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2073B1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073B1
KR101952073B1 KR1020180061764A KR20180061764A KR101952073B1 KR 101952073 B1 KR101952073 B1 KR 101952073B1 KR 1020180061764 A KR1020180061764 A KR 1020180061764A KR 20180061764 A KR20180061764 A KR 20180061764A KR 101952073 B1 KR101952073 B1 KR 1019520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synchronization signal
sfn
subframe
signa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17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65017A (ko
Inventor
코-치앙 린
리차드 리-치 쿠오
유-슈안 구오
Original Assignee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아서스테크 컴퓨터 인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80065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5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0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0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02Signal structure
    • H04L27/261Details of reference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22Site diversity; Macro-diversity
    • H04B7/024Co-operative use of antennas of several sites, e.g. in co-ordinated multipoint or co-operative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7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for beam for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26Systems using multi-frequency codes
    • H04L27/2601Multicarrier modulation systems
    • H04L27/2647Arrangements specific to the receiver on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common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multiple user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04L5/0051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of dedicated pilots, i.e. pilots destined for a single user or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46Resources in time domain, e.g. slots or fram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04W72/04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 H04W72/046Wireless resource alloc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allocated resource the resource being in the space domain, e.g. b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08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using two or more beams, i.e. beam divers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3Acquisition of prim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within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6Acquisition of secondary synchronisation channel, e.g. detection of cell-ID gro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79Acquisition of downlink reference signals, e.g. detection of cell-I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2011/0096Network synchron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27/00Modulated-carrier systems
    • H04L27/0014Carrier regulation
    • H04L2027/0083Signall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24Cell structures
    • H04W16/28Cell structures using beam steer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Radio Transmission System (AREA)

Abstract

일례로, 네트워크 노드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셀에서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를 전송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례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브 프레임의 심볼에서 동기 신호를 브로드 캐스팅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브 프레임의 다수의 심볼들에서 셀의 SFN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브로드 캐스팅하되, 다수의 심볼들은 동기 신호를 브로드 캐스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심볼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15년 5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제62/165,646호 및 2015년 6월 12일에 출원된 미국 임시특허출원 제62/174,817호의 우선권을 함유하며, 두 임시특허출원 모두 본원에 참고로 편입된다.
발명의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관한 것이며, 더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동 통신 장치들과의 대량의 데이터 통신에 대한 수요가 급격히 상승함에 따라, 기존의 모바일 음성 통신 네트워크들은 인터넷 프로토콜(IP) 데이터 패킷으로 통신하는 네트워크들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IP 데이터 패킷 통신은 이동 통신 장치들의 사용자들에게 음성통신(VoIP), 멀티미디어, 멀티캐스트 및 주문형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 네트워크 구조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이다. E-UTRAN 시스템은 전술한 VoIP 및 멀티미디어 서비스들을 실현하기 위해 높은 데이터 송신률을 제공할 수 있다. 차세대를 위한 새로운 무선 기술(예를 들어, 5G)은 현재 3GPP 표준화 기구에 의해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3GPP 표준을 발전시키고 완성시키기 위해, 현재 3GPP 표준의 현재 내용에 대한 변경사항들이 제출되고 고려되고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가 제공된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방법은 측정을 위해 주기적으로 제1 RS를 브로드캐스팅하는 셀, 송신점(transmission point; TP), 또는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을 포함하며, 이 때, 상기 제1 RS는 각 주기에서 여러번(또는 다수의 시기에) 서로 다른 빔 상으로 송신된다. 또한 상기 방법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복조를 위해 제2 RS를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에게 송신하는 셀, TP 또는 TRP를 포함하며, 이 때, 상기 제2 RS는 상기 PDCCH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또는 심볼에서) 상기 UE의 빔 세트의 다수의 빔들 상으로 송신된다.
도 1은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2는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송신기 시스템(또한 액세스 네트워크로 알려짐) 및 수신기 시스템(또한 사용자 단말 또는 UE로 알려짐)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통신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4는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도 3의 프로그램 코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5는 3GPP TS 36.300의 그림 5.1-1을 복사(reproduction)한 것이다.
도 6은 3GPP TS 36.300의 그림 5.1-2를 복사한 것이다.
도 7은 3GPP TS 36.300의 표 5.1-1을 복사한 것이다.
도 8은 3GPP TS 36.211의 그림 6.2.2-1을 복사한 것이다.
도 9는 3GPP TS 36.211의 표 6.2.3-1을 복사한 것이다.
도 10은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물리적 서브프레임 구조를 도시한다.
도 11은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셀-특정 기준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송신의 타이밍 다이어그램(timing diagram)이다.
도 12는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CRS 및 PDCCH 송신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13은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4는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5는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16은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7은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블록도이다.
도 18은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19는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0은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21은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장치들은 무선 통신 시스템을 사용하여 브로드캐스트 서비스를 지원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들은 음성, 데이터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들의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런 시스템들은 코드분할 다중액세스(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시분할 다중액세스(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액세스(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OFDMA),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무선액세스, 3GPP LTE-A 또는 LTE-Advanced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3GPP2 UMB(Ultra Mobile Broadband), WiMax 또는 기타 변조 방식 등에 기초할 수 있다.
특히,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장치들은 NTT DoCoMo, Inc.에 의한“DOCCMO 5G White Paper” 및 METIS Deliverable D2.4의 “Proposed solutions for new radio access”를 포함하는 여러 문서들에 논의된 무선 기술을 지원하기 위해 설계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예시적 무선 통신 시스템들 및 장치들은 본원에서 3GPP로 언급되는 “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름의 컨소시엄에 의해 제안되는 표준과 같은 하나 이상의 표준들을 지원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러한 표준들은 : 3GPP TS 36.300 V12.5.0, “E-UTRA and E-UTRAN Overall description”; 3GPP TS 36.211 V12.5.0,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TS 36.331 V12.5.0, “E-UTRA RRC protocol specification”; TS 36.213 V12.3.0, “E-UTRA Physical layer procedures”;및 TS 36.321 V12.5.0, “E-UTRA MAC protocol specification”을 포함한다. 상기에 리스트된 표준들 및 문서들은 그 전체가 본 출원에 참조로서 특별히 통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다중 액세스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AN)(100)는 다중 안테나 그룹들을 포함하는데, 참조번호 104 및 106을 포함하는 하나의 그룹, 참조번호 108 및 110을 포함하는 다른 하나의 그룹, 그리고 참조번호 112 및 114를 포함하는 또 하나의 그룹이 그것들이다. 도 1에서,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오직 두 개의 안테나들만이 도시되어 있으나, 각각의 안테나 그룹에 대해 이보다 많거나 적은 안테나들이 사용될 수 있다. 참조번호 116의 액세스 단말기(access terminal; AT)는 참조번호 112의 안테나 및 참조번호 114의 안테나와 통신하는데, 이 때 상기 안테나들(112, 114)은 참조번호 120의 순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기(116)로 정보를 전송하고, 참조번호 118의 역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기(116)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참조번호 122의 액세스 단말기(AT)는 참조번호 106의 안테나 및 참조번호 108의 안테나와 통신하는데, 이 때 상기 안테나들(106, 108)은 참조번호 126의 순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기(AT)(122)로 정보를 전송하고, 참조번호 124의 역방향 링크를 통해 상기 액세스 단말기(AT)(122)로부터 정보를 수신한다. FDD 시스템에서, 상기 통신 링크들(118, 120, 124 및 126)은 통신을 위해 상이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참조번호 120의 순방향 링크는 참조번호 118의 역방향 링크가 사용하는 주파수와 다른 주파수를 사용할 수 있다.
각각의 안테나 그룹 및/또는 이들이 통신하도록 설계된 영역은 종종 액세스 네트워크의 섹터라고 불린다. 본 실시예에서, 각각의 안테나 그룹은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00)에 의해 커버되는 영역들의 섹터 내에 있는 액세스 단말기들과 통신하도록 설계된다.
상기 순방향 링크들(120, 126) 상의 통신에서, 상기 액세스 네트워크(100)의 전송 안테나들은 서로 다른 액세스 단말기들(116, 122)에 대한 순방향 링크들의 신호-대-잡음 비율을 개선시키기 위해 빔 형성(beamforming) 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커버리지(coverage) 내에 무작위로 흩어져 있는 액세스 단말기들에게 전송하기 위해 빔 형성을 사용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하여 모든 액세스 단말기들에게 전송하는 액세스 네트워크에 비하여 인접 셀들 내의 액세스 단말기들에 대해 적은 간섭을 발생시킨다.
액세스 네트워크(AN)는 단말기들과 통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지국 또는 고정국일 수 있으며, 또한 이는 액세스 포인트, 노드 B, 기지국, 증강 기지국, eNB(evolved Node B) 또는 기타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도 있다. 액세스 단말기(AT)는 또한 사용자 단말(user equipment; UE), 무선 통신 장치, 단말기, 액세스 단말기 또는 기타 다른 용어로도 불릴 수 있다.
