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4222B1 - 하체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하체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4222B1
KR101954222B1 KR1020170022251A KR20170022251A KR101954222B1 KR 101954222 B1 KR101954222 B1 KR 101954222B1 KR 1020170022251 A KR1020170022251 A KR 1020170022251A KR 20170022251 A KR20170022251 A KR 20170022251A KR 101954222 B1 KR101954222 B1 KR 101954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gment
chair seat
user
recess
exerc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96062A (ko
Inventor
김주연
Original Assignee
김주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주연 filed Critical 김주연
Priority to KR1020170022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4222B1/ko
Priority to PCT/KR2018/002061 priority patent/WO2018151577A1/ko
Priority to US16/487,193 priority patent/US20210093914A1/en
Priority to CN201890000505.XU priority patent/CN211068928U/zh
Priority to JP2019600176U priority patent/JP3225096U/ja
Priority to DE112018000910.6T priority patent/DE112018000910B4/de
Publication of KR20180096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6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4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9Specific exercise interfaces contoured to fit to specific body parts, e.g. back, knee or neck suppor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23Wound sprin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4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attached to static foundation, e.g. a user
    • A63B21/0407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 A63B21/0421Anchored at two end points, e.g. installed within an apparatus the ends moving relatively by a pivoting arrang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16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 A63B21/1609Supports for anchoring force-resisters for anchoring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63B21/4033Handles, pedals, bars or platfor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41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movements of the interface
    • A63B21/4047Pivo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3516For both arms together or both legs together; Aspects related to the co-ordination between right and left side limbs of a user
    • A63B23/03533With separate means driven by each limb, i.e. performing different movements
    • A63B23/03541Moving independently from each oth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8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 A63B23/048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primarily by articulating the hip joints by spreading the leg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71/00Games or sports accessories not covered in groups A63B1/00 - A63B69/00
    • A63B71/0054Features for injury prevention on an apparatus, e.g. shock absorbers
    • A63B2071/0063Shock absorber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8/00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 A63B2208/02Characteristics or parameters related to the user or player posture
    • A63B2208/0228Sitting on the buttoc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09Adjustable dimens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 Special Chairs (AREA)

Abstract

사용자가 운동시 편안하면서도 정확한 자세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운동부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면서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하체 운동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의 의자시트는 안정감을 주기 위해 사용자의 둔부 곡선을 고려하고 운동수행 중 체중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며, 부드러운 곡면으로 일체로서 이어지는 제 1 세그멘트, 제 2 세그멘트 및 제 3 세그멘트를 포함한다. 사용자가 의자시트에 앉을 때 제 3 세그멘트(213)에는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부위가 접촉된다. 제 3 세그멘트의 상측 경계에서부터 의자시트의 전방 테두리 사이에는 평평한 상부 덮개부분이 형성되며, 상부 덮개부분과 제 3 세그멘트 아래에는 운동 어셈블리(300)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되고, 운동 어셈블리(300)는 의자시트의 전방 테두리중 중앙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된 리세스 입구를 통해서 리세스 내에 삽입하여 배치된다.

Description

하체 운동기구 {Exercise and sporting apparatus suited for lower body}
본 발명은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체에 대한 운동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고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운동강도를 편리하게 조정하여 설정할 수 있으므로, 운동 시 편안하고 정확한 자세의 유지가 가능하여 운동효과가 탁월하며 사용이 편리한 하체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들은 도심화된 환경으로 인하여 활동공간이 축소되었고 그에 따라 활동량과 운동량이 급격하게 줄어들고 있다. 그로 인해서 비만, 각종 성인병, 스트레스, 소화계 질병, 골격변형, 골다공증 같은 골격계 이상의 질환 등에 시달리고 있다.
운동부족은 급격한 체력저하의 원인이 되는데, 기초체력은 경쟁사회에서 자신을 지탱해주는 원동력이다. 현대사회를 살아가는데 있어서 필요한 체력과 힘을 기르고 운동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각종 질병을 예방하며 정신적으로나 신체적으로 건강한 삶을 영위하기 위해 운동의 필요성이 큰 화두가 되고 있다.
