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7169Y1 -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 - Google Patents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7169Y1
KR200277169Y1 KR2019990005102U KR19990005102U KR200277169Y1 KR 200277169 Y1 KR200277169 Y1 KR 200277169Y1 KR 2019990005102 U KR2019990005102 U KR 2019990005102U KR 19990005102 U KR19990005102 U KR 19990005102U KR 200277169 Y1 KR200277169 Y1 KR 20027716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stopper
roller
rollers
gu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510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18852U (ko
Inventor
안중식
Original Assignee
안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중식 filed Critical 안중식
Priority to KR201999000510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7169Y1/ko
Publication of KR2000001885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852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71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7169Y1/ko

Lin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농의 미닫이 도어의 상,하부 롤러 설치를 간단하게 하여 부품수를 절감하고, 높낮이 조절이 간편하며 도어의 충격 및 반동을 방지 하므로서 소음을 없애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서, 장농의 내측의 상측 천정판과 하측 바닥판에 동일한 상,하부 레일을 설치하되 레일 끝단부에 각각 멈춤롤러를 설치하며, 상기 상,하부레일에 안착 및 삽입 슬라이딩 되도록 내부도어의 상단 양측으로 스토퍼가 형성된 상부가이드를 설치하고 하단 양측으로는 위치조절구 및 롤러와 스토퍼가 형성된 하부롤러를 설치하며, 외부도어의 상단 양측으로 위치조절구 및 롤러와 스토퍼가 형성된 상부롤러를 설치하며 하단 양측으로는 스토퍼가 형성된 하부가이드를 설치하여 결합된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로서, 장농의 상,하부레일을 동일한 것으로 사용하고, 미닫이 도어의 상,하부롤러수를 줄여 부품을 절감함은 물론, 높낮이 조절이 간편하며, 도어를 열었을때 각 스토퍼가 레일의 멈춤롤러에서 일단정지 및 완충과 충격방지 작용을 하므로서 파손이 적고 도어 개폐시의 소음방지 효과가 있도록 된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Sliding structure of a door of a wardrobe}
본 고안은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장농내측으로 일측단에 멈춤롤러가 형성된 동일한 상,하부레일을 설치하고, 내,외부도어 상,하단에 각각 스토퍼가 형성되고 위치조절이 간편한 상,하부가이드 및 상,하부롤러를 간편하게 설치하므로서, 높낮이 조절능력이 탁월하며 부품절감으로 경제적이고 도어를 열었을때 스토퍼에 의해 도어의 충격 및 반동방지와 이에 의한 소음방지 효과가 있도록 된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를 살펴보면, 내,외부도어의 상,하부 네곳에 각각 복잡한 구조의 다수개의 상,하부롤러를 