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0626B1 - 역치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역치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0626B1
KR101950626B1 KR1020177015529A KR20177015529A KR101950626B1 KR 101950626 B1 KR101950626 B1 KR 101950626B1 KR 1020177015529 A KR1020177015529 A KR 1020177015529A KR 20177015529 A KR20177015529 A KR 20177015529A KR 101950626 B1 KR101950626 B1 KR 1019506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temperature
ambient temperature
reporting
reporting thresh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55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3588A (ko
Inventor
구오솅 리
쿤 양
종솅 지앙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700835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35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06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062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04M1/72527
    • H04M1/7257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 스크린 분야에 속하는 역치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는 단계; 및 조회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보고 역치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동작이 복잡하고, 보고 역치에 대한 옵션이 적으며, 장갑 두께에 대한 적응성이 제한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를 주변의 온도 범위에 따라 타당한 값으로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의 동작을 감소시키며 장갑의 두께에 광범위하게 적응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Description

역치 설정 방법 및 장치{THRESHOLD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본 출원은, 2015년 8월 31일에 중화인민공화국의 국가지식산권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출원 제 CN201510549404.0호를 기초로 하여 이것을 우선권으로 청구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인용된다.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터치 스크린 분야에 관한 것이며, 더욱 구체적으로는 역치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터치 스크린 및 터치 ID(집적 회로)가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된다.
트리거 신호가,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터치 스크린을 터치하여 생성될 때, 터치 IC는 트리거 신호의 신호 세기가 보고 역치에 도달하는지를 검출할 수 있다. 트리거 신호의 신호 세기가 보고 역치에 도달한다면, 터치 IC는 터치 트리거 이벤트를 프로세서에 보고한다. 보고 역치는 터치 스크린의 감도일 수 있다. 감도가 너무 낮다면, 터치 스크린은 느리게 응답한다. 감도가 너무 높다면, 오작동을 야기할 수 있다.
그러나 겨울에, 장갑을 낀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을 사용할 때, 보고 역치는 리셋되어야 한다. 관련 기술에서, 장갑 모드 옵션을 제공하며, 3개의 옵션, 즉 얇음, 중간 및 두꺼움이 있다. 각 옵션은 보고 역치에 대응한다. 사용자가 수동으로 설정함으로써, 보고 역치는 타당한 값이 될 수 있다.
본 개시는, 다음의 기술적 해법을 포함하는, 역치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상에 따르면, 역치 설정 방법으로서,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는 단계; 및
조회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치 설정 방법을 제공한다.
대안적인 구현으로서,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는 단계는,
주위 온도가 속하는 온도 범위를 조회하는 단계; 및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로부터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는 단계 -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범위와 보고 역치 사이의 대응관계임 - 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구현으로서,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된 온도 센서에 의해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포지션을 획득하여, 지리적 포지션에 대응하는 온도를 주위 온도로서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구현으로서, 조회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는 단계는,
보고 역치가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조회된다면 프로세서에 의해 설정 명령을 터치 집적 회로에 전송하는 단계 - 설정 명령은, 조회된 보고 역치를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할 것을 터치 집적 회로에게 명령하도록 구성됨 - ; 또는
보고 역치가 터치 집적 회로에 의해 조회된다면 조회된 보고 역치를 터치 집적 회로에 의해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구현으로서, 이 방법은,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된다면,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 양상에 따르면, 역치 설정 장치로서,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조회 모듈; 및
조회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모듈을 포함하는 역치 설정 장치를 제공한다.
대안적인 구현으로서, 조회 모듈은,
주위 온도가 속하는 온도 범위를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온도 조회 서브모듈; 및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로부터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보고 역치 조회 서브모듈 -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범위와 보고 역치 사이의 대응관계임 - 를 포함한다.
