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137B1 - 캘리퍼 조립체 - Google Patents

캘리퍼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6137B1
KR101956137B1 KR1020170174081A KR20170174081A KR101956137B1 KR 101956137 B1 KR101956137 B1 KR 101956137B1 KR 1020170174081 A KR1020170174081 A KR 1020170174081A KR 20170174081 A KR20170174081 A KR 20170174081A KR 101956137 B1 KR101956137 B1 KR 1019561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caliper assembly
lid
band
cal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40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복
Original Assignee
스톨츠 주식회사
(주)넥스컴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톨츠 주식회사, (주)넥스컴스 filed Critical 스톨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40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61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61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61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 F16D65/0075Brake calipers assembled from a plurality of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캘리퍼 조립체에 관한 발명으로, 피스톤이 각각 삽입되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양단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잇는 한 쌍의 연결부, 중심부 및 양단부에 하면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어 하우징부 및 연결부를 덮는 덮개부 및 덮개부 및 하우징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종래의 캘리퍼의 벌어짐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여 캘리퍼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캘리퍼 조립체{CALIPER ASSEMBLY}
본 발명은 캘리퍼 조립체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부가 피스톤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를 덮는 덮개부를 둘레를 따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종래의 캘리퍼의 벌어짐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여 캘리퍼의 수명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제동장치인 브레이크 장치는 주행중인 차량을 감속 또는 정지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차량의 중요 장치로서, 유압식 브레이크인 디스크 브레이크와 드럼 브레이크가 사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차량의 제동 성능향상을 위해 드럼 브레이크보다는 디스크 브레이크가 주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 디스크 브레이크는 브레이크 패드를 디스크에 밀착시켜 차량의 제동을 이루는 장치이다.
통상적으로 디스크 브레이크는, 휠과 일체로 회전하는 디스크와, 디스크에 브레이크 패드를 가압하여 마찰력을 이용하여 디스크를 제동하는 캘리퍼 유닛을 포함한다.
여기서, 캘리퍼 유닛은 개구부를 갖는 캘리퍼, 개구부 내부 양측에 배치되어 디스크에 밀착하여 마찰력을 발생시키는 브레이크 패드, 캘리퍼의 내부 양측에 구성되어 피스톤을 통하여 브레이크 패드에 유압력을 전달하는 휠 실린더, 브레이크 패드를 지지하는 패드 스프링, 패드 스프링을 고정하는 고정핀을 포함한다.
그러나, 종래의 캘리퍼 유닛의 경우에는, 사용 과정에서 진동에 의해 캘리퍼가 비틀려 지거나 벌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 경우가 많았다. 이러한 현상은 브레이크 패드나 브레이크 패드 스프링 등에 떨림현상을 유발하여 차량의 진동 및 노이즈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캘리퍼의 비틀림 또는 팽창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발명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캘리퍼 조립체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밴드부가 피스톤 등을 수용하는 하우징부 및 하우징부를 덮는 덮개부를 둘레를 따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종래의 캘리퍼의 벌어짐 및 뒤틀림 현상을 방지하여 캘리퍼의 수명을 증대시키고자 한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는 피스톤이 각각 삽입되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의 양단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잇는 한 쌍의 연결부, 중심부 및 양단부에 하면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어 하우징부 및 연결부를 덮는 덮개부 및 덮개부 및 하우징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은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 상부 및 돌출부 하부를 각각 포함하고, 돌출부 상부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가, 돌출부 하부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어 단턱이 형성되고, 밴드부의 측부의 내측면이 돌출부 하부의 외측면과 맞닿고, 밴드부의 측부의 상면이 돌출부 상부의 하면과 맞닿아, 밴드부가 단턱에 수용되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덮개부의 양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가이드부의 일단부는 돌출부 하부와 맞닿아, 밴드부의 내측면은 가이드부 및 돌출부 하부의 외측면과 동시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가이드부의 타단부가 덮개부의 단부의 폭 방향으로의 중심으로 수렴되도록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돌출부 상부의 상면은 돌출부 상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곡선을 그리며 하강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연결부는 폭 방향으로 연결부를 관통하되,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부 홀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덮개부 및 밴드부의 소재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으로 인해, 덮개부 중심부가 하우징부의 상,하 방향으로의 벌어짐 및 뒤틀림을 방지하고, 덮개부 단부가 하우징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벌어짐 및 뒤틀림을 방지하고, 밴드부가 덮개부와 하우징부 및 연결부가 결합된 조립체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의 벌어짐 및 뒤틀림을 방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조립 및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형상 변경 시, 특정 부분만 교체하면 되므로, 제조 비용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조립 완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제2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제2 하우징을 기준으로 덮개부와 밴드부가 맞닿는 면적을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연결부가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조립 완성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또한,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구성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살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좌표축을 기준으로 y축 방향을 길이 방향으로, x축 방향을 폭 방향으로 정한다. 또한, y축의 양끝을 양단부로, x축의 양끝을 양측부로 정한다.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는 덮개부(100), 하우징부(200), 밴드부(300) 및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이때, 덮개부(100), 하우징부(200) 및 밴드부(300)는 조립 시 최종적으로 별도의 접착부재를 통해 결합될 수 있으며, 하기 서술하는 과정을 조립체를 만들기 위한 과정이다.
