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891B1 -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 - Google Patents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891B1
KR101951891B1 KR1020170003626A KR20170003626A KR101951891B1 KR 101951891 B1 KR101951891 B1 KR 101951891B1 KR 1020170003626 A KR1020170003626 A KR 1020170003626A KR 20170003626 A KR20170003626 A KR 20170003626A KR 101951891 B1 KR101951891 B1 KR 1019518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ille
panel
engaging member
insertion groove
rolle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36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2219A (ko
Inventor
이철
Original Assignee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스기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036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891B1/ko
Publication of KR201800822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22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8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8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printing in Braille or with keyboards specially adapted for use by blind or disabled pers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1/00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 E04F21/165Implements for finishing work on buildings for finishing joints, e.g. implements for raking or filling joints, join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1/00Handle constructions
    • B25G1/10Handle constructions characterised by material o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GHANDLES FOR HAND IMPLEMENTS
    • B25G3/00Attaching handles to the implements
    • B25G3/36Lap joints; Riveted, screwed, or like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FPRINTING MACHINES OR PRESSES
    • B41F3/00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 B41F3/18Cylinder presses, i.e. presses essentially comprising at least one cylinder co-operating with at least one flat type-bed of special construction or for particular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rinters Characterized By Their Purpos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쇄물에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자인쇄모듈은 회전 가능한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쇄물에 밀착되며,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인쇄물에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패널 및 상기 점자패널을 상기 롤러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BRAILLE POINT PRINTING APPARATUS WITH BRAILLE POINT MODULE}
본 발명은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점자인쇄모듈과 롤러부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는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인이 주로 사용하는 점자(Braille)는 순서가 정해진 6개의 돌출된 점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로 이루어진다. 시각 장애인들은 손끝으로 점자를 만지거나 접촉하여 점자가 나타내는 의미를 인식할 수 있다.
시각 장애인들의 편의를 위하여 다양한 제품에 점자가 인쇄되고 있으며, 특히 의약품 같은 경우 생명과 연관되어 있으므로 특히 점자가 인쇄되어야 한다.
이와 같이, 약품 포장 등 포장지에 점자를 인쇄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점자인쇄장치가 제공되고 있다.
선행문헌(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114753호)에서는 명함에 점자를 인쇄하기 위한 인쇄장치를 제공하는데 선행문헌에서와 같이, 상부점자금형과 하부점자금형이 그 사이를 통과하는 인쇄물에 점자를 인쇄할 수 있다.
선행문헌과 같은 상하 금형으로 이루어진 평면형태의 인쇄장치 외에도 원통형으로 이루어진 인쇄장치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평면형태의 인쇄장치 또는 원통형의 인쇄장치의 경우 점자를 정확하게 인쇄하기 위하여 베이스와의 밀착도가 중요할 수 있다.
또한, 다양한 점자인쇄를 위하여 인쇄패널이 교체되어야 하는데 이 때, 인쇄패널을 용이하게 교체함과 동시에 인쇄패널의 밀착도가 높은 인쇄장치가 필요할 수 있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14753호(공개일: 2010.10.2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점자를 인쇄하기 위한 패널을 회전롤러에 밀착시켜 인쇄 정확도를 높이며, 교체가 용이한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인쇄물에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자인쇄모듈은 회전 가능한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쇄물에 밀착되며,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인쇄물에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패널 및 상기 점자패널을 상기 롤러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의 상기 롤러부는 표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점자패널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삽입홈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롤러부에 고정되는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패널은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이 각각 상기 점자패널의 외측면을 향해 접혀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표면에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점자패널을 상기 수용홈에 고정하기 위한 볼팅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자패널은 상기 삽입홈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모서리를 따라 복수 개의 홀이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점자패널의 상기 일단을 고정하는 제1결합부재 및 상기 제1결합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점자패널의 상기 타단을 고정하는 제2결합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의 저면에는 구비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점자패널과 상기 롤러부의 밀착도가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결합부재에 의하여 점자패널의 일단 및 타단이 롤러부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점자패널이 롤러부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둘째, 결합부재를 사용하여 점자패널이 롤러부에 결합되는 길이를 조절하여 점자패널이 롤러부에 밀착되어 점자 명확하게 인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인쇄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및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의 결합부재와 점자패널이 롤러부에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의 결합부재와 점자패널이 롤러부에 결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인쇄모듈의 점자패널이 롤러부에 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인쇄모듈의 점자패널이 롤러부에 밀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는 원통형의 점자인쇄모듈(50)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보면, 점자인쇄모듈(50)은 구체적으로 롤러부(100), 점자패널(200) 및 결합부재(300)를 포함한다.