대안적인 구현으로서, 획득 모듈은 제1 온도 획득 서브모듈을 포함하거나 지리적 포지션 획득 서브모듈과 제2 온도 획득 서브모듈을 포함하며;
제1 온도 획득 서브모듈은,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된 온도 센서에 의해 주위 온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지리적 포지션 획득 서브모듈은,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포지션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제2 온도 획득 서브모듈은, 지리적 포지션에 대응하는 온도를 주위 온도로서 서버로부터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인 구현으로서, 설정 모듈은, 보고 역치가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조회된다면 프로세서에 의해 설정 명령을 터치 집적 회로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 설정 명령은, 조회된 보고 역치를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할 것을 터치 집적 회로에게 명령하도록 구성됨 - ;
설정 모듈은, 보고 역치가 터치 집적 회로에 의해 조회된다면 조회된 보고 역치를 터치 집적 회로에 의해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인 구현으로서, 이 장치는,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하며;
획득 모듈은 또한,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된다면,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 양상에 따르면, 역치 설정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프로세서는,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고;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며;
조회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역치 설정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적 해법은 다음의 유리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고,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며, 획득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함으로써, 보고 역치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동작이 복잡하고, 보고 역치에 대한 옵션이 적으며, 장갑 두께에 대한 적응성이 제한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를 주위 온도에 따라 타당한 값으로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동작을 감소시키며 장갑의 두께에 광범위하게 적응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앞선 일반적인 설명과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적이며 설명용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지는 않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병합되어 그 일부가 되는 수반하는 도면은 본 발명에 부합하는 실시예를 예시하며,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a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b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c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d는,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그 예가 수반하는 도면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예를 이제 상세하게 참조할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수반하는 도면을 참조하며, 이들 도면에서, 상이한 도면의 동일한 번호는 달리 표시하지 않는다면 동일한 또는 유사한 요소를 표시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한 다음의 설명에서 제시된 구현은 본 발명에 부합하는 모든 구현을 표시하지는 않는다. 대신, 이들 구현은, 수반하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에 관련된 양상에 부합하는 장치와 방법의 단지 예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제공된 역치 설정 방법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는 이동 전화, 패널 컴퓨터, 전자책 판독기, MP3(동화상 전문가 그룹 오디오 레이어 III) 재생기, MP4(동화상 전문가 그룹 오디오 레이어 IV) 재생기, 랩탑 휴대용 컴퓨터 및 데스크탑 컴퓨터 등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전자 디바이스는 온도 센서나 위치결정 구성요소가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치 설정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에서,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가 획득된다.
단계(102)에서,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가 조회된다.
단계(103)에서, 조회된 보고 역치가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된다.
결론적으로, 이 역치 설정 방법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고,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며, 획득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함으로써, 보고 역치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동작이 복잡하고, 역치에 대한 옵션이 적으며, 장갑 두께에 대한 적응성이 제한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를 주위 온도에 따라 타당한 값으로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동작을 감소시키며 장갑의 두께에 광범위하게 적응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2a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2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역치 설정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1)에서, 프로세서는 장갑 터치 모드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시작되는지를 검출한다.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되면, 단계(202)를 수행한다.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되지 않으면, 단계(203)를 수행한다.
용량성 터치 스크린 기술이 사람의 전류 유도에 의해 실현된다.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과 접촉할 때, 사람이 접지되므로, 결합 용량이 손가락과 용량성 터치 스크린 사이에 형성되며, 결합 용량은 접촉으로부터 일부 전류를 흡수할 수 있다. 접촉을 통해 흐르는 총 전류가 어떤 값(즉, 보고 역치)에 도달하면,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IC나 프로세서는, 각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세기와 비에 따라 접촉의 포지션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발생시킨 동작에 응답할 수 있다.
오동작을 회피하기 위해, 통상,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는 높은 값으로 설정된다. 보고 역치가 높으면, 동작에 대한 감도는 낮다. 장갑을 낀 사람이 겨울에 (이동 전화와 같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동작을 실행할 때, 장갑으로 인해,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며,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사이의 접촉 면적은 감소하여, 결합 용량의 정전용량은 작으며 접촉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신호는 약하다. 접촉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신호의 세기가 보고 역치 미만이라면, 터치 스크린은 장갑을 낀 사람이 발생시킨 동작에 응답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장갑 모드는 터치 스크린의 감도를 개선하기 위해 시작되어야 한다.
단계(201)는 선택적인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단계(202)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한다.
대안적으로,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202)는 단계(S202A)로 교체할 수 있다.
단계(202A)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된 온도 센서를 통해 주위 온도를 획득한다.
즉, 프로세서는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된 온도 센서를 통해 직접적으로 주위 온도를 획득한다.
대안적으로, 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202)는 하위 단계(202B 및 202C)로 교체할 수 있다.
단계(202B)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포지션을 획득한다.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포지션을 획득하는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된 글로벌 포지셔닝 시스템으로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포지션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2C)에서, 프로세서는 지리적 포지션에 대응하는 온도를 주위 온도로서 서버로부터 획득한다.
서버는, 기상 예보에 적용되는 백그라운드 서버와 같이 각 지역에서의 실시간 온도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단계(203)에서, 터치 스크린의 현재의 보고 역치가 유지된다.
