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972B1 -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 - Google Patents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972B1
KR101950972B1 KR1020160078713A KR20160078713A KR101950972B1 KR 101950972 B1 KR101950972 B1 KR 101950972B1 KR 1020160078713 A KR1020160078713 A KR 1020160078713A KR 20160078713 A KR20160078713 A KR 20160078713A KR 101950972 B1 KR101950972 B1 KR 1019509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ing
opening
bread
closing member
molding d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78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0565A (ko
Inventor
고봉선
Original Assignee
고봉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봉선 filed Critical 고봉선
Priority to KR1020160078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0972B1/ko
Publication of KR20180000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0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9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9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11/00Other machines for forming the dough into its final shape before cooking or baking
    • A21C11/02Embossing machines
    • A21C11/08Embossing machines with engraved moulds, e.g. rotary machines with die roll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CMACHINES OR EQUIPMENT FOR MAKING OR PROCESSING DOUGHS; HANDLING BAKED ARTICLES MADE FROM DOUGH
    • A21C3/0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 A21C3/10Machines or apparatus for shaping batches of dough before subdivision combined with dough-divid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21BAKING; EDIBLE DOUGHS
    • A21DTREATMENT, e.g. PRESERVATION, OF FLOUR OR DOUGH, e.g. BY ADDITION OF MATERIALS; BAKING; BAKERY PRODUCTS; PRESERVATION THEREOF
    • A21D13/00Finished or partly finished bakery products
    • A21D13/30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 A21D13/31Filled, to be filled or stuffed products filled before bak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23P20/25Filling or stuffing cored food pieces, e.g. combined with coring or making caviti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nufacturing And Processing Devices For Doug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빵 제조용 성형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면에 뿔소라 또는 보말 중 1/2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 1성형홈을 구비하는 제 1성형틀; 상기 제 1성형틀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1성형홈과 마주보는 면에 제 1성형홈의 나머지 반에 해당하는 뿔소라 또는 보말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 2성형홈이 형성되는 제 2성형틀; 상기 제 1성형틀 및 제 2성형틀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 1성형홈 및 제 2성형홈과 연통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다양한 형상을 갖는 빵의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빵이 구워진 후 성형돌기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여 빵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Molding frame for manufacturing Murex elongatus shaped bread}
본 발명은 빵 제조용 성형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뿔소라 또는 보말 형태의 빵을 제조하도록 구성되는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에 관한 것이다.
종래 어패류를 형상화한 빵류의 제품으로는 붕어빵, 잉어빵 등이 있으며, 이러한 붕어빵 및 잉어빵은 각 형상의 성형틀에 밀가루 등으로 만든 반죽과 단팥을 넣고 구워서 만든 것으로서, 이들 붕어빵이나 잉어빵은 물고기형상으로 그 형상이 대동소이한 관계로 시각적인 차별화가 이뤄지지 못하므로 소비자들의 관심을 유발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었다.
또한, 붕어빵 등을 포함하는 각종 빵에는 그 식감을 좋게 하기 위하여 빵의 내부와 연결되는 공간을 성형하고 형성된 공간에 각종 소를 첨가하기도 하는데, 종래의 경우 상기와 같이 빵의 내부와 연결되는 공간을 성형하기 위해 틀 내부에 속금형이 배치되나, 반죽이 속금형을 감싸게 되면서 구워진 빵을 속금형에서 분리하는 과정에서 빵이 손상되기 쉬워 그 상품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대한민국특허등록 제10-0849598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발명된 것으로, 뿔소라와 보말을 형상화시킨 빵을 제조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성을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욕구를 충족시킬 수 있으며, 아울러 각종 빵의 속금형 작업시 구워진 빵에서 속금형이 원활하게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은 일측면에 뿔소라 또는 보말 중 1/2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 1성형홈을 구비하는 제 1성형틀; 상기 제 1성형틀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1성형홈과 마주보는 면에 제 1성형홈의 나머지 반에 해당하는 뿔소라 또는 보말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 2성형홈이 형성되는 제 2성형틀; 상기 제 1성형틀 및 제 2성형틀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 1성형홈 및 제 2성형홈과 연통하는 주입구;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제 1성형틀 및 제 2성형틀의 각 상면은 선단부가 후단측보다 낮은 경사상면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은 상기 경사상면과 대응된 경사를 갖는 경사하면이 형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제 1성형틀 또는 제 2성형틀 중 하나와 힌지결합 시키는 힌지부가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일례로써, 상기 개폐부재의 경사하면에는 상기 주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 1성형홈 및 제 2성형홈의 영역까지 인입되는 성형돌기가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성형돌기는 굽은 원통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성형돌기 일단의 중심과 타단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은 상기 힌지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인 것이 특징이다.
