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9791B1 -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 Google Patents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9791B1
KR101949791B1 KR1020180106788A KR20180106788A KR101949791B1 KR 101949791 B1 KR101949791 B1 KR 101949791B1 KR 1020180106788 A KR1020180106788 A KR 1020180106788A KR 20180106788 A KR20180106788 A KR 20180106788A KR 101949791 B1 KR101949791 B1 KR 101949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charge
air
fluid
centra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6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처례
Original Assignee
이처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처례 filed Critical 이처례
Priority to KR1020180106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9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9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9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22Pipe-line systems for waste water in building
    • E03C1/1222Arrangements of devices in domestic waste water pipe-line system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2001/1206Pipes with specific features for influencing flow characterist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부에서 유체가 유입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배출유로를 가지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의 외면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배관부와의 사이에 독립된 에어유로를 형성해 상기 배관부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배출부,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배관부 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의 중앙부에서 에어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앙배출부 및 상기 중앙배출부상에서 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배출부와 연통되며 상기 중앙배출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에어를 상기 에어배출부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Dual structure fluid ejection device}
본 발명은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 배관부상에 구비되어 유체와 에어의 이동경로를 분리하고, 유체의 배출 시 이동방향을 가이드하여 원활히 배출을 유도하는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욕실이나 싱크 등에서 오수를 원활히 배출하기 위해서는 배수구가 구비된다. 여기서 배구수를 통해 유체가 배출되는 경우 내부의 잔여 에어에 의해 빠른 배수가 이루어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배수구 내부에서 발생되는 악취 등이 역류하여 위생상으로도 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배수구에 별도의 덮개를 구비하거나, 일부만 개방하여 배수가 가능하도록 하는 형태의 기술들이 개발되었다.
또한, 그러나 이러한 방법들은 단순히 배수구의 역류나 악취만 방지할 뿐 빠르게 오수를 배출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배수구 내부의 잔여 공기에 의해 오수가 역류하거나 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배수 자체의 속도 역시 만족할만한 수준이 어려워 많은 양의 오수를 배출하는 경우 정체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특히, 싱크나 하수구뿐만 아니라, 공동건물이다 고층 빌딩의 경우 각 세대별로 배관이 연결되어 하나로 취합되며, 이와 같은 공동배관에서 배수가 원활히 되지 않는 경우 역류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고층 빌딩의 경우 많은 양의 물이 배관을 통해 하부로 배출되며, 여기서 다수의 세대가 동시에 물을 배출하거나 비가 많이 내리는 경우 배수에 많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배관부로 유체가 배출되는 경우 독립된 이중구조의 중앙배출부를 구비하여 내부의 잔여 에어를 따로 배출함으로써 유체와 에어의 간섭을 방지하여 원활히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는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부에서 유체가 유입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배출유로를 가지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의 외면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배관부와의 사이에 독립된 에어유로를 형성해 상기 배관부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배출부,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배관부 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의 중앙부에서 에어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앙배출부 및 상기 중앙배출부상에서 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배출부와 연통되며 상기 중앙배출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에어를 상기 에어배출부로 전달하는 연결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배출부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앙배출부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배출유로를 따라 배출되는 방향을 유도하는 복수 개의 유도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가이드는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가이드는 상기 유체가 상기 배출유로 내부에서 상기 중앙배출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로 이동하도록 복수 개 각각이 하부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가이드는 상기 배출유로 내부에서 상기 중앙배출부를 중심으로 나선형을 이루며 하부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유도가이드 내부에서 연통유로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배출부와 상기 에어배출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배출부는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부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어배출부는 챔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 구간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관부 상에서 이중관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를 통해 유체의 이동과 반대방향으로 에어를 배출시킴으로써 유체를 빠르게 배관부로 배출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배관부의 중앙에서 방사형으로 형성된 별도의 유도가이드를 구비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방향을 유도하여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
셋째, 배관부를 통해 배출되는 유체가 내부의 에어와 별도로 배출됨으로써 에어와 유체의 혼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넷째, 다층의 건물에서 각각의 세대에 독립적으로 구비됨으로써 건물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된 메인파이프 상에서의 배출을 원활히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도 1의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에서 상부의 배관부 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도 1의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에서 유체와 에어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도 1의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및
도 6은 도 1의 유체배출장치가 복수 개의 세대를 가진 다층 건물에 적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임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는 일반적인 물의 배수구 등에 설치되어 단순히 유체를 배출시키는 것이 아니라 별도로 내부의 에어가 배출되는 경로를 형성하여 유체의 빠른 배수를 유도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의 구성에 대해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의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에서 상부의 배관부 내에 위치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에서 유체와 에어가 이동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는 크게 배관부(100), 에어배출부(200), 중앙배출부(300) 및 연결부(400)를 포함한다.