먼저, 하우징부(200)를 설명한다.
하우징부(200)는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을 포함한다.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에는 실린더가 각각 형성되어(제1 하우징 기준 도면부호 211번), 피스톤이 삽입된다.
제1 하우징(210)은 디스크 브레이크(미도시) 중심으로 내측에 위치되고, 제2 하우징(220)은 외측에 위치된다. 다만, 이는 발명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며, 어느 하나의 위치에 국한되지 않는다.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게 되며,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 사이에 디스크 브레이크(미도시), 브레이크 패드(미도시)가 위치된다.
피스톤을 수용하는 하우징이 하나로 제작된 것이 아닌, 2개소를 이루어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고, 이를 통해 조립체를 구성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제1 하우징(210) 또는 제2 하우징(220)의 구성을 좀 더 상세하게 살펴본다. 도면 편의상 제2 하우징(220)을 중심으로 설명하며, 제1 하우징(210)도 동일한 구조인 바, 중복 설명을 생략하기 위해 제2 하우징(220)만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제2 하우징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제2 하우징(220)은 수용부(221), 날개부(222), 돌출부 하부(223) 및 돌출부 상부(224)를 포함한다.
수용부(221)는 실린더(미도시)가 형성되며, 피스톤(미도시)을 수용하는 역할을 한다. 수용부(221)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221)에는 수용부 홀(2211)이 형성된다. 수용부 홀은 제1 하우징(210)에도 형성되며, 각 홀은 서로 마주보게 된다. 수용부 홀(2211)은 핀(미도시)이 관통되며, 핀은 브레이크 패드를 동시에 관통하여, 브레이크 패드와 캘리퍼 조립체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수용부(221)의 양 단부에는 날개부(222)가 각각 연장 형성된다. 한 쌍의 날개부(222)는 동일한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날개부(222)는 폭 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지니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날개부(222)는, 날개부(222)의 상면이 양단부로 갈수록 하강하는 형상을 지닌 것이 바람직하다. 좀 더 상세하게는, 수용부(221)와 맞닿는 지점에서 양단부로 갈수록 하강하게 된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캘리퍼 조립체가 자동차 내에 배치되는 과정에서, 날개부(222)의 상면이 직선인 경우보다 차지하는 공간을 축소시킬 수 있다. 이는, 자동차 내의 구성요소 간 간섭을 방지할 수 있고, 덮개부(100) 및 밴드부(300)가 하우징부(200)를 잡아주는 범위가 축소되어 덮개부(100) 및 밴드부(300)에 무리가 가지 않는 장점이 있다.
날개부(222)에는 날개부 홀(2221)이 형성된다. 날개부 홀(2221)은 연결부(400)와의 결합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연결부 홀(420)과 마주보게 된다.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한다.
수용부(221)에는, 수용부(221)의 외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돌출되는 돌출부 하부(223) 및 돌출부 상부(224)를 포함한다. 또한, 돌출부 하부(223) 및 돌출부 상부(224)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돌출부 상부(224)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는 돌출부 하부(223)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긴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도 4와 같이 돌출부 상부(224)와 돌출부 하부(223)는 단턱을 형성하게 된다.
단턱을 통해, 밴드부를 수용할 수 있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먼저 밴드부(300)를 설명하도록 한다.
밴드부(300)는 도 2와 같이 폐곡선을 이루는 '띠'이다. 밴드부(300)는 덮개부(100), 하우징부(200) 및 연결부(400)를 감싸게 된다.
밴드부(300)가 덮개부(100)의 둘레 및 하우징부(200)의 측부를 전체적으로 둘러싸는 구조로 인해, 밴드부(300) 내의 덮개부(100), 하우징부(200) 및 연결부(400)가 밴드부(300) 내에서 구속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또한, 밴드부(300)는 밴드부 측부(310) 및 밴드부 단부(320)를 포함한다. 밴드부 측부(310)는 길이 방향으로 직선형상을 지니는 것이 바람직하며, 밴드부 단부(320)는 한 쌍의 밴드부 측부(310)를 잇는 역할을 한다.