롤러부(100)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1에서와 같이, 롤러부(100)는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동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상부롤러(20)와 하부롤러(3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인쇄물(10)은 상부롤러(20)와 하부롤러(30) 사이의 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상부롤러(20)와 하부롤러(30)가 상대 회전함에 따라 인쇄물(10)이 롤러부(100)를 통과할 수 있다.
점자패널(200)은 롤러부(100)의 외주면(100a)에 결합되어 인쇄물(10)에 밀착되며, 표면에 돌기(210)가 형성되어 인쇄물(10)에 점자를 인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점자패널(200)은 상부롤러(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점자패널(200)은 상부롤러(20)와 하부롤러(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인쇄물(10)은 상부롤러(20)와 하부롤러(30) 사이를 통과하는 과정에 가압될 수 있으며, 이 때, 점자패널(200)의 표면에 형성된 돌기(210)에 의하여 인쇄물(10)의 표면에 점자가 인쇄될 수 있다.
한편, 하부롤러(30)는 외주면이 평면형태를 이루어 지거나, 상부롤러(20)에 결합된 점자패널(200)의 돌기(210)와 대응되는 위치에 함몰홈이 형성된 패널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평면형태의 하부롤러(30)에 비해 함몰홀이 형성된 패널이 결합될 경우 점자가 더 효과적으로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점자패널(200)이 롤러부(100)에 밀착된 정도에 따라 인쇄물(10)에 점자가 인쇄되는 명확도가 다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점자인쇄모듈은 결합부재(300)를 사용하여 점자패널(200)이 롤러부(100)에 밀착되는 밀착도를 조절할 수 있다.
결합부재(300)는 점자패널(200)을 롤러부(100)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보면, 롤러부(100)는 표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삽입홈(110)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300)는 삽입홈(110)에 밀착되어 삽입되며, 점자패널(200)의 일단(220) 및 타단(230)은 결합부재(300)에 의하여 롤러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결합부재(300)는 삽입홈(1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삽입홈(110)에 삽입된 점자패널(200)의 일단(220) 및 타단(230)은 결합부재(300)에 의하여 롤러부(100)의 삽입홈(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300)는 삽입홈(110)에 고정되도록 체결홀(310)이 관통 형성되고, 체결홀(310)에 삽입되는 볼팅부재(330)에 의하여 롤러부(100)에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점자패널(200)은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일단(220) 및 타단(230)과 인접하여 홀(200b)이 형성될 수 있다.
점자패널(200)의 홀(200b)은 점자패널(200)이 롤러부(100)에 결합될 경우 삽입홈(110)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삽입홈(110)의 모서리를 따라 복수 개가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즉, 점자패널(200)의 일단(220)으로부터 타단(230)까지를 점자패널(200)의 길이방향이라고 하면, 홀(200b)은 점자패널(200)의 너비방향으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홀(200b)은 점자패널(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점자패널(200)이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길이가 어느 정도 차이가 있더라도 홀(200b)이 항상 삽입홈(110)의 모서리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홀(200b)이 형성된 위치는 절곡이 용이하므로 점자패널(200)을 쉽게 절곡하여 일단(220)과 타단(230)을 삽입홈(110)에 삽입할 수 있다.
이어서, 점자패널(200)이 결합부재(300)에 의하여 롤러부(100)에 고정되는 내용을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2 내지 도 7을 살펴보면, 결합부재(300)는 제1결합부재(350) 및 제2결합부재(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결합부재(350)는 점자패널(200)의 일단(220)을 고정할 수 있다. 즉, 점자패널(200)을 롤러부(100)에 고정하기 위하여 우선 제1결합부재(350)를 사용하여 점자패널(200)의 일단(220)을 롤러부(100)의 삽입홈(1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다음 제1결합부재(35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2결합부재(360)를 사용하여 점자패널(200)의 타단(230)을 고정할 수 있다.