도 2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시스템(200)의 전송기 시스템(210)(액세스 네트워크라고도 함) 및 수신기 시스템(250)(액세스 단말기(AT) 또는 사용자 단말(UE)이라고도 함)의 실시예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상기 전송기 시스템(210)에서, 다수의 데이터 스트림들을 위한 트래픽 데이터가 데이터 소스(212)로부터 전송(TX) 데이터 프로세서(214)에게 제공된다.
일실시예에서,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은 각각의 전송 안테나를 통해 전송된다. TX 데이터 프로세서(214)는, 그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선택된 특정 부호화 기법에 기초해,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포맷팅(formatting), 부호화, 그리고 인터리빙(interleaving)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해 부호화된 데이터는 OFDM 기법들을 사용하여 파일럿 데이터와 함께 다중화될 수 있다. 상기 파일럿 데이터는 통상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되는 공지된 데이터 패턴이며, 그리고 채널 응답을 예측하기 위해 수신기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그 후,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부호화된 데이터 및 상기 다중화된 파일럿은 그 데이터 스트림을 위해 선택된 특정 변조 기법(예를 들어, BPSK, QPSK, M-PSK 또는 M-QAM)에 기초하여 변조(즉, 심볼 매핑)되어, 변조 심볼들을 제공한다. 각각의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데이터 전송률, 부호화 및 변조는 프로세서(230)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들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 모든 데이터 스트림들을 위한 변조 심볼들은 TX MIMO 프로세서(220)에게 제공되고, 이는 (예를 들어, OFDM을 위해) 상기 변조 심볼들을 추가로 처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TX MIMO 프로세서(220)는 NT 개의 변조 심볼 스트림들을 NT 개의 전송기들(TMTR)(222a 내지 222t)에게 제공한다. 특정 실시예들에서, 상기 TX MIMO 프로세서(220)는 데이터 스트림들의 심볼들과, 그 심볼을 전송하는 안테나에 대하여 빔형성 가중치(beamforming weights)를 적용한다.
각각의 전송기(222)는 각각의 심볼 스트림을 수신하고 처리하여, 하나 이상의 아날로그 신호들을 제공하고, 추가로 그 아날로그 신호들에 조정 처리(conditioning)(예를 들어, 증폭, 필터링 및 업컨버터링(upconverting))를 하여서, 상기 MIMO 채널을 통한 전송에 적합한 변조 신호를 제공한다. 그 후 전송기들(222a 내지 222t)로부터의 NT 개의 변조 신호들은 각각 NT 개의 안테나들(224a 내지 224t)로부터 전송된다.
수신기 시스템(250)에서, 상기 전송된 변조 신호들은 NR 개의 안테나들(252a 내지 252r)에 의해 수신되고, 각각의 안테나(252)로부터 수신된 신호는 각각의 수신기(RCVR)(254a 내지 254r)에게 제공된다. 각각의 수신기(254)는 각각의 수신된 신호를 조정처리(예를 들어, 필터링, 증폭 및 다운컨버터링(upconverting))를 하고, 이 조정 처리된 신호를 디지털화 하여 샘플들을 제공하고, 그리고 상기 샘플들을 추가 처리하여, 대응하는 “수신” 심볼 스트림을 제공한다.
그러면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NR 개의 수신기들(254)로부터 NR 개의 수신 심볼 스트림들을 수신하고, 특정 수신기 처리 기법에 기초하여 이들을 처리하여서, NT 개의 “검출”심볼 스트림들을 제공한다. 그 후, 상기 RX 데이터 프로세서(260)는 각각의 검출 심볼 스트림을 복조, 디인터리빙(deinterleaving) 및 복호하여서, 그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복구한다. RX 데이터 프로세서(260)에 의한 처리는 전송기 시스템(210)의 TX MIMO 프로세서(220) 및 TX 데이터 프로세서(214)에 의해 수행되는 처리와 상보적이다.
참조번호 270의 프로세서는 어느 프리-코딩(pre-coding) 매트릭스를 사용할지 주기적으로 결정한다(이점에 대해서는 후술함). 상기 프로세서(270)는 매트릭스 인덱스 부분 및 순위 값 부분을 포함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상기 통신 링크 및/또는 상기 수신된 데이터 스트림에 대한 다양한 유형들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상기 역방향 링크 메시지는 데이터 소스(236)로부터 많은 데이터 스트림들에 대한 트래픽 데이터를 수신하는 TX 데이터 프로세서(238)에 의해 처리되고, 변조기(280)에 의해 변조되고, 전송기들(254a 내지 254r)에 의해 조정되어, 상기 전송기 시스템(210)으로 다시 전송된다.
상기 전송기 시스템(210)에서, 상기 수신기 시스템(250)으로부터의 상기 변조 신호들은 안테나(224)에 의해 수신되고, 수신기들(222)에 의해 조정되고, 복조기(240)에 의해 복조되고, 그리고 RX 데이터 프로세서(242)에 의해 처리되어, 상기 수신기 시스템(250)에 의해 전송되는 역방향 링크 메시지를 추출한다. 그 후, 참조번호 230의 프로세서는 빔 형성 가중치를 결정하기 위해 어떤 프리-코딩 매트릭스를 사용할지 결정하며, 그 다음 그 추출된 메시지를 처리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 도면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의 대안적인 단순화된 기능 블록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통신 시스템의 통신 장치(300)는 도 1의 UE들(또는 AT들)(116, 122) 또는 도 1의 기지국(또는 AN)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무선 통신 시스템은 LTE 시스템이다. 상기 통신 장치(300)는 입력 장치(302), 출력 장치(304), 제어 회로(306), 중앙처리유닛(CPU)(308), 메모리(310), 프로그램 코드(312) 및 트랜스시버(transceiver)(31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회로(306)는 CPU(308)를 통해 상기 메모리(310) 내의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하여, 상기 통신 장치(3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통신 장치(300)는 키보드 또는 키패드와 같은 상기 입력 장치(302)를 통해 사용자가 입력하는 신호를 수신할 수 있고, 모니터 또는 스피커들과 같은 상기 출력 장치(304)를 통해 이미지 및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트랜스시버(314)는 무선 신호를 수신 및 전송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들을 상기 제어 회로(306)에 전달하고, 상기 제어 회로(306)에 의해 발생된 신호들을 무선으로 출력하기 위해 사용된다. 또한, 무선 통신 시스템의 상기 통신 장치(300)는 도 1의 AN(100)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 3에 도시된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의 단순화된 블록도이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400), 레이어 3 부분(402) 및 레이어 2 부분(404)을 포함하며, 레이어 1 부분(406)에 커플링되어 있다. 상기 레이어 3 부분(402)은 일반적으로 무선 자원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레이어 2 부분(404)은 일반적으로 링크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레이어 1 부분은 일반적으로 물리적 접속을 수행한다.
5G를 위한 무선 액세스의 개념은 DOCOMO 5G White Paper에서 언급된다. 하나의 요점은 더 낮은 주파수 대역 및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효율적으로 통합하는 것이다. 더 높은 주파수 대역들은 더 넓은 스펙트럼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지만, 그것들은 더 높은 경로 손실(path loss) 때문에 커버리지 제한을 갖는다. DOCOMO 5G White Paper에서, 5G 시스템은 (예를 들어, 매크로 셀(들)로 구성된) 커버리지 레이어(coverage layer) 및 (예를 들어, 스몰 셀(들) 또는 팬텀(phantom) 셀(들)로 구성된) 캐패시티 레이어(capacity layer)로 구성된 2-레이어 구조를 가져야한다고 제안된다. 상기 커버리지 레이어는 기본 커버리지 및 이동성을 제공하기 위해 기존의 더 낮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캐패시티 레이어는 높은 데이터 속도의 전송을 제공하기 위해 새로운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사용한다. 상기 커버리지 레이어는 향상된 LTE RAT(Long Term Evolution Radio Access Technology)에 의해 지원될 수 있는 반면, 상기 캐패시티 레이어는 더 높은 주파수 대역을 위한 새로운 RAT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상기 커버리지 레이어와 상기 캐패시티 레이어의 효율적인 통합은 상기 향상된 LTE RAT 및 상기 새로운 RAT 간의 긴밀한 상호 연동(이중 접속)에 의해 가능해진다. 차세대(예를 들어, 5G)를 위한 새로운 무선 기술에서, 대안적으로, eNB는 상기 캐패시티 레이터를 지원하기 위한 가상 셀을 형성하기 위해 다수의 송신점(transmission; TP)들, 또는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들을 제어할 수 있다.
3GPP TS 36.300 에 논의된 이중 접속(dual connectivity)은, 마스터 셀 그룹(즉,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 및 옵션으로는 하나 이상의 2차 셀(Secondary Cell; Scell)들을 포함하는, 마스터 eNB(MeNB)와 연관된 서빙 셀들의 그룹) 및 2차 셀 그룹(즉, 프라이머리 SCell(PSCell) 및 옵션으로는 하나 이상의 SCell들을 포함하는, 2차 eNB(SeNB)와 연관된 서빙 셀들의 그룹)으로 구성된, RRC_CONNECTED의 사용자 단말(UE)의 작동 모드이다. 이중 접속으로 구성된 UE는, 그 UE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비-이상적 백홀(backhaul)을 경유하여 연결된 (마스터 eNB(MeNB) 및 2차 eNB(SeNB)를 포함하는) 두 개의 eNB들 내에 배치된 두 개의 구별된 스케줄러들에 의해 제공되는 무선 자원들을 사용하도록 구성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중 접속의 다른 세부사항들은 3GPP TS 36.300에서 찾아볼 수 있다.