도 4를 다시 참조하면, 밴드부 측부(310)는 캘리퍼 조립체 조립 시, 전술한 단턱 부분에 수용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2 하우징(220)을 기준으로, 밴드부 측부(310)의 내측면이 돌출부 하부(223)의 외측면과 맞닿고, 밴드부 측부(310)의 상면이 돌출부 상부(224)의 하면과 맞닿게 된다.
종래의 경우에는, 제2 하우징(220)에 해당되는 캘리퍼가 하 방향 및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고 뒤틀리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2 하우징(220)의 하 방향으로의 벌어짐 및 외측 방향으로의 벌어짐을 밴드부(300)가 상 방향 및 내측 방향으로 지지하는 구조가 형성된다.
따라서, 돌출부 하부(223)와 돌출부 상부(224)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가 동일하여 단턱 구조가 형성되지 않는 구조보다 결합력 및 지지력이 증대되는 효과가 발생된다.
돌출부 상부(224)의 상면은, 돌출부 상부(224)의 길이 방향으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곡선을 그리며 하강하는 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후술하겠지만, 돌출부 상부(224)의 상면은, 덮개부(100)의 덮개부 중심부(110)와 맞닿게 된다. 이때, 돌출부 상부(224)의 상면이 위와 같은 구조인 경우에는, 직선인 경우보다 덮개부(100)로부터 가해지는 힘을 분산시킬 수 있게 된다.
덮개부(100)와 하우징부(200)에 결합 구조에서, 제2 하우징(220)를 기준으로 돌출부 상부(224)가 덮개부(100)의 힘을 가장 많이 받게 된다. 따라서, 돌출부 상부(224)에 무리가 가해져 수명이 단축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돌출부 상부(224)의 상면이 위와 같은 구조인 경우, 캘리퍼 조립체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돌출부 상부(224)의 상면의 형상에 대응되어 맞닿도록, 덮개부 중심부(110) 또한 덮개부 중심부(110)의 길이 방향으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곡선을 그리며 하강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부 상부(224)에는 길이 방향으로 양단부에 오일 홀(2241)이 형성된다. 일단부에는 오일라인(미도시)이 결합되고, 타단부에는 오일볼트(미도시)가 결합된다. 다만, 이는 공지의 기술인 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연결부(400)는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의 서로 마주보는 날개부 사이에 조립 시 위치된다. 또한, 연결부(400)는 연결부 본체(410) 및 연결부 본체(410)에 형성되는 연결부 홀(420)을 포함한다.
연결부 홀(420)은 연결부 본체(410)를 폭 방향으로 관통하며, 연결부 홀(420)은 날개부에 형성되는 날개부 홀과 마주보도록 형성된다. 제2 하우징(220)를 기준으로, 연결부 홀(420)은 날개부 홀(2221)과 연결부 홀(420)이 마주보게 된다.
이때, 연결부 홀(420)의 내측에는,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제2 하우징(220)를 기준으로, 날개부 홀(2221)과 연결부 홀(420)을 미도시된 볼트로 동시에 관통시켜 회전시켰을 때, 볼트가 고정되어 하우징부(200)와 연결부(400)를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볼트 및 홀 만으로 조립이 가능하므로, 캘리퍼 조립체를 손쉽게 조립 및 분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덮개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덮개부(100)에 관한 구성 및 이에 따른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덮개부(100)는 덮개부 중심부(110), 덮개부 단부(120) 및 가이드부(130)를 포함한다. 덮개부 중심부(110) 하부에는 제2 중공부(S2)가 형성되고, 덮개부 단부(120)의 하우에는 제1 중공부(S1)가 형성된다.
덮개부 중심부(110)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다. 또한, 제1 하우징(210) 및 제2 하우징(220)가 연결부(400)를 통해 결합되었을 때, 덮개부 중심부(110)는 수용부 외측면 및 돌출부 상부와 맞닿아 하우징부(200)를 덮어 고정시키게 된다.
덮개부 중심부(110)에는 덮개부 제1 홀(111)이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간격을 두고 한 쌍이 형성된다. 이는 종래의 캘리퍼의 개구부 역할이다.
또한, 덮개부 중심부(110)의 측부에 형성된 덮개부 제2 홀(112)은 수용부 홀과 마주보게 된다. 전술한 핀이 위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덮개부(100), 하우징부(200) 및 미도시된 디스크 브레이크 패드에 형성된 홀을 동시에 관통하여 위 구성요소를 고정하게 된다.
