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5930B1 - 가설 흙막이 구조체 - Google Patents

가설 흙막이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5930B1
KR101955930B1 KR1020180042125A KR20180042125A KR101955930B1 KR 101955930 B1 KR101955930 B1 KR 101955930B1 KR 1020180042125 A KR1020180042125 A KR 1020180042125A KR 20180042125 A KR20180042125 A KR 20180042125A KR 101955930 B1 KR101955930 B1 KR 1019559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grouting
pile
plate
grouting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4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김기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기홍 filed Critical 김기홍
Priority to KR1020180042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59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59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59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40Miscellaneous comprising stabilis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lkheads Adapted To Foundation Construction (AREA)

Abstract

가설 흙막이 구조체가 개시되며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말뚝 및 상기 복수의 말뚝 사이마다 배치되는 토류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토류판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불투광성 토류판 및 배면의 상태를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투광성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불투광성 토류판 사이 중 적어도 한 군데에 개재되는 투광성 토류판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성 토류판에는 그 전면과 배면을 연통하도록 그라우팅 주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가설 흙막이 구조체{STRUCTURE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본원은 가설 흙막이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중에 시설되는 하수관이나 도시가스관, 고압 지중 전선, 대형 우수 박스, 지하 공동구 등 지하 매설물을 설치하거나 건축물의 지하층이나 지하철 등과 같은 지하 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서는 지반을 계획된 깊이까지 굴착하는 터파기 공사를 행하고, 우수 및 외부 유입수 등에 의한 배면지반의 연약화를 방지하지 위하여 가설 흙막이 구조물을 설치하고, 지반에서 용출되는 지하수가 굴착현장으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도록 차수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도 1은 종래의 목재 토류판이 H 파일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존의 흙막이 공사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H-pile파일을 배치하고, 그 사이에 목재로 된 토류판을 삽입하여 흙막이 구조물을 설치한 후 구조물 뒷편에 흙을 메워 지반을 안정시키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방법은 흙막이 뒷편에 메워진 흙으로 인해 지반이 안정화되지 않으므로 지반침하, 지반붕괴 등의 위험이 있다. 또한, 통상 목재로 된 토류판을 사용하므로 차수 기능이 낮을 뿐만 아니라 목재 토류판은 불투명하므로 배면토의 상태를 확인할 수 없고, 계측기를 사용한다 하더라도 계측기로 확인할 수 없는 구간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580109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지반의 변위 발생, 지하수 유입, 파이핑 현상 등 토류판의 배면 측 지반에 발생되는 문제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지반을 안정화시키고, 차수를 할 수 있는 흙막이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도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체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말뚝 및 상기 복수의 말뚝 사이마다 배치되는 토류판부를 포함하되, 상기 토류판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불투광성 토류판 및 배면의 상태를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투광성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불투광성 토류판 사이 중 적어도 한 군데에 개재되는 투광성 토류판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성 토류판에는 그 전면과 배면을 연통하도록 그라우팅 주입공이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광성 토류판은 상기 복수의 불투광성 토류판 사이 중 복수 군데에 개재되어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라우팅 주입공에 삽입되는 그라우팅 주입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그라우팅 주입관은 상기 그라우팅 주입공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광성 토류판의 배면 측으로 삽입되는 그라우팅 토출관부를 포함하며, 상기 그라우팅 토출관부의 관 둘레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그라우팅 토출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라우팅 주입관은 상기 그라우팅 토출관부의 전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그라우팅 주입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우팅 주입관부의 말단에는 그라우팅 주입홀이 형성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라우팅 주입관부는 상기 그라우팅 토출관부에 대해 45도 내지 135도만큼 구부러질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투광성 토류판을 상기 말뚝에 고정하는 고정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말뚝의 전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횡 방향 연장되는 말뚝 접촉부재, 상기 말뚝 접촉부재의 상기 말뚝의 전면에 접촉되지 않은 횡 방향 단부에서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토류판 접촉부재 및 상기 말뚝 접촉부재의 상기 말뚝의 전면에 접촉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는 핀 삽입용 홀을 통해 상기 투광성 토류판의 전면에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핀은 상기 핀 삽입용 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핀 삽입용 홀의 너비보다 큰 너비의 두부를 가지고, 상기 두부는 상기 핀 삽입용 홀의 전면 측에 잔여될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토류판 접촉부재는 배면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단부를 가지고, 상기 단부는, 상기 투광성 토류판의 재질과 대비하여, 상기 핀이 상기 투광성 토류판에 삽입될수록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지거나 소성 변형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복수의 말뚝 사이에 투광성 토류판을 배치하여 토류판의 배면 측 지반 상태를 육안으로 모니터링하고 지반의 변위 발생, 지하수 유입, 파이핑 현상 등 문제가 확인되면, 투광성 토류판의 전면과 배면을 연통하는 그라우팅 주입공으로 삽입된 그라우팅 주입관을 통해 그라우팅 재를 주입하여 지반을 안정시킬 뿐만 아니라 차수 역할까지 가능한 가설 흙막이 구조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목재 토류판이 H 파일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말뚝 사이에 배치되는 토류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4는 그라우팅 주입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그라우팅 주입관이 그라우팅 주입공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6은 그라우팅 주입관이 그라우팅 주입공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은 그라우팅 주입관을 통해 그라우팅 재가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은 고정 유닛에 의해 말뚝에 투광성 토류판을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9는 고정 유닛에 의해 말뚝에 투광성 토류판을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고정 유닛에 의해 말뚝에 투광성 토류판을 고정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1은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의 도면이다.