다른 예로써,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주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 1성형홈 및 제 2성형홈의 영역까지 인입되는 성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성형돌기는 나선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경사상면에는 그 내주연에 상기 성형돌기의 나선 피치와 대응하는 제 1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제 1나사산에 대응하는 제 2나사산이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상면에는 'ㄱ'자 형태의 손잡이가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아울러. 상기 성형돌기는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과 나선의 직경이 좁아지는 것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은 제 1성형틀, 제 2성형틀, 주입구 및 개폐부재의 구성에 의해 다양한 형상을 갖는 빵의 제조가 가능하며, 또한 빵이 구워진 후 성형돌기의 원활한 배출이 가능하여 빵의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형틀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형틀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개폐부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개폐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형틀이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성형틀이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개폐부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3의 측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개폐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제 1성형틀(10), 제 2성형틀(20), 주입구(30) 및 개폐부재(4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하의 실시 예들 에서는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의 1개를 예로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에서는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을 모듈로 마련하여 1개 이상 내지 복수의 성형틀 모듈이 하나의 장치에 구성될 수도 있음은 당연한 바이다.
상기 제 1성형틀(10)은 그 일측면에 뿔소라 또는 보말 중 1/2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 1성형홈(12)을 구비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 2성형틀(20)은 상기 제 1성형홈(12)과 마주보는 면에 제 1성형홈(12)의 나머지 반에 해당하는 뿔소라 또는 보말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 2성형홈(22)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 1성형틀(10) 및 제 2성형틀(20)은 상호 힌지결합(15)되는 것으로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밀가루 등으로 만든 반죽을 상기 제 1성형홈(12) 및 제 2성영홈에 채운 상태로 구운 후, 제 1성형틀(10) 및 제 2성형틀(20)을 개방시켜 구워진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을 꺼낼 수 있게 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는 없으나 상기 제 1성형틀(10) 및 제 2성형틀(20)은 상호 힌지결합(15)된 대향측에 체결수단(미도시)을 마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체결수단으로는 종래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될 수 있는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뿔소라 또는 보말 형태의 성형홈을 예로 설명하나 본 발명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빵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아울러, 뿔소라빵과 보말빵의 차이로는 나선 구조로 된 외형은 동일하나 빵의 외면에 뿔이 성형될 경우 뿔소라빵이 되는 것이고 뿔이 없을 경우 보말빵 또는 소라빵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성형홈(12) 및 제 2성형홈(22)에는 뿔성형홈(16)의 유무는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음이 타당하다.
이어서, 상기 주입구(30)는 상기 제 1성형틀(10) 및 제 2성형틀(20)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 1성형홈(12) 및 제 2성형홈(22)과 연통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주입구(30)를 통해 밀가루 등으로 만든 반죽이 주입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도면에서는 상기 주입구(30)가 제 1성형틀(10)과 제 2성형틀(20)이 만나는 중간지점에 구성된 예로 설명하였으나 상기 주입구(30)가 제 1성형틀(10) 또는 제 2성형틀(20)에만 구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40)는 상기 주입구(30)를 개폐하도록 하여 빵이 구워지는 동안 제 1성형홈(12) 및 제 2성형홈(22) 내의 열이 외부로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열효율을 개선시키고, 반죽이 주입구(30)를 통해 넘치는 것을 방지하며, 아울러, 