상기 배관부(100)는 일반적인 배관과 유사하게 형성되며, 욕실이나 싱크 등의 하부에 매설되어 유체를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배관부(100)는 기 설정된 직경을 가지며 길게 형성되고 내부에 유체가 이동하는 배출유로(110)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배관부(100)는 일반적인 파이프 형태로 형성되어 유체를 배출한다.
한편, 상기 에어배출부(200)는 상기 배관부(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와 별도로 상기 배출유로(110) 내부에 위치한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에어배출부(200)는 상기 배관부(100)의 외면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배관부(100)와의 사이에 독립된 에어유로(210)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에어유로(210)를 통해 상기 배출유로(110) 내에 위치한 상기 에어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에어배출부(200)는 상기 배관부(100)의 둘레 중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부(100)와의 사이에 상기 에어유로(210)가 형성된다.
이때 상기 에어유로(210)는 상기 배출유로(110)와 독립적으로 구성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배출유로(110)를 통해 하부로 이동하는 경우 내부에 위치한 에어가 이동하여 상기 에어유로(210) 내부로 이동한다.
여기서, 상기 배출유로(110) 내부의 에어는 후술하는 상기 중앙배출부(300) 및 연결부(400)를 통해 상기 에어배출부(200)로 전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배출부(200)는 배관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부(100)의 둘레를 감싸며 이중관 형태로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다.
물론, 이와 달리 상기 에어배출부(200)는 챔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 구간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에어배출부(200)는 긴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으나, 일부 구간에 챔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유체배출장치의 설치 자체를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해 보다 용이한 위치에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에어배출부(200)가 상기 배관부(100)상에서 원하는 위치상에 챔버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능동적으로 에어의 배출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중앙배출부(300)는 상기 배출유로(11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유체가 배출되는 경우 이와 반대 방향으로 내부의 에어를 유입시켜 이동시키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중앙배출부(300)는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배관부(100) 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하부가 개방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배관부(100)의 중앙부에 위치하여 상기 배출유로(110) 내부의 에어를 하부에서 유입시켜 상부로 이동시킨다.
이때, 상기 중앙배출부(300)는 길게 배관형태로 하부가 개방된 형상을 가지며 균일한 내경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중앙배출부(300)는 길게 관 형태를 가지며 하측 끝단부가 개방되어 내부에서 공기가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중앙배출부(300)의 하측 끝단부는 직경이 증가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에어의 유입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중앙배출부(300)는 하측 끝단부에 별도의 개폐수단(미도시)이 구비되어 일방향으로만 에어가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개폐수단은 상기 중앙배출부(300) 내부로 에어가 유입되는 경우에만 개방되고 반대방향으로는 차단되는 원웨이밸브 형태로 형성되어 에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중앙배출부(300)상에 상기 개폐수단이 없어 에어가 역류하는 경우 상기 배출유로(110)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배출유로(110) 내부의 잔여 유체가 상부로 역류하거나 또는 내부의 악취가 역류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중앙배출부(300)의 하부에 별도의 개폐수단이 구비됨으로써 이와 같은 에어의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중앙배출부(300)가 구비됨으로써 상기 배출유로(110)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에어를 상부로 이동시키며 빠르게 유체를 하부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중앙배출부(300)와 상기 에어배출부(200)가 연통되도록 하여 에어를 외부로 배출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으로, 상기 중앙배출부(300)에서 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에어배출부(200)와 연통된다.
