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696B1 - 층층나무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Google Patents

층층나무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696B1
KR101954696B1 KR1020170110780A KR20170110780A KR101954696B1 KR 101954696 B1 KR101954696 B1 KR 101954696B1 KR 1020170110780 A KR1020170110780 A KR 1020170110780A KR 20170110780 A KR20170110780 A KR 20170110780A KR 101954696 B1 KR101954696 B1 KR 101954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nkl
leaf
bone
bark
t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1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8018A (ko
Inventor
정원윤
박광균
김형근
이주희
이승은
이상원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대한민국(농촌진흥청장)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Publication of KR20180028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8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장미목 식물 추출물, 층층나무속 식물 추출물, 모시풀속 식물 추출물 및 서어나무속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치료 부작용을 현저히 감소시킨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골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을 이용하면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골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다.

Description

층층나무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A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OR PREVEBTING BON DISEASE}
본 발명은 (a) 바위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개살구, 벚나무, 복사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섬개벚나무, 섬벚나무, 올벚나무, 및 왕벚나무로 이루어진 장미목(Rosale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b) 곰의말채, 말채나무, 층층나무, 흰말채나무, 산딸나무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층층나무속(Cornu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c) 개모시풀 및 거북꼬리로 이루어진 모시풀속(Boehmeria)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및 (d) 개서어나무 및 서어나무로 이루어진 서어나무속(Carpinu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다핵 대형 세포인 파골세포(osteoclast)는 골(bone) 조직의 파괴 및 흡수의 기능을 가지고 있어, 골 기질을 파괴하고 뼈의 미네랄을 분해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활성화된 파골세포는 세 개 이상의 핵을 가지고 있는데, 파골 전구세포(precursor cell)로부터 성숙한 다핵의 파골세포로 분화되기 위해서는 M-CSF(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와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와 같은 다양한 호르몬들과 인자들을 필요로 한다(Mojtaba A., et al., Cancer Biol Ther., 7:1,3-9;1 (2008)). 상기 파골세포는 골 내에서 조골세포(osteoblast)와의 불균형(imbalance)으로 인하여 비정상적인 골 조직의 파괴 및 흡수를 유발하고 이로 인하여, 뼈(bone)의 질량 및 골밀도가 감소하는 골다공증(osteoporosis), 뼈에서 석회가 탈실되는 골연화증(osteomalacia), 골수가 섬유화되는 섬유성골염(fibrous ostitis), 치조골이 소실되는 치주염(periodontitis), 관절의 파괴 및 변형을 초래하는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등의 원인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질병들의 원인 기작은 명확하게 규명된 것은 아니지만, 파골세포와 조골세포와의 불균형은 암 세포의 골 전이, 내분비 장애, 부갑상선 기능 항진증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상기 다양한 질병들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하여 파골세포에 의한 골 조직의 파괴 및 흡수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다양한 약물들과 치료법들에 대하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현재 골다공증과 같은 파골세포에 의한 골 손상 치료에는 포사맥스(Fosamax, 성분명: aledronate), 악토넬(Actonel, 성분명: risedronate), 조메타(Zometa, 성분명: zoledronate) 등과 같은 비스포스포네이트(bisphosphonate) 계열의 치료제가 널리 이용되고 있으나, 상기 제제들은 대부분 파골세포의 사멸을 유도해 뼈의 손실을 지연시키거나 억제하는 작용을 하므로 턱뼈 괴사(osteonecrosis), 중증 심방 세동, 뼈 또는 관절의 무력화, 근골격의 통증 등 다양한 부작용을 야기시킨다는 문제점이 있다(Coleman RE., Br J Cancer, 98:1736-1740 (2008)).
한편, 유방암, 전립선암 등에서 뼈로 전이된 암세포에 의해서도 파골세포의 형성이 촉진되어 심각한 골질환들이 발생하는데 이를 치료하기 위한 약물은 개발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기존의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약재들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의 비스포스포네이트 계열의 단점을 보완하고자, 장미목 식물 추출물, 층층나무속 식물 추출물, 모시풀속 식물 추출물 및 서어나무속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 추출물을 이용함으로써 치료 부작용을 현저히 감소시킨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연구 결과, 장미목 식물 추출물, 층층나무속 식물 추출물, 모시풀속 식물 추출물 및 서어나무속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사용하는 경우, 파골세포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골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음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파골세포”란, 골 기질을 파괴하고 뼈의 미네랄을 분해하는 역할을 담당하여 조직의 파괴 및 흡수 기능을 수행하는 세포를 의미한다. 상기 파골세포는 골 내에서 조골세포와의 불균형이 발생하는 경우 골질환을 유발할 수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상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골감소증,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골형성 부전증, 골위축, 파제트병(paget's disease), 치주염(periodontit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대사성 골질환 및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유발되는 뼈의 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파골세포의 조직 파괴 및 골 흡수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질환이라면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 예에서는 본 발명은 (a) 바위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개살구, 벚나무, 복사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섬개벚나무, 섬벚나무, 올벚나무, 및 왕벚나무로 이루어진 장미목(Rosale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b) 곰의말채, 말채나무, 층층나무, 흰말채나무, 산딸나무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층층나무속(Cornu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c) 개모시풀 및 거북꼬리로 이루어진 모시풀속(Boehmeria)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및 (d) 개서어나무 및 서어나무로 이루어진 서어나무속(Carpinu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바위말발도리(나무)는 낙엽성 관목으로 종자 번식을 하는 식물 중 하나로, 산기슭의 바위틈에서 자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높이 1m 정도이고 작은 가지에 털이 있으며 묵은 가지는 회갈색이며, 마주나는 잎은 길이 3~6cm 정도의 난형이고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다. 4~5월에 개화하며, 꽃은 백색이다. 관상용으로 심으며 밀원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위말발도리나무의 잎 또는 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바위말발도리나무의 학명은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매화말발도리(나무)는 댕강목이라고도 하며, 산지의 바위틈에서 자란다. 높이 약 1m로,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불규칙하게 벗겨진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형이거나 넓은 바소꼴이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양면에 길이는 4~6cm인 4∼6개로 갈라진 성모(星毛)가 난다. 꽃은 5월에 피고 흰색이며 묵은 가지에 1∼3개씩 달리는데, 꽃 밑에 1∼2개의 잎이 달리기도 한다. 꽃받침통은 씨방과 붙어 있고 작은꽃자루와 더불어 성모가 빽빽이 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화말발도리 잎 또는 꽃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매화말발도리나무의 학명은 Deutzia uniflora Shira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개살구(나무)는 산기슭의 양지쪽이나 마을 부근에서 자라며 높이는 5∼10m이다. 나무껍질은 코르크가 발달하였으며 작은 가지는 밤색을 띠고, 잎은 어긋나고 넓은 달걀 모양으로 끝이 뾰족하며 불규칙한 겹톱니가 있다. 길이는 5∼12cm이며 잎 뒷면은 녹색이고 잎자루는 길이 2∼3cm이다. 꽃은 연한 붉은색 또는 흰색으로 4∼5월에 잎보다 먼저 1개씩 피며, 작은 꽃대는 길이 8mm 정도이고 꽃받침조각은 타원형이며 줄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잎은 둥근 모양이고 길이 10∼12mm이다. 암술은 길이 15mm 정도로서 수술과 비슷하고 암술머리는 술잔 모양이다. 씨방에는 털이 난다. 열매는 핵과로서 달걀 모양이며 떫은 맛이 나고 7~8월에 노란색으로 익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살구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살구의 학명은 Prunus mandshurica var. glabr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벚나무는 낙엽활엽교목으로 원산지는 한국이고 일본, 중국에 분포하고 산지에서 서식한다. 높이는 10~20m이고 짙은 갈색으로 옆으로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6~12cm의 달걀모양 또는 달걀형 바소모양으로 가장자리에 작은 거치가 있으며 잎 뒷면은 회색빛을 띤 녹색이다. 꽃은 4~5월에 연분홍색 또는 흰색으로 산방 또는 산형화서로 피며 꽃자루에 포가 있고 꽃받침통과 암술대에 털이 없다. 열매는 핵과로 6~7월에 익으며 둥근 모양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벚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벚나무의 학명은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Maxim.) E.H.Wilson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복사나무(복숭아나무)는 장미과에 속하는 교목성 낙엽과수로, 높이는 6m 정도이고 작은 가지에 털이 없으며 동아(冬芽)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피침형, 도피침형, 타원상 피침형이며, 길이 8~15㎝, 너비 1.5~3.5㎝로서 양면에 털이 없고 가장자리에 둔한 잔 톱니가 있다. 꽃은 연한 홍색으로 4~5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열매는 핵과(核果:단단한 껍질이 씨앗을 감싸고 있는 열매)로서 난상 원형인데 8~9월에 익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사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사나무의 학명은 Prunus persica (L.) BATSCH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산벚나무는 전국의 높은 산 숲 속에 자라는 낙엽활엽 큰키나무로 줄기는 높이 20m에 달한다. 줄기껍질은 짙은 자갈색이며, 옆으로 벗겨지고 피목이 옆으로 길게 나타난다. 잎은 어긋나며 타원형 또는 도란형이다. 잎자루는 털이 없고 적자색으로 위쪽에 1쌍의 꿀샘이 있다. 꽃은 4-5월에 흰색 또는 연홍색으로 피며, 2-3개가 모여 산형화서를 이룬다. 꽃잎은 둥글고 향기가 없다. 꽃자루, 수술대, 암술대, 씨방에 털이 없다. 열매는 핵과로 5-6월에 흑자색으로 익는다. 세계적으로 일본, 러시아 사할린 지역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벚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벚나무의 학명은 Prunus sargentii Rehd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살구나무는 집 근처에 심어 기르는 낙엽 작은키나무로, 높이는 5m 정도이며 수피는 붉은빛을 띠며 햇 가지는 적갈색이다. 잎은 어긋나며 넓은 타원형 또는 넓은 난형이다. 꽃은 4월에 연한 홍색으로 핀다. 꽃받침잎은 5장이며 홍자색이고 뒤로 젖혀진다. 꽃잎은 5장이고 둥근 모양이다. 열매는 둥근 핵과이고 지름 3cm쯤이며, 7월에 노란색 또는 붉은빛을 띠는 노란색으로 익는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 지역에 식재한다. 중국 원산으로 관상용으로 심으며, 열매는 식용 또는 약용, 목재는 기구재로 이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구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살구나무의 학명은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섬개벚나무는 숲속에서 자라며, 높이는 10m 정도이며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으로 양 끝이 좁으며 가장자리에 잔 톱니가 있고 뒷면 맥액(脈腋)에 털이 있다. 잎자루는 8~12cm이다. 꽃은 5월에 피고 백색이며 묵은가지에서 자란 총상꽃차례에 달린다. 꽃받침조각은 짧고 끝이 둔하며 치아 모양의 톱니가 있다. 꽃잎은 5장, 타원형이고 수술보다 짧으며 씨방에 털이 없다. 열매는 핵과로 둥글고 7월에 흑자색으로 익으며 꽃받침과 수술이 그대로 남아 있다. 한국(제주), 일본 등지에 널리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개벚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개벚나무의 학명은 Prunus buergeriana Miq.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섬벚나무는 울릉도 특산식물의 하나이며, 높이는 20m에 달한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작은 나뭇가지는 회갈색 또는 회자색이며 털이 없다. 겨울눈은 긴 타원형이며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 또는 달걀모양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아심장저(亞心臟底) 또는 원저(圓底)이고 길이 8~15㎝, 너비 4~9㎝로서 양면에 털이 없다. 표면은 녹색, 뒷면은 회록색이며 톱니는 털같이 뾰족하다. 잎자루는 길이 2.5~3㎝로서 털이 없고 황록색이며 끝에 밀선(蜜腺)이 있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늦게 피고 지름 2.5㎝로서 처음에는 희지만 떨어질 무렵에는 홍색으로 되고 향기가 있다. 꽃자루가 없고 꽃은 2~5개가 산형(傘形)으로 나열한다. 작은 꽃자루는 길이 15~18㎜로서 털이 없다. 꽃받침잎은 뒤로 젖혀지고 톱니가 없으며 길이 5㎜ 정도로서 피침상(披針狀) 3각형이다. 꽃받침통은 길이 6~7㎜이다. 꽃잎은 도란형(倒卵形) 또는 넓은 타원형이며 길이 12~13㎜로서 끝이 파졌다. 수술은 30~40개이고 길이 5~10㎜이며 암술은 털이 없고 길이 1㎝ 정도이다. 열매는 둥글거나 달걀모양이며 끝이 뾰족하거나 둥글고 길이 1~2㎝, 너비 7㎜로서 6월에 자적색으로 익는다. 소과경은 튼튼하고 길이 2㎝, 지름 2㎜ 정도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벚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벚나무의 학명은 Prunus takesimensis NAKA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올벚나무는 높이 10m에 달하고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작은가지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바소 모양 또는 타원형이며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고 처음에는 잎자루와 더불어 털이 있다. 잎의 뒷면 맥상에도 털이 있고 톱니가 있다. 꽃은 4월에 잎보다 먼저 피고 연한 홍색이며 산형꽃차례에 2~5개의 꽃이 핀다. 작은꽃줄기에 털이 있다. 꽃받침통은 밑부분이 둥글게 부풀어 있다. 꽃잎은 타원형이고 끝이 오목하며 길이 10~12mm이고 암술의 아랫쪽에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둥글며 6~7월에 검게 익는다. 한국(장산곶, 위봉산, 지리산, 보길도, 제주), 일본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올벚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섬벚나무의 학명은 Prunus pendula for. ascenden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왕벚나무는 장미과(Rosaceae) 벚나무속(Prunus L.)