220)의 전, 후방 일측면에는 제1안착턱(222)이 각각 구성되는데, 상기 제1안착턱(222)에는 스토퍼(230)를 결합하기 위한 제1결합홀(221)이 형성되고, 롤러가이드레일(220)의 상, 하부에는 제1롤러(31)와 서포트가이더(35)가 안착되는 상측레일(223) 및 제2롤러(32)가 안착되는 하측레일(224)이 롤러가이드브라켓(210)의 상, 하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본체(10)와 롤러가이드레일(220)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더불어 상기 레일부(20)에는 상술한 바와 같이 롤러가이드레일(220)의 제1결합홀(221)에 결합되어 제1안착턱(222)에 안착되는 한 쌍의 스토퍼(230)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스토퍼(230)는 롤러가이드레일(220)의 제1결합홀(221)에 대응되는 제2결합홀(231)과 제1안착턱(222)에 대응되는 제2안착턱(232)을 형성하여 롤러가이드레일(220)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토퍼(230)에 결합되는 완충부재(240)와 도어서포터(30)에 결합되는 제1, 2롤러(31, 32)가 동일선상에 위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완충부재(240)는 공지된 통상의 볼트결합 등을 통해 한 쌍의 스토퍼(230)에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어, 도어서포터(30)의 슬라이드 이동시 제1, 2롤러(31, 32)가 부딪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쿠션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제1, 2롤러(31, 32)와 동일선상에 위치될 수 있도록 롤러가이드레일(220)이 끼워지는 제3안착턱(241)을 좌측면에 형성함으로써 롤러가이드레일(220) 및 스토퍼(230)와 동일선상에 배치된다.
셋째, 도어서포터(30)는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부(20)에 슬라이드결합되어 본체(10)의 측면에 수평방향 즉,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구성으로, 레일부(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롤러(31)와, 상기 제1롤러(31)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레일부(20)의 하면에 안착되는 제2롤러(32)가 대각으로 배치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도어(40)의 하중점 만을 지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여기서 상기 제1, 2롤러(31, 32)는 통상의 축을 이용한 볼트 및 너트결합을 통해 도어서포터(30)의 일측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제1롤러(31)의 후방에는 도어서포터(30)의 안정적인 장착을 통해 설치의 용이성을 높일 수 있음은 물론, 제1롤러(31)의 파손 발생시 보조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서포트가이더(35)가 레일부(20)의 상면 즉, 상측레일(223)에 안착되도록 더 포함되어 구성되며, 상기 서포트가이더(35)는 제1, 2롤러(31, 32)와 마찬가지로 통상의 축을 이용한 볼트 및 너트 결합을 통헤 도어서포터의 일측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고가인 롤러의 사용을 줄임으로써 제작비용을 절감한 상태에서도 설치의 용이성과 안정성 및 편의성을 높여 제작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어서포터(30)에 결합구성된 서포트가이더(35)의 좌측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본체(10)와 롤러가이드레일(220)의 상측레일(223) 사이 공간에 끼워지는 이탈방지돌부(3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같은 이탈방지지돌부(34)에 의하면, 슬라이드 이동시 도어서포터(30)의 좌,우 흔들림 및 이탈이 방지되게 되어 슬라이딩 동작의 안정성이 높아지게 되는 장점을 가지게 되며, 원활한 작동을 위하여 상기 서포트가이더(35)는 마찰력이 적고 기계적 특성이 뛰어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넷째, 도어(40)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도록 도어서포터(30)에 힌지결합되는 구성으로, 힌지부(400)를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0 ~ 90°의 각으로 개폐된다.
이와 같은 도어(40)의 개방 각도 제한을 위하여 상기 힌지부(400)는, 제한부재(410)와, 힌지축(420)과, 걸림부재(430)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여기서 상기 제한부재(410)는 도어(40)가 90°의 각 이상 즉, 둔각으로 열리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 중 하나로, 상기 도어서포터(3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한 쌍의 돌출부(411)와, 한 쌍의 돌출부(411)의 전방에 일체로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방향 즉, 상, 하방향으로 굽혀져 형성됨으로써 내구성을 갖는 제한턱(412)으로 구성된다.