도 12는 따른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이 이웃하는 2개의 토류판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이 이웃하는 2개의 토류판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4는 지지 부재가 틈을 통해 이동 가능한 통과 허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15는 지지 부재가 틈을 통한 이동이 제한되는 통과 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 중 방향이나 위치와 관련된 용어(좌우 방향, 전후 방향, 높이 방향, 상하 방향, 종 방향, 횡 방향, 전방, 전면 측, 후방, 배면 측 등)는 도면에 나타나 있는 각 구성의 배치 상태를 기준으로 설정한 것이다. 예를 들면, 도 2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3시-9시 방향이 좌우 방향 및 종 방향일 수 있고, 도 13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3시-9시 방향이 횡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 2를 보았을 때, 전방적으로 12시-6시 방향이 높이 방향 및 상하 방향일 수 있다. 또한, 도 5 및 도 13의 확대한 부분을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전방 및 전면 측,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후방 및 배면 측일 수 있다. 즉,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의 설명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이 가설 흙막이 구조체 전체 시스템에서의 횡 방향에 대응하고,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의 설명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이 가설 흙막이 구조체 전체 시스템에서의 종 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
본원은 가설 흙막이 구조체(1)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설 흙막이 구조체(이하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는 건축물의 지하층이나 지하철 등의 지하구조물을 구축하기 위해 해당 지반을 일정깊이로 굴토하는 터파기 공사 후 토압에 의한 굴토면의 붕괴 및 유입수의 침투를 방지하기 위한 구조물을 시공하는 흙막이 공사에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은 말뚝 사이에 배치되는 토류판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입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는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말뚝(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말뚝(100)은 종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복수의 말뚝(100)은 1800 mm 내지 2000 mm 간격(말뚝(100)이 H 형강인 경우, 웹(130)과 웹(130) 사이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말뚝(100)은 강말뚝, 엄지말뚝일 수 있고, 강말뚝은H 형강(H-pile)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말뚝(100)은 300x300x10x15의 규격을 가지는 H 형강일 수 있다. 말뚝(100)의 웹(130)과 웹(130) 사이의 간격은 후술할 토류판부(200)의 길이와 같거나 토류판부(200)의 길이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는 복수의 말뚝(100) 사이마다 배치되는 토류판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말뚝(100)이 H 형강인 경우, 토류판부(200)는 상부 플랜지(110)와 하부 플랜지(1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으며 하부플랜지(120)의 배면에 토류판부(200)의 전면의 일부가 접촉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토류판부(200)는 종 방향을 따라 300 mm의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토류판부(200)는,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불투광성 토류판(21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불투광성 토류판(210)은 소재가 목재(TIMBER)인 목재 토류판일 수 있다. 불투광성 토류판(210)은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불투광성 토류판(210)의 길이는 1800 mm, 높이는 150mm, 두께는 60 mm 내지 80 mm 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불투광성 토류판(210)의 두께는 배면토압에 따라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토류판부(200)는 배면의 상태를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투광성을 가지고 복수의 불투광성 토류판(210) 사이 중 적어도 한 군데에 개재되는 투광성 토류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성 토류판(220)은 투명, 반투명을 다 포괄해서 조사되는 광 중 적어도 일부가 투과할 수 있는 재질의 부재를 의미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투광성 토류판(220)은 모래나 흙의 유실로 인한 지반침하, 균열, 공동 또는 배수, 누수 등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비침 정도를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투광성 토류판(220)은 소재가 투명 아크릴인 투명 아크릴 토류판일 수 있다. 투광성 토류판(220)은 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투광성 토류판(220)에 사용되는 투명 아크릴 토류판 TYPE의 길이는 1800 mm 내지 2000 mm, 높이는 150mm 내지 300mm, 두께는 30 mm 내지 60 mm 일 수 있다. 다만,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투광성 토류판(220)의 두께는 배면토압에 따라 60 mm 내지 140 mm로 설정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투광성 토류판(220)은 복수의 불투광성 토류판(210) 사이 중 복수 군데에 개재되어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투광성 토류판(220)이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됨에 따라, 높이 별로 투광성 토류판(210)의 배면 측 배면토(되메움토)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즉, 투광성 토류판(210)은 배면토의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토류판 점검구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투광성 토류판(220)이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고, 높이 방향으로 배치된 2개의 투광성 토류판(220) 사이에 복수개의 불투광성 토류판(210)이 배치될 수 있다. 투광성 토류판(220)의 높이 방향으로의 간격(CTC)은 2000 mm 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도 3을 참조하면, 불투광성 토류판(210)과 투광성 토류판(220)은 서로 번갈아 누적 배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의 투광성 토류판(220)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투광성 토류판(220)에는 그 전면과 배면을 연통하도록 그라우팅 주입공(2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그라우팅 주입공(221)은 투광성 토류판(220)의 전면의 중심과 배면의 중심이 연결되어 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그라우팅 주입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그라우팅 주입관이 그라우팅 주입공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한, 도 6은 그라우팅 주입관이 그라우팅 주입공에 삽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그라우팅 주입관을 통해 그라우팅 재가 주입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는 그라우팅 주입공(221)에 삽입되는 그라우팅 주입관(30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우팅 주입관(300)의 직경(외경)은 그라우팅 주입공(221)의 직경과 같거나 그라우팅 주입공(221)의 직경보다 작게 설정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그라우팅 주입관(300)의 직경(외경)은 50 mm일 수 있다. 또한, 그라우팅 주입관(300)은 강제로 구비되는 강관(스틸 파이프)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다.