에 속하는 식물로 대부분이 북반구 온대 지역에서 자라며, 그 열매나 수피를 식용을 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왕벚나무의 잎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왕벚나무는 Prunus yedoensis Matsum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산딸나무는 중부 이남지방의 산기슭에서 자라며, 잎이 지는 낙엽교목이다. 생육환경은 햇볕이 잘 들어오고, 토양의 부엽질이 많은 곳에서 자라며, 높이는 3~8m이고, 잎은 달걀 또는 둥근 모양으로 가장자리는 물결 모양의 굴곡으로 되어 있다. 꽃은 꽃자루가 없으며, 작은 가지 끝에 20~30개가 하늘을 향해 피고, 길이는 3~8㎝, 나비는 2~3㎝로 백색 혹은 백녹색이며 꽃잎의 형상과 유사하다. 상기 산딸나무 열매는 10월에 적색으로 익으며 둥글고, 종자를 둘러싸고 있는 껍질은 육질이 달고 식용이 가능하다. 이소퀘르시트린(isoquercitrin) 및 갈릭산(gallic acid)을 함유할 수 있으며, 관상용 및 공업용으로 쓰이며, 열매는 식용, 약용으로 쓰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딸나무의 잎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딸나무의 학명은 Cornus kousa F.Buerger ex Mique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곰의말채는 웅수목이라고도 한다. 산기슭이나 숲 가장자리에서 자라며 높이는 15m 이상이다. 나무껍질은 회갈색이며 불규칙하게 세로로 갈라진다. 잎은 길이 8~18cm로 녹색이며 마주나고 타원형 또는 넓은 달걀 모양이다. 잎 앞면에는 누운 잔털이 나고 뒷면에는 희고 억센 털이 많이 난다. 잎자루는 길이 1~3cm로 털이 없다. 6~8월에 잔가지 끝에서 흰색의 네갈래꽃이 취산꽃차례로 빽빽이 모여 핀다. 꽃차례는 지름 8~14cm이며 1개의 암술과 4개의 수술이 있다. 꽃자루는 길이 3~4cm이며 털이 없다. 꽃잎은 넓은 바소꼴이다. 열매는 둥글고 지름 6mm 정도이며 10월에 푸른빛이 도는 검은색으로 익는다. 종자는 둥글며 오목한 점이 많다. 정원수로 가꾸기도 하고 목재는 공예재료로 쓴다. 한국, 일본, 타이완,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곰의말채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곰의말채의 학명은 Cornus macrophyll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말채나무는 계곡에서 자라며, 높이는 약 10m이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으로 그물같이 갈라진다. 잎은 마주나고 넓은 달걀 모양이거나 타원형으로 양면에 복모(伏毛)가 약간 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측맥은 4~5쌍이다. 길이 5~8cm, 나비 3~5cm이며 뒷면은 흰빛을 띤다. 잎자루는 길이 1~3cm이다. 꽃은 5~6월에 피고 흰색이며 취산꽃차례에 달린다. 꽃자루는 길이 1.5~2.5cm이고 꽃잎은 바소꼴이다. 암술은 수술보다 짧고 수술대는 꽃잎의 길이와 비슷하다. 열매는 핵과로서 둥글고 지름 6~7mm로 9~10월에 검게 익는다. 정원수로 심으며 목재는 건축재나 기구재로 쓴다.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말채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말채나무의 학명은 Cornus walter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층층나무는 산지의 계곡 숲 속에서 자란다. 높이 20m에 달하며, 가지가 층층으로 달려서 수평으로 퍼진다. 작은 가지는 겨울에 짙은 홍자색으로 물들고, 봄에 가지를 자르면 물이 흐른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타원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측맥이 5~8줄이고 잎자루가 붉으며 잎 뒷면은 흰색이다. 잎의 양면에 미세한 털이 있다. 꽃은 5~6월에 피고 흰색이며 산방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넓은 바소꼴로 꽃받침통과 더불어 겉에 털이 있다. 수술은 4개이고 꽃밥이 T형으로 달리며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 둥글며 자흑색으로 익는다. 한국, 일본, 중국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층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층나무의 학명은 Cornus controvers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흰말채나무는 홍서목(紅瑞木)이라고도 한다. 산지 물가에서 자라며, 높이는 약 3m이다. 나무껍질은 붉은색이고 골속은 흰색이며 어린 가지에는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타원 모양이거나 달걀꼴 타원 모양으로서 길이 5~10cm, 나비 3~4cm이다. 끝은 뾰족하고 밑부분은 둥글거나 넓은 쐐기 모양이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겉면은 녹색이고 누운 털이 나며 뒷면은 흰색으로서 잔털이 난다. 곁맥은 6쌍이고 잎자루는 길이 1~2.5cm이며 털이 없다. 꽃은 5~6월에 노랑빛을 띤 흰색으로 피는데, 가지 끝에 우산 모양으로 퍼진 취산꽃차례로 달린다. 꽃차례는 지름 4~5cm, 작은 꽃자루는 길이 5~10mm이다. 꽃받침은 4갈래로 갈라지며 갈래조각은 뾰족하고 짧다. 꽃잎은 4장이고 달걀 모양 바소꼴이며 길이 약 3mm이다. 수술은 4개로서 꽃잎과 길이가 비슷하고 암술은 수술보다 짧으며 씨방은 아랫부분에 있다. 열매는 타원 모양의 핵과(核果)로서 흰색 또는 파랑빛을 띤 흰색이며 8~9월에 익는다. 종자는 양쪽 끝이 좁고 납작하다. 종자와 꺾꽂이로 번식한다. 관상적 가치가 뛰어나 정원수로 심고, 나무껍질과 잎에 소염, 지혈 작용이 있어서 한약재로도 쓴다. 한국(평안남도, 평안북도, 함경남도, 함경북도), 중국, 사할린섬, 몽골, 시베리아, 유럽 등지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흰말채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층나무의 학명은 Cornus alb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산수유는 층층나무과의 낙엽교목인 산수유나무의 열매이다. 타원형의 핵과(核果)로서 처음에는 녹색이었다가 8~10월에 붉게 익는다. 종자는 긴 타원형이며, 능선이 있다. 약간의 단맛과 함께 떫고 강한 신맛이 난다. 10월 중순의 상강(霜降) 이후에 수확하는데, 육질과 씨앗을 분리하여 육질은 술과 차 및 한약의 재료로 사용한다. 과육(果肉)에는 코르닌(cornin), 모로니사이드(Morroniside), 로가닌(Loganin), 타닌(tannin), 사포닌(Saponin) 등의 배당체와 포도주산, 사과산, 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그밖에 비타민 A와 다량의 당(糖)도 포함되어 있다. 종자에는 팔미틴산, 올레인산, 리놀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성분 중 코르닌은 부교감신경의 흥분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과육을 약용하였다. 산수유나무는 한국, 중국 등이 원산으로, 한국의 중부 이남에서 심는다. 국내에서는 전라남도 구례군 산동면과 경기도 이천시 백사면 일원, 경상북도 의성군 등에서 특산품으로 매년 출하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수유의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층층나무의 학명은 Cornus officinalis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개모시풀은 여러해살이풀로 바닷가 근처에서 주로 자라며 높이는 1미터 정도이다. 줄기는 모여 나고 잎은 마주 나며, 상기 잎은 난원형이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다. 꽃은 7-10월에 암수 한 포기로 피며, 연한 녹색이며 잎겨드랑이에서 핀다. 열매는 수과이며, 도란형, 위쪽에 흰 털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모시풀의 전초,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모시풀의 학명은 Boehmeria platanifolia Franch. et Sav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거북꼬리(좀깨잎나무)는 높이는 50~100cm이고 줄기는 붉은 빛을 띠는 갈색이지만 녹색을 띠는 갈색인 경우도 있으며 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지고 가지가 가늘다. 잎은 마주나고 마름모형 달걀 모양이며 길이 4~8cm, 너비 2.5~4cm로서 끝이 꼬리처럼 길고 가장자리에 큰 톱니가 5~6개 있다. 앞면에는 누운 털이 있고 뒷면에는 맥 위에만 털이 있으며 잎자루의 길이 1~3cm로서 붉은빛을 띤다. 꽃은 암수한그루이지만 가끔 암수딴그루도 있으며 7~8월에 피고 수상화서로 수꽃화서는 줄기의 밑부분 잎겨드랑이에 달리며 암꽃화서는 줄기의 윗부분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수꽃은 4개의 화피갈래조각과 수술이 있고 암꽃은 여러 개가 모여서 달리며 통모양의 화피 안에 1개의 씨방이 있고 암술대는 1개이다. 열매는 수과로 10월에 익으며 긴 달걀모양이지만 여러 개가 모여 달려 여러 개로 보이고 열매의 끝에 털이 있다. 한국이 원산지로 한국, 중국, 일본 등에서 분포하고 산골짜기 시내 근처나 숲가장자리에서 서식하며 월동하면서 끝부분이 말라 죽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북꼬리의 전초,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거북꼬리의 학명은 oehmeria spicata (Thunb.) Thunb.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개서어나무는 산허리 이하의 숲속에서 자란다. 높이는 약 15m, 지름은 약 70cm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울퉁불퉁하지만 터지지는 않으며 흰색 피목이 흩어져 있다. 잎은 타원형 또는 긴 달걀 모양이고 2줄로 어긋나며, 끝이 뾰족하고 가는 겹톱니가 있으며 길이 4~8cm이다. 곁맥은 12~15쌍으로 앞 뒷면 맥 위에 털이 나고 잎자루는 길이 4~12mm이며 털이 난다. 꽃은 양성화로서 4~5월에 미상꽃차례로 핀다. 수꽃이삭은 대가 없고 다닥다닥 달려서 늘어지고, 암꽃이삭은 대가 있으며 드문드문 붙는다. 열매는 견과로서 화피 안에 들어 있고 넓은 달걀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다. 목재는 촘촘하고 굳으며 탄성이 있다. 기구재, 곡목(曲木), 세공, 활자, 표고버섯 재배용 목재 등으로 쓰고 수형이 깔끔하여 공원수로 심는다. 한국(전남, 전북, 경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서어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서어나무의 학명은 Carpinus tschonoskii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여기서 상기 서어나무는 서나무라고도 하며 나무이름의 유래는 확실하지 않지만 서쪽에 있는 나무라는 뜻으로 추측된다. 주로 산지에서 자라며 흔하게 발견된다. 서어나무는 표고버섯 재배용 골목으로 사용하지만 참나무에 비해 생산량이 적으며 땔감용으로 많이 이용되었다. 모양새가 비슷한 나무의 종류는 개서어나무, 까치박달, 소사나무 등이 있다. 높이는 15m, 지름은 1m에 달한다. 나무 껍질은 회색이고 근육처럼 울퉁불퉁하다. 잎은 어긋나고 길이 5.5~7.5cm의 타원 모양 또는 긴 달걀 모양이며 끝이 길게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겹톱니가 있으며 뒷면 맥 위에 털이 있다. 꽃은 암수한그루이고 5월에 피며 미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수꽃이삭은 작은 가지에 달리고 밑으로 처지며, 수꽃은 각 포에 1개씩 달리고 8개의 수술이 있으며 수술대는 2개로 갈라진다. 암꽃이삭은 자루가 있으며, 암꽃은 각 포에 2개씩 들어 있고 암술머리는 2개이다. 열매이삭은 긴 원기둥 모양이고 길이가 4~8cm이며 밑으로 처지고, 포는 4~8개이고 한쪽에 깊이 패어 들어간 톱니가 있으며 반대쪽 밑에 1개의 돌기가 있다. 열매는 소견과이고 길이 3mm의 넓은 달걀 모양이며 10월에 익는다. 한국(황해 이남),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어나무의 잎, 줄기, 수피, 열매, 과병 및 뿌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서어나무의 학명은 Carpinus laxiflor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파골전구세포의 분화를 위해 필요한 M-CSF(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 및/또는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 인자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을 통하여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일 수 있다. 그러나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여 골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 가능하다면 제한이 없다.
상기 “M-CSF(macrophage colony stimulating factor)”란, 조골세포와 골수 기질 세포(stromal cell)가 발현하는 사이토카인으로 파골세포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로 세포의 증식, 생존, 세포골격형성(cytoskeletal organization) 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im SY., et al., J Korean Orthop Assoc., 44:151-158 (2009)).
또한, 상기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kappa B ligand)”란, 조골세포가 발현하는 인자로 파골전구세포에 있는 RANKL 수용기에 부착하여 파골세포의 성장과 분화를 유도한다(Mojtaba A., Cancer biology & Therapy, 7:1,3-9;1 (2008)). RANKL은 c-fos, NFATc1(nuclear Factor Of Activated T-Cells, cytoplasmic, calcineurin-dependent 1) 및 NF-kB(nuclear factor kappa B) 등과 같은 전사인자를 활성화하여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촉진하고, PI3K(phosphatidylinositol 3-kinase) 및 ERK(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와 같은 신호전달을 활성화 하여, 파골세포의 생존 및 기능을 촉진하는 역할도 담당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LEE ZH.,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05:211-213 (2003)).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서는 A. a) 바위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개살구, 벚나무, 복사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섬개벚나무, 섬벚나무, 올벚나무, 및 왕벚나무로 이루어진 장미목(Rosales) 식물군; (b) 곰의말채, 말채나무, 층층나무, 흰말채나무, 산딸나무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층층나무속(Cornus) 식물군; (c) 개모시풀 및 거북꼬리로 이루어진 모시풀속(Boehmeria) 식물군; 및 (d) 개서어나무 및 서어나무로 이루어진 서어나무속(Carpinus) 식물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수득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 B. 상기 분말을 용매추출장치 또는 가속용매추출장치(Accelerated Solution Extractor)에서 유기용매로 추출한 뒤,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는 상기 용매추출장치의 온도는 30°C내지 60°C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0°C일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온도가 30°C이하인 경우에는 온도가 충분히 상승되지 아니하여 유효성분이 유기용매에 충분히 녹아들 수 없고, 온도가 60°C이상인 경우에는 추출물의 성분이 변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용매추출장치에서 사용되는 유기용매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메탄올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추출물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의 수득률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제조방법은 상기 여과된 여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여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는 진공농축기 또는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는 단계일 수 있으나, 추출된 성분을 농축할 수 있는 방법이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추가로 다른 항암제와 병용투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서 일반적인 암세포 증식 및 암 전이를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암으로 인한 뼈 손상 치료와 동시에 암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항암제로는 나이트로젠머스타드, 이마티닙, 옥살리플라틴, 리툭시맙, 엘로티닙, 네라티닙, 라파티닙, 제피티닙, 반데타닙, 니로티닙, 세마사닙, 보수티닙, 악시티닙, 세디라닙, 레스타우르티닙, 트라스투주맙, 게피티니브, 보르테조밉, 수니티닙, 카보플라틴, 소라페닙, 베바시주맙, 시스플라틴, 세툭시맙, 비스쿰알붐, 아스파라기나제, 트레티노인, 하이드록시카바마이드, 다사티닙, 에스트라머스틴, 겜투주맵오조가마이신, 이브리투모맙튜세탄, 헵타플라틴, 메칠아미노레불린산, 암사크린, 알렘투주맙, 프로카르바진, 알프로스타딜, 질산홀뮴키토산, 젬시타빈, 독시플루리딘, 페메트렉세드, 테가푸르, 카페시타빈, 기메라신, 오테라실, 아자시티딘, 메토트렉세이트, 우라실, 시타라빈, 플루오로우라실, 플루다가빈, 에노시타빈, 플루타미드, 카페시타빈, 데시타빈, 머캅토푸린, 티오구아닌, 클라드리빈, 카르모퍼, 랄티트렉세드, 도세탁셀, 파클리탁셀, 이리노테칸, 벨로테칸, 토포테칸, 비노렐빈, 에토포시드, 빈블라스틴, 이다루비신, 미토마이신, 블레로마이신, 닥티노마이신, 피라루비신, 아클라루비신, 페프로마이신, 템시롤리무스, 테모졸로마이드, 부설판, 이포스파미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멜파란, 알트레트민, 다카바진, 치오테파, 니무스틴, 클로람부실, 미토락톨, 레우코보린, 트레토닌, 엑스메스탄, 아미노글루테시미드, 아나그렐리드, 올라파립, 나벨빈, 파드라졸, 타목시펜, 토레미펜, 테스토락톤, 아나스트로졸, 레트로졸, 보로졸, 비칼루타미드, 로무스틴, 5FU, 보리노스텟, 엔티노스텟 및 카르무스틴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캡슐, 정제, 과립, 주사제, 연고제, 분말 또는 음료 형태임을 특징으로 할 수 있으며, 상기 약학 조성물은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캡슐, 정제, 수성현탁액 등의 경구형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경구투여 시에는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완충제,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등장제, 안정화제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국소투여용의 경우에는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형은 상술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와 혼합하여 다양하게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경구투여시에는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서(elixir), 서스펜션,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에는 단위투약앰플 또는 다수회투약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기타, 용액, 현탁액, 정제, 캡슐, 서방형제제 등으로 제형할 수 있다.
