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67838B1 -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 - Google Patents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67838B1
KR100567838B1 KR1020030022670A KR20030022670A KR100567838B1 KR 100567838 B1 KR100567838 B1 KR 100567838B1 KR 1020030022670 A KR1020030022670 A KR 1020030022670A KR 20030022670 A KR20030022670 A KR 20030022670A KR 100567838 B1 KR100567838 B1 KR 1005678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weight
pocket
spring plate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26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88690A (ko
Inventor
한만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테크
Priority to KR10200300226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7838B1/ko
Publication of KR20040088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88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78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78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5/00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 E05F5/003Braking devices, e.g. checks; Stops; Buffers for 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8Hol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3Actuation thereof
    • E05Y2201/246Actuation thereof by auxiliary motors, magnets, springs or 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7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40Motors; Magnets; Springs; Weigh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50Weight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4Flexible elongated pulling elements
    • E05Y2201/654Cabl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8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30Adjustment motion
    • E05Y2600/31Linear motion
    • E05Y2600/312Horizontal motion

Landscapes

  • Wing Frames And Configu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를 열은 후 사용자가 도어를 닫지 않아도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히게 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도어를 닫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도어가 덜 닫히게되어 내부가 외부에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일측에 두 겹의 방음용 패널(26)로 이루어진 포켓(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방음용 패널로 이루어진 도어(2)를 형성하며, 상기 포켓(1)과 도어(2)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3)으로 연결하고 상부프레임(3)의 내부에는 도어(2)의 상부에 형성한 롤러와 결합한 가이드 레일(6)로 형성된 이송수단(5)을 구비하여 도어(2)가 이송수단(5)에 의하여 좌, 우로 이송되며, 도어(2)가 위치하는 반대방향에 형성된 포켓(1)의 측면프레임(4)에 이송통로(12)를 형성하고 소정의 중량체로 된 무게 추(8)를 이송통로(12)에서 상, 하로 이송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무게 추(8)와 도어(2)를 와이어(9)로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9)는 안내롤러(10)에 의하여 안내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4)에 요홈(23)을 가지는 스프링 판(22)을 고정시키고, 상기 스프링 판(22)과 동일위치의 도어(2)의 측면에는 스톱롤러(24)를 구비하여 도어(2)를 완전히 개방시켜 스톱롤러(24)가 스프링 판(22)의 요홈(23)에 삽입하면 스프링 판(22)의 탄성에 의하여 도어(2)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켓, 도어

Description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A AUTO CLOSIMG POCKET DOOR}
도 1은 종래의 포켓 슬라이딩 도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포켓 슬라이딩 도어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도어의 이송수단을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측면 프레임을 나타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무게 추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고정수단을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포켓 2 : 도어 3 : 상부프레임
4 : 측면 프레임 5 : 이송수단 6 : 가이드 레일
7 : 이송롤러 8 : 무게 추 9 : 와이어
10 : 안내롤러 11 : 브라켓 12 : 이송통로
13 : 점검구 14 : 고정홈 15 : 고정나사
16 : 나사홈 17 : 커버 18 : 결합나사
19 : 보조 추 20 : 구멍 21 : 고정수단
22 : 스프링 판 23 : 요홈 24 : 스톱롤러
본 발명은 도어를 열 때 도어가 벽체에 매입되어 감춰지는 형태의 포켓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도어를 열은 후 닫을 때 도어가 자동으로 닫혀지도록 함으로써 사용이 편리하도록 하고 도어가 덜 닫혀져 발생하는 소음이나 내부가 타인에게 공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어는 개폐방식에 따라 미닫이 방식과 여닫이 방식으로 구분되는데, 상기 여닫이 방식의 경우에는 벽체와 도어 사이에 힌지구조를 설치하여 도어가 전, 후로 회전됨에 따라 도어가 개폐되는 것이고, 상기 미닫이 방식의 경우에는 도어의 하부에 레일을 설치하여 도어가 좌, 우로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개폐되는 것이다.