운동은 신체기관과 기능을 건강한 상태로 유지하고 증진시키기 위한 활동으로서,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지 않으면 근육량이 감소되어서 근육이 쇄약해지고 뼈가 약해져서 골다공증에 걸리기 쉽고 뼈가 굽고 휘어지는 골격질환 등의 이상이 발생된다. 특히, 운동부족으로 체지방이 증대되면 비만이 되고, 비만은 각종 성인병의 주범이다.
운동을 하게 되면 체지방 제거, 근육량 증대, 스트레스 해소, 심박출량 증가로 심혈관계질환의 예방, 뇌 활동이 활발해지고 바른자세와 체형교정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게다가, 소화력이 촉진되고 몸에 저항력이 생기고 유연성과 근력이 향상된다.
우리 몸에서 하체는 근육량이 가장 많은 곳이다. 즉, 운동할 때 에너지 소모가 가장 큰 부위이므로, 활발한 에너지 소모를 통해 체지방 감소에 큰 도움을 준다. 또한, 근육량이 늘면 기초대사량도 올라가기 때문에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해주는 기초대사량 상승에도 큰 영향을 준다. 꾸준한 하체운동을 하게 되면 하체와 엉덩이근육이 발달하고 관절을 지탱하는 힘이 늘어나기 때문에 무릎과 고관절의 관절염을 예방 및 개선할 수 있다.
최근 경제활동으로 쉴틈 없이 바쁜 현대인들의 건강증진을 위해 다양한 하체운동기구들이 개발 시판되고 있는데, 첨부도면 도 9에는 종래의 하체 단련기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종래의 하체 단련기에서는 회동부재들(20,40)이 좌판(1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어 그 일단부가 외측으로 돌출하여 연장 형성되어있고, 회동부재들(20,40)의 일단부에는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되는 압박부재들(30,50)이 설치되어 있고, 압박부재들(30,50)에 외력이 가해지면 회동부재들(20,40)도 동시에 회동되는 구조이고, 압박부재들(30,50)이 이동된 이후에 외력이 제거되면 복귀수단에 의해서 압박부재들(30,50)을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방식이다.
그런데,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하체 단련기는 운동을 위해 사용자가 앉게 되는 좌판이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지 않아서 운동시 밀착되지 않고 미끄러지기 쉬워서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는 것은 물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운동시 운동을 멈추고 자세를 바로잡아야만 하기 때문에 운동의 효율성을 저해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의 허벅지 부위와 접촉하게 되는 압박부재들도 운동의 편의성을 강화하기 위한 설계상의 고려가 없어서 원하는 운동효과를 달성할 수 없었다. 게다가, 사용자들의 신체적인 조건에 따라서 회동부재들과 압박부재들의 텐션을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지 않기 때문에 사용상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104815호(공개일자: 2012년 9월 2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6995호(등록일자: 2013년 3월 18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92602호(등록일자: 2008년 1월 2일)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가 운동시 편안하면서도 정확한 자세의 유지를 가능하게 하고 운동부하를 편리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면서 운동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하체 운동기구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의자시트, 및 상기 의자시트에 일체로 조립되는 운동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하체 운동기구에 있어서,
상기 의자시트는 안정감을 주기 위해 사용자의 둔부 곡선을 고려하고 운동수행중 체중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며, 부드러운 곡면으로 일체로서 이어지는 제 1 세그멘트, 제 2 세그멘트 및 제 3 세그멘트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 1 세그멘트에 대향하여 상기 제 2 세그멘트의 전방에는 상기 제 3 세그멘트가 상방향으로 일정높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의자시트에 앉을 때 상기 제 3 세그멘트에는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부위가 접촉되고, 상기 제 3 세그멘트의 상측 경계에서부터 상기 의자시트의 전방 테두리 사이에는 평평한 상부 덮개부분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덮개부분과 상기 제 3 세그멘트 아래에는 상기 운동 어셈블리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가 형성되고, 상기 운동 어셈블리는 상기 리세스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의자시트의 전방 테두리중 중앙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된 리세스 입구를 통해서 상기 리세스 내에 삽입하여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를 제공한다.