단계(204)에서, 프로세서는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한다.
대안적으로, 도 2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단계(204)는 하위 단계(204A 및 204B)를 포함한다.
단계(204A)에서, 프로세서는 주위 온도가 속하는 온도 범위를 조회한다.
프로세서는, 획득한 주위 온도가 속하는 온도 범위를 조회하여, 온도 범위에 따라 현지인이 사용하는 장갑의 두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204B)에서, 프로세서는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로부터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한다.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범위와 보고 역치 사이의 대응관계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온도 범위와 역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미리 저장한다. 여러 온도 범위는 장갑의 여러 두께에 각각 대응하므로, 여러 온도 범위는 여러 보고 역치에 각각 대응한다. 각 보고 역치는, 일부 온도 범위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장갑의 두께에 따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도는 개발자가 미리 실험을 통해 실행할 수 있다.
대응관계는, 하나의 온도 범위가 보고 역치에 대응함을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많은 온도 범위는 하나의 보고 역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온도 범위와 보고 역치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온도 범위 보고 역치
-20℃ 내지 -11℃ A
-10℃ 내지 -1℃ B
0℃ 내지 10℃ C
11℃ 내지 20℃ D
단계(205)에서, 프로세서는 설정 명령을 터치 IC에 전송하며, 설정 명령은 조회된 보고 역치를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할 것을 터치 IC에게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현재의 온도가 2℃라면, 프로세서는 보고 역치(C)를 조회하며, 설정 명령을 터치 IC에 전송하고, 설명 명령은 현재의 보고 역치를 보고 역치(C)로서 설정할 것을 터치 IC에게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결론적으로, 이 역치 설정 방법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고,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며, 획득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함으로써, 보고 역치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동작이 복잡하고, 역치에 대한 옵션이 적으며, 장갑 두께에 대한 적응성이 제한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를 주위 온도에 따라 타당한 값으로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동작을 감소시키며 장갑의 두께에 광범위하게 적응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3은 또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방법을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방법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1)에서, 프로세서는 장갑 터치 모드가 전자 디바이스에 의해 시작되는지를 검출한다.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되면, 단계(302)를 수행한다.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되지 않으면, 단계(303)를 수행한다.
용량성 터치 스크린 기술이 사람의 전류 유도에 의해 실현된다. 손가락이 터치 스크린과 접촉할 때, 사람이 접지되므로, 결합 용량이 손가락과 용량성 터치 스크린 사이에 형성되며, 결합 용량은 접촉으로부터 일부 전류를 흡수할 수 있다. 접촉을 통해 흐르는 총 전류가 어떤 값(즉, 보고 역치)에 도달하면,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IC나 프로세서는, 각 전극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세기와 비에 따라 접촉의 포지션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으며, 손가락이 발생시킨 동작에 응답할 수 있다.
오동작을 회피하기 위해, 통상,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는 높은 값으로 설정된다. 보고 역치가 높으면, 동작에 대한 감도는 낮다. 장갑을 낀 사람이 겨울에 (이동 전화와 같은) 터치 스크린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에서 동작을 실행할 때, 장갑으로 인해,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사이의 거리가 증가하며, 손가락과 터치 스크린 사이의 접촉 면적은 감소하여, 결합 용량의 정전용량은 작으며 접촉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신호는 약하다. 접촉을 통해 흐르는 전류의 신호의 세기가 보고 역치 미만이라면, 터치 스크린은 장갑을 낀 사람이 발생시킨 동작에 응답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장갑 모드는 터치 스크린의 감도를 개선하기 위해 시작되어야 한다.
단계(301)는 선택적인 것임을 주목해야 한다.
단계(302)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한다.
대안적으로, 단계(302)는 단계(302A)로 교체할 수 있다.
단계(302A)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된 온도 센서를 통해 주위 온도를 획득한다.
즉, 프로세서는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된 온도 센서를 통해 직접적으로 주위 온도를 획득한다.
대안적으로, 단계(302)는 하위 단계(302B 및 302C)로 교체할 수 있다.
단계(302B)에서, 프로세서는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포지션을 획득한다.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포지션을 획득하는 방법은,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된 GPS로 전자 디바이스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포지션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302C)에서, 프로세서는 지리적 포지션에 대응하는 온도를 주위 온도로서 서버로부터 획득한다.
서버는, 기상 예보에 적용되는 백그라운드 서버와 같이 각 지역에서의 실시간 온도를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한 후, 프로세서는 주위 온도를 터치 IC에 전송한다.