즉, 제1결합부재(350)와 제2결합부재(360)를 사용하여 점자패널(200)의 일단(220)과 타단(230)을 순차적으로 롤러부(100)에 고정할 수 있다.
삽입홈(110)의 저면에는 복수 개의 체결홀(150a)이 형성된 체결부재(150)를 구비될 수 있다.
이 때, 제1결합부재(350) 및 제2결합부재(360)는 체결부재(150)에 각각 결합되고, 제1결합부재(350)와 제2결합부재(360)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점자패널(200)과 롤러부(100)의 밀착도가 조절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삽입홈(110)의 저면에는 체결부재(150)에 형성된 체결홀(150a)과 연통되도록 홀(16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보면, 제1결합부재(350) 및 제2결합부재(360)에는 각각 체결홀(310)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제1결합부재(350)의 체결홀(310)에 삽입된 볼팅부재(330)는 삽입홈(110)의 저면에 형성된 홀(160)을 관통하여 체결부재(150)의 체결홀(150a)에 체결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재(360)의 체결홀(310)에 삽입된 볼팅부재(330)는 제1결합부재(350)에 형성된 관통홀(370) 및 삽입홈(110)의 홀(160)을 관통한 후 체결부재(150)의 체결홀(150a)에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제1결합부재(350)과 제2결합부재(360)에 형성된 체결홀(310)은 순차적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결합부재(350)를 체결부재(150)에 고정하여 점자패널(200)의 일단(230)을 삽입홈(110)에 고정한 상태에서 제2결합부재(360)를 체결부재(150)와 고정하여 점자패널(200)의 타단(230)을 삽입홈(110)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결합부재(360)는 제1결합부재(3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결합부재(360)는 볼팅부재(330)가 체결부재(150)와 결합되는 깊이에 따라 제1결합부재(350)와의 이격거리가 조절되며, 이에 따라 점자패널(200)과 롤러부(100)의 밀착도를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부재(150)에 5개의 체결홀(150a)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중 2개는 제1결합부재(350)에 형성된 체결홀(310)에 삽입되는 볼팅부재(330)와 결합되고, 나머지 3개는 제2결합부재(360)에 형성된 체결홀(310)에 삽입되는 볼팅부재(33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결합부재(350)와 제2결합부재(360)가 각각 따로 체결부재(150)에 결합될 수 있어 점자패널(200)을 롤러부(100)에 고정하는 과정에 우선 제1결합부재(350)를 이용하여 점자패널(200)의 일단(220)을 롤러부(100)에 고정한 후 제2결합부재(360)를 이용하여 점자패널(200)의 타단(230)을 롤러부(100)에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점자패널(200)의 일단(220)이 롤러부(100)에 고정된 상태에서 타단(230)을 롤러부(100)의 삽입홈(110)을 향해 끌어당길 수 있어 점자패널(200)과 롤러부(100)의 밀착도를 높일 수 있다.
즉, 제1결합부재(350)를 사용하여 점자패널(200)의 일단(220)을 고정한 상태에서 타단(230)이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길이를 조절하면 점자패널(200)의 팽창도를 조절하여 점자패널(200)이 롤러부(100)에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 및 도 7을 비교하여 보면, 제2결합부재(360)가 삽입홈(110)에 삽입된 깊이에 따라 점자패널(200)이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7에서와 같이, 제2결합부재(360)가 제1결합부재(350)가 일정 거리(d) 이격되게 삽입될 경우 제2결합부재(360)가 제1결합부재(350)에 밀착되게 삽입될 경우에 비해 점자패널(200)이 더 인장되며, 이에 따라 점자패널(200)이 롤러부(100)에 더 밀착될 수 있다.
