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3667B1 - 온돌 구조를 지닌 욕조장치 - Google Patents

온돌 구조를 지닌 욕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3667B1
KR101953667B1 KR1020160177472A KR20160177472A KR101953667B1 KR 101953667 B1 KR101953667 B1 KR 101953667B1 KR 1020160177472 A KR1020160177472 A KR 1020160177472A KR 20160177472 A KR20160177472 A KR 20160177472A KR 101953667 B1 KR101953667 B1 KR 101953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heating
bathtub
groo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774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3925A (ko
Inventor
오원호
전성희
유연한
최기태
이우진
이원석
성진우
Original Assignee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77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3667B1/ko
Publication of KR20180073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3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3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3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02Baths
    • F24H1/0081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54Water heaters for bathtubs or pools; Water heaters for reheating the water in bathtubs or poo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2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4H9/2007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for water hea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Control For Bath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일러(10)의 배관(15)과 연결되는 온돌 구조의 욕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요홈(21) 상에 배관(15)과 연통되는 가열관(24)을 노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욕조(20); 및 상기 욕조(20)의 수온을 설정된 범위로 유지하도록 가열관(24)의 열매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욕조에서 목욕이나 반신욕을 하는 과정에서 난방 배관의 일부가 출입되도록 구성하여 수온 저하를 지연하는 응답성을 높이고 과도한 난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온돌 구조를 지닌 욕조장치{Bathtub apparatus with warming structure}
본 발명은 욕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목욕이나 반신욕 과정에서 수온의 저하를 적절하게 지연시킬 수 있는 온돌 구조를 지닌 욕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욕조는 난방 배관을 지닌 욕실에 설치되고 목욕이나 반신욕의 용도로 활용성이 높다. 다만 욕실의 난방을 아무리 높여도 욕조의 물이 식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강구되고 있다.
이와 관련되는 선행기술(특허문헌)의 일예로서,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96-029346호는 욕조와 FRP 사이에 욕조와 소정 간격의 공간을 단열재로 형성하고, 단열재에 취부되어 감긴 구조로 배관된 난방관을 구비한다.
다른 선행문헌으로서,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58030호는 욕조의 내측면과 외측면의 사이 공간부에 수평방향에 대해 순환배관을 욕조의 내측면과 통공되어 순환 연결되도록 배치하고, 순환배관에 가열수단을 장착하여 순환배관을 경유하는 욕조의 물을 가열한다.
또 다른 선행문헌으로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36612호는 수도배관 및 난방배관에 연결되는 수구가 마련되는 자동수전부; 저수조의 저면에 장착되는 가열판; 저수조의 물을 난방배관 또는 온수배관으로 흐르게 하는 난방수 순환수단; 등으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선행문헌에 의하면 단열성을 지닌 욕조에 매립되는 구조이므로 수온 유지 과정에서 응답성을 기대하기 곤란하고 과도한 난방을 유발하여 열효율 저하를 초래할 우려가 크다.
1.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1996-029346호 "욕조의 난방장치" (공개일자 : 1996.09.17.)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358030호 "각탕 및 수온조절이 가능한 욕조" (공개일자 : 2004.08.02.) 3.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2010-0136612호 "온수보일러겸 욕조" (공개일자 : 2010.12.29.)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욕이나 반신욕 과정에서 난방 배관의 일부가 출입되도록 구성하여 수온 저하를 지연하는 응답성을 높이고 과도한 난방을 방지할 수 있는 온돌 구조를 지닌 욕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일러의 배관과 연결되는 온돌 구조의 욕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요홈 상에 배관과 연통되는 가열관을 노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욕조; 및 상기 욕조의 수온을 설정된 범위로 유지하도록 가열관의 열매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욕조는 요홈의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커버는 테프론 수지가 코팅된 수밀 소재로 형성된 패킹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욕조의 가열관은 인출 가능하도록 주름관을 개재하여 배관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컴 회로를 탑재한 제어기, 수온을 검출하는 온도센서, 가열관의 유로 단면적을 조절하는 전자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욕조에서 목욕이나 반신욕을 하는 과정에서 난방 배관의 일부가 출입되도록 구성하여 수온 저하를 지연하는 응답성을 높이고 과도한 난방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적용된 욕조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도 1의 평면에서 가열관의 출입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