한편, 제제화에 적합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의 예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디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포스페이트, 칼슘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셀룰로즈, 미정질셀룰로즈, 폴리비닐피롤리돈, 물, 메틸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충진제, 항응집제, 윤활제, 습윤제, 향료, 유화제, 방부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의 투여경로는 이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이 포함된다. 경구 또는 비경구 투하가 바람직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낭내, 흉골내, 경막내, 병소내 및 두개골내 주사 또는 주입기술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조성물은 또한 직장투여를 위한 좌제의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사용된 특정화합물의 활성, 연령, 체중, 일반적인 건강, 성별, 정식, 투여시간, 투여경로, 배출율, 약물 배합 및 예방 또는 치료될 특정 질환의 중증을 포함한 여러 요인에 따라 다양하게 변할 수 있고, 상기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고, 1일 0.0001 내지 50mg/kg 또는 0.001 내지 50mg/kg으로 투여할 수 있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환제, 당의정, 캡슐, 액제, 겔, 시럽, 슬러리, 현탁제로 제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 예에서는 상기 약학 조성물을 이용한 골질환의 치료 방법 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구현 예에서는 (a) 바위말발도리, 매화말발도리, 개살구, 벚나무, 복사나무, 산벚나무, 살구나무, 섬개벚나무, 섬벚나무, 올벚나무, 및 왕벚나무로 이루어진 장미목(Rosale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b) 곰의말채, 말채나무, 층층나무, 흰말채나무, 산딸나무 및 산수유로 이루어진 층층나무속(Cornu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c) 개모시풀 및 거북꼬리로 이루어진 모시풀속(Boehmeria)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 및 (d) 개서어나무 및 서어나무로 이루어진 서어나무속(Carpinus) 식물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개선 또는 완화용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식품 조성물"이란, 골 질환 개선 및 예방을 위해 다양하게 이용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류, 예를 들어,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분말, 과립, 정제, 캡슐, 과자, 떡, 빵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독성 및 부작용이 거의 없는 기존의 식품용 섭취물로부터 개량되어 구성된 것이므로 예방 목적으로 장기간 복용 시에도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식품 조성물에 포함될 때 그 양은 전체 중량의 0.1 내지 100%의 비율로 첨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식품 조성물이 음료 형태로 제조되는 경우 지시된 비율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즉, 천연 탄수화물로서 포도당 등의 모노사카라이드,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향미제로서는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 등을 들 수 있다. 그 외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풍미제 및 천연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통상적으로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10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장미목 식물 추출물, 층층나무속 식물 추출물, 모시풀속 식물 추출물 및 서어나무속 식물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약학 조성물을 이용하여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억제하는 것을 통해 낮은 부작용으로 골질환을 효과적으로 예방 또는 치료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위말발도리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딸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모시풀과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사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벚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위말발도리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위말발도리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딸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산딸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모시풀과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개모시풀과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사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소사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벚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왕벚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추출물의 파골세포 분화 억제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제조예] 추출에 사용된 재료 및 추출 조건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33가지 종류의 식물에 대하여 추출 조건 1 또는 2로 추출하였다. 식물의 종류 및 추출조건은 하기 표 1 및 2와 같다.
번호 식물명 추출부위 학명 추출
조건
7-1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Mill.) Swingle for. Altissima 2
7-4 거제딸기 Rubus longisepalus var. tozawai (Nakai) T.B.Lee 2
7-5 굴피나무 Platycarya strobilacea Siebold & Zucc. var. strobilacea for. strobilacea 2
7-6 금마타리 지상부 Patrinia saniculaefolia Hemsl. 2
7-7 냉이 지상부+꽃 Capsella bursapastoris (L.) L.W.Medicus 2
7-8 담쟁이덩굴 잎+줄기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iebold & Zucc.) Planch. 2
7-9 말냉이 잎+줄기 Thlaspi arvense L. 1
7-10 바위말발도리나무 잎+꽃 Deutzia grandiflora var. baroniana Diels 2
7-11 벼룩이자리 잎+줄기+종자 Arenaria serpyllifolia L. 2
7-12 보골지 뿌리 Psoralea corylifolia L. 1
7-13 보리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L.) Asch. 2
7-14 보리 뿌리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L.) Asch. 2
7-15 보리 잎+줄기 Hordeum vulgare var. hexastichon (L.) Asch. 2
7-16 뽕나무 줄기 Morus alba L. 1
7-17 사스레피나무 Eurya japonica Thunb. 2
7-18 산딸나무 Cornus kousa F.Buerger ex Miquel 2
7-19 산부추 지상부 Allium thunbergii G.Don 1
7-20 산조팝나무 Spiraea blumei G.Don 2
7-21 삼개시호 지상부 Bupleurum falcatum L. 1
7-22 소리쟁이 열매 Rumex cripus L 2
7-23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vii Hance 2
7-25 애기똥풀 잎+줄기 Chelidonium majus var. asiaticum (Hara) Ohwi 1
7-26 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 (Thunb.) Muell. Arg. 2
7-27 완도호랑가시나무 Ilex x wandoensis C.F.Miller 2
7-28 개모시풀 Boehmeria platanifolia Franch. et Sav 2
7-29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Matsum 2
7-30 으름 Akebia quinata (Thunb.) Decne. 2
7-31 자리공 Phytolacca esculenta VanHoutte 2
7-32 잔털벗나무 Prunus serrulata var. pubescens (Makino) Nakai 2
7-33 조팝나무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Nakai 1
식별 추출 조건
1 각 시료 분말을 50°C의 가속용매추출장치(Accelerated Solution Extractor, Dinex, USA)를 이용하여 메탄올(MetOH)로 추출 및 여과한 뒤 농축함
2 각 시료 분말을 50°C의 가속용매추출장치(Accelerated Solution Extractor, Dinex, USA)를 이용하여 에탄올(EtOH)로 추출 및 여과한 뒤 농축함
[비교예] 본 발명에 따른 식물과 동속에 속하는 비교를 위한 식물 리스트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의 효능이 동속에 속하는 식물에 비하여 효능이 우수함을 비교하기 위하여 한국 추출물은행(http://extract.kribb.re.kr)에서 바위말발도리, 산딸나무, 개모시풀, 소사나무 및 왕벚나무의 동속에 속하는 식물을 구입하였다. 상기 식물의 속명은 하기 표 3과 같다.
본원발명 동속식물 학명
바위말발도리나무
Deutzia prunifolia
매화말발도리 Deutzia coreana
지리말발도리 Deutzia coreana var. triradiata
물참대 Deutzia glabrata
많첩빈도리 Deutzia crenata for. plena
산딸나무
Cornus kousa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층층나무 Cornus controversa
말채나무 Cornus walteri
흰말채나무 Cornus alba
곰의 말채 Cornus macrophylla
개모시풀
Boehmeria platanifolia
모시풀 Boehmeria nivea
왕모시풀 Boehmeria pannosa
섬모시풀 Boehmeria nipononivea
좀깨잎 나무 Boehmeria spicata
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풀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var. unicuspis
소사나무
Carpinus laxiflora
서어나무 Carpinus laxiflora
개서어나무 Carpinus tschonoskii
까치박달 Carpinus cordata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산벚나무 Prunus sargentii
귀룽나무 Prunus padus
섬개벚나무 Prunus buergeriana
벚나무 Prunus serrulata var. spontanea
올벚나무 Prunus pendula for. ascendens
복사나무 Prunus persica
섬벚나무 Prunus takesimensis
올벚나무 Prunus pendula for. ascendens
서울귀룽 Prunus padus var. seoulensis
개벚나무 Prunus leveilleana
개살구 Prunus mandshurica var. glabra
털개벚 Prunus leveilleana var. pilosa
산복사 Prunus davidiana
자두나무 Prunus salicina
앵도 Prunus tomentosa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열녀목 Prunus salicina var. columnalis
[실시예 1] 생 쥐의 골수 대식세포 분리 및 배양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를 통해 얻은 추출물에 대하여,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생쥐 골수 대식세포를 하기의 과정으로 분리 및 배양하였다.
3주령의 수컷 ICR 생쥐(㈜ 나리바이오텍, 대한민국)를 경추 탈골을 통해 죽인 뒤, 겸좌를 이용하여 상기 쥐의 뒷다리 외피를 벗기고, 수술용 가위로 외피가 벗겨진 뒷다리를 절단하여 무혈청 α-MEM(minimum essential medium alpha; Gibco, USA)에 보관하였다. 또한, 핀셋을 이용하여 근육 속의 뼈를 분리한 뒤, 새로운 α-MEM에 옮긴 뒤 주사기(syringe)에 600μl의 α-MEM을 담아 분리된 다리뼈의 중앙 척수 부분에 삽입하고 2 내지 3회 분사하여 골수 세포를 적출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적출된 골수세포는 원심분리(centrifuge)를 통하여 상층액을 제거한 뒤, 새로운 α-MEM을 넣고 골수세포로부터 골수 대식세포를 분리할 수 있도록 하는 분리 배지인 히스토파크(histopaque; Sigma-Aldrich, USA)를 사용하여 골수 대식세포를 최종적으로 분리하였다.
상기 과정을 통해 분리된 골수 대식세포는 1%의 항생-항균 용액(antibiotic-antimycotic; Gibco, USA), 10%의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 USA) 및 M-CSF(macrophage-colony stimulating factor; R&D system Inc., USA) 30ng/ml이 포함되어 있는 α-MEM 영양 배지로 37℃, 5% CO2 배양기 내에서 배양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 추출물의 세포 독성 여부 확인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의 추출물이 세포에 미치는 독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 독성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 배양 배지는 1%의 항생-항균 용액 및 10% FBS(fetal bovine serum)이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을 사용하였다. 96-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1X104개의 생쥐 대식세포를 분주하고, 37, 5% CO2 조건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리고 생쥐 대식세포가 분주된 96-웰 플레이트에 각 추출물을 농도 별로 첨가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24시간 후에 5mg/ml MTT(Thiazolyl Blue 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각 웰당 20μl씩 첨가하고 37, 5% CO2 세포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그리고 배지를 제거한 후에 DMSO를 100μl씩 첨가하고 쉐이커에서 20분간 용해시키고, ELISA 리더기를 이용해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생존율 및 시료의 독성 유무를 확인하였다. 세포 생존율은 대조군(배지만 처리한 웰)의 생존율에 대한 실험군(각 추출물을 처리한 각각의 웰)의 생존율을 백분율로 계산하였다. 상기 측정한 결과는 대조군의 생존률을 기준으로 하여 백분율로 계산하여 도 1 내지 도 5 및 하기 표 4 내지 표 8 나타내었다.
도 1, 표 4 및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바위말발도리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매화말발도리나무 줄기 추출물만이 고농도에서 낮은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었고, 다른 동속 식물 추출물에서는 세포 독성이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1.059 ± 0.117 100
많첩
빈도리
잎, 꽃
1 1.326 ± 0.252 125
3 1.333 ± 0.129 126
5 1.309 ± 0.050 124
10 1.547 ± 0.147 146
20 1.768 ± 0.064 167
40 2.075 ± 0.262 196
80 1.817 ± 0.296 172
많첩
빈도리
줄기
1 1.081 ± 0.105 102
3 1.056 ± 0.082 100
5 1.093 ± 0.077 103
10 1.094 ± 0.100 103
20 1.201 ± 0.168 113
40 1.415 ± 0.191 134
80 1.640 ± 0.125 155
매화말
발도리
줄기
1 0.926 ± 0.160 87
3 0.925 ± 0.091 87
5 1.020 ± 0.233 96
10 1.228 ± 0.166 116
20 1.175 ± 0.097 111
40 0.834 ± 0.088 79
80 0.309 ± 0.084 29
매화말
발도리
1 0.965 ± 0.016 91
3 1.111 ± 0.163 105
5 1.190 ± 0.052 112
10 1.545 ± 0.234 146
20 1.541 ± 0.081 146
40 1.829 ± 0.065 173
80 2.321 ± 0.130 219
물참대
꽃, 잎
1 1.002 ± 0.068 95
3 1.001 ± 0.146 95
5 1.123 ± 0.063 106
10 1.350 ± 0.074 128
20 1.614 ± 0.186 153
40 2.325 ± 0.248 220
80 2.380 ± 0.211 225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 1.102 ± 0.156 100
물참대
줄기
 