상기 제 1 세그멘트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 2 세그멘트의 곡률반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세그멘트와 상기 제 2 세그멘트의 중심부는 각각의 가장자리 부위보다 1~3cm의 깊이로 부드럽게 하방향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동 어셈블리는,
상기 의자시트에 형성된 상기 리세스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의자시트의 전방 테두리 아래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장착되는 지지판;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 상에 돌출하여 형성된 가이드 레일;
상기 가이드 레일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판에 고정 장착된 가이드 블록;
상기 가이드 블록의 상부에 장착된 나사봉 형태의 작동로드;
상기 작동로드의 일측에 부착된 핸들;
상기 작동로드의 타측에 부착된 연결블록;
상기 연결블록의 양측에 각각 일측이 고정 부착된 한쌍의 인장스프링;
상기 인장스프링의 타측이 선단부에 고정되고, 선회축에 의해서 상기 지지판의 상부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아암; 및
상기 아암의 후단부에 일체로 부착된 압박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지지판의 상대적으로 작은 폭방향을 따라서 상기 지지판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운동 어셈블리가 상기 리세스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은 상기 의자시트의 전방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블록은 상기 핸들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작동로드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에 의해 일측이 상기 연결블록에 고정 부착된 상기 인장스프링의 텐션이 조정되며, 상기 압박부재는 소정의 쿠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하체운동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자가 착석하게 되는 의자시트를 사용자의 둔부형상을 고려하여 인체공학적으로 설계함으로써, 운동시 사용자의 좌골결절에 작용하는 압력이 적절히 분산되고 둔부가 고정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게 되고 피로감을 줄여주게 된다. 또한, 운동시 큰 하중이 작용하게 되는 대퇴부의 압력도 적절히 분산 감소되고, 국소부분과 꼬리뼈에 가해지는 압박이 최소화되므로 안락감과 신뢰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의자시트에 앉은 상태에서 의자시트의 전방 외부로 노출된 작동로드의 핸들을 편리하게 조작하여 운동부하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동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게다가, 사용자의 허벅지에 밀착되는 압박부재에 쿠션을 제공하여 운동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의 평면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하체 운동기구의 저면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하체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하체 운동기구에 적용되어 있는 의자 시트의 평면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의자 시트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도시된 하체 운동기구의 측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의 운동 어셈블리만 구조와 이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및
도 9는 종래기술에 따른 하체 단련기 구조를 나타낸 도면.
본 출원의 도면과 그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발표한 기구 및 방식들의 장점 및 다른 특징들은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나타낸 첨부도면들을 참조한 상세한 설명을 통해서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게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다르게 강조하지 않는 한, 도면을 통해서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요소들은 유사하거나 대응하는 참조부호들로서 나타내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기 전, 본 발명은 하기의 명세서에 발표하거나 도면에 나타낸 구성 및 부품들의 배열로 본 출원에서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이 가능하고 다양한 방식으로 실행 및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채용된 어법과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좌측, 우측, 위 및 아래와 같이 여기에서 사용한 모든 비교 설명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지지만, 제한적인 개념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설명한 실시 예들은 어떤 실시 예들의 가변적인 사항들의 바람직한 특징들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해할 수 있으며, 그러므로 특징들, 부품들, 모듈들, 요소들 및/또는 설명의 양태들은 개시된 장치나 방법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벗어남이 없이 결합, 상호연결, 순서화, 분리, 교환, 위치 및/또는 재배열될 수 있다. 부품들의 형상 및 크기는 예시적인 것이며, 달리 명시되지 않는한 발표한 발명에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거나 제한함이 없이 변경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하체 운동기구(100)는 주로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의자시트(200), 및 상기 의자시트(200)에 일체로 조립되고 사용자로 하여금 하체를 단련시키기 위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하는 운동 어셈블리(300)를 포함한다.