도 3은 도 1을 종단하여 가열관이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보일러(10)의 배관(15)과 연결되는 온돌 구조의 욕조장치에 관하여 제안한다. 보일러(10)는 연소 방식은 물론 난방ㆍ온수 겸용, 온수전용 등의 구조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보편적으로 욕조가 욕실에 배치되므로 배관(15)은 욕실의 것에서 분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욕조(20)가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요홈(21) 상에 배관(15)과 연통되는 가열관(24)을 노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구조를 지닌다. 욕조(20)는 석재보다는 수지재가 선호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요홈(21)은 사용자의 신체 접촉 빈도가 낮은 중앙부에서 일측 또는 양측으로 오목하게 형성한다. 가열관(24)는 단순한 배관 또는 방열기와 같은 핀 구조로 형성되며 요홈(21) 상에 매립되지만 외부로 노출된 상태로 수용된다. 이와 같이 배관(15)을 통하여 열매체(급탕)가 순환되는 가열관(24)이 욕조(20)의 물과 직접 접촉하므로 열전달 효율이 높아 응답성을 높이고 과도한 난방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욕조(20)는 요홈(21)의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3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욕조(20)의 수온 유지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커버(30)를 사용하여 요홈(21)과 가열관(24)을 은폐하여 원래의 형태로 사용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커버(30)는 욕조(20)의 내면과 상면에 이르는 "ㄱ"자 단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에 탈부착을 위한 손잡이(36)를 지닌 상태로 예시한다. 손잡이(36)는 별도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은 단순한 홈으로 대체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커버(30)는 테프론 수지가 코팅된 수밀 소재로 형성된 패킹(34)을 개재하여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요홈(21)의 측면으로 걸림홈(22)을 형성하고 측면에 단턱(32)을 지닌 커버(30)를 맞물려 탈부착하는 상태를 예시한다. 요홈(21)의 측면에서 걸림홈(22)의 주변과 요홈(21)의 상면으로 패킹(34)을 설치한다. 패킹(34)은 엄격한 수밀성을 요구하지 않으나 커버(30)의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테프론 수지로 코팅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욕조(20)의 가열관(24)은 인출 가능하도록 주름관(26)을 개재하여 배관(15)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a)는 커버(30)로 요홈(21)을 폐쇄하여 가열관(24)이 은폐된 상태이고, 도 3(b)는 커버(30)를 열어 요홈(21)을 개방하여 가열관(24)이 노출된 상태이다. 도 3(a)처럼 가열관(24)을 밀어 넣으면 주름관(26)이 수축되고, 도 3(b)처럼 가열관(24)을 당겨 인출하면 주름관(26)이 신장된다. 가열관(24)이 요홈(21)을 벗어나도록 노출되면 욕조(20)의 물을 가열하는 열전달 효율이 더욱 높아진다. 주름관(26)은 반복적 사용에서 내구성이 저하되지 않는 소재로 형성한다.
한편, 주름관(26)의 부하를 줄이기 위해 별도의 슬라이딩 레일(도시 생략)을 부가할 수 있다. 이외에 노출된 가열관(24)이 신체와 접촉할 가능성이 부분에 완충용 패드를 부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제어수단이 상기 욕조(20)의 수온을 설정된 범위로 유지하도록 가열관(24)의 열매체를 제어하는 구조를 지닌다. 제어수단은 반신욕 등과 같이 수온 유지가 필요한 경우에 한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가열관(24)의 열매체에 대한 수량제어를 기본으로 하지만 온도제어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컴 회로를 탑재한 제어기(42), 수온을 검출하는 온도센서(44), 가열관(24)의 유로 단면적을 조절하는 전자밸브(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어기(42)는 마이크로프로세서, 메모리, 입출력인터페이스를 탑재한 마이컴 회로로서 별도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보일러(10)의 제어기(도시 생략)에 통합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온도센서(44)는 욕조(20)에 하나 또는 복수로 설치되고 수온에 대응한 신호를 생성한다. 전자밸브(46)는 배관(15)과 가열관(24) 사이에 연결되도록 욕조(20)에 설치되고 유로 개폐는 물론 개도율의 조절도 가능하다.
작동의 일예로서, 사용자가 반신욕을 위해 욕조(20)에 물을 받고 커버(30)를 개방하여 가열관(24)을 노출시킨 상태에서 제어기(42)를 작동시키면, 온도센서(44)의 신호에 따라 전자밸브(46)에 의한 개도율이 조절되므로 설정된 수온이 유지되며, 응답성이 낮다고 판단되면 가열관(24)을 더욱 노출시켜 주름관(26)이 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이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보일러 15: 배관
20: 욕조 21: 요홈
22: 걸림홈 24: 가열관
26: 주름관 30: 커버
32: 단턱 34: 패킹
36: 손잡이 42: 제어기
44: 온도센서 46: 전자밸브