한편, 점자패널(200)은 일단(220) 및 타단(230)이 각각 점자패널(200)의 외측면(200a)을 향해 접혀 고정부(220a,230a)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300)는 표면에 고정부(220a,230a)를 수용하는 수용홈(300a)이 형성될 수 있다.
점자패널(200)의 고정부(220a, 230a)는 결합부재(300)의 수용홈(300a)에 삽입되어 제1결합부재(350) 및 제2결합부재(360)가 삽입홈(110)의 저면을 향해 이동함에 따라 제1결합부재(350) 및 제2결합부재(360)와 함께 삽입홈(110)의 저면을 향해 이동할 수 있다.
즉, 점자패널(200)에 형성된 고정부(220a, 230a)는 점자패널(200)이 결합부재(300)에 더 효과적으로 결합되어 결합부재(300)와 함께 삽입홈(110)에 삽입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점자패널(200)이 결합부재(300)과 효과적으로 결합되어 삽입홈(110)에 삽입됨으로써 점자패널(200)과 롤러부(100)의 밀착도를 높여 인쇄되는 점자가 더 명확해질 수 있다.
한편,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는 롤러부(100), 점자패널(200) 및 결합부재(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는 롤러부(100), 점자패널(200)은 앞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점자인쇄모듈의 롤러부(100), 점자패널(200)과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한편, 결합부재(300)의 수용홈(300a)에는 점자패널(200)을 수용홈(300a)에 고정하기 위한 볼팅부재(340)가 삽입되는 체결홀(320)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점자패널(200)의 일단(220) 또는 타단(230)은 볼팅부재(340)에 의하여 결합부재(300)에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결합부재(300)가 점자패널(200)에 밀착되어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경우에 비해, 점자패널(200)이 결합부재(300)에 더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2결합부재(360)가 점자패널(200)의 타단(230)과 결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삽입홈(110)에 삽입되는 밀착력에 의하여 점자패널(200)의 타단(230)을 고정할 수 있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2결합부재(360)와 점자패널(200)의 타단(230)을 볼팅부재(340)를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제2결합부재(360)와 점자패널(200)이 더 효과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2결합부재(360)와 점자패널(200)의 타단(230)이 볼팅 결합됨으로써 제2결합부재(360)를 이용하여 점자패널(200)의 타단(230)을 끌어당길 수 있어
점자패널(200)이 롤러부(100)에 더 효과적으로 밀착되어 점자가 명확하게 인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인쇄물 20: 상부롤러
30: 하부롤러 50: 점자인쇄모듈
100: 롤러부 100a: 외주면
110: 삽입홈 150: 체결부재
150a: 체결홀 160: 홀
200: 점자패널 200a: 외측면
200b: 홀 210: 돌기
220: 일단 230: 타단
220a, 230a: 고정부 300: 결합부재
300a: 수용홈 310,320: 체결홀
330,340: 볼팅부재 350: 제1결합부재
360: 제2결합부재 370: 관통홀
X: 이동방향 R: 회전방향

Claims (7)

  1. 인쇄물에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에 있어서,
    상기 점자인쇄모듈은,
    회전 가능한 롤러부;
    상기 롤러부의 외주면에 결합되어 상기 인쇄물에 밀착되며, 표면에 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인쇄물에 점자를 인쇄하는 점자패널; 및
    상기 점자패널을 상기 롤러부에 착탈이 가능하게 결합시키는 결합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는 표면으로부터 중심을 향해 삽입홈이 함몰 형성되고,
    상기 점자패널의 일단 및 타단은 상기 삽입홈에 밀착되어 삽입되는 상기 결합부재에 의하여 상기 롤러부에 고정되고,
    상기 결합부재는,
    상기 점자패널의 상기 일단을 고정하는 제1결합부재;
    상기 제1결합부재의 상측에 배치되며, 상기 점자패널의 상기 타단을 고정하는 제2결합부재; 및
    상기 삽입홈의 저면에 구비되며, 복수 개의 체결홀이 형성된 체결부재;
    를 포함하고,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삽입홈에서의 상기 제1결합부재와 상기 제2결합부재 사이의 이격거리에 따라 상기 점자패널과 상기 롤러부의 밀착도가 조절되는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패널은
    상기 일단 및 상기 타단이 각각 상기 점자패널의 외측면을 향해 접혀 고정부를 형성하고,
    상기 결합부재는,
    표면에 상기 고정부를 수용하는 수용홈이 형성되는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는 상기 점자패널을 상기 수용홈에 고정하기 위한 볼팅부재가 삽입되는 체결홈이 형성되는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자패널은