 
 
 
 
1 1.088 ± 0.127 99
3 1.170 ± 0.018 106
5 1.343 ± 0.127 122
10 1.375 ± 0.149 125
20 1.702 ± 0.263 154
40 1.136 ± 0.246 103
80 1.162 ± 0.01 105
바위말
발도리

 
 
 
 
1 1.127 ± 0.138 102
3 1.104 ± 0.13 100
5 1.276 ± 0.102 116
10 1.276 ± 0.036 116
20 1.631 ± 0.131 148
40 1.592 ± 0.133 144
80 1.975 ± 0.143 179
바위말
발도리
줄기
 
 
 
 
1 0.953 ± 0.208 86
3 1.276 ± 0.224 116
5 1.265 ± 0.051 115
10 1.36 ± 0.134 123
20 1.489 ± 0.073 135
40 1.305 ± 0.139 118
80 2.297 ± 0.235 208
지리말발도리
잎,줄기
 
 
 
 
 
1 0.878 ± 0.191 80
3 1.017 ± 0.226 92
5 1.057 ± 0.153 96
10 1.229 ± 0.111 112
20 1.525 ± 0.177 138
40 1.523 ± 0.218 138
80 2.424 ± 0.211 220
도 2, 표 6 및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딸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말채나무의 잎 및 줄기 추출물과 층층나무의 과병 추출물, 흰말채나무의 잎 및 줄기 추출물 그리고 산수유 열매 추출물에서 고농도 처리 시 낮은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 0.912 ± 0.064 100
곰의말채