이때, 상기 연결부(400)는 내부에 연통유로가 형성되어 양측이 각각 상기 에어배출부(200)와 상기 중앙배출부(300)에 연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중앙배출부(300)로 유입된 에어는 상기 연결부(400)를 경유하여 상기 에어배출부(200)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중앙배출부(300)를 중심으로 하여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구비되며 각각이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연통유로를 가진다.
이에 따라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중앙배출부(300)와 상기 에어배출부(200)를 연통시키며 추가적으로 상기 중앙배출부(300)가 상기 배출유로(110) 내에서 고정된 위치에서 배치될 수 있도록 지지한다.
이때, 상기 연결부(400)는 상기 중앙배출부(300)의 둘레를 따라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됨으로써 상기 중앙배출부(300) 내부로 유입되는 에어를 고르게 분산하여 상기 에어배출부(200)로 전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는 상기 배관부(100), 상기 에어배출부(200), 상기 중앙배출부(300) 및 상기 연결부(400)를 포함하며, 상기 유체가 상기 배관부(100) 내부로 유입되는 경우 상기 배출유로(110) 내에 위치한 상기 에어는 상기 유체의 압력에 의해 상기 중앙배출부(300)로 이동하여 상기 에어배출부(200)로 배출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는 유체가 배출되는 배관부(100)상에서 이중관 형태로 형성되어 중앙부를 통해 유체의 이동과 반대방향으로 에어를 배출시킴으로써 상기 배출유로(110) 내부의 에어를 빠르게 제거해 상기 유체의 배출이 원활해 지도록 한다.
추가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는 상기 유체의 유동 방향을 가이드하는 별도의 유도가이드(5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도가이드(500)는 상기 중앙배출부(300)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110) 내부에서 상기 유체의 배출방향을 유도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가이드(500)는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격 배치되며, 이에 따라 상기 중앙배출부(300)를 중심으로 상기 유체의 흐름을 유도하여 회전하며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유도가이드(500)는 복수 개가 상기 중앙배출부(300)의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각각 하부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배치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유도가이드(500)는 일반적인 블레이드 형태로 형성되어 각각이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체가 상기 배출유로(110) 내부에서 상기 중앙배출부(300)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하부로 이동하도록 한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상기 유도가이드(500)는 기 설정된 폭을 가지며 하부방향으로 경사를 가진 형태로 상기 중앙배출부(300)상에서 돌출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투영 면적이 상기 배출유로(110)의 단면보다 작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유체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배출장치는 상기 유도가이드를 구비하여 배출되는 유체의 배출방향을 유도하여 안정적으로 배출할 수 잇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유도가이드(500)는 돌출된 끝단부가 상기 배관부(100)의 내면과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연결부(400)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가이드(500)는 내부에 상기 연통유로를 가지며 상기 연결부(400)와 일체로 구성된다. 여기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유도가이드(500)가 내부에 상기 연결부(400)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유도가이드(500)가 상기 중앙배출부(300)와 상기 에어배출부(200)에 각각 연결되고, 내부에 연통유로가 구비되어 상기 에어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도가이드(500)는 상기 유체의 방향을 유도하여 회전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연결부(400)를 통해 상기 중앙배출부(300)로 유입된 상기 에어를 상기 에어배출부(200)로 전달하는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유체 배출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배출유로(110) 내부로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상기 유도가이드(500)에 의해 회전하며 하부로 상기 유체가 배출되도록 한다. 이와 함께 상기 배출유로(110) 내부의 잔여 에어가 별도의 중앙배출부(300)를 통해 상기 유체와 독립적으로 이동하여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상기 유체와의 간섭을 방지해 원활한 유체의 배출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상기 배관부(100)통해 배출되는 상기 유체가 내부의 에어와 별도로 배출됨으로써 에어와 유체의 혼합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배출장치는 배출유로(110)를 통해 상기 유체가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하며 일반적으로 유체를 사용하는 모든 시설에 구비될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의 변형된 형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바와 유사하지만 상기 유도가이드(500)의 구성이 상이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가이드(500)는 상술한 바와 달리 복수 개가 아니라 하나로 구성되며 상기 중앙배출부(300)를 중심으로 나선형태를 이루며 하부로 연속하여 형성된다.