더군다나, 상기 캐패시티 레이어 상의 셀들, TP들 또는 TRP들은 빔 형성을 사용할 수 있다. 빔 형성은 방향성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 안테나 어레이들에서 사용되는 신호 처리 기법이다. 일반적으로 이는 특정 각도들의 신호들이 보강 간섭(constructive interference)에 직면하지만 다른 신호들이 상쇄 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에 직면하게 되는 방식으로 위상 어레이로 요소들을 결합함으로써 달성된다. 빔 형성은 공간 선택성을 달성하도록 송신단 및 수신단 모두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전방향성 수신/송신과 비교한 개선은 수신/송신 이득으로서 알려져 있다.
빔 형성은 레이더 시스템에 빈번히 적용된다. 위상 어레이 레이더에 의해 생성되는 빔은 이동형 접시 레이더에 비해 비교적 좁고 매우 민첩하다. 이러한 특성은 항공기들 외에도 탄도 미사일들과 같은 소형이고 신속한 타깃들을 검출할 수 있는 능력을 상기 레이더에 제공한다.
동일 채널 간섭 감소의 이점 때문에 빔 형성은 이동 통신 시스템 설계자에게도 매력적이다. 미국 특허공보 제2010/0165914호에는 빔 형성 기법에 기반을 둔 빔 분할 다중 액세스(beam division multiple access; BDMA)의 개념이 일반적으로 개시되어 있다. BDMA에서, 기지국은 수신/송신 이득을 획득하기 위해 좁은 빔을 거쳐 모바일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그 외에도, 서로 다른 빔들 내의 2개의 모바일 장치들은 동시에 동일한 무선 자원들을 공유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이동 통신 시스템의 용량은 대단히 증가할 수 있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 상기 기지국은 모바일 장치가 어느 빔(들)에 배치되어 있는지를 알아야 한다.
3GPP TS 36.300에서 논의된 LTE 내 프레임 구조는 무선 프레임으로 구성되며, 각각의 무선 프레임(예를 들어, 10ms)은 10 개의 서브프레임으로 분할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두 개의 슬롯들을 포함할 수 있다 :
5 E- UTRA를 위한 물리적 레이어
다운링크 및 업링크 송신은 10 ms 지속시간을 갖는 무선 프레임들로 구성된다. 두 개의 무선 프레임 구조들이 지원된다 :
- FDD에 적용 가능한 유형 1;
- TDD에 적용 가능한 유형 2.
프레임 구조 유형 1은 그림 5.1-1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10 ms 무선프레임은 동일한 크기를 가진 10 개의 서브-프레임들로 분할된다.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동일한 크기를 가진 두 개의 슬롯들로 구성된다. FDD를 위해, 각 10ms 간격으로 10 개의 서브프레임들은 다운링크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하며, 10 개의 서브프레임들은 업링크 송신들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업링크 및 다운링크 송신들은 주파수 도메인에서 분리되어 있다.
그림 5.1-1 : 프레임 구조 유형 1 [은 본 출원의 도 5에 복사되어 있다 ]
프레임 구조 유형 2는 그림 5.1-2에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10ms 무선프레임은 각각 5ms인 두 개의 하프-프레임들로 구성된다. 각각의 하프-프레임은 길이가 0.5ms인 8 개의 슬롯들, 그리고 세 개의 특수 필드들인 DwPTS, GP 및 UpPTS로 구성된다. DwPTS 및 UpPTS의 길이는 DwPTS, GP 및 UpPTS의 총 길이가 1ms인 것을 조건으로 구성 가능하다. 5ms 및 10ms 스위치-포인트 주기(switch-point periodicity) 모두가 지원된다. 모든 구성에서의 서브프레임 1 및 5ms 스위치-포인트 주기를 갖는 구성에서의 서브프레임 6은 DwPTS, GP 및 UpPTS로 구성된다. 10 ms 스위치-포인트 주기를 갖는 구성에서의 서브프레임 6은 오직 DwPTS로만 구성된다. 모든 다른 서브프레임들은 동일한 크기를 갖는 두 개의 슬롯들로 구성된다.
TDD를 위해, GP는 다운링크에서 업링크 전이를 위해 따로 두어진다. 다른 서브프레임들/필드들은 다운링크 송신 또는 업링크 송신 중 하나를 위해 할당된다.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송신은 시간 도메인에서 분리되어 있다.
그림 5.1-2 : (5ms 스위치-포인트 주기에 대한) 프레임 구조 유형 2 [는 본 출원의 도 6에 복사되어 있다]
표 5.1-1 : 업링크 - 다운링크 할당[은 본 출원의 도 7에 복사되어 있다 ]
각각의 다운링크 슬롯은 3GPP TS 36.211의 다음의 그림 6.2.2-1 및 표 6.2.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Figure 112018053150816-pat00001
개의 OFDM 심볼들을 포함하며, 그림 6.2.2-1 및 표 6.2.3-1은 각각 본 출원의 도 8 및 도 9에 복사되어 있다.
시스템 프레임 번호(system frame number; SFN)는 주기적으로 변경되며, 시스템 정보, 즉 (3GPP 36.331에 논의된 바와 같은) MasterInformationBlock에 의해 제공되어, UE가 무선프레임의 프레임 번호를 식별하는 것을 도와준다. MasterInformationBlock은 SFN뿐만 아니라 다음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예를 들어, dl-Bandwidth 및 phich-Config)도 포함한다 :
- MasterInformationBlock
상기 MasterInformationBlock 는 BCH 상으로 송신되는 시스템 정보를 포함한다.
시그널링 라디오 베어러(signalling radio bearer) : N/A
RLC-SAP : TM
논리 채널 : BCCH
방향 : E-UTRAN에서 UE로
MasterInformationBlock
-- ASN1START
MasterInformationBlock ::= SEQUENCE {
dl- Bandwidth ENUMERATED {
n6, n15, n25, n50, n75, n100 },
phich-Config PHICH-Config,
systemFrameNumber BIT STRING (SIZE (8)),
spare BIT STRING (SIZE (10))
}
-- ASN1STOP
MasterInformationBlock 필드 설명
dl-Bandwidth
파라미터 : 송신 대역폭 구성, 다운링크에서 NRB, TS 36.101 [42, 표 5.6-1] 참고. n6은 6 개의 자원 블록에 대응하며, n15는 15개의 자원 블록에 대응한다.
systemFrameNumber

SFN의 8 개의 최상위 비트를 정의한다. TS 36.211 [21, 6.6.1]에 표시된 바와 같이, SFN의 2 개의 최하위 비트는 P-BCH 디코딩에서 내재적으로 취득된다. 즉, 40 ms P-BCH TTI의 타이밍은 2 개의 최하위비트를 나타낸다(40 ms P-BCH TTI 내에서, 첫 번째 무선프레임 : 00, 두 번째 무선프레임 : 01, 세 번째 무선프레임 :10, 마지막 무선프레임 :11). 하나의 값은 셀 그룹(즉, MCG 또는 SCG)의 모든 서빙 셀들에게 적용된다. 연관된 기능은 공통적이다(즉, 각각의 셀에 대해 독립적으로 수행되지 않는다).
SFN에 기초하여, UE는 3GPP TS 36.211, TS 36.331 및 TS 36.213에 논의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SR(Scheduling Request), SRS(Sounding Reference Signal), CSI (Channel State Information) 보고, 그리고/또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을 위해, UL(업링크) 송신을 수행하기 위한 타이밍을 결정할 수 있다. 또는 SFN은 3GPP TS 36.321에 논의된 바와 같이 DRX(Discontinuous reception) 동작을 위한 Active Time을 결정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MIB는 다음과 같이 3GPP TS 36.211에 논의된 바와 같이 무선프레임 내의 첫 번째 서브프레임의 두 번째 슬롯에서 처음 4개의 심볼들에 의해 운반된다 :
6.6.4 자원 요소에 대한 매핑
각각의 안테나 포트에 대한 복소 심볼들
Figure 112018053150816-pat00002
의 블록은
Figure 112018053150816-pat00003
를 만족하는 각각의 무선프레임에서 시작하는 4 개의 연이은 무선프레임들 동안 송신되며, 그리고 자원 요소들
Figure 112018053150816-pat00004
에 대해
Figure 112018053150816-pat00005
로 시작하는 시퀀스로 매핑될 것이다. 기준 신호들의 송신을 위한 것이 아닌 자원 요소들
Figure 112018053150816-pat00006
에 대한 매핑은 먼저 인덱스 k를 증가시키고, 그 다음 서브프레임 0의 슬롯 1의 인덱스
Figure 112018053150816-pat00007
을 증가시키고, 마지막으로 무선프레임 번호를 증가시키는 순서로 이루어질 것이다. 자원-요소 인덱스들은 다음에 의해 주어진다 :
Figure 112018053150816-pat00008
이 경우, 기준 신호들을 위한 자원 요소들은 배제될 것이다. 매핑 작업은 실제 구성에 관계없이 나타나는 안테나 포트들 0-3에 대한 셀-특정 기준 신호를 가정할 것이다. 상기 UE는, 상기 매핑 작업에서 기준 신호들을 위한 것으로 가정되지만 기준 신호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지는 않는 자원 요소들은 PDSCH 송신을 위해 이용가능하지 않는다고 가정할 것이다. 상기 UE는 이러한 자원 요소들에 대한 다른 가정을 해서는 안 된다.