또한, 힌지축은(420)은 도어(40)를 회동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하여 제한부재의 돌출턱에 고정결합되는 구성으로, 상부가 통상의 볼트결합 등을 통해 도어서포터(30)의 전방으로 돌출된 제한부재(410)의 돌출부(11)에 고결합되어 설치되며, 도어(40)의 회동을 이루기 위하여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부재(430)와 힌지결합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아울러 걸림부재(430)는 제한부재에 구성된 제한턱(412)과의 접촉을 통해 도어가 90°이상의 각 즉, 둔각으로 열리지 못하게 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도어(40)의 상,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판(431)과, 한 쌍의 결합판(431)에 일체로 형성되어 힌지축(420)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대(432)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연결대(432)의 일측에는 도어(40)가 90°의 각으로 열려 도어서포터(30)와 수평이 되었을 때 제한턱(412)에 맞닿는 경사부(433)가 더 포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걸림부재(430)와 힌지축(420)의 용이한 힌지결합을 위하여 상기 연결대(432)에는 힌지축(420)이 회동가능하도록 끼워지는 홀(미도시)이 상하방향으로 관통되어 형성되고, 힌지축(420)의 상부에는 연결대(432)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턱이 링 형상으로 더 포함되어 형성됨으로써 상기 힌지축(420)이 연결대(432)에 안착되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위와 같은 힌지부(400)의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제작하여 손쉬운 설치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내구성의 향샹을 이룰 수 있으며, 힌지부(400)가 상, 하로 이격되어 한 쌍으로 형성된 것에 의해 보강효과를 높일 수 있으므로, 장기간 반복사용에도 도어(40)의 개방각도 제한에 오작동이 생기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다섯째, 안전가드(50)는 도 4, 5 또는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서포터(30)의 슬라이드 이동에 따라 연동하는 도어(40)를 안정적으로 지지해주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홀(51)을 상측이 개구되도록 형성하여 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안전가드(50)는 공지된 통상의 볼트결합을 등을 통해 본체의 측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을 것이며, 서포트가이더(35)와 마찬가지로 마찰력이 적고 기계적 성질이 뛰어난 재질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섯째, 안전가드레일(60)은 도 7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전가드(50)의 가이드홀(51)에 대응되도록 도어(40)의 내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됨으로써 서포트가이더와 함께 전, 후방향으로 슬라이드 진입되는 도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작용을 하는 구성으로, 공지된 통상의 볼트 결합 등을 통해 도어(40)의 내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결합되는 체결고정부(61)와, 상기 안전가드(50)의 가이드홀(51)에 삽입되는 삽입부(63)와, 상기 체결고정부(61)와 삽입부(63)를 일체로 연결하도록 굽혀져 형성됨으로써 삽입부(63)의 내구성을 보강하는 보강부(62)로 구성되며, 힌지부(400)와 인접한 체결고정부(61)의 일단에는 도어(40)의 슬라이드 진입을 가이드하는 유도부(65)가 더 포함되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유도부(65)는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도어(40)의 진입시 안전가드(50)의 일면에 선 접촉하는 것을 통해 상기 도어(40)의 슬라이드 진입을 가이드하는 구성으로, 우측방향으로 꺽어지는 경사각(α)을 형성하여 도어의 외측으로 돌출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위와 같은 작동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어(40)에 의한 개구부(11)의 폐쇄시 간섭되지 않는 선에서 상기 안전가드(50)가 본체(10)의 전방으로 소정거리(d)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에 따르면, 상기 도어(40)가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상태 즉, 예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진입이 이루어진다 