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1806B1 -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 Google Patents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1806B1
KR101951806B1 KR1020170054988A KR20170054988A KR101951806B1 KR 101951806 B1 KR101951806 B1 KR 101951806B1 KR 1020170054988 A KR1020170054988 A KR 1020170054988A KR 20170054988 A KR20170054988 A KR 20170054988A KR 101951806 B1 KR101951806 B1 KR 1019518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ll
hemispherical
ang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4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0961A (ko
Inventor
정진년
Original Assignee
정진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진년 filed Critical 정진년
Priority to KR1020170054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1806B1/ko
Priority to PCT/KR2018/003467 priority patent/WO2018199480A1/ko
Publication of KR20180120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9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18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18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63B26/003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for improving balance or equilibrium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4/00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preceding groups; Controlling or monitoring of exercises, sportive games, training or athletic performances
    • A63B24/0087Electric or electronic controls for exercising apparatus of groups A63B21/00 - A63B23/00, e.g. controlling loa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6/00Exercising apparatus not covered by groups A63B1/00 - A63B25/00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0/00Measuring of physical parameters relating to sporting activity
    • A63B2220/50Force related parameters
    • A63B2220/56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25/00Miscellaneous features of sport apparatus, devices or equipment
    • A63B2225/50Wireless data transmission, e.g. by radio transmitters or telemetr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300/0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 A63F2300/80Features of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e.g. on a television screen, showing representations related to the game specially adapted for executing a specific type of game
    • A63F2300/8082Virtual real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외부 장치와 전기신호적 연결로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가 탑승하는 상판을 움직일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윙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판 형상의 제1판(100); 상기 제1판의 상부에 상기 제1판(10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판 형상의 제2판(200); 상기 제1판(100) 및 상기 제2판(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판(200)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SWING SIMULATOR DEVICE}
본 발명은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외부 장치와 전기신호적 연결로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가 탑승하는 상판을 움직일 수 있고,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상판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스윙 시뮬레이터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바쁜 현대인의 생활을 반영하여 스크린 골프, 스크린 야구 등의 다양한 스포츠가 IT융복합 기술의 발달(영상 및 모션 센싱 등)과 접목되어 실내 활동 지향적 상업서비스가 인기를 얻고 있으며, 점차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VR(Virtual Reality) 장치는 종래의 스포츠와 달리 가상현실의 기술 즉 3차원 그래픽 기술과 4축 이상의 모션 및 체감 증감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가상공간에서의 움직임이 사람의 근육을 통해 만들어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즉, 게임의 제어 신호를 사람의 움직임으로 만들어 내는 기술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VR을 이용한 시뮬레이터 장치는 스크린 골프 및 스키와 같은 시뮬레이션 장치로 사용되고 있으며, 공개 특허 제10-1999-0067463호, 공개특허 제10-2008-00099267호 등에는 시뮬레이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시뮬레이션 장치는 일정 각도를 두고 기울어짐으로써, 일정 이상의 하중을 지탱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시뮬레이션 장치는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이 조절할 수 있는 각도가 제한되어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공개특허 제10-1999-0067463호 공개특허 제10-2008-0099267호
본 발명은 사용자가 탑승하면,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판이 일정각도 기울어질 수 있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진동부를 통해 상판에 진동을 인가해 사용자가 탑승하는 압력패드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판 하부에서 상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이 반구형 및 볼과 같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판이 기울어지는 각도의 범위가 종래의 발명보다 비교적 넓은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판 형상의 제1판(100); 상기 제1판의 상부에 상기 제1판(10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판 형상의 제2판(200); 상기 제1판(100) 및 상기 제2판(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판(200)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도조절부(300)는, 상방으로 만곡된 반구형태로써, 상기 제1판(100) 상부에 고정된 반구부(310); 상기 반구부(310)의 상면에 접하면서 상기 제2판(200)을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볼(320); 및 상기 제2판(2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볼(320)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볼(320)을 감싸는 볼 지지부(3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도조절부(300)는, 하방으로 만곡된 반구형태로써, 상기 제2판(200) 하부에 고정된 제2반구부(310`); 상기 제2반구부(310`)의 하면에 접하면서, 상기 제2판(200)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반구부(31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2볼(320`); 및 상기 제1판(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볼(320`)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2볼(320`)을 감싸는 제2볼 지지부(330`);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도조절부(300)는, 상기 제2판(20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판(100)과 상기 