셀에서의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및 SSS (Second Synchronization Signal) 같은 동기화 신호들의 송신의 주목적은 셀 내의 UE들이 다운링크 타이밍(즉, 무선프레임 경계 및 서브프레임 경계)을 획득하는 것이다. PSS 및 SSS는 각각 다음과 같이 3GPP TS 36.211에 논의된 바와 같이 SFN을 운반하는 심볼들과는 상이한 하나의 심볼에 의해 운반된다 :
6.11.1.2 자원 요소들에 대한 매핑
자원 요소들에 대한 시퀀스의 매핑은 프레임 구조에 의존한다. 상기 UE는 PSS가 다운링크 기준 신호들 중 임의의 것과 동일한 안테나 포트 상으로 전송된다고 가정하지 않는다. 상기 UE는 PSS의 임의의 송신 인스턴스가 상기 PSS의 임의의 다른 송신 인스턴스를 위해 사용된 동일한 안테나 포트 또는 포트들 상으로 전송된다고 가정하지 않는다. 시퀀스
Figure 112018053150816-pat00009
는 다음에 따라 자원 요소들에 대해 매핑될 것이다 :
Figure 112018053150816-pat00010
프레임 구조 유형 1에 대해, 상기 PSS는 슬롯 0 및 슬롯 10 내의 마지막 OFDM 심볼에 대해 매핑될 것이다.
프레임 구조 유형 2에 대해, 상기 PSS는 서브프레임 1 및 서브프레임 6 내의 세 번째 OFDM 심볼에 대해 매핑될 것이다. 다음의 경우, 상기 PSS의 송신을 위해 사용된 OFDM 심볼들 내의 자원 요소들
Figure 112018053150816-pat00011
은 따로 두어지며, 상기 PSS 신호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
Figure 112018053150816-pat00012
6.11.2.2 자원 요소들에 대한 매핑
자원 요소들에 대한 시퀀스의 매핑은 프레임 구조에 의존한다. 프레임 구조 유형 1에 대한 서브프레임에서, 그리고 프레임 구조 유형 2에 대한 하프-프레임에서, PSS의 것과 동일한 안테나 포트가 SSS를 위해 사용될 것이다.
시퀀스
Figure 112018053150816-pat00013
는 다음에 따라 자원 요소들에 대해 매핑될 것이다 :
Figure 112018053150816-pat00014
다음의 경우, 자원 요소들
Figure 112018053150816-pat00015
은 따로 두어지며, 상기 SSS 신호의 송신을 위해 사용되지 않는다 :
Figure 112018053150816-pat00016
METIS Deliverable D2.4에 의해 제안된 UDN 시스템을 위한 TDD 최적화된 물리적 서브프레임 구조는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이는 이하에 열거된 주요 설계 원칙들을 채용한다 :
- (DL 및 UL 자원들 모두를 포함하는) 양-방향 제어 부분은 각 서브 프레임의 시작 부분에 임베디드되며, 데이터 부분으로부터 시간-분리(time-separated)된다.
- 하나의 서브프레임 내의 데이터 부분은 송신 또는 수신 중 하나를 위한 데이터 심볼들을 포함한다. 채널 및 그것의 공분산 행렬을 추정하는데 사용되는 복조 기준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는, 예를 들어, 동적 데이터 부분 내의 첫 번째 OFDM 심볼 내에 위치하며, 그리고 데이터와 동일한 벡터/행렬로 프리코딩될 수 있다.
- 60 kHZ SC 스페이싱을 가정할 때, 예를 들어 cmW 주파수들 상에서 0.25 ms 같은, 짧은 서브프레임 길이들이 실현 가능하다. 조화된 OFDM 개념의 원리들에 따라, 프레임 수비학(numerology)은 mmW로 이동할 때 크기가 더 조정되며, 이는 더 짧은 프레임 길이(예를 들어, 약 50 μs)를 야기한다.
- 주파수 방향에서, 스펙트럼은 할당 가능한 주파수 자원들을 구분하기 위해 나눠질 수 있다.
상기 서브프레임의 양-방향 제어 부분은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이 매 서브프레임에서 스케줄링 요청(scheduling request; SR)들 및 스케줄링 승인(scheduling grant; SG)들 같은 제어 신호들을 수신하고 발송할 수 있게 한다. 제어 정보에 관한 스케줄링외에도, 상기 제어 부분은 또한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스케줄링, 프리코더 선택, 채널 추정, 셀 검출 및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들 및 동기화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LTE에서, 셀-특정 기준 신호(CRS)는 3GPP TS 36.211에 논의된 바와 같이 셀 내의 모든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내에서 전송된다. 따라서 CRS는 UE 측정들(예를 들어, RSRP(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또는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및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복조를 지원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기준 신호(RS)에 관하여, METIS Deliverable D2.4는 다음을 언급한다 : “제어 정보에 관한 스케줄링 외에, TDD 서브프레임 구조 내의 제어 부분은 또한 주파수 도메인에서의 스케줄링, 프리코더 선택, 채널 추정, 셀 검출 및 선택을 위해 사용되는 기준 신호(reference signal; RS)들 및 동기화 신호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가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는 빔(들)을 찾기 위해, DOCOMO 5G White Paper에서, 상기 UE가 자신의 위치 및 속도를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고, 그 다음 상기 기지국은 상기 수신된 위치 및 속도에 따라 상기 UE를 위한 다운링크 빔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렇게 하여, 그러나, 상기 기지국은 이동 셀룰러 시스템의 매우 복잡한 전파 환경으로 인하여 UE의 빔을 정확히 결정할 수 없을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UE 및 상기 기지국 간의 가시선(line of sight; LOS)은 차단될 수 있으며, 통신은 다른 경로들(비-LOS)을 통해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셀 내의 모든 UE들이 포지셔닝 기능이 구비된 것은 아니다(예를 들어, 로우 엔드(low end) 기기들). 결과적으로, 셀 내에 많은 로우 엔드 기기들이 존재한다면 BDMA(Beam Division Multiple Access)의 이점이 누려질 수 없다. 기지국이 UE의 빔들을 결정하기 위한 다른 방법들이 고려될 수 있다.
“Mehod and Apparatus for Beam Track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이란 제목의 미국 임시특허출원 제62/107,814호는 고정식으로 셀 내의 전송 및/또는 수신을 위해 기지국에 의해 적용된 빔 패턴을 고려한다. 즉, 셀 내의 빔들의 개수 및 빔-폭이 고정되는 반면, 상이한 방향에서의 빔들의 빔-폭들은 동일하거나 서로 다를 수 있다. 이웃하는 두 개의 빔들 간의 여러 전파 경로들 또는 중복(overlapping)으로 인해, 여러 빔들이 상기 기지국과 통신하기 위해 UE에 의해 사용될 수 있을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기지국은 UE에 의해 사용되는 빔 세트를 결정할 필요가 있다.
더 넓은 대역폭을 갖는 안테나의 증가된 개수를 고려하면, 안테나 요소마다 하나의 트랜시버로 TRP, TP, 또는 셀에서 빔 형성을 구현하는 것은 전체 비용 및 전력 소비의 측면에서 매우 도전적이다.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아날로그 빔 형성기 및 디지털 프리코딩으로 구성되는 하이브리드 빔 형성기가 셀, TP, 또는 TRP에 의해 이용된다면, 셀, TP, 또는 TRP에 의해 한번에 생성될 수 있는 빔들의 최대 개수는 셀, TRP, 또는 TRP에 의해 커버되는 빔들의 총 개수 보다 적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셀, TP, 또는 TRP가 한 라운드의 CRS 송신들을 완료하기 위해 상기 셀, TP, 또는 TRP의 모든 빔들을 스캐닝하는 데 몇 시간이 걸릴 수 있으며, 매번, CRS는 미리 정의된 빔들(즉, 빔 세트) 상으로 송신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내에 세 개의 빔 세트들이 존재한다. 각각의 CRS 송신 주기에서, CRS 송신은 빔 세트 마다 각각의 빔 세트 내의 모든 빔들로 수행된다. 뿐만 아니라, 모든 빔 세트들에 대한 한 라운드의 CRS 송신들을 완료하기 위해 하나의 CRS 송신 주기에서 3 개의 CRS 송신이 있어야 한다.