덮개부 중심부(110)의 양단부에는 덮개부 단부(120)가 연장 형성된다. 덮개부 단부(120)는 제1 중공부(S1) 내에 하우징부(200)의 날개부 및 연결부(400)를 수용하여 덮어 고정시키게 된다.
덮개부 단부(120)에는 덮개부 제3 홀(12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차량과 직접 연결되어 캘리퍼 조립체를 고정시키게 된다.
덮개부 단부(120)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130)가 형성된다. 이때, 가이드부(130)의 일단부는 제2 하우징(220)을 기준으로 돌출부 하부와 맞닿고, 밴드부(300)의 내측면이 가이드부(130) 및 돌출부 하부의 외측면과 동시에 맞닿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설명하기 위해 도 5를 참조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제2 하우징을 기준으로 덮개부와 밴드부가 맞닿는 면적을 도시한 것이다.
'A' 면적은 제2 하우징(220)과 덮개부(100)가 맞닿는 부분이고, 'B' 면적은 제2 하우징(220)과 밴드부(300)가 맞닿는 면적이다. 따라서, 밴드부(300)의 내측면은 돌출부 하부의 외측면 및 가이드부(130)의 외측면과 맞닿게 되고, 가이드부(130)의 폭 방향으로의 단면은 수용부, 돌출부 하부 및 돌출부 상부의 폭 방향으로의 단면과 맞닿게 된다.
이로 인해, 도 1과 같이, 덮개부(100)와 하우징부(200)가 맞닿고, 덮개부(100) 및 하우징부(200)의 둘레를 밴드부(300)가 감싸는 구조가 형성되게 된다.
좀 더 상세하게는, 덮개부 중심부(110)가 하우징부(200)의 상,하 방향으로의 벌어짐 및 뒤틀림을 방지하고, 덮개부 단부(120)가 하우징부(200)의 길이 방향으로의 벌어짐 및 뒤틀림을 방지하고, 밴드부(300)가 덮개부(100)와 하우징부(200) 및 연결부(400)가 결합된 조립체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의 벌어짐 및 뒤틀림을 방지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이때, 가이드부(130)의 타단부는 덮개부 단부(120)의 단부의 폭 방향으로의 중심으로 수렴되도록 휘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직선구조가 아닌 곡선구조로 인해, 캘리퍼 조립체의 중량을 감소하여 차량의 연비를 개선할 수 있으며, 인접한 차량 부품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연결부가 제2 하우징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는 도 5의 'P' 부분을 확대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캘리퍼 조립체의 연결부(400)는 가이드 레일(311)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부 상부(224)에는 가이드 홈(2242)이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311)은 상 방향으로 소정의 높이 만큼 돌출되되, 길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가이드 홈(2242)의 내측면은 돌출부 상부(224)의 외측면과 소정의 길이(d)만큼 이격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레일-홈 구조로 인해, 하우징부(200)를 밴드부(300)와 결합하는 과정에서, 가이드 레일(311)이 가이드 홈(2242)으로 삽입이 유도되어 결합이 용이하며, 하우징부(200)와 밴드부(300)가 접착부재를 통해 접착된 경우에, 결합력이 일 실시예보다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캘리퍼 조립체를 통해, 종래와는 달리 캘리퍼의 벌어짐 및 뒤틀림을 밴드부(300)를 통해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종래에는 캘리퍼의 형상 변경 시, 금형을 새로 제작해야 하므로 제조 비용이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러나, 각 구성요소가 조립 및 분리되는 구조이므로, 형상 변경 시, 특정 부분만 교체하면 되므로, 제조 비용 및 인건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발생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덮개부(100) 및 밴드부(300)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CFRP는 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s의 약자로, 경량 구조용 재료로서 뛰어난 특성을 갖고 있으며, 정적 강도 뿐만 아니라 뛰어난 피로특성을 가지고 있어, 캘리퍼 조립체에 사용되기 적합하다.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100…덮개부
110…덮개부 중심부
111…덮개부 제1 홀
112…덮개부 제2 홀
120…덮개부 단부
121…덮개부 제3 홀
130…가이드부
200…하우징부
210…제1 하우징
211…실린더
220…제2 하우징
221…수용부
2211…수용부 홀
222…날개부
2221…날개부 홀
223…돌출부 하부
224…돌출부 상부
2241…오일 홀
300…밴드부
310…밴드부 측부
320…밴드부 단부
400…연결부
410…연결부 본체
420…연결부 홀

Claims (7)

  1. 피스톤이 각각 삽입되되, 소정의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보는 제1 하우징 및 제2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우징부;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의 양단부 사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을 잇는 한 쌍의 연결부;
    중심부 및 양단부에 하면이 개방된 중공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부 및 연결부를 덮는 덮개부; 및
    상기 덮개부 및 상기 하우징부의 둘레를 따라 결합되는 밴드부;를 포함하는
    캘리퍼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은,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돌출부 상부 및 돌출부 하부를 각각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 상부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가, 상기 돌출부 하부의 폭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길어 단턱이 형성되고,
    상기 밴드부의 측부의 내측면이 상기 돌출부 하부의 외측면과 맞닿고, 상기 밴드부의 측부의 상면이 상기 돌출부 상부의 하면과 맞닿아, 상기 밴드부가 상기 단턱에 수용되는 구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의 양단부에는,
    외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의 일단부는 상기 돌출부 하부와 맞닿아,
    상기 밴드부의 내측면은 상기 가이드부 및 상기 돌출부 하부의 외측면과 동시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타단부가 상기 덮개부의 단부의 폭 방향으로의 중심으로 수렴되도록 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조립체.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 상부의 상면은,
    상기 돌출부 상부의 길이 방향으로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단부로 곡선을 그리며 하강하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폭 방향으로 상기 연결부를 관통하되, 나사산이 형성되는 연결부 홀을 포함하는
    캘리퍼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부 및 상기 밴드부의 소재는 탄소섬유강화플라스틱(CFRP)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캘리퍼 조립체.