도 4 내지 도6을 참조하면, 그라우팅 주입관(300)은 그라우팅 주입공(221)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투광성 토류판(220)의 배면 측으로 삽입되는 그라우팅 토출관부(31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라우팅 토출관부(310)는 전단에서 말단 방향으로 투광성 토류판(220)의 배면 측으로 삽입되어 배면토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4를 참조하면, 전반적으로 3시 방향이 그라우팅 토출관부(310)의 말단, 전반적으로 9시 방향이 그라우팅 토출관부(310)의 전단일 수 있다. 그라우팅 토출관부(310)의 말단은 필요에 따라 막혀있을 수 있다.
또한, 그라우팅 주입관(300)은 그라우팅 토출관부(310)의 전단으로부터 구부러져 연장되는 그라우팅 주입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그라우팅 토출관부(310)와 그라우팅 주입관부(320)는 접착제, 열 접합 등의 다양한 접합 방식을 통해 접합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그라우팅 토출관부(310)와 그라우팅 주입관부(320)는 상호 접합되는 것이 아니라 연속성이 있게 일체화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라우팅 토출관부(310)의 길이는 1000 mm, 그라우팅 주입관부(320)의 길이는 500 mm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라우팅 주입관부(320)의 말단에는 그라우팅 주입홀(321)이 형성될 수 있다. 그라우팅 주입홀(321)을 통해 그라우팅 재가 주입될 수 있다.
그라우팅 주입관부(320)는 그라우팅 토출관부(310)에 대해 45도 내지 135도만큼 구부러질 수 있다. 그라우팅 주입관부(320)는 그라우팅 주입홀(321)을 통해 주입된 그라우팅 재가 그라우팅 주입관부(320)의 전단과 대응하는 그라우팅 토출관부(310)의 말단 부분에서 막힘없이 그라우팅 토출관부(310)로 전달될 수 있을 정도의 각도만큼 그라우팅 토출관부(310)에 대해 구부러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라우팅 주입관부(320)는 그라우팅 토출관부(310)의 전단으로부터 90도 구부러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부러진 형상을 갖는 그라우팅 주입관(300)은 그라우팅 주입공(221)에 그라우팅 토출관부(310)가 삽입된 상태에서, 그라우팅 주입관부(320)가 그라우팅 토출관부(310)를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고, 그라우팅 주입홀(321)이 향하는 방향이 바뀔 수 있다. 이에 따라, 그라우팅 재를 주입할 때, 주입이 편한 방향으로 그라우팅 주입홀(321)을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그라우팅 토출관부(310)의 관 둘레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그라우팅 토출홀(311)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그라우팅 토출홀(311)은 투광성 토류판(220)의 전면 측에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 그라우팅 토출관부(310)는 복수의 그라우팅 토출홀(311)이 전면 측에서 노출되지 않을 만큼 투광성 토류판(220)의 배면 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도 5 및 도6을 참조하면, 그라우팅 주입관(300)이 그라우팅 주입공(211)에 삽입된 상태에서, 복수의 그라우팅 토출홀(311)은 모두 투광성 토류판(220)의 배면측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그라우팅 토출홀(311)은 관 둘레에 100 mm의 간격(CTC)을 두고 7개 내지 10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그라우팅 토출홀(311)의 직경은 20mm일 수 있다. 그라우팅 주입홀(321)로 주입된 그라우팅 재가 그라우팅 토출홀(310)을 통해 배면토 쪽으로 토출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투광성 토류판(220)을 통해 모래나 흙의 유실로 인한 지반침하, 균열부, 공동, 배수, 누수 등을 육안으로 확인한 뒤, 그라우팅 주입공(211)에 삽입된 그라우팅 주입관(300)의 그라우팅 주입홀(321)을 통해 그라우팅 재를 주입하여 그라우팅 토출홀(311)을 통해 토출시키면 배면토의 침하, 균열 등 지반 변위 발생시 지반을 안정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링 그라우팅 공사 시행 후 생긴 차수벽에 지하수 용출 및 파이핑 현상 등이 발생시 차수를 할 수 있다.