Claims (5)

  1. 보일러(10)의 배관(15)과 연결되는 온돌 구조의 욕조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일면에 형성되는 요홈(21) 상에 배관(15)과 연통되는 가열관(24)을 노출 가능하게 수용하는 욕조(20); 및
    상기 욕조(20)의 수온을 설정된 범위로 유지하도록 가열관(24)의 열매체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욕조(20)는 요홈(21)의 개구에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30)를 구비하고,
    상기 커버(30)는 테프론 수지가 코팅된 수밀 소재로 형성된 패킹(34)을 개재하여 결합되며,
    상기 욕조(20)의 가열관(24)은 슬라이딩 레일을 개재하여 인출 가능하도록 주름관(26)을 개재하여 배관(15)에 연결되고,
    상기 제어수단은 마이컴 회로를 탑재한 제어기(42), 수온을 검출하는 온도센서(44), 가열관(24)의 유로 단면적을 조절하는 전자밸브(46)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돌 구조를 지닌 욕조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177472A 2016-12-23 2016-12-23 온돌 구조를 지닌 욕조장치 KR101953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72A KR101953667B1 (ko) 2016-12-23 2016-12-23 온돌 구조를 지닌 욕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77472A KR101953667B1 (ko) 2016-12-23 2016-12-23 온돌 구조를 지닌 욕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25A KR20180073925A (ko) 2018-07-03
KR101953667B1 true KR101953667B1 (ko) 2019-03-04

Family

ID=62918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77472A KR101953667B1 (ko) 2016-12-23 2016-12-23 온돌 구조를 지닌 욕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366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940095B (zh) * 2019-10-31 2021-08-10 箭牌家居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恒温控制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432A (ja) * 2003-04-16 2004-11-11 Ikuko Okuda 浴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432A (ja) * 2003-04-16 2004-11-11 Ikuko Okuda 浴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3925A (ko) 2018-07-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17287A1 (en) Water outlet pipe component
KR101953667B1 (ko) 온돌 구조를 지닌 욕조장치
US20040200532A1 (en) Hot water recirculating system
CN109306723A (zh) 一种智能浴缸
JP2011226675A (ja) 元止め式電気温水器
KR910008350A (ko) 순간온수 가열장치
KR20090005981U (ko) 휴대용 온수 보일러의 급수밸브 구조
KR20110005104U (ko) 소형 온수 보일러
JP2005315505A (ja) 追焚き機能付き電気温水器及び浴槽水温度調整方法
KR200353189Y1 (ko) 수평으로 온수가 공급되는 욕조
JPS6011371Y2 (ja) 風呂釜
JPH0341232Y2 (ko)
KR200438986Y1 (ko)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KR200273090Y1 (ko) 보일러 온수를 이용한 매트 가열장치
KR100348476B1 (ko) 수냉식엔진의냉각수온제어장치
JP2006308201A (ja) 脱衣室床暖房システム
KR200211834Y1 (ko) 폐온수를 이용한 온수공급장치
JPS6250729B2 (ko)
KR810001344Y1 (ko) 냉온수 자동 혼합 밸브장치
KR200389178Y1 (ko) 열선이 내장된 욕조
JPS5969649A (ja) 浴槽における湯の放熱防止装置
JPS6028345Y2 (ja) 電気ポツト
JPS5832107Y2 (ja) 断熱貯液装置
JPS5895160A (ja) 太陽熱温水器
JPS6224205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