도 4 내지 도 6에는 의자시트(200)가 확대하여 도시되어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설계된 의자시트(200)는 하체운동을 하기 위해 착석하게 되는 사용자의 둔부 곡선을 고려하고 이와 함께 운동수행 동작에 맞게 체중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된 것이다. 사용자가 의자에 앉을 때 의자는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게 되는데, 그것은 의자와 엉덩이가 서로 밀쳐내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의자시트는 사용자의 엉덩이가 부드럽게 들락날락할 수 있되 의자시트에 앉았을 때 들뜨지 않고 밀착되도록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엉덩이가 의자시트에 밀착되지 않은 상태로 강도 높은 운동을 수행하게 되면, 엉덩이가 뻐근해지는 느낌을 넘어서서 심한 통증을 느끼게 되고 때에 따라서는 다리가 저린 느낌까지 느끼게 된다. 결론적으로, 의자시트의 인체공학적 설계가 중요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르면, 의자시트(200)는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는데, 의자시트의 상부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제 1 세그멘트(211), 제 2 세그멘트(212) 및 제 3 세그멘트(213)로 이루어지는데, 제 1 세그멘트(211)와 제 2 세그멘트(212)는 부드러운 곡면으로 이어진다. 이때, 제 1 세그멘트(211)의 곡률반경은 제 2 세그멘트(212)의 곡률반경보다 작다.
사용자가 의자시트(200)에 앉을 때 제 1 세그멘트(211)에는 사용자의 꼬리뼈 아랫쪽 엉덩뼈 부위가 안착하게 되는 위치이다. 제 1 세그멘트(211)의 중심부는 가장자리보다 약 1~3cm의 깊이로 부드럽게 하방향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의자시트(200)에 앉게 되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 형상을 고려하여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부드럽게 만곡된다. 이러한 형상에 의해서 제 1 세그멘트(211)에 위치하게 되는 좌골결절(엉덩이뼈) 중심에 사용자의 체중이 균등하게 분산 분포하게 되는 것이다.
사용자가 의자시트(200)에 앉을 때 제 2 세그멘트(212)에는 사용자의 엉덩이 앞쪽부위와 허벅지부위가 안착하게 된다. 제 1 세그멘트(211)와 마찬가지로, 제 2 세그멘트(212)의 중심부는 가장자리보다 약 1~3cm의 깊이로 부드럽게 하방향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되며, 의자시트(200)에 앉게 되는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 형상을 고려하여 중심부로부터 가장자리로 갈수록 상방향으로 부드럽게 만곡된다. 이때, 제 2 세그멘트(212)의 곡률반경은 제 1 세그멘트(211)의 곡률반경보다 크므로, 제 2 세그멘트(212)는 제 1 세그멘트(211)보다 평평하게 형성된다. 제 2 세그멘트(212)는 제 3 세그멘트(213)를 포위하는 형태로 제 3 세그멘트(213)의 좌우측을 지나서 의자시트(200)의 전방테두리까지 연장된다. 의자시트(200)의 수평면을 기준으로 볼 때, 제 2 세그멘트(212)의 전방 테두리(212a)는 제 1 세그멘트(211)의 후방 테두리(211a)보다 낮게 형성된다.
제 3 세그멘트(213)는 제 1 세그멘트(211)에 대향하여 제 2 세그멘트(212)의 전방에 상방향으로 일정높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된다. 사용자가 의자시트(200)에 앉을 때 제 3 세그멘트(213)에는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부위가 접촉하게 된다. 이때, 제 3 세그멘트(213) 좌우측의 제 2 세그멘트(212)에는 사용자의 허벅지 밑 부위가 안착된다. 제 3 세그멘트(213)의 상측 경계에서부터 의자시트(200)의 전방 테두리 사이에는 평평한 상부 덮개부분(214)이 형성된다. 상부 덮개부분(214)과 제 3 세그멘트(213) 아래에는 운동 어셈블리(300)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220)가 형성된다. 운동 어셈블리(300)는 리세스(220)에 접근할 수 있도록 의자시트(200)의 전방 테두리(212a)중 중앙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된 리세스 입구(222)를 통해서 상기 리세스(220) 내에 삽입하여 배치된다. 의자시트(200)의 하부면 전방에 제공된 리세스(220)에는 운동 어셈블리(300)의 일부분이 삽입 배치된다. 의자시트(200)의 하부면상에서 리세스(220)의 주변에는 다수의 보강 리브들(230)이 하방향으로 돌출하여 형성된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0)의 운동 어셈블리(300)의 구조와 이의 사용 상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운동 어셈블리(300)는 평평한 판재형상의 지지판(310)을 포함한다. 지지판(310)은 운동 어셈블리(300)의 부품들을 고정 지지하는 역할과 함께, 운동 어셈블리(300)가 의자시트(200)의 리세스(220)내로 삽입될 때, 의자시트(200)의 리세스(220)를 덮는 하부 덮개부분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지지판(310)은 의자시트(200)에 형성된 리세스(220)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지며, 의자시트(200)의 전방 테두리 아래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장착된다. 지지판(310)의 상부면 상에는 가이드 레일(311)이 돌출하여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311)은 지지판(310)의 상대적으로 작은 폭방향을 따라서 지지판(310)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된다.