도 8은 고정 유닛에 의해 말뚝에 투광성 토류판을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9는 고정 유닛에 의해 말뚝에 투광성 토류판을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10은 고정 유닛에 의해 말뚝에 투광성 토류판을 고정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는 투광성 토류판(220)을 말뚝(100)에 고정하는 고정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400)은, 말뚝(100)의 전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횡 방향 연장되는 말뚝 접촉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단, 고정 유닛(400)이 전개되는 방향은 도 2를 보았을 때, 3시-9시 방향(종 방향)이며, 고정 유닛(400)을 설명함에 있어서, 횡 방향은 도 10에서의 3시-9시을 의미할 수 있다.
말뚝(100)이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H 형강인 경우, 고정 유닛(400)은 토류판부(200)는 하부 플랜지(120)의 전면에 접촉되는 말뚝 접촉부재(4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말뚝 접촉부재(410)는 하부 플랜지(120)의 전면에 접촉된 부분(a)에서 하부플랜지(120)의 전면에 접촉되지 않은 부분(b)으로 횡 방향 연장된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고정 유닛(400)은 말뚝 접촉부재(410)의 말뚝(100)의 전면에 접촉되지 않은 횡 방향 단부에서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토류판 접촉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토류판 접촉부재(420)는 말뚝(100)의 전면에 접촉되지 않은 부분(b)의 횡 방향 단부로부터 구부러져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토류판 접촉부재(420)는 투광성 토류판(220)의 전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말뚝 접촉부재(410)와 토류판 접촉부재(420)는 일체화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ㄱ-사각와셔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면, 말뚝 접촉부재(410)의 말뚝(100)의 전면에 접촉되지 않은 부분(b)에 형성되는 핀 삽입용 홀(411)을 통해 투광성 토류판(220)의 전면에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핀(430)을 포함할 수 있다. 핀(430)이 말뚝(100)에 삽입되는 것이 아닌 투광성 토류판(220)의 전면에 삽입되도록 핀 삽입용 홀(411)은 말뚝(100)의 전면에 접촉되지 않은 부분(b)에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핀(430)은 나사핀(스크류(SCREW) 볼트)일 수 있으며 핀(430)은 직경이 6mm, 길이가 60mm일 수 있다.
핀(430)은 핀 삽입용 홀(411)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핀 삽입용 홀(411)의 너비보다 큰 너비의 두부(431)를 가지고, 두부(431)는 핀 삽입용 홀(411)의 전면 측에 잔여될 수 있다. 두부(431)는 핀 삽입용 홀(411)의 너비보다 큰 너비의 가지기 때문에, 두부(431)가 말뚝 접촉부재(410)의 전면과 접촉된 상태(핀(430)이 투광성 토류판(220)에 최대로 삽입되었을 때)에서 두부(431)는 핀 삽입용 홀(411)에 삽입되지 않고, 핀 삽입용 홀(411)의 전면 측에 잔여될 수 있다.
핀(430)이 투광성 토류판(220)에 삽입될수록 두부(431)에 의해 말뚝 접촉부재(410)의 전면이 가압되고, 그 가압력이 말뚝 접촉부재(410)로 전달되어서 말뚝 접촉부재(410)가 말뚝(100)을 배면(말뚝(100)이 H 형강인 경우, 하부 플랜지(120)의 배면) 방향으로 가압한다. 한편, 핀(430)이 투광성 토류판(220)에 삽입될수록 투광성 토류판(220) 또한 말뚝(100)의 배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양 방향 가압에 의해 말뚝(100)의 일부 부재가 압착되면서 투광성 토류판(220)이 말뚝(100)에 고정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토류판 접촉부재(420)는 배면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단부(421)를 가질 수 있다. 단부(421)는, 투광성 토류판(220)의 재질과 대비하여, 핀(430)이 투광성 토류판(220)에 삽입될수록 적어도 일부가 구부러지거나 소성 변형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핀(430)이 투광성 토류판(220)에 삽입될수록 말뚝(100)에 양 방향 가압이 가해져, 단부(421)는 투광성 토류판(220)의 전면에 접촉되어 구부러지거나 투광성 토류판(220)의 전면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단부(421)는 핀(430)이 삽입될 때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구부러지거나 투광성 토류판(220)의 전면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소성 변형되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단부(421)가 소성 변형되는 재질로 구비됨에 따라, 말뚝(100)과 투광성 토류판(220)이 밀착될 수 있다.
또한, 이에만 한정된 것은 아니며 고정 유닛(400)은 불투광성 토류판(210)을 말뚝(100)에 고정할 때 사용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가설 흙막이 구조체(1)의 설치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가설 흙막이 구조체의 설치 방법은 전술한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를 이용한 방법으로서 그와 동일하거나 상응한 기술적 특징을 공유한다고 할 것이므로,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와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간략히 하거나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가설 흙막이 구조체의 설치 방법 또한 당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방법이라 할 것이므로,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를 이용함에 따라 변동되는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의 설치 방법은 지중에 간격을 두고 복수의 말뚝(100)을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말뚝(100)은 H 형강(H-pile)일 수 있다.