제2판(200)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340); 및 상기 제1판(100)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340)의 길이를 조절하는 복수 개의 모터(35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각도조절부(300)는, 일측은 상기 반구부(3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판(200)에 고정되어 상기 제2판(200)의 이탈을 방지하는 스프링부(36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판(200)에 장착되어, 상기 제2판(200)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부(400);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판(100)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50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1판(100) 상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복수 개의 압력센서(610)가 내장된 압력패드(60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압력패드(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도조절부(300), 상기 진동부(400) 및 상기 액추에이터(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기기와 상기 제어부(700)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듈(800);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외부기기는 게임기, VR(Virtual Reality)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진동부(400)는 관성형 가진기 또는 편심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볼 지지부(330)는, 상기 반구부(310)의 중심과 상기 볼(320)을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제2볼 지지부(330`)는, 상기 제2반구부(310`)의 중심과 상기 제2볼(320`)을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복수 개의 볼(320)을, 상기 제2판(200)이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패드 또는 오일 접촉 패드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사용자가 탑승하면, 사용자의 움직임 또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신호에 따라 상판이 일정각도 기울어져 현실감있게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진동부를 통해 상판에 진동을 인가해 사용자가 탑승하는 압력패드에 진동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상판 하부에서 상판의 각도를 조절하는 구성이 반구형 및 볼과 같은 구형으로 형성되어 상판이 기울어지는 각도의 범위가 종래의 발명보다 비교적 넓게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의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 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 과장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10)는 제1판(100), 제2판(200), 각도조절부(300), 진동부(400), 액추에이터(500), 압력패드(600), 제어부(700) 및 통신모듈(8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판(1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판(100)은 수평하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각도조절부(300) 및 제2판(200)을 지지할 수 있다.
제2판(200)은 제1판(1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제2판(200)은 제1판(10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2판(2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300)는 제1판(100) 및 제2판(200)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각도조절부(300)는 제2판(200)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각도조절부(300)는 반구부(310), 볼(320), 볼 지지부(330), 와이어(340), 모터(350) 및 스프링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반구부(310)는 상방으로 만곡된 반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반구부(310)는 제1판(100)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볼(320)은 반구부(310)의 상면에 접하면서 제2판(200)을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볼(320)은 반구부(31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볼(320)은 제2판(200)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패드 또는 오일 접촉 패드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 패드는 반구부(310)와 접촉하여 반구부(310)가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오일 접촉 패드는 반구부(31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윤활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볼 지지부(330)는 제2판(200)의 하부에 장착될 수 있다. 볼 지지부(330)는 볼(320)이 회전가능하도록 볼을 감싸서 형성될 수 있다. 볼 지지부(330)는 반구부(310)의 중심과 볼(320)을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볼(320)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반구부(310)와 충돌하지 않고 반구부(31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볼(320)은 반구로 형성된 반구부(31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여,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제2판(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볼(320) 및 볼 지지부(330)는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상에는 3개의 볼(320) 및 볼 지지부(330)가 설치되어 있으나, 꼭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와이어(340)는 제2판(20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340)는 제1판(100)과 제2판(200)을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모터(350)는 제1판(100)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모터(350)는 와이어(34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와이어(340) 및 모터(350)는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상에는 제1판(100) 및 제2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3개의 와이어(340) 및 모터(350)가 설치되어 있으나, 꼭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모터(350)는 복수 개 설치되는 와이어(340) 중 어느 하나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2판(200)의 기울어지는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반구부(310)를 둘러싸도록 형성된 와이어(3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2판(200)이 기울어지는 방향 및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즉, 도 2를 참조하면, 우측에 구비된 와이어(340)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2판(200)의 우측이 하측으로 기울어진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스프링부(360)의 일측은 반구부(310)에 고정될 수 있다. 스프링부(360)의 타측은 제2판(200)에 고정되어 제2판(200)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스프링부(360)는 제2판(200)이 기울어지는 방향에 따라 늘어남으로써, 제2판(200)이 이탈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도 2참조). 따라서, 스프링부(360)는 사용자가 낙하하는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진동부(400)는 제2판(200)에 장착되어 제2판(200)에 진동을 인가할 수 있다. 진동부(400)는 적어도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진동부(400)는 관성형 가진기(shaker) 또는 진동(Vibration) 모터(350)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지만, 꼭 이를 한정하지는 않는다.