설치하므로서 제작비가 높아지는 것은 물론, 이에 따라 내측의 천정판과 바닥판에 각각 다른 형상의 상,하부레일을 제작하여 설치해야하므로 레일 제작에 따른 원가상승의 요인이 되었으며, 내,외부도어를 열때 발생되는 문제점으로서, 도어를 열면 도어의 끝단부가 상,하부레일의 끝단에 접촉되면서 충격에 의한 큰 소음이 발생됨은 물론, 충격에 의한 반동력 발생 으로 도어가 되돌아오므로 재차도어를 열어야 하는등 많은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에서 도어의 롤러 설치와 레일의 설치를 간단하고도 편리하게 함과 동시에 부품수를 절감하도록 하고,높낮이 조절이 간편하며, 도어의 충격 및 반동을 방지하여 소음을 없애도록 함에 그목적이 있는 것으로,장농 내측의 천정판과 바닥판에 동일한 형상의 롤러가이드와 가이드 삽입부가 형성된 상,하부레일을 각각 장착하되, 각 레일 끝단 내,외부에 멈춤롤러를 설치하며. 상기 상,하부레일에서 슬라이딩 되는 내,외부 도어에 있어서, 내부도어의 상단 양측으로 상부에 스토퍼가 형성된 상부가이드를 설치하고,하단 양측으로는 위치조절구 및 롤러와 하부로 스토퍼가 형성된 하부롤러를 설치하며, 외부도어의 상단 양측으로 위치조절구 및 롤러와 하부로 스토퍼가 형성된 상부롤러를 설치하고, 하단 양측으로는 상부에 스토퍼가 형성된 하부가이드를 설치하여 결합한 것으로서, 상기 내,외부도어의 상,하부롤러와 상,하부가이드가 각각 상,하부레일의 롤러가이드와 가이드 삽입부에서 슬라이딩 되어 개폐됨과 동시에, 내,외부 도어를 열때 상,하부레일 끝단에 설치된 내,외부면으로 형성된 멈춤롤러에 이르러서 각 스토퍼들이 텐션작용으로 일단 멈췄다가 충격 없이 완충작용을 하면서 소음발생 없이 멈춤롤러에 안착되어 열리게 되는 것은 물론, 롤러와 레일 제작시 부품수가 절감 되어 매우 경제적이도록 된 것이며, 상,하부롤러의 위치조절구로 간편하게 상,하높낮이 조절이 간편하도록 된 고안인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분리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일부생략 된 상태의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상부롤러가 작동되어 도어가 열린 상태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상부롤러 스토퍼와 외부면 멈춤롤러의 진행상태를
보인예시도.
도 5 는 본 고안 상부롤러의 스토퍼에의해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예시도.
도 6 은 본 고안의 상부가이드의 스토퍼와 내부면 멈춤롤러의 진행상태를
보인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 10.10' : 상,하부레일 11.11': 롤러가이드
12.12': 가이드삽입부 13.13': 멈춤롤러 20.20' : 내,외부도어
30.30' : 스토퍼 31.31' : 굴곡편 40.40' : 상,하부가이드
50 : 하부롤러 50': 상부롤러 51.51' : 위치조절구
52.52' : 롤러 60.60' : 스토퍼 61.61' : 굴곡편
장농(100) 내측의 천정판(110)과 바닥판(120)에 각각 동일형상의 롤러가이드(11)(11')와 가이드 삽입부(12)(12')가 형성된 상,하부레일(10)(10')과 끝단부에 멈춤롤러(13)(13')를 장착하고, 상기 상,하부레일(10)(10')에 슬라이딩 되도록 내,외부도어(20)(20')를 설치하되, 상기 내부도어(20)의 상단 양측으로 상부에 굴곡편(31)이 형성된 스토퍼(30)을 삽설시킨 상부가이드(40)을 설치하고,하단양측으로 위치조절구(51) 및 롤러(52)와 하부에 굴곡편(61)이 형성된 스토퍼(60)를 삽설시킨 하부롤러(50)를 설치하며, 상기 외부도어(20')의 상단 양측으로 위치조절구(51') 및 롤러(52') 하부에 굴곡편(61')이 형성된 스토퍼(60')를 삽설시킨 상부롤러(50')를 설치하고, 하단양측으로 상부에 굴곡편(31')이 형성된 스토퍼(30')를 삽설시킨 하부가이드(40')를 설치하여 결합된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1)이다.