또한,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의 설치 방법은 복수의 말뚝(100) 사이마다 토류판부(200)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토류판부(200)로 구성된 토류벽의 배면토가 이완되지 않도록 굴착후 즉시 토류판부(200)를 설치할 수 있다. 토류판부(200)는 불투광성 토류판(210)과 배면의 상태를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투광성을 가지는 투관성 토류판(220)을 포함할 수 있다. 투광성 토류판(220)은 복수의 불투광성 토류판(210) 사이 중 복수 군데에 개재되어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될 수 있다.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의 시공구간에서 토류판부(200)는 토공굴착선 이하(하측으로)로 설치될 수 없다. 토류판부(200)와 관련하여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의 설치 방법은 고정 유닛(400)을 통해 토류판부(200)를 말뚝(100)에 고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토류판부(200)로 구성된 토류벽이 말뚝(100)에 정확히 지지되도록 고정 유닛(400)을 설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말뚝은 강말뚝일 수 있다. 고정 유닛(400)은 말뚝 접촉부재(410), 토류판 접촉부재(420) 및 핀(43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유닛(400)은 투광성 토류판(220)을 말뚝(100)에 고정할 수 있다. 핀(430)이 투광성 토류판(220)에 삽입될수록 두부(431)에 의해 말뚝 접촉부재(410)의 전면이 가압되고, 그 가압력이 말뚝 접촉부재(410)로 전달되어서 말뚝 접촉부재(410)가 말뚝(100)을 배면(말뚝(100)이 H 형강인 경우, 하부 플랜지(120)의 배면) 방향으로 가압한다. 한편, 핀(430)이 투광성 토류판(220)에 삽입될수록 투광성 토류판(220) 또한 말뚝(100)의 배면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양 방향 가압에 의해 말뚝(100)의 일부 부재가 압착되면서 투광성 토류판(220)이 말뚝(1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말뚝(100)과 투광성 토류판(220) 사이에 핀(430)을 설치하여 토광성 토류판(220)을 말뚝에 밀착할 수 있다.
또한,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의 설치 방법은 토류판부(200)의 하부에 스토퍼(stopper)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스토퍼는 철근일 수 있으며 토류판부(200)가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가 설치된 후, 투광성 토류판(220)을 통해 지반침하, 균열, 공동, 배수, 누수 등을 육안으로 확인하여 투광성 토류판(220)에 형성된 그라우팅 주입공(221)에 삽입되는 그라우팅 주입관(300)으로 그라우팅 재를 주입하여 지반을 안정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수 역할도 할 수 있다. 현장 내 설치한 계측기 만으로 확인할 수 없는 구간을 투광성 토류판(220)을 통해 육안으로 일일이 체크할 수 있어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와 같은 가시설 공사를 안정적으로 시공할 수 있다.
그라우팅 주입공(221)에 그라우팅 주입관(300)이 삽입된 상태에서 투광성 토류판(220)이 말뚝(100) 사이마다 배치될 수 있고, 말뚝(100) 사이에 투광성 토류판(220)을 배치한 뒤, 추후에 그라우팅 주입공(221)에 그라우팅 주입관(300)이 삽입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가설 흙막이 구조체(1)에 적용되는 본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이하 '본 본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이라 함)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11)은 복수의 H-pile파일을 배치하고, 그 사이에 토류판을 삽입하는 흙막이 구조체에서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개의 토류판 사이의 틈을 통해 통과되어 놓일 수 있다.
도 11은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의 도면이고, 도 12는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이 이웃하는 2개의 토류판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이 이웃하는 2개의 토류판 사이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횡단면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생명줄 고정핀(11)은,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토류판(110) 사이에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된 틈을 통해 그 전단이 전방 돌출되고 그 후단이 2개의 토류판(110)의 배면 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는 전방 돌출 부재(1100)을 포함할 수 있다. 전방 돌출 부재(1100)는 이웃하는 2개의 토류판(110) 사이에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된 틈을 통해 통과되어 그 전단이 전방으로 돌출되고, 그 후단이 토류판(110)의 배면 측에 위치하도록 토류판(110)의 틈의 너비보다 작거나 토류판(110)의 틈의 너비와 같은 너비를 가질 수 있으며 그 길이는 토류판(110)의 두께보다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방 돌출 부재(1100)의 길이는 150 mm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전방 돌출 부재(1100)는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본 생명줄 고정핀(11)은, 전방 돌출 부재(1100)의 후단으로부터 전후 방향과 직교하는 직각 방향을 따라 양 방향 분기되어 연장 형성되는 지지 부재(1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지지 부재(1200)는 전방 돌출 부재(1100)의 후단으로부터 T자 형태로 분기된다고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본 생명줄 고정핀(11)은 T자 하강기일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전방 돌출 부재(1100)와 지지 부재(1200)는 접착제, 열 접합 등의 다양한 접합 방식을 통해 접합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된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 전방 돌출 부재(1100)와 지지 부재(1200)는 상호 접합되는 것이 아니라 연속성이 있게 일체화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지지 부재(1200)는 이웃하는 2개의 토류판(110) 사이에 좌우 방향을 따라 형성된 틈을 통해 통과되어 토류판(10)의 배면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지지 부재(1200)가 토류판(110)의 배면 측에 위치하도록 토류판(110)의 틈보다 작은 너비를 가질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방 돌출 부재(1100)와 지지 부재(1200)의 너비는 같을 수 있다. 또한, 예시적으로, 지지 부재(1200)는 그 길이가 140 mm일 수 있으며 원통형의 형상일 수 있다.