가이드 레일(311)의 하부 주변에서 지지판(310)에는 가이드 블록(320)이 장착된다. 가이드 블록(320)의 상부에는 나사봉 형태의 작동로드(330)가 장착된다. 작동로드(330)는 가이드 레일(311)과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되는데, 작동로드(330)의 일측에는 핸들(332)이 부착되고, 작동로드(330)의 타측에는 연결블록(334)이 부착되어 있다. 운동 어셈블리(300)가 의자시트(200)의 리세스(220)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작동로드(330)의 핸들(332)은 의자시트(200)의 전방으로 노출된다.
작동로드(330)의 타측에서 연결블록(334)과 작동로드(330)의 말단 사이에는 걸림편(331)이 고정되어 있다. 걸림편(331)은 연결블록(334)이 작동로드(330)의 타측 말단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연결블록(334)은 작동로드(330)의 일측에 부착된 핸들(332)의 조작에 의해서 나사봉 형태의 작동로드(330)를 따라서 전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연결블록(334)의 양측에는 인장스프링(322)의 일측이 부착 고정된다. 인장스프링(322)의 타측은 아암(324)의 선단부에 고정된다. 아암(324)은 아암(324)의 중앙부위에 제공된 선회축(326)에 의해서 지지판(310)의 상부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아암(324)의 후단부에는 압박부재(340)가 일체로 부착된다. 압박부재(340)는 사용자의 허벅지에 밀착하여 접촉할 수 있도록 일정두께를 갖는 평평한 판 형태를 갖는다. 압박부재(340)는 사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어느 정도는 쿠션을 갖도록 제조된다.
하기에서는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0)의 작동과정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하체 운동기구(100)를 사용하여 운동을 하기 위해서 먼저 의자시트(200)의 상부면상에 앉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의 둔부중 엉덩이뼈 근처의 부위는 제 1 세그멘트(211)에 안착되고 사용자의 엉덩이 앞쪽과 허벅지 부위는 제 2 세그멘트(212)에 안착된다. 그리고,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부위는 제 3 세그멘트(213)에 밀착된다.
인체공학적 설계에 의해서 제조된 의자시트(200)의 형상 및 구조에 의해서 사용자의 좌골결절에 작용하는 압력이 적절히 분산되고 둔부가 고정되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착석감을 제공하게 되고 피로감을 줄여주게 된다. 또한, 운동시 좌골결절의 두 끝부분 다음으로 큰 하중이 작용되는 대퇴부의 압력도 적절한 분산으로 감소됨은 물론, 국소부분과 꼬리뼈에 가해지는 압박이 최소화되므로 안락감과 신뢰성 및 안전성 향상 등에 큰 효과를 발휘하게 되는 것이다.
의자시트(200)에 앉은 상태에서 사용자는 작동로드(330)의 핸들(332)을 조작하여 운동의 부하를 조정하게 된다. 즉, 의자시트(200)의 전방 외부로 노출된 작동로드(330)의 핸들(332)을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돌리면, 연결블록(334)이 가이드 레일(311)을 따라서 전진 또는 후퇴를 하게 되는데, 이때 연결블록(334)에는 인장스프링(322)을 거쳐서 아암(324) 및 압박부재(340)가 연결되어 있으므로, 연결블록(334)의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인장스프링(322)의 텐션을 조절하여 운동부하를 조절하게 되는 것이다.