하더라도 경사각(α)을 형성한 안전가드레일(60)의 유도부(65)가 안전가드(50)의 일면에 먼저 접촉하게 되어, 상기 유도부(65)가 안전가드(50)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어(40)가 90°의 각으로 완전개방되는 작용이 이루지며, 이에 따라 상기 안전가드레일(60)의 삽입부(63)가 안전가드(50)의 가이드홀(51)에 안전하게 삽입되는 작용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위 구성에 따르면 도어(40)의 슬라이드 진입에 있어 사용자의 실수에 의한 파손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안전가드(50)의 가이드홀(51)을 따라 이동하는 안전가드레일(60)에 의해 도어(40)의 슬라이드 이동시 좌, 우 흔들림 및 이탈이 방지되게 할 수 있어 보다 편리한 사용이 가능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어(40)를 힌지부(400)를 중심으로 회동시켜 개구부(11)를 개방하면, 상기 도어(40)의 힌지부(400)에 구성된 걸림부재(430)의 경사부(433)가 도어서포터(30)에 결합된 제한부재(410)의 제한턱(412)에 걸리게 되어 둔각으로 개방되는 것이 방지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도어(40)를 90°의 각으로 용이하게 완전 개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도어(40) 또는 도어서포터(30)를 후방으로 밀면, 레일부(20)에 안착된 제1, 2롤러(31, 32)에 의해 도어서포터(30)의 슬라이드 이동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상기 도어서포터(30)에 구성된 서포트가이더(35)의 이탈방지돌부(34)가 본체(10)와 롤러가이드레일(220)의 상측레일(223)의 사이 공간에 끼워진 것에 의해, 슬라이드 이동되는 도어서포터(30)의 좌, 우 흔들림이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또한, 이때에는 힌지부(400)에 의해 도어서포터(30)와 결합되어 있는 도어(40)의 슬라이드 이동이 연동되는데, 이러한 도어(40)의 슬라이드 이동은 안전가드레일(60)의 삽입부(63)가 안전가드(50)의 가이드홀(51)에 삽입된 상태로 이루어지므로, 슬라이드 이동되는 도어(40)의 좌, 우 흔들림이나 이탈이 방지되게 된다.
즉, 상기 도어서포터(30)와 도어(40)에 각각 구성되어 이중으로 작용하는 안전장치에 의해 슬라이딩 동작에 따른 안정성이 높아지게 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위와 같은 슬라이드 이동이 멈춰지는 지점에서는 제2롤러(32)가 레일부(20)에 구성된 스토퍼(230)의 완충부재(240)에 맞닿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도어(40) 및 도어서포터(30)에 의한 멈춤 충격이 레일부(20) 자체에서 흡수되어 지므로 오븐 본체(10)의 측면부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오븐 본체(10)의 파손이 방지되게 되고, 반대 방향의 이동시에는 완충부재(240)에 부딪치는 제1롤러(31)에 의해 위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부주의에 따라 도어(40)가 90°의 각으로 완전히 개방되지 않은 상태 즉, 예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 도어(40)의 슬라이드 진입이 이루어질 수도 있는데, 이때 본 발명에서는 도어(40)의 슬라이드 진입시 안전가드레일(60)에 형성된 유도부(65)가 안전가드(50)의 일면에 접촉되는 작용이 먼저 이루어진 후, 안전가드(50)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어(40)가 90°의 각으로 완전히 개방되는 작용이 이루어지므로, 안전가드레일(60)의 삽입부(63)가 안전가드(50)의 가이드홀(51)에 용이하게 삽입되게 되며, 이로 인해 도어(40)의 슬라이드 진입에 따른 충돌이 예방되어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도 가지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안전 스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을 사용하면, 제작비용을 절감한 상태에서도 설치의 용이성과 안정성과 편의성을 높여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와 도어서포터의 이중 안정장치를 통해 슬라이딩 동작의 안정성을 개선할 수 있음은 물론, 내구성을 높여 장기간 사용에도 도어의 개방각도 제한에 오작동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도어가 예각으로 개방된 상태에서도 도어의 슬라이드 진입에 있어 파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고, 도어의 슬라이딩 이동이 멈출 때 발생하는 충격을 레일부 자체에서 흡수하도록 함으로써 오븐 본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위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된 실시 예와 도면을 통하여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하여 실시할 수도 있을 것이다.