또한, 본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11)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토류판(110) 사이에 2000mm ~ 3000mm 간격(CTC)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14는 지지 부재가 틈을 통해 이동 가능한 통과 허용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15는 지지 부재가 틈을 통한 이동이 제한되는 통과 제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및 도 15를 참조하면, 지지 부재(1200)는, 직각 방향이 좌우 방향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 틈을 통해 이동 가능한 통과 허용 상태에 놓이고, 직각 방향이 좌우 방향에 대응하지 않도록 배치되는 경우, 2개의 토류판(110)의 배면을 지지함에 따라 틈을 통한 이동이 제한되는 통과 제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200)가 직각 방향이 좌우 방향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경우는, 예시적으로, 지지 부재(1200)와 토류판(110) 사이의 틈이 평행한 상태로 이해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 부재(1200)와 틈이 수평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배치 상태에서 지지 부재(1200)는 틈을 통해 토류판(110)의 전면 측에서 배면 측으로 이동될 수 있는 통과 허용 상태일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 부재(1200)가 직각 방향과 좌우 방향에 대응하지 않는 경우는, 예시적으로 전방 돌출 부재(1100)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해 지지 부재(1200)가 토류판(110) 사이의 틈과 수평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다시 말해, 도 14와 같은 통과 허용 상태에서, 전방 돌출 부재(1100)를 회전시키면 전방 돌출 부재(1100)의 후단에 연결된 지지 부재(1200) 역시 회전됨에 따라 지지 부재(1200)의 전면 중 전방 돌출 부재(110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대응하는 면이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2개의 토류판(110) 각각의 배면을 지지하여 지지 부재(1200)는 토류판(110) 사이의 틈을 통해 통과될 수 없는 도 15와 같은 통과 제한 상태에 놓일 수 있다. 예시적으로, 지지 부재(1200)는 직각 방향이 상하 방향(도 14 및 도 15를 보았을 때, 전반적으로 12시-6시 방향)에 대응되도록 좌우 방향에서 상하 방향을 향해 90도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전방 돌출 부재(1100)의 전단에 연결되는 고리 유닛(130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고리 유닛(1500)은 폐쇄형 루프 형상(링 형상)일 수 있으며 그 내경이 50 mm일 수 있다. 고리 유닛(1500)에는 비너(120, Biner)가 체결될 수 있다. 비너(120)는 선택적으로 개방(오픈)될 수 있는 구성으로 고리 유닛(1300)에 체결될 수 있다. 지지 부재(1200)가 통과 허용 상태에서 통과 제한 상태로 전환 되면, 비너(120)에 안전 로프(130, Safety Rope)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고리 유닛(1300)은 비너(120)와 같이 폐쇄형 루프가 선택적으로 개방(오픈)될 수 있는 구성으로 구비될 수 있어 고리 유닛(1300) 자체에 안전 로프가 설치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안전 로프는 16mm의 직경을 갖는 PP 로프일 수 있다.
본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11)은 우수 및 외부 유입수 등에 의한 배면지반의 연약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가설 흙막이 구조체에 설치될 수 있다. 가설 흙막이 구조체의 토류벽 설치 후 상하 방향으로 이웃하는 두개의 토류판(110)과 토류판(110) 사이에 본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11)이 설치될 수 있으며, 그 후 고리 유닛(1300)에 비너(120)가 체결될 수 있다.
또한, 본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11)은 도 11과 같이 흙막이 구조체에 종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종 방향으로 설치된 본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11)에 안전 로프(130)를 종 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이 때, 작업자의 안전밸트는 안전 로프(130)와 체결되어 띠장(140)을 설치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작업자는 안전 로프(130)와 연결될 수 있는 안전밸트를 신체의 일부분에 착용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본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11)은 흙막이 구조체에 횡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횡 방향으로 설치된 본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11)에 안전 로프(130)를 횡 방향을 따라 설치하고, 이때, 작업자의 안전밸트는 안전 로프(130)와 체결되어 버팀보(150)를 설치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 이처럼, 안전 로프(130)의 설치를 통해 작업자가 안전 로프(130)와 연결되어 작업자의 추락에 의한 잠재 위험성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횡 방향 양측에 설치된 2개의 전면 엄지말뚝 사이에는 횡 방향으로 복수의 중간 말뚝이 설치될 수 있고, 종 방향으로 버팀보가 설치될 수 있으며 버팀보와 중간말뚝은 U볼트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6은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통과 허용 상태를 기준으로, 본 생명줄 고정핀(11)은, 지지 부재(1200)의 전면 중 전방 돌출 부재(1100)의 좌측 및 우측 각각에 대응하는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전방으로 갈수록 직각 방향을 따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한 쌍의 쐐기 부재(1400)를 구비하는 쐐기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쐐기 부재(1400)은 도 11에서, 전방 돌출 부재(1100)가 연장 형성된 전후 방향 축(12시-6시 방향)과 지지 부재(1200)가 연장 형성된 직각 방향 축(3시-9시 방향)으로 정의되는 평면상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 토류판(110) 틈으로 통과될 수 있다. 또한, 쐐기 부재(1400)는 그 각각이 지지 부재(1200)의 양측으로 갈수록 지지 부재(1200)와의 거리가 멀어지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쐐기 부재(1400) 각각은 전방 돌출 부재(1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의 당김 힘이 작용되면 지지 부재(1200)의 전면과 토류판(110)의 배면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전방 돌출 부재(1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의 당김 힘이 작용되면 쐐기 부재(1400) 각각과 지지 부재(1200)의 양측과의 거리는 통과 허용 상태에서보다 가까워질 수 있다.
