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38986Y1 -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 Google Patents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38986Y1
KR200438986Y1 KR2020070003876U KR20070003876U KR200438986Y1 KR 200438986 Y1 KR200438986 Y1 KR 200438986Y1 KR 2020070003876 U KR2020070003876 U KR 2020070003876U KR 20070003876 U KR20070003876 U KR 20070003876U KR 200438986 Y1 KR200438986 Y1 KR 20043898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water tank
lid
tank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70003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진
Original Assignee
김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상진 filed Critical 김상진
Priority to KR2020070003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3898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3898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3898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1/00Stoves or ranges
    • F24B1/02Closed sto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BDOMESTIC STOVES OR RANGES FOR SOLID FUELS;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STOVES OR RANGES
    • F24B9/00Stoves, ranges or flue-gas ducts, with additional provisions for heating wat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22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 F24H1/34Water heaters other than continuous-flow or water-storage heaters, e.g. water heaters for central heating with water chamber arranged adjacent to the combustion chamber or chambers, e.g. above or at s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3COMBUSTION APPARATUS; COMBUSTION PROCESSES
    • F23BMETHODS OR APPARATUS FOR COMBUSTION USING ONLY SOLID FUEL
    • F23B2700/00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 F23B2700/003Combustion apparatus for solid fuel adapted for use in water-tube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30/00Solid fuel fired boi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연소되는 연탄에 의해 가열되는 뚜껑과, 외부의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며, 상기 뚜껑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로 공급된 물이 상기 뚜껑을 거쳐 온수로 변환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와 상기 뚜껑을 연결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부와, 상기 물탱크와 외부의 수도관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물탱크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물탱크에 공급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부와,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외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양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으로써 외부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직접 공급받아 물탱크에 저장하며, 온수 사용에 따른 물탱크의 수위 저하시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져 물탱크의 수위가 온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 수위 이상으로 항상 유지되고, 물탱크에서 온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로 온수가 직접 공급됨으로써 연탄보일러의 온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연탄보일러, 냉수, 온수, 급수

Description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Auto water supply device of briquet boiler}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가 개방되어 물탱크로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상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가 폐쇄되어 물탱크로의 급수가 중단된 상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에 의한 온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본체 112 : 연소부
120 : 뚜껑 130 : 외부의 수도관
140 : 물탱크 142 : 공급 수위
144 : 차단 수위 150 : 순환부
152 : 유출관 154 : 유입관
160 : 급수부 162 : 급수관
164 : 급수개폐부재 170 : 양수부
172 : 양수관 174 : 분기관
176 : 양수개폐부재
본 발명은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직접 공급받아 물탱크에 저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온수 사용에 따른 물탱크의 수위 저하시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져 물탱크의 수위가 온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 수위 이상으로 항상 유지됨으로써 연탄보일러의 온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탄보일러를 이용한 난방은 보일러 본체 내에 설치된 토관 외면에 코일 형태로 구성된 수관이 위치되게 한 다음 수관내를 순환수가 순환되게 함으로써 연탄의 연소열을 전달 받은 토관이 가열되면서 수관을 가열하게 되고, 따라서 수관내를 순환하는 순환수가 가열된 상태에서 난방호스를 순환하면서 열교환방식으로 난방을 하게 되고, 냉각된 순환수는 다시 연탄보일러로 회수되어 재가열되 게 한 다음 난방호스를 통하여 순환되게 하여 필요한 장소를 난방하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급수 장치는 크게 본체(10)의 연소부(12)를 덮어 연소되는 연탄에 의해 가열되는 뚜껑(20)과, 뚜껑(20)에 연결되며, 물이 저장되는 물탱크(40)와, 물탱크(40)의 물이 뚜껑(20)을 거쳐 온수가 될 수 있도록 뚜껑(20)과 물탱크(40)를 연결하는 순환관(50)으로 구성된다.