액추에이터(500)는 제1판(10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500)는 제1판(100)을 수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액추에이터(500)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10)의 수직 모션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동부(400) 및 액추에이터(500)는 외부기기(게임기,VR장치)에 연동되어 작동할 경우, 보다 실감나는 VR(Virtual Reality)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압력패드(600)는 제1판(100)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압력패드(600) 상부에는 사용자가 위치할 수 있다. 압력패드(60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복수 개의 압력센서(610)가 내장될 수 있다. 압력패드(600)는 사용자의 신호를 전달 받아 후술하는 제어부(700)에 발신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압력패드(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각도조절부(300), 진동부(400) 및 액추에이터(500)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도면상에 제1판(100) 상부에 구비되어 있지만, 꼭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통신모듈(800)은 제어부(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기기와 제어부(700)의 통신을 중계할 수 있다. 통신모듈(800)은 도면상에 제2판(200) 상부에 구비되어 있지만, 꼭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러한, 외부기기는 게임기, VR(Virtual Reality) 장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의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다른 실시 예의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서 설명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각도조절부(300)는 제2반구부(310'), 제2볼(320') 및 제2볼 지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반구부(310')는 하방으로 만곡된 반구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반구부(310')는 제2판(200)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제2볼(320')은 제2반구부(310')의 하면에 접하면서 제2판(200)을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 제2볼(320')은 제2반구부(310')의 하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러한 볼(320')은 제2판(200)이 이동 가능하도록 하는 슬라이딩 패드 또는 오일 접촉 패드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슬라이딩 패드는 제2반구부(310')와 접촉하여 제2반구부(310')가 원활하게 미끄러지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오일 접촉 패드는 제2반구부(310')가 원활하게 슬라이딩되도록 윤활유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제2볼 지지부(330')는 제1판(100)의 상부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볼 지지부(330')는 제2볼(320')이 회전가능하도록 제2볼(320')을 감싸서 형성될 수 있다. 제2볼 지지부(330')는 제2반구부(310')의 중심과 제2볼(320')을 연결하는 선의 연장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제2볼(320')은 어느 위치에 있더라도 제2반구부(310')와 충돌하지 않고 제2반구부(310')의 하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볼(320')은 반구로 형성된 제2반구부(310')의 하면을 따라 이동하여, 다양한 각도로 기울어지도록 제2판(200)을 이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제2볼(320') 및 제2볼 지지부(330')는 적어도 1개 이상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상에는 3개의 제2볼(320') 및 제2볼 지지부(330)가 설치되어 있으나, 꼭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의 블록도이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10)의 사용자 움직임 감지에 따른 작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1) 사용자가 압력패드(600)에 올라가 몸을 일측 방향으로 기울이면, 압력센서(610)에서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여 제어부(700)에 전송하게 된다.
2) 이후, 제어부(700)는 전송된 사용자의 움직임에 따라, 모터(350)를 작동시켜 복수 개 구비된 와이어(3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제2판(200)의 각도를 조절한다.
즉, 사용자 몸을 기울인 방향 및 압력센서(610)에 감지된 압력의 크기를 반영하여, 제2판(200)이 기울어진 방향 및 기울어진 각도를 제어하는 것이다.
또한,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외부기기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작동하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외부기기의 신호전달에 의해 제어부(700)는 통신모듈(800)을 통해 게임기 VR 장치 중 어느 하나인 외부기기에서 신호를 전달받아, 복수 개 구비된 와이어(340) 중 어느 하나 이상의 길이를 조절하여 제2판(200)의 각도를 조절하고, 진동부(400)를 작동시켜 제2판(200)에 진동을 인가하거나, 액추에이터(500)를 작동시켜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10)의 수직 높이를 조절한다.