10 : 본체 11 : 개구부
20 : 레일부
210 : 롤러가이드브라켓
220 : 롤러가이드레일 221 : 제1결합홀 222 : 제1안착턱 223 : 상측레일 224 : 하측레일
230 : 스토퍼 221 : 제2결합홀 232 : 제2안착턱
240 : 완충부재 241 : 제3안착턱
30 도어서포터 31, 32 : 제1, 2롤러 34 : 이탈방지돌부 35 : 서포트가이더
40 : 도어
400 : 힌지부
410 : 제한부재 411 : 돌출부 412 : 제한턱
420 : 힌지축
430 : 걸림부재 431 : 결합판 432 : 연결대 433 : 경사부
50 : 안전가드 51 : 가이드홀 d : 소정거리
60 : 안전가드레일 61 : 체결고정부 62 : 보강부 63 : 삽입부 65 : 유도부 α: 경사각
500 :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Claims (5)

  1. 조리실의 개구부(11)를 전면에 형성한 본체(10);
    서로 대향되는 완충부재(240)가 설치된 스토퍼(230)를 전, 후방에 구비하여 본체(1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되는 레일부(20);
    상기 레일부(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제1롤러(31)와, 상기 제1롤러(31)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레일부(20)의 하면에 안착되는 제2롤러(32)와, 상기 제1롤러(31)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레일부(20)의 상면에 안착되는 서포트가이더(35)를 구비하여 본체(1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도어서포터(30);
    상기 본체(10)의 개구부(11)를 개폐하도록 힌지부(400)를 통해 도어서포터(30)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0 ~ 90°의 각으로 개폐되는 도어(40);
    전후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홀(51)을 상측이 개구되도록 형성하여 본체(10)의 측면에 결합되는 안전가드(50);
    상기 안전가드(50)의 가이드홀(51)에 대응되도록 도어(40)의 내측면 상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며, 힌지부(400)와 인접한 부위에는 경사각(α)을 형성하여 도어(40)의 외측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도어(40)의 슬라이드 진입을 가이드하는 유도부(65)를 구성한 안전가드레일(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20)는
    상기 본체(1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롤러가이드브라켓(210);
    전, 후방 일측면에 제1결합홀(221)을 형성한 제1안착턱(222)을 각각 구성하며, 제1롤러(31)와 서포트가이더(35)가 안착되는 상측레일(223) 및 제2롤러(32)가 안착되는 하측레일(224)이 롤러가이드브라켓(210)의 상, 하측으로 각각 돌출되도록 상기 롤러가이드브라켓(210)의 측면에 수평방향으로 고정결합되는 롤러가이드레일(220);
    상기 제1결합홀(221)에 대응되는 제2결합홀(231)과 제1안착턱(222)에 대응되는 제2안착턱(232)을 형성하여 롤러가이드레일(220)과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결합되는 한 쌍의 스토퍼(230);
    상기 롤러가이드레일(220) 및 스토퍼(230)와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롤러가이드레일(220)이 끼워지는 제3안착턱(241)을 좌측면에 형성하며, 한 쌍의 스토퍼(230)에 서로 대향되게 결합되어 제1, 2롤러(31, 32)가 부딪치는 충격을 완화시키는 완충부재(24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가이더(35)의 좌측에는 하부로 돌출되어 본체(10)와 롤러가이드레일(220)의 상측레일(223) 사이에 끼워지는 이탈방지돌부(34)가 더 포함되어 구성되어, 슬라이드 이동하는 도어서포터(30)의 탈착이 방지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400)는,
    상기 도어서포터(30)의 상부 및 하부에 결합되어 전방으로 한 쌍의 돌출부(411)와, 한 쌍의 돌출부(411)의 전방에 일체로 구비되어 서로 대향되는 방향으로 굽혀져 형성되는 제한턱(412)으로 구성된 제한부재(410);
    상기 도어서포터(30)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11)에 고정결합되는 힌지축(420);
    상기 도어(40)의 상, 하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판(431)과, 한 쌍의 결합판(431)에 일체로 형성되어 힌지축(400)에 힌지결합되는 연결대(432)로 구성되며, 상기 연결대(432)의 일측에는 도어(40)가 90°의 각으로 열려 도어서포터(30)와 수평이 되었을 때 제한턱(412)에 맞닿는 경사부(433)가 더 포함되어 형성된 걸림부재(430);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가드(50)는, 도어(40)의 예각 개방시 상기 도어(40) 또는 안전가드레일(60)이 본체(10) 및 안전가드(50)에 부딛치는 현상이 방지되도록 본체(10)의 전방으로 소정거리(d) 돌출형성됨으로써, 도어(40)의 슬라이드 진입시 경사각(α)을 형성한 안전가드레일(60)의 유도부(65)가 안전가드(50)의 일면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도어(40)가 90°의 각으로 완전개방되는 작용이 이루어져, 상기 안전가드레일(60)이 안전가드(50)의 가이드홀(51)에 삽입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KR1020180058066A 2018-05-23 2018-05-23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KR1018876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066A KR101887644B1 (ko) 2018-05-23 2018-05-23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066A KR101887644B1 (ko) 2018-05-23 2018-05-23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7644B1 true KR101887644B1 (ko) 2018-09-06