이물질이 제 1성형홈(12) 및 제 2성형홈(22) 내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성형틀(10) 및 제 2성형틀(20)의 각 상면은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결합(15)부위를 후단부라 정의할 때 선단부가 후단부보다 낮은 경사상면(14,24)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또한 상기 개폐부재(40)의 하면은 상기 경사상면(14,24)과 대응된 경사도를 갖는 경사하면(44)이 형성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본래 뿔소라 및 보말껍질은 일측에서 타측으로 넓어지는 나선구조로 이뤄지고 뿔소라 및 보말껍질의 입구는 넓어지는 나선 끝단에 위치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이 제 1성형틀(10) 및 제 2성형틀(20)의 상면이 경사지도록 구성함으로써,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의 입구를 실제와 같게 보다 자연스럽게 성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개폐부재(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부(46)에 의해 상기 제 1성형틀(10) 또는 제 2성형틀(20) 중 하나와 힌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40)에의 경사하면(44)에는 상기 주입구(30)를 통과하여 상기 제 1성형홈(12) 및 제 2성형홈(22)의 영역까지 인입되는 성형돌기(42)가 더 구성될 수 있는 바, 상기 성형돌기(42)가 제 1성형홈(12) 및 제 2성형홈(22)에 인입된 상태로 빵이 구워지게 되면 뿔소라빵 및 보말빵에는 입구(도면부호 미도시)가 성형되고 입구로부터 빵의 내측까지 연통하는 공간부(도면부호 미도시)가 성형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간부가 성형됨으로써 뿔소라빵 및 보말빨이 구워진 이후, 공간부에 초코크림, 팥 등으로 제조되는 다양한 소를 첨가할 수 있게 되므로 시각적으로 식욕을 돋울 수 있게 되고 실제 식감을 개선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성형돌기(42)의 구조를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성형돌기(42)는 굽은 원통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성형돌기(42) 일단의 중심과 타단의 중심을 연결하는 중심선은 상기 힌지부(46)를 중심으로 하는 원호로 구성함으로써 힌지부(46)를 중심으로 회동하는 개폐부재(40)의 개방시 성형돌기(42)의 회전반경에 뿔소라빵 및 보말빵이 간섭되지 않아 입입된 성형돌기(42)가 고형화된 빵에서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개폐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40')는 상기 실시 예에서도 언급하였던 바와 같이 상기 주입구(30)를 통과하여 상기 제 1성형홈(12) 및 제 2성형홈(22)의 영역까지 인입되는 성형돌기(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성형돌기(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경사상면(14,24)에는 그 내주연에 상기 성형돌기(42')의 나선 피치와 대응하는 제 1나사산(48a)이 형성되는 체결구(48)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40')의 측면에는 개폐부재(40')가 상기 제 1나사산(48a)에 체결될 수 있도록 제 1나사산(48a)에 대응하는 제 2나사산(40'a)을 형성시킴으로써 상기 성형돌기(42')의 나선 피치에 대응하는 제 1나사산(48a) 및 제 2나사산(40'a)의 구조에 의해 나선을 따라 상기 개폐부재(40')가 상기 체결구(48)에 회전하면서 체결 및 분리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해 개폐부재(40')의 분리 시, 개폐부재(4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성형돌기(42')가 분리될 수 있게 되는 데, 이때 상기 개폐부재(40')의 제 2나사산(40'a)은 상기 성형돌기(42')의 나선 피치에 대응되므로 성형돌기(42')가 분리되는 과정에서 고형화된 빵과의 간섭을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성형돌기(42')는 도시된 바와 같이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과 나선의 직경이 좁아지도록 구성하여 상기한 바의 목적을 보다 용이하게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개폐부재(40')의 성형돌기(42')를 나선형태로 구성함으로써, 성형돌기(42')에 의해 형성된 공간부(도면부호 미도시)에 첨가되는 초코크림, 팥 등으로 제조되는 다양한 소가 마치 껍질 내부의 뿔소라 또는 보말의 살 부분이 연상될 수 있어 시각적인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의 내부에 깊게 소가 채워질 수 있어 빵의 식감을 개선시키는 장점을 갖게 된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40')의 상면에는 'ㄱ'자 형태의 손잡이(49)를 더 구성할 수 있는바, 사용자는 상기 손잡이(49)의 구성에 의해 적은 힘으로로 상기 개폐부재(40')를 보다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 : 제 1성형틀 12 : 제 1성형홈
20 : 제 2성형틀 22 : 제 2성형홈
30 : 주입구 40 : 개폐부재

Claims (7)