즉, 상기 유도가이드(500)는 스크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배출유로(110) 내부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유체의 흐름을 강제적으로 유도한다.
이때, 상기 유도가이드(500)의 돌출된 끝단부는 상기 배관부(100)의 내면과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연통유로가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400)와 일체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유도가이드(500)는 상기 유체의 배출 방향을 유도함과 동시에 상기 에어가 상기 에어배출부(200)로 이동할 수 있도록 연결시킨다.
여기서, 상기 유도가이드(5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선형으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상기 연통유로가 상기 중앙배출부(300)를 중심으로 방사형태로 배치되어 각각 독립적으로 상기 에어배출부(200)와 연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가 구성됨으로써 상기 배관부(100) 내부에 유체가 유입되는 경우 내부의 잔여 에어를 별도로 배출시킴으로써 유체와의 간섭을 방지해 원활히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가 다층 건물에 적용된 상태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도면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유체배출장치는 복수 개의 세대를 가진 다층 건물에 적용된 상태이다.
일반적으로 다층의 건물(10)은 각 층별로 배수시설이 별도로 구비되며 이들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배관부를 통해 배출된다. 여기서, 다층건물(10)에는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유체를 하나로 모아서 배출하는 형태로 상기 배관부가 구성되며, 상기 배관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상기 에어배출부(200), 상기 중앙배출부(300) 및 상기 연결부(400)가 각각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에어배출부(200)와 상기 중앙배출부(300) 및 상기 연결부(400)는 각각이 세트형태를 이루며 인접하게 배치되고, 이들이 상기 배관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다층 건물(10)의 경우 각각의 플로어에 상기 중앙배출부(300), 상기 에어배출부(200) 및 상기 연결부(400)가 구비되며, 복수 개로 이격 배치된다.
이에 따라, 각 세대에서 배출되는 상기 유체가 상기 배관부에서 집중되어 배출되는 경우 각각의 층에서 상기 중앙배출부(300)와 상기 연결부(400)를 통해 상기 배관부 내부에 잔류하던 상기 에어를 상기 에어배출부(200)로 전달할 수 잇다.
이때, 상기 에어배출부(2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전달되는 상기 에어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다층 건물(10)에서 상기 배관부가 상하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복수 개의 유체를 수집하여 배출하는 경우 각각의 분기점에 상기 중앙배출부(300)와 상기 연결부(400)를 구비함으로써 유체의 안정인 배출을 유도하고 역류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각 세대별로 본 발명에 따른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를 독립적으로 구비함과 동시에 다층 건물(10)의 상하로 배치된 상기 배관부 내에도 복수 개의 상기 중앙배출부(300), 상기 연결부(400) 및 상기 에어배출부(200)를 각각 구비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배관부
110: 배출유로
200: 에어배출부
210: 에어유로
300: 중앙배출부
400: 연결부
500: 유도가이드

Claims (9)

  1.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부에서 유체가 유입되어 하부로 이동하는 배출유로를 가지는 배관부;
    상기 배관부의 외면과 이격 배치되어 상기 배관부와의 사이에 독립된 에어유로를 형성해 상기 배관부 내부의 에어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배출부;
    기 설정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배관부 내에서 상하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배출유로의 중앙부에서 에어를 상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중앙배출부; 및
    상기 중앙배출부상에서 횡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되어 상기 에어배출부와 연통되며 상기 중앙배출부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는 에어를 상기 에어배출부로 전달하는 연결부; 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부는 복수 개로 구성되어 상기 중앙배출부의 둘레를 따라 방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배출부상에서 횡 방향을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유체가 상기 배출유로를 따라 배출되는 방향을 유도하는 복수 개의 유도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이드는,
    복수 개가 방사형으로 구성되어 상하방향을 따라 나선형으로 이격 배치되는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이드는,