Family

ID=63593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066A KR101887644B1 (ko) 2018-05-23 2018-05-23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76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6716A1 (de) * 2019-01-31 2020-08-06 Miele & Cie. Kg Wohn- und/oder küchenmöbel mit eingebautem küchengerät
CN111657759A (zh) * 2020-07-05 2020-09-15 廖秋 烤箱
KR102492191B1 (ko) 2021-08-30 2023-01-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개방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는 오븐의 도어 유격 조절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1765A (ja) 1994-10-07 1996-07-30 Convotherm Elektrogeraete Gmbh 調理装置
KR101801072B1 (ko) 2016-05-19 2017-12-20 주식회사 동방포쎄 도어 완전 개방구조를 갖는 오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91765A (ja) 1994-10-07 1996-07-30 Convotherm Elektrogeraete Gmbh 調理装置
KR101801072B1 (ko) 2016-05-19 2017-12-20 주식회사 동방포쎄 도어 완전 개방구조를 갖는 오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56716A1 (de) * 2019-01-31 2020-08-06 Miele & Cie. Kg Wohn- und/oder küchenmöbel mit eingebautem küchengerät
CN111657759A (zh) * 2020-07-05 2020-09-15 廖秋 烤箱
KR102492191B1 (ko) 2021-08-30 2023-01-27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개방형 슬라이딩 도어를 구비하는 오븐의 도어 유격 조절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7644B1 (ko)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US7399041B2 (en) Drawer opening guide comprising an automatic retracting device with an integrated damping mechanism
US8220882B2 (en) Device for locking a furniture part and furniture
US8915019B2 (en) Sliding door stopper system
KR101030879B1 (ko) 도어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
KR10190014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롤러 브라켓
CN107923206B (zh) 用于对两个滑动门进行定位的装置和家具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KR101169607B1 (ko) 안전문
KR101232283B1 (ko) 여닫이식 도어의 도어 완충기 결합형 경첩
US9125491B2 (en) Pull-out guide for furniture or household appliances
KR200459418Y1 (ko) 슬라이드식 도어를 가지는 가구의 댐핑시스템
KR20090038754A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어셈블리
RU2632397C2 (ru) Подвижная деталь для направлен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детали мебели в направлении перемещения и мебельная фурнитура
KR20170041061A (ko) 가구용 아웃도어 댐퍼
KR100988494B1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어셈블리
KR200440800Y1 (ko) 슬라이드레일
US10638838B2 (en) Retracting device for a drawer mechanism
KR20110047867A (ko) 이탈방지용 샷시문
KR101156640B1 (ko) 도어 개폐구조
KR101113134B1 (ko) 도어 개폐구조
KR101584318B1 (ko) 여닫이문 고정 장치
KR200277169Y1 (ko)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
KR20100093841A (ko) 엘리베이터의 보조 안전도어 개폐장치
JP4437725B2 (ja) エレベーター乗場の仮設障壁体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