LTE에서, UE는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에 대한 채널 추정에 따라 PDCCH 복조를 수행한다. 빔 형성을 적용하는 셀, TP, 또는 TRP 내의 PDCCH 복조를 위한 채널 추정은 빔 도메인 내에서 수행되어야 한다고 추정된다(즉, UE는 상기 UE로의 PDCCH 송신을 위해 사용된 그러한 빔들 상의 CRS를 검출해야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하이브리드 빔 형성기가 사용된다면, UE가 매 서브프레임 내의 CRS를 수신하는 것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CRS는 PDCCH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 내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CRS가 PDCCH와 동일한 서브프레임 내에 존재할 수 있다하더라도, CRS 및 PDCCH는 서로 다른 빔들 상으로 송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CRS는 빔 1, 빔 2, 빔 3 및 빔 4 상으로 전송되는 반면, PDCCH는 빔 9 상으로 상기 UE에게 송신된다. 따라서 UE들이 PDCCH 복조를 위해 CRS에 의존하는 것은 실현될 수 없다. 따라서 UE 측정들(예를 들어, RSRP 또는 RSRQ)을 위한 CRS 외에도, 새로운 RS(예를 들어, DMRS)가 복조 목적을 위해 PDCCH 송신을 동반하기 위해 셀, TP, 또는 TRP 내에서 정의될 필요가 있다. 가능성 있는 한 가지 방법은 상기 기지국이 PDCCH가 송신된 동일한 서브프레임(또는 심볼) 내에서 상기 DMRS를 송신하는 것이다.
도 13은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셀, 송신점(transmission point; TP), 또는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의 관점에서의 흐름도(1300)이다. 단계 1305에서, 상기 셀, TP, 또는 TRP는 측정을 위해 제1 RS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RS는 각 주기에서 여러번(또는 다수의 시기에) 서로 다른 빔으로 송신된다. 단계 1310에서, 상기 셀, TP, 또는 TRP는 PDCCH 복조를 위해 UE에게 제2 RS를 송신하며, 이 경우, 상기 제2 RS는 상기 PDCCH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또는 심볼에서) 상기 UE의 빔 세트의 다수의 빔들 상으로 송신된다. 단계 1315에서, 상기 셀, TP, 또는 TRP는 다운링크 송신 및 업링크 수신을 통해 상기 UE와 통신하며, 이 경우, 상기 다운링크 송신 및 상기 업링크 수신은 무선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무선프레임은 다수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심볼들을 포함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셀, 송신점(transmission point; TP), 또는 송수신점(transmission and reception point; TRP)의 관점에서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장치(300)는 상기 메모리(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312)를 포함한다. 상기 CPU(308)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시켜서, 상기 셀, TP, 또는 TRP가 (i) 측정을 위해 제1 RS를 주기적으로 브로드캐스팅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RS는 각 주기에서 여러번(또는 다수의 시기에) 서로 다른 빔 상으로 송신되는 것인, 단계, 그리고 (ii) PDCCH 복조를 위해 UE에게 제2 RS를 송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RS는 상기 PDCCH가 송신되는 서브프레임에서(또는 심볼에서) 상기 UE의 빔 세트의 다수의 빔들 상으로 송신되는 것인,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CPU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더 실행시켜서, 상기 셀, TP, 또는 TRP가 다운링크 송신 및 업링크 수신을 통해 상기 UE와 통신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다운링크 송신 및 상기 업링크 수신은 무선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무선프레임은 다수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심볼들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CPU(308)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시켜서, 상술된 동작들 및 단계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동작들 및 단계들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4는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UE의 관점에서의 흐름도(1400)이다. 단계 1405에서, 상기 UE는 제1 RS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RS는 서로 다른 빔 상으로 각 주기에서 여러번(또는 다수의 시기에) 상기 셀, TP, 또는 TRP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된다. 단계 1410에서, 상기 UE는 PDCCH 복조를 위한 제2 RS를 수신하며, 이 경우, 상기 제2 RS는 상기 PDCCH가 송신되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또는 심볼에서) 상기 UE의 빔 세트의 다수의 빔들 상으로 상기 셀, TP, 또는 TRP에 의해 송신된다. 단계 1415에서, 상기 UE는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수신을 통해 상기 셀, TP, 또는 TRP와 통신하며, 이 경우, 상기 업링크 송신 및 상기 다운링크 수신은 무선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무선프레임은 다수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심볼들을 포함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UE의 관점에서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장치(300)는 상기 메모리(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312)를 포함한다. 상기 CPU(308)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시켜서, 상기 UE가 (i) 제1 RS에 대한 측정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RS는 서로 다른 빔 상으로 각 주기에서 여러번(또는 다수의 시기에) 상기 셀, TP, 또는 TRP에 의해 주기적으로 송신되는 것인, 단계, 그리고 (ii) PDCCH 복조를 위한 제2 RS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2 RS는 상기 PDCCH가 송신되는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또는 심볼에서) 상기 UE의 빔 세트의 다수의 빔들 상으로 상기 셀, TP, 또는 TRP에 의해 송신되는 것인,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CPU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더 실행시켜서, 상기 UE가 업링크 송신 및 다운링크 수신을 통해 상기 셀, TP, 또는 TRP와 통신할 수 있게 하며, 이 경우, 상기 업링크 송신 및 상기 다운링크 수신은 무선프레임으로 구성되며, 무선프레임은 다수의 서브프레임들을 포함하고, 그리고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심볼들을 포함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CPU(308)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시켜서, 상술된 동작들 및 단계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동작들 및 단계들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기 셀, TP, 또는 TRP 내의 빔들의 총 개수는 고정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셀, TP, 또는 TRP 내의 각각의 빔의 방향 및 빔 폭이 고정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무선프레임 내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다운링크 제어 부분, 업링크 제어 부분, 그리고/또는 데이터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RS 및 상기 제2 RS는 상기 다운링크 제어 부분에서 전송된다. 추가로, 상기 UE에 관련된 상기 다운링크 송신 및/또는 업링크 수신은 상기 셀, TP, 또는 TRP에 의해 상기 UE의 빔 세트의 다수의 빔들 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SFN은 다양한 목적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캐패시티 레이어 상의 셀, TP, 또는 TRP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은 여전히 상기 셀, 상기 TP, 또는 상기 TRP의 SFN을 알 필요가 있을 수 있다. 현재 MIB(Master Information Block)는 상기 셀, 상기 TP, 또는 상기 TRP의 다운링크 대역폭, PHICH(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구성, 그리고 SFN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UE들이 이중 접속을 통해 상기 셀, 상기 TP, 또는 상기 TRP에 연결하기 때문에, 다운링크 대역폭 및 PHICH 구성은 MeNB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SFN이 시간에 따라 변경되기 때문에 SFN은 MeNB를 통해 제공될 수 없으며, 그리고 상기 두 개의 기지국들(MeNB 및 SeNB)은 아마 고정되지 않고 허용 가능한 딜레이를 갖고 비-이상적 백홀(backhaul)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기 셀, 상기 TP, 또는 상기 TRP에 의해 서빙되는 UE들에게 상기 SFN을 효율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개선은 상기 셀, 상기 TP, 또는 상기 TRP의 제어 신호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도록 고려되어야 한다.
SFN을 제공하는 효율을 개선시기 위한 상이한 측면들이 존재한다. 다음의 개선들은 독립적으로 또는 공동적으로 채택될 수 있다 :
- 제1 측면은 SFN을 제공하는 시그널링의 크기이다. LTE에서, SFN은 MasterInformationBlock 에 의해 제공된다; 그리고 MasterInformationBlock 또한 dl -Bandwidth phich - Config을 포함한다. 상기 UE가 이중 접속에 의해 상기 캐패시티 레이어 상의 상기 셀, 상기 TP, 또는 상기 TRP에 연결한다고 가정되기 때문에, 상기 셀, 상기 TP, 또는 상기 TRP는 3GPP TS 36.331에 논의된 바와 같이 MeNB 및 SeNB 간의 협상에 기초하여 MeNB에 의해 구성된다. 그런 다음, dl-Bandwidth phich-Config이 동적으로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dl-Bandwidth phich - Config은 상기 셀, 상기 TP, 또는 상기 TRP을 구성할 때 MeNB를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렇다면, 상기 SFN을 제공하는 시그널링은 dl-Bandwidth phich - Config 을 포함할 필요가 없다. 상기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는 감소될 수 있다.
- 제2 측면은 SFN을 제공하기 위한 시간 간격의 길이이다. 상기 시간 간격의 길이는 SFN을 제공하는 효율성과 관련된다. 따라서 일반적인 개념은 완전한 SFN이 서브프레임의 하나의 심볼에서 전송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오직 하나의 심볼만이 SFN 전방향 전송을 위해 또는 일부 빔들 상으로 SFN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SFN을 제공하기 위한 비용은 최소화될 수 있으며, SFN 수신을 위한 UE 전력 소비는 감소될 수 있다.