    상기 유체가 상기 배출유로 내부에서 상기 중앙배출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하부로 이동하도록 복수 개 각각이 하부방향으로 경사를 가지며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이드는,
    상기 배출유로 내부에서 상기 중앙배출부를 중심으로 나선형을 이루며 하부로 연속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적어도 일부의 상기 유도가이드 내부에서 연통유로를 가지며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중앙배출부와 상기 에어배출부가 연통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부는,
    배관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부의 둘레를 따라 적어도 일부를 감싸며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배출부는,
    챔버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배관부의 길이방향에 따른 적어도 일부 구간에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KR1020180106788A 2018-09-07 2018-09-07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KR101949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788A KR101949791B1 (ko) 2018-09-07 2018-09-07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6788A KR101949791B1 (ko) 2018-09-07 2018-09-07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9791B1 true KR101949791B1 (ko) 2019-02-19

Family

ID=6552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6788A KR101949791B1 (ko) 2018-09-07 2018-09-07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9791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303A (ja) * 1994-09-02 1996-03-19 K Mac Kk 建物の排水装置
JP3357256B2 (ja) * 1996-12-09 2002-12-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案内路付き流体管
KR200375384Y1 (ko) * 2004-11-08 2005-03-11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조립식 이중 배수트랩
KR101088107B1 (ko) * 2010-05-03 2011-11-30 최준선 환기관을 구비한 이중 구조의 우수홈통
JP5285232B2 (ja) * 2007-04-23 2013-09-11 株式会社クボタ 排水用配管構造
US9657468B1 (en) * 2015-04-23 2017-05-23 Aa Anti-Air-Lock Corp. Dual air admittance valve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4303A (ja) * 1994-09-02 1996-03-19 K Mac Kk 建物の排水装置
JP3357256B2 (ja) * 1996-12-09 2002-12-16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案内路付き流体管
KR200375384Y1 (ko) * 2004-11-08 2005-03-11 주식회사 효성케미칼 조립식 이중 배수트랩
JP5285232B2 (ja) * 2007-04-23 2013-09-11 株式会社クボタ 排水用配管構造
KR101088107B1 (ko) * 2010-05-03 2011-11-30 최준선 환기관을 구비한 이중 구조의 우수홈통
US9657468B1 (en) * 2015-04-23 2017-05-23 Aa Anti-Air-Lock Corp. Dual air admittance valv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82824B2 (en) Tub drain and overflow assembly
JP6713264B2 (ja) 排水システム
US9732506B2 (en) Anti-overflow toilet with detachable primary and secondary drain tubes
JP4252553B2 (ja) 建造物内の排水設備
US20130025039A1 (en) Waste water unclogging system and method
AU2008243269B1 (en) Plumbing Fitting
KR101009474B1 (ko) 오배수 통기밴트
US20180171615A1 (en) Flushing structure of toilet and toilet
JP2015536392A (ja) オーバーフロー防止トイレとその製造方法
KR101949791B1 (ko) 이중구조의 유체 배출장치
KR200456133Y1 (ko) 지하식 소화전의 역류방지장치
CN102373746A (zh) 层上排管方式的浴室排水系统的地漏
JP2003213751A (ja) 排水配管の継手装置
CN112523539A (zh) 一种卫生间旧房改造排水系统
US10843237B2 (en) Drain pipe cleaning device and method of cleaning
TWM599875U (zh) 匯流排水裝置
KR101194420B1 (ko) 공동주택의 배수구 악취 제한용 하수관 구조물
KR101100907B1 (ko) 바닥체용 배수 장치
JP4907640B2 (ja) 排水配管の継手装置
JP4429374B2 (ja) 排水管構造
JP7182150B2 (ja) 排水システム
CH642417A5 (it) Cassetta di scarico dell'acqua di lavaggio dei vasi w.c. negli impianti sanitari.
JP2020117954A (ja) 水洗大便器装置
KR20120071052A (ko) 배출구용 기능성 배관연결장치
JP7401384B2 (ja) 排水配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