상기 미닫이 방식은 여닫이 방식과 비교할 때 도어가 좌, 우로 움직이면서 개폐됨으로 인하여 그 폭이 비교적 커서 설치에 많은 공간을 차지할 뿐만 아니라 안정도 및 사생활 보호 등에 악영향을 끼치게 되는 단점이 있으나, 상기 미닫이 방식은 도어를 설치할 때 도어가 전, 후로 회전하면서 개폐됨으로 비교적 좁은 공간에 설치가 가능한 장점을 가지며 안정성 및 사생활 보호의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여닫이 방식은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전방 또는 후방에 있는 물체와 부딪히게 되고 특히 도어의 전, 후방에 물체가 놓여 있을 경우에는 도어가 열리지 않거나 도어가 파손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으며 도어의 무게를 지탱하는 부위가 힌지가 구비된 일측임으로 도어가 쉽게 파손되는 단점을 가지고 있는 반면, 여닫이 방식은 도어가 좌, 우로 움직이기 때문에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전, 후방에 있는 물체와 부딪히지 않음으로 인하여 여닫이 방식의 도어가 허용되지 않는 공간에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미닫이 방식의 장점인 좌, 우로 움직이는 것과 여닫이 방식의 장점인 협소한 공간에 설치할 수 있는 것을 취합한 포켓 슬라이딩 도어를 사용하는 바, 상기 포켓 슬라이딩 도어는 도어의 일측에 도어가 삽입되는 포켓을 형성하여 도어를 열었을 때에는 도어가 포켓내부에 삽입되도록 하여 도어가 차지하는 면적을 최소화함으로써 여닫이 방식의 장점을 활용하고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좌, 우로 밀어서 닫도록 함으로써 미닫이 방식의 장점을 활용하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포켓 슬라이딩 도어는 일측에 포켓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도어를 구비하며, 상부에 프레임을 형성하여 상기 프레임과 도어의 상부에 도어를 좌, 우로 이동하는 안내장치를 구비한 구성으로서, 도어를 포켓의 방향으로 밀었을 때 도어가 안내장치에 의하여 포켓의 내부에 삽입되어 열리고 타측으로 밀었을 때에는 포켓에서 나와 닫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슬라이딩 포켓에서 도어가 이동한 만큼의 위치에서 멈춰있게 됨으로 도어를 열은 후 내부가 외부에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반대방향으로 닫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되며, 도어를 닫았을 때에도 도어와 측면 프레임의 사이에 틈이 없어야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지 않음으로 도어가 완전히 닫혀있는 가를 일일이 확인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도어를 열은 후 사용자가 도어를 닫지 않아도 도어가 자동적으로 닫히게 하여 사용자가 일일이 도어를 닫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도어가 덜 닫히게되어 내부가 외부에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며 내부의 소음이 외부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목적을 가지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포켓의 내부에 도어가 위치하는 반대방향에 도어가 열렸을 때에는 상승하고 중량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도어를 닫히게 하는 무게 추를 구비하고 상기 무게 추와 도어는 와이어로 연결하되 상기 와이어는 안내롤러에 의하여 안내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짐으로 도어를 열었을 때 도어가 포켓방향으로 이동함으로 와이어가 당겨져 무게 추를 상승시키고 도어를 여는 힘을 제거하면 무게 추의 중량에 의하여 무게 추가 하강함으로 도어가 닫히게 하여 도어를 닫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도어가 덜 닫히는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일측에 두 겹의 방음용 패널(26)로 이루어진 