따라서,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10)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거나, 외부기기로부터 신호를 전달받아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시뮬레이션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이다. 또한 전술한 내용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어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은 다양한 다른 조합, 변경 및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개념의 범위, 저술한 개시 내용과 균등한 범위 및/또는 당업계의 기술 또는 지식의 범위내에서 변경 또는 수정이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최선의 상태를 설명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구체적인 적용 분야 및 용도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변경도 가능하다. 따라서 이상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개시된 실시 상태로 본 발명을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또한, 첨부된 청구범위는 다른 실시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100 : 제1판
200 : 제2판
300 : 각도조절부
310 : 반구부
320 : 볼
330 : 볼 지지부
340 : 와이어
350 : 모터
360 : 스프링부
400 : 진동부
500 : 액추에이터
600 : 압력패드
610 : 압력센서
700 : 제어부
800 : 통신모듈

Claims (15)

  1. 판 형상의 제1판(100);
    상기 제1판의 상부에 상기 제1판(10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판 형상의 제2판(200); 및
    상기 제1판(100) 및 상기 제2판(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판(200)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부(300)는,
    상방으로 만곡된 반구형태로써, 상기 제1판(100) 상부에 고정된 반구부(310);
    상기 반구부(310)의 상면에 접하면서 상기 제2판(200)을 이동가능하도록 지지하는 복수 개의 볼(320);
    상기 제2판(200)의 하부에 장착되며, 상기 볼(320)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볼(320)을 감싸는 볼 지지부(330);
    일측은 상기 반구부(3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2판에 고정되어 상기 제2판(200)을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360);
    상기 제2판(20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판(100)과 상기 제2판(200)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340); 및
    상기 제1판(100)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340)의 길이를 조절하는 복수 개의 모터(350);
    를 포함하고,
    상기 볼 지지부(330)는,
    상기 볼(320)이 일면에 삽입되는 볼 지지 모듈; 및
    상기 볼 지지 모듈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상기 제2판(200)의 하면에 고정하는 고정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볼 지지 모듈의 타면은 상기 반구부(310)의 중심과 상기 볼(320)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2. 삭제
  3. 판 형상의 제1판(100);
    상기 제1판의 상부에 상기 제1판(100)과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판 형상의 제2판(200); 및
    상기 제1판(100) 및 상기 제2판(200) 사이에 구비되며, 상기 제2판(200)의 기울어진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300);
    를 포함하되,
    상기 각도조절부(300)는,
    하방으로 만곡된 반구형태로써, 상기 제2판(200) 하부에 고정된 제2반구부(310`);
    상기 제2반구부(310`)의 하면에 접하면서, 상기 제2판(200)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제2반구부(310`)를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2볼(320`);
    상기 제1판(100)의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제2볼(320`)이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제2볼(320`)을 감싸는 제2볼 지지부(330`);
    일측은 상기 제2반구부(310')에 고정되고, 타측은 상기 제1판(100)에 고정되어 상기 제2반구부(310')를 탄성 지지하는 스프링부(360);
    상기 제2판(200)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상기 제1판(100)과 상기 제2판(200)을 연결하는 복수 개의 와이어(340); 및
    상기 제1판(100) 상부에 장착되어, 상기 와이어(340)의 길이를 조절하는 복수 개의 모터(350);
    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볼 지지부(330')는,
    상기 제2볼(320')이 일면에 삽입되는 제2볼 지지 모듈; 및
    상기 제2볼 지지 모듈의 일면과 마주보는 타면을 상기 제1판(100)의 상면에 고정하는 제2고정 모듈;
    을 포함하되,