  1. 일측면에 뿔소라 또는 보말 중 1/2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 1성형홈을 구비하는 제 1성형틀; 상기 제 1성형틀과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 1성형홈과 마주보는 면에 제 1성형홈의 나머지 반에 해당하는 뿔소라 또는 보말 형상이 음각으로 형성되는 제 2성형홈이 형성되는 제 2성형틀; 상기 제 1성형틀 및 제 2성형틀이 결합된 상태에서 상면이 개구되어 상기 제 1성형홈 및 제 2성형홈과 연통하는 주입구; 및 상기 주입구를 개폐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성형틀 및 제 2성형틀의 각 상면은 선단부가 후단측보다 낮은 경사상면이 형성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하면은 상기 경사상면과 대응된 경사를 갖는 경사하면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는 상기 주입구를 통과하여 상기 제 1성형홈 및 제 2성형홈의 영역까지 인입되는 성형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성형돌기는 나선 형태를 취하도록 구성되되, 상기 경사상면에는 그 내주연에 상기 성형돌기의 나선 피치와 대응하는 제 1나사산이 형성된 체결구가 구성되고, 상기 개폐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제 1나사산에 대응하는 제 2나사산이 마련되며, 상기 개폐부재의 상면에는 상기 개폐부재를 회전시키는 'ㄱ'자 형태의 손잡이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돌기는 끝단으로 갈수록 그 폭과 나선의 직경이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







KR1020160078713A 2016-06-23 2016-06-23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 KR1019509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13A KR101950972B1 (ko) 2016-06-23 2016-06-23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78713A KR101950972B1 (ko) 2016-06-23 2016-06-23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65A KR20180000565A (ko) 2018-01-03
KR101950972B1 true KR101950972B1 (ko) 2019-02-21

Family

ID=61002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78713A KR101950972B1 (ko) 2016-06-23 2016-06-23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097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704B2 (ja) 1996-05-31 2001-06-25 株式会社タカラ 複数の作動部を有する玩具
KR200360885Y1 (ko) 2004-06-15 2004-09-07 최준식 반죽 투입구가 형성된 만두 성형틀
KR101570020B1 (ko) * 2015-02-11 2015-11-27 최진연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9598B1 (ko) 2007-04-27 2008-07-31 한상회 붕어빵
KR200468187Y1 (ko) * 2011-11-08 2013-07-29 김영구 콘 과자의 제조장치
JP3178704U (ja) * 2012-07-13 2012-09-27 有限会社二鶴堂 鯛焼き皮焼き装置
KR20150129524A (ko) * 2014-05-12 2015-11-20 주식회사 스마일에프씨 첨가물을 포함하는 붕어빵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8704B2 (ja) 1996-05-31 2001-06-25 株式会社タカラ 複数の作動部を有する玩具
KR200360885Y1 (ko) 2004-06-15 2004-09-07 최준식 반죽 투입구가 형성된 만두 성형틀
KR101570020B1 (ko) * 2015-02-11 2015-11-27 최진연 빵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빵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0565A (ko) 201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14695C2 (ru) Регулируемая форма для формования пищевых продуктов
US10357053B2 (en) Apparatus for preparing a moulded food product
KR100989672B1 (ko) 나선구조 국수 제조기
US7481645B2 (en) Method for use in baking articles of manufacture and mold for use in said method
JPH07231751A (ja) 円筒中空状スナック製造用の型ノズル装置
KR101950972B1 (ko) 뿔소라빵 또는 보말빵 제조용 성형틀
GB2274573A (en) Cooked article configuration
EP3695730B1 (en) Chocolate product having visible edible non-chocolate inclusions and method for obtaining it
US4792299A (en) Biscuit cutter and cooperative mold
US20090068923A1 (en) Color toy having clear color boundary
KR101924001B1 (ko) 견과류 코팅장치
JP2879544B2 (ja) 食材押出し装置
JPS63276472A (ja) エビ型加工食品製造装置
KR200487294Y1 (ko) 파운드 케이크용 성형 몰드
KR200236172Y1 (ko) 나선형 떡볶이용 떡의 제조장치
JP3970913B1 (ja) 口金及び食品材料製造用のデポジッター
KR101187430B1 (ko) 스틱형 과자 정렬 장치
KR101924004B1 (ko) 견과류 코팅장치
JPS5933272Y2 (ja) エビ様食品の製造装置
JP6468760B2 (ja) 成形型及び食品の製造方法
WO1996029883A1 (fr) Procede de fabrication et fourrages preformes a introduire dans la cavite d'une confiserie ou patisserie
KR20150138739A (ko) 과자 제조장치
JP2008048698A (ja) 麩焼き品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装置
JP2749127B2 (ja) メッシュ部材成形金型
JPS6227787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