단계(303)에서, 터치 스크린의 현재의 보고 역치가 유지된다.
단계(304)에서, 터치 IC는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한다.
대안적으로, 단계(304)는 하위 단계(304A 및 304B)를 포함한다.
단계(304A)에서, 터치 IC는 주위 온도가 속하는 온도 범위를 조회한다.
터치 IC는, 획득한 주위 온도가 속하는 온도 범위를 조회하여, 온도 범위에 따라 현지인이 사용하는 장갑의 두께 범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304B)에서, 터치 IC는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로부터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한다.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범위와 보고 역치 사이의 대응관계일 수 있다.
터치 IC는 온도 범위와 역치 사이의 대응관계를 미리 저장한다. 여러 온도 범위는 장갑의 여러 두께에 각각 대응하므로, 여러 온도 범위는 여러 보고 역치에 각각 대응한다. 각 보고 역치는, 일부 온도 범위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장갑의 두께에 따라 유도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도는 개발자가 미리 실험을 통해 실행할 수 있다.
대응관계는, 하나의 온도 범위가 보고 역치에 대응함을 나타낼 수 있다. 대안적으로, 많은 온도 범위는 하나의 보고 역치에 대응할 수 있다. 온도 범위와 보고 역치 사이의 미리 저장된 대응관계는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온도 범위 보고 역치
-30℃ 내지 -11℃ A
-10℃ 내지 -1℃ B
0℃ 내지 10℃ C
11℃ 내지 30℃ D
단계(305)에서, 터치 IC는 조회된 보고 역치를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한다.
예컨대, 현재의 온도가 -1℃라면, 프로세서는 보고 역치(B)를 조회하며, 설정 명령을 터치 IC에 전송하고, 설명 명령은 현재의 보고 역치를 보고 역치(B)로서 설정할 것을 터치 IC에게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결론적으로, 이 역치 설정 방법을 통해,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고,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며, 획득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함으로써, 보고 역치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동작이 복잡하고, 역치에 대한 옵션이 적으며, 장갑 두께에 대한 적응성이 제한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를 주위 온도에 따라 타당한 값으로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동작을 감소시키며 장갑의 두께에 광범위하게 적응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음의 디바이스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실행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디바이스 실시예에 개시하지 않은 세부 내용의 경우, 본 발명의 방법 실시예를 참고하기 바란다.
도 4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역치 설정 장치는 획득 모듈(401), 조회 모듈(402) 및 설정 모듈(403)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획득 모듈(401)은,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조회 모듈(402)은,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도록 구성된다.
설정 모듈(403)은, 조회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결론적으로, 이 역치 설정 장치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고,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며, 획득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함으로써, 보고 역치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동작이 복잡하고, 역치에 대한 옵션이 적으며, 장갑 두께에 대한 적응성이 제한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를 주위 온도에 따라 타당한 값으로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동작을 감소시키며 장갑의 두께에 광범위하게 적응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도 5는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역치 설정 장치는 검출 모듈(501), 획득 모듈(502), 조회 모듈(503) 및 설정 모듈(504)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검출 모듈(501)은,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검출 모듈(501)은 선택적 모듈임을 주목해야 한다.
획득 모듈(502)은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획득 모듈(502)은 제1 온도 획득 서브모듈(502A)로 교체할 수 있다.
제1 온도 획득 서브모듈(502A)은,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된 온도 센서에 의해 주위 온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획득 모듈(502)은 지리적 포지션 획득 서브모듈(502B)과 제2 온도 획득 서브모듈(502C)로 교체할 수 있다.
지리적 포지션 획득 서브모듈(502B)은,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포지션을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제2 온도 획득 서브모듈(502C)은, 지리적 포지션에 대응하는 온도를 주위 온도로서 서버로부터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조회 모듈(503)은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회 모듈은 온도 조회 서브모듈(503A)과 역치 조회 서브-모듈(503B)을 포함한다.
온도 조회 서브모듈(503A)은 주위 온도가 속하는 온도 범위를 조회하도록 구성된다.
역치 조회 서브모듈(503B)은,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로부터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도록 구성되며, 여기서 이 대응관계는 적어도 하나의 온도 범위와 보고 역치 사이의 대응관계이다.
설정 모듈(504)은, 조회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으로, 설정 모듈(504)은, 보고 역치가 프로세서에 의해 조회된다면, 이동 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터치 IC에 설정 명령을 전송하도록 구성되며, 설정 명령은, 조회된 보고 역치를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할 것을 터치 IC에게 명령하도록 구성된다.