운동부하를 원하는 상태로 조절한 후에, 사용자는 아암(324)의 후단부에 일체로 연결된 압박부재(340)의 외측면이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에 접촉하도록 위치시킨 상태에서 허벅지를 오므렸다 폈다하는 동작을 반복하면서 하체 근력강화운동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표현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고, 그와 동등하거나,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하체 운동기구 200 : 의자시트
211,212,213 : 세그멘트 214 : 상부 덮개부분
220 : 리세스 300 : 운동 어셈블리
310 : 지지판 311 : 가이드 레일
320 : 가이드 블록 322 : 인장 스프링
324 : 아암 326 : 선회축
330 : 작동로드 332 : 핸들
334 : 연결블록 340 : 압박부재

Claims (5)

  1. 의자시트(200), 및 상기 의자시트(200)에 일체로 조립되는 운동 어셈블리(300)를 포함하는 하체 운동기구(100)에 있어서,
    상기 의자시트(200)는 안정감을 주기 위해 사용자의 둔부 곡선을 고려하고 운동수행중 체중을 골고루 분산시킬 수 있도록 인체공학적으로 설계되며, 부드러운 곡면으로 일체로서 이어지는 제 1 세그멘트(211), 제 2 세그멘트(212) 및 제 3 세그멘트(213)를 포함하고, 이때 상기 제 1 세그멘트(211)에 대향하여 상기 제 2 세그멘트(212)의 전방에는 상기 제 3 세그멘트(213)가 상방향으로 일정높이만큼 돌출하여 형성되며, 사용자가 상기 의자시트(200)에 앉을 때 상기 제 3 세그멘트(213)에는 사용자의 허벅지 안쪽부위가 접촉되고, 상기 제 3 세그멘트(213)의 상측 경계에서부터 상기 의자시트(200)의 전방 테두리 사이에는 평평한 상부 덮개부분(214)이 형성되며, 상기 상부 덮개부분(214)과 상기 제 3 세그멘트(213) 아래에는 상기 운동 어셈블리(300)를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220)가 형성되고, 상기 운동 어셈블리(300)는 상기 리세스(220)에 접근할 수 있도록 상기 의자시트(200)의 전방 테두리중 중앙부분을 일부 절개하여 형성된 리세스 입구(222)를 통해서 상기 리세스(220) 내에 삽입하여 배치되며,
    상기 운동 어셈블리(300)는,
    상기 의자시트(200)에 형성된 상기 리세스(220)의 형상에 부합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의자시트(200)의 전방 테두리 아래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 장착되는 지지판(310); 상기 지지판(310)의 상부면 상에 돌출하여 형성된 가이드 레일(311); 상기 가이드 레일(311)의 일측에서 상기 지지판(310)에 고정 장착된 가이드 블록(320); 상기 가이드 블록(320)의 상부에 장착된 나사봉 형태의 작동로드(330); 상기 작동로드(330)의 일측에 부착된 핸들(332); 상기 작동로드(330)의 타측에 부착된 연결블록(334); 상기 연결블록(334)의 양측에 각각 일측이 고정 부착된 한쌍의 인장스프링(322); 상기 인장스프링(322)의 타측이 선단부에 고정되고, 선회축(326)에 의해서 상기 지지판(310)의 상부면에 선회가능하게 장착된 아암(324); 및 상기 아암(324)의 후단부에 일체로 부착된 압박부재(340); 를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311)은 상기 지지판(310)의 상대적으로 작은 폭방향을 따라서 상기 지지판(310)을 가로지르도록 형성되고, 상기 운동 어셈블리(300)가 상기 리세스(220)내로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핸들(332)은 상기 의자시트(200)의 전방으로 노출되고,
    상기 연결블록(334)은 상기 핸들(332)의 조작에 의해서 상기 작동로드(330)를 따라 전후방으로 이동 가능하고, 이에 의해 일측이 상기 연결블록(334)에 고정 부착된 상기 인장스프링(322)의 텐션이 조정되며, 상기 압박부재(340)는 소정의 쿠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세그멘트(211)의 곡률반경은 상기 제 2 세그멘트(212)의 곡률반경보다 작으며, 상기 제 1 세그멘트(211)와 상기 제 2 세그멘트(212)의 중심부는 각각의 가장자리 부위보다 1~3cm의 깊이로 부드럽게 하방향으로 들어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 운동기구.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70022251A 2017-02-20 2017-02-20 하체 운동기구 KR101954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251A KR101954222B1 (ko) 2017-02-20 2017-02-20 하체 운동기구
PCT/KR2018/002061 WO2018151577A1 (ko) 2017-02-20 2018-02-20 하체 운동기구
US16/487,193 US20210093914A1 (en) 2017-02-20 2018-02-20 Lower body exercise machine
CN201890000505.XU CN211068928U (zh) 2017-02-20 2018-02-20 下半身运动器械
JP2019600176U JP3225096U (ja) 2017-02-20 2018-02-20 下半身運動器具