종래 기술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급수 장치에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물탱크(40)에 사용할 만큼의 물을 공급하여 보충시킨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40)의 물은 순환관(50)을 통해 뚜껑(20)으로 이송되어 데워지며, 이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물탱크(40)의 물은 온수로 변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연탄보일러는 사용자가 수동으로 물탱크에 물을 공급해야 했으며, 온수 사용을 위해 사용자가 물탱크에서 물을 퍼서 사용할 장소로 옮겨 사용해야 했기 때문에 온수를 사용함에 있어 불편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고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는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외부의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지속적으로 공급받도록 하며, 온수 사용에 따른 물탱크의 수위 저하시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물탱크의 수위가 온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 수위 이상으로 항상 유지되게 하고, 물탱크의 온 수가 욕실 및 부엌 등의 온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로 직접 공급되게 함으로써 연탄보일러의 온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는 연소되는 연탄에 의해 가열되는 뚜껑과, 외부의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며, 상기 뚜껑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는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로 공급된 물이 상기 뚜껑을 거쳐 온수로 변환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와 상기 뚜껑을 연결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부와, 상기 물탱크와 상기 외부의 수도관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물탱크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물탱크에 공급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부와,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외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양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순환부는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뚜껑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물탱크의 하측부에서 상기 뚜껑으로 연결되는 유출관과, 상기 뚜껑에서 가열되어진 온수가 다시 상기 물탱크로 이송되도록 상기 뚜껑에서 상기 물탱크의 상측부로 연결되는 유입관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급수부는 상기 물탱크에 직접적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외부의 수도관에서 상기 물탱크로 연결되는 급수관과, 상기 물탱크 내부의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급수개폐부재 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양수부는 상기 물탱크의 온수가 외부로 이송되도록 상기 물탱크의 상측부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양수관과, 상기 양수관에서 외부의 욕실 및 부엌 등으로 온수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양수관에서 다수개로 나누어지는 분기관과, 상기 양수관에 설치되어 외부의 온수 사용 여부에 따라 온수의 이송을 단속하는 양수개폐부재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고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고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및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우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가 개방되어 물탱크로의 급수가 이루어지는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가 폐쇄되어 물탱크로의 급수가 중단된 상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에 의한 온수 사용 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는 연소되는 연탄에 의해 가열되는 뚜껑(120)과, 외부의 수도관(130)으로부터 물을 공 급받아 저장하는 물탱크(140)와, 상기 물탱크(140)로 공급된 물이 뚜껑(120)을 거쳐 온수로 변환될 수 있도록 물탱크(140)와 뚜껑(120)을 연결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부(150)와, 상기 물탱크(140)와 외부의 수도관(130)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물탱크(140)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물탱크(140)에 공급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부(160)와, 상기 물탱크(140)에 연결되어 외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양수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뚜껑(120)은 연탄보일러 본체(110)의 연소부(112)를 덮어 연소되는 연탄에 의해 가열되어진다.
또한, 상기 물탱크(140)는 본체에 인접하게 설치하거나, 본체에서 이격된 장소에 설치하여도 좋다.
상기 물탱크(140)는 바닥면이 본체(110)의 뚜껑(120)보다 높은 곳에 위치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물탱크(140)는 내부의 물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단열재로 형성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순환부(150)는 물탱크(140)에 저장된 물이 뚜껑(120)으로 이송되도록 물탱크(140)에서 뚜껑(120)으로 연결되는 유출관(152)과, 상기 뚜껑(120)에서 가열되어진 온수가 다시 물탱크(140)로 이송되도록 뚜껑(120)에서 물탱크(140)로 연결되는 유입관(154)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유출관(152)은 물탱크(140)의 하측부에 연결되어 물탱크(140)에서 물이 뚜껑(120)으로 이송되도록 한다.
상기 유입관(154)은 유출관(152)보다 높은 위치의 물탱크(140) 상측부에 연결되어 뚜껑(120)에서 가열되어진 온수가 물탱크(140)의 상측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이는, 상기 물탱크(140)의 물이 대류 현상에 의해 지속적으로 순환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급수부(160)는 물탱크(140)에 직접적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외부의 수도관(130)에서 물탱크(140)로 연결되는 급수관(162)과, 상기 물탱크(140) 내부의 급수관(162)에 설치되어 물탱크(140)의 수위에 따라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급수개폐부재(164)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급수관(162)은 외부의 수도관(130)에서 물탱크(140)로 연결됨으로써 물탱크(140)에 물을 직접적으로 공급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물탱크(140)에 물을 공급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급수관(162)은 물이 유출되는 끝단을 물탱크(140)의 바닥면에 가깝게 하여 물이 물탱크(140)의 하측부로 공급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급수개폐부재(164)는 유량센서를 구비하여 물탱크(140)에 물이 차단 수위(144) 이상이 되면 폐쇄되어 물 공급을 중단시키며, 물탱크(140)의 물이 공급 수위(142) 이하가 되면 개방되어 물 공급을 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급수개폐부재(164)는 일반적으로 양변기의 급수 탱크에 사용되는 부력을 이용하여 물 공급을 제어하는 장치를 사용하여도 좋다.