- 제3 측면은 SFN이 SFN과 유사한 특성을 갖는 다른 정보(예를 들어, 주기적으로 제공되고 모든 UE들을 위해 요구될 정보)와 함께 전송될 수 있다면, SFN은 (예를 들어, 자원 효율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그리고 수신을 위한 UE 전력 소비를 감소시키기 위해) 효율적으로 제공될 수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인 개념은 완전한 SFN 또는 SFN의 일부가 동기화 신호가 전송된 서브프레임의 심볼에서 전송된다는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SFN 및 상기 동기화 신호는 상이한 송신 주기를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SFN의 송신 주기는 상기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와 같거나 상기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보다 클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SFN의 송신 주기는 상기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의 배수일 수 있다.
상기 셀, 상기 TP, 또는 상기 TRP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노드는 대응 전송(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의 개선(들)을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셀, 상기 TP, 또는 상기 TRP에 의해 서빙되는 UE 또한 대응 수신(들)을 수행하기 위해 상기의 개선(들)을 채택할 수 있다.
도 15 내지 도 1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들을 도시한다. 뿐만 아니라, 대안적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도 10에 도시된 초밀집 네트워크(Ultra Dense Network; UDN)를 위한 물리적 서브프레임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5는 UE가 BS(기지국) 2에 의해 제어되는 셀 2의 DL 대역폭 정보뿐만 아니라 SFN을 획득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적 실시예이다. 상기 DL 대역폭은 셀 2의 SFN을 포함하지 않는 구성으로 BS 1(예를 들어, MeNB)에 의해 제어되는 셀 1을 통해 제공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셀 2의 SFN은 셀 2의 DL 대역폭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시그널링으로 셀 2를 통해 제공된다. SFN을 운반하는 시그널링의 오버헤드는 감소될 수 있다.
도 16은 SFN을 시그널링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적 실시예이다. 완전한 SFN은 서브프레임의 하나의 심볼 내에서 전송된다. 그리고 상기 SFN을 운반하는 시그널링은 전체 대역폭을 점유할 수 없으며, 또는 전체 대역폭 내에 퍼져있지 않을 수 있다. 오직 하나의 심볼만이 SFN 전방향 전송을 위해 또는 일부 빔들 상으로 SFN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SFN을 제공하기 위한 비용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상기 SFN 수신을 위한 UE 전력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도 17은 하나의 심볼에서 SFN 및 기준 신호를 시그널링하는 방법에 대한 예시적 실시예이다. 상기 SFN은 기준 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의 심볼에서 전송된다. 상기 SFN 및 상기 기준 신호는 상기 심볼 내에서 서로 다른 주파수 자원을 차지한다.
도 18은 네트워크 노드의 관점에서의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1800)이다. 상기 흐름도(1800)는 일반적으로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1 셀, TP 또는 TRP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 1805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에서,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의 SFN을 나타내는 제1 시그널링을 브로드캐스팅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의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장치(300)는 상기 송신기의 메모리(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312)를 포함한다. 상기 CPU(308)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시켜서,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1 셀, TP, 또는 TRP에서,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의 SFN을 나타내는 제1 시그널링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게 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의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추가로, 상기 CPU(308)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시켜서, 상술된 동작들 및 단계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동작들 및 단계들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9는 UE의 관점에서의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1900)이다. 단계 1905에서, 상기 UE는 제2 셀, TP, 또는 TRP에서, 제1 셀, TP, 또는 TRP의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한다. 단계 1910에서, 상기 UE는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에서,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의 SFN을 나타내는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의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UE의 관점에서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장치(300)는 상기 송신기의 메모리(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312)를 포함한다. 상기 CPU(308)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시켜서, 상기 UE가 (i) 제2 셀, TP, 또는 TRP에서, 제1 셀, TP, 또는 TRP의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2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 그리고 (ii)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에서,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의 SFN을 나타내는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의 대역폭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인, 단계를 수행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CPU(308)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시켜서, 상술된 동작들 및 단계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동작들 및 단계들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들에 관하여,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셀은 MCG(Master Cell Group) 셀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셀, TP, 또는 TRP는 커버리지 레이어 내에 있을 수 있으며, 그리고 제2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제2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 또는 MeNB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2 시그널링은 상기 UE를 위한 서빙 셀, TP, 또는 TRP로서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를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 시그널링은 PHICH를 위한 구성을 나타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UE는 이중 접속에 의해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 그리고 상기 제2 셀, TP, 또는 TRP에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 그리고 상기 제2 셀, TP, 또는 TRP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제어된다).
도 20은 네트워크 노드의 관점에서의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2000)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흐름도(2000)는 제1 네트워크 노드가 제1 셀, TP, 또는 TRP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단계 2005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에서,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의 SFN을 나타내는 제1 시그널링을 브로드캐스팅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서브프레임의 심볼 내에서 전송되며, 그리고 상기 심볼은 또한 적어도 동기화 신호를 운반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제1 네트워크 노드의 관점에서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장치(300)는 상기 송신기의 메모리(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312)를 포함한다. 상기 CPU(308)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시켜서, (i)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제1 셀, TP, 또는 TRP의 SFN을 나타내는 제1 시그널링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서브프레임의 심볼 내에서 전송되며, 그리고 상기 심볼은 또한 적어도 동기화 신호를 운반한다. 추가로, 상기 CPU(308)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시켜서, 상술된 동작들 및 단계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동작들 및 단계들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1은 UE의 관점에서의 일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흐름도(2100)이다. 단계 2105에서, 상기 UE는, 제1 셀, TP, 또는 TRP에서,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의 SFN을 나타내는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하며, 이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서브프레임의 심볼 내에서 송신되며, 그리고 상기 심볼은 또한 적어도 동기화 신호를 운반한다.
다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UE의 관점에서의 일실시예에서, 상기 장치(300)는 상기 송신기의 메모리(310) 내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312)를 포함한다. 상기 CPU(308)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시켜서, 상기 UE가 제1 셀, TP, 또는 TRP에서, 상기 제1 셀, TP, 또는 TRP의 SFN을 나타내는 제1 시그널링을 수신할 수 있게 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서브프레임의 심볼 내에서 송신되며, 그리고 상기 심볼은 또한 적어도 동기화 신호를 운반한다. 추가로, 상기 CPU(308)는 상기 프로그램 코드(312)를 실행시켜서, 상술된 동작들 및 단계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다른 동작들 및 단계들 모두를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관하여, 상기 UE는 또한 상기 서브프레임의 동일한 심볼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동기화 신호는 상기 서브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심볼을 차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동기화 신호는 오직 상기 서브프레임의 심볼을 차지할 수 있다. 즉, 완전한 동기화 신호는 하나의 심볼에서 송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상기 서브프레임의 하나 이상의 심볼을 차지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오직 상기 서브프레임의 심볼을 차지할 수 있다. 즉, 완전한 제1 시그널링은 하나의 심볼에서 송신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심볼은 상기 제1 시그널링을 운반하기 위한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그널링 및 상기 동기화 신호는 서로 다른 송신 주기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시그널링의 송신 주기는 상기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1 시그널링의 송신 주기는 상기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의 배수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시그널링의 송신 주기는 상기 동기화 신호의 송신 주기와 동일하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심볼은 빔 형성을 위한 것이거나 또는 전방향 송신을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심볼은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일 수 있다. 상기 심볼은 서브프레임 내의 첫 번째 심볼, 서브프레임 내의 마지막 심볼, 또는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또는 제어 부분) 내의 마지막 심볼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동기화 신호는 PSS(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또는 SSS(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그널링은 PHICH를 위한 구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오직 SFN만을 나타낼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나타내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시그널링은 시스템 정보, MasterInformationBlock, RAR(Random Access Response), 또는 MAC(Medium Access Control) 제어 요소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시그널링은 브로드캐스팅될 수 있으며, 주기적으로 전송될 수 있으며, 빔 형성에 의해 전송될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서브프레임의 제어 영역(또는 제어 부분) 내에서 송신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시그널링의 송신은 전방향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시그널링은 SFN의 부분 비트들, SFN의 n 개의 최상위 비트들, 또는 SFN의 모든 비트들을 나타낼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상기 제1 네트워크 노드는 기지국, 또는 SeNB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셀은 SCG 셀일 수 있으며, 그리고/또는 상기 캐패시티 레이어 내에 있을 수 있다.