또는, 설정 모듈(504)은, 보고 역치가 터치 IC에 의해 조회된다면, 조회된 보고 역치를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결론적으로, 이 역치 설정 장치를 통해,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고,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며, 획득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함으로써, 보고 역치가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설정되어야 하며, 동작이 복잡하고, 역치에 대한 옵션이 적으며, 장갑 두께에 대한 적응성이 제한된다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이 해결되며,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를 주위 온도에 따라 타당한 값으로 자동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설정하는 동작을 감소시키며 장갑의 두께에 광범위하게 적응하는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의 장치에 관해, 그 개별 모듈에 대한 동작을 실행하기 위한 특정 방식은 방법에 관한 실시예에서 상세하게 기재하였으므로, 여기서는 자세하게 설명하지 않을 것이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역치 설정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예컨대, 이 디바이스(900)는 스마트폰, 패널 컴퓨터, 전자책 판독기, 개인 디지털 보조장치, 랩탑 휴대용 컴퓨터 등과 같이 용량성 터치 스크린을 갖는 전자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디바이스(900)는 다음의 구성요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 구성요소(902), 메모리(904), 전력 구성요소(906), 멀티미디어 구성요소(908), 오디오 구성요소(9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912), 센서 구성요소(914), 및 통신 구성요소(916).
처리 구성요소(902)는 통상 디스플레이, 전화 통화, 데이터 통신, 카메라 동작 및 기록 동작과 관련된 동작과 같은 디바이스(90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처리 구성요소(902)는 앞서 기재한 방법에서의 단계 모두나 일부를 실행하기 위한 명령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918)를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처리 구성요소(902)는, 처리 구성요소(902)와 다른 구성요소 사이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처리 구성요소(902)는 멀티미디어 구성요소(908)와 처리 구성요소(902) 사이의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하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904)는 디바이스(1200)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여러 타입의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그러한 데이터의 예는 디바이스(900) 상에서 동작하는 임의의 애플리케이션이나 메소드를 위한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번호 데이터, 메시지, 사진, 비디오 등을 포함한다. 메모리(904)는, 정적 랜덤 액세스 메모리(SRAM),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EPROM), 소거 가능한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프로그램 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PROM), 판독 전용 메모리(ROM), 자기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디스크와 같은 임의의 타입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 또는 이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전력 구성요소(906)는 디바이스(900)의 여러 구성요소에 전력을 제공한다. 전력 구성요소(906)는 전력 관리 시스템, 하나 이상의 전원, 및 디바이스(900) 내의 전력의 생성, 관리, 및 분배와 관련된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구성요소(908)는 디바이스(9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린이 터치 패널을 포함한다면, 스크린은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도록 터치 스크린으로서 구현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터치 패널 상의 터치, 스와이프, 및 몸짓을 감지하도록 하나 이상의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스와이프 행위의 경계를 감지할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스와이프 행위와 관련된 시간기간과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멀티미디어 구성요소(908)는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전방 카메라 및 후방 카메라는, 디바이스(900)가 사진촬영 모드나 비디오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에 있는 동안, 외부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 각각은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일 수 있거나 초점 및 광학 줌 성능을 가질 수 있다.
오디오 구성요소(9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예컨대, 오디오 구성요소(910)는, 디바이스(900)가 통화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와 같은 동작 모드에 있을 때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마이크("MIC")를 포함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또한 메모리(904)에 저장될 수 있거나 통신 구성요소(916)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구성요소(910)는 또한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를 포함한다.