포켓(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방음용 패널로 이루어진 도어(2)를 형성하며, 상기 포켓(1)과 도어(2)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3)으로 연결하고 상부프레임(3)의 내부에는 도어(2)의 상부에 형성한 롤러와 결합한 가이드 레일(6)로 형성된 이송수단(5)을 구비하여 도어(2)가 이송수단(5)에 의하여 좌, 우로 이송되며, 도어(2)가 위치하는 반대방향에 형성된 포켓(1)의 측면프레임(4)에 이송통로(12)를 형성하고 소정의 중량체로 된 무게 추(8)를 이송통로(12)에서 상, 하로 이송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무게 추(8)와 도어(2)를 와이어(9)로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9)는 안내롤러(10)에 의하여 안내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상기 측면프레임(4)에 요홈(23)을 가지는 스프링 판(22)을 고정시키고, 상기 스프링 판(22)과 동일위치의 도어(2)의 측면에는 스톱롤러(24)를 구비하여 도어(2)를 완전히 개방시켜 스톱롤러(24)가 스프링 판(22)의 요홈(23)에 삽입하면 스프링 판(22)의 탄성에 의하여 도어(2)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성을 나타낸 전면도로서, 일측에 두 겹의 방음용 패널(26)로 이루어진 포켓(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방음용 패널로 이루어진 도어(2)를 형성하며, 상기 포켓(1)과 도어(2)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3)으로 연결하고 상부프레임(3)의 내부에는 도어(2)의 상부에 형성한 이송롤러(7)와 결합한 가이드 레일(6)로 형성된 이송수단(5)을 구비하여 도어(2)가 이송수단(5)에 의하여 좌, 우로 이송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2)가 위치하는 반대방향에 형성된 포켓(1)의 측면프레임(4)에 중량감을 가지는 무게 추(8)를 이송통로(12)에서 상, 하로 이송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무게 추(8)와 도어(2)가 와이어(9)로 연결하며, 상기 와이어(9)는 안내롤러(10)에 의하여 안내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상기 무게 추(8)는 도어(2)의 움직임에 의하여 상, 하로 움직이는 것으로, 도어(2)를 열기 위하여 포켓(1)의 내부로 삽입하면 무게 추(8)는 이송통로(12)에서 상승하고 도어(2)를 열기 위한 힘이 제거되면 무게 추(8)의 중량감에 의하여 하강하면 도어(2)는 포켓(1)에서 나와 닫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포켓(1)과 도어(2)의 상부에 위치하는 상부프레임(3)에는 도어(2)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수단(5)인 가이드 레일(6) 및 이송롤러(7)와, 도어(2)를 자동으로 닫히게 하기 위하여 무게 추(8)와 연결된 와이어(9) 및 이송롤러(7)가 구비하여 서로 겹쳐지는 구간이 발생하는바, 상기의 구성들이 서로 간섭을 받지 않도록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로의 간섭을 피한 상태인 전, 후로 설치하는 것이다.
따라서, 와이어(9)가 도어(2)에 결합하는 와이어 고정 브라켓(11)을 도어(2)의 상부에서 전방에 형성하고 동일한 위치의 상부프레임(3)에는 와이어(9)를 안내하는 이송롤러(7)를 형성하며, 도어(2)의 이송을 위한 이송롤러(7)가 도어(2)의 상부에서 후방에 위치하고 그와 동일한 위치의 상부프레임(3)에는 이송롤러(7)와 결합하는 가이드 레일(6)을 형성한 것이다.
그리고,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포켓(1)에서 도어(2)가 위치하는 반대방향의 측면 프레임(4)에 이송통로(12)를 형성하고 이송통로(12)의 내부에 무게 추(8)를 삽입하여 무게 추(8)가 도어(2)의 이송에 의하여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고, 무게 추(8)의 중량감을 높이거나 감소시키도록 조절하거나, 무게 추(8)가 이송통로(12)에서의 이동을 멈추게 되었을 때 이를 수리할 수 있도록 측면 프레임(4)의 전면으로 점점구(13)를 형성한다.