본원의 개시내용의 여러 측면들이 상술되었다. 여기서 분명히 알아야 할 점은 본원의 교시들은 다른 여러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본원에 개시되어 있는 임의의 특정 구조, 기능, 또는 이들 모두는 단지 대표적인 사례라는 점이다. 본원의 교시들에 기반하여, 당업자는 본원에 개시된 한 측면이 임의의 다른 측면들과는 독립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는 것과 이러한 측면들 중 2 가지 이상의 측면들이 여러 방식들로 조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본원에 개시된 측면들 중 임의의 개수의 측면들을 사용하여 하나의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하나의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본원에 기재된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추가해서, 또는 본원에 기재된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들 외에, 다른 구조, 기능, 또는 구조 및 기능을 사용하여 그러한 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러한 방법이 실시될 수도 있다. 위의 개념들 중 몇몇 개념들의 일례로서, 일부 측면들에서, 동시 채널(concurrent channel)들은 펄스 반복 주파수(pulse repetition frequency)들에 기반하여 확립될 수 있다. 일부 측면들에서, 동시 채널들은 펄스 위치 또는 오프셋들에 기반하여 확립될 수 있다. 일부 측면들에서, 동시 채널들은 시간 호핑 시퀀스(time hopping sequence)들에 기반하여 확립될 수 있다. 일부 측면들에서, 동시 채널들은 펄스 반복 주파수들, 펄스 위치들 또는 오프셋들, 그리고 시간 호핑 시퀀스들에 기반하여 확립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이해하겠지만, 정보 및 신호들은 다른 여러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위의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instruction)들, 커맨드(command)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그리고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electromagnetic wave)들, 자기장들 또는 입자들, 광학 필드(optical field)들 또는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당업자라면 본원에 개시된 측면들과 연관지어 설명한 여러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프로세서들, 수단들, 회로들, 그리고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예컨대, 소스 부호화 또는 다른 어떤 기법을 사용하여 설계될 수 있는, 디지털 구현, 아날로그 구현, 또는 이 두 가지 구현들의 조합), (편의상 본원에서는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언급될 수 있는) 여러 형태의 프로그램 또는 설계 코드 통합 명령어들, 또는 이들 모두의 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또한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호환성(interchangeability)을 명확하게 예시하기 위해, 여러 예시적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그리고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성에 대하여 위에서 전반적으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의 여부는 전체 시스템에 강제되는 특정 애플리케이션 및 설계 제약들에 의존한다. 숙련된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위에서 설명된 기능성을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판단들은 본원의 개시내용의 범위로부터 벗어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그 외에도, 본원에 개시된 측면들과 연관지어 설명된 여러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그리고 회로들은 집적 회로(integrated circuit; IC), 액세스 단말, 또는 액세스 포인트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집적 회로(IC), 액세스 단말기, 또는 액세스 포인트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상기 IC는, 본원에 기술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DSP), 주문형 집적 회로(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램가능 논리 장치, 개별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개별 하드웨어 구성요소들, 전기 구성요소들, 광학 구성요소들, 기계 구성요소들, 또는 이들의 임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상기 IC 내부에, 상기 IC 외부에, 또는 상기 IC 내부 및 외부에 존재하는 코드들 또는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기계(state machine)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장치들, 예컨대 DSP 및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체, 복수 개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기타 그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여기서 이해할 점은 상기에 개시된 임의의 프로세스에서의 단계들의 어떠한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라도 예시적인 접근 예이라는 점이다. 설계상의 선호들에 기반하여, 당업자라면 상기 프로세스에서의 단계들의 특정 순서 또는 계층이 본원의 개시내용의 범위 내에 있으면서 재배치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이에 수반되는 방법 청구항들은 여러 단계 요소들을 예시적인 순서로 제시하고 있으며, 상기 청구항들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순서 또는 계층으로 국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원에 개시된 측면들과 연관지어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들은 하드웨어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으며 이 2가지의 조합으로 직접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 및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모듈 및 다른 데이터는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데이터 메모리에 존재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예를 들면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예를 들어, 코드)를 판독하고 상기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게 하는 컴퓨터/프로세서(편의상 본원에서 "프로세서"로 언급될 수 있음)와 같은 기계에 연결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상기 프로세서에 통합되어 있을 수도 있다.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ASIC에 존재할 수 있다. 상기 ASIC는 사용자 단말에 존재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는, 상기 프로세서 및 상기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 내의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존재할 수 있다. 더욱이, 일부 측면들에서, 임의의 적합한 컴퓨터-프로그램 제품은 본원의 개시내용의 측면들 중 하나 이상의 측면들에 관한 코드들을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측면들에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패키징 재료들(packaging materials)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여러 측면들에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추가 수정들이 가능하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원은,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원리들을 따르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경들, 이용들 또는 개조(adaptation)를 포괄하고자 한 것이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그리고 관례적인 실시에서 일어나는 것과 같은 본원의 개시내용으로부터의 그러한 이탈을 포함한다.

Claims (20)

  1. 네트워크 노드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셀에서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를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브 프레임의 심볼에서 동기 신호를 브로드 캐스팅하는 단계; 및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브 프레임의 다수의 심볼들에서 셀의 SFN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브로드 캐스팅하되, 셀의 SFN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브로드 캐스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심볼들은 동기 신호를 브로드 캐스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심볼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2차 동기 신호인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시그널링은 MasterInformationBlock인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서브 프레임중 하나의 심볼만을 차지하는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시그널링의 송신 주기는 동기 신호의 송신 주기와 동일한 방법.
  6.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제어되는 셀에서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를 전송하는 네트워크 노드에 있어서,
    제어 회로;
    제어 회로에 설치된 프로세서; 및
    제어 회로에 설치되고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브 프레임의 심볼에서 동기 신호를 브로드 캐스트하고; 그리고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서브 프레임의 다수의 심볼들에서 셀의 SFN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브로드 캐스트하되, 셀의 SFN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브로드 캐스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심볼들은 동기 신호를 브로드 캐스팅하기 위해 사용되는 심볼을 포함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네트워크 노드.
  7. 제 6 항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2차 동기 신호인 네트워크 노드.
  8. 제 6 항에 있어서,
    시그널링은 MasterInformationBlock인 네트워크 노드.
  9. 제 6 항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서브 프레임중 하나의 심볼만을 차지하는 네트워크 노드.
  10. 제 6 항에 있어서,
    시그널링의 송신 주기는 동기 신호의 송신 주기와 동일한 네트워크 노드.
  11. 사용자 장비 (UE)가 셀 내의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를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UE에 의해, 서브 프레임의 심볼에서 동기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UE에 의해, 서브 프레임의 다수의 심볼들에서 셀의 SFN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셀의 SFN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심볼들은 동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심볼을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2차 동기 신호인 방법.
  13. 제 11 항에 있어서,
    시그널링은 MasterInformationBlock인 방법.
  14. 제 11 항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서브 프레임중 하나의 심볼만을 차지하는 방법.
  15. 제 11 항에 있어서,
    시그널링의 송신 주기는 동기 신호의 송신 주기와 동일한 방법.
  16. 셀에서 시스템 프레임 번호 (SFN)를 수신하는 사용자 장비 (UE)에 있어서,
    제어 회로;
    제어 회로에 설치된 프로세서; 및
    제어 회로에 설치되고 프로세서에 동작 가능하게 연결된 메모리를 포함하되,
    프로세서는,
    UE에 의해, 서브 프레임의 심볼에서 동기 신호를 수신하고; 그리고
    UE에 의해, 서브 프레임의 다수의 심볼들에서 셀의 SFN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수신하되, 셀의 SFN을 나타내는 시그널링을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다수의 심볼들은 동기 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되는 심볼을 포함하는,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17. 제 16 항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2차 동기 신호인 사용자 장비.
  18. 제 16 항에 있어서,
    시그널링은 MasterInformationBlock인 사용자 장비.
  19. 제 16 항에 있어서,
    동기 신호는 서브 프레임중 하나의 심볼만을 차지하는 사용자 장비.
  20. 제 16 항에 있어서,
    시그널링의 송신 주기는 동기 신호의 송신 주기와 동일한 사용자 장비.