그리고, 상기 양수부(170)는 물탱크(140)의 온수가 외부로 이송되도록 물탱크(140)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양수관(172)과, 상기 양수관(172)에서 외부의 욕실 및 부엌 등으로 온수를 이송하기 위해 양수관(172)에서 다수개로 나누어지는 분기관(174)과, 상기 양수관(172)에 설치되어 외부의 온수 사용 여부에 따라 온수의 이송을 단속하는 양수개폐부재(176)를 구비한다.
상기 양수관(172)은 물탱크(140)의 상측부에 연결되어 물탱크(140) 내의 물 중 비교적 온도가 높은 물을 이송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양수개폐부재(176)는 외부에서 온수 사용을 위해 수도꼭지를 열게 되면 자동으로 개방되어 온수가 이송되도록 하며, 외부에서 수도꼭지를 닫게 되면 자동으로 차단되어 온수의 이송이 중단된다.
이때, 상기 양수개폐부재(176)는 수동으로 온수의 이송을 단속할 수 있도록 개폐밸브를 더 구비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양수개폐부재(176)는 외부의 수도꼭지가 고장일 경우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양수개폐부재(176)는 외부의 수도꼭지까지 충분한 수압으로 물을 이송시키기 위해 내부에 모터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도록 한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물탱크(140) 내의 물의 양이 공급 수위(142) 이하로 내려가게 되면 급수개폐부재(164)가 개방된다.
그리고, 상기 급수개폐부재(164)가 개방되면 물이 외부의 수도관(130)으로부터 급수관(162)을 통해 물탱크(140) 내로 공급된다.
이때, 상기 급수관(162)은 끝단이 물탱크(140)의 바닥면에 가깝게 위치하기 때문에 외부의 수도관(130)으로부터 이송되는 온도가 낮은 물은 물탱크(140)의 하측부로 공급된다.
상기 물탱크(140)는 외부의 수도관(130)으로부터 물을 직접적으로 공급받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동으로 물을 보충해야하는 불편함이 없어지게 된다.
상기 물탱크(140) 내의 물이 차단 수위(144) 이상이 되면 급수개폐부재(164)가 차단되어 물 공급이 중단된다.
그리고, 상기 물탱크(140) 내의 물은 유출관(152)을 통해 뚜껑(120)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유출관(152)은 물탱크(140)의 하측부에 연결되어 물탱크(140) 내의 물 중에서 비교적 온도가 낮은 물을 이송하게 된다.
상기 물탱크(140)가 본체(110)의 뚜껑(120)보다 더 높은 곳에 위치하므로 수압에 의해 이송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120)은 본체(110)의 연소부(112)에서 연소되는 연탄에 의해 가열되어 유출관(152)을 통해 이송된 물을 데우게 된다.
이때, 상기 유입관(154)은 물탱크(140)의 상측부에 연결되어 뚜껑(120)에서 가열되어진 온수를 물탱크(140)의 상측부로 이송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뚜껑(120)에서 가열되어진 온수는 대류 현상에 의해 유입관(154) 을 통해 물탱크(140)로 다시 유입되고, 유출관(152)으로 이송되는 물의 온도와 유입관(154)으로 이송되는 물의 온도의 차가 작아질 때까지 계속 순환하게 된다.
그리고, 외부에서 사용자가 온수 사용을 위해 수도꼭지를 열게 되면 양수개폐부재(176)가 개방되어 물탱크(140) 내의 온수가 양수관(172)을 통해 외부측으로 이송된다.