상기 점점구(13)는 측면 프레임(4)의 전면과 이송통로(12)의 전면을 개방시키도록 한 것으로, 무게 추(8)의 중량감을 조절하거나 무게 추(8)를 수리할 때 측면프레임(4)의 전면을 이탈시킨 후 이송통로(12)의 전면을 개방하면 무게 추(8)가 노출되어 무게 추(8)의 중량감을 조절하거나 무게 추(8)를 수리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어(2)를 여닫을 때 도어(2)를 여는 힘과 도어(2)가 닫히는 속도는 무게 추(8)의 중량감이 결정하는 바, 무게 추(8)가 무거우면 도어(2)를 열 때 대단한 힘이 드는 것에 반하여 도어(2)가 닫히는 속도는 빠르고, 이와 반대로 무게 추(8)가 가벼우면 도어(2)를 여는 힘은 적게 들지만 도어가 닫히는 속도는 느려지게 되어 무게 추(8)의 중량을 도어(2)의 여닫을 때 안전한 상태로 맞추는 것이 대단히 중요하다.
따라서, 무게 추(8)의 중량은 고정된 것이 아니라 필요한 중량으로 조절이 가능한 것으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무게 추(8)의 상부는 고정홈(14)에 와이어(9)를 삽입한 후 고정나사(15)로 고정하고, 무게 추(8)의 하부에는 나사홈(16)을 형성하고 서로 다른 무게를 가지는 보조 추(19)를 결합한 후 보조 추(19)가 이탈하지 않도록 결합나사(18)를 가지는 커버(17)를 결합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조 추(19)의 중앙에는 결합나사(18)가 관통하는 구멍(20)을 형성하여 결합나사(18)가 나사홈(16)에 체결됨으로 인하여 보조 추(19)의 이탈을 막는 것이다.
그리고, 측면프레임(4)의 상부에 도어(2)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수단(21)을 구비하여 도어(2)를 완전히 개방시키면 도어(2)가 포켓(1)의 내부에 고정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것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면프레임(4)에 요홈(23)을 가지는 스프링 판(22)을 고정시키고, 상기 스프링 판(22)과 동일위치의 도어(2)의 측면에는 스톱롤러(24)를 구비하여 도어(2)를 완전히 개방시켜 스톱롤러(24)가 스프링 판(22)의 요홈(23)에 삽입하면 스프링 판(22)의 탄성에 의하여 도어(2)를 여는 힘을 제거하여도 도어(2)가 닫히지 않는 것이다.
상기 스프링 판(22)의 탄성력은 무게 추(8)가 중력에 의하여 하강하는 힘을 이기는 정도의 탄성력을 가짐으로써 도어(2)가 무게 추(8)의 중량에 의하여 닫히는 것을 방지하며, 도어(2)가 포켓(1)의 내부에 상기의 고정수단(21)에 의하여 고정된 상태를 해제하는 것은 도어(2)에 형성된 손잡이(25)를 잡고 도어(2)를 닫으면 스톱롤러(24)가 스프링 판(22)의 탄성력을 이기면서 스프링 판(22)의 요홈(23)에서 빠져 나오고 이후 무게 추(8)의 중량에 의하여 닫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도어(2)를 포켓(1)으로 밀어 넣은 후 도어(2)를 개방하여 출입하고 도어(2)를 미는 힘을 제거하면 무게 추(8)의 중량에 의하여 도어(2)가 닫히게 됨으로 출입이 편리하고 도어(2)를 고정수단(21)에 의하여 고정하지 않는 한 도어(2)는 항상 닫혀있게 되어 내부가 개방되거나 또는 내부의 소음이 외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포켓 슬라이딩 도어에서 도어를 여닫을 때 도어를 열을 후 손을 놓으면 도어와 연결되어 상승한 무게 추가 중량감에 의하여 하강하면서 도어를 닫게 함으로써 도어를 여닫는 것이 편리하며, 도어가 항상 닫혀있는 상태가 됨으로 내부와 외부를 차단하여 내부가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고 내부의 소음이 외부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는 발명이다.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일측에 두 겹의 방음용 패널(26)로 이루어진 포켓(1)을 형성하고 타측에는 방음용 패널로 이루어진 도어(2)를 형성하며, 상기 포켓(1)과 도어(2)의 상부에는 상부프레임(3)으로 연결하고 상부프레임(3)의 내부에는 도어(2)의 상부에 형성한 롤러와 결합한 가이드 레일(6)로 형성된 이송수단(5)을 구비하여 도어(2)가 이송수단(5)에 의하여 좌, 우로 이송되며, 도어(2)가 위치하는 반대방향에 형성된 포켓(1)의 측면프레임(4)에 이송통로(12)를 형성하고 소정의 중량체로 된 무게 추(8)를 이송통로(12)에서 상, 하로 이송하도록 구비하며, 상기 무게 추(8)와 도어(2)를 와이어(9)로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9)는 안내롤러(10)에 의하여 안내되도록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측면프레임(4)에 요홈(23)을 가지는 스프링 판(22)을 고정시키고, 상기 스프링 판(22)과 동일위치의 도어(2)의 측면에는 스톱롤러(24)를 구비하여 도어(2)를 완전히 개방시켜 스톱롤러(24)가 스프링 판(22)의 요홈(23)에 삽입하면 스프링 판(22)의 탄성에 의하여 도어(2)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