미설명부호 ' 200 ' 은 스크류이고, ' 300 ' 은 이탈방지턱 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은 장농(100)에 설치되는 내,외부도어(20)(20') 천정판(110)과 바닥판(120)에 장착된 상,하부레일(10)(10')에서 슬라이딩되도록 설치된 것으로서, 정면 상측에 롤러가이드(11)(11')와 하단내측으로 가이드삽입부(12)(12')가 형성된 상,하레일(10)(10')에 있어서 끝단부에 각각 내외부로 멈춤롤러(13)(13')를 설치하고, 내부도어(20)의 상단 양측에 스크류(200)로 설치되는 상부가이드(40)의 상부로 설치된 굴곡편(61)이 형성된 스토퍼(60)가 상부레일(10)의 가이드 삽입부(12)에 위치되고, 내부도어(20)의 하단 양측에 스크류(200)로 설치된 하부롤러(50)의 롤러(52)는 하부레일(10')의 롤러가이드(11')에 안착되는 것이고, 상기 외부도어(20')의 상단 양측에 상부롤러(50')를 설치하되,롤러(52')가 상부레일(10)의 롤러가이드(11)에 안착되며, 외부도어(20')의 하단 양측으로는 하부가이드(40')가 설치되어 스토퍼(30')가 하부레일(10')의 가이드 삽입부(12')에 위치되도록 된 것인데, 상,하부롤러(50)(50')에 삽입된 스토퍼(60')(60)는 이탈방지턱(300)이 형성되어있어 삽입 후 손쉽게 이탈되지 않는 것이고, 먼저 외부도어(20')를 열면 상부레일(10)의 롤러가이드(11)에서 슬라이드 되어 상부레일(10) 끝단부 외부면에 설치된 멈춤롤러(13)에 상부롤러(50') 하측 스토퍼(60')의 굴곡편(61')이 위치됨과 동시에 하부가이드(40')의 스토퍼(30') 굴곡편(31')은 하부레일(10')의 가이드 삽입부(12') 내측 끝단내부의 멈춤롤러(13')에 위치되면서 각각 굴곡편(61')(31')이 상단부는 도 4 와 같이 완충작용을 하면서 일차스톱 후 상단부가 도 5와 같이 진행되므로 충격 없이 외부도어(20')가 열려 고정되게 되는 것이다.
또, 내부도어(20)를 열면 상부가이드(40)의 스토퍼(30)가 상부레일(10)의 가이드삽입부(12) 내부면에 설치된 멈춤롤러(13')에 위치함과 동시에 하부롤러(50) 하측의 스토퍼(60)는 하부레일(10')의 끝단부 외부면에 설치된 멈춤롤러(13)에 위치되면서 각각의 굴곡편(31)(61)이 완충작용을 하면서 일차 스톱한 후 진행되어 충격없이 내부도어(20)가 열려서 고정되는 것이다.
내,외부 도어(20)(20')를 닫을때는 약간의 힘을 주어 이동시키면 각 멈춤 롤러(13)(13')에서 스토퍼(30)(30')(60)(60')가 이탈되어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장농(100)내측의 천정판(110)과 바닥판(120)에 동일 형상의 상,하부레일(10)(10')을 장착하므로서 부품제작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은 물론, 종래와 같이 내,외부 도어(20)(20') 상,하양측으로 각각 다수개의 복잡한 구조의 상,하부롤러를 설치하지 않고 , 상,하부롤러(50')(50)와 상,하부 가이드(40)(40')를 설치하므로서 부품수를 절감하여 경제적인 효과가 있으며,내,외부도어(20)(20')를 열었을때, 내,외부도어(20)(20') 상,하 양측으로 설치된 각각의 상,하부롤러(50')(50)와 상,하부가이드(40)(40') 상하단에 설치된 스토퍼(60)(60')(30)(30')의 굴곡편(61)(61')(31)(31')이 상,하부레일(10)(10') 끝단부에 내외부면으로 설치된 멈춤롤러(13)(13')와 각각 접촉하면서 일단 정지 후 충격을 완화시킨 상태에서 넘어가 걸리므로 충격에 의한 소음발생을 없앰과 동시에 반동력을 상실시켜 정확히 내,외부도어(20)(20')가 완전하게 열리게 되는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이다.