이때, 상기 양수관(172)은 물탱크(140)의 상측부에 연결되므로 물탱크(140) 내의 물 중 비교적 온도가 높은 물을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양수관(172)을 통해 이송된 온수는 분기관(174)을 통해 욕실 및 부엌 등으로 나누어져 이송됨으로써 집의 여러곳에서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온수 사용을 마치고 수도꼭지를 잠그게 되면 양수개폐부재(176)가 폐쇄되어 물의 이송이 중단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온수가 사용되어져 물탱크(140) 내의 수위가 공급 수위(142)까지 내려가게 되면 급수개폐부재(164)가 다시 개방되어 물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어 사용자는 다시 온수를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외부 수도관(130)으로부터 물을 직접 공급받아 물탱크(140)에 저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온수 사용에 따른 물탱크(140)의 수위 저하시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져 물탱크(140)의 수위가 온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 수위 이상으로 항상 유지되고, 물탱크(140)의 온수가 욕실 및 부엌 등의 온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로 직접 공급됨으로써 연탄보일러의 온수 사용을 더욱 편리하 게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를 사용하게 되면 외부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직접 공급받아 물탱크에 저장하게 될 뿐만 아니라 온수 사용에 따른 물탱크의 수위 저하시 자동으로 급수가 이루어져 물탱크의 수위가 온수 사용에 지장이 없도록 일정 수위 이상으로 항상 유지되고, 물탱크의 온수가 욕실 및 부엌 등의 온수를 필요로 하는 장소로 직접 공급됨으로써 연탄보일러의 온수 사용을 더욱 편리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Claims (4)

  1. 연소되는 연탄에 의해 가열되는 뚜껑과;
    외부의 수도관으로부터 물을 공급받아 저장하며, 수압에 의해 상기 뚜껑으로 물이 이송되도록 상기 뚜껑보다 높은 곳에 형성되는 상기 물탱크와;
    상기 물탱크로 공급된 물이 상기 뚜껑을 거쳐 온수로 변환될 수 있도록 상기 물탱크와 상기 뚜껑을 연결하여 물을 순환시키는 순환부와;
    상기 물탱크와 상기 외부의 수도관을 직접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물탱크에 물이 공급되도록 하며, 상기 물탱크에 공급되는 물을 단속하는 급수부와;
    상기 물탱크에 연결되어 외부로 온수를 공급하는 양수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순환부는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이 상기 뚜껑으로 이송되도록 상기 물탱크 하측부에서 상기 뚜껑으로 연결되는 유출관과;
    상기 뚜껑에서 가열되어진 온수가 다시 상기 물탱크로 이송되도록 상기 뚜껑에서 상기 물탱크의 상측부로 연결되는 유입관을 구비함으로써;
    상기 유입관을 통해 상기 물탱크로 유입되는 물이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보다 고온일 경우 상기 물탱크의 상측부에 저장되고, 상기 물탱크에 저장된 물보다 저온일 경우 상기 물탱크의 하측부를 통해 다시 상기 유출관으로 유입되어 재가열과정을 거치게 되는 대류 현상으로 물을 자동으로 순환시키면서 가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급수부는 상기 물탱크에 직접적으로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상기 외부의 수도관에서 상기 물탱크로 연결되는 급수관과;
    상기 물탱크 내부의 상기 급수관에 설치되어 상기 물탱크의 수위에 따라 물의 공급을 단속하는 급수개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수부는 상기 물탱크의 온수가 외부로 이송되도록 상기 물탱크의 상측부에서 외부로 연결되는 양수관과;
    상기 양수관에서 외부의 욕실 및 부엌 등으로 온수를 이송하기 위해 상기 양수관에서 다수개로 나누어지는 분기관과;
    상기 양수관에 설치되어 외부의 온수 사용 여부에 따라 온수의 이송을 단속하는 양수개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KR2020070003876U 2007-03-08 2007-03-08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KR20043898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876U KR200438986Y1 (ko) 2007-03-08 2007-03-08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70003876U KR200438986Y1 (ko) 2007-03-08 2007-03-08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38986Y1 true KR200438986Y1 (ko) 2008-03-14

Family

ID=41626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70003876U KR200438986Y1 (ko) 2007-03-08 2007-03-08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3898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3832B1 (ko) 순간식 보일러의 온수 저탕장치
KR101038120B1 (ko) 열매체유를 이용한 바닥 난방시스템
KR100865081B1 (ko) 저탕식 전기보일러
KR20110009100A (ko) 가정용 온수를 생산하는 설비
CN101280933A (zh) 不同种类热水器的联合使用方法
KR200438986Y1 (ko) 연탄보일러의 자동 급수 장치
CN202547099U (zh) 管道液体预热系统
JP2006003039A (ja) 切替弁ユニット、ドレン排出方法及びドレン排出装置
JP2012052752A (ja) 熱源装置
JP5268152B2 (ja) 貯湯式給湯装置
CN201221811Y (zh) 自动调温节水储水箱
KR200446160Y1 (ko) 연탄보일러의 난방/온수 자동제어시스템
JP4036141B2 (ja) 給湯システム
CN215190947U (zh) 一种即热式婴幼儿智能饮用水机
JP2004100997A (ja) 給湯暖房システム
KR20100008714U (ko) 난방수 자동순환 연탄보일러
JP2009299927A (ja) 貯湯式給湯機
JP6050629B2 (ja) 熱源装置
CN213630569U (zh) 一种利用余热给水加热的节能燃气灶装置
CN211233382U (zh) 壁挂炉
JP2005315505A (ja) 追焚き機能付き電気温水器及び浴槽水温度調整方法
KR100992701B1 (ko) 가스레인지의 폐열을 이용한 온수 보일러
JPS621509B2 (ko)
KR102101297B1 (ko) 급속 스팀 세척기 제어방법
CN207540136U (zh) 一种冷开水与热开水分区加热的开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