쐐기 유닛은, 통과 제한 상태에서 전방 돌출 부재(1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의 당김 힘이 작용되면 한 쌍의 쐐기 부재(1400) 각각이 2개의 토류판(110) 각각의 배면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파고들어가 쐐기 효과가 제공될 수 있도록 토류판(110)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토류판(110)은 목재일 때, 쐐기 유닛은 목재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토류판(110)과 쐐기 유닛에 같은 압력을 가했을 때, 쐐기 유닛의 변형이 토류판(110)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적을 때, 쐐기 유닛은 토류판(110)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다고 이해될 수 있다. 전방 돌출 부재(1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의 당김 힘이 작용되면 쐐기 부재(1400) 각각이 2개의 토류판(110) 각각의 배면의 내측으로 삽입되고 토류판(110)과 쐐기 부재(1400)가 쐐기 결합되어 지지 부재(1200)의 후방에 대하여 당김 힘이 작용되어도 그 상태(쐐기 부재(1400) 각각이 2개의 토류판(110) 각각의 배면의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7은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생명줄 고정핀(11)은, 지지 부재(1200)의 전면으로부터 전방으로 돌출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1500)를 포함할 수 있다. 돌기(1500)는 전단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뾰족해지는) 형상일 수 있다.
돌기(1500)는, 통과 제한 상태에서 전방 돌출 부재(1100)에 대하여 전방으로 소정의 당김 힘이 작용되면 2개의 토류판(110) 중 어느 하나의 배면의 내측으로 적어도 일부가 파고들어갈 수 있도록 토류판(110)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토류판(110)은 목재일 때, 돌기(1500)는 목재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 재질로 구비될 수 있다. 토류판(110)과 돌기(1500) 에 같은 압력을 가했을 때, 돌기(1500)의 변형이 토류판(110)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적을 때, 돌기(1500)는 토류판(110)보다 높은 강성을 갖는다고 이해될 수 있다.
이처럼, 토류판(110)보다 높은 강성으로 구비되는 쐐기 부재(1400) 및 돌기(1500)의 일부가 토류판(110)의 배면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추후에 안전 로프(130)가 연결되었을 때, 본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11)은 작업자에 의해 상하 방향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더 잘 견딜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가설 흙막이 구조체
100: 말뚝
110: 상부 플랜지
120: 하부 플랜지
130: 웹
200: 토류판부
210: 불투광성 토류판
220: 투광성 토류판
221: 그라우팅 주입공
300: 그라우팅 주입관
310: 그라우팅 토출관부
311: 그라우팅 토출홀
320: 그라우팅 주입관부
321: 그라우팅 주입홀
400: 고정 유닛
410: 말뚝 접촉부재
411: 핀 삽입용 홀
420: 토류판 접촉부재
421: 토류판 접촉부재의 단부
430: 핀
431: 핀의 두부
11: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
1100: 전방 돌출 부재
1200: 지지 부재
1300: 고리 유닛
1400: 쐐기 부재
1500: 돌기
110: 토류판
120: 비너
130: 안전 로프
140: 띠장
150: 버팀보

Claims (8)

  1. 가설 흙막이 구조체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배치되는 복수의 말뚝;
    상기 복수의 말뚝 사이마다 배치되는 토류판부; 및
    투광성 토류판을 상기 말뚝에 고정하는 고정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토류판부는,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복수의 불투광성 토류판 및 배면의 상태를 모니터링 가능하도록 투광성을 가지고 상기 복수의 불투광성 토류판 사이 중 적어도 한 군데에 개재되는 투광성 토류판을 포함하고,
    상기 투광성 토류판에는 그 전면과 배면을 연통하도록 그라우팅 주입공이 형성되며,
    상기 가설 흙막이 구조체는 상기 그라우팅 주입공에 삽입되는 그라우팅 주입관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그라우팅 주입관은 상기 그라우팅 주입공을 통해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광성 토류판의 배면 측으로 삽입되는 그라우팅 토출관부 및 상기 그라우팅 토출관부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그라우팅 토출관부에 대해 45도 내지 135도 만큼 구부러져 연장되어 상기 투광성 토류판의 전면에 위치하는 그라우팅 주입관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라우팅 토출관부의 관 둘레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그라우팅 토출홀이 형성되며,
    상기 그라우팅 주입관부의 말단에는 그라우팅 주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유닛은,
    상기 말뚝의 전면에 적어도 일부가 접촉되도록 횡 방향 연장되는 말뚝 접촉부재, 상기 말뚝 접촉부재의 상기 말뚝의 전면에 접촉되지 않은 횡 방향 단부에서 배면 방향으로 연장되는 토류판 접촉부재 및 상기 말뚝 접촉부재의 상기 말뚝의 전면에 접촉되지 않은 부분에 형성되는 핀 삽입용 홀을 통해 상기 투광성 토류판의 전면에 일부가 삽입 고정되는 핀을 포함하며,