    상기 삽입홈의 모서리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모서리를 따라 복수 개의 홀이 이격 형성되는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
  6. 삭제
  7. 삭제
KR1020170003626A 2017-01-10 2017-01-10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 KR1019518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626A KR101951891B1 (ko) 2017-01-10 2017-01-10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3626A KR101951891B1 (ko) 2017-01-10 2017-01-10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219A KR20180082219A (ko) 2018-07-18
KR101951891B1 true KR101951891B1 (ko) 2019-02-26

Family

ID=63049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3626A KR101951891B1 (ko) 2017-01-10 2017-01-10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189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653B1 (ko) 2022-05-02 2022-09-02 주식회사 도서출판점자 점자 인쇄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802952B (zh) * 2019-12-02 2020-11-06 义乌台维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盲文印刷设备
KR102650100B1 (ko) * 2023-03-08 2024-03-21 썬에스지엠 주식회사 점자 패턴 형성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643A (ja) * 2006-06-28 2008-01-17 Hitachi Chem Co Ltd 版の取り付け構造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27051A (ja) * 1993-02-08 1994-08-16 Fuji Xerox Co Ltd 点字印刻装置
KR101073184B1 (ko) 2009-04-16 2011-10-12 유정준 점자 명함 자동인쇄장치
KR101900508B1 (ko) * 2012-05-14 2018-11-02 마사유키 이즈메 인쇄판 유닛, 인쇄판 장착 장치 및 인쇄기
KR20170078353A (ko) * 2015-12-29 2017-07-07 조항태 점자 인쇄시스템 및 그 점자 인쇄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06643A (ja) * 2006-06-28 2008-01-17 Hitachi Chem Co Ltd 版の取り付け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653B1 (ko) 2022-05-02 2022-09-02 주식회사 도서출판점자 점자 인쇄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2219A (ko) 2018-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1891B1 (ko) 점자인쇄모듈을 포함하는 점자인쇄장치
US6446550B2 (en) Screen printing machine and stencil sheet assembly
US20110056867A1 (en) Package material
WO2007021752A3 (en) Secure imaging toner and methods of forming and using the same
JP6054564B1 (ja) 罫入ロール部材
KR870008817A (ko) 다층 세라믹 바의 프린팅 및 조립장치
EP3216729A1 (en) Roller for transporting a medium such as paper and a printing apparatus including such a roller
US4981385A (en) Releasable fastener
EP3012111A1 (en) Long-sheet-body holding device, and printer
KR101082740B1 (ko) 자동화기기의 기록용지 안내장치
JP2008265290A (ja) マスター印付き回転印
KR20190022609A (ko) 책장을 이중으로 접기 위한 장치
JP4882658B2 (ja) 包装箱、及び包装箱の製造方法
JP6603696B2 (ja) 情報表示物ホルダ及び環状体整列装置
KR101682357B1 (ko) 컨베이어 장치의 전송 플레이트
JP6299561B2 (ja) ラベル印字用アタッチメント
KR20200111452A (ko) 스크린 고정기구
TWM316880U (en) Cylinder installment positioning structure
CN216402104U (zh) 包装防护内衬和包装盒
IT201600126141A1 (it) Dispositivo di trascinamento di targhette di identificazione per cavi e componenti elettrici al fine di ottenerne la stampa a mezzo di una stampante a getto di inchiostro e metodo per la realizzazione di un caricatore automatico.
GB2238526A (en) Web for pin-feed web handling apparatus.
US20050061181A1 (en) Print carrier sheets with crimp-on edge clips
KR970003685B1 (ko) 가압장치
JP2010023121A (ja) 回転アンビル用マット
KR0123811B1 (ko) 현상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