  4. 삭제
KR1020030022670A 2003-04-10 2003-04-10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 KR1005678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670A KR100567838B1 (ko) 2003-04-10 2003-04-10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2670A KR100567838B1 (ko) 2003-04-10 2003-04-10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11032U Division KR200319080Y1 (ko) 2003-04-10 2003-04-10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90A KR20040088690A (ko) 2004-10-20
KR100567838B1 true KR100567838B1 (ko) 2006-04-10

Family

ID=37370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2670A KR100567838B1 (ko) 2003-04-10 2003-04-10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678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022B1 (ko) 2004-12-15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루프의 선세이드 소음방지구조
JP2017078271A (ja) * 2015-10-19 2017-04-27 ジヤトコ株式会社 開閉機構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1720B1 (ko) * 2015-02-06 2016-07-22 황창욱 미닫이문 자동 닫힘 장치
KR102111421B1 (ko) * 2020-02-11 2020-05-18 주식회사 주신엔지니어링 승압 또는 강압의 변전기능을 수행하는 옥내 변전소용 방음 방폭 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9022B1 (ko) 2004-12-15 2010-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선루프의 선세이드 소음방지구조
JP2017078271A (ja) * 2015-10-19 2017-04-27 ジヤトコ株式会社 開閉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88690A (ko) 2004-10-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24212B1 (en) Sliding door opening and closing device
CN1665738B (zh) 电梯的门装置
PL1885980T3 (pl) Zespół samozamykających się drzwi przesuwnych
KR101718484B1 (ko) 슬라이딩 도어용 스토퍼
US6076589A (en) Articulated overhead gate for particularly small drop heights
US7360804B1 (en) Articles, systems, and methods for suppressing noise and/or vibrations in hotel/motel doors
US20160177611A1 (en) Structuring for cushioning deadbolt and/or latch at door frame
KR100567838B1 (ko)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
KR200319080Y1 (ko) 자동 닫힘 포켓 슬라이딩 도어
US2940112A (en) Sliding door hanger
KR101262765B1 (ko) 창호의 안전 닫힘장치
KR101710692B1 (ko) 미닫이도어의 양방향 완충장치
KR101764346B1 (ko) 포켓 도어의 착탈식 완충 제어장치
KR102519537B1 (ko) 슬라이딩 창호용 댐퍼조립체
JP7041552B2 (ja) ブース用の円弧状ドア装置
KR102008849B1 (ko) 자력을 이용한 처짐방지 및 정위치 고정구조를 갖는 양방향 도어 스토퍼
KR200496011Y1 (ko) 연동도어용 완충장치
WO2004106213A1 (ja) エレベータのドア装置
KR20230022465A (ko) 슬라이딩 도어
US2953809A (en) Door aligning device
KR0127376Y1 (ko) 건물용 셔터의 비상문
JP7014614B2 (ja) 建具
CN211664521U (zh) 施工电梯楼层防护门闭门器
JP3714287B2 (ja) 扉開閉装置
KR101735455B1 (ko) 다단 슬라이딩 도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