    상기 핀은 상기 핀 삽입용 홀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상기 핀 삽입용 홀의 너비보다 큰 너비의 두부를 가지고,
    상기 두부는 상기 핀 삽입용 홀의 전면 측에 잔여하며,
    상기 핀이 상기 투광성 토류판에 삽입될수록, 상기 말뚝 접촉부재는 상기 말뚝을 배면 방향으로 가압하고 상기 투광성 토류판은 상기 말뚝을 전면 방향으로 가압하며,
    상기 토류판 접촉부재는 배면 방향으로 갈수록 그 폭이 좁아지는 단부를 가지고,
    상기 단부는, 상기 투광성 토류판의 재질과 대비하여, 상기 핀이 상기 투광성 토류판에 삽입될수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투광성 토류판 측으로 삽입되도록 구부러지거나 소성 변형되는 재질로 구비되는 것인, 가설 흙막이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성 토류판은 상기 복수의 불투광성 토류판 사이 중 복수 군데에 개재되어 높이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개 배치되는 것인, 가설 흙막이 구조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80042125A 2018-04-11 2018-04-11 가설 흙막이 구조체 KR1019559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125A KR101955930B1 (ko) 2018-04-11 2018-04-11 가설 흙막이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42125A KR101955930B1 (ko) 2018-04-11 2018-04-11 가설 흙막이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5930B1 true KR101955930B1 (ko) 2019-06-24

Family

ID=670560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42125A KR101955930B1 (ko) 2018-04-11 2018-04-11 가설 흙막이 구조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593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951A (ko) * 1999-05-31 2000-12-26 아오야마 가즈나리 지반개량 조성방법 및 지반개량 조성장치
KR20030036508A (ko) * 2003-04-12 2003-05-09 허복현 지하터널의 압밀굴착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밀토류판
KR20040096820A (ko) * 2004-04-09 2004-11-17 풍림산업 주식회사 투명토류판을 이용한 흙막이벽 배면지반 시공구조 및 그시공방법
KR20150093418A (ko) * 2014-02-07 2015-08-18 (주)나우기술 콘크리트 토류판과 h빔을 이용한 흙막이 가설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6951A (ko) * 1999-05-31 2000-12-26 아오야마 가즈나리 지반개량 조성방법 및 지반개량 조성장치
KR20030036508A (ko) * 2003-04-12 2003-05-09 허복현 지하터널의 압밀굴착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압밀토류판
KR20040096820A (ko) * 2004-04-09 2004-11-17 풍림산업 주식회사 투명토류판을 이용한 흙막이벽 배면지반 시공구조 및 그시공방법
KR20150093418A (ko) * 2014-02-07 2015-08-18 (주)나우기술 콘크리트 토류판과 h빔을 이용한 흙막이 가설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nno et al. Performance of a stiff support system in soft clay
KR101595702B1 (ko) 보강브릿지가 구비된 강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JP3415802B2 (ja) 止水遮断装置
CN205636706U (zh) 原位土压力测试装置
KR20120013736A (ko) 피에이치씨 말뚝을 이용한 차수 흙막이 벽체
JP2007177467A (ja) 土石流止め工及びその施工方法
KR101136240B1 (ko) 거푸집 및 지하외벽 수직철근 겸용 철재수직토류판과 그 지지구조
KR101955930B1 (ko) 가설 흙막이 구조체
Kokavessis et al. Finite element modeling of buried pipelines subjected to seismic loads: soil structure interaction using contact elements
KR101653606B1 (ko) 일체식 교대 교량 시공방법
KR100969552B1 (ko) 지하수위 조절 집배수장치
KR101955931B1 (ko) 토류판 생명줄 고정핀
KR101851279B1 (ko) 강판을 연속하여 연결한 저심도 흙막이 차수 공법
KR20170092411A (ko) 보강섬유가 접합된 강판을 이용한 흙막이 구조물
JP3905069B2 (ja) 乾式作業函およびその設置方法
JP5314252B2 (ja) 管路の構造
KR101906198B1 (ko) 가설 흙막이 구조물
KR101552065B1 (ko) 보강토옹벽의 블록과 보강재의 연결장치
JP6542587B2 (ja) マンホールの浮上防止工法
KR100681843B1 (ko) 도로의 흄관매설구조
KR101866792B1 (ko) 흙막이 구조물
KR20220155696A (ko) 흙막이벽의 프리캐스트 외장 패널 시공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CN113502847A (zh) 一种用于埋地管道的装配式刚性支撑保护地基结构
KR100524136B1 (ko) 트렌치와 배수재를 이용한 기초바닥 영구배수 구조체 및그의 구축방법
Thirukumaran et al. Successful design of large span caverns in the challenging ground condi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