 
 
 
 
 
1 0.926 ± 0.038 102
3 1.168 ± 0.058 128
5 1.15 ± 0.024 126
10 1.809 ± 0.116 198
20 2.251 ± 0.113 247
40 2.266 ± 0.086 248
80 1.236 ± 0.119 135
곰의말채
줄기-수피
 
 
 
 
 
1 1.05 ± 0.166 115
3 1.172 ± 0.038 128
5 1.353 ± 0.054 148
10 1.82 ± 0.118 199
20 2.423 ± 0.073 266
40 2.112 ± 0.097 231
80 1.075 ± 0.095 118
말채나무
잎,줄기
 
 
 
 
 
1 0.963 ± 0.093 106
3 1.023 ± 0.011 121
5 1.165 ± 0.115 134
10 1.187 ± 0.058 130
20 1.473 ± 0.176 161
40 1.466 ± 0.033 161
80 0.551 ± 0.04 60
층층나무
줄기-수피
 
 
 
 
 
1 0.957 ± 0.096 105
3 1.205 ± 0.112 132
5 1.487 ± 0.095 163
10 2.01 ± 0.094 220
20 2.438 ± 0.17 267
40 1.926 ± 0.122 211
80 0.708 ± 0.169 78
층층나무
잎,줄기
 
 
 
 
 
1 0.961 ± 0.079 105
3 1.03 ± 0.112 113
5 1.269 ± 0.033 139
10 1.688 ± 0.144 185
20 2.119 ± 0.065 232
40 2.115 ± 0.133 232
80 0.774 ± 0.076 85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 0.793 ± 0.059 100
층층나무
과병
 
 
 
 
 
1 0.89 ± 0.094 112
3 1.307 ± 0.023 165
5 1.495 ± 0.087 189
10 2.018 ± 0.127 255
20 2.569 ± 0.124 324
40 0.947 ± 0.124 119
80 0.379 ± 0.056 48
층층나무
열매
 
 
 
 
 
1 0.991 ± 0.147 125
3 0.916 ± 0.001 116
5 1.026 ± 0.117 129
10 1.067 ± 0.067 135
20 1.105 ± 0.05 139
40 1.13 ± 0.076 143
80 1.472 ± 0.133 186
흰말채나무
잎,줄기
 
 
 
 
 
1 1.027 ± 0.065 130
3 1.141 ± 0.05 144
5 1.121 ± 0.121 141
10 1.249 ± 0.011 158
20 1.978 ± 0.12 250
40 1.229 ± 0.151 155
80 0.457 ± 0.109 58
산딸나무
줄기
 
 
 
 
 
1 0.86 ± 0.019 108
3 0.873 ± 0.083 110
5 0.991 ± 0.097 125
10 0.993 ± 0.109 125
20 1.283 ± 0.137 162
40 1.807 ± 0.061 228
80 1.715 ± 0.108 216
산딸나무
열매
 
 
 
 
 
1 0.843 ± 0.039 106
3 0.885 ± 0.042 112
5 0.915 ± 0.078 115
10 0.955 ± 0.113 120
20 1.014 ± 0.043 128
40 1.021 ± 0.041 129
80 0.97 ± 0.068 122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 0.836 ± 0.05 100
산딸나무

 
 
 
 
 
1 0.842 ± 0.124 101
3 1.069 ± 0.085 128
5 1.01 ± 0.119 121
10 1.378 ± 0.093 165
20 1.469 ± 0.092 176
40 1.213 ± 0.124 145
80 0.943 ± 0.108 113
산딸나무
줄기-수피
 
 
 
 
 
1 0.8 ± 0.115 96
3 0.88 ± 0.033 105
5 0.904 ± 0.128 108
10 1.068 ± 0.084 128
20 1.059 ± 0.109 127
40 1.481 ± 0.082 177
80 1.938 ± 0.135 232
산수유
잎,줄기
 
 
 
 
 
1 0.778 ± 0.024 93
3 0.961 ± 0.089 115
5 1.156 ± 0.048 138
10 1.575 ± 0.119 188
20 1.607 ± 0.126 192
40 1.435 ± 0.093 172
80 1.395 ± 0.13 167
산수유
열매
 
 
 
 
 
1 0.788 ± 0.061 94
3 1.018 ± 0.119 122
5 1.124 ± 0.048 135
10 1.14 ± 0.093 136
20 1.399 ± 0.088 167
40 1.502 ± 0.082 180
80 0.426 ± 0.036 51
도 3 및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모시풀과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개모시풀 전초 추출물과 거북꼬리 전초 추출물의 고농도 처리 시 낮은 세포 생존률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왕모시풀은 다른 동속 식물 추출물보다 낮은 농도에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 1.43 ± 0.031 100
모시풀
전초
 
 
 
1 0.835 ± 0.031 58
5 1.249 ± 0.137 87
10 1.126 ± 0.091 79
50 1.849 ± 0.134 129
100 2.171 ± 0.2 152
왕모시풀
전초
 
 
 
0.01 1.419 ± 0.057 99
0.05 1.432 ± 0.032 100
0.1 1.332 ± 0.007 93
0.5 1.179 ± 0.133 82
1 0.983 ± 0.122 69
섬모시풀
지상부
 
 
 
1 1.832 ± 0.026 128
5 1.692 ± 0.025 118
10 1.713 ± 0.1 120
50 1.46 ± 0.101 102
100 1.2 ± 0.183 84
개모시풀
전초
 
 
 
1 1.691 ± 0.086 118
5 1.674 ± 0.094 117
10 1.55 ± 0.082 108
50 0.19 ± 0.055 13
100 0.209 ± 0.045 15
좀깨잎
나무
전초
 
 
1 1.455 ± 0.0815 102
5 1.482 ± 0.2888 104
10 1.933 ± 0.359 135
50 2.483 ± 0.2737 174
100 2.24 ± 0.3269 157
거북꼬리
전초
 
 
 
1 1.895 ± 0.092 132
5 1.809 ± 0.189 126
10 1.803 ± 0.172 126
50 0.271 ± 0.071 19
100 0.27 ± 0.076 19
풀거북꼬리
전초
 
 
 
1 1.374 ± 0.123 96
5 1.276 ± 0.259 89
10 1.19 ± 0.355 83
50 1.001 ± 0.08 70
100 0.712 ± 0.104 50
도 4, 표 9 및 표 10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사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까치박달 잎 추출물과 서어나무 잎 추출물에서는 세포 독성이 없으며, 다른 추출물의 경우에는 고농도 처리 시 일부 세포 독성이 관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 1.403 ± 0.185 100
개서어나무
줄기-수피
 
 
 
 
 
1 1.414 ± 0.078 101
3 1.279 ± 0.034 91
5 1.401 ± 0.1 100
10 1.638 ± 0.149 117
20 0.99 ± 0.167 71
40 0.136 ± 0.034 10
80 0.165 ± 0.007 12
개서어나무
잎,줄기
 
 
 
 
 
1 1.336 ± 0.104 95
3 1.49 ± 0.054 106
5 1.585 ± 0.124 113
10 1.316 ± 0.231 94
20 0.815 ± 0.031 58
40 0.29 ± 0.082 21
80 0.288 ± 0.059 20
까치박달
가지
 
 
 
 
 
1 1.22 ± 0.079 87
3 1.214 ± 0.213 86
5 1.223 ± 0.211 87
10 1.424 ± 0.173 101
20 1.584 ± 0.125 113
40 0.217 ± 0.107 15
80 0.231 ± 0.033 16
까치박달

 
 
 
 
 
1 1.037 ± 0.067 74
3 1.099 ± 0.043 78
5 1.167 ± 0.066 83
10 1.163 ± 0.075 83
20 1.431 ± 0.286 102
40 1.649 ± 0.176 118
80 1.455 ± 0.046 104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 0.95 ± 0.064 100
서어나무

 
 
 
 
 
1 1.359 ± 0.022 143
3 1.43 ± 0.218 150
5 1.241 ± 0.228 131
10 1.417 ± 0.17 149
20 1.526 ± 0.17 161
40 0.868 ± 0.117 91
80 0.175 ± 0.048 18
서어나무

 
 
 
 
 
1 1.304 ± 0.163 137
3 1.366 ± 0.129 144
5 1.16 ± 0.066 122
10 1.187 ± 0.196 125
20 1.219 ± 0.2 128
40 1.336 ± 0.132 141
80 0.589 ± 0.136 62
서어나무
줄기-수피
 
 
 
 
 
1 0.91 ± 0.146 96
3 0.98 ± 0.085 103
5 1.13 ± 0.105 119
10 1.359 ± 0.07 143
20 1.595 ± 0.095 168
40 0.147 ± 0.007 16
80 0.126 ± 0.003 13
소사나무
잎,줄기
 
 
 
 
 
1 1.218 ± 0.144 128
3 1.322 ± 0.121 139
5 1.318 ± 0.07 139
10 0.526 ± 0.074 55
20 0.154 ± 0.01 16
40 0.2 ± 0.026 21
80 0.196 ± 0.023 21
도 5, 및 표 11 내지 표 1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왕벚나무와 이의 동속 식물은 모두 세포 독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 0.842 ± 0.039 100
개벚나무
줄기-수피
 
 
 
 
 
1 0.902 ± 0.055 107
3 1.11 ± 0.066 132
5 1.119 ± 0.036 133
10 1.453 ± 0.059 173
20 1.741 ± 0.067 207
40 2.004 ± 0.141 238
80 2.219 ± 0.127 264
개살구

 
 
 
 
 
1 0.874 ± 0.043 104
3 0.87 ± 0.108 103
5 0.874 ± 0.123 104
10 0.905 ± 0.107 108
20 0.996 ± 0.085 118
40 1.143 ± 0.102 136
80 2.05 ± 0.064 244
개살구
줄기
 
 
 
 
 
1 0.725 ± 0.072 86
3 0.845 ± 0.067 100
5 0.932 ± 0.116 111
10 1.14 ± 0.037 135
20 1.142 ± 0.078 136
40 1.764 ± 0.077 210
80 2.165 ± 0.106 257
개살구
줄기-수피
 
 
 
 
 
1 0.803 ± 0.069 95
3 0.842 ± 0.039 100
5 0.932 ± 0.033 111
10 1.248 ± 0.031 148
20 1.47 ± 0.003 175
40 1.788 ± 0.143 212
80 1.901 ± 0.098 226
귀룽나무
잎,줄기,꽃
 
 
 
 
 
1 0.804 ± 0.076 96
3 0.881 ± 0.037 105
5 0.878 ± 0.053 104
10 1 ± 0.133 119
20 1.068 ± 0.096 127
40 1.564 ± 0.059 186
80 1.957 ± 0.163 232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 0.734 ± 0.094 100
벚나무

 
 
 
 
 
1 0.56 ± 0.034 76
3 0.575 ± 0.059 78
5 0.767 ± 0.059 104
10 1.044 ± 0.075 142
20 1.149 ± 0.098 157
40 1.631 ± 0.096 222
80 1.996 ± 0.136 272
벚나무
줄기-수피
 
 
 
 
 