I/O 인터페이스(912)는,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과 같이,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과 처리 구성요소(902)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버튼은 홈 버튼, 볼륨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센서 구성요소(914)는 디바이스(900)의 여러 구성의 상태 평가를 제공하도록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한다. 예컨대, 센서 구성요소(914)는 디바이스(900)의 개방/폐쇄 상태와, 디바이스(900)의 예컨대 디스플레이와 키패드와 같은 구성요소의 상대적인 위치지정, 디바이스(900)나 디바이스(900)의 구성요소의 위치 변화, 디바이스(900)와의 사용자 접촉의 존재나 부재, 디바이스(900)의 방향 또는 가속/감속, 및 디바이스(900)의 온도 변화를 검출할 수 도 있다. 센서 구성요소(914)는, 임의의 물리적인 접촉 없이도 인근의 물체의 존재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근접성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 구성요소(914)는, 이미징 애플리케이션에 사용하기 위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와 같은 광센서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센서 구성요소(914)는 또한 가속기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구성요소(916)는 디바이스(900)와 기타 디바이스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디바이스(900)는 WiFi, 2G 또는 3G나 이들의 조합과 같은 통신 표준을 기초로 하여 무선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구성요소(916)는 방송 채널을 통해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방송 신호나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일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통신 구성요소(916)는 또한 단거리 통신을 용이하게 하도록 근거리 통신(NFC) 모듈을 포함한다. 예컨대, NFC 모듈은, 무선 주파수 식별(RFID) 기술, 적외선 데이터 관련(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을 기초로 하여 구현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디바이스(900)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회로(ASICs),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s), 디지털 신호 처리 디바이스(DSPDs), 프로그램 가능 로직 디바이스(PLDs),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s),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구성요소로 구현할 수 있어서 상기 설명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904)와 같은 비일시적,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가 또한 제공되며, 이러한 명령은, 디바이스(900) 내의 프로세서(918)에 의해 수행 가능하여 앞서 설명한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예컨대, 비일시적,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학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는, 디바이스(900)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때, 디바이스(900)가 역치 설정 방법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을 저장한다.
프로세서(920)는,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고;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며; 조회된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여기 개시한 본 발명의 명세서 및 실행을 고려하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출원서는, 그 일반 원리를 따르며 기술 분야의 알려지거나 관례적인 실행 내에 있는 본 발명으로부터의 그러한 이탈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임의의 변경, 사용 또는 적응을 포함하고자 한다. 다음의 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내고 있는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사상에 의해 명세서 및 예는 오직 예시적으로 고려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하였으며 수반하는 도면에 예시한 바로 그 구조로 제한되지 않으며, 그 범위에서 이탈하지 않고 여러 수정과 변화를 이룰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수반하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제한되고자 한다.

Claims (11)

  1. 역치 설정 방법으로서,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는 단계; 및
    조회된 상기 보고 역치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는 단계는,
    상기 주위 온도가 속하는 온도 범위를 조회하는 단계; 및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로부터 상기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는 단계 - 상기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는 복수의 온도 범위들과 보고 역치들 사이의 대응관계이며, 상기 온도 범위들은 끼워질 장갑들의 여러 두께들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보고 역치들은 상기 온도 범위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장갑의 두께에 따라 유도됨 - 를 포함하는, 역치 설정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된 온도 센서에 의해 상기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포지션을 획득하여, 상기 지리적 포지션에 대응하는 온도를 상기 주위 온도로서 서버로부터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치 설정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조회된 상기 보고 역치를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보고 역치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조회된다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설정 명령을 터치 집적 회로에 전송하는 단계 - 상기 설정 명령은, 조회된 상기 보고 역치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할 것을 상기 터치 집적 회로에게 명령하도록 구성됨 - ; 또는
    상기 보고 역치가 상기 터치 집적 회로에 의해 조회된다면 조회된 상기 보고 역치를 상기 터치 집적 회로에 의해 상기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역치 설정 방법.
  5. 청구항 1, 청구항 3 및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되는지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된다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실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역치 설정 방법.
  6. 역치 설정 장치로서,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상기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조회 모듈; 및
    조회된 상기 보고 역치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조회 모듈은,
    상기 주위 온도가 속하는 온도 범위를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온도 조회 서브모듈; 및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로부터 상기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도록 구성되는 보고 역치 조회 서브모듈 - 상기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는 복수의 온도 범위들과 보고 역치들 사이의 대응관계이며, 상기 온도 범위들은 끼워질 장갑들의 여러 두께들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보고 역치들은 상기 온도 범위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장갑의 두께에 따라 유도됨 - 를 포함하는, 역치 설정 장치.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제1 온도 획득 서브모듈을 포함하거나 지리적 포지션 획득 서브모듈과 제2 온도 획득 서브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온도 획득 서브모듈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에 배치된 온도 센서에 의해 상기 주위 온도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리적 포지션 획득 서브모듈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지리적 포지션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제2 온도 획득 서브모듈은, 상기 지리적 포지션에 대응하는 온도를 상기 주위 온도로서 서버로부터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역치 설정 장치.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보고 역치가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프로세서에 의해 조회된다면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설정 명령을 터치 집적 회로에 전송하도록 구성되거나 - 상기 설정 명령은, 조회된 상기 보고 역치를 상기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할 것을 상기 터치 집적 회로에게 명령하도록 구성됨 - ;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보고 역치가 상기 터치 집적 회로에 의해 조회된다면 조회된 상기 보고 역치를 상기 터치 집적 회로에 의해 상기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역치 설정 장치.