DE112018000910.6T DE112018000910B4 (de) 2017-02-20 2018-02-20 Trainingsgerät für den Unterkörp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251A KR101954222B1 (ko) 2017-02-20 2017-02-20 하체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6062A KR20180096062A (ko) 2018-08-29
KR101954222B1 true KR101954222B1 (ko) 2019-03-05

Family

ID=631695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251A KR101954222B1 (ko) 2017-02-20 2017-02-20 하체 운동기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10093914A1 (ko)
JP (1) JP3225096U (ko)
KR (1) KR101954222B1 (ko)
CN (1) CN211068928U (ko)
DE (1) DE112018000910B4 (ko)
WO (1) WO201815157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869807B2 (en) * 2019-02-06 2020-12-22 Roll Recovery, Llc Adjustably tensioned roller massage system
CN113577692A (zh) * 2021-08-02 2021-11-02 黄河水利职业技术学院 一种啦啦操力量提升用训练装置
CN114247096B (zh) * 2021-11-15 2023-09-12 淮北市和济医疗健康产业发展股份有限公司 一种妇产科产前胯部锻炼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189B1 (ko) * 2012-07-13 2015-03-04 김정인 결관절 좌판시트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022463A (en) * 1975-11-14 1977-05-10 Elmer's Weights, Inc. Spring type exercising device
KR200317992Y1 (ko) * 2003-03-28 2003-06-27 남동준 운동용 방석 완력기
KR100792602B1 (ko) 2005-01-24 2008-01-09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100634817B1 (ko) * 2005-06-09 2006-10-16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20100003618A (ko) * 2008-07-01 2010-01-11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하체 운동기구
KR101246995B1 (ko) 2011-01-13 2013-03-25 이동석 하체 단련기
KR20120104815A (ko) 2011-03-14 2012-09-24 김주연 하체 단련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7189B1 (ko) * 2012-07-13 2015-03-04 김정인 결관절 좌판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1068928U (zh) 2020-07-24
DE112018000910T5 (de) 2019-11-07
DE112018000910B4 (de) 2021-06-10
JP3225096U (ja) 2020-02-13
WO2018151577A1 (ko) 2018-08-23
KR20180096062A (ko) 2018-08-29
US20210093914A1 (en) 2021-04-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02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ergonomic exercise chairs
US7789463B2 (en) Chair which is used in waist enhancement
US6079782A (en) Seat construction which corrects the pelvis so that it influences a proper alignment of the human body
CA3048254C (en) Ergonomic workstation chair with sternum support
US4783121A (en) Improved chair with convex upper backrest and forward seat surfaces
KR20140046443A (ko) 좌석
US20020163231A1 (en) Chair for a drum
KR101954222B1 (ko) 하체 운동기구
US20070252419A1 (en) Seating Mechanism and Chair
US20130169016A1 (en) Natural balance active chair
KR20070001031U (ko) 허리운동용 의자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KR20110130796A (ko) 자세교정용 의자
EP3179886B1 (en) Chair
JP2006102256A (ja) 矯正装置
JP2006000238A (ja) トレーニング器具
JP7191426B1 (ja) 椅子
KR102574254B1 (ko) 탄력적인 입체 지지구조의 요추받침구가 구비된 의자용 등받이 프레임
KR20160107925A (ko) 운동용 의자
US11678747B2 (en) Sitting furniture
KR101311814B1 (ko) 기능성 의자
JP6303083B1 (ja) 筋力トレーニング可能な揺動座椅子
JPH11244099A (ja) 着座具
JP2024078052A (ja) 仙骨ガイドを備えた椅子
KR200360274Y1 (ko) 다기능 의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