1 0.812 ± 0.048 111
3 0.936 ± 0.13 127
5 0.987 ± 0.102 134
10 1.458 ± 0.122 199
20 1.511 ± 0.051 206
40 1.63 ± 0.108 222
80 1.808 ± 0.11 246
복사나무

 
 
 
 
 
1 0.729 ± 0.109 99
3 0.819 ± 0.036 112
5 0.77 ± 0.055 105
10 0.802 ± 0.137 109
20 0.792 ± 0.04 108
40 1.144 ± 0.115 156
80 1.678 ± 0.073 228
복사나무
줄기-수피
 
 
 
 
 
1 1.003 ± 0.132 137
3 1.18 ± 0.113 161
5 1.425 ± 0.114 194
10 1.755 ± 0.12 239
20 2.062 ± 0.084 281
40 2.208 ± 0.116 301
80 2.218 ± 0.117 302
복사나무
잎,줄기
 
 
 
 
 
1 0.922 ± 0.135 126
3 0.966 ± 0.093 131
5 1.082 ± 0.101 147
10 1.121 ± 0.036 153
20 1.325 ± 0.106 180
40 2.113 ± 0.091 288
80 2.139 ± 0.038 291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 0.713 ± 0.05 100
산벚나무

 
 
 
 
 
1 0.73 ± 0.045 102
3 0.876 ± 0.017 123
5 1.058 ± 0.088 148
10 1.194 ± 0.105 167
20 1.329 ± 0.03 186
40 2.036 ± 0.04 285
80 2.181 ± 0.111 306
산벚나무
줄기
 
 
 
 
 
1 0.866 ± 0.051 121
3 0.888 ± 0.103 124
5 1.133 ± 0.06 159
10 1.345 ± 0.067 189
20 1.532 ± 0.098 215
40 2.083 ± 0.067 292
80 2.219 ± 0.058 311
살구나무

 
 
 
 
 
1 0.823 ± 0.124 115
3 0.873 ± 0.152 122
5 0.915 ± 0.047 128
10 0.891 ± 0.13 125
20 1.078 ± 0.1 151
40 1.345 ± 0.008 189
80 1.467 ± 0.041 206
살구나무
줄기
 
 
 
 
 
1 0.876 ± 0.028 123
3 0.997 ± 0.022 140
5 1.034 ± 0.092 145
10 1.107 ± 0.098 155
20 1.147 ± 0.133 161
40 1.315 ± 0.047 184
80 1.666 ± 0.072 234
살구나무
줄기-수피
 
 
 
 
 
1 0.926 ± 0.023 130
3 0.855 ± 0.072 120
5 0.959 ± 0.092 134
10 1.181 ± 0.044 166
20 1.211 ± 0.13 170
40 2.238 ± 0.119 314
80 2.332 ± 0.081 327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 1.203 ± 0.089 100
섬개벚나무

 
 
 
 
 
1 1.348 ± 0.195 112
3 1.369 ± 0.197 114
5 1.548 ± 0.123 129
10 1.628 ± 0.019 135
20 1.69 ± 0.159 141
40 1.841 ± 0.104 153
80 2.331 ± 0.201 194
섬개벚나무
줄기-수피
 
 
 
 
 
1 1.209 ± 0.136 101
3 1.478 ± 0.232 123
5 1.627 ± 0.127 135
10 1.769 ± 0.189 147
20 1.578 ± 0.061 131
40 2.392 ± 0.032 199
80 3.04 ± 0.078 253
섬벚나무

 
 
 
 
 
1 1.166 ± 0.175 97
3 1.476 ± 0.073 123
5 1.478 ± 0.147 123
10 1.671 ± 0.074 139
20 1.546 ± 0.072 129
40 1.936 ± 0.091 161
80 2.381 ± 0.171 198
섬벚나무
줄기-수피
 
 
 
 
 
1 1.221 ± 0.129 101
3 1.651 ± 0.194 137
5 1.537 ± 0.134 128
10 1.941 ± 0.115 161
20 1.983 ± 0.231 165
40 3.026 ± 0.089 252
80 3.382 ± 0.159 281
앵도
잎,줄기
 
 
 
 
 
1 1.123 ± 0.12 93
3 1.157 ± 0.102 96
5 1.225 ± 0.122 102
10 1.133 ± 0.029 94
20 1.142 ± 0.074 95
40 1.666 ± 0.096 138
80 1.676 ± 0.052 139
식물명 추출물 농도
(㎍/㎖)
흡광도 값 세포생존율 (%)
- - 0.921 ± 0.052 100
열녀목
잎,줄기
 
 
 
 
 
1 1.092 ± 0.065 118
3 1.02 ± 0.155 111
5 1.194 ± 0.116 130
10 1.478 ± 0.118 160
20 1.774 ± 0.087 193
40 2.346 ± 0.171 255
80 2.405 ± 0.139 261
올벚나무
줄기-수피
 
 
 
 
 
1 1.099 ± 0.121 119
3 1.198 ± 0.126 130
5 1.132 ± 0.119 123
10 1.804 ± 0.215 196
20 2.156 ± 0.355 234
40 3.029 ± 0.05 329
80 3.104 ± 0.052 337
올벚나무
잎,줄기
 
 
 
 
 
1 1.066 ± 0.098 116
3 1.097 ± 0.065 119
5 1.063 ± 0.076 115
10 1.635 ± 0.169 177
20 2.079 ± 0.02 226
40 2.109 ± 0.107 229
80 2.34 ± 0.128 254
왕벚나무
잎,꽃
 
 
 
 
 
1 1.054 ± 0.036 114
3 0.962 ± 0.132 104
5 0.964 ± 0.116 105
10 1.266 ± 0.033 137
20 1.261 ± 0.042 137
40 1.918 ± 0.129 208
80 2 ± 0.033 217
왕벚나무
줄기
 
 
 
 
 
1 1.091 ± 0.074 118
3 1.283 ± 0.145 139
5 1.232 ± 0.009 134
10 2.166 ± 0.055 235
20 2.285 ± 0.089 248
40 2.824 ± 0.089 307
80 3.089 ± 0.097 335
자두나무
줄기
 
 
 
 
 
1 0.982 ± 0.182 105
3 1.276 ± 0.123 137
5 1.232 ± 0.116 132
10 1.28 ± 0.14 139
20 1.616 ± 0.157 175
40 2.202 ± 0.18 239
80 2.49 ± 0.123 270
[실시예 3] 파골세포로의 분화 억제율 확인
골수 대식세포에서 RANKL(receptor activator of nuclear factor kappa-B ligand)에 의해 유도되는 파골세포로의 분화가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물에 의해 억제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 확인 실험을 수행하였다("Park EK. et al., Biochem Biophys Res Commun., 325 (4):1472-1480 (2004)" 참고).
분화 억제율 확인 실험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준비된 골수 대식세포를 96-웰에 5X104 cells/well개씩 분주하였다. 그 뒤, 각각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α-MEM(1%의 항생-항균 용액, 10% FBS, 30ng/ml의 M-CSF, 50ng/ml의 RANKL 첨가) 배지에 혼합하여 최종 볼륨이 200μl가 되도록 준비한 다음, 상기 분주된 골수 대식세포에 처리하고 37, 5% CO2 조건인 세포 배양기에서 2일마다 신선한(fresh) 배지로 교체하며 최종적으로 5일간 배양하여 실험군을 준비하였다. 음성 대조군으로는 1%의 항생-항균 용액, 10% FBS, 및 30ng/ml의 M-CSF가 첨가된 α-MEM을 사용하여 세포를 배양하여 준비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1%의 항생-항균 용액, 10% FBS, 30ng/ml의 M-CSF, 및 50ng/ml의 RANKL이 첨가된 α-MEM을 사용하여 상기 실험군과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그리고 배양된 세포의 측정은 TRAP assay kit(tartrate resistant acid phosphatase assay kit; Sigma-Aldrich, USA)를 통하여 염색 후 광학현미경으로 핵이 3개 이상에 해당하는 파골세포의 수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도 6 내지 도 15 및 표 16 내지 표 21에 나타내었다.
식물명 추출물 농도
(㎍/㎖)
RANKL로 유도한 파골세포의 수 파골세포로의
분화 억제율(%)
0 ± 0
RANKL 247 ± 8 0
많첩빈도리
잎, 꽃
 
RANKL + 10 239 ± 1 3
RANKL + 20 244 ± 6 1
RANKL + 40 102 ± 8 59
많첩빈도리
줄기
 
RANKL + 10 218 ± 3 12
RANKL + 20 193 ± 5 22
RANKL + 40 164 ± 6 33
매화말발도리
줄기
 
RANKL + 10 209 ± 1 15
RANKL + 20 176 ± 5 29
RANKL + 40 157 ± 1 37
매화말발도리

 
RANKL + 10 192 ± 6 22
RANKL + 20 118 ± 3 52
RANKL + 40 0 ± 0 100
물참대
꽃, 잎
 
RANKL + 10 227 ± 4 8
RANKL + 20 212 ± 4 14
RANKL + 40 167 ± 2 32
물참대
줄기
 
RANKL + 10 221 ± 4 10
RANKL + 20 166 ± 6 33
RANKL + 40 147 ± 4 40
바위말발도리

 
RANKL + 10 208 ± 4 16
RANKL + 20 177 ± 4 28
RANKL + 40 49 ± 1 80
바위말발도리
줄기
 
RANKL + 10 245 ± 8 1
RANKL + 20 218 ± 2 12
RANKL + 40 169 ± 10 31
지리말발도리
잎,줄기
 
RANKL + 10 249 ± 1 0
RANKL + 20 203 ± 4 18
RANKL + 40 147 ± 4 40
도 8, 도 9 및 표 1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산딸나무 및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곰의말채의 경우에는 잎 추출물과 줄기(수피)의 추출물에서 모두 높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말채나무의 잎 및 줄기의 추출물, 층층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과 잎 및 줄기 추출물, 그리고 과병 추출물에서 높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층층나무의 열매에서는 약간 낮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흰말채나무의 잎 및 줄기 추출물과 산딸나무의 잎 추출물, 줄기 추출물과 줄기(수피) 추출물에서도 현저히 높은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반면, 산딸나무의 열매 추출물에서는 낮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같은 식물이라도 잎, 줄기 등의 조직에 따라 서로 다른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산수유의 잎 및 줄기 추출물과 열매 추출물에서도 높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물명 추출물 농도
(㎍/㎖)
RANKL로 유도한 파골세포의 수 파골세포로의 분화 억제율 (%)
- - 0 ± 0 -
- RANKL 252 ± 4 0
곰의말채