  10. 청구항 6, 청구항 8 및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되는지를 검출하도록 구성되는 검출 모듈을 더 포함하며;
    상기 획득 모듈은 또한, 상기 장갑 터치 모드가 시작된다면,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는 단계를 실행하도록 구성되는, 역치 설정 장치.
  11. 역치 설정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를 포함하며,
    상기 프로세서는,
    전자 디바이스의 주위 온도를 획득하고;
    상기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며;
    조회된 상기 보고 역치를 상기 전자 디바이스의 터치 스크린의 보고 역치로서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주위 온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하는 것은:
    상기 주위 온도가 속하는 온도 범위를 조회하는 것; 및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로부터 상기 온도 범위에 대응하는 보고 역치를 조회 - 상기 미리 결정된 대응관계는 복수의 온도 범위들과 보고 역치들 사이의 대응관계이며, 상기 온도 범위들은 끼워질 장갑들의 여러 두께들에 각각 대응하고 상기 보고 역치들은 상기 온도 범위에서 사용자가 사용한 장갑의 두께에 따라 유도됨 - 하는 것을 포함하는, 역치 설정 디바이스.
KR1020177015529A 2015-08-31 2015-12-25 역치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19506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549404.0A CN106484199B (zh) 2015-08-31 2015-08-31 门限设置方法及装置
CN201510549404.0 2015-08-31
PCT/CN2015/099042 WO2017036022A1 (zh) 2015-08-31 2015-12-25 门限设置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3588A KR20170083588A (ko) 2017-07-18
KR101950626B1 true KR101950626B1 (ko) 2019-02-20

Family

ID=55524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5529A KR101950626B1 (ko) 2015-08-31 2015-12-25 역치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70060301A1 (ko)
EP (1) EP3136206B1 (ko)
JP (1) JP6431911B2 (ko)
KR (1) KR101950626B1 (ko)
CN (1) CN106484199B (ko)
MX (1) MX365134B (ko)
RU (1) RU2667046C2 (ko)
WO (1) WO2017036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7109666B3 (de) 2017-05-05 2018-07-19 Audi Ag Elektronisches Gerät eines Kraftfahrzeugselektronischen Gerätes
KR20190091126A (ko) * 2018-01-26 2019-08-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9144360B (zh) * 2018-05-31 2021-04-23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屏幕点亮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10162114B (zh) * 2019-05-07 2021-05-11 九阳股份有限公司 食品加工装置的器具内温度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20210041785A (ko) * 2019-10-08 2021-04-16 삼성전자주식회사 키 구조, 키 입력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전자 장치
CN111240517B (zh) * 2020-01-09 2023-02-28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触摸显示屏的调节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CN111338508B (zh) * 2020-02-20 2023-02-28 Oppo(重庆)智能科技有限公司 触摸屏的报点方法、终端及存储介质
CN115103290B (zh) * 2022-07-15 2022-11-22 龙旗电子(惠州)有限公司 耳机测试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820A (ja) 2002-06-19 2004-01-22 Seiko Epson Corp 画像・触覚情報入力装置、画像・触覚情報入力方法および画像・触覚情報入力プログラム
JP2012146184A (ja) 2011-01-13 2012-08-02 Casio Comput Co Ltd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20313767A1 (en) * 2011-06-07 2012-12-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ouch sensor having a selectable sensitivity level and method of selecting a sensitivity level of a touch sensor
JP2014182700A (ja) 2013-03-21 2014-09-29 Casio Comput Co Ltd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電子機器、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制御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27034A (ja) * 2005-07-21 2007-02-01 Calsonic Kansei Corp 静電容量式タッチスイッチ
JP4508248B2 (ja) * 2008-03-03 2010-07-21 ソニー株式会社 入力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1012305B1 (ko) * 2008-04-22 2011-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입력장치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KR20100042756A (ko) * 2008-10-17 2010-04-27 주식회사 케이티테크 이동통신 단말기의 센서를 이용한 터치입력 오차 보정 방법및 이를 수행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US8275412B2 (en) * 2008-12-31 2012-09-25 Motorola Mobility Llc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directional proximity sensors based on device orientation
US8751056B2 (en) * 2010-05-25 2014-06-10 Motorola Mobility Llc User computer device with temperature sensing capabilities and method of operating same
JP2012133729A (ja) * 2010-12-24 2012-07-12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02929419B (zh) * 2011-08-10 2016-05-11 深圳市顶星数码网络技术有限公司 一种触摸屏的自动校准方法、系统及自动校准触摸屏设备