KR1020180061764A 2015-05-22 2018-05-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9520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562165646P 2015-05-22 2015-05-22
US62/165,646 2015-05-22
US201562174817P 2015-06-12 2015-06-12
US62/174,817 2015-06-12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172A Division KR101865463B1 (ko) 2015-05-22 2016-05-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5017A KR20180065017A (ko) 2018-06-15
KR101952073B1 true KR101952073B1 (ko) 2019-02-25

Family

ID=5614807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172A KR101865463B1 (ko) 2015-05-22 2016-05-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80061764A KR101952073B1 (ko) 2015-05-22 2018-05-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0180061594A KR101939022B1 (ko) 2015-05-22 2018-05-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2172A KR101865463B1 (ko) 2015-05-22 2016-05-2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1594A KR101939022B1 (ko) 2015-05-22 2018-05-30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5) US20160344519A1 (ko)
EP (2) EP3340522B1 (ko)
JP (3) JP2016220209A (ko)
KR (3) KR101865463B1 (ko)
CN (2) CN106169948B (ko)
ES (1) ES2809721T3 (ko)
TW (2) TWI65292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7299B1 (ko) * 2015-08-13 2022-08-0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백홀을 통해서 무선 접속망과의 연결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US10244492B2 (en) * 2016-04-04 2019-03-26 Qualcomm Incorporated Interleaved beam sweeping for synchronization and random access procedures
EP3449578A4 (en) 2016-06-03 2019-10-30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S AND APPARATUS FOR MOBILITY MANAGEMENT BY BEAM MONITORING IN A NEW RADIO ACCESS SYSTEM
US10355803B2 (en) 2016-10-24 2019-07-16 Qualcomm Incorporated Multiplexing reference signals with scalable numerology for new radio (NR) networks
CN108260134B (zh) * 2016-12-28 2023-12-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下行波束调整的方法及装置
CN108260133B (zh) 2016-12-28 2020-05-1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波束测量上报的方法、网络侧设备及移动终端
CN106656291B (zh) * 2016-12-29 2020-12-29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获取数据信息的方法及干扰对齐网络系统
CN108289017B (zh) * 2017-01-09 2022-12-3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信号接收、发送方法、控制信道的接收、发送方法及装置
CN108337065A (zh) * 2017-01-18 2018-07-27 索尼公司 电子设备和通信方法
CN106888042B (zh) * 2017-03-01 2020-06-02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基于波束赋形的波束选取方法及装置、基站和终端
US10652775B2 (en) * 2017-03-14 2020-05-12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mitigating interference for transmissions of a periodic multi-beam discovery reference signal
US11140667B2 (en) * 2017-03-24 2021-10-05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for communicating synchronization signal block index in a timing synchronization signal
CN108667499A (zh) * 2017-03-27 2018-10-16 中国移动通信有限公司研究院 信号发送方法、信号接收方法、基站、终端及存储介质
WO2018201457A1 (en) * 2017-05-05 2018-11-08 Mediatek Singapore Pte. Ltd. Handling of intermittent disconnection in a millimeter wave (mmw) system
CN109005548B (zh) * 2017-06-06 2023-09-29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信道质量信息的上报方法及装置
CN109150415B (zh) * 2017-06-15 2022-01-21 夏普株式会社 基站、用户设备和相关方法
CN109150454B (zh) * 2017-06-16 2022-11-08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信息的方法和装置
KR20200035010A (ko) * 2017-08-10 2020-04-01 지티이 코포레이션 채널 구조 정보를 표시 및 결정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11258566B2 (en) 2017-10-18 2022-02-22 Qualcomm Incorporated Aperiodic tracking reference signal
US10701671B2 (en) * 2017-10-31 2020-06-30 Qualcomm Incorporated Overhead reduction in millimeter wave systems
CN109802818B (zh) 2017-11-17 2022-05-10 华为技术有限公司 通信方法及装置
EP3605935B1 (en) 2017-11-17 2022-06-22 Huawei Technologies Co., Ltd. Commun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011774B (zh) * 2017-12-21 2021-10-22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回程链路传送和接收的方法和设备
US10855363B2 (en) 2018-05-07 2020-12-01 Wilson Electronics, Llc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MIMO) repeater system
CN110831048B (zh) * 2018-08-10 2023-05-09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用于估计物理上行链路共享信道的路径损耗的方法和设备
CN112889224B (zh) * 2018-10-23 2023-01-06 上海诺基亚贝尔股份有限公司 Mu-mimo系统中基于波束的预处理
US10833736B2 (en) 2018-11-23 2020-11-10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Hybrid beamforming method for beam-based cooperative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the same
US11038559B2 (en) * 2018-11-29 2021-06-15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based on beamforming in communication system
CN113273109B (zh) * 2019-01-04 2024-04-12 苹果公司 具有多传输接收点(trp)的物理下行链路控制信道
JP7222804B2 (ja) * 2019-04-26 2023-02-15 株式会社Nttドコモ 基地局および基地局の通信方法
US11864036B2 (en) * 2020-02-04 2024-01-02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Resource management and control for wireless communic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5851A1 (en) 2012-03-09 201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transmit and receive synchronization sig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20031079A0 (fi) * 2003-07-16 2003-07-16 Nokia Corp Menetelmä tiedonsiirtoresurssien kontrolloimiseksi, sekä kontrolleri
JP4869724B2 (ja) * 2005-06-14 2012-02-0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WO2007059496A2 (en) * 2005-11-14 2007-05-24 Neocific, Inc. Multiple-antenna system for cellular communication and broadcasting
JP4806665B2 (ja) * 2007-06-19 2011-11-02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送信方法、及び通信システム
KR100945880B1 (ko) * 2007-09-28 2010-03-05 한국과학기술원 이동통신시스템에서의 빔분할다중접속시스템 및 방법
CN101527959B (zh) * 2008-03-03 2012-09-05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时钟同步系统
JP5276172B2 (ja) * 2008-08-14 2013-08-28 サムス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Ofdma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多重基準信号を支援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00110896A1 (en) * 2008-11-06 2010-05-06 Li-Chih Tseng Method of improving discontinuous reception functionality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CN103733542A (zh) * 2011-08-15 2014-04-16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基站、用户终端、无线通信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KR101847400B1 (ko) * 2011-09-01 2018-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최적의 빔을 선택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30028397A (ko) * 2011-09-09 2013-03-19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동기 및 시스템 정보 획득을 위한 장치 및 방법
JP5719085B2 (ja) * 2011-10-24 2015-05-13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リソースを割り当て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KR101890419B1 (ko) * 2012-01-16 2018-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기준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9282509B2 (en) * 2012-01-25 2016-03-08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and mechanism for conserving power consumption of single-carrier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US10791542B2 (en) * 2012-01-27 2020-09-29 Qualcomm Incorporated Regional and narrow band common reference signal (CRS) for user equipment (UE) relays
KR101881847B1 (ko) * 2012-02-21 2018-08-24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US9414371B2 (en) * 2012-04-16 2016-08-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Hierarchical channel sounding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in massive MIMO systems
KR20130124004A (ko) * 2012-05-04 2013-11-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밀리미터 전파 통신 시스템에서 전송기법에 따른 자원할당 방법 및 장치
CN103391264B (zh) * 2012-05-08 2017-04-19 电信科学技术研究院 载波类型的识别方法和设备
JP5993238B2 (ja) * 2012-07-25 2016-09-14 株式会社Nttドコモ 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端末装置、及び通信方法
EP2936702B1 (en) * 2012-12-21 2021-08-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control channel by beamforming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CN105144731B (zh) * 2013-03-17 2018-11-09 Lg 电子株式会社 分配广播信道的方法、发送和接收广播信道信号的方法、以及用于支持其的设备
WO2014163543A1 (en) * 2013-04-05 2014-10-09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Broadcast of information for new carrier type
US9210690B2 (en) * 2013-08-08 2015-12-08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initial synchronization and collision avoidance in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without network coverage
KR102151021B1 (ko) * 2013-08-08 2020-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장치 대 장치 통신 지원 사용자 장치 간 프레임번호 동기화 방법 및 장치
US9591644B2 (en) * 2013-08-16 2017-03-07 Qualcomm Incorporated Downlink procedures for LTE/LTE-A communication systems with unlicensed spectrum
JP6275422B2 (ja) * 2013-09-06 2018-02-07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基地局、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JP2015070300A (ja) * 2013-09-26 2015-04-13 京セラ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WO2015065152A1 (ko) * 2013-11-04 2015-05-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EP3075087A1 (en) * 2013-11-27 2016-10-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Network node, wireless device, methods therein, for sending and detecting, respectively, synchronization signal and an associated information
KR102169662B1 (ko) * 2014-03-10 2020-10-2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 결정 장치 및 방법
WO2016076504A1 (ko) * 2014-11-13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피드백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WO2016074185A1 (en) * 2014-11-13 2016-05-19 Qualcomm Incorporated Standalone carrier sense adaptive transmission (csat) in unlicensed spectrum
US11146376B2 (en) * 2015-04-22 2021-10-12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type dependent master information block (MI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235851A1 (en) 2012-03-09 2013-09-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s and apparatus to transmit and receive synchronization signals in a mobile communication system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TS 36.211 v12.5.0*
3GPP TS 36.331 v12.5.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169948A (zh) 2016-11-30
KR20180065017A (ko) 2018-06-15
US11431456B2 (en) 2022-08-30
CN110011776A (zh) 2019-07-12
EP3096580B1 (en) 2018-08-01
JP2018196145A (ja) 2018-12-06
JP6821628B2 (ja) 2021-01-27
JP2016220209A (ja) 2016-12-22
ES2809721T3 (es) 2021-03-05
US11664946B2 (en) 2023-05-30
US10985885B2 (en) 2021-04-20
JP2018196144A (ja) 2018-12-06
KR20160137431A (ko) 2016-11-30
EP3340522B1 (en) 2020-06-03
US20210234645A1 (en) 2021-07-29
EP3096580A1 (en) 2016-11-23
US20190312690A1 (en) 2019-10-10
EP3340522A1 (en) 2018-06-27
CN110011776B (zh) 2022-01-28
CN106169948B (zh) 2019-11-01
TW201807976A (zh) 2018-03-01
US20210211245A1 (en) 2021-07-08
US20160344519A1 (en) 2016-11-24
TWI612791B (zh) 2018-01-21
TW201705711A (zh) 2017-02-01
US10992439B2 (en) 2021-04-27
KR101939022B1 (ko) 2019-01-15
KR20180064346A (ko) 2018-06-14
TWI652927B (zh) 2019-03-01
KR101865463B1 (ko) 2018-06-07
US20190173629A1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07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준 신호 송신을 구현하는 방법 및 장치
US1148383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beam detection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845903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 시그널링을 전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190057003A (ko) 시스템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