 
RANKL + 10 9 ± 1 97
RANKL + 20 0 ± 0 100
RANKL + 40 0 ± 0 100
곰의말채
줄기-수피
 
RANKL + 10 0 ± 0 100
RANKL + 20 0 ± 0 100
RANKL + 40 0 ± 0 100
말채나무
잎,줄기
 
RANKL + 10 138 ± 11 45
RANKL + 20 7 ± 2 97
RANKL + 40 0 ± 0 100
층층나무
줄기-수피
 
RANKL + 10 0 ± 0 100
RANKL + 20 0 ± 0 100
RANKL + 40 0 ± 0 100
층층나무
잎,줄기
 
RANKL + 10 69 ± 2 73
RANKL + 20 16 ± 3 94
RANKL + 40 0 ± 0 100
층층나무
과병
 
RANKL + 10 24 ± 1 90
RANKL + 20 0 ± 0 100
RANKL + 40 0 ± 0 100
층층나무
열매
 
RANKL + 10 259 ± 12 0
RANKL + 20 185 ± 12 27
RANKL + 40 113 ± 7 55
흰말채나무
잎,줄기
 
RANKL + 10 33 ± 1 87
RANKL + 20 0 ± 0 100
RANKL + 40 0 ± 0 100
산딸나무
줄기
 
RANKL + 10 247 ± 16 2
RANKL + 20 189 ± 13 25
RANKL + 40 14 ± 1 95
산딸나무
열매
 
RANKL + 10 254 ± 8 0
RANKL + 20 239 ± 5 5
RANKL + 40 207 ± 4 18
산딸나무

 
RANKL + 10 256 ± 11 0
RANKL + 20 68 ± 4 73
RANKL + 40 0 ± 0 100
산딸나무
줄기-수피
 
RANKL + 10 202 ± 23 20
RANKL + 20 56 ± 11 78
RANKL + 40 0 ± 0 100
산수유
잎,줄기
 
RANKL + 10 242 ± 22 4
RANKL + 20 99 ± 4 61
RANKL + 40 0 ± 0 100
산수유
열매
 
RANKL + 10 247 ± 4 2
RANKL + 20 129 ± 1 49
RANKL + 40 0 ± 0 100
도 10, 도 11 및 표 18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개모시풀 및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개모시풀 전초 추출물과 거북꼬리 전초 추출물에서 높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물명 추출물 농도
(㎍/㎖)
RANKL로 유도한 파골세포의 수
 
파골세포로의
분화 억제율 (%)
- - 0 ± 0 -
- RANKL 199 ± 2 0
모시풀
전초
 
 
RANKL + 5 197 ± 11 1
RANKL + 10 197 ± 5 1
RANKL + 20 134 ± 10 32
RANKL + 50 98 ± 10 51
왕모시풀
전초
 
RANKL + 0.1 187 ± 14 6
RANKL + 0.5 178 ± 9 11
RANKL + 1 174 ± 18 13
섬모시풀
지상부
 
 
RANKL + 5 179 ± 10 10
RANKL + 10 179 ± 10 10
RANKL + 20 151 ± 15 24
RANKL + 50 145 ± 15 27
개모시풀
전초
 
 
RANKL + 5 196 ± 10 1
RANKL + 10 164 ± 10 17
RANKL + 20 133 ± 23 33
RANKL + 50 0 ± 0 100
좀깨잎나무
전초
 
 
RANKL + 5 185 ± 16 7
RANKL + 10 173 ± 13 13
RANKL + 20 148 ± 4 25
RANKL + 50 118 ± 9 41
거북꼬리
전초
 
 
RANKL + 5 146 ± 2 27
RANKL + 10 139 ± 7 30
RANKL + 20 0 ± 0 100
RANKL + 50 0 ± 0 100
풀거북꼬리
전초
 
 
RANKL + 5 178 ± 3 10
RANKL + 10 164 ± 5 18
RANKL + 20 159 ± 13 20
RANKL + 50 131 ± 1 34
도 12, 도 13 및 표 19에서 보는 바와 같이, 소사나무 및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개서어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과 잎 및 줄기 추출물, 그리고 서어나무의 꽃 추출물과 서어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에서 높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물명 추출물 농도
(㎍/㎖)
RANKL로 유도한
파골세포의 수
파골세포로의 분화 억제율 (%)
- - 0 ± 0 -
- RANKL 267 ± 4 0
개서어나무
줄기-수피
 
RANKL + 5 255 ± 6 4
RANKL + 10 88 ± 11 67
RANKL + 20 42 ± 8 84
개서어나무
잎,줄기
 
RANKL + 5 244 ± 8 9
RANKL + 10 87 ± 4 68
RANKL + 20 0 ± 0 100
까치박달
가지
 
RANKL + 5 169 ± 1 37
RANKL + 10 170 ± 5 37
RANKL + 20 103 ± 8 62
까치박달

 
RANKL + 5 239 ± 1 10
RANKL + 10 223 ± 4 16
RANKL + 20 149 ± 2 44
서어나무

 
RANKL + 10 233 ± 6 13
RANKL + 20 157 ± 5 41
RANKL + 40 27 ± 4 90
서어나무

 
RANKL + 10 222 ± 8 17
RANKL + 20 152 ± 11 43
RANKL + 40 74 ± 3 72
서어나무
줄기-수피
 
RANKL + 10 151 ± 4 43
RANKL + 20 50 ± 3 81
RANKL + 40 0 ± 0 100
소사나무
잎,줄기
 
RANKL + 1 258 ± 2 4
RANKL + 3 245 ± 10 8
RANKL + 5 237 ± 12 11
도 14, 도 15, 표 20 및 표 2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왕벚나무 및 이의 동속 식물 중에서는 개살구의 잎 추출물과 줄기 추출물, 줄기(수피) 추출물과 벚나무의 잎 추출물, 복사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 산벚나무의 잎 추출물과 줄기 추출물, 살구나무의 잎 추출물, 섬개벚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 섬벚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 올벚나무의 줄기(수피) 추출물, 왕벚나무의 줄기 추출물에서 높은 파골세포 분화 억제율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식물명 추출물 농도
(㎍/㎖)
RANKL로 유도한
파골세포의 수
파골세포로의 분화 억제율 (%)
- - 0 ± 0 -
- RANKL 269 ± 10 0
개벚나무
줄기-수피
 
RANKL + 10 244 ± 5 9
RANKL + 20 208 ± 10 23
RANKL + 40 108 ± 6 60
개살구

 
RANKL + 10 193 ± 16 28
RANKL + 20 129 ± 21 52
RANKL + 40 13 ± 2 95
개살구
줄기
 
RANKL + 10 169 ± 1 37
RANKL + 20 46 ± 8 83
RANKL + 40 14 ± 3 95
개살구
줄기-수피
 
RANKL + 10 221 ± 4 18
RANKL + 20 137 ± 5 49
RANKL + 40 25 ± 2 91
귀룽나무
잎,줄기,꽃
 
RANKL + 10 237 ± 5 12
RANKL + 20 235 ± 9 13
RANKL + 40 218 ± 4 19
벚나무

 
RANKL + 10 218 ± 9 19
RANKL + 20 94 ± 2 65
RANKL + 40 0 ± 0 100
벚나무
줄기-수피
 
RANKL + 10 205 ± 8 24
RANKL + 20 200 ± 13 26
RANKL + 40 79 ± 9 71
복사나무

 
RANKL + 10 246 ± 8 9
RANKL + 20 175 ± 14 35
RANKL + 40 122 ± 2 55
복사나무
줄기-수피
 
RANKL + 10 272 ± 8 0
RANKL + 20 156 ± 19 42
RANKL + 40 20 ± 1 93
식물명 추출물 농도
(㎍/㎖)
RANKL로 유도한 파골세포의 수 파골세포로의 분화 억제율 (%)
- - 0 ± 0 -
-
복사나무
잎,줄기
 
RANKL 269 ± 10 0
RANKL + 10 221 ± 18 18
RANKL + 20 210 ± 16 22
RANKL + 40 99 ± 13 63
산벚나무

 
RANKL + 10 217 ± 13 20
RANKL + 20 184 ± 6 32
RANKL + 40 0 ± 0 100
산벚나무
줄기
 
RANKL + 10 165 ± 5 39
RANKL + 20 33 ± 1 88
RANKL + 40 0 ± 0 100
살구나무

 
RANKL + 10 212 ± 12 21
RANKL + 20 109 ± 1 59
RANKL + 40 22 ± 3 92
살구나무
줄기
 
RANKL + 10 207 ± 16 23
RANKL + 20 174 ± 8 35
RANKL + 40 127 ± 7 53
살구나무
줄기-수피
 
RANKL + 10 234 ± 6 13
RANKL + 20 154 ± 6 43
RANKL + 40 70 ± 4 74
섬개벚나무

 
RANKL + 10 250 ± 3 7
RANKL + 20 174 ± 6 35
RANKL + 40 126 ± 8 53
섬개벚나무
줄기-수피
 
RANKL + 10 297 ± 5 0
RANKL + 20 128 ± 15 53
RANKL + 40 0 ± 0 100
섬벚나무

 
RANKL + 10 253 ± 13 6
RANKL + 20 219 ± 15 19
RANKL + 40 78 ± 6 71
식물명 추출물 농도
(㎍/㎖)
RANKL로 유도한
파골세포의 수
파골세포로의
분화 억제율 (%)
- - 0 ± 0 -
- RANKL 269 ± 10 0
섬벚나무
줄기-수피
RANKL + 10 180 ± 13 33
RANKL + 20 159 ± 4 41
RANKL + 40 53 ± 4 80
앵도
잎,줄기
RANKL + 10 189 ± 8 30
RANKL + 20 172 ± 12 36
RANKL + 40 106 ± 4 61
열녀목
잎,줄기
RANKL + 10 251 ± 6 7
RANKL + 20 271 ± 2 0
RANKL + 40 194 ± 8 28
올벚나무
줄기-수피
RANKL + 10 267 ± 4 1
RANKL + 20 187 ± 9 31
RANKL + 40 48 ± 6 82
올벚나무
잎,줄기
RANKL + 10 261 ± 15 3
RANKL + 20 218 ± 14 19
RANKL + 40 68 ± 4 75
왕벚나무
잎,꽃
RANKL + 10 243 ± 9 10
RANKL + 20 194 ± 15 28
RANKL + 40 71 ± 1 74
왕벚나무
줄기
RANKL + 10 121 ± 6 55
RANKL + 20 59 ± 6 78
RANKL + 40 0 ± 0 100
자두나무
줄기
RANKL + 10 271 ± 4 0
RANKL + 20 270 ± 13 0
RANKL + 40 278 ± 6 0
또한, 표 22 및 표 23에서 보는 바와 같이, 0에 해당하는 양성 대조군에 비하여 파골세포 분화 억제 정도 및 추출물의 농도의 차이는 일부 존재하였지만 대부분의 실험군에서 파골세포 분화를 억제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각 추출물들은 세포 독성이 없거나 크지 않는 농도에서 산딸나무 잎, 굴피나무 잎, 바위말발도리나무 잎 및 꽃, 담쟁이 덩굴 잎 및 줄기, 왕벚나무 잎, 소사나무 잎, 가죽나무 잎 및 개모시풀 잎은 특히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번호 식물명 추출물의 농도
(μg/ml)
RANKL로 분화한
파골세포의 수
파골세포로의 분화억제율(%)
음성대조군 - 0 ± 0 -
양성대조군 RANKL 381 ± 5 0
7-28 개모시풀 잎 RANKL + 5 373 ± 6 2
RANKL + 9 253 ± 6 34
양성대조군 RANKL 298 ± 9 0
7-10 바위말발도리
잎 및 꽃
RANKL + 5 17 ± 2 94
RANKL + 10 0 ± 0 100
7-18 산딸나무 잎 RANKL + 5 10 ± 1 97
RANKL + 10 0 ± 0 100
7-23 소사나무 잎 RANKL + 5 184 ± 8 38
RANKL + 10 51 ± 4 83
7-29 왕벚나무 잎 RANKL + 5 158 ± 9 47
RANKL + 10 107 ± 2 64
번호 추출물 농도
(μg/ml)
파골세포로의 분화억제율(%)
7-1 10 세포독성 있음
20 세포독성 있음
7-4 10 40
20 47.1
7-5 10 65.9
20 100
7-6 10 59.8
20 67.5
7-7 10 42.3
20 60.4
7-8 10 72.1
20 100
7-9 10 13
20 28.4
7-10 10 100
20 100
7-11 10 23.1
20 31.2
7-12 10 36.1
20 36.4
7-13 10 28.7
20 34.5
7-14 10 25.3
20 40.3
7-15 10 19
20 7.77
7-16 10 39.9
20 27
7-17 10 0
20 24.2
7-18 10 100
20 100
7-19 10 10.6
20 28.1
7-20 10 4.2
20 6
7-21 10 28.1
20 23.1
7-22 10 99.1
20 100
7-23 10 85
20 100
7-25 10 8.1
20 15
7-26 10 0
20 12.6
7-27 10 15
20 52.5
7-28 10 99.4
20 100
7-29 10 71.8
20 86
7-30 10 29
20 37
7-31 10 33
20 35
7-32 10 20
20 52
7-33 10 18.2
20 68.4
상기 결과들을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들을 이용하면 낮은 부작용으로 대식세포에서 파골세포로의 분화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들을 효과적으로 골질환의 예방 및 치료에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결과를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Claims (13)