US9127597B2 (en) * 2011-09-23 2015-09-08 The Boeing Company Sensor system
CN103294233A (zh) * 2012-02-27 2013-09-11 富泰华工业(深圳)有限公司 触摸屏和具有该触摸屏的触摸显示装置
CN103294243A (zh) * 2012-03-05 2013-09-1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触摸感应单元的环境参数调节方法及其相关设备
US20130293506A1 (en) * 2012-05-01 2013-11-07 Denso International America, Inc. Capacitive Switch Automatic Adjustment
US9778742B2 (en) * 2012-06-12 2017-10-03 Parade Technologies, Ltd. Glove touch detection for touch devices
US9678605B2 (en) * 2012-06-28 2017-06-13 Synaptics Incorporated Systems and methods for switching sensing regimes for gloved and ungloved user input
CN102799331B (zh) * 2012-08-14 2015-11-18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参数设置装置、参数设置方法和触摸式显示装置
JP6060783B2 (ja) * 2013-04-08 2017-01-18 富士通株式会社 補正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補正処理方法
CN103414488B (zh) * 2013-07-17 2016-05-2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移动设备天线的控制方法、装置和设备
US20150035759A1 (en) * 2013-08-02 2015-02-05 Qeexo, Co. Capture of Vibro-Acoustic Data Used to Determine Touch Types
US10025329B2 (en) * 2013-08-21 2018-07-17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operation based on ambient temperature
US9791959B2 (en) * 2014-01-07 2017-10-17 Qualcomm Incorporated System and method for host-augmented touch processing
US9619080B2 (en) * 2014-01-23 2017-04-11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JP2015194948A (ja) * 2014-03-31 2015-11-05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入力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866140A (zh) * 2015-05-27 2015-08-2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屏幕校准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21820A (ja) 2002-06-19 2004-01-22 Seiko Epson Corp 画像・触覚情報入力装置、画像・触覚情報入力方法および画像・触覚情報入力プログラム
JP2012146184A (ja) 2011-01-13 2012-08-02 Casio Comput Co Ltd 端末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20313767A1 (en) * 2011-06-07 2012-12-13 Toyota Motor Engineering & Manufacturing North America, Inc. Touch sensor having a selectable sensitivity level and method of selecting a sensitivity level of a touch sensor
JP2014182700A (ja) 2013-03-21 2014-09-29 Casio Comput Co Ltd タッチパネル制御装置、電子機器、タッチパネル制御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制御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136206A1 (en) 2017-03-01
KR20170083588A (ko) 2017-07-18
US20170060301A1 (en) 2017-03-02
CN106484199A (zh) 2017-03-08
RU2667046C2 (ru) 2018-09-13
RU2017102536A3 (ko) 2018-07-26
CN106484199B (zh) 2019-08-06
EP3136206B1 (en) 2018-08-29
MX365134B (es) 2019-05-24
JP2017534087A (ja) 2017-11-16
JP6431911B2 (ja) 2018-11-28
RU2017102536A (ru) 2018-07-26
MX2017008482A (es) 2017-10-31
WO2017036022A1 (zh) 2017-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0626B1 (ko) 역치 설정 방법 및 장치
US10739854B2 (en) Terminal and touch response method and device
US1038039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ntrolling fingerprint authentication
RU2637900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ктивизации элемента
CN104991789B (zh) 应用程序开启方法和装置
US201700315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hooting function
US10824844B2 (en) Fingerprint acquisi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6484284B (zh) 切换单手模式的方法和装置
CN107402711B (zh) 音量调节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3995666A (zh) 一种设置工作模式的方法和装置
CN108769416B (zh) 熄屏显示方法、装置及非临时性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6033397A (zh) 内存缓冲区调整方法、装置及终端
US10885298B2 (en) Method and device for optical fingerprint recognition,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CN104571709A (zh) 移动终端及虚拟按键的处理方法
CN110875769A (zh) 无线通信设备及天线切换方法
CN113138701A (zh) 图标位置互换方法及装置
CN110059547A (zh) 目标检测方法及装置
CN109215615B (zh) 显示单元工作参数补偿方法及装置
CN105677215A (zh) 应用控制方法及装置
CN105630239A (zh) 操作检测方法及装置
CN105653186A (zh) 终端控制方法及装置
CN106126050B (zh) 菜单显示方法及装置
CN113010127A (zh) 显示切换方法及装置、移动终端、存储介质
CN114296587A (zh) 光标控制方法、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CN107515694B (zh) 终端控制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