KR1020170174081A 2017-12-18 2017-12-18 캘리퍼 조립체 KR1019561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081A KR101956137B1 (ko) 2017-12-18 2017-12-18 캘리퍼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4081A KR101956137B1 (ko) 2017-12-18 2017-12-18 캘리퍼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6137B1 true KR101956137B1 (ko) 2019-03-12

Family

ID=65800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4081A KR101956137B1 (ko) 2017-12-18 2017-12-18 캘리퍼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613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8935A (ja) * 2003-07-31 2007-07-12 フレニ・ブレンボ エス・ピー・エー 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ーのためのばね部材と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ー
JP2008025837A (ja) * 2006-07-18 2008-02-07 Dr Ing H C F Porsche Ag 自動車の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ブレーキキャリパ
US20100170755A1 (en) * 2009-01-05 2010-07-08 Robert Biggs Modular brake caliper
JP6001647B2 (ja) * 2011-05-09 2016-10-05 ペトロチェラミクス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熱可塑性材料から形成されたキャリパ本体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518935A (ja) * 2003-07-31 2007-07-12 フレニ・ブレンボ エス・ピー・エー 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ーのためのばね部材と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ー
JP2008025837A (ja) * 2006-07-18 2008-02-07 Dr Ing H C F Porsche Ag 自動車のディスクブレーキ用のブレーキキャリパ
US20100170755A1 (en) * 2009-01-05 2010-07-08 Robert Biggs Modular brake caliper
JP6001647B2 (ja) * 2011-05-09 2016-10-05 ペトロチェラミクス ソシエタ ペル アチオニ 熱可塑性材料から形成されたキャリパ本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7264B2 (ja) 油圧ブッシュ
US8376331B2 (en) External shear-hub isolator
US5343985A (en) Floating-caliper spot-type disc brake for high-powered vehicles
US6026938A (en) Guide pin and bearing for a disc brake
KR101956137B1 (ko) 캘리퍼 조립체
US20150041259A1 (en) Pin hole shape in a pressure plate
US20190316641A1 (en) Caliper for opposed piston type disc brake
CN102205389B (zh) 旋转受约束的板簧铆夹
WO2011082823A1 (en) Bogie axle box with damping interfaces
US20130081911A1 (en) Disc brake
US7234568B2 (en) High performance disk brake
KR102020664B1 (ko) 캘리퍼 밴드
CN213088594U (zh) 一种单片钢板弹簧总成
JPH0331928B2 (ko)
US10391829B2 (en) Assembly consisting of a frame element, a connecting element and a part secured to the connecting element
KR102278350B1 (ko) 차량용 스트럿 장치
JP2761503B2 (ja) ピンスライド式キャリパ浮動型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874399B1 (ko) 차량용 브레이크 챔버의 푸시로드 가이드와 푸시로드 가이드 커버의 체결구조
CN219277171U (zh) 弹簧垫及车辆
CN220452567U (zh) 一种具有导向销结构的摩擦块总成
KR102551641B1 (ko) 차량용 다이나믹 댐퍼
JPH0932871A (ja) 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案内機構
KR20220152841A (ko) 캘리퍼 어셈블리
CN209454549U (zh) 一种发动机悬置结构
US20220403900A1 (en) Disc brak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