    상기 제2볼 지지 모듈의 타면은 상기 제2반구부(310')의 중심과 상기 제2볼(320')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에 수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200)에 장착되어, 상기 제2판(200)에 진동을 인가하는 진동부(400);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판(100)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제1판(100)을 수직으로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5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판(200) 상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움직임을 감지하도록 복수 개의 압력센서(610)가 내장된 압력패드(6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패드(600)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각도조절부(300), 상기 진동부(400) 및 상기 액추에이터(5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7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7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외부기기와 상기 제어부(700)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모듈(800);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기기는 게임기, VR(Virtual Reality) 장치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12.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부(400)는 관성형 가진기 또는 편심모터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볼(320)을,
    상기 제2판(200)이 이동 가능하도록 슬라이딩 패드 또는 오일 접촉 패드로 대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KR1020170054988A 2017-04-28 2017-04-28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KR1019518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988A KR101951806B1 (ko) 2017-04-28 2017-04-28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PCT/KR2018/003467 WO2018199480A1 (ko) 2017-04-28 2018-03-23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4988A KR101951806B1 (ko) 2017-04-28 2017-04-28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961A KR20180120961A (ko) 2018-11-07
KR101951806B1 true KR101951806B1 (ko) 2019-02-25

Family

ID=639184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4988A KR101951806B1 (ko) 2017-04-28 2017-04-28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51806B1 (ko)
WO (1) WO201819948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7173A1 (en) * 2004-06-15 2006-12-21 Vincenzo Guadagno Balance and motion exercise training and conditio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170U (ja) * 1991-09-27 1993-07-27 大和工機株式会社 ゴルフ練習装置
JP3836154B2 (ja) 1996-09-11 2006-10-18 株式会社セガ スキーシュミレーション装置
US6767313B2 (en) * 2001-09-24 2004-07-27 Robert A. Sayce Parallel ski training device
US20070184940A1 (en) 2006-01-17 2007-08-09 Christopher Tomes Skateboard simulator
KR101317012B1 (ko) * 2011-12-31 2013-10-11 사단법인 전북대학교자동차부품금형기술혁신센터 스키 시뮬레이션 장치 및 그 방법
KR101577531B1 (ko) * 2014-05-08 2015-12-14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실감형 스키 시뮬레이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87173A1 (en) * 2004-06-15 2006-12-21 Vincenzo Guadagno Balance and motion exercise training and condition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99480A1 (ko) 2018-11-01
KR20180120961A (ko)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465B1 (ko) 수직 중력 변화 체감형 시뮬레이션 보드, 무게 중심 이동 및 트위스팅 감지가능한 하체 모션 감지 보드, 및 상부 신체 모션 인식을 이용한 고감도 스키 파도타기 가상 현실 시뮬레이팅 시스템
CN110582332B (zh) 坐式运动模拟游乐园景点
JP3170638B2 (ja) 仮想現実体験装置
JP2012524581A (ja) 仮想現実での動きに適合するベルト
US20080039216A1 (en) Swing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a swing device
CA2189840A1 (en) Motion/force simulators
KR101749216B1 (ko) 사격훈련 시뮬레이터 및 이를 이용한 사격훈련 시뮬레이션 시스템
EP3552970A1 (en) Freefall training apparatus and training method using same
KR102276788B1 (ko) 가상 현실 운동 장치
KR101492372B1 (ko) 모션제어유닛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장치
US9711059B2 (en) Motion platform device for flight simulation
KR20180085613A (ko) 반중력 무한이동 가상체험장치
CN108619655B (zh) 一种可穿戴设备、控制vr系统及其控制方法
KR101951806B1 (ko) 스윙 시뮬레이터 장치
KR101628812B1 (ko) 스키 시뮬레이터 안전 시스템 및 이의 운용방법
CN107320953B (zh) Vr座椅及vr座椅的调节方法
KR102060717B1 (ko) 가상현실 시스템
CN116322918A (zh) 用以促进乘坐交通工具的顾客控制的系统和方法
KR101364594B1 (ko) 사용자의 움직임과 모션 플랫폼 사이의 양방향 상호 작용을 기반으로 한 실감형 스노보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2328405B1 (ko) 날으는 체감이 증대된 4d vr시뮬레이터
US11036283B2 (en) Navigation controller
US20090143197A1 (en) Dual-shaft hinge module for interactive training apparatus
KR102145333B1 (ko) 자유낙하 훈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훈련 방법
CN206639425U (zh) 机动床
JPH0756072Y2 (ja) 映像体験シュミレーション遊戯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