  1. 층층나무속(Cornus) 식물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로서,
    상기 층층나무속 식물군은 곰의말채 잎, 곰의말채 수피, 말채나무 잎, 말채나무 줄기, 층층나무 잎, 층층나무 줄기, 층층나무 수피, 층층나무 과병, 흰말채나무 잎, 흰말채나무 줄기, 산딸나무 잎, 및 산딸나무 수피인 것인,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은 파골세포의 골 흡수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골감소증,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골형성 부전증, 골위축, 파제트(paget's disease), 치주염(periodontit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대사성 골질환 및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유발되는 뼈의 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약학 조성물.
  5. 층층나무속(Cornus) 식물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질환 개선 및 완화용 식품 조성물로서,
    상기 층층나무속 식물군은 곰의말채 잎, 곰의말채 수피, 말채나무 잎, 말채나무 줄기, 층층나무 잎, 층층나무 줄기, 층층나무 수피, 층층나무 과병, 흰말채나무 잎, 흰말채나무 줄기, 산딸나무 잎, 및 산딸나무 수피인 것인, 식품 조성물.
  6. 삭제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은 파골세포의 골 흡수에 의해 유발되는 것인, 식품 조성물.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골감소증,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골형성 부전증, 골위축, 파제트(paget's disease), 치주염(periodontit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대사성 골질환 및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유발되는 뼈의 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식품 조성물.
  9. (a) 층층나무속(Cornus) 식물군으로 이루어진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식물을 수득하여 분말화 하는 단계; 및
    (b) 상기 분말을 용매추출장치에서 유기용매로 추출한 뒤 여과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의 제조방법으로서,
    상기 층층나무속 식물군은 곰의말채 잎, 곰의말채 수피, 말채나무 잎, 말채나무 줄기, 층층나무 잎, 층층나무 줄기, 층층나무 수피, 층층나무 과병, 흰말채나무 잎, 흰말채나무 줄기, 산딸나무 잎, 및 산딸나무 수피인 것인, 제조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추출장치의 온도는 30°C 내지 60°C인, 제조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에탄올 또는 메탄올로 추출하는 것인, 제조방법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조방법은 (b) 단계 이후에 여과된 여과액을 농축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제조방법.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골질환은 상기 골질환은 골다공증, 골연화증, 구루병, 골감소증, 섬유성 골염, 무형성 골질환, 골형성 부전증, 골위축, 파제트(paget's disease), 치주염(periodontitis),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대사성 골질환 및 암세포의 골전이에 의해 유발되는 뼈의 손상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인, 제조방법.
KR1020170110780A 2016-09-07 2017-08-31 층층나무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19546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14855 2016-09-07
KR1020160114855 2016-09-07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9296A Division KR101954190B1 (ko) 2016-09-07 2018-07-31 모시풀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018A KR20180028018A (ko) 2018-03-15
KR101954696B1 true KR101954696B1 (ko) 2019-03-07

Family

ID=61561524

Famil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781A KR101924532B1 (ko) 2016-09-07 2017-08-31 서어나무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70110780A KR101954696B1 (ko) 2016-09-07 2017-08-31 층층나무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70110779A KR101954695B1 (ko) 2016-09-07 2017-08-31 말발도리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80089296A KR101954190B1 (ko) 2016-09-07 2018-07-31 모시풀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80135066A KR101968534B1 (ko) 2016-09-07 2018-11-06 벚나무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80135075A KR101957422B1 (ko) 2016-09-07 2018-11-06 자두아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781A KR101924532B1 (ko) 2016-09-07 2017-08-31 서어나무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10779A KR101954695B1 (ko) 2016-09-07 2017-08-31 말발도리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80089296A KR101954190B1 (ko) 2016-09-07 2018-07-31 모시풀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80135066A KR101968534B1 (ko) 2016-09-07 2018-11-06 벚나무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1020180135075A KR101957422B1 (ko) 2016-09-07 2018-11-06 자두아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6) KR101924532B1 (ko)
WO (1) WO201804814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356A1 (ko) * 2021-12-16 2023-06-2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층층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571B1 (ko) 2018-04-11 2020-11-23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시클로피록스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186886B1 (ko) * 2018-07-11 2020-12-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프루누스 자마사쿠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4776A (ko) * 2018-11-29 2020-06-08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도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절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99357A (ko) 2019-02-14 2020-08-24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벚나무 껍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15187B1 (ko) * 2019-06-25 2022-07-01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유백피 및 산수유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4000622A4 (en) * 2019-07-15 2022-10-05 Industry Foundation of Chonnam National University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BONE DISEASES
KR102481063B1 (ko) 2020-06-30 2022-12-27 한국콜마주식회사 살구나무꽃의 향취를 재현한 향료 조성물
KR102640518B1 (ko) * 2020-12-11 2024-02-27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프루누스 속 식물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코로나 바이러스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303A (ja) * 2001-09-17 2003-06-20 Suzuka Univ Of Medical Science 特定植物含有組成物と該組成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品と保健用食品
JP2005281221A (ja) 2004-03-30 2005-10-13 Taisho Pharmaceut Co Ltd 骨吸収抑制剤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08628A (en) * 1998-05-01 1999-06-01 Hou; Liping Compositions with analgesic, antipyretic and antiinflammatory properties
US6350476B1 (en) * 2000-05-22 2002-02-26 Shanxi Zhengzhon Pharmaceutical Co., Ltd. Herbal chinese joint complex
EP1370272A1 (en) * 2001-03-02 2003-12-17 Biopharmacopae Design International Inc. Inhibitors of extracellular proteases
EP1407777B8 (en) * 2001-06-15 2009-08-05 Kyowa Hakko Bio Co., Ltd. Hydrangea(e)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rthritis
EP1325681A1 (en) * 2001-12-11 2003-07-09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Composition for promotion of bone growth and maintenance of bone health
JP2007137775A (ja) * 2005-11-15 2007-06-07 Kaneka Corp 破骨細胞分化抑制因子(opg)産生促進用組成物
KR100823354B1 (ko) * 2006-07-14 2008-04-1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복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골 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1256925B1 (ko) * 2010-11-02 2013-04-19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2016108301A (ja) * 2014-12-10 2016-06-20 サンスター株式会社 骨芽細胞分化促進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1303A (ja) * 2001-09-17 2003-06-20 Suzuka Univ Of Medical Science 特定植物含有組成物と該組成物を有効成分とする医薬品と保健用食品
JP2005281221A (ja) 2004-03-30 2005-10-13 Taisho Pharmaceut Co Ltd 骨吸収抑制剤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14, 43(1), pp. 118-127*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3113356A1 (ko) * 2021-12-16 2023-06-22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층층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석회화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8017A (ko) 2018-03-15
KR20180088780A (ko) 2018-08-07
KR101954190B1 (ko) 2019-03-05
KR20180123210A (ko) 2018-11-15
KR101957422B1 (ko) 2019-03-12
KR101954695B1 (ko) 2019-03-07
KR20180122983A (ko) 2018-11-14
WO2018048140A1 (ko) 2018-03-15
KR101924532B1 (ko) 2018-12-03
KR20180028019A (ko) 2018-03-15
KR20180028018A (ko) 2018-03-15
KR101968534B1 (ko) 2019-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8534B1 (ko) 벚나무속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Yasmin et al. Saffron as a valuable spice: A comprehensive review
US10155019B2 (en) Method for improving gingivitis and periodontitis by antibacterial, antioxidant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and inhibition of alveolar bone loss of complex extracts of moringa leaf and eucommia bark
Schmitzer et al. European elderberry (Sambucus nigra L.) and American Elderberry (Sambucus canadensis L.): Botanical, chemical and health properties of flowers, berries and their products
Del Tredici The evolution, ecology, and cultivation of Ginkgo biloba
KR10194778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스트레스 완화, 피로회복 또는 운동수행능력 증강용 식품 조성물
KR101479414B1 (ko) 순비기나무, 도꼬마리, 소리쟁이, 민들레, 어성초, 호호바오일과 티트리오일, 아마씨오일, 박하유, 시금치, 무청, 양배추, 프로폴리스, 쌀뜨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의 홍조현상과 미백에 관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92673A (ko) 혈압강하용 식이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Ahlawat et al. Black mulberry (Morus nigra)
KR20170115873A (ko) 과실과 구근을 혼합한 즙의 제조방법
Ravindran et al. Under-utilized herbs and spices
Hernández-Herrera et al. Mexican Desertic Medicinal Plants
Meena et al. Underutilized fruit crops of Indian arid and semi-arid regions: importanc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trategies. Horticulturae 2022, 8, 171
KR20120000250A (ko) 좀깨잎나무(Boehmeria spicata Thunb)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KR102410704B1 (ko) 화살나무속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25930B1 (ko) 적단심계 무궁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665875B1 (ko) 국내자생식물을 이용한 전립선 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227555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2623978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 및 성장을 증대시키는 새싹삼의 수경재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새싹삼
KR102204188B1 (ko) 액상형 오자 조성물
Ramírez et al. UNDERUTILIZED FRUITS OF THE ANDES.
Basile et al. Underutilized Fruit Crops of Indian Arid and Semi-Arid Regions: Importance, Conservation and Utilization Strategies
Colţun et al. Some aspects of the development of Passiflora incarnata L. plants in the “Alexandru Ciubotaru” National Botanical Garden (Institute)
Ullah et al. Herbal remedies through cactus nutrients
Ayub et al. Zunaira Irshad1, Muhammad Asif Hanif1, Muhammad Adnan Ayub2, Asma Hanif1, Hassan Imran Afridi3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