내,외부도어(20)(20')룰 닫을때는 약간의 힘을 주어 멈춤롤러(13)(13')에서 스토퍼(60)(60')(30)(30')의 굴곡편(61)(61')(31)(31')이 빠져나와 상,하부 레일(10)(10')의 롤러가이드(11)(11')와 가이드 삽입부(12)(12') 내에서 슬라이드 되어 닫히게 되는 것으로 매우 편리하며, 내,외부 도어(20)(20')의 높낮이 조절시 상,하부롤러(50')(50)에 설치된 위치조절구(51')(51)를 조이거나 풀어서 조절시킨 다음 사용하면 되므로 매우 간편하고 누구나 조절할 수 있는 편리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장농(100) 내측의 천정판(110)과 바닥판(120)에 각각 동일형상의 롤러가이드(11)(11')와 가이드 삽이부(12)(12')가 형성된 상,하부레일(10)(10')과 끝단부에 멈춤롤러(13)(13')를 장착하고, 상기 상,하부레일(10)(10')에 슬라이딩 되도록 내,외부도어(20)(20')를 설치하되, 상기 내부도어(20)의 상단 양측으로 상부에 굴곡편(31)이 형성된 스토퍼(30)을 삽설시킨 상부가이드(40)을 설치하고, 하단양측으로 위치조절구(51) 및 롤러(52)와 하부에 굴곡편(61)이 형성된 스토퍼(60)를 삽설시킨 하부롤러(50)를 설치하며, 상기 외부도어(20')의 상단양측으로 위치조절구(51') 및 롤러(52') 하부에 굴곡편(61')이 형성된 스토퍼(60')를 삽설시킨 상부롤러(50')를 설치하고, 하단양측으로 상부에 굴곡편(31')이 형성된 스토퍼(30')를 삽설시킨 하부가이드(40')를 설치하여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1).
KR2019990005102U 1999-03-30 1999-03-30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 KR2002771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102U KR200277169Y1 (ko) 1999-03-30 1999-03-30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5102U KR200277169Y1 (ko) 1999-03-30 1999-03-30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52U KR20000018852U (ko) 2000-10-25
KR200277169Y1 true KR200277169Y1 (ko) 2002-06-03

Family

ID=547610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5102U KR200277169Y1 (ko) 1999-03-30 1999-03-30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71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694B1 (ko) 2012-12-04 2013-12-06 박설화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하부프레임 구조
KR101369499B1 (ko) 2013-11-27 2014-03-04 주식회사 희락가구 미닫이 도어의 상부롤러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8694B1 (ko) 2012-12-04 2013-12-06 박설화 붙박이장용 미닫이 도어의 슬라이드 개폐를 위한 하부프레임 구조
KR101369499B1 (ko) 2013-11-27 2014-03-04 주식회사 희락가구 미닫이 도어의 상부롤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52U (ko) 2000-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73071B2 (ja) 引き戸
EP2924212B1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KR101077227B1 (ko) 자동개폐 기능이 구비된 호차
EP2549041A1 (en) Slide assist device
WO2008108556A1 (en) Protecting device for pushing of sliding door, locking device and screen door system therewith
KR200277169Y1 (ko) 장농의 도어 슬라이딩 구조
KR101887644B1 (ko) 안전 슬라이딩 개방 도어를 구비한 오븐
KR100988495B1 (ko) 자동닫힘장치를 구비한 가구용 도어
CA2631282A1 (en) Roller for sliding door
KR200425313Y1 (ko) 슬라이드형 샤워부스
JP5208217B2 (ja) エレベータのかごドア装置
KR20190052325A (ko) 미닫이 도어의 호차 고정구조
KR200447878Y1 (ko) 폴딩도어의 이동안내장치
KR200188830Y1 (ko) 미닫이식 도어용 롤러 조립체
KR100567838B1 (ko)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
KR102122167B1 (ko) 싱크대 수납장
KR100556342B1 (ko) 윈도우 글라스 설치구조
KR200406923Y1 (ko) 서랍용 가이드 레일
KR101219380B1 (ko) 강화유리 안전도어의 방풍 및 방음장치
KR100882257B1 (ko) 도어 개방 고정구조
KR200163740Y1 (ko) 붙박이장
KR20110133865A (ko) 가구용 슬라이딩 도어의 롤러 어셈블리
JP2002038813A (ja) 貯氷庫
KR20030078471A (ko) 김치냉장고
KR101518209B1 (ko) 내구성 및 